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93098A1 -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93098A1
WO2014193098A1 PCT/KR2014/004167 KR2014004167W WO2014193098A1 WO 2014193098 A1 WO2014193098 A1 WO 2014193098A1 KR 2014004167 W KR2014004167 W KR 2014004167W WO 2014193098 A1 WO2014193098 A1 WO 20141930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pipe
cushion member
cushion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416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창길
Original Assignee
Lee Chang-Gi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3005959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40139224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4472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18055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9446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50018054A/ko
Application filed by Lee Chang-Gil filed Critical Lee Chang-Gil
Publication of WO20141930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930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5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liquid type, e.g. filled with water or g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Definition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t water ma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o reduce the inconvenience in use by the cushion is present in the entire hot mat, while preventing the hot water pipe from being releas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in the cushion member when washing or folding. It is.
  •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ot water mat.
  • Figure 9 is a fifth embodiment according to the hot water mat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disclosure, 1) fixing the fixing member to the base member to form a groove; 2) securing the cushion at regular intervals on the woven base member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grooves; 3) inserting a tube onto the groove; 4) disposing a cover member to cover the base member.
  • FIG. 1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t water ma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planar shape is the same as in FIG. 11B, reference may be made to FIG. 11B.
  • a cushion member 100 ′ and a guide 120 ′ formed with guides 120 ′ and 130 ′ corresponding to the hot water mat, the plurality of hot water pipe grooves 110 ′ and the hot water pipe grooves 110 ′, respectively.
  • guides 120 'and 130'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hot water pipe 200 'inserted into the hot water pipe groove 110' and the hot water pipe 200 'inserted into the hot water pipe groove 110'. It includes a lockstitch portion 300 'blocking the middle.
  • the lower fabric 400 ' is placed under the cushion member 100 'in a separate process. Not only does not need to be attached or fixed,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separate pattern similar to the sewn on the lower fabric (40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horte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hot water mat.
  • the hot water pipe groove 110 is formed inside the cushion member 100 to be connected to the guides 120 and 130 through the guides 120 and 130 (see FIG. 12C).
  • the hot water pipe groove 110 may be formed in plural in parallel at appropriate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of the hot water mat.
  • FIGS. 12A, 12B, 12C and 12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hot water ma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hot water ma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hot water ma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until the step of inserting the hot water pipe (FIGS. 12A, 12B, 12C and 12D).
  • the cloth is disposed so as to span both the flat portion and the recess 450, and then the hot water pipe 430 is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int of the cloth so that the hot water pipe 430 is positioned on the recess 450. Then, the hot water pipe 430 is covered by the cloth so th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oth abuts.
  • the hot water pipe 430 is inserted into th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ng part 420, and the whol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ng part 4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450.
  • the tail 421 is sewn in the recess 450 in a state where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loth abut, thereby making th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on portion 420.
  • the stitching part 540 is a part stitched so that both ends of the fabric forming the hot water pipe separation prevention part 520 are fixed to the flat part of the cushion member 510, respectively.
  • Stitching part 54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on unit 520 in the flat portion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recess 550 so as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hot water pipe inserted in the hot water pipe separation prevention unit 520. That's the part.
  • the lockstitch 540 serves to limit the hot water pipe 540 from being covered by th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ng part 520 in a state in which the hot water pipe 540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550 so as not to be separated out of the hot water pipe departure preventing part 520. .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온수매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이 온수매트 제조방법은,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직조하는 과정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다른 크기의 홈이 교번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2) 상기 홈 상에 관과 쿠션이 서로 교번되도록 삽입하는 단계와; 3)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본 발명은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매트 내부에 일정한 패턴의 온수 순환관을 내설한 후, 이 순환관으로 가열된 물을 순환시켜 매트를 승온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겨울철이나 난방이 필요한 경우 온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온수 매트는 전열장판이나 전열매트 등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발생시키고 전력 소모가 많은 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그러한 예들 중 하나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8289호(2005년 03월 02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 이라 칭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 문헌은 상피(4)와 하피(5)로 이루어진 매트로서, 상피(4)와 하피(5) 사이에 쿠션부재(3)가 내설되고, 쿠션부재(3) 상면에 루우프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쿠션부재(3)에 형성된 삽입홈을 따라 온수로(10)가 설치되고, 온수로(10)에 고온의 온수를 순환, 공급하기 위한 히팅장치(20)가 구비되는 매트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특허문헌 1의 경우, 반복적인 사용시 온수로(10)가 삽입홈에서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세탁시, 또는 보관을 위해 접는 경우, 쿠션부재에서 온수로(10)의 이탈문제로 인해, 매트의 심각한 변형 또는 손상 문제가 초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온수로 또는 온수 배관이 신뢰성 있게 고정된 온수매트를 신뢰성 있게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탁시 또는 접을 시 쿠션부재 내에서 온수관이 원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온수 매트 전체에 쿠션이 존재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온수매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직조하는 과정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다른 크기의 홈이 교번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와; 2) 상기 홈 상에 관과 쿠션이 서로 교번되도록 삽입하는 단계와; 3)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 직조 과정에 형성된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3) 2)단계에서 삽입된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커버부재 하부에 다수개의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와; 