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129957A1 -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 Google Patents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129957A1
WO2015129957A1 PCT/KR2014/004201 KR2014004201W WO2015129957A1 WO 2015129957 A1 WO2015129957 A1 WO 2015129957A1 KR 2014004201 W KR2014004201 W KR 2014004201W WO 2015129957 A1 WO2015129957 A1 WO 20151299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ask
air
harmful substances
dust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20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남준
Original Assignee
박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준 filed Critical 박남준
Priority to CN201480076303.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6029178B/zh
Publication of WO20151299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1299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se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nd more particularly, harmful substances such as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bacteria, etc. contained in the inhaled air by accelerating the speed of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nose. It relates to a comask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bacteria, etc.) in the ai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attachment plate inside the comask to prevent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to the body.
  • influenza virus flu has spread from 10 to 40 years, especially in recent years due to viral diseases such as swine flu and viral respiratory infections such as bird flu. There is a situation.
  • Such viruses or fine dust is infiltrated into the human body through the nose, oral cavity, skin contact, etc. Among these, it is known that most of them pass through the nose.
  • viruses are easily recombined by gene recombination within the host cell, and at the same time, when two or more viruses invade the host cell, RNA fragments cross each other, causing a large amount of mut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evelop a vaccine. Therefore, the best way to prevent such respiratory infectious viral diseases is to prevent the virus from entering the body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 a mask made of a fiber covering the mouth and nose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preventing outside air containing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from being sucked into the body.
  • the present inventors earnestly endeavored to develop a method for effectively removing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in the air sucked into the nose.
  • the average speed of the air sucked into the nose is generally 3.3 m. More than / s, forming one or more pore or passage structure that can accelerate the speed of air, and equipped with attachment plate to which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 and bacteria can be attached, breathability and harmful substance block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se mask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including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 the present invention (a) has a lower bottom surface and an opening to which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is attached and the intake air entering the body from the outside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A pair of housings having lower pores therethrough therethrough; And (b) a co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including a pair of external stoppers having pores or passages through which air entering into the body from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pass through the housing a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1) ).
  • Figure 1 shows one aspect of a co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process and results of fine dust blocking exper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shows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grain dust blocking experiment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a) has a lower bottom surface and an opening to which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are attached, and around the bottom surface the inlet air entering the body from the outside and the lower pores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can pass.
  • a pair of housings formed;
  • a co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including a pair of external stoppers having pores or passages through which air entering into the body from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ody pass through the housing a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1) ).
  • the harmful substance refers to a substance capable of exhibiting harmfulness when inhaled into the human body such as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 and bacteria.
  • the housing of the c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or nasal f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nasal cavity, it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inserted into the nostril or It can be freely deformed if it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nostrils and can be kept tight.
  • the c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nostrils,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sheet for positioning in front of the nostrils.
  • the c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ccelerates the air velocity through which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external plug pores 5 to 3.3 m / s or more, so that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have a lower bottom surface ( 7) to be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bottom quickly to prevent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to be inhaled through the nasal cavity to the lungs.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ring 6 connecting the pair of housings or the pair of outer plugs.
  • the lower bottom surface 7 is preferably coated with an adhesive that can be attached to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 the adhesiv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adhesive is found to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while exhibiting adhesion to dust, fine dust, yellow dust, viruses and bacteria, and the adhesive may be polybutene-based, polyacryl-based, rubber-bas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on-based and polyvinyl-based.
  • a comask was manufactured using PB2400 (Daelim, Korea) which is a polybutene-based adhesive.
  • the adhesive may be further coated on all or part of the inner surface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passage passes, and the passag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or curved shape.
  • the lower bottom surface (7)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viral or antimicrobial material is further applied, the anti-viral or antimicrobial activity is known as the anti-viral or antimicrobial material, and approved for use in the human body
  • Pharmaceutical compositions, plant extracts, silver nanomaterials, titanium oxide and the lik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external stopper 3 directly contacting the external air has a structure to be bonded to the opening 9 of the housing, and may be attached to be detachable or may be integral.
