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85605A1 - 탈부착형 코 마스크 - Google Patents

탈부착형 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85605A1
WO2020085605A1 PCT/KR2019/007075 KR2019007075W WO2020085605A1 WO 2020085605 A1 WO2020085605 A1 WO 2020085605A1 KR 2019007075 W KR2019007075 W KR 2019007075W WO 2020085605 A1 WO2020085605 A1 WO 202008560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lter
sheet
attached
nose
nose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07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장호
Original Assignee
박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호 filed Critical 박장호
Publication of WO202008560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8560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attach to the periphery of the nose in the form of blocking the nostrils by removing from the existing mask structure, such as fixing it by hooking it to the ear or inserting it into the nasal cavity and fixing i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removable nose mask.
  • masks are mainly used in industrial sites where dust is generated a lot, but as society becomes more complex, toxic gases or dust floating in the air, bacteria, etc. are found in subway stations where the air pollution is severe, in complex downtown areas, or in places such as fire sites.
  • the scope of use has been greatly expanded, including preventing the intrusion of harmful substances into the respiratory tract and, in particular, preventing extreme yellow dust damage.
  • the conventional mask for this is a structure of covering the mouth and nose and fixing it over the ears, covering most of the face, obscuring the field of view and shaking during activities, making it uncomfortable to use. There was a difficulty.
  • a nasal insertion-type nose stopper in which a filter body is inserted into the nose was disclosed, but there was a problem in that foreign substances enter the nose and give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nose.
  • a nose mask having a structure that is convenient to wear while covering only the nose of the respiratory tract and minimizing the feeling of rejection when wearing is disclosed,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87496 registration on Feb. 27, 2009,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1'
  • a filter disposed under the nose of the human body to filte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nd the filter is coupled to the front and the gripping portion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tight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of the human body by being configured.
  •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 nose mask that has convenienc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ody at all and has no feeling of rejection of foreign substances, so that it is comfortable to wear and prevent damage to the inner wall of the nose.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2661 (published on December 20, 20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document 2') ⁇ Adhesive nose mask ⁇ has an area that can partially or entirely cover the nose , A housing having at least an outer side detachable / attachable for sealing,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a portion facing the nose hole; And, it is disposed in the through-hole of the housing by including a filter unit having a high air permeability blocking function and high air permeability, such as fine dust, by attaching the mask directly to the skin around the nose, to increase the sealing rate of the mask when wearing an inserted nose mask Removes foreign body sensation from the nose, increases the air permeability of the filter for blocking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ine dust, and the sealing rate of the mask, so that the amount of air inhaled and exhaled when wearing the mask is kept almost the same as before the wearing of the mask, thereby preventing high dust. It is a technology related to an attached nose mask that can smoothly breathe togethe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nose mask with an increased adhesion so that the structure of the sheet attached to the nose is formed in a heart shape and can be attached to the shape of the nose, throat, and left and right skin.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to provide a detachable nose mask that can be stacked or separated with multiple layers of filters so that the filter quantity can be adjusted and used appropriately for an environment worn by a user.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nasal mask that significantly improves the adhesion while helping the sheet to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while being more easily attached by forming the sheet i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o fit the nose shape.
  • Detachable nose mask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heet; An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sheet; A filter attach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paper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of the sheet while covering the filter.
  • the sheet is provided with a pair of arc-shaped upper rims attached to both noses when attached to the nose, and a lower rim of the arc attached to the middle and right and left regions between the nose and mouth
  • the filt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 oval structure that closes the nostrils when the sheet is attached to the nose.
  • the detachable n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the nose, but can be attach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and bend of the nose to increase the adhesion, and can be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user through multiple layers of filters The biggest effect is to select and attach the appropriate number of filters to suit your needs.
  • FIG. 1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movable n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a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to show the filter and release paper
  • Figure 3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air distribution hole and the protection
  • Figure 4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the filter sectional structure
  • FIG. 5 is a rear and plan view showing the ridges of the filter
  • FIG.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multiple layers of filters
  • 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sheet structure of another form
  • FIG. 8 is a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and the like in FIG. 7,
  • FIG. 9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n example of the filter structure in FIG. 7,
  • FIG. 10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lter structure in FIG. 7,
  • Figure 11 is a front configuration for showing the leaf and guide projection
  • 12 and 13 is a state diagram used to show the state of the mask attached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rection of the seat side will be specified as the front side or the front side, and the filter side the rear side or rear side.
