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4210A1 -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4210A1
WO2015034210A1 PCT/KR2014/008057 KR2014008057W WO2015034210A1 WO 2015034210 A1 WO2015034210 A1 WO 2015034210A1 KR 2014008057 W KR2014008057 W KR 2014008057W WO 2015034210 A1 WO2015034210 A1 WO 20150342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association
partner
quick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05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Publication of WO20150342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42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dia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user's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to facilitate searching for an optimal counterpart.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to enable a user to more easily search for an optimal counterpart in a desired location and time zone.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to minimize an error in a process of touching a keypad.
  • the call pattern data of the user is calculated using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and based on the calculated call pattern data, the user may select a position and time zone.
  • App server unit that provides a quick dial application that displays the best call partner when attempting to call;
  •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user with a contact icon for an optimal call partner created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part;
  • a called party terminal unit for receiving a call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a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user downloading a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application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Calculating call pattern data with respect to a counterpart in which the user calls through a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application;
  • the first screen is generated by creating the contact icon of the best call partner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on the image; The user selects a contact icon of a call partner whom he / she wants to call from among the contact icons display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realizing a call.
  • the process of touching the keypad to solve the cumbersome problem of searching the address book to find a contact by displaying the optimum call partner on the first screen according to the location, time zone to try to call according to the smartphone user's call pattern Error in can also be minimiz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A and 2B show examples of the first execution screen of the quick dia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quick dial method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quick dial system includes an app server 100,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02-1, 102-2, 102-3, 102-n, and a called party terminal 104-1, 104. -2, 104-3, 104-n).
  • the app server 100 allows a user, that is, a user who owns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to play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mes, maps, information, movies, and news. It can be downloaded and used anywhere, anytime, anywhere.
  • the user downloads the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pp server 100 to hi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provided through the app server 100 may be executed through an app store provided by Apple, Google, SK Planet, Daum, and NAVER. have.
  •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are user's call means capable of downloading and driving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 phone, tablet PC (or smart pad).
  • the called terminal 104-1, 104-2, 104-3, 104-n may be a landline phone or a feature phone or a smart phone used in a general home or office.
  •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call patterns of users who ow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In this case, it displays the best call counterpart for each call attempt situation.
  • Such a call pattern becomes higher in accuracy of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user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102-1, 102-2, 102-3, 102-n uses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 the "location association" is displayed to the extent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hen, the area is set for each distance and the value is set based on GPS.
  • the intimacy is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talk time, and a value is set based on the minute unit.
  • the intimacy is displayed when the user is in the telephone book or the bookmark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 the values corresponding to 1, 2, 3, 4, 5, and 6 are f (1), f (2), f (3), f (4), f (5) and f (6), respectively.
  • the respective values are multiplied by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to assign values to each counterpart to display the user having the highest value on the first screen.
  •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may be, for example, numbers from 1 to 99.
  • the unique call pattern data F (A) of any call partner A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 (1) below.
  • the call pattern data of the call counterparts who have talked to the user are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order of the contacts having the highest value.
  • the user and the call partner who has recently failed to connect the phone are displayed first. This is because, if the call fail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trying the call later.
  • the priority of call is displayed in order of the call partner who has long talk time with the user.
  • the user can make a call reservation on the date and time specified by the user to display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igh call partner, thereby increasing the intimacy and trust with the call partner.
  • 2A and 2B show examples of the first screen when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 a contact icon of a dial type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 the contact icon indicat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ptimal call partner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ntact icons of the call partner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user's setting.
  • a bar contact ic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 the contact icon indicat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ptimal call partner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ntact icons of the call partner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user's setting.
  • the contact icon of the call partner may also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in addition to the circular or bar shapes illustrated in FIG. 2A or 2B.
  • the name and phone number of the call partner are displayed on the contact icon in FIGS. 2A and 2B,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picture or a character of the call partner for clearer identification.
  • the call partner calculated based on the call pattern of the user is displayed, so that the display unit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required to search for a separate contact.
  • clicking the phone number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you can conveniently implement a call.
  • step 200 a user downloads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o hi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step S202 when the user calls any counterpart through the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application, the call pattern data is calcul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based on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More specifically, the call pattern data of the user is calculated by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where the user calls, a call start time, a call time, a call state, whether a phone book is registered and whether a bookmark is registered, and whether or not a calendar.
  • step S204 when the user wants to call any call partner through the call pattern based quick dial application, the contact icon of the best call partner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isplayed.