  • the rim of the lower bottom surface 7 of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nasal direction, and a runny nose 8 protruding outward is formed, and the surface thereof is preferably recessed. You can also form a runny nose in a place.
  • the runny nose prevents the pores 4 formed on the lower bottom side from being blocked by the runny nose flowing from the nasal cavity, and prevents the runny nose from reachi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nose mask, especially the adhesive coated.
  • the outer stopper 3 of the c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lat plate structure or a concave concave structure in the middle, and at least one pore 5 located in the outer stopper. That is, one may be a central po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plug, one or more peripheral pores may be formed around the pores,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ores are not limited.
  • the filter having a breathable in the hollow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uter cap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filter may be made of a fiber material, medical silicone, synthetic resin, and the like, and the filter may further contain an antiviral or antimicrobial substance, and the filter may be used in a range that does not inhibit the speed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mask. It is preferable to fill.
  • the material of the nos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long as the material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nostrils or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nostrils and can be kept airtight, and preferably, medical silicone can be used.
  • the c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arry and can be used when necessary, and it is preferable to replace it with a new comask when it is contaminated to some extent.
  • the fine dust blocking ability of the comask was confirmed.
  • test tube is attached to the comask opening of the cube used in 1-1 After that, an air inhaler was injected into the intake port of the cube and the grain dust was sucked in (b of FIG. 4).
  • the wearing of the co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celerating the speed of the air sucked into the nose to effectively attach harmful substances in the air to the nose mask to prevent inhalation in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 유해물질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콧속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을 코마스크 내부의 부착판면에 부착시켜, 체내로 공기 중 유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중 유해물질 침투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공기 중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코마스크에 부착시켜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본 발명은 공기중 유해물질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콧속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코마스크 내부의 부착판면에 부착시켜, 체내로 유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 중 유해물질(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세균 등) 침투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1918년 스페인 독감이 발생한 이후,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은 10년에서 40년 주기로 대유행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신종플루나 조류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들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 등지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까지 침범하여, 이에 의한 폐암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발병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먼지는 코, 구강, 피부접촉 등을 통하여 인체 내에 침입되며, 이 가운데 코를 통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 내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잘 일어나서 변종이 생기기 쉽고 또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침입하면 RNA 조각들이 서로 교차하여 대량 변이가 발생하여 백신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호흡기 감염성 바이러스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최선이다.
일반적으로,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이 포함된 외부공기가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는 입과 코 주위를 덮는 섬유재질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마스크는 날숨에 포함된 수증기와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수분 발생, 착용 주변의 열 발생으로 인한 땀의 발생, 행동의 불편, 미관상 거부감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강에 장착하는 마스크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원통형 본체 내부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충진재를 가지고, 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구조가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통기성이 낮아 착용자로 하여금 답답함을 느끼게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 구멍을 늘리면 바이러스 방지 효과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561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2725).