  • the detachable nos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sheet 10, an adhesive layer 20, a filter 30 and a release paper 40.
  • the sheet 10 when attached to the nose, a pair of arc-shaped upper end surface portion 11, and the nose and mouth It includes an arc-shaped lower contact surface portion 12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and the left and right regions thereof, and is made of a substantially heart-shaped film structure.
  • each of the upper answer surface portion 11 is an arc convex upward
  • the lower answer surface portion 12 is an arc convex downward.
  • the sheet 10 is a first embodiment for air circulation during breathing of exhalation and exhalation, 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micro holes acros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filter 30 in the sheet 10 ( 13) is formed.
  • an elliptical air distribution hole 14 having a smaller size than the filter 30 is formed in the sheet 10, and the air distribution hole 14 is provided in the sheet 10.
  • a protective paper 15 is attached to the surrounding area to cover the air distribution hole 14 but to remove it when used.
  • the protective paper 15 is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heet 10 to protect the air distribution hole 14, When using the nos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paper 15 is removed and used.
  • the air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a range that satisfies a condition that allows respiration to the filter 30 as an example.
  • each of the upper portion 11 of the seat 10 is made of a three-dimensional convex forward structure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nostril so as to wrap the nose, more through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n the plate shape While being able to easily attach to the user's nose, the sheet 10 is dried or superimposed to improve the point where the attachment surface is not evenly attached to the nose.
  • the lower answer surface portion 12 of the sheet 10 is formed of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convex backward to fit the shape of the middle and right and left regions so as to surround the middle and right and left regions thereof. Rather,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attach to the user's patience and the left and right regions thereof, and the sheet 10 is curled or superimposed, as in the upper portion 11, so that the attachment surface is not evenly attached. Improved.
  •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formed by each of the upper answering portions 11 and the lower answering portions 12 of the sheet 10 forms an approximately S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 each of the upper portion 11 and the lower portion 12 of the seat 10 a plurality of ⁇ -shaped leaf (leaf) 16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hich is attached surface
  • the purpose is to allow the leaf 16 to be easily deformed and attached to the curvature of the skin while increasing.
  • the front of the sheet 10 the front of the sheet 10 when attaching the sheet 10 to the nose, the position of the filter 30 so that the filter 30 can be disposed in both nostrils
  • a pair of braille guide protrusions 17 are formed to sense as.
  • the guide protrusion 17 is preferably of a size that can be detected only when touched with a finger without being confirmed when viewed with the naked eye from the outside.
  • the filter 30 faces the user's nose, hold the seat 10 with both thumbs and index fingers and touch the guide protrusion 17 with both stop fingers to check the position and then confirm the position.
  • the position of the sheet 10 is set so that the projections 17 are arranged at the center of both nostrils.
  • the filter 30 is the amount of the user. It can be accurately placed on the nostril side.
  • the adhesive layer 20 is made of a layer structure formed by being appli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sheet 10 to be cured or by attaching a separate adhesive film.
  • the filter 30 is attach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adhesive layer 20 to filter out harmful substances or fine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and inhaled when inhaled.
  • the sheet 10 is attached, it is made of an oval structure that closes the nostrils.
  • the filter 30 has a size that can block both nostrils of an adult and is made of an elliptical structure that is long left and right.
  • the filter 30 is formed of a plate-like structure having the same thickness, thereby blocking both nostrils of the user.
  • the filter 30 is formed with a convex dome-shaped raised portion 31, which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but is non-contacted to the inner wall of the nasal cavity, that is, Due to the dome shape, it is inserted into the nasal cavity but does not contact the inner wall of the nasal cavity, so that there is less feeling of wound or rejection due to friction with the inner wall of the nasal cavity.
  • the raised portion 31 may be made of a pair of raised structures to fit both nostrils, or may be made of one raised structure, and one raised structure of both nostrils Although not inserted into the area where the nostrils are blocked has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30,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 the filter 30 is provided with n (where n is an integer greater than or equal to 3) and stacked in multiple layers, from the second filter 30 to the nth filter 30, around the attachment surface. Accordingly, since the adhesive portion 32 is formed, mutual coupling is possible.
