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9200B1 -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9200B1
KR101479200B1 KR20140021761A KR20140021761A KR101479200B1 KR 101479200 B1 KR101479200 B1 KR 101479200B1 KR 20140021761 A KR20140021761 A KR 20140021761A KR 20140021761 A KR20140021761 A KR 20140021761A KR 101479200 B1 KR101479200 B1 KR 10147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bacteria
nasal mask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남준
Original Assignee
박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준 filed Critical 박남준
Priority to KR2014002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9200B1/ko
Priority to CN201480076303.XA priority patent/CN106029178B/zh
Priority to PCT/KR2014/004201 priority patent/WO201512995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6Nos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콧속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코마스크 내부의 부착판면에 부착시켜, 체내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침투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효율적으로 코마스크에 부착시켜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Nose Mask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Virus, Fine Dust and Bacteria}
본 발명은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의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콧속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흡입되는 공기 속에 포함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코마스크 내부의 부착판면에 부착시켜, 체내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침투 방지용 코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1918년 스페인 독감이 발생한 이후,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은 10년에서 40년 주기로 대유행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신종플루나 조류독감과 같은 바이러스성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되는 바이러스성 질환들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 등지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우리나라까지 침범하여, 이에 의한 폐암을 포함하는 호흡기질환의 발병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또는 미세먼지는 코, 구강, 피부접촉 등을 통하여 인체 내에 침입되며, 이 가운데 코를 통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바이러스는 숙주세포 내에서 유전자 재조합이 잘 일어나서 변종이 생기기 쉽고 또 동시에 두 개 이상의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침입하면 RNA 조작들이 서로 교차하여 대량 변이가 발생하여 백신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호흡기 감염성 바이러스질환을 예방하는 방법으로는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에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종래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포함하는 외부공기가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막는 방법으로는 섬유재질의 입과 코 주위를 덮는 마스크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날숨에 포함된 수증기와 외부공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수분 발생, 착용 주변의 열 발생으로 인한 땀의 발생, 행동의 불편, 미관상 거부감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비강에 장착하는 마스크가 개발된 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원통형 본체 내부에 공기를 필터링하는 충진재를 가지고, 이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나 바이러스의 통과를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통기성이 낮아, 착용시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 구멍을 늘리면 바이러스 방지 효과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5617,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32725).
이에, 본 발명자들은 코 속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킬 수 있는 기공 구조를 형성하고,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판을 구비한 코마스크를 개발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코마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과 개구부를 가지고 바닥면의 측면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을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 및 (c) 상기 1쌍의 하우징 또는 외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를 착용하면, 코로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가속시켜,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을 효율적으로 코마스크에 부착시켜 체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다른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마스크의 먼지 흡착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방지용 코마스크의 구성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a)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7)과 개구부(9)를 가지고 바닥면의 측면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4)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2);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9)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5)을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3); 및 (c) 상기 1쌍의 하우징(2) 또는 1쌍의 외부마개(3)를 연결하는 연결고리(6)를 포함하는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1)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코마스크(1)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하우징은 원통형 또는 비강의 모양에 따른 비강맞춤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콧구멍에 삽입되어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면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외부마개 기공(5)으로 외부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속도를 가속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하부바닥면에 빠르게 부딪혀 하부바닥면에 부착되도록하여,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비강을 통하여 폐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외부마개의 기공을 통과하는 속도가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 상에서 3.3m/s~15m/s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바람직하게는 4~8m/s의 속도로 하부바닥면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닥면(7)은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과 부착될 수 있는 부착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착제로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에 대하여, 부착능을 나타내면서, 인체에 무해하다고 판명된 부착제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부착제는 폴리부텐계, 폴리아크릴계, 고무계, 실리콘계 및 폴리비닐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는 폴리부텐계 부착제인 PB2400(대림산업, 한국)을 사용하여 코마스크를 제작하였다.
