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20335A1 -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 Google Patents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20335A1
WO2015020335A1 PCT/KR2014/006778 KR2014006778W WO2015020335A1 WO 2015020335 A1 WO2015020335 A1 WO 2015020335A1 KR 2014006778 W KR2014006778 W KR 2014006778W WO 2015020335 A1 WO2015020335 A1 WO 20150203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adhesive composition
carbon atoms
polarizing plate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67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한영
김용연
정유리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1849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17649A/ko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44445.8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452407A/zh
Publication of WO20150203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2033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4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anhydride, COOH or COOM groups, with M being metal or onium-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02B5/30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including organic materials, e.g. polymeric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1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with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retardation valu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for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often include a patterned retardation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configures the optical axis of each pattern region in different directions to implement a stereoscopic image by different images transmitted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viewer wearing polarized glasses.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can typically be formed by forming an alignment film on a glass substrate and coating and aligning the liquid crystal on the alignment film.
  • the photoreactive liquid crystal material is oriented on the alignment film and then crosslinked by light irradiation such as ultraviolet light to form a polymer liquid crystal film.
  • the retarder pattern functions according to the alignment direction of the liquid crystal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alignment of the alignment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film is usually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hrough an adhesive o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in recent years also bonded to one side of the polyvinyl alcohol polarizer for thinner film weight.
  • the conventional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y shrink in the stretching direction. Accordingly, the phase difference may be different for each position of the phase difference layer, thereby reducing the 3D stereoscopic feeling.
  • 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8881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film patterned retarder, and a film patterned retarder, and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28881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remarkab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en used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by bonding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can remarkably improve durability, such as heat resistance, moist heat resistance, and hot water resistance of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comprising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 the acrylic monomer is at least one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and formula 2
  • the adhesive composition :
  •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X is oxygen, -NH- or -COO-
  • R 2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which may b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hydroxy group, a carboxyl group or a phenylisopropyl group;
  •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X is oxygen or -NH-
  • R 4 is an alkylene group of 1 to 5 carbon atoms which can be interrupted by -CO- or -COO-,
  • R 5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 R 8 is hydrogen or methyl
  • X is oxygen or —NH—
  • R 9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interrupted by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Can be used
  •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further comprises a monomer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formula 6 and formula 7, adhesive composition:
  • R 11 is hydrogen or methyl group
  • R 12 is hydrogen or methyl group, X is oxygen or —NH—,
  • R 13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enylene group having 2 to 6 carbon atoms, which may be interrupted by -COO- or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
  •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a radica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etophenone-based, benzophenone-based, thioxanthone-based, benzoin-based and benzoin alkyl ether-based, adhesive composition.
  • the shrinkage at curing is 3% or less, adhesive composition.
  • the adhesive composition wherein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comprises 50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the adhesive composition.
  •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any one of 1 to 10 above.
  • the polarizer is a film having a function of a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is bond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bonded to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12 above, wherein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comprises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contain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including a benzene ring.
  • the peel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s 1 N / 25mm or more,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15 above.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improves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when used to bond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and peeling and rolling phenomenon are suppressed eve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for a long tim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has a polarizing function and an improved 3D stereoscopic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comprising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when used to bond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to produce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not onl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but also improving heat resistance and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It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and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to have an excellent 3D stereoscopic effect.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hotopolymerizable compound.
  •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when used to bond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nd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are also improved by such bonding strength improvement.
  • This acryl-based mono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both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n one molecule at the same time, the hydroxyl group or carboxyl group is contained in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f the polarizer surface polar group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t forms a hydrogen bond with a polar group, and it is judged that it is achieved by pi bond interaction with the benzene ring which the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contained on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contains.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l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mproves the temperature resistance, so that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mad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eled off even when exposed to moisture in the process of handling, transportation and the like. It doesn't work.
  • Acrylic monom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formula (1) and (2).
