KR101914669B1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4669B1 KR101914669B1 KR1020180054347A KR20180054347A KR101914669B1 KR 101914669 B1 KR101914669 B1 KR 101914669B1 KR 1020180054347 A KR1020180054347 A KR 1020180054347A KR 20180054347 A KR20180054347 A KR 20180054347A KR 101914669 B1 KR101914669 B1 KR 1019146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irculation line
- temperature
- external circulation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membrane distil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36—Pervaporation; Membrane distillation; Liquid permeation
- B01D61/364—Membrane distil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24—Water desalination
- Y02A20/131—Reverse-osmo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는, 수랭식 엔진 발전기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워터재킷, 상기 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 및 상기 워터재킷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기와 순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아 방열시키는 방열부; 상기 순환라인과 원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원수라인을 통해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아 담수화 처리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순환라인과 해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인근 해수지역으로부터 해수를 상기 순환라인으로 유입시키는 해수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 폐열을 이용하여 막증류 공정으로 담수를 생산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디젤 발전기는 발전시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수를 사용하여 엔진의 파괴 및 변형을 제어한다.
즉, 수랭식으로서, 엔진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냉각수는 냉각팬을 이용하여 열이 방열되고 다시 엔진으로 순환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수랭식 냉각 시스템을 갖고 있다.
이때, 엔진 폐열로 약 30~40%의 열량이 소비되고 있는데, 디젤 발전기 운전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기술개발이 요청된다. 폐열은 에너지 및 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자원에 해당한다.
한편, 막증발법은 소수성 막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의 수증기만을 투과시키는 막분리 공정이다. 물의 유입측과 유출측 사이에 온도 차이를 두고 이에 의해 발생되는 증기압 차이를 수증기가 통과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으로 사용한다.
막증발법은 기존의 역삼투공정에서와 같은 높은 압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기존의 증발법에서와 같은 고온의 동작온도가 필요하지 않아 컴팩트한 설계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이에, 막증발법은 그 다양한 응용분야 적용되고 있고, 그 중 담수화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막증발법은 낮은 에너지로 담수화가 가능하기에, 상술한 디젤 발전기에서와 같은 폐열을 확보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디젤 발전기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하여 비상시 담수 또는 생활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비상급수 시스템에 최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식이 막증발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비상급수 시스템들에서는 막증발법에 디젤 발전기의 폐열을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찾기는 어렵다.
활용한다고 하더라도, 담수화를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를 필요로 하는데에 그쳤고, 따라서, 기존의 비상급수 시스템들은 규모(스케일) 측면에서 불리하여 필요한 장소로 이동 및 설치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발전기가 설치되는 위치의 특성상(도서지역, 재난지역 등) 담수화를 위한 원수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원수의 수질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 발전기와 비상급수 시스템을 서로 접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엔진 폐열을 이용하여 막증발 공정으로 담수를 생산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는, 수랭식 엔진 발전기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는 워터재킷, 상기 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 및 상기 워터재킷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을 포함하되, 상기 발전기와 순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순환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아 방열시키는 방열부; 상기 순환라인과 원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원수라인을 통해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아 담수화 처리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순환라인과 해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인근 해수지역으로부터 해수를 상기 순환라인으로 유입시키는 해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수라인에는, 상기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부, 및 상기 담수화부로부터 상기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해수라인에는, 상기 해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부, 유량 측정부 및 유입랑 조절부와 연결되어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 온도 이상인 경우-상기 제1 온도는 상기 담수화부에서 막증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원수의 온도에 상응함-, 상기 배출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 제1 유량만큼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담수로 변환된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입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해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순환라인으로 상기 담수로 변환된 유량만큼 상기 해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순환라인 내 총 냉각수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방열부는 상기 냉각수의 표면적을 넓혀주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송풍하거나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수 유입시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여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2 온도 이상인 경우-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엔진의 냉각을 위해 기설정된 온도에 상응함-, 상기 배출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의 냉각수 배출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량 조절부 및 유입량 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엔진의 온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해수 공급부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엔진 폐열을 활용하여 에너지 친화적이고 경제적이며, 담수화를 위한 별도의 가열장치가 불필요하므로, 컴팩트화(소규모화) 할 수 있는 엔진 폐열을 이용한 담수생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새로운 발전기뿐만 아니라, 기존의 발전기에도 교체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와 발전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에 결합된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1)와 발전기(G)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1)(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담수생산 모듈'이라 함)는 디젤 발전기와 같은 발전기(G)에 연결되어 담수를 생산한다.
담수생산 모듈(1)은 발전기(G)를 순환하는 냉각수를 방열시키는 방열부(10) 및 냉각수를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담수화부(20)를 포함한다.