상기 하부 바닥면에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물질이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물질로는 항바이러스능 또는 항균능이 알려지고, 인체에 사용가능하도록 허가된 의약조성물, 식물추출물, 은나노물질, 산화티타늄 등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외부공기와 직접 닿는 상기 외부마개(3)는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9)와 결착되는 구조로 되어있으며, 착탈이 용이하지 않아도 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하우징의 하부바닥면의 테두리가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바닥면의 이면이 하우징의 내부방향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콧물받이(8)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콧물받이는 비강에서 흐르는 콧물에 의하여, 하부바닥 측면에 형성되는 기공(4)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코마스크 내부 특히 하부바닥면에 콧물이 닿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외부마개(3)는 평판구조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추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마개에 위치하는 기공(5)은 원심에 위치하는 기공을 중심으로 1~4 열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에 통기성을 가지는 필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섬유재질이나 의료용 실리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필터에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성 물질이 추가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코마스크 내부로 통과하는 공기의 속도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충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의 재질은 비강에 삽입되어 측면이 기밀하게 유지될 수 있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의료용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마스크는 휴대가 간편하며, 1회용으로 제작하여,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으며, 일정정도 오염되었을때 새로운 코마스크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의 먼지 흡착 실험
본 발명의 코마스크를 사용하여, 코마스크의 먼지흡착능을 확인하였다. 하부바닥면에 부착제로 폴리부텐의 일종인 PB-2400(대림 산업, 한국)이 도포된 코마스크의 하부 하우징을 실링테이프를 이용하여, 깔대기의 입구와 기밀상태로 결합시켰다. 60mL 용량 주사기에 곡물분진(시판 콩분말) 12mL을 충진하고, 코마스크로부터 5cm의 거리에서 3회 분사한 후, 외부마개를 분리시켜 하우징 안쪽 하부 바닥면에 곡물분진의 부착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의 3번째 사진과 같이 곡물 분진이 부착재가 도포된 바닥면에 잘 부착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깔대기를 치운 자리를 확인하여, 곡물분진이 코마스크 하부바닥을 통과하지 못하여, 작업대 표면에 도달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3의 4번째 사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에 따른 비강에 삽입되는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방지용 코마스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전술한 실시에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1...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2... 하우징
3... 외부 마개 4... 하부 기공
5... 외부마개 기공 6... 연결고리
7... 하부 바닥 8... 콧물받이
9... 하우징 개구부

Claims (9)

  1. (a)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이 부착되는 하부 바닥면과 개구부를 가지고 바닥면의 측면에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흡입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하부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1쌍의 하우징; 및
    (b)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와 결착되고 외부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공기와 체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기공을 가지는 1쌍의 외부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마개의 기공은 기공을 통과하는 흡입공기의 속도가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 상에서 가속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바닥면은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과 부착하는 부착제로 코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c) 상기 1쌍의 하우징 또는 1쌍의 외부마개를 연결하는 연결고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제는 폴리부텐계, 폴리아크릴계 및 폴리비닐계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하부바닥면의 테두리가 외부로 돌출된 콧물받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바닥면에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균 물질이 추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외부마개는 평판구조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원추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과 외부마개의 사이의 중공에 통기성을 가지는 필터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스크.