4)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2)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3) 상기 홈 사이에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와;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 온수매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면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매듭을 배치하는 단계와; 2) 상기 매듭의 패턴을 따라서 관을 배치하고 묶는 단계와; 3) 상기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쿠션을 커버부재 하면에 배치하는 단계와; 4) 상기 베이스 부재와 커버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1) 홈이 형성되도록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와; 2) 상기 홈 사이에 위치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쿠션을 고정하는 단계와; 3)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와;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온수매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가 제공되되, 상기 온수매트는 복수 개의 온수관홈과 상기 온수관홈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쿠션부재와;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되며,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된 상기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가이드의 중간을 차단하는 박음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방법은, 온수가열부, 상부천, 하부천, 상기 상부천과 상기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제공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a)쿠션부재를 준비하는 단계와; (b)상기 쿠션부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반대되는 제2 측면이 서로 통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에 복수 개의 온수관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c)상기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가 제공되며, 이 온수매트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나란히, 그리고 각각이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와;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되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된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를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를 포함하낟.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가 제공되며, 상기 온수매트는 상면이 복수 개의 평탄부와 복수 개의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쿠션부재와;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제공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과; 상기 온수관이 삽입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와;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된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의 양측을 상기 오목부의 양측으로 인접한 평탄부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르면,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세탁이 용이하고 환경 오염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온수 관로가 사용자에게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매트 제작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생산성 또한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동시에 온수 관로의 형성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개시에 따르면, 개선된 온수 매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쿠션부재 내에서 온수관이 원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온수 매트 전체에 쿠션이 존재하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고, 쿠션부재가 중간에 삽입되는 상부천과 하부천 이외의 천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서도 쿠션부재가 삽입된 부분과 온수관이 삽입된 부분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개시에 따르면, 개선된 온수매트를 제공함으로써, 온수 매트 내에서 온수관이 제자리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온수 매트 전체에서 쿠션이 골고루 분포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은 종래 온수 매트 제조 과정에서 쿠션부재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배치되는 상부커버천과 하부커버천을 박음질을 통해 별도의 쿠션부재설치홈을 형성한 후, 그 사이에 각각 쿠션부재를 충진하여야 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이로 인한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수매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온수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온수매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5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2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11a 및 도 11b의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제2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2 실시예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제3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제3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발명의 제3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발명의 제3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제1 개시]
본 개시의 온수매트 제조 방법은,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직조하는 과정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다른 크기의 홈이 교번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홈 상에 관과 쿠션이 서로 교번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3)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도 3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110)를 직조하는 과정에 서로 다른 크기의 홈(111a,111b)이 교번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이때 직조되는 베이스 부재(110)는 홈(111a,111b)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홈(111a)에는 관(140)이 삽입되며, 다른 하나의 홈(111b)에는 쿠션(130)이 삽입된다.
또한 삽입되는 관(140)과 쿠션(130)은 단면 형상이 서로 번갈아 가면 배치되는 구조를 하게 되고 평면상에서 보았을 경우에는 관(140)이 쿠션(130)을 경우하여 지그재그 배치되는 형태가 되도록 삽입된다.
상기 관과 쿠션이 삽입된 후에는 베이스 부재(110) 상부에 위치되어 관과 쿠션이 덮히도록 커버부재(12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버부재(120)는 베이스 부재와 커부부재가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테두리를 박음질하거나 열을 이용해 융착시키기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온수매트는 관과 쿠션을 감싸는 층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만을 구성할 수 있어서 종래에 비해 커버 형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온수매트를 물 등을 이용해 세탁할 수 있어 항시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개시의 온수매트 제조 방법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이를 참조하면,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2) 직조 과정에 형성된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3) 2)단계에서 삽입된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커버부재 하부에 다수개의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4)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에 관과 쿠션이 모두 삽입되는 구조가 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210) 상에 관(240)을 삽입하는 홈(211a)만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게 되며 커버부재(220) 하면에 쿠션(230)을 박음질하여 배치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우선 직조를 통해 베이스 부재(210)를 형성하고 이 과정에 홈(211a)을 형성시켜 관(240)이 삽입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210)와 대응되는 크기로 직조된 커버부재(220) 하면에 상기 관(240)의 사이에 쿠션(230)이 위치될 수 있게 쿠션(230)을 박음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210)와 커버부재(220)는 상호 테두리를 박음질 또는 열 융착에 의해 마감하게 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이 쿠션 사이를 지나며 지그재그 배치되는 구조를 하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개시의 온수매트 제조 방법에 따른 제3실시예를 보면,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홈 사이에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직조되는 베이스 부재(310) 상에 홈(311a)을 형성시킨 후 상기 홈(311a)에 관(340)을 삽입하여 배치하고 상기 관(34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쿠션(330)을 베이스 부재(310) 상에 박음질하여 고정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 후 상기 베이스 부재(310)는 앞선 실시시예에서와 같이 커버부재(320)를 박음질 또는 열 융착을 통해 상호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개시의 온수매트 제조 방법에 따른 제4실시예를 보면, 1)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면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매듭을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매듭의 패턴을 따라서 관을 배치하고 묶는 단계; 3) 상기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쿠션을 커버부재 하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4) 상기 베이스 부재와 커버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관 또는 쿠션을 삽입 고정할 수 있는 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먼저 일정한 크기로 직조된 베이스 부재(410) 상에 관(440)이 배치되는 형태로 패턴을 형성하며 매듭(411)을 구비시킨 후 상기 매듭(411)을 이용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440)을 배치하게 하게 된다.