  • R 1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X is oxygen, -NH- or -COO-
  • R 2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which may be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hydroxy group, a carboxyl group or a phenylisopropyl group;
  •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 X is oxygen or -NH-
  • R 4 is an alkylene group of 1 to 5 carbon atoms which can be interrupted by -CO- or -COO-,
  • R 5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18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 acrylic monom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formula a-1 to formula a-11,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acrylic monomer having the hydroxy group or the carboxyl group and the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hrinkage rate at the time of curing is relatively large.
  • the shrinkage may have various values, but the shrinkage may be 3% or less. Since shrinkage rate is so preferable that it is small, the lower limit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it may be more than 0%.
  • the shrinkage rate at the time of curing is smal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crease in the uniformity of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distal portion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at the distal portion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onomer includ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but no aromatic ring.
  • the bond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further forming hydrogen bonds with the polarizer surface polar group and the polar group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Monomer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contain an aromatic ring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4).
  • R 8 is hydrogen or methyl
  • X is oxygen or —NH—
  • R 9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interrupted by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Can be used
  • monomer including a hydroxy group examples include the following formulas c-1 to c-8,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monomer containing a carboxy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does not include an aromatic ring may be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the formulas (6) and (7).
  • R 11 is hydrogen or methyl group
  • R 12 is hydrogen or methyl group, X is oxygen or —NH—,
  • R 13 i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ene group having 1 to 6 carbon atoms or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enylene group having 2 to 6 carbon atoms, which may be interrupted by -COO- or a cycloalkylene group having 3 to 6 carbon atoms) .
  • monomer including the carboxy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formulas d-1 to d-9,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the acrylic monomer having the hydroxy group or the carboxy group and the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the monomer represented by Formula 4 may be included in a molar ratio of 5: 5 to 9: 1.
  • the acrylic monomer having the hydroxy group or the carboxy group and the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and the monomer represented by at least one of Chemical Formulas 6 and 7 may be included in a molar ratio of 5: 5 to 9: 1.
  • the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may be included in 50 to 9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 a photoinitiator is not specifically limited, For example, radical photoinitiators, such as an acetophenone type, a benzophenone type, a thioxanthone type, a benzoin type, and a benzoin alkyl ether type,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acetophenone hydroxydimethylacetophenone, dimethylaminoacetophenone, dimethoxy-2-phenylacetophenone, 3-methylacetophenone, 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 2,2-die Methoxy-2-phenylacetophenone, 4-chronolocetophenone, 4,4-dimethoxyacetophenone, 2-hydroxy-2-methyl-1-phenylpropan-1-one, 4-hydroxycyclophenylketon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methyl-1- [4- (methylthio) phenyl] -2-morpholino-propan-1-one, 4- (2-hydroxyethoxy) phenyl-2 -(Hydroxy-2-propyl) ketone, benzophenone, p-phenylbenzophenone, 4,4-diaminobenzophenone, 4,4'-diethylaminobenzophenone, dichlorobenzophenone, an
  •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and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 the curing speed may be slow and sufficient curing may be difficult to proceed, and when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lowered.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to improve durability.
  • the kind of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di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and propionic acid-modified trimethylol Propane tri (meth) acrylate, propylene oxide modified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tris (2-hydroxyethyl) isocyanurate tri (meth) acrylate, tris (meth) acryloxyethyl isocyanur Trifunctional monomers such as acrylate and glycerol tri (meth) acrylate; Tetrafunctional monomers such as diglycerin tetr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 (meth) acrylate, and tetramethylolpropan
  •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included, for example,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polymerizable compound. If the content of the polyfunctional acrylic monomer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maximize the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manufactu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arizer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bonded to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re bonded through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bonding strength is excellent.
  • the adhesive composition layer may form a hydrogen bond with the polarizer, and may form a hydrogen bond and a pi bond interaction with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the polarizer is generally used in the display field, and the polarizer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can polarize incident light.
  • a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may be used by dyeing iodine or dichroic dye and drawing i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 PVA polyvinyl alcohol
  •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be a film having a function of a protective film or retardation film is bonded.