  • the above-mentioned 'adhesive surface' means the front surface thereof from the second filter 30, and the adhesive portion 32 is formed on the adhesive surface, and the adhesive portion 32 is coated with an adhesive to cure. Or a layer structure to which a separate adhesive film is attached.
  • the thickness can be adjusted, and through this thickness, the filtering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nose 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use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 filter 30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o be used.
  • the first filter 30, that is, the filter 30 other than the filter 30 already attached to the sheet 10
  • Release paper 40 is to protect the adhesive layer 20 and the filter 30 is attached to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sheet 10, while covering the filter 30, as shown in FIG. ,
  • the sheet 1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is made of a conventional release pa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상기 시트의 후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중앙 영역에 부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덮으면서 상기 시트의 접착층에 부착되는 이형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는 코에 부착 시 양 콧등에 부착되는 한 쌍의 호형(弧形) 상부답면부와, 코와 입 사이의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에 부착되는 호형의 하부답면부가 구비되어 하트형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는 코에 상기 시트 부착 시 콧구멍을 막게 되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코에 부착하되, 코의 형상 및 굴곡에 맞게 대응하여 부착할 수 있어 부착력을 높일 수 있으면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형 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부착형 코 마스크
본 발명은 귀에 걸어 고정하거나 비강(鼻腔) 내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등의 기존 마스크 구조에서 탈피하여 콧구멍을 막는 형태로 코 주변에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부착력을 높여 사용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킨 탈부착형 코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공기오염이 심각한 지하철역 구내나 복잡한 시내, 또는 화재현장과 같은 곳에서 유독성 가스나 공기 중 떠다니는 먼지, 세균 등 유해물질이 호흡기관으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극심해진 황사 피해를 방지하는 등, 사용 범위가 대폭 확대되었다.
이를 위한 종래의 마스크는 입과 코를 가리고 귀에 걸쳐 고정하는 방식의 구조로서, 얼굴 대부분을 덮으면서 시야를 가리게 되고 활동 시 흔들리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동절기에는 안경으로 입김이 올라가게 하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콧속에 필터체가 삽입되는 비강 삽입형의 코마개가 개시되긴 하였으나, 이물질이 콧속에 들어오는 거부감을 주고 코 내벽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마스크나 비강 삽입형 코마개 등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호흡기 중 코만을 가리고 착용 시 거부감을 최소화하면서 착용이 편리한 구조를 갖는 코 마스크가 개시된 바,
이러한 코 마스크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87496호 (2009.02.27.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코 마스크』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코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인체의 코밑에 배치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가 전방에 결합되며 인체의 코 외표면에 밀착 취부되는 유연재질의 파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필터를 지지하는 파지부가 점착성을 가져 콧등에 붙이는 것으로 착용이 대단히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활동에 지장을 전혀 주지 않는 편의성을 지니며 이물질 거부감이 없어 착용감이 양호하고 코 내벽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코 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32661호 (2010.12.20.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부착형 코마스크』는 코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가지며, 밀폐를 위해 적어도 외곽이 안면부에 탈/부착 가능하며, 코구멍과 대향한 부분에 관통구멍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관통구멍에 배치되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차단 기능과 높은 통기성을 갖는 필터부를 포함함으로써, 코 주변의 피부에 마스크를 직접 부착, 마스크의 밀폐율을 높여서 삽입형 코마스크 착용 시의 콧속 이물감을 제거하고, 미세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 차단용 필터의 통기성과 마스크의 밀폐율을 높여서 마스크 착용 시 코로 들이쉬고 내쉴 때의 공기량을 마스크 착용 전 상태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높은 먼지 차단효과와 함께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부착형 코마스크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코 주변에 부착되는 시트의 구조를 하트 형상으로 형성시켜 콧등이나 인중 및 이의 좌우 피부 형상에 맞게 부착시킬 수 있어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부착력을 높인 탈부착형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겹의 필터로 적층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착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환경에 맞게 적절히 필터 수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탈부착형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트를 코 형상에 맞게 입체적 구조로 형성시켜 좀 더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면서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서 부착력을 대폭 향상시킨 탈부착형 코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코 마스크는, 시트; 상기 시트의 후면에 형성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의 중앙 영역에 부착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덮으면서 상기 시트의 접착층에 부착되는 이형지; 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는 코에 부착 시 양 콧등에 부착되는 한 쌍의 호형(弧形) 상부답면부와, 코와 입 사이의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에 부착되는 호형의 하부답면부가 구비되어 하트형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는 코에 상기 시트 부착 시 콧구멍을 막게 되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코 마스크는, 코에 부착하되, 코의 형상 및 굴곡에 맞게 대응하여 부착할 수 있어 부착력을 높일 수 있고, 또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으며, 여러 겹의 필터를 통해 사용자에 맞게 적절한 수량의 필터를 선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코 마스크를 나타낸 입체 구성도,
