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054913A1 -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054913A1
WO2020054913A1 PCT/KR2018/014617 KR2018014617W WO2020054913A1 WO 2020054913 A1 WO2020054913 A1 WO 2020054913A1 KR 2018014617 W KR2018014617 W KR 2018014617W WO 2020054913 A1 WO2020054913 A1 WO 20200549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ask
breathing chamber
air
mouth
n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46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ublication of WO20200549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0549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that can reduce exhalation of exhalation.
  • Existing fine dust blocking masks are provided with health masks and dust masks using a face filtration method, and filter direct dust masks using a faceted face.
  • the health mask is manag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s item certification
  • the dust mask is manag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item certification.
  • KF80, KF94, and KF99 grade health masks are provided, and major evaluation items include suction resistance, leak rate, and filtration efficiency.
  • the existing facial mask filtration type health mask has a problem of resuctioning exhalation remaining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ace wearing part and the mask face.
  • Patent Document 1 Registration No. 10-1739568, fine dust removal respirator with exhaust valve on nose mask
  • 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No. 20-0389371, fine dust and odor, nose plug for remov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 Patent Document 3 Publication No. 10-2018-0064915, Yellow dust mas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which is configured to divide the mask face into a nasal breathing room and a mouth breathing room to reduce the amount of rebreathing exhalation, and to provide filtered air directly to the nasal breathing room.
  •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configured to stop the breathing function of the mouth breathing room so that even a person with a beard can use the mask and use only the nose breathing room.
  • the mask face 100 is form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 An air filter 60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ask face 100;
  • a partition 30 configured inside the mask face 100 to divide a space into a nose breathing chamber 10 and a mouth breathing chamber 20;
  • Exhaust check valve 1 (1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to guide the exhalation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action of posi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from exhalation;
  • a vent 31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30 and connected to an exhaust port of the air filter 60 to guide air filtered through the air filter 60 directly into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 a communication port 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30 to guide the mouth breathing air to pass through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 an intake check valve 61 provided on the intake portion of the air filter 60 to prevent the exhaled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filter 60 under the action of positive pressure generated from exhalation.
  • a nasal breathing room and a mouth breathing room can be divided into a nasal breathing room and a mouth breathing room to breathe by selecting one or more of a nasal breathing room and a mouth breathing room.
  • people with beards can be used by using only the nasal breathing room.
  • 1 is an example of wearing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ir filter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asal breathing chamber.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ir filter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breathing chamber.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ir valve and the exhaust check valve 2 are configured in the mouth breathing room.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configured in a mask face.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resorption of exhalation that causes frustrating during use of the fine dust mask.
  • the face filtration method health mask and dust mask
  • the mask using the faceted face filter directly connected mask
  • the residual air is increased or decreased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mask and the size of the face, and may be larger when a person with a small face uses a large mask, and an exhalation of about 100 to 150c may remain in an adult.
  • the adult respiratory volume is about 500-600cc, and the child is about 300-400cc, and when a mask is worn, exhalation, which accounts for about 20-30% of the respiratory volume, is resuctioned during the inhalation process.
  •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is about 21% on average, and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s about 0.03%, and air exhaling about 16% oxygen and about 4% carbon dioxide is emitted from exhalation.
  •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outside air is about 20.6% in the Seoul city center, and the subway oxygen concentration in the commute time falls below about 20%.
  • th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intake air is 19%. It decreases to the point where it feels very cold and lack of oxygen.
  • the mask for blocking fine dust should reduce the amount of resorption of exhalation, but it has not been improved in the meantim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face filtration method and the contralateral fa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reduce the exhalation amount of exhalation in the fine dust mask to which the above-mentioned face part filtration method and the contralateral face are applied.
  • FIG. 1 is an example of wearing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 FIG. 2 is a functional explanatory diagram of a mask for blocking fine dust.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the mask 1 for blocking fine dust covers the nose and mouth, guides the flow of respiratory air, and consists of a mask face 100 that serves as an airtight chamber and an air filter 60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ask face 100. , The inside of the mask face 100 is covered with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nd a partition 30 for partitioning each space may be included.