이 후 상기 관(440) 사이에 위치되도록 커버부재(420) 하면에 쿠션(430)을 박음질하여 고정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410)와 커버부재(420)를 결합하여 온수매트를 제조함으로써 관을 삽입하는 것보다 쉽고 빠르게 관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9는 본 개시의 온수매트 제조방법에 따른 제5실시예를 보면, 1) 홈이 형성되도록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2) 상기 홈 사이에 위치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쿠션을 고정하는 단계; 3)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510)를 마련한 후 상기 베이스 부재(510)와 대응되는 크기의 고정부재(511)를 상기 베이스 부재(510)에 부착하는 과정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홈(511a)을 형성하고 상기 홈(511a) 사이에 위치되도록 쿠션(530)을 상기 고정부재(511) 위에 안착 고정한 후 상기 홈(511a) 사이에 관을 삽입한 후 베이스 부재(510)를 덮도록 커버부재(520)로 마감하여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제5 실시예로서 고정부재(51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530)과 쿠션(530) 사이에서 면 상의 양단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홈을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개시와 같이 온수매트를 제조할 경우 종래에 비해 커버 또는 베이스에 이용되는 소재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종래의 일반적인 온수매트와 같이 관과 쿠션을 감싸기 위한 다수개의 매트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직조를 통해 제작되는 부재들을 통해 매트 제작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 개시]
온수매트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에 따른 온수매트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온수매트는, 쿠션부재(100), 온수관(200) 및 박음질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매트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며, 이 온수가열부로서는 통상의 전기보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온수가열부의 구성은 본 개시의 핵심 부분은 아니므로,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쿠션부재(100)는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온수매트에 있어서 쿠션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과 이 온수관홈(110)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120, 13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은 쿠션부재(100)의 내부에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120, 130)도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온수관홈(110)은 이후 온수관(200)이 삽입되는 부분이므로, 적어도 온수관(200)을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120, 130)는 쿠션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온수관홈(110)까지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20, 130)는 쿠션부재(100)의 내부에 온수관홈(110)을 형성하기 위해 쿠션부재(100)의 상면에서부터 쿠션부재(100)의 내부로 절개한 부분이다. 뿐만 아니라, 이후에 온수관홈(110)에 온수관(200)을 삽입하는 경우, 이 가이드(120, 130)을 통해 삽입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120, 130)는 수평부(120)와 수직부(130)를 포함한다. 수평부(120) 및 수직부(130)는 도면 상에서는 일정 폭을 갖도록 과장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칼로 일정 깊이까지 절개한 후, 온수관홈(110)까지 추가로 절개하여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가이드(120, 130)는 폭을 갖지 않고 절개만 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온수관(200)은 가이드(120, 130)를 통해 온수관홈(110)에 삽입되며, 유연한(flexible) 관으로 형성되며, 온수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온수 매트의 상부로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박음질부(300)는 온수관홈(110) 내에 온수관(200)이 삽입된 후, 삽입된 온수관(200)이 온수관홈(110) 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120, 130)의 중간을 차단하는 부분이다. 