도 2는 필터 및 이형지를 보여주기 위해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입체 구성도,
도 3은 공기유통홀 및 보호지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4는 필터 단면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5는 필터의 융기부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및 평면 구성도,
도 6은 여러 겹의 필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7은 다른 형태의 시트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8은 도 7에서 필터 등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입체 구성도,
도 9는 도 7에서 일예의 필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10은 도 7에서 다른 예의 필터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 구성도,
도 11은 리프 및 가이드돌기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 구성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마스크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시트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필터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부착형 코 마스크는, 크게 시트(10), 접착층(20), 필터(30) 및 이형지(4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시트(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에 부착 시 양 콧등에 부착되는 한 쌍의 호형(弧形) 상부답면부(11), 그리고 코와 입 사이의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에 부착되는 호형의 하부답면부(12)를 포함하고, 대략 하트형 필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상부답면부(11)는 상방으로 볼록한 호형이고, 상기 하부답면부(12)는 하방으로 볼록한 호형이다.
그리고 상기 시트(10)에는 들숨과 날숨의 호흡 시 공기 유통을 위해 제1 구현예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에서 상기 필터(30)와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다수의 미세홀(13)이 형성된다.
제2 구현예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에서 상기 필터(30) 보다 작은 크기의 타원형 공기유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10)에서 상기 공기유통홀(14) 주변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유통홀(14)을 덮되 사용 시에는 제거하게 되는 보호지(15)가 구비된다.
결국 상기 보호지(15)의 후면 둘레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고, 이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호지(15)를 상기 시트(10)의 전면(前面)에 부착하여 상기 공기유통홀(14)을 보호하며, 본 발명의 코 마스크 사용 시에는 상기 보호지(15)를 벗겨낸 후 사용하게 된다.
이상의 제1 및 제2 구현예의 공기 유통 구조는 일예로서, 상기 필터(30) 측으로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각 상부답면부(11)는 콧등을 감싸도록 콧등의 형상에 맞게 전방으로 볼록한 입체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판형 보다는 입체적 구조를 통해 좀 더 용이하게 사용자의 콧등에 부착할 수 있으면서 상기 시트(10)가 말리거나 포개져 부착면이 골고루 콧등에 부착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였다.
아울러 도 7 내지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하부답면부(12)는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을 감싸도록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의 형상에 맞게 후방으로 볼록한 입체적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판형 보다는 입체적 구조를 통해 좀 더 용이하게 사용자의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에 부착할 수 있으면서 상기 각 상부답면부(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시트(10)가 말리거나 포개져 부착면이 골고루 부착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였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각 상부답면부(11)와 하부답면부(12)가 이루는 입체적 구조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략 S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각 상부답면부(11)와 하부답면부(12) 각각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자형 리프(leaf)(16)가 형성되는데, 이는 부착면을 늘리면서 피부의 굴곡에 맞게 상기 리프(16)가 쉽게 변형되어 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전면(前面)에는 코에 상기 시트(10) 부착 시 상기 필터(30)가 양 콧구멍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30)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감지하도록 한 쌍의 점자형 가이드돌기(17)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17)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때는 확인되지 않으면서 손가락으로 만졌을 때에 비로소 감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30)가 사용자의 코 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양 엄지손가락과 양 검지손가락을 이용해 상기 시트(10)를 잡고 양 중지손가락으로 상기 가이드돌기(17)를 만져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가이드돌기(17)가 양 콧구멍 중앙 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시트(10)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접착층(20)을 이용해 콧등 및 인중 등에 상기 시트(10)를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결국 상기 필터(30)가 사용자의 양 콧구멍 측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접착층(20)은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후면에 도포되어 경화되거나 별도의 접착 필름을 부착하여 형성된 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필터(3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층(20)의 중앙 영역에 부착되어 들숨 시 외기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유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코에 상기 시트(10) 부착 시 콧구멍을 막게 되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필터(30)는 성인의 양 콧구멍을 막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면서 좌우로 긴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30)는 동일 두께를 갖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양 콧구멍을 막게 되는데, 이를 좀 더 보완하고자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30)는 후방으로 볼록한 돔(dome)형의 융기부(31)가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융기부(31)는 비강(鼻腔) 내로 삽입되되 비강 내벽에는 비(非)접촉됨으로써, 즉 돔 형상으로 인해 비강 내로는 삽입되되 비강 내벽과는 접촉되지 않아 비강 내벽과의 마찰로 인한 상처나 거부감이 덜하게 된다.