KR20140021761A 2014-02-25 2014-02-25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KR10147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761A KR101479200B1 (ko) 2014-02-25 2014-02-25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CN201480076303.XA CN106029178B (zh) 2014-02-25 2014-05-12 防止吸入空气中有害物质的鼻罩
PCT/KR2014/004201 WO2015129957A1 (ko) 2014-02-25 2014-05-12 공기중 유해물질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21761A KR101479200B1 (ko) 2014-02-25 2014-02-25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200B1 true KR101479200B1 (ko) 2015-01-05

Family

ID=5258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21761A KR101479200B1 (ko) 2014-02-25 2014-02-25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9200B1 (ko)
CN (1) CN106029178B (ko)
WO (1) WO2015129957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050A1 (ko) * 2015-07-01 2017-01-05 이효광 비강 삽입형 마스크
KR101969677B1 (ko) * 2018-07-23 2019-04-17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20190101686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메디쿼터스 미세먼지 차단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겔 조성물
KR20200010778A (ko)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3061A (ko) 2019-06-14 2020-12-23 김승현 연결부를 제거한 비강 내 삽입 마스크
KR20220110910A (ko) 2021-02-01 2022-08-09 평성인 코 분리형 마스크
KR20230045250A (ko) 2021-09-28 2023-04-04 이종수 퀀텀 숨관 코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38226A4 (en) * 2016-11-14 2020-08-26 Nanoclean Global Pvt Ltd NANOFIBER-BASED NASAL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D932015S1 (en) 2018-05-08 2021-09-28 Resprana, Inc. Nasal filt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10057565A (ko) * 2009-11-24 2011-06-01 김주웅 코삽입 방진마스크
KR2013007237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먼지공해 방지용 코마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18963Y (zh) * 2009-04-22 2010-03-10 李卫昌 隐形鼻腔内空气、灰尘过滤器
CN102284149B (zh) * 2010-06-18 2013-03-20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工程兵科研三所 呼吸追随型电动送风式呼吸面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702A (ja) * 1997-11-05 1999-05-25 Kao Corp 鼻用マスク
KR200440840Y1 (ko) * 2007-02-15 2008-07-07 이효광 삽입형 코 마스크
KR20110057565A (ko) * 2009-11-24 2011-06-01 김주웅 코삽입 방진마스크
KR20130072374A (ko) *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진생사이언스 먼지공해 방지용 코마개 마스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3050A1 (ko) * 2015-07-01 2017-01-05 이효광 비강 삽입형 마스크
US10709912B2 (en) 2015-07-01 2020-07-14 AirLab CO., Ltd. Nasal cavity insertion type mask
KR20190101686A (ko) 2018-02-23 2019-09-02 주식회사 메디쿼터스 미세먼지 차단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및 겔 조성물
KR101969677B1 (ko) * 2018-07-23 2019-04-17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WO2020022632A1 (ko) * 2018-07-23 2020-01-30 정진구 비강확장기를 갖는 코마스크
KR20200010778A (ko)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43061A (ko) 2019-06-14 2020-12-23 김승현 연결부를 제거한 비강 내 삽입 마스크
KR20220110910A (ko) 2021-02-01 2022-08-09 평성인 코 분리형 마스크
KR20230045250A (ko) 2021-09-28 2023-04-04 이종수 퀀텀 숨관 코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178B (zh) 2019-08-06
CN106029178A (zh) 2016-10-12
WO2015129957A1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200B1 (ko) 바이러스, 미세먼지 및 세균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JP3203864U (ja) ポリ袋が備えられた使い捨てマスク
KR102090117B1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US20110108035A1 (en) Nex-Gen Respirator / Surgical Mask
KR101434255B1 (ko) 착용감이 향상된 코 마스크
US20050194010A1 (en) Disposable contagion transmission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a disposable contagion transmission prevention device
WO2016042623A1 (ja) マスク、マスク用フィルターバッグ及び通気フィルタリング方法
US20220126126A1 (en) Jet Air Curtain For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CN207544375U (zh) 一种医疗护理用防护口罩
CN106263145B (zh) 口罩结构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00122247A (ko) 간이 코 마스크
KR20170061326A (ko) 비강에 삽입되는 캡슐형 공기여과장치
JP3236189U (ja) マスクアセンブリ
ES2961942T3 (es) Mascarilla facial filtrante reutilizable bidireccional
CN204864603U (zh) 一种隐形口罩
CN204444344U (zh) 新型医疗面罩
CN210988377U (zh) 一种呼吸系统传染病防护服
CN105310141B (zh) 防pm两点五高透气性口罩、面罩或面具
CN206103142U (zh) 鼻腔内置式花粉过滤器
KR20160079412A (ko) 공기중 불순물 흡입 방지용 코마스크
JP2010220712A (ja) ウィルス遮断用マスク
CN212117186U (zh) 一种具有杀毒灭菌贴片的口罩
CN210674516U (zh) 一种呼吸内科的无菌过滤装置
WO2019057178A1 (zh) 鼻腔呼吸用空气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