발전기(G)는 수랭 방식의 엔진(EN)을 가지며, 엔진으로부터 얻어진 동력을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환부(TR)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그 내부에 엔진의 온도를 식히기 위한 워터자켓(JA, 도 2 참조)과 워터자켓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WP, 도 2 참조)를 가질 수 있다.
발전기(G)는 냉각수가 적용되는 다양한 형식의 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디젤 엔진, 가솔린 엔진, 또는 하이브리드 엔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젤 엔진인 것으로 가정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전기의 워터자켓을 지나면서 데워진 고온의 냉각수는 담수생산 모듈의 방열부(10)를 통해 방열되게 된다. 이를 위해 방열부(10)는 냉각수의 표면적을 넓혀주기 위한 라디에이터 및 라디에이터로 송풍하거나 라디에이터로부터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G)는 그 자체적으로도 냉각수의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 또는 라디에이터와 냉각팬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기존의 디젤 발전기가 자체적으로 라디에이터를 갖는 것처럼), 방열부(10)는 발전기(G)에 속하는 구성요소로 볼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은 방열부(1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발전기(G)는 방열부를 포함하지 않는 발전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전기(G)는 수명이 다한 라디에이터가 제거된 상태의 발전기일 수 있다. 또는 교체수요가 발생한 라디에이터가 제거된 상태의 발전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발전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이 연결되어 담수화 역할뿐만 아니라 방열부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주기적으로 냉각수나 라디에이터를 교체할 필요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교체 시점에 맞추어 노후된 라디에이터를 대체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을 발전기에 장착할 수 있다. 물론 노후되지 않은 상황이더라도, 전력과 함께 비상급수까지 필요한 상황에서는 기존의 발전기에 부착되어 있던 라디에이터를 떼어내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을 장착할 수 있다.
담수생산 모듈(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각수를 직접 담수화를 위한 원수로 활용하므로, 발전기(G)를 위한 냉각수에는 해수(SW)가 적용된다. 즉, 해수(SW)가 엔진 내부의 냉각수로 직접 활용된다.
그리고, 담수화부(20)는 엔진을 순환하면서 고온상태가 된 냉각수를 원수(OW)로 활용하여 담수(FW)로 직접 변환한다.
이를 위해, 담수생산 모듈(1)은 해수지역 인근에 설치된 발전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G)의 지지 구조체가 되는 베이스부(B) 상에 발전기와 함께 놓여지고 발전기와 결합되며, 결합된 발전기로 냉각수인 해수를 공급 및 발전기로부터 냉각수를 제공받아 담수화할 수 있다.
요컨대, 해수(SW)가 발전기(G)로 공급되고, 발전기를 순환하면서 데워진 해수가 방열부(10)를 지나면서 식혀지며, 이와 함께 발전기를 순환하면서 데워진 해수의 일부가 담수화부(20)로 공급되어 담수화되는 전체 순환구조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수생산 모듈은 해수지역으로부터 해수(SW)를 끌어올려 발전기(G)로 제공하는 해수 공급부(30, 도 2 참조)를 더 포함한다. 해수 공급부는 펌프일 수 있다.
이러한 해수 공급부도 베이스부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별도의 해수 이송라인이 마련되면, 해수 공급부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로부터 멀리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별도로 마련된 해수 이송라인이 해수 공급부와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사이를 연결하는 리드선과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1)은 발전기(G)에 장착되어 해수가 직접 발전기의 엔진 냉각수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공급하며, 동시에 엔진을 순환하면서 고온 상태가 된 냉각수를 원수로 활용하여 담수로 변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생산 모듈(1)은 발전기가 필요한 장소(도서지역, 재난지역 등 집중형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지역)에 적용되어 전기뿐만 아니라 담수도 함께 동시에 생산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수생산 모듈(1)이 장착된 상태의 발전기뿐만 아니라, 기존의 발전기에 대해서도 이에 부착되어있던 라디에이터 대체품으로 적용되어 전기와 함께 담수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수화를 위해 별도의 가열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냉각수를 원수로 활용함으로써 엔진의 폐열을 재활용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냉각수인 해수가 디젤 발전기로 유입되고 엔진을 순환하며, 고온의 냉각수가 담수화를 위해 활용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G)에 결합된 담수생산 모듈(1)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담수생산 모듈(1)은 방열부(10), 담수화부(20), 해수 공급부(30) 및 제어부(4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담수생산 모듈(1)이 결합되어 있는 발전기(G)는 엔진(EN), 워터자켓(JA), 워터펌프(WP) 및 변환부(TR)를 포함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발전기(G)는 원래 라디에이터를 포함하고 있었을 수 있지만, 그 자리에 담수생산 모듈(1)의 방열부(1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담수생산 모듈(1)이 발전기(G)와 결합됨으로써 기존의 라디에이터를 대체하여 발전기를 위한 라디에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담수생산 모듈(1)은 외부 순환라인(Lc), 원수라인(L1) 및 해수라인(L2)을 포함한다.