  • the contact icon allows one or more to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call partner who attempted the most call at the location and time when the user tries to call. However, it displays the call partner who has attempted the call most recently but failed to connect the call regardless of location and time. This is because, if the call fail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retrying the call later. And, more preferably, among the call counterparts who fail to connect the phone, the priority of the call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call counterparts who had long talk time with the user.
  • the contact icon of the call partner that the user has reserved the call on the date and time designated by the user is also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long with the optimal call partner contact icon.
  • the call partner who attempted the most recent call but failed to connect the call and the call partner who reserved the call may have a separate display function. For example, blinking or changing colors may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user and the contact icon of the call partner who has recently failed a call and the call partner who has reserved a call.
  • step S206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al call partner created in step S204 is displayed on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step S208 the user selects the contact icon of his / her desired call partner to immediately realize the call. Then, the information of the call partner who realized the call is used again to calculate the call pattern data.
  • the contact is displayed by displaying an optimal call partner on the first screen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calculated by analyzing the call pattern of the user.
  • the contact icon of the person who is scheduled to call the user on the date and time specified by the calendar function is also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along with the contact person's contact icon, so that the intimacy and trust with the call partner can be further increased. Will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위치, 시간대에 따라 다수의 통화상대방에 대한 통화패턴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통화가 예정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할 뿐 아니라 통화를 실현함에 있어서도 기존의 피쳐폰에 비해 높은 사용량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실현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상대방의 번호를 자신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직접 하나하나 누르는 방식보다는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통화상대방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그러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의 데이터량이 방대해짐에 따라 통화상대방을 찾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화하고자 하는 최적의 상대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하고자 하는 최적의 상대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통화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자를 표시해주는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서버부; 상기 앱 서버부로부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착신자 단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하는 상대방에 대하여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하여 첫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연락처 아이콘중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패턴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시간대에 따라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통화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유도하여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에 대한 개념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의 첫 실행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이하,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퀵다이얼 시스템은, 앱 서버(100),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 및 착신자 단말기(104-1, 104-2, 104-3, 104-n)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앱 서버(100)는 사용자, 즉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를 소유한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지도, 정보, 영화, 뉴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앱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한다. 이때, 상기 앱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은 애플, 구글, SK플래닛, 다음(DAUM), 네이버(NAVER)에서 제공하는 앱 스토어(Apps store)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의 통화수단으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혹은 스마트 패드)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신자 단말기(104-1, 104-2, 104-3, 104-n)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유선전화이거나 피쳐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를 소유한 사용자들의 통화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할 경우, 통화를 시도하는 상황별로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디스플레이해준다.
즉,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게 되면, 전화를 하고 있는 위치, 통화를 시도한 시각, 통화가 이루어진 시간(상대방과 대화한 시간), 통화상태등에 대한 정보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에 패턴화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통화패턴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통화패턴의 정확도가 보다 높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패턴 데이터가 산출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크게,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한다.
먼저,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에 대해서는,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에 대해서는,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한다. 이때, 통화 성공에 비하여 통화 실패시 추후 통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보다 높으므로 실패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 캘린더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통화 예정 시간이나 통화 예정 지역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상기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하여 각각의 상대방에게 값을 부여하여 제일 높은 값을 가지는 사용자를 첫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는 예컨대, 1에서 99까지의 숫자일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통화상대자 A의 고유 통화패턴 데이터 F(A)는 하기 식 (1)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A) =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 식 (1)
상기 식 (1)에 의해 사용자와 통화한 통화상대자들의 통화패턴 데이터가 산출되고, 그 중에서 높은 값을 가지는 연락처 순서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해당 위치와 시간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를 실시한 통화상대자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와 최근에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를 최우선으로 표시해준다. 왜냐하면, 통화에 실패했을 경우에 추후 통화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 중에서도 사용자와 통화시간이 길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통화우선순위를 높여서 표시해준다.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높은 통화상대방의 연락처를 표시해 줌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의 첫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다이얼 형태의 연락처 아이콘이 첫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의 위치, 시간등의 현재 상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갯수는 사용자의 설정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바(bar) 형태의 연락처 아이콘이 첫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의 위치, 시간등의 현재 상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갯수는 사용자의 설정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형태 또한 상기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원형이나 바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는 연락처 아이콘에 통화상대자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으나, 보다 분명한 식별을 위하여 통화상대자의 사진 또는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연락처 아이콘에 해당되는 통화상대방과의 기존 통화내역에 대한 정보, 즉 통화횟수, 통화시간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기반으로 산출된 통화상대자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연락처를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 아이콘을 클릭하여 편리하게 통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도 1, 도 2a, 2b와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00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
제S20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게 되면, 이러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기반으로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화하는 위치, 통화시작시간, 통화시간, 통화상태,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및 캘린더 여부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한다.