가이드(120, 130)가 수평부(120와 수직부(1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박음질부(300)는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수평부(120)를 통과하여 쿠션부재(100)의 하면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박음질부(300)는 쿠션부재(100)를 종단하도록 박음질하여 형성되되, 그 중간에 가이드부(120, 130)의 수평부(120)를 통과하도록 박음질함으로써, 온수관홈(110) 내에서 온수관(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추가로 쿠션부재(10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상부천과 하부천을 추가함으로써,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온수관홈(110)에 이어지도록 수평부(120)와 수직부(130)를 갖는 가이드(120, 130)를 형성하고, 또한 쿠션부재(100)의 내부에 온수관(200)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을 형성한 다음, 가이드(120, 130)의 수평부(120)를 박음질하여 온수관(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매트의 사용시 또는 취급시 쿠션부재(100) 내에 존재하는 온수관(200)이 원 위치에 있지 않고 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직 구조에서 볼 때, 온수관(200)이 위치하는 부분에도 쿠션부재(100)가 있으므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 이외의 별도의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3b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단면도이다. 평면 형태는 도 11b와 동일하므로 도 11b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과 온수관홈(110')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120', 130')가 형성된 쿠션부재(100'), 가이드(120', 130')를 통해 온수관홈(110')에 삽입되는 온수관(200'), 그리고 온수관홈(110')에 삽입된 온수관(200')의 이탈을 막도록 가이드(120', 130')의 중간을 차단하는 박음질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120', 130')는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온수관홈(110')까지 연결되고 수평부(120')와 수직부(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박음질부(300')는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수평부(120')를 통과하고 쿠션부재(100')의 하면을 거쳐 쿠션부재(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천(400')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온수매트의 사용시 또는 취급시 쿠션부재(100') 내에 존재하는 온수관(200')이 원 위치에 있지 않고 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직 구조에서 볼 때, 온수관(200')이 위치하는 부분에도 쿠션부재(100')가 있으므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 이외의 별도의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쿠션부재(100')의 하부에서 쿠션부재(100')와 함께 하부천(400')까지 박음질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으로 하부천(400')을 쿠션부재(100')의 하부에 부착하거나 고정시킬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하부천(400')에 박음질과 유사한 별도의 무늬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온수매트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온수매트 제조 방법
도 12a 내지 도 12f는 도 11a 및 도 11b의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쿠션부재(100)를 준비하고(도 12a 참조), 쿠션부재(100)를 내부의 일정 깊이까지 절개하여 가이드(120, 130)를 형성하는 단계(도 12b 참조)를 포함한다. 가이드(120, 130)는 수평부(120)와 수직부(130)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가이드(120, 130)를 통해 가이드(120, 130)와 연결되게 쿠션부재(100)의 내부에 온수관홈(110)을 형성한다(도 12c 참조). 온수관홈(110)은 온수매트의 면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온수관홈(110)에 온수관(200)을 삽입한다(도 12d). 온수관(200)은 가이드(120, 130)를 통해 온수관홈(110)에 삽입될 수 있다. 온수관(200)은 유연한 관으로서, 복수 개의 온수관(200)의 일부 또는 전부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다음, 온수관홈(110)에 삽입된 온수관(200)이 온수관홈(1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120, 130)의 중간을 박음질한다(도 12e). 상기 박음질은,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가이드(120, 130)를 통과하여 쿠션부재(100)의 하면까지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120, 130)에 있어서, 박음질되는 부분은 수평부(120)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온수관홈(110)에서 온수관(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박음질 후, 최종적으로 쿠션부재(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천(500)과 하부천(400)을 추가함(도 12f)으로써, 온수매트가 완성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 방법은,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도 12a, 도 12b, 도 12c 및 도 12d)까지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쿠션부재를 준비하고, 쿠션부재를 내부의 일정 깊이까지 절개하여 가이드를 형성한 후, 가이드를 통해 가이드와 연결되게 쿠션부재의 내부에 온수관홈을 형성하고, 그런 다음,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한다.
그런 다음, 쿠션부재(100')의 하부에 하부천(400')을 배치(도 13a 참조)한 후, 온수관홈(110')에 삽입된 온수관(200')의 이탈을 막도록 가이드(120', 130')의 중간을 박음질(300')한다. 이 박음질(300')은 쿠션부재(100')의 상면으로부터 가이드(120', 130')를 통과하여 하부천(400')까지 이루어진다.
이후, 쿠션부재(100')의 상부에 상부천(500')을 추가함으로써, 상부천(500')과 하부천(400') 사이에 쿠션부재(100')가 삽입되는 형태로 온수매트를 완성시킨다.