외부 순환라인(Lc)은 워터펌프(WP)와 방열부(10)를 연결하여 워터펌프로부터 방열부로 냉각수가 순환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원수라인(L1)은 순환라인(Lc)과 담수화부(20)를 연결하여 순환라인으로부터 담수화부로 냉각수, 즉, 원수(OW)가 흐르는 경로를 형성한다.
해수라인(L2)은 해수 펌프부(30)와 순환라인(Lc)을 연결하여 해수 펌프부로부터 순환라인으로 냉각수, 즉, 해수(SW)가 유입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각각의 라인들(Lc, L1, L2)은 내부에 냉각수(또는 원수나 담수)가 흐를 수 있는 배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냉각수는 해수이므로, 염분에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인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US)이 라인들을 위한 재질로 적용될 수 있다.
엔진(EN)이 작동되기 시작하면, 워터펌프(WP)가 구동되고, 워터펌프가 구동하면서 내부 순환라인(Li)을 따라 냉각수가 순환된다. 이어서 내부 순환을 마치고 고온상태로 된 냉각수는 워터펌프의 구동에 의해 외부 순환라인(Lc)을 따라 순환되면서 라디에이터(12)로 들어가 재냉각과정을 거치고, 이후, 외부 순환을 마치고 저온상태로 된 냉각수는 다시 워터펌프(WP)에 의해 워터재킷(JA)으로 들어가 엔진(EN)을 냉각시킨다.
여기서 내부 순환라인(Li)은 발전기(G)의 내부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내부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외부 순환라인(Lc)은 내부 순환라인과 대비시키기 위해 외부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로 하나, 외부 순환라인(Lc)도 부분적으로 발전기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외부 순환라인(Lc)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G)의 워터펌프(WP)로부터 연장된 부분(즉, 발전기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과, 담수생산 모듈(1)의 방열부(10)로부터 연장된 부분(즉, 발전기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발전기의 워터펌프로부터 연장된 부분과, 담수생산 모듈의 방열부로부터 연장된 부분이 커플링부들(C1, C2)을 통해 서로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외부 순환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순환라인(Lc)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G)의 워터펌프(WP)로부터 연장되는 부분 없이, 담수생산 모듈(1)의 방열부(10)로부터만 연장될 수도 있다. 방열부로부터 연장된 외부 순환라인이 직접 워터펌프로 결합된다.
커플링부들의 위치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어느 경우나 담수생산 모듈이 발전기에 결합되어 냉각수로써 해수를 공급하고, 데워진 냉각수 중 일부를 원수로써 공급받아 담수화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바, 본 발명에서는 도 2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담수생산 모듈(1)은 커플링부들(C1, C2)를 통해 발전기(G)와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부들(C1, C2)은 배관 커플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워터펌프(WP)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과 방열부(10)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나의 외부 순환라인(Lc)을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워터펌프로부터 뻗어나온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과, 방열부로부터 뻗어나온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이 서로 커플링부들(C1, C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워터펌프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 및 방열부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은 발전기(G)와 담수생산 모듈(1)간 결합을 위한 체결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워터펌프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은 발전기에서 원래 장착되어 있던 라디에이터를 탈거하고 노출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고, 이 노출된 부분에 담수생산 모듈의 방열부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이 배관 커플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만약, 상술한 도 3의 경우를 가정한다면, 워터펌프로부터 뻗어나온 배관들이 하나의 외부 순환라인을 구성할 수 있고, 이때, 워터펌프로부터 뻗어나온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이 직접 워터펌프의 체결부위들로 커플링부들(C1', C2')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워터펌프의 체결부위들은 일례로, 발전기에서 원래 장착되어 있던 라디에이터와 여기에 부속되어 있던 배관들을 모두 탈거하고 노출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고, 이 노출된 부분에 담수생산 모듈의 방열부로부터 뻗어나오는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이 커플러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순환라인(Lc)상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열부(10)와 발전기의 워터펌프(WP)가 배치될 수 있고, 방열부(10)는 외부 순환라인(Lc)을 통해 엔진(EN)을 순환한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받아 방열시킨다.
이를 위해, 방열부(10)는 외부 순환라인상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12) 및 라디에이터에 인접 배치되어 라디에이터로 송풍하거나 라디에이터로부터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1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담수화부(20)는 외부 순환라인(Lc)과 원수라인(L1)을 통하여 연결된다.