  •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ose shape, the space is reduced at a rate divided by the mouth breathing chamber inside the mask face 100. For this reason, when breathing through the nose, the amount of rebreathing exhalation can be limited to the air remaining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 an exhaust check valve 1 11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so that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 Exhaust check valve 1 (11) is opened by the action of posi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from the user's exhalation, and the exhalatio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external air passes through the air filter 60 by the action of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from inhalation and breathes the nose through the vent 31 connected to the air filter 60 exhaust port.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al (10).
  • an intake check valve 61 for preventing backflow of exhalatio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ir filter 60 inlet provided in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nd the intake vent formed in the mask face.
  • the air filter 6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uth on one side inside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 the air filter 60 is coupled to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air filter 60 exhaust port to the outside of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of the mask face 100, or to the outside of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 the air filter 60 may be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ventilation pipe 22 between the exhaust port and the ventilation port 31.
  • the adult mask face 100 may include an air filter 60 in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but the child mask face 100 is an air filter (because the size of the mask face 100) covering the nose and mouth is small. Since there is insufficient space to accommodate 60) in the mouth breathing room, an air filter 6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mask face 100.
  • a communication port 32 formed in the partition 30 may be provided.
  • the mouth breathing air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32 to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 the partition 3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valve 33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on port 32.
  • the user can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air valve 33 to use only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or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t the same time.
  •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from the inhalation acts on the communication port 32, and the air valve ( 33) can be limited by adjusting the opening amount.
  • the fine dust mask face 100 in the nose suction chamber 10 and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50 so as to be bent; may be configured.
  •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continues to breathe the nose, and the flexible breathing member 50 is used to separate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from the mouth. It can also be used by people with beards, and users can drink or use whistle.
  • an exterior cover coupling portion 70 may be formed outside the fine dust mask face 100.
  •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a coupling jaw, and a cover in the form of an existing fashion mask can be worn on the outside or a cover representing a child character can be combined.
  • FIG. 2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function of the mask for blocking fine dust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ne dust mask.
  • the mask 1 for blocking fine dust includes a mask face 10 form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an air filter 60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ask face, and the mask face ( 1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nasal breathing chamber 20 to divide the space into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nasal breathing chamber 20, from the exhalation to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 Exhaust check valve 1 which guides the exhal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under the action of positive pressure generate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30) a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ort of the air filter (60) and a ventilation pipe to filter air through the nose It includes a ventilation hole (31) for guiding direct flow into the breathing chamber (10) and a communication port (32)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30) to guide the mouth breathing air through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It is provided on the suction part of the air filter 60 to occur in exhalation Further it includes an intake check valve 61 for preventing the action of the positive pressure of expiratory air is flowing back to the air filter (60).
  • FIG.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air valve and the exhaust check valve 2 are configured.
  • the air valve 33 adjusts the opening amount of the communication port 32 from closed to open. Therefore, the air valve 33 can control the air flow between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re separated, and the user breathes using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independently without using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can do.
  •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can be used, so a person with a beard can use the mask for blocking fine dus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haust check valve 2 2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nd serves to guide the exhalation of the mouth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air valve 33 is closed.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at the mouth breathing cha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mouth.
  • the nose breathing chamber 10 and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are formed of a flexible connecting member 50 so that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mouth.
  •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50 may b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connecting member such as bellows.
  •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is rotated to a predetermined angle 'C' or less about the flexible connecting member 50 described above as a central axis to be separated from the mouth. Therefore, a person with a beard can also use a mask, drink a drink while using the mask, or use a whistle.
  • an intake check valve 61 at the intake of the air filter 60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to occur in the nasal breathing chamber from exhal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haled air from flowing back into the air filter 60 under the action of positive pressure, and prevent the filtration dust accumulated in the filter from leaking out of the filter.
  •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nose, and inhales only the exhalation air of the nasal breathing chamber 10 remaining from the exhalation when breathing with the nose together with inhalation to exhale again
  • the mouth breathing chamber 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outh has a feature that can breathe by selecting one or more of the nose and mouth.