이에 따라, 온수관(200')이 원 위치에 있지 않고 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상부천(500')과 하부천(400') 이외의 별도의 시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 나아가, 쿠션부재(100')의 하부에서 쿠션부재(100')와 함께 하부천(400')까지 박음질함으로써, 별도의 공정으로 하부천(400')을 쿠션부재(100')의 하부에 부착하거나 고정시킬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하부천(400')에 박음질과 유사한 별도의 무늬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온수매트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라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는 온수 가열부(미도시), 상부천(미도시), 하부천(미도시),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100),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제공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쿠션부재(100)를 준비하는 단계, (b) 쿠션부재의 제1 측면(100a)과 제1 측면(100a)에 반대되는 제2 측면(100b)이 서로 통하도록 쿠션부재(100)의 내부에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a, 110b; 이하 이를 110으로 표시함)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온수관홈(110)에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 즉,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을 형성하는 단계에 있어서, 제1 측면(100a)에서 제2 측면(100b)까지 통공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제1 측면(100a)에서 제2 측면(100b)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쿠션부재(100)의 내부로 복수 개의 제1 통공들(first through holes)(110a)을 형성하고, 이와 동시에(또는 동시가 아니어도 됨), 제2 측면(100b)에서 제1 측면(100a)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쿠션부재(100)의 내부로 복수 개의 제2 통공들(second through holes)(110b)을 형성하여, 제1 통공들(110a) 각각과 제2 통공들(110b) 각각이 서로 만나도록 하여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을 형성한다. 최종적으로는, 쿠션부재(100) 내에 복수 개의 온수관홈(110)이 형성된 상태로 된다. 도 5에서는 편의상 복수 개의 제1 통공들 및 제2 통공들을 각각 대표적으로 하나씩만 참조부호 110a 및 110b로 나타내었음에 유의하기 바란다.
또 다르게는, 제1 측면(100a)에서 제2 측면(100b) 측을 향하여, 제2 측면(100b)까지 관통되도록 하여 온수관홈(110)을 형성할 수도 있고, 반대로, 제2 측면(100b)에서 제1 측면(100a) 측을 향하여, 제1 측면(100a)까지 관통되도록 하여 온수관홈(11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예와 같이 온수관홈을 형성하여, 이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시켜, 지그재그로 연결되도록 하는 경우, 앞서 도 11a 내지 도 13c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는 다르게 온수관홈 내에서 온수관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부가 굳이 필요 없게 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온수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박음질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c) 단계 이후에는 온수관홈과 온수가열부(미도시) 간을 연결하는 과정, 그리고 하부천(미도시)과 상부천(미도시)을 부착하는 과정이 더 있으나, 이러한 과정은 기존의 방식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개시]
(실시예 1)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로서, 박음질부가 형성되는 세 가지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온수매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5d 및 도 15e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200)는 쿠션 부재(210), 쿠션부재(210)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되, 각각이 독립적인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내에 삽입되는 온수관(230), 및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내에 삽입된 온수관(230)의 이탈을 막도록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를 쿠션부재(210)의 상면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온수매트(200)에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230) 내부로 순환시키는 온수가열부(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온수가열부로서는 통상의 전기보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온수가열부의 구성은 본 개시의 핵심 부분은 아니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쿠션부재(210)는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 사이에 삽입되어, 온수매트(210)에 있어서 쿠션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상부천 및 하부천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상에 나타나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실제로 상하 개념은 바뀔 수 있다.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는 온수관(2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박음질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정 두께를 갖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관(23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에 삽입된 상태로 되는 작업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우선, 쿠션부재(2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형성을 위한 천을 나란히 배치한다. 그런 다음, 천의 적절한 지점에 온수관(230)을 배치한 후 온수관(230)이 천에 의해 감싸지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다. 결과적으로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에 온수관(230)이 각각 독립적으로 삽입된 것으로 된다. 그런 다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은 상태로 박음질됨으로써,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온수관(230)이 삽입된 상태를 놓고 보면,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는 테일(221)과 바디(222)로 구분해 볼 수 있고, 온수관(230)은 바디(222)에 의해 감싸여진다. 한편, 테일(221)은 쿠션부재(210)의 상면에 고정을 위해 박음질되는 부분이다.
온수관(230)은 유연한(flexible) 관으로 형성되며, 온수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온수매트의 상부로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박음질부(2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양단이 쿠션부재(210)에 고정되도록 박음질된 부분이다. 박음질부(2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내에 삽입된 온수관(24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쿠션부재(210)와, 쿠션부재(210)의 상부에서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와 박음질부(240)에 의해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내에 온수관이 자리잡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이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5a에서는 박음질부(240)가 쿠션부재(210)의 일부분에만 박음질되어 형성된 예이고, 이와는 다르게 도 15b에서와 같이, 박음질부(2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의 테일(221)을 통과하고 더 나아가 쿠션부재(210)도 완전히 통과하도록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부(240)는 쿠션부재(210)의 하부에 하부천(250)을 배치하여,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의 테일(221)과 쿠션부재(210)를 통과하여 하부천(250)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5c와 같이 박음질부(240)를 형성하는 경우, 하부천(250)과 쿠션부재(210) 간을 하나의 공정으로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부천(250)을 쿠션부재(210)의 하부에 별도로 부착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면에서 선호될 수 있다.