담수화부(20)는 원수라인(L1)을 통해 외부 순환라인(Lc)으로부터 고온의 원수(즉, 고온의 냉각수)를 공급받아 담수화 처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부(20)는 막증류법(또는 막증발법)(Membrane Distillation, MD)을 사용하여 냉각수인 해수를 담수화할 수 있다.
담수화에 적용되는 막증류법에는, 직접접촉 막증류법(DCMD,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 공기층 막증류법(AGMD, air-gap membrane distillation), 진공 막증류법(VMD, vacuum membrane distillation), 포집가스 막증류법(SGMD, sweep gas membrane distillation), 삼투 막증류법(OMD, osmotic membrane distillation)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접접촉 막증류법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부(20)는 고온의 원수를 유입받는 증발부(22), 저온의 담수가 유입되는 응축부(24), 고온의 원수와 저온의 담수를 구획하는 멤브레인(23) 및 담수를 저정하는 담수 저장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담수화부로 유입된 고온의 원수(OW)는 증발부(22)를 통해 외부 순환라인(Lc)으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담수 저장부(25)로부터 유입된 저온의 담수는 응축부(24)를 통해 다시 담수 저장부(25)로 회수되는 순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멤브레인(23)은 직접 접촉형 막증류 반응을 통하여 증발부(22)를 순환하는 고온의 원수가 멤브레인의 막 표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담수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멤브레인(23)에 의해 구획되어 순환되는, 증발부(22)상의 고온의 원수와 응축부(24)상의 저온의 담수 사이의 증기압 차를 구동력으로 담수화가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멤브레인(23)은 수증기가 통과 가능한 소수성 고분자 분리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멤브레인은 증발부(22)에 유입된 고온의 원수에 존재하는 수증기가 멤브레인(23)에 형성된 다수의 기공을 통과하여 응축부(24)를 순환하는 저온의 담수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담수화부(20)는 고온의 원수(OW)를 유입받아 미리 저장하는 유입수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증발부(22)는 유입수조(21)로부터 원수를 유입받을 수 있다. 즉, 외부 순환라인(Lc)으로부터 배출된 냉각수(즉, 고온의 원수)는 유입수조(21)를 거쳐 증발부(22)로 유입될 수 있다. 반대로, 회수시에도, 증발부를 순환한 냉각수는 유입수조를 거쳐 외부 순환라인(Lc)으로 회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해수 공급부(30)는 외부 순환라인(Lc)과 해수라인(L2)을 통하여 연결되며, 인근 해수지역으로부터 해수(SW)를 끌어올려 외부 순환라인(Lc)으로 유입시킨다.
해수 공급부(30)는 발전기(G)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별도의 전력 공급라인(Lp)을 통해 발전기의 변환부(TR)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엔진은 그 자체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가동온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막증류 방식의 담수화 공정 또한 그 자체의 담수화 과정을 위한 원수온도가 필요하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외부 순환라인으로의 냉각수(또는 해수나 원수)의 유입 및 배출에 관여한다.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고, 외부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총 수량(총 냉각수량)도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발전기로 유입되므로, 결과적으로, 발전부의 냉각수의 온도 및 발전부의 냉각수의 총 수량(총 냉각수량)이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담수생산 모듈의 라인들(원수라인, 해수라인, 외부 순환라인)에 마련되는 측정부들로부터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각종 조절부들을 제어한다. 측정부들과 조절부들은, 온도 측정부(S1), 배출량 조절부(V1), 유량 측정부(S2), 유입량 조절부(V2)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외부 순환라인(Lc)에는, 엔진을 순환한 후 고온상태가 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S1)가 마련된다.
원수라인(L1)에는, 외부 순환라인(Lc)으로부터 담수화부(20)로 배출되는 원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부(V1), 및 담수화부(20)로부터 외부 순환라인(Lc)으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S2)가 마련된다.
해수라인(L2)에는, 해수 공급부(30)로부터 외부 순환라인(Lc)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부(V2)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이러한 조절부 및 측정부들과 연결되어, 온도 측정부(S1) 및 유량 측정부(S2)에 의한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배출량 조절부(V1) 및 유입량 조절부(V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 측정부(S1)는 바이메탈 온도계, 열전 온도계, 적외선 온도계, 수은 온도계 등 일 수 있다.
배출량 조절부(V1)와 유입량 조절부(V2)는 예를 들어, 게이트 밸브, 글로브 밸브, 체크 밸브, 감압 밸브 등과 같은 밸브일 수 있다.