결국 들숨 시 흡입되는 외기가 혹시라도 제대로 부착하지 못한 시트와 피부 사이 틈으로 들어오더라도 상기 필터(30)와 양 콧구멍 사이로 틈이 없어 상기 필터(30)를 통해 필터링 된 후 호흡기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융기부(31)는 양 콧구멍에 맞게 한 쌍의 융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융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융기된 구조는 양 콧구멍 내로 삽입되지는 않으나 양 콧구멍을 막게 되는 부위가 상기 필터(30)의 둘레보다 큰 두께를 가짐으로서 필터링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필터(30)는 n(단, n은 3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여러 겹으로 적층되되, 2번째 필터(30)부터 n번째 필터(30)까지는 부착면 둘레를 따라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간의 결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한 ‘부착면’이라 함은 2번째 필터(30)부터 이의 전면(前面)을 의미하고, 이러한 부착면에 상기 접착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접착부(32)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경화되거나 별도의 접착 필름이 부착된 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첫 번째 상기 필터(30)에 상기 접착부(32)를 통해 여러 장의 필터(30)를 부착하여 두께를 조절할 수 있고, 이러한 두께를 통해 필터링 성능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코 마스크를 사용하려는 환경에 맞게 적절하게 상기 필터(30) 수량을 선택하여 부착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첫 번째 상기 필터(30), 즉 상기 시트(10)에 이미 부착된 필터(30)를 제외한 나머지 필터(30)들은 여러 겹으로 적층된 상태로 포장지 내의 별도 공간에 수납하여 판매할 수 있고, 파우치나 저장통 등의 보관 용기에 담아 휴대할 수 있다.
이형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30)를 덮으면서 상기 시트(10)의 접착층(20)에 부착되어 상기 접착층(20) 및 상기 필터(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트(10)와 서로 상응한 크기를 갖고 통상의 이형지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시트(10);
    상기 시트(10)의 후면에 형성되는 접착층(20);
    상기 접착층(20)의 중앙 영역에 부착되는 필터(30); 및
    상기 필터(30)를 덮으면서 상기 시트(10)의 접착층(20)에 부착되는 이형지(40);
    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10)는 코에 부착 시 양 콧등에 부착되는 한 쌍의 호형(弧形) 상부답면부(11)와, 코와 입 사이의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에 부착되는 호형의 하부답면부(12)가 구비되어 하트형 필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30)는 코에 상기 시트(10) 부착 시 콧구멍을 막게 되는 타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에서 상기 필터(20)와 대응되는 영역에 걸쳐 공기 유통을 위한 다수의 미세홀(13)이 형성되거나 상기 필터(30)보다 작은 크기의 타원형 공기유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10)에서 상기 공기유통홀(14) 주변 영역에 부착되어 상기 공기유통홀(14)을 덮게 되고 사용 시 제거하게 되는 보호지(1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0)는 후방으로 볼록한 돔(dome)형의 융기부(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융기부(31)가 비강 내로 삽입되되 비강 내벽에 비(非)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30)는 n(단, n은 3이상의 정수임)개가 구비되어 여러 겹으로 적층되되, 2번째 필터(30)부터 n번째 필터(30)까지는 부착면 둘레를 따라 접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 상호 간의 결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각 상부답면부(11)는 콧등을 감싸도록 전방으로 볼록한 입체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10)의 하부답면부(12)는 인중 및 이의 좌우 영역을 감싸도록 후방으로 볼록한 입체적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각 상부답면부(11)와 하부답면부(12) 각각에는 둘레를 따라 다수의 ∩자형 리프(leaf)(1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10)의 전면(前面)에는 코에 상기 시트(10) 부착 시 상기 필터(30)가 양 콧구멍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30)의 위치를 손가락으로 감지하도록 한 쌍의 점자형 가이드돌기(17)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형 코 마스크.