  • vent 23 exhaust check valve 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상 시 코로 호흡하는 과정에서 코 호흡실 내부에 잔류하게 되는 날숨의 재흡입량을 줄여서 답답함과 산소부족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면체를 코 호흡실과 입 호흡실로 구획하여 코 호흡실만으로 호흡하거나, 코 호흡실과 입 호흡실을 둘 다 사용하여 호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입 호흡실을 입으로부터 어느정도 들어올려도 코 호흡실의 공기누설이 방지되어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거나, 호루라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날숨 재흡입을 줄일 수 있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석 연료의 대량 소비와 증가하는 교통 환경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인간의 호흡를 통하여 체내로 유입돼 각종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 속에서 옥외활동 중 유일한 대처 방안은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기존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에는 안면부 여과방식을 사용하는 보건용 마스크와 방진마스크, 그리고 반면형 면체를 사용하는 필터 직결식 방진마스크가 제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의 경우 보건용 마스크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인증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방진마스크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품목인증 대상으로 관리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KF80, KF94, KF99등급의 보건용 마스크가 제공되고 있으며, 주요 평가항목에는 흡입저항, 누설율, 여과효율 등이 있다.
한편 기존 안면부 여과방식의 보건용 마스크는 안면 착용부와 마스크 면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잔류되는 날숨을 들숨에서 재흡입하는 문제점이 있다.
날숨 재흡입량이 증가되면 들숨공기의 산소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사용자는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한편, 반면형 면체를 사용한 마스크도 상기와 같은 이유로 날숨 재흡입 때문에 호흡이 답답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마스크 사용 중 호흡공기의 질을 개선(산소 흡입을 늘리고, 이산화탄소 흡입을 줄임)하기 위해서는 날숨 재흡입량을 줄여야 하지만, 기존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등급기준에는 관리항목조차 없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등록번호 제10-1739568호,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특허문헌 2) 등록번호 제20-0389371호, 미세먼지 및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 제거용 코마개
(특허문헌 3) 공개번호 제10-2018-0064915호, 황사마스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날숨 재흡입량을 줄이기 위해 마스크 면체를 코 호흡실과 입 호흡실로 나누고 코 호흡실에 여과공기가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입 호흡실의 호흡기능을 중단하고 코 호흡실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코와 입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 면체(100); 상기 마스크 면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60); 상기 마스크 면체(100) 내부에 구성되어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30); 상기 코 호흡실(10) 일측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상기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체크밸브1(11); 상기 칸막이(3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필터(60)의 배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필터(60)에서 여과되는 공기가 상기 코 호흡실(10)로 직접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통기구(31); 상기 칸막이(30)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 호흡실(10)로 입 호흡 공기가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연통구(32); 및 상기 공기필터(60)의 흡입부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상기 공기필터(6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체크밸브(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는
날숨 재흡입량이 감소되어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다.
또한, 코 호흡실과 입 호흡실로 구획하여 코 호흡실과 입 호흡실 중 어느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호흡할 수 있다.
또한, 코 호흡실만 선택 사용하여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착용예시도이다.
도 2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기능 설명도이다
도 3은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공기필터가 코 호흡실 외부에 결합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은 공기필터가 입 호흡실 외부에 결합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입 호흡실에 공기밸브와 배기체크밸브2가 구성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7는 마스크 면체에 구성되는 플렉시블 연결부재의 기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미세먼지 마스크 사용 중 답답함의 원인이 되는 날숨 재흡입량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날숨 재흡입으로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안면부 여과방식(보건용 마스크와 방진마스크)과 반면형 면체(필터 직결식 마스크)를 이용한 마스크는, 마스크 면체와 사용자 얼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잔류하는 날숨 공기가 들숨에서 외부공기와 함께 흡입 되는 것이다.
상기 잔류공기는 마스크 크기와 얼굴크기에 따라 증감되는 것으로, 대형 마스크를 얼굴이 작은 사람이 사용할 경우 더 커질 수 있으며, 성인의 경우 약 100~150c의 날숨이 잔류할 수 있다.
평상시 성인 호흡량은 약 500~600cc, 어린이는 약300~400cc로서, 마스크 착용 시 상기 호흡량의 약20~30%를 차지하는 날숨을 들숨 과정에서 재흡입하게 된다.
한편, 대기중의 산소농도는 평균 약21%, 이산화탄소농도는 약0.03%이며, 날숨에서 산소농도 약16%, 이산화탄소농도 약4%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들숨에서 상기 외부공기와 상기 마스크 내부에 잔류하는 날숨을 함께 흡입하면 들숨의 산소농도는 약20%로 감소하고, 이산화탄소농도는 약 0.8%로 증가하게 된다.