유량 측정부(S2)는 예를 들어, 차압식 유량계, 면전식 유량계, 용적식 유량계, 터빈 유량계, 전자 유량계 등과 같은 유량계일 수 있다.
도 2를 더욱 참조하면, 워터펌프(WP)와 방열부(10) 사이의 외부 순환라인(LcH)에서 커플링부(C1)에 인접하여 온도 측정부(S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을 순환한 후 워터펌프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측정될 수 있다.
외부 순환라인(LcH)은 외부 순환라인(Lc)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냉각수가 흐르는 라인에 해당한다. 반면, 외부 순환라인(LcL)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냉각수가 흐르는 라인에 해당한다.
이 위치의 온도 측정부를 통해 냉각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것은, 일정 온도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해당 냉각수를 바로 담수화를 위한 원수로 바로 유입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원수라인(L1)에서 유입수조의 입력단을 담당하는 원수라인(L1H)에 배출량 조절부(V1)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원수라인을 통해 담수화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즉, 원수)의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배출량은 유량과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원수라인(L1)에서 유입수조의 출력단을 담당하는 원수라인(L1L)에 유량 측정부(S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담수화부로부터 원수라인을 통해 외부 순환라인으로 회수되는 냉각수(즉, 원수)의 유입량이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원수라인(L1H)은 원수라인(L1) 중에서 상대적으로 고온의 원수가 흐르는 라인에 해당하고, 원수라인(L1L)은 원수라인(L1) 중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의 원수가 흐르는 라인에 해당한다.
증발부를 거쳐 외부 순환라인으로 회수되는 냉각수의 유량 정보는 외부 순환라인에 존재해야 할 냉각수량과 관련하여 냉각수량 손실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될 해수의 양을 결정하는 데에 활용된다.
그리고, 해수라인(L2)에서 해수 공급부의 출력단에 유입량 조절부(V2)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해수 공급부로부터 해수라인을 통하여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유입량은 유량과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량 조절부는 해수 공급부 내에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해수 공급부는 유입량 조절부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원수라인(L1L)이 외부 순환라인 중 상대적으로 고온의 순환라인(LcH)에 연결되는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라인(L1L)은 외부 순환라인 중 상대적으로 저온의 순환라인(LcL)으로 바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G)에 결합된 담수생산 모듈(1)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발전기의 구성은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바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온의 원수라인(L1H)은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LcH)으로 연결되고, 저온의 원수라인(L1L)은 저온의 외부 순환라인(LcL)으로 연결된다. 이에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LcH)으로부터 배출되어 증발부(22)를 순환한 원수는 저온의 외부 순환라인(LcL)으로 회수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고온의 원수가 담수화부를 순환 및 외부 순환라인으로 회수될 수 있다는 점에서는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가 상술한 측정부들로부터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조절부들을 제어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제1 실시예>
담수화에 필요한 온도를 기준 온도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기준 온도는 40~8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80℃일 수 있다. 높을수록 효율이 증가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기준 온도를 80℃인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부(40)는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만족하는 경우,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담수화부로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즉,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LcH)으로부터 원수라인(L1)으로 고온의 원수가 배출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40)는 워터펌프(WP)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온도 측정부(S1)와 연결되어 그 측정값들을 수신한다.
제어부(40)는 판단 결과, 기준 온도를 만족하는 경우, 배출량 조절부(V1)를 조절하여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LcH)으로부터 담수화부(20)로 냉각수가 일정 유량만큼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배출량 조절부(V1)와 연결되어 배출되는 유량과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배출된 냉각수(즉, 고온의 원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부(22)로 유입되고 증발부를 순환하여 다시 원수라인(L1L)을 거쳐 외부 순환라인(Lc)으로 회수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회수는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LcH)으로 회수될 수 있고, 또는 저온의 외부 순환라인(LcL)으로도 회수될 수 있다.
상기 배출되는 일정 유량은 외부 순환라인(Lc)을 흐르는 총 냉각수량의 일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일례로, 총 냉각수량이 10L인 경우, 상기 배출되는 일정 유량은 1L/min일 수 있다.