  • the configuration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include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the art.
  • it may have a structure laminated in the order of the substrate, the alignment film and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or may be a structure that does not include the alignment film.
  •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is bonded so that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faces the polarizer.
  • the bas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property, retardation uniformity, and isotropy.
  • the polyolefin resin, polyester resin, cellulose resin, and polycarbonate resin Acrylic resin, styrene resin, vinyl chloride resin, amide resin, imid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sulfon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sulfonated polyphenylene resin,
  • a substrate formed of at least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inyl alcohol resin, vinylidene chloride resin, vinyl butyral resin, allylate resin, polyoxymethylene resin and epoxy resin can be used.
  • the alignment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n alignment layer commonly used in the art on the substrate and imparting orientation, and then patterning the substrate to have different orientation directions. Can be.
  • the orientation providing method may include a rubbing method, a photo alignment method, and the like, and the patterning method may be based on a plurality of exposure processes using a photomask,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ght used for the exposu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for example, polarized ultraviolet irradiation, ion beam or plasma beam irradiation, radiation irradiation, or the like can be used.
  • polarized ultraviolet irradiation ion beam or plasma beam irradiation, radiation irradiation, or the like can be used.
  • the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formed by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includ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RM) or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on an alignment layer and crosslinking the same.
  • a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including a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RM) or the like commonly used in the art on an alignment layer and crosslinking the same.
  • RM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 the reactive liquid crystal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monomer commonly used in the art, but preferably may be a monomer having a benzene ring and an ester bond.
  •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be applied onto the substrate without the alignment layer, and may be exposed to simultaneously perform patterning and orientation to form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composition for forming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may further include a compound which can be aligned by polarized ultraviolet light such as a linear photopolymerizable polymer for alignment.
  •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does not include an alignment layer, a thinner display can be realized.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using the adhesive composition has excellent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the peel force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may be 1 N / 25 mm or more, preferably 1 to 5 N / 25 m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 the image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stereoscopic image implementation or semi-trans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lasma display device,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the like.
  •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t a position where a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and a patterned retardation layer are stacked.
  • the adhesiv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andwiched between two silicone release-treated PET films and bonded with a roll laminator, and then irradiated with UV at a wavelength of 313 nm at a light quantity of 2000 mJ / cm 2 using a UV exposure machine (Fusion). The composition was cured.
  • the release films were removed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cured adhesive layer was measured by a TGA analyzer (Q50, TA instruments).
  • MPR32, DNP patterned retardation layer
  • DNP triacetyl cellulose protective film
  • the adhesive composition was cured by irradiating UV with a wavelength of 313 nm with a light amount of 2000 mJ / cm 2 using a UV exposure machine (Fusion).
  • Peel force was measured by cutting the prepared composite polarizing plate sample in a width of 25mm, peeling at a rate of 300mm / min in the 180 degree peeling direction.
  •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protective film and cured, and then bonded to soda glass and subjected to autoclave treatment.
  • a composit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and the unit patterns of the patterned retardation layer of the 32-inch 3D TV pixel and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MPR32, DNP) were matched to each other.
  • D L Total luminance difference of left eye image
  • D R Total luminance difference of right eye image
  • L C Center luminance of left eye image
  • L e Average luminance of peripheral part of left eye image
  • R C luminance at center of right eye image
  • R e average luminance at edge of right eye image
  • L e 1, L e 2,... , L e 8 Luminance of each point of 8 points around the left eye image
  • R e 1, R e 2,... , R e 8 luminance at each point of 8 points around the right eye image
  • the image was floated again after being left at 60 ° C. for 250 hours to measure luminance to evaluate the luminance change rate of the initial D value and the D value after standing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sandwiched between two silicone release-treated PET films, and the bonding speed was adjusted to a thickness of 30 ⁇ m at a width of 10 cm, bonded with a roll laminator, and then the width before curing was measured. (Fusion) was used to measure the width of the adhesive after curing the adhesive composition by irradiating UV of 313 nm with a light quantity of 2000 mJ / cm 2 , and then (adhesive coating width after curing / adhesive coating width before curing) x 100 Shrinkage was calculated by calculating%.