상기 외부공기의 산소농도는 서울도심의 경우 약20.6%, 출퇴근시간의 지하철 산소농도는 약 20%이하로 떨어지게 되며, 상기와 같은 장소에서 미세먼지 마스크를 사용하면, 흡입공기의 산소농도가 19%까지 감소하여 매우 갑갑함과 산소부족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호흡량이 적고 호흡주기가 빨라, 앞의 성인기준보다 산소흡입량이 더욱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작업현장에서 마스크를 사용할 때 산소농도 19% 이하에서는 질식의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고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는 날숨 재흡입량을 줄여야 하지만, 기존 안면부 여과방식과 반면형 면체의 특징으로 그동안 개선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안면부 여과방식 및 반면형 면체를 적용한 미세먼지 마스크에 있어 날숨 재흡입량을 줄이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착용예시도이고, 도 2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기능설명도이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1)는 코와 입을 복개하며 호흡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며 기밀실 역할을 하는 마스크 면체(100)와 마스크 면체(10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하는 공기필터(60)로 구성되며, 마스크 면체(100) 내부를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로 복개하며 공간을 각각 구획하는 칸막이(3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코 호흡실(10)은 코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마스크 면체(100) 내부에서 입 호흡실과 나눈어진 비율로 공간이 줄어든다. 이로 인해 코로 호흡할 경우 날숨 재흡입량은 대부분 코 호흡실에 잔류하는 공기로 한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코 호흡실(10) 일측에는 코 호흡실(10)과 외부가 연통되게 배기체크밸브1(11)가 구비된다. 배기체크밸브1(11)는 사용자의 날숨에서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열리며 날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코로 호흡할 때는 들숨에서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음압의 작용으로 외부공기가 공기필터(60)를 통과하여 공기필터(60) 배기구와 연결된 통기구(31)를 통해 코 호흡실(10)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입 호흡실(20)에 구비하는 공기필터(60) 흡입구와 마스크 면체에 형성하는 흡기구 사이에는 날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흡기체크밸브(61)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공기필터(60)는 입 호흡실(20) 내부 일측에 입과 간섭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필터(60)는 마스크 면체(100)의 코 호흡실(10) 외측에 코 호흡실(10)과 공기필터(60) 배기구가 연통되도록 결합하거나, 입 호흡실(20)의 외측에 공기필터(60) 배기구와 통기구(31) 사이를 통기관(22)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성인용 마스크 면체(100)는 공기필터(60)를 입 호흡실(20)에 내장할 수 있으나, 어린이용 마스크 면체(100)는 코와 입을 덮는 마스크 면체(100)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공기필터(60)를 입 호흡실에 수용할 공간이 부족하여 마스크 면체(100) 외부에 공기필터(6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칸막이(30)에 형성하는 연통구(32)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으로 호흡할 때는 연통구(32)를 통하여 입 호흡공기가 코 호흡실(10)로 통과한다.
한편, 칸막이(30)에는 연통구(32)를 개폐하는 공기밸브(33)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밸브(33)의 여닫힘을 조작하여 코 호흡실(10)만을 사용하거나, 입 호흡실(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들숨에서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음압이 연통구(32)에 작용하여 입 호흡실(20)과의 음압 균형분량의 입 호흡실 공기가 코 호흡실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공기밸브(33)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 마스크 면체(100)에서 코 흡입실(10)과 입 호흡실(20) 연결부분이 꺽임되도록 플렉시블 연결부재(50);로 구성할 수 있다. 공기밸브(33)를 닫고서 코 호흡실(10)만 사용할 때는 코 호흡실(10)로는 코 호흡을 지속하며, 플렉시블 연결부재(50)를 이용하여 입 호흡실(20)을 입으로부터 이격할 수 있어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거나, 호루라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미세먼지 마스크 면체(100)의 외부에는 익스테리어용 커버 결합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는 돌기형태나 결합턱의 형태로 구비되어 기존 패션마스크 형태의 커버를 외측에 겹착용하거나, 아동용 캐릭터를 나타내는 커버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 2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기능을 나타낸 설명도이고, 도3은 미세먼지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1)는 코와 입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 면체(10) 및 상기 마스크 면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60),상기 마스크 면체(100) 내부에 구성되어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30)와 상기 코 호흡실(10) 일측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상기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체크밸브1(11), 상기 칸막이(3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필터(60)의 배기구와 통기관으로 연결되어 여과공기가 상기 코 호흡실(10)로 직접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통기구(31)와 상기 칸막이(30)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 호흡실(10)로 입 호흡 공기가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연통구(32)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필터(60)의 흡입부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상기 공기필터(6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체크밸브(6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은 공기밸브와 배기체크밸브2가 구성됨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밸브(33)는 연통구(32)의 개도량을 닫힘에서 열림까지 조절한다. 따라서 공기밸브(33)는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 사이의 공기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밸브(33)가 닫히면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이 분리되며, 사용자가 입 호흡실(20)을 사용하지 않고 코 호흡실(10)만 독립적으로 사용하여 호흡할 수 있다.