제S20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및 시간에 가장 많은 통화를 시도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하나 이상 다수개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통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를 위치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표시해준다. 왜냐하면, 통화에 실패했을 경우에 추후 통화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 중에서도 기존에 사용자와 통화시간이 길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통화우선순위를 높여서 표시해준다.
그리고,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 또한 최적의 통화상대자 연락처 아이콘과 함께 첫 화면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및 시간에 해당되는 최적의 통화상대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통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와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은 별도의 표시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깜빡임 또는 색깔을 달리하는 방법등으로 사용자와 최근에 통화실패한 통화상대자와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제S20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S204단계에서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이 표시된다.
제S208단계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즉시 통화를 실현한다. 그리고, 이처럼 통화를 실현한 통화상대자의 정보는 또다시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임의의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분석하여 산출한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전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연락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통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수많은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번호가 아닌 다른 번호가 터치하여 원치않는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이 보다 크게 표시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키패드를 잘못 터치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된 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 또한 최적의 통화상대자 연락처 아이콘과 함께 첫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통화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자를 표시해주는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서버부;
    상기 앱 서버부로부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착신자 단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화상대자는 연락처 아이콘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패턴 데이터는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하여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로서,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은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은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하며, 상기 " 캘린더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임의의 통화상대자 A에 대한 통화패턴 데이터 F(A)=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6.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하는 상대방에 대하여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하여 첫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연락처 아이콘중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패턴 데이터는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하여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로서,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은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은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하며, 상기 " 캘린더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임의의 통화상대자 A에 대한 통화패턴 데이터 F(A)=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에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한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한 통화상대자, 최근에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통화상대자 및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한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한 통화상대자, 최근에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통화상대자 및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한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한 통화상대자, 최근에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통화상대자 및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은 서로 구별되도록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한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한 통화상대자, 최근에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통화상대자 및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은 하나 이상 복수개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PCT/KR2014/008057 2013-09-03 2014-08-29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WO201503421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34 2013-09-03
KR1020130105234A KR101546416B1 (ko) 2013-09-03 2013-09-03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4210A1 true WO2015034210A1 (ko) 2015-03-12

Family

ID=526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057 WO2015034210A1 (ko) 2013-09-03 2014-08-29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6416B1 (ko)
WO (1) WO2015034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21B1 (ko) * 2017-06-20 2019-04-22 주식회사 우리은행 관계 검증을 통한 동작 수행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799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KR2011000470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1799A (ko) * 2003-10-31 200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KR20110004708A (ko)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Phone Phone Apps - Quick dial(Quick Dial", 21 December 2012 (2012-12-21), pages 1 - 2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ackbarix.tistory.com/1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22A (ko) 2015-03-11
KR101546416B1 (ko) 2015-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4184B2 (ja) プライバシィフラグと組み合わされた個人データの通信
US8862553B2 (en) Telephone stations with independent backup/restore feature
US20090298553A1 (en) Charging station for mobile devices that allows access to device services
KR200901265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최근 통화 목록을 이용한 단축다이얼 기능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8009264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호에 따른 영상 표시 방법
CN102736857A (zh) 移动终端中触发操作的方法和移动终端
KR20030081834A (ko)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WO2015034210A1 (ko)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
WO2010085088A2 (ko) 개인 맞춤형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는 단말기
WO2018084566A2 (ko) 보이는ars에서 웹/앱의 세션 연결과 전화채널을 동기화시켜주는 착신 연결 방법
CN103905593B (zh) 基于社交网络软件的电话拨打系统及方法
JP4800110B2 (ja) 電話発信システム
JP2002354109A (ja) 通信端末装置
CN101584194A (zh) 利用可与多个网络操作的电话装置进行电话呼叫的方法
JP5401593B1 (ja) プレディクティブダイヤラーにより携帯電話に発呼する際の固定電話通信事業者の自動選択
WO2013191472A1 (ko) 메신저 친구추천 방법
JP5265800B1 (ja) 携帯電話利用者が番号ポータビリティを利用してキャリア変更したことを検知するコンピューティング
KR201100700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지역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3945053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JP201608626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101195741B1 (ko) 명칭을 이용한 전화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0300378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방법
JP4684145B2 (ja) 携帯電話機及び電話通信制御システム
KR20090038666A (ko) 제스처 인식을 통한 통화 발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WO2014084588A1 (ko) 휴먼 팩터의 빠른 일정 등록을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2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425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