  • the absorption axis (stretching dire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was 5 cm ⁇ 2 cm. Samples of were prepared. Thereafter, the short sides of the samples were gripped, and 80%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immersed in a 60 ° C. water bath for 4 hours, and then removed to wipe off moisture.
  • iodine elutes from the periphery of the polarizer which contacts hot water by hot water immersion, and the area
  • This discoloration degre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contracted polarizer in the center of the short side of a polarizing plate to the area
  • the sum of the contraction length and the iodine omission length was taken as the total erosion length (X). That is, the total erosion length X is the distance from the tip of the polarizing plate in the short side center of a polarizing plate to the area
  • Total erosion length ⁇ is less than 2 mm.
  • total erosion length ⁇ is 2 mm or more but less than 3 mm.
  • total erosion length X is 5 mm or more.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17 was very excellent peeling force.
  • the heat resistance and the heat-and-moisture resistance of the composite polarizing plate bonded using this were also very good, and showed a very good three-dimensional feeling without difference between positions.
  • the shrinkage rate during curing is excellent.
  • Example 14 the examples containing an acrylic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carboxyl group and an aromatic ring having 6 to 18 carbon atoms in a preferred content were very excellent in water resist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3D 입체효과를 갖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본 발명은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입체 영상 구현용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에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각 패턴 영역의 광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성하여 편광 안경을 쓴 시청자의 좌, 우안에 전달되는 영상이 다르게 함으로써 입체 영상을 구현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 상에 배향막을 형성시키고 이 배향막 위에 액정을 코팅 및 배향시켜 형성될 수 있다. 광반응성 액정 물질은 배향막 상에서 배향된 후 자외선 등의 광 조사에 의해 가교되어 고분자 액정 필름의 형태가 된다. 이 때 배향막의 표면 배향에 준하는 액정의 배향 방향에 따라 리타더 패턴의 기능을 하게 된다.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통상적으로 편광판의 한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접합되고, 근래에는 보다 박막 경량화를 위해 폴리비닐알콜 편광자의 한 면에 접합되기도 한다.
이러한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과 편광판 또는 편광자 사이의 밀착성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공정시 취급 과정 또는 사용 중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고온 다습한 조건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 박리되거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통상의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는 연신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위상차층의 위치별로 위상차가 상이해져 3D 입체감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제품의 장기 보관이나 운송 시에, 결로나 물고임 등에 의해 제품이 수분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접착된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박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접합력이 우수하면서, 내온수성, 내습열성 등의 기능을 고루 갖춘 우수한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에는 필름 패턴드 리타더의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 패턴드 리타더, 및 그것을 갖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3-0028881호
본 발명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의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 편광판의 내열성, 내습열성, 내온수성 등의 내구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NH- 또는 -COO-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또는 페닐이소프로필기로 치환가능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2
(식 중,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CO- 또는 -COO-로 중단가능하고,
R5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3. 위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3
(식 중, R8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이고,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4. 위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 및 화학식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4
(식 중, R11은 수소 또는 메틸기임),
[화학식 7]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5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13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케닐렌기이고, -COO-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5. 위 3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6. 위 4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6 및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7. 위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벤조인계 및 벤조인알킬에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인, 접착제 조성물.
8. 위 1에 있어서,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9. 위 1에 있어서, 경화 시 수축률이 3%이하인, 접착제 조성물.
10. 위 1에 있어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광중합성 화합물 총 중량 중 50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위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2. 위 1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4. 위 13에 있어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1 N/25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5. 위 14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16. 위 15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의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우수하여 고온 다습 조건에 장시간 노출된 경우에도 박리 및 밀림 현상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접합된 복합 편광판은 편광 기능 및 개선된 3D 입체효과를 동시에 갖는다.