PCT/KR2019/007075 2018-10-24 2019-06-12 탈부착형 코 마스크 WO202008560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423A KR101960752B1 (ko) 2018-10-24 2018-10-24 탈부착형 코 마스크
KR10-2018-0127423 2018-10-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5605A1 true WO2020085605A1 (ko) 2020-04-30

Family

ID=6603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075 WO2020085605A1 (ko) 2018-10-24 2019-06-12 탈부착형 코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0752B1 (ko)
WO (1) WO20200856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239B1 (ko) * 2019-03-24 2020-12-31 박종득 인체용 보건 밴드
KR102064174B1 (ko) * 2019-04-24 2020-01-08 백수정 인체접착 먼지제거 판
KR102286603B1 (ko) 2019-07-09 2021-08-05 정순완 부착형 코마개를 위한 시트 부재
KR102096807B1 (ko) * 2019-10-25 2020-04-03 정택진 코 부착형 공기 여과 장치
KR102353733B1 (ko) * 2020-04-10 2022-01-20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착식 일회용 마스크
KR102553668B1 (ko) * 2020-08-11 2023-07-10 김재진 점자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354471B1 (ko) * 2021-03-19 2022-01-21 이유미 시각장애인용 마스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074A (ja) * 1998-12-01 2000-06-20 Seiji Kouho 両面粘着テ―プによって取り付ける鼻マスク
KR100887496B1 (ko) * 2007-06-20 2009-03-10 장기환 코 마스크
KR20100122247A (ko) * 2009-05-12 2010-11-22 김영수 간이 코 마스크
KR20100132661A (ko) * 2009-06-10 2010-12-20 심종석 부착형 코마스크
CN104606803A (zh) * 2015-02-10 2015-05-13 章迅 即贴型鼻罩
JP2015126821A (ja) * 2013-12-27 2015-07-0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保湿体、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7074A (ja) * 1998-12-01 2000-06-20 Seiji Kouho 両面粘着テ―プによって取り付ける鼻マスク
KR100887496B1 (ko) * 2007-06-20 2009-03-10 장기환 코 마스크
KR20100122247A (ko) * 2009-05-12 2010-11-22 김영수 간이 코 마스크
KR20100132661A (ko) * 2009-06-10 2010-12-20 심종석 부착형 코마스크
JP2015126821A (ja) * 2013-12-27 2015-07-09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保湿体、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CN104606803A (zh) * 2015-02-10 2015-05-13 章迅 即贴型鼻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752B1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85605A1 (ko) 탈부착형 코 마스크
WO2016204455A1 (ko) 마스크
WO2017090930A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18097507A1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WO2016167495A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101791153A (zh) 个人用吸入过滤器
WO2013094806A1 (ko) 마우스 피스를 구비하는 방진/방독용 호흡기
JP2016534764A (ja) 鼻支持拡張部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WO2017155152A1 (ko) 미세먼지제거용 마스크
WO2022045689A1 (ko) 복수의 이어밴드가 구비된 측면 밀착형 마스크
WO2009131404A2 (ko) 마스크
CN211798352U (zh) 一种可以转接3m过滤棉接头的儿童防毒面罩
WO2022019568A1 (ko) 화재대피용 안면마스크
JP3115718U (ja) マスク用ノーズフィットパット
US20220132950A1 (en) Hygienic face mask
KR20210096374A (ko) 미세먼지 차단용 코 마스크
KR20210000416U (ko) 페이스 실드 마스크
WO2020071565A1 (en) Nose mask
KR20210142528A (ko) 호흡 가이드 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시스템
WO2022270665A1 (ko) 마스크 내부 공간의 선택적 블로킹을 통한 에어 믹싱 방지용 마스크 시스템
WO2021256617A1 (ko) 마스크
WO2022260300A1 (ko) 비접촉 보습 마스크
WO2022211164A1 (ko) 마스크용 가드
WO2013154344A1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WO2022139395A1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75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754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