또한, 코 호흡실(10)만 사용할 수 있어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체크밸브2(23)는 입 호흡실(20) 타측에 형성되어 공기밸브(33) 닫힘시 입의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가진다.
도 7은 입 호흡실이 입으로부터 이격됨을 보인 예시도이다.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 연결부에는 플렉시블 연결부재(50)로 구성되어 입 호흡실(20)이 입으로부터 이격이 가능해진다. 일 실시예로 플렉시블 연결부재(50)는 자바라와 같이 주름진 연결부재의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 호흡실(20)은 상술한 플렉시블 연결부재(50)를 중심축으로 일정 각도 'C'이하로 회전되어 입으로부터 이격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턱수염이 있는 사람도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사용 중에 음료를 마시거나, 호루라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4, 도5, 도6은 공기필터(60)의 흡입부에 흡기체크밸브(61)가 구비됨을 보인 예시도이다.
마스크 면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코 호흡실(10)과 직접 통기되도록 연결되는 공기필터(60)의 흡입부에 흡기체크밸브(61)를 구비하여 날숨에서 코 호흡실에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공기가 공기필터(6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고, 필터에 쌓이는 여과분진이 필터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상세 구성에서, 코 호흡실(10)은 코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코로 호흡시 날숨에서 잔류되는 코 호흡실(10)의 날숨 공기만을 들숨과 함께 흡입하여 날숨 재흡입량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입 호흡실(20)은 입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코와 입 어느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호흡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 코 호흡실 11: 배기체크밸브1
20: 입 호흡실
22: 통기관 23: 배기체크밸브2
30: 칸막이 31: 통기구
32: 연통구 33: 공기밸브
50: 플렉시블 연결부재
60: 공기필터 61: 흡기체크밸브
70: 결합부

Claims (5)

  1. 코와 입을 덮도록 형성되는 마스크 면체(100);
    상기 마스크 면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공기필터(60);
    상기 마스크 면체(100) 내부에 구성되어 코 호흡실(10)과 입 호흡실(20)로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30);
    상기 코 호흡실(10) 일측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상기 코 호흡실(10)에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체크밸브1(11);
    상기 칸막이(3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필터(60)의 배기구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필터(60)에서 여과되는 공기가 상기 코 호흡실(10)로 직접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통기구(31);
    상기 칸막이(30)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 호흡실(10)로 입 호흡 공기가 통과되도록 안내하는 연통구(32); 및
    상기 공기필터(60)의 흡입부에 구비되어 날숨에서 발생하는 양압의 작용으로 날숨 공기가 상기 공기필터(6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기체크밸브(6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구(32)의 개도량을 닫힘에서 열림까지 조절하는 공기밸브(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면체(100)에서 상기 코 호흡실(10)과 상기 입 호흡실(20)의 연결부분은 플렉시블 연결부재(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 호흡실(2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밸브(33) 닫힘시 입의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기체크밸브2(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면체(100)의 외부에 익스테리어용 커버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결합부(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PCT/KR2018/014617 2018-09-13 2018-11-26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WO20200549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566A KR102083314B1 (ko) 2018-09-13 2018-09-13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KR10-2018-0109566 2018-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4913A1 true WO2020054913A1 (ko) 2020-03-19

Family

ID=6977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4617 WO2020054913A1 (ko) 2018-09-13 2018-11-26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3314B1 (ko)
WO (1) WO20200549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5907A1 (it) 2020-07-01 2020-10-01 Giuliano Mazzocco Separatore d’aria per mascherine