본 발명은,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함으로써,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여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경우에,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접합력을 현저히 개선하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3D 입체효과를 갖도록 하는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접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광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은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접합하는데 사용되는 경우 접합력이 매우 우수하며, 이러한 접합력 개선에 의해 내열성 및 내습열성도 개선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한 분자 내에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와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동시에 모두 포함하는데,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는 편광자 표면 극성기 및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극성기와의 수소결합을 형성하며, 액정 코팅층 상에 함유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가 포함하는 벤젠 고리와의 파이 결합 상호 작용에 의해 달성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내온수성을 개선하여,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로 제조된 복합 편광판은 취급, 운송 등의 과정에서 수분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박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하기 화학식 1과 화학식 2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6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NH- 또는 -COO-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또는 페닐이소프로필기로 치환가능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7
(식 중,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CO- 또는 -COO-로 중단가능하고,
R5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a-1 내지 화학식 a-11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a-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8
[화학식 a-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09
[화학식 a-3]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0
[화학식 a-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1
[화학식 a-5]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2
[화학식 a-6]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3
[화학식 a-7]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4
[화학식 a-8]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5
[화학식 a-9]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6
[화학식 a-10]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7
[화학식 a-1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8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커서 경화 시 수축률이 작은 장점이 있다. 사용되는 개별적인 아크릴계 모노머의 구조에 따라 수축률이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수축률이 3% 이하일 수 있다. 수축률은 작을수록 바람직하므로 그 하한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0% 초과일 수 있다. 경화 시 수축률이 작으면, 복합 편광판 제조 시 말단 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중앙부와 말단부의 입체감의 균일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은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나 방향족 고리는 갖지 않는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노머를 더 포함함으로써, 편광자 표면 극성기 및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액정 코팅층 내에 포함되어 있는 극성기와의 수소결합을 더 형성시킴으로써, 접합력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19
(식 중, R8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이고,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c-1 내지 화학식 c-8을 들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c-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0
[화학식 c-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1
[화학식 c-3]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2
[화학식 c-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3
[화학식 c-5]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4
[화학식 c-6]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5
[화학식 c-7]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6
[화학식 c-8]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7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지 않는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6 및 화학식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8
(식 중, R11은 수소 또는 메틸기임),
[화학식 7]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29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13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케닐렌기이고, -COO-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본 발명에 따른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d-1 내지 화학식 d-9를 들 수 있으며, 이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d-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0
[화학식 d-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1
[화학식 d-3]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2
[화학식 d-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3
[화학식 d-5]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4
본 발명에 따른 광중합성 화합물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혼합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6 및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내온수성 개선의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광중합성 화합물 총 중량 중 50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벤조인계, 벤조인알킬에테르계 등의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아세토페논, 히드록시디메틸아세토페논, 디메틸아미노아세토페논,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3-메틸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4-크로놀로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4,4'-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안트라퀴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옥산톤, 2-에틸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n-부틸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벤조산에스테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판되고 있는 사용가능한 제품으로는 시바사의 darocur 1173, darocur 4265, darocur BP, darocur TPO, darocur MBF,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2959, irgacure 754,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irgacure 1300, irgacure 819, irgacure 2022, irgacure 819DW, irgacure 2100, irgacure 784, irgacure 25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경화 속도가 느려지고 충분한 경화가 진행되기 어려울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인 경우에는 접착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접착제 조성물은 내구성 개선을 위해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사이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관능성 모노머; 디글리세린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성 모노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네이트 변성 우레탄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광중합성 화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내구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복합 편광판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복합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접합되어, 그 접합력이 우수하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 조성물층은 편광자와는 수소 결합을 형성하며, 패턴화된 위상차층과는 수소 결합 및 파이 결합 상호 작용을 형성할 수 있다.
편광자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빛을 편광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 비닐알코올(PVA)로 이루어진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를 염색시키고 이를 일정 방향으로 연신시켜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는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일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 배향막 및 액정코팅층의 순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일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액정코팅층이 편광자쪽을 향하도록 접합된다.