도 15d 및 도 15e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 및 박음질부(24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220')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온수관(230')을 감싸도록 하여,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하여 그 양단 전체가 길이 방향으로 박음질되어 박음질부(24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온수관(230)을 감싼 상태로 박음질되어 박음질부(24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15d 및 도 15e의 어느 경우든지 미리 제작된 적절한 두께의 상부천(미도시)이 더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로서, 박음질부(320)가 형성되는 세 가지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온수매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6d 및 도 16e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300)는 쿠션 부재(310), 평탄부와 오목부(350)를 갖는 쿠션부재(310)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내에 삽입되는 온수관(330), 및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내에 삽입된 온수관(330)의 이탈을 막도록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를 쿠션부재(310)의 상면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340)를 포함한다. 앞서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매트(300)에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330) 내부로 순환시키는 온수가열부(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온수가열부로서는 통상의 전기보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온수매트(300)와 제1 실시예의 온수매트(200)의 두드러진 차이는, 제2 실시예의 온수매트(300)의 쿠션부재(310)의 상면이 평탄부와 오목부(350)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는 테일(321)과 바디(322)로 구분될 수 있으며, 테일(321)은 평탄부에 박음질되어 고정되고, 바디(322)는 오목부(350) 상에 위치한다.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는 온수관(3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박음질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정 두께를 갖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관(33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에 삽입된 상태로 되는 작업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우선, 오목부(350)가 형성된 쿠션부재(310)를 준비한 후, 쿠션부재(31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형성을 위한 천을 나란히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천은 평탄부와 오목부(350) 모두에 걸쳐 있도록 배치한 후, 온수관(330)이 오목부(350) 상에 위치하도록 천의 적절한 지점에 온수관(330)을 배치하고, 그런 다음 온수관(330)이 천에 의해 감싸지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다. 결과적으로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에 온수관(230)이 삽입된 상태로 되고, 그 상태로 오목부(350) 상에 위치하게 된다. 물론, 천의 길이가 긴 경우에는 오목부(350)의 바닥에 닿도록 위치할 수도 있고, 오목부(350) 상에서 일정 높이로 떠 있는 상태로 위치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은 상태로 박음질됨으로써,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온수관(330)이 삽입된 상태를 놓고 보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의 테일(321)과 바디(322)에서, 온수관(330)은 바디(322)에 의해 감싸여지고, 테일(321)은 쿠션부재(310)의 상면에 고정을 위해 박음질되는 부분이다.
온수관(330)은 유연한(flexible) 관으로 형성되며, 온수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온수매트의 상부로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박음질부(3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를 이루는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양단이 쿠션부재(310)의 평탄부에 고정되도록 박음질된 부분이다. 박음질부(3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내에 삽입된 온수관(34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오목부(350)를 갖는 쿠션부재(310)와, 쿠션부재(310)의 상부에서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와 박음질부(340)에 의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내에서 온수관(330)이 오목부(350) 상에 자리잡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이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6a에서는 박음질부(340)가 쿠션부재(310)의 일부분에만 박음질되어 형성된 예이고, 이와는 다르게 도 16b에서와 같이, 박음질부(3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의 테일(321)을 통과하고 더 나아가 쿠션부재(310)도 완전히 통과하도록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부(340)는 쿠션부재(310)의 하부에 하부천(350)을 배치하여,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의 테일(321)과 쿠션부재(310)를 통과하여 하부천(350)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6c와 같이 박음질부(340)를 형성하는 경우, 하부천(350)과 쿠션부재(310) 간을 하나의 공정으로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천(250)을 쿠션부재(210)의 하부에 별도로 부착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면에서 선호될 수 있다.
한편, 도 16d 및 도 16e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 및 박음질부(34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320')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온수관(330')을 감싸도록 하여,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하여 그 양단 전체가 박음질되어 박음질부(34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온수관(330)을 감싼 상태로 박음질되어 박음질부(34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16d 및 도 16e의 어느 경우든지 미리 제작된 적절한 두께의 상부천(미도시)이 더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7a 내지 도 17e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로서, 박음질부(420)가 형성되는 세 가지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온수매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7d 및 도 17e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7a 내지 도 17c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400)는 쿠션 부재(410), 평탄부와 오목부(450)를 갖는 쿠션부재(410)의 상면에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내에 삽입되는 온수관(430), 및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내에 삽입된 온수관(430)의 이탈을 막도록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를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의 상면 중 오목부(450) 내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440)를 포함한다. 앞서 제1 또는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매트(400)에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430) 내부로 순환시키는 온수가열부(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온수가열부로서는 통상의 전기보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의 온수매트(400)의 쿠션부재(410)의 상면이 평탄부와 오목부(450)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제3 실시예의 온수매트(400)와 제2 실시예의 온수매트(300)의 두드러진 차이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의 테일(421)과 바디(422) 모두가 오목부(45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테일(421)이 오목부(450) 내에 박음질되어 고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는 온수관(4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박음질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정 두께를 갖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온수관(43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에 삽입된 상태로 되는 작업 과정을 예를 들어 살펴보면, 우선, 오목부(450)가 형성된 쿠션부재(410)를 준비한 후, 쿠션부재(410)의 상면에 오목부(450)와 평탄부에 걸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형성을 위한 천을 나란히 배치한다. 이 때, 상기 천은 평탄부와 오목부(450) 모두에 걸쳐 있도록 배치한 후, 온수관(430)이 오목부(450) 상에 위치하도록 천의 적절한 지점에 온수관(430)을 배치하고, 그런 다음 온수관(430)이 천에 의해 감싸지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다. 결과적으로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에 온수관(430)이 삽입된 상태로 되고, 그 상태로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전체가 오목부(450) 내에 수용된다. 그런 다음,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은 상태로 테일(421)이 오목부(450) 내에서 박음질됨으로써,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온수관(430)이 삽입된 상태를 놓고 보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의 테일(421)과 바디(422)에서, 온수관(430)은 바디(422)에 의해 감싸여지고, 테일(421)은 쿠션부재(410)의 오목부(450) 내에서 고정을 위해 박음질되는 부분이다.