FR3111822A1 (fr) * 2020-06-24 2021-12-31 Edouard IVARI Diffuseur nasal
WO2022020919A1 (pt) * 2020-07-29 2022-02-03 Araujo Weslley Fernades De Máscara de proteção semifacial particionad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769A (ko) 2020-03-20 2021-09-29 이원석 내부 펜스 형성 구조의 다용도 마스크
KR20220045664A (ko) 2020-10-06 2022-04-13 허택주 기능성 마스크
KR102353708B1 (ko) * 2021-02-02 2022-01-21 김영대 호흡기 바이러스 차단을 위한 포터블 방호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563A1 (en) * 2003-05-12 2004-11-18 Zhaoxia Xu Face Mask with Double Breathing Chambers
JP2008113922A (ja) * 2006-11-07 2008-05-22 Fumio Kasai 鼻吸気口呼気専用マスク
US20080245364A1 (en) * 2007-04-03 2008-10-09 Keith Patterson Filtering respirator with nasal and oral separation
US7909035B2 (en) * 2005-07-11 2011-03-22 Airway Technologies, Llc Multi-chamber mask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110315143A1 (en) * 2009-04-03 2011-12-29 Resmed Limited Mask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71Y1 (ko) 2005-04-07 2005-07-14 윤치영 미세먼지(PM10) 및 악취,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거용코마개(코마스크)
KR101643682B1 (ko) * 2014-11-25 2016-07-29 (주)씨앤투스성진 휴대용 마스크
KR101739568B1 (ko) 2015-05-15 2017-05-25 안상현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KR20180064915A (ko) 2016-12-06 2018-06-15 조길남 황사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6563A1 (en) * 2003-05-12 2004-11-18 Zhaoxia Xu Face Mask with Double Breathing Chambers
US7909035B2 (en) * 2005-07-11 2011-03-22 Airway Technologies, Llc Multi-chamber mask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8113922A (ja) * 2006-11-07 2008-05-22 Fumio Kasai 鼻吸気口呼気専用マスク
US20080245364A1 (en) * 2007-04-03 2008-10-09 Keith Patterson Filtering respirator with nasal and oral separation
US20110315143A1 (en) * 2009-04-03 2011-12-29 Resmed Limited Mask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1822A1 (fr) * 2020-06-24 2021-12-31 Edouard IVARI Diffuseur nasal
IT202000015907A1 (it) 2020-07-01 2020-10-01 Giuliano Mazzocco Separatore d’aria per mascherine
WO2022020919A1 (pt) * 2020-07-29 2022-02-03 Araujo Weslley Fernades De Máscara de proteção semifacial particiona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314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54913A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WO2016167495A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KR102129298B1 (ko) 기능성 미세먼지 마스크
SE462367B (sv) Andningsventil avsedd att anvaendas som talventil
KR200480161Y1 (ko) 복식호흡 구조를 갖는 패션형 마스크
CN202859944U (zh) 双通道疾病防控面罩
WO2023277353A1 (ko) 공기호흡기 마스크용 통기 장치
CN1933875A (zh) 呼吸器
TW201904630A (zh) 淨氣式呼吸防護具的隔板裝置
WO2018097469A2 (ko) 고농도 산소 투여를 구현하기 위한 얼굴 산소 마스크
WO2016153135A1 (ko) 휴대용 반려동물 인공호흡장치
CN111437530B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的呼吸阀体结构
WO2018016852A1 (ko) 기능성 마스크
CN205512483U (zh) 口罩
CN212997872U (zh) 一种呼、吸分离式人工鼻面罩
CN206252750U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CN111437531B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
WO2019050091A1 (ko)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00028646A (ko) 비강 마스크
CN214340293U (zh) 口鼻呼吸分离过滤口罩
CN212369436U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的呼吸阀体结构
CN212383097U (zh) 一种呼入呼出分滤式口罩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CN103519431A (zh) 呼吸通畅型口罩
WO2021080063A1 (ko) 호흡기 보호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334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334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