기재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 안정성, 수분 차폐성, 위상차 균일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소재로 형성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향막은 기재 상에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고 배향성을 부여한 후에, 서로 다른 배향 방향을 갖도록 패턴화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향성 부여 방법은 러빙 방식, 광 배향 방식 등을 들 수 있고, 패턴화 방법은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복수의 노광 공정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노광에 사용되는 광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편광된 자외선 조사, 소정의 각도로 이온빔 또는 플라즈마빔 조사 및 방사선 조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편광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코팅층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RM) 등을 포함하는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배향막 상에 도포하고, 가교시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반응성 액정 모노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노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벤젠 고리 및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모노머일 수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배향막 없이 기재 상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노광시켜 패턴화 및 배향을 동시에 수행하여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액정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은 배향을 위해, 직선 광중합성 폴리머 등의 편광 자외선 광에 의해 배향이 가능한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박막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간의 접합력이 매우 우수하다. 예를 들면,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1 N/25mm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N/25mm 일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한다.
화상표시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입체화상구현용 또는 반투과형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종래 편광판과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적층되는 위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을 갖는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4006778-appb-T00000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5
실험예
(1) 유리전이온도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을 2장의 실리콘 이형처리된 PET 필름 사이에 넣고 Roll laminator로 접합한 뒤, UV 노광기(퓨젼사)를 이용하여 광량 2000mJ/cm2으로 313nm의 파장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이형필름들을 제거하고 경화된 접착제층에 대하여 TGA 분석장비(Q50, TA instruments사)로 유리전이온도를 측정하였다.
(2) 박리력 측정
패턴화된 위상차층(MPR32, DNP사)과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보호필름이 일면에 접합된 폴리비닐알콜 편광자를, 액정코팅층과 편광자가 접하도록 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로 Roll laminator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평가를 위해 말단 부분은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후에 UV 노광기(퓨젼사)를 이용하여 광량 2000mJ/cm2으로 313nm의 파장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켰다.
박리력은 상기 제조된 복합 편광판 샘플을 25mm 폭으로 절단한 뒤, 180도 박리방향으로 300mm/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3) 내열성, 내습열성 평가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고, 보호필름에 아크릴계 점착제를 도포 및 경화시킨 다음에, 소다글라스에 접합하고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였다.
이후에 각각 80℃에서 500시간, 60℃, 90% RH에서 500시간 방치한 후에, 액정코팅층과 편광자의 접합면에서의 기포나 박리 발생 여부를 확인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내열성 및 내습열성을 평가하였다.
○: 기포나 박리가 없음
△: 기포나 박리가 있으나, 매우 작은 부분에 한정하여 확인됨
X: 기포나 박리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됨
○의 경우, 내열성 및 내습열성 모두 상기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로 평가하였다. △ 및 X의 경우 내열성 및 내습열성 중 하나만 상기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에도 △ 또는 X로 평가하였다.
(4) 입체감 평가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편광판을 제조하고, 32인치 3D TV 픽셀과 복합 편광판(MPR32, DNP사)의 패턴화된 위상차층의 단위 패턴을 맞추어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3D TV 단위 픽셀에 Red/Blue색상이 교차되어있는 이미지를 띄우고 좌원편광 또는 우원편광만으로 구현되는 영상의 초기 휘도를 화면의 중앙을 포함한 9 지점에서 측정하여 중앙부분과 나머지 주변 부분의 휘도차를 계산하고, 그로부터 좌안 영상 전체 휘도차와 우안 영상 전체 휘도차로부터, 전체 평균 휘도차를 산출하였다(하기 수학식 참조).