계속하여, 제어부(40)는 증발부를 순환하고 회수되는 냉각수의 유량을 확인하고, 이로부터 손실된 냉각수 유량을 산출하여 해당 손실 유량이 해수 공급부로부터 유입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는 원수라인(L1)으로부터 외부 순환라인(Lc)으로 회수되는 냉각수의 유입량을 확인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유량 측정부(S2)와 연결되어 그 측정값들을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냉각수의 회수량에 관한 정보로부터 담수화 과정에서 손실된 유량 정보를 산출한다. 제어부는 앞서 배출량 조절부(V1)를 조절하면서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원수라인으로 배출된 냉각수의 배출량에 관한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배출량과 상기 회수량에 기초하여 냉각수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
냉각수 손실량은 담수화된 원수량에 해당한다. 즉, 해수로부터 변환된 담수의 양에 해당한다. 일례로, 담수화부로 공급된 유량이 1L/min이고, 외부 순환라인으로 회수된 유량이 0.8L/min인 경우, 손실량은 0.2L/min 일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40)는 총 냉각수량이 보존되도록, 즉, 냉각수 손실량이 보전되도록, 유입량 조절부(V2)를 제어하여 해수를 유입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유입량 조절부(V2)를 조절하여 해수 공급부(30)로부터 외부 순환라인(Lc)으로 상술한 냉각수 손실량에 해당하는 해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유입량 조절부(V2)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해수의 유량과 유속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손실 냉각수량이 0.2L/min인 경우, 이에 상응하여 해수 공급부로부터의 유입량이 0.2L/min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외부 순환라인(Lc) 내 총 냉각수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순환라인(Lc) 내 총 냉각수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S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유량 측정부(S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순환라인(Lc) 중 저온의 외부 순환라인(LcL)에서 커플링부(C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량 측정부(S3)는 제어부(40)와 연결되어 측정값들을 제어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 측정부(S3)는, 담수화를 위한 배출/회수 및 손실량 보전을 위한 해수의 유입의 모든 냉각수량 변동을 반영한 이후의 냉각수에 대해 그 유량을 측정하고 제어부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순환라인(Lc) 내 총 냉각수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데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순환라인 내 총 냉각수량이 일정 수준을 밑도는 경우 유입량 조절부(V2)를 조절하여 신규 해수 유입이 더욱 많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일정 수준을 넘어서는 경우 유입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신규 해수 유입이 보다 적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담수화를 위한 배출/회수 및 손실량 보전을 위한 해수의 유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유량 측정부(S3)는 예를 들어, 차압식 유량계, 면전식 유량계, 용적식 유량계, 터빈 유량계, 전자 유량계 등과 같은 유량계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40)는 냉각팬(14)과 더욱 연결되어 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고온의 냉각수가 원수로써 담수화부로 배출/회수되면 막증발법에 의한 담수화가 이루어지는 특성상 냉각수의 온도 하강이 수반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냉각수가 담수화부로 배출될 시에는 담수화에 의한 의한 냉각수 손실량만큼 저온의 해수가 신규로 유입되고, 이에 따라 더욱 냉각수의 온도 하강이 수반된다.
이에, 제어부는 배출량 조절부(V1)를 제어할 때(즉, 냉각수가 담수화부로 배출될 시)에는 냉각팬(14)을 함께 제어하여 회전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엔진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엔진 가동온도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냉각수의 온도가 급격히 낮아져 엔진이 냉간 상태로 돌입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는 온도 측정부(S1), 배출량 조절부(V1), 유량 측정부(S2), 유입량 조절부(V2), 및 유량 측정부(S3)와 연결되어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외부 순환라인으로의 냉각수의 유입/배출에 관여하고, 나아가, 냉각팬(14)과 연결되어 회전수 조절을 통한 냉각 수준에 관여함으로써, 엔진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가동온도를 확보함과 동시에 담수화를 위한 원수온도를 확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담수화부(20)는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고원의 원수를 유입받아 미리 저장하는 유입수조(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수조(21)는 자신에 저장된 고온의 원수의 온도를 조절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자신에 저장된 고온의 원수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고온의 원수가 지속적으로 유입 및 저장되더라도, 자체적으로 구비된 냉각부를 이용하여, 증발부로 공급할 원수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냉각부(미도시)를 가동하여 저장된 원수의 온도를 120℃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냉각부의 가동은 유입수조에 구비된 온도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유입수조(21)가 제어부(40)와 연동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유입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온도가 높을수록 그 압력도 증가하게 되므로, 유입수조(21)는 밀폐형 압력수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유입수조에는 압력계(미도시)가 더욱 구비될 수 있고, 상술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러한 압력계(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압력이 기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냉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원수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떨어뜨림으로써, 온도와 압력을 변수로 하여 담수화부 전체의 온도발란스를 맞추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역할은 유입수조에 구비된 압력계(미도시)를 통하여 자체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지만, 유입수조(21)가 제어부(40)와 연동되는 경우에는 제어부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유입수조(21)를 통하면, 발전기(G)의 가동이 정지된 이후라도 일정 시간동안(즉, 유입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온도가 담수화를 위한 온도범위를 유지하는 시간동안)은 담수화부(20)에 의한 담수화 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입수조에 저장된 원수만을 이용하여 증발부로 순환시키면서 담수화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수조(21)는 증발부(22)로 원수를 공급 및 회수하기 위한 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펌프(미도시)는 제어부(40)와 연동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유입수조에 저장된 원수의 온도는 상술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체크됨으로써 담수화를 위한 온도범위를 유지할 때까지만 담수화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어부(40)는 온도 측정부(S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에는 담수화부로 배출되는 냉각수가 없도록 제한한다. 또한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해수가 없도록 제한한다. 즉, 냉각수가 외부 순환라인(Lc)만을 순환하도록 한다. 또한, 냉각팬의 회전수를 줄일 수도 있다.