이에, 본 발명자는 코 속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인 평균 3.3m/s 보다,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는 1개이상의 기공 또는 통로 구조를 형성하고,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이 부착될 수 있는 부착판을 구비하여, 통기성과 유해물질 차단성을 향상시킨 코마스크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을 포함하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코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명은 (a)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과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하부 바닥면의 둘레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 및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 또는 통로를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를 포함하는 공기 중 유해물질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구현예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미세먼지 차단실험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곡물분진 차단실험 과정 및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구현예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에 삽입되는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을 포함하는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과 개구부를 가지고 바닥면의 둘레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 및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 또는 통로를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를 포함하는 공기 중 유해물질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해물질은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세균 등 인체에 흡입되었을 때 유해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코마스크(1)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하우징은 원통형 또는 비강의 모양에 따른 비강맞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콧구멍에 삽입되거나, 콧구멍의 전면에 부착되어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면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비강에 삽입되거나, 콧구멍의 전면에 부착되는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콧구멍의 전방에 위치시키기 위한 접착식 시트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외부마개 기공(5)으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속도를 3.3m/s 이상으로 가속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이 하부바닥면(7)에 빠르게 부딪혀 하부바닥면에 부착되도록하여,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이 비강을 통하여 폐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상기 1쌍의 하우징 또는 1쌍의 외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고리(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닥면(7)은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과 부착될 수 있는 부착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제로는 먼지,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에 대하여, 부착능을 나타내면서, 인체에 무해하다고 판명된 부착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제는 폴리부텐계, 폴리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및 폴리비닐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폴리부텐계 부착제인 PB2400(대림산업, 한국)을 사용하여 코마스크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제가 추가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통로는 직선 또는 곡선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닥면(7)에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물질이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물질로는 항바이러스능 또는 항균능이 알려지고, 인체에 사용가능하도록 허가된 의약조성물, 식물추출물, 은나노물질, 산화티타늄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외부공기와 직접 닿는 상기 외부마개(3)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9)와 결착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착시킬 수도 있으며, 일체형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하우징의 하부바닥면(7)의 테두리가 비강방향으로, 외부로 돌출된 콧물받이(8)가 형성되어 있고, 그 면은 함몰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외의 장소에도 콧물받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콧물받이는 비강에서 흐르는 콧물에 의하여, 하부바닥 측면에 형성되는 기공(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코마스크 내부 특히 부착제가 코팅된 하부바닥면에 콧물이 닿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외부마개(3)는 평판구조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추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마개에 위치하는 기공(5)은 1개 이상이다. 즉, 외부마개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기공 하나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공을 중심으로 1개 이상의 주변기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공의 크기와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에 통기성을 가지는 필터가 더 추가되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섬유재질이나 의료용 실리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에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물질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코마스크 내부로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재질은 콧구멍에 삽입되거나, 콧구멍의 전면에 부착되어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휴대가 간편하여,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정도 오염되었을때 새로운 코마스크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코마스크의 미세먼지 및 황사 차단 실험
1-1: 코마스크의 미세먼지 차단효과 확인
본 발명의 코마스크를 사용하여, 코마스크의 미세먼지 차단능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가 장착되고 흡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아크릴재질의 정육면체(11cm×11cm×11cm)(도 3의 a)의 코마스크 부분에 시판되는 실험용 미세먼지(Ashrae #1 Test Dust, POWDER TECHNOLOGY INC, USA, 평균 입도 7.7μm)가 분주된 15mL 테스트튜브를 부착하고(도 3의 b), 상기 정육면체의 흡기구에 공기흡입기를 대고 미세먼지를 흡입시켰다(도 3의 c) 미세먼지가 코마스크의 흡착판에 흡착되고, 정육면체 내에는 미세먼지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3의 d).
1-2: 코마스크의 황사 차단효과 확인
미세먼지 보다 입자가 큰 황사에 대한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차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콩분말(입도:약 130㎛(120mesh)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1-1에서 사용한 정육면체를 이용하여 곡물분진이 충진된 테스트 튜브를 점토반죽을 이용하여 깔대기에 고정시키고(도 4의 a), 1-1에서 사용한 정육면체의 코마스크 개구부에 테스트튜브를 부착시킨 후, 정육면체의 흡기구에 공기흡입기를 주입하고 곡물분진을 흡입시켰다(도 4의 b).