D=(DL+DR)/2
DL=|( LC - Le)|, DR=|( RC - Re)|,
Le=(Le1+Le2+…+Le8)/8, Re=(Re1+Re2+…+Re8)/8,
(식 중,
D: 전체 평균 휘도 차,
DL: 좌안 영상 전체 휘도차, DR: 우안 영상 전체 휘도차,
LC : 좌안 영상 중앙부분 휘도, Le: 좌안 영상 주변부분 평균 휘도,
RC : 우안 영상 중앙부분 휘도, Re: 우안 영상 주변부분 평균 휘도,
Le1, Le2, …, Le8 : 좌안 영상 주변부분 8 지점의 각 지점별 휘도
Re1, Re2, …, Re8 : 우안 영상 주변부분 8 지점의 각 지점별 휘도)
이후, 60℃ 250시간 방치한 후 다시 영상을 띄워 휘도를 측정하여 초기 D값과 방치후 D값의 휘도 변화율을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휘도 변화율에 따든 입체감 판정 기준]
○: D값 변화율이 0%이상 30%미만일 때 3D 입체감의 위치별 차이가 확인되지 않음
△: D값이 30%이상~60%미만일 때 입체감의 저하가 미미하게 시인됨
X: D값이 60%이상일 때 입체감의 저하가 확실히 시인됨
(5) 경화 시 수축률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을 2장의 실리콘 이형처리된 PET 필름 사이에 넣고 10cm의 폭으로 30㎛ 두께가 되도록 접합속도를 조절하면서, Roll laminator로 접합한 뒤, 경화 전의 폭을 측정하고, UV 노광기(퓨젼사)를 이용하여 광량 2000mJ/cm2으로 313nm의 파장의 UV를 조사하여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 시킨 후의 접착제의 폭을 측정한 뒤, (경화 후 접착제 코팅 폭/경화 전 접착제 코팅폭) x 100%로 계산하여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6) 내온수성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복합 편광판을 제조하고 이를 23℃, 상대 습도 55%의 환경 하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에, 편광판의 흡수축(연신 방향)을 긴 변으로 하여 5 cm×2 cm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이후 상기 각 샘플의 짧은 변 측을 파지하고 길이 방향의 80%를 60℃의 수조에 4시간 침지한 후에 꺼내어 수분을 닦아내었다.
온수 침지에 의해 편광판의 한 가운데에 위치하는 편광자가 수축함으로써, 보호필름 사이에 편광자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인 편광자 부존 영역이 형성된다. 따라서, 샘플의 짧은 변 중앙의 보호필름의 끝에서부터 수축한 편광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를 수축 길이로 하였다.
또한, 온수 침지에 의해 온수에 접하는 편광자의 주변부로부터 요오드가 용출하여, 편광판의 주변부에 색이 빠진 영역이 생긴다. 이 탈색 정도를, 편광판의 짧은 변 중앙에 있어서의 수축한 편광자의 끝에서부터 편광판 특유의 색이 남아 있는 영역까지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여, 요오드 빠짐 길이로 하였다.
상기 수축 길이와 요오드 빠짐 길이의 합계를 총 침식 길이(X)로 하였다. 즉, 총 침식 길이(X)란, 편광판의 짧은 변중앙에 있어서의 편광판의 끝에서부터 편광판 특유의 색이 남아 있는 영역까지의 거리이다. 수축 길이, 요오드 빠짐 길이 및 총 침식 길이(X)가 작을수록, 물 존재 하에 있어서의 접착성(내온수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다.
◎: 총침식길이 X가 2mm 미만.
○: 총침식길이 X가 2mm이상, 3mm 미만.
△: 총침식길이 X가 3mm이상,5mm 미만.
×: 총침식길이 X가 5mm이상.