온도 측정부(S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 미만인 경우는 통상적으로 엔진 가동 초기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저온의 해수가 외부 순환라인으로 대량 유입되거나, 담수화를 위한 냉각수의 배출량이 많은 상태일 수 있다.
기준 온도 미만, 예를 들어, 외부 순환라인 중 상대적으로 고온의 외부 순환라인을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가 80℃ 미만에 해당하면, 담수화를 위한 효율이 낮아지고, 엔진 가동을 위한 효율(즉, 발전 효율)도 낮아지므로, 제어부는 담수화 과정 없이 발전기만 동작되도록 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냉각팬의 회전수를 함께 조절하여 해당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 밑으로 떨어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어부(40)는 온도 측정부(S1)에 의해 측정된 냉각수의 온도가 기준 온도를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예를 들어, 1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담수화부로의 냉각수 배출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외부 순환라인(LcH)으로부터 원수라인(L1H)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많을수록 막증발 공정을 통한 열손실 또한 증가하므로, 이러한 과정을 통해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원수라인으로 배출되는 유량이 많을수록 해수라인으로 유입되는 해수의 유입량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냉각수의 온도를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하기 더욱 유리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전기에 결합되어 발전기의 냉각수로서 해수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생산시에 담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디젤 발전기는 자가발전(도서지역)과 비상발전(재난지역)으로 사용하는데, 이와 같이 집중형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곳에 설치된 디젤 발전기에 담수생산 모듈이 결합되면, 디젤 발전기를 통한 전력 생산과 함께 디젤 발전기에 냉각수로 적용된 해수를 담수화의 원수로 바로 활용하여 물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담수생산 모듈은 새로운 발전기에 적용되어 방열 역할과 담수화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발전기의 라디에이터를 대체하는 교체식으로 적용되어서도 방열 역할과 담수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막증류법을 이용한 방식 등 담수화 과정에서는 많은 열손실이 수반되는데, 이때 필요한 열원으로 발전기 폐열을 직접 활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담수화 장치에 별도의 가열장치를 필요로 하지도 않음으로써 소규모화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집중형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곳에 설치되는 디젤 발전기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 및 설치될 수 있고, 해당 디젤 발전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10 : 방열부
12 : 라디에이터
14 : 냉각팬
20 : 담수화부
21 : 유입수조
22 : 증발부
23 : 멤브레인
24 : 응축부
25 : 담수 저장부
30 : 해수 공급부
40 : 제어부
Lc : 외부 순환라인
L1 : 원수라인
L2 : 해수라인
S1 : 온도 측정부
V1 :배출량 조절부
S2 : 유량 측정부
V2 : 유입량 조절부
S3 : 유량 측정부
G : 발전기
Li : 내부 순환라인
JA : 워터재킷
WP : 워터펌프
EN : 엔진
10 : 방열부
12 : 라디에이터
14 : 냉각팬
20 : 담수화부
21 : 유입수조
22 : 증발부
23 : 멤브레인
24 : 응축부
25 : 담수 저장부
30 : 해수 공급부
40 : 제어부
Lc : 외부 순환라인
L1 : 원수라인
L2 : 해수라인
S1 : 온도 측정부
V1 :배출량 조절부
S2 : 유량 측정부
V2 : 유입량 조절부
S3 : 유량 측정부
G : 발전기
Li : 내부 순환라인
JA : 워터재킷
WP : 워터펌프
EN : 엔진
Claims (8)
- 워터재킷, 상기 워터재킷과 내부 순환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워터재킷으로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워터펌프 및 상기 워터재킷에 의해 냉각되는 엔진을 포함하는 수랭식 엔진 발전기에 연결되며, 상기 엔진의 폐열을 이용하여 담수를 생산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전기의 워터펌프와 외부 순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외부 순환라인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받아 방열시키는 방열부-상기 방열부는 상기 냉각수의 표면적을 넓혀주는 라디에이터 및 상기 라디에이터로 송풍하거나 상기 라디에이터로부터 열을 발산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함-;
상기 외부 순환라인과 원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원수라인을 통해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아 담수화 처리하는 담수화부; 및
상기 외부 순환라인과 해수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며, 인근 해수지역으로부터 해수를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시키는 해수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부 순환라인에는 상기 방열부로부터 뻗어나온 배관들 각각의 커플링단들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단들이 커플링부들에 의해 상기 발전기의 워터펌프로 결합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라인에는,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 배출되는 냉각수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배출량 조절부, 및 상기 담수화부로부터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량을 측정하는 유량 측정부가 마련되고,