그 결과, 곡물분진이 코마스크의 흡착판에 흡착되고, 정육면체 내에는 곡물분진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의 c).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공기 중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코마스크에 부착시켜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 미세먼지, 황사, 바이러스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2... 하우징
3... 외부 마개 4... 하부 기공
5... 외부마개 기공 6... 연결고리
7... 하부 바닥 8... 콧물받이
9... 하우징 개구부

Claims (14)

  1. 다음을 포함하는 공기 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a)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과 개구부를 가지고 바닥면의 둘레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 및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 또는 통로를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마개의 기공을 통과하는 흡입공기의 속도가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 상에서 가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하우징 또는 1쌍의 외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바닥면은 공기 중 유해물질을 부착시킬 수 있는 부착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제는 폴리부텐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비닐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에 콧물받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바닥면에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물질이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외부마개는 평판구조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추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외부마개에 위치하는 기공 또는 통로는 1개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에 통기성을 가지는 필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공기가 통과하는 내부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직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마스크는 비강에 삽입되거나, 콧구멍앞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콧구멍 전방에 위치시키기 위한 접착식 시트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PCT/KR2014/004201 2014-02-25 2014-05-12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WO20151299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76303.XA CN106029178B (zh) 2014-02-25 2014-05-12 防止吸入空气中有害物质的鼻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761 2014-02-25
KR20140021761A KR101479200B1 (ko) 2014-02-25 2014-02-25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9957A1 true WO2015129957A1 (ko) 2015-09-03

Family

ID=5258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201 WO2015129957A1 (ko) 2014-02-25 2014-05-12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9200B1 (ko)
CN (1) CN106029178B (ko)
WO (1) WO20151299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2015S1 (en) 2018-05-08 2021-09-28 Resprana, Inc. Nasal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2993B1 (ko) 2015-07-01 2015-11-30 이효광 비강 삽입형 마스크
EP3538226A4 (en) * 2016-11-14 2020-08-26 Nanoclean Global Pvt Ltd NANOFIBER-BASED NAS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041561B1 (ko) 2018-02-23 2019-11-06 주식회사 메디쿼터스 미세먼지 차단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겔 조성물
KR102080005B1 (ko) 2018-07-23 2020-02-2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969677B1 (ko) * 2018-07-23 2019-04-17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20200143061A (ko) 2019-06-14 2020-12-23 김승현 연결부를 제거한 비강 내 삽입 마스크
KR20220110910A (ko) 2021-02-01 2022-08-09 평성인 코 분리형 마스크
KR102610924B1 (ko) 2021-09-28 2023-12-05 이종수 퀀텀 숨관 코 마스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10057565A (ko) * 2009-11-24 2011-06-01 김주웅 코삽입 방진마스크
KR2013007237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먼지공해 방지용 코마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18963Y (zh) * 2009-04-22 2010-03-10 李卫昌 隐形鼻腔内空气、灰尘过滤器
CN102284149B (zh) * 2010-06-18 2013-03-20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工程兵科研三所 呼吸追随型电动送风式呼吸面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10057565A (ko) * 2009-11-24 2011-06-01 김주웅 코삽입 방진마스크
KR2013007237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먼지공해 방지용 코마개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2015S1 (en) 2018-05-08 2021-09-28 Resprana, Inc. Nasal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178B (zh) 2019-08-06
CN106029178A (zh) 2016-10-12
KR101479200B1 (ko) 201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29957A1 (ko)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WO2016167495A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202859944U (zh) 双通道疾病防控面罩
ATE466626T1 (de) Antivirale und antibakterielle atemmaske
WO2020085605A1 (ko) 탈부착형 코 마스크
WO2016153135A1 (ko)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WO2020054913A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JP2010264183A (ja) 多機能付予防マスク
CN207544375U (zh) 一种医疗护理用防护口罩
WO2012064134A2 (ko) 비상용 방독면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WO2023022308A1 (ko) 산소 마스크 가드
CN211983932U (zh) 气管镜检查防护面罩
WO2013154344A1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CN110575629A (zh) 易排出呼出气体的防护面罩
WO2023074941A1 (ko) 살균 기능이 구비된 호흡기 치료 장비
CN210674516U (zh) 一种呼吸内科的无菌过滤装置
KR20160079412A (ko) 공기중 불순물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CN213158697U (zh) 一种过滤型氧气面罩
CN212998018U (zh) 一种呼吸罩
WO2022225111A1 (ko) 코 호흡장치
KR102408131B1 (ko) 필름형 흡배기 밸브 및 상기 필름형 흡배기 밸브가 장착되며, 들숨공간과 날숨공간이 분리된 호흡용 필터 카트리지
CN218685625U (zh) 一种密闭式呼吸分离病毒阻隔面罩
WO2022139395A1 (ko) 마스크
CN209464457U (zh) 一种儿科急诊用氧气呼吸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840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3.01.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840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