표 2
Figure PCTKR2014006778-appb-T0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17의 접착제 조성물은 박리력이 매우 우수하였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접합된 복합 편광판의 내열성 및 내습열성도 매우 우수하고, 위치별 차이 없이 매우 우수한 입체감을 나타냈다. 또한, 경화시 수축률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4를 제외하고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바람직한 함량으로 포함한 실시예들은 내온수성이 매우 우수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3의 접착제 조성물은 박리력이 떨어지고, 내열성 및 내습열성이 불량하며, 수축률이 실시예에 비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6)

  1.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하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인,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6
    (식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NH- 또는 -COO-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또는 페닐이소프로필기로 치환가능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7
    (식 중,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4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기이며 -CO- 또는 -COO-로 중단가능하고,
    R5는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8
    (식 중, R8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며, R9는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이고,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6 및 화학식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화학식 6]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39
    (식 중, R11은 수소 또는 메틸기임),
    [화학식 7]
    Figure PCTKR2014006778-appb-I000040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X는 산소 또는 -NH-이고,
    R13은 탄소수 1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킬렌기 또는 탄소수 2 내지 6의 직쇄 또는 분지쇄인 알케닐렌기이고, -COO- 또는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렌기에 의해 중단될 수 있음).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상기 화학식 6 및 7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모노머는 5:5 내지 9:1의 몰비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티옥산톤계, 벤조인계 및 벤조인알킬에테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인, 접착제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경화 시 수축률이 3% 이하인, 접착제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히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 및 탄소수 6 내지 18의 방향족 고리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는 광중합성 화합물 총 중량 중 50 내지 90중량%로 포함되는, 접착제 조성물.
  1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의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접합된 패턴화된 위상차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는 패턴화된 위상차층과 접합되는 면의 반대면에 보호필름 또는 위상차필름의 기능을 가진 필름이 접합된 것인, 복합 편광판.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벤젠 고리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모노머를 함유한 액정 코팅층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편광자와 패턴화된 위상차층 사이의 박리력이 1 N/25mm 이상인, 복합 편광판.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패턴화된 위상차층은 배향막을 포함하지 않는, 복합 편광판.
  16. 청구항 11의 복합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PCT/KR2014/006778 2013-08-07 2014-07-25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50203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44445.8A CN105452407A (zh) 2013-08-07 2014-07-25 粘合剂组合物和使用其的复合偏光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3459 2013-08-07
KR10-2013-0093459 2013-08-07
KR10-2014-0001849 2014-01-07
KR1020140001849A KR20150017649A (ko) 2013-08-07 2014-01-07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20335A1 true WO2015020335A1 (ko) 2015-02-12

Family

ID=52461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6778 WO2015020335A1 (ko) 2013-08-07 2014-07-25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TW (1) TW201506104A (ko)
WO (1) WO201502033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909A (ja) * 2007-11-07 2009-06-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光学部材
JP2011016990A (ja) * 2009-06-09 2011-01-2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ならびに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12102254A (ja) * 2010-11-11 2012-05-3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アクリル系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JP2013018937A (ja) * 2011-07-14 2013-01-3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20130023183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2909A (ja) * 2007-11-07 2009-06-18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部材用粘着剤及び光学部材
JP2011016990A (ja) * 2009-06-09 2011-01-2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ならびに光学部材用粘着剤、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12102254A (ja) * 2010-11-11 2012-05-3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アクリル系粘着剤、光学部材用粘着剤、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画像表示装置
JP2013018937A (ja) * 2011-07-14 2013-01-31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光学部材用粘着剤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剤、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20130023183A (ko) * 2011-08-25 2013-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06104A (zh)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1505A2 (ko) 점착제
WO2013094969A2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WO2015008925A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4178517A1 (ko) 폴리에스테르계 프라이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204205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6105017A1 (ko)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한 oled 표시장치
WO201605295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9031786A1 (en) OPTICAL ELEMENT, POLARIZ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WO2015016456A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4185685A1 (ko) 편광판
WO202013887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53803A1 (ko)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WO2019117676A2 (ko) 편광판,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 편광판-캐리어 필름 적층체의 제조방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조성물
WO2013051831A2 (ko)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된 배향막 및 위상차 필름
WO2017119764A1 (ko) 필름 터치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046713A1 (ko) 편광판
WO2019059692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WO2019103513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1177621A1 (ko)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15020335A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EP3625596A1 (en) Optical member,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WO2021071152A1 (ko) 플렉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71646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006875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5020327A1 (ko) 접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0044445.8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34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346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