온수관(430)은 유연한(flexible) 관으로 형성되며, 온수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온수매트의 상부로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박음질부(4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를 이루는 천의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한 상태에서 양단이 쿠션부재(410)의 오목부(450)에 고정되도록 박음질된 부분이다. 박음질부(4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내에 삽입된 온수관(44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오목부(450)를 갖는 쿠션부재(410)와, 쿠션부재(410)의 오목부(450) 내에 수용되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와 박음질부(440)에 의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내에서 온수관(430)이 자리잡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이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7a에서는 박음질부(440)가 쿠션부재(410)의 일부분에만 박음질되어 형성된 예이고, 이와는 다르게 도 17b에서와 같이, 박음질부(4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의 테일(421)을 통과하고 더 나아가 쿠션부재(410)도 완전히 통과하도록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부(440)는 쿠션부재(410)의 하부에 하부천(450)을 배치하여,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의 테일(421)과 쿠션부재(410)를 통과하여 하부천(450)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7c와 같이 박음질부(440)를 형성하는 경우, 하부천(450)과 쿠션부재(410) 간을 하나의 공정으로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하부천(250)을 쿠션부재(210)의 하부에 별도로 부착하는 작업 과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면에서 선호될 수 있다.
한편, 도 17d 및 도 17e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 및 박음질부(44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420')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온수관(430')을 감싸도록 하여, 너비 방향의 양단이 맞닿도록 하여 그 양단 전체가 박음질되어 박음질부(44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온수관(430)을 감싼 상태로 박음질되어 박음질부(44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17d 및 도 17e의 어느 경우든지 미리 제작된 적절한 두께의 상부천(미도시)이 더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8a 내지 도 18e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특히, 도 18a 내지 도 18c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로서, 박음질부(520)가 형성되는 세 가지 예들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온수매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18d 및 도 18e는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온수매트의 평면도들이다.
먼저, 도 18a 내지 도 18c를 참조하면, 상기 온수매트(500)는 쿠션 부재(510), 상면이 복수 개의 평탄부와 복수 개의 오목부(550)를 갖는 쿠션부재(510), 복수 개의 오목부(550) 각각에 삽입되는 온수관(530), 온수관(530)이 삽입된 오목부(550)를 커버하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 내에 삽입된 온수관(530)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의 양단을 상기 평탄부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540a, 540b; 이하 총괄하여 540으로 표시함)를 포함한다. 여기서,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의 양단은 너비 방향의 양단을 의미한다.
앞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온수매트(500)에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관(530) 내부로 순환시키는 온수가열부(미도시)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온수가열부로서는 통상의 전기보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또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4 실시예의 온수매트(500)의 쿠션부재(510)의 상면이 평탄부와 오목부(550)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제4 실시예의 온수매트(500)와 제2 또는 제3 실시예와의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의 양단이 각각 쿠션부재(510)의 평탄부 상에서 따로따로 박음질되어 고정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온수관(530)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에 의해 감싸여지지 않고,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가 오목부(550)를 위에서 커버한 상태이다.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는 마찬가지로 박음질부(540)와의 조합에 의해 온수관(53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박음질이 용이한 재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일정 두께를 갖는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는 온수관이 삽입된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을 커버하기 위해,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마련된다.