상기 해수라인에는, 상기 해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 조절부가 마련되며,
상기 배출량 조절부, 유량 측정부 및 유입랑 조절부와 연결되어 측정값들을 수신하고 그에 따라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1 온도 이상인 경우-상기 제1 온도는 상기 담수화부에서 막증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원수의 온도에 상응함-,
상기 배출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 제1 유량만큼 상기 냉각수가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유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에 기초하여, 담수로 변환된 유량을 산출하며,
상기 유입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해수 공급부로부터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 상기 담수로 변환된 유량만큼 상기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순환라인 내 총 냉각수량은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수 유입시 상기 냉각팬을 제어하여 상기 냉각팬의 회전수를 줄이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순환라인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제2 온도 이상인 경우-상기 제2 온도는 상기 제1 온도보다 높고, 상기 엔진의 냉각을 위해 기설정된 온도에 상응함-,
상기 배출량 조절부를 조절하여 상기 외부 순환라인으로부터 상기 담수화부로의 냉각수 배출 유량을 증가시키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량 조절부 및 유입량 조절부의 조절에 따라, 상기 엔진의 온도는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공급부는 상기 발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347A KR101914669B1 (ko) | 2018-05-11 | 2018-05-11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4347A KR101914669B1 (ko) | 2018-05-11 | 2018-05-11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4669B1 true KR101914669B1 (ko) | 2018-11-02 |
Family
ID=64328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4347A KR101914669B1 (ko) | 2018-05-11 | 2018-05-11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466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9702B1 (ko) * | 2014-05-21 | 2014-11-20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
JP2015196103A (ja) * | 2014-03-31 | 2015-11-09 |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 冷却水の利用方法 |
-
2018
- 2018-05-11 KR KR1020180054347A patent/KR101914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196103A (ja) * | 2014-03-31 | 2015-11-09 | パンパシフィック・カッパー株式会社 | 冷却水の利用方法 |
KR101459702B1 (ko) * | 2014-05-21 | 2014-11-20 | 한국산업기술시험원 | 해양선박 폐열을 이용한 막증류 수처리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09082372A1 (en) | Operating a sub-sea organic rankine cycle (orc) system using individual pressure vessels | |
US9540250B2 (en) | Cooling tower water reclamation system and method | |
EP4067534A1 (en) | Offshore renewable energy power station | |
JP2013180625A (ja) | 排熱回収型船舶推進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 |
US20080017498A1 (en) | Seawater Desalination Plant | |
JP2009262925A (ja) | 船舶および船舶における熱エネルギの回収方法 | |
US8820099B2 (en) | Thermal power upgrade facility | |
JP4782661B2 (ja) | 熱発生設備の冷却方法及び熱発生設備の冷却装置 | |
BR112019018430A2 (pt) | montagem consumidora de energia térmica local e uma montagem geradora de energia térmica local para um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energia térmica distrital | |
US20160230700A1 (en) | Exhaust heat recovery apparatus of engine | |
KR101914669B1 (ko)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모듈화된 담수생산 장치 | |
JP5910122B2 (ja) | 熱回収発電装置 | |
KR101903086B1 (ko) | 부유식 발전 시스템 | |
US9920998B2 (en) | Air cooled condenser and power genera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JP6109065B2 (ja) | ボイラ給水システム | |
JP6997714B2 (ja) | 発電システム | |
CN110260675B (zh) | 一种空冷水冷并联系统及其能耗控制方法 | |
KR101906576B1 (ko) | 엔진 폐열을 이용한 담수생산 장치 | |
JP5295203B2 (ja) | 変圧器の冷却方法 | |
KR101335608B1 (ko) | 청수 생산 시스템 | |
JP2006105452A (ja) |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14092079A (ja) | 発電ユニット停止時の冷却水供給系統 | |
EP1751487B1 (en) | Cooling method for natural gas conversion complex | |
KR20160112815A (ko) | 냉각수 폐열을 이용한 선박용 온음용수 공급 장치 및 선박용 온음용수 공급 방법 | |
KR101915579B1 (ko) | 물-전기 동시 생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