온수관(530)은 유연한(flexible) 관으로 형성되며, 온수가열부(미도시)에 의해 가열된 온수가 내부로 흐르도록 하여 온수매트의 상부로 온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박음질부(540)는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를 이루는 천의 양단이 각각 쿠션부재(510)의 평탄부에 고정되도록 박음질된 부분이다. 박음질부(5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 내에 삽입된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의 양측을 오목부(550)의 양측으로 인접한 평탄부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부분이다. 박음질부(540)는 온수관(540)이 오목부(550)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에 의해 커버되어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 밖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여 오목부(550)를 갖는 쿠션부재(510)와, 쿠션부재(510)의 오목부(550) 내에 온수관(530)을 배치하고,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와 박음질부(540)에 의해 오목부(550) 내에 자리잡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천(미도시)과 하부천(미도시)이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도 18a에서는 박음질부(540)가 쿠션부재(510)의 일부분에만 박음질되어 형성된 예이고, 이와는 다르게 도 18b에서와 같이, 박음질부(540)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를 통과하고 더 나아가 쿠션부재(510)도 완전히 통과하도록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음질부(540)는 쿠션부재(510)의 하부에 하부천(550)을 배치하여,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와 쿠션부재(510)를 통과하여 하부천(550)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8c와 같이 박음질부(540)를 형성하는 경우, 하부천(550)과 쿠션부재(510) 간을 하나의 공정으로 박음질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면에서 선호될 수 있다.
한편, 도 18d 및 도 18e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 및 박음질부(540)의 두 가지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관 이탈 방지부(520')는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오목부(550')를 덮도록 하고, 너비 방향으로 양단 전체를 박음질함으로써 박음질부(540')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띄엄띄엄 배치되어 오목부(550)를 덮은 상태로 박음질하여 박음질부(540)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도 18d 및 도 18e의 어느 경우든지 미리 제작된 적절한 두께의 상부천(미도시)이 더 추가되어 온수매트가 완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온수매트 내에서 온수관이 제자리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온수매트 전체에서 쿠션이 골고루 분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개시은 종래 온수매트 제조 과정에서 쿠션부재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배치되는 상부커버천과 하부커버천을 박음질을 통해 별도의 쿠션부재설치홈을 형성한 후, 그 사이에 각각 쿠션부재를 충진하여야 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이로 인한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는 온수매트 내에서 온수관이 제자리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온수매트 전체에서 쿠션이 골고루 분포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개시은 종래 온수매트 제조 과정에서 쿠션부재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배치되는 상부커버천과 하부커버천을 박음질을 통해 별도의 쿠션부재설치홈을 형성한 후, 그 사이에 각각 쿠션부재를 충진하여야 하는 공정이 생략되므로, 이로 인한 작업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21)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직조하는 과정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서로 다른 크기의 홈이 교번되도록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홈 상에 관과 쿠션이 서로 교번되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3)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2) 직조 과정에 형성된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3) 2)단계에서 삽입된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커버부재 하부에 다수개의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4) 상기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1) 날실과 씨실을 서로 교차시켜 베이스 부재를 직조하는 과정에 다수개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3) 상기 홈 사이에 쿠션을 박음질하는 단계; 및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1)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면에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매듭을 배치하는 단계;
2) 상기 매듭의 패턴을 따라서 관을 배치하고 묶는 단계;
3) 상기 관 사이에 위치되도록 쿠션을 커버부재 하면에 배치하는 단계; 및
4) 상기 베이스 부재와 커버부재를 서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1) 홈이 형성되도록 고정부재를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2) 상기 홈 사이에 위치되도록 직조된 베이스 부재 상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쿠션을 고정하는 단계;
3) 상기 홈 상에 관을 삽입하는 단계;
4) 베이스 부재를 덮도록 커버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쿠션 하부에 위치되는 면과 사이에 위치되는 면이 베이스 부재 전체 면과 대응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쿠션 사이에 홈이 형성되게 하거나 쿠션과 쿠션 사이에서 면 상의 양단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홈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베이스 부재와 박음질 또는 열 융착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베이스 부재의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등간격 형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온수매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온수매트.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복수 개의 온수관홈과 상기 온수관홈 각각에 대응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쿠션부재;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되며,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된 상기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가이드의 중간을 차단하는 박음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온수관홈까지 연결되고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음질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평부를 통과하여 상기 쿠션부재의 하면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온수관홈까지 연결되고 수직부와 수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음질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수평부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천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0에 기재된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쿠션부재를 내부의 일정 깊이까지 절개하여 가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게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에 온수관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된 상기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가이드의 중간을 박음질하되,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쿠션부재의 하면까지 박음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 방법.
청구항 12에 기재된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쿠션부재를 내부의 일정 깊이까지 절개하여 가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가이드와 연결되게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에 온수관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쿠션부재의 하부에 하부천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온수관홈에 삽입된 상기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가이드의 중간을 박음질하되,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천까지 박음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 방법.
온수가열부, 상부천, 하부천, 상기 상부천과 상기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제공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을 포함하는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쿠션부재를 준비하는 단계;
(b)상기 쿠션부재의 제1 측면과 상기 제1 측면에 반대되는 제2 측면이 서로 통하도록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에 복수 개의 온수관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온수관홈에 온수관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 방법.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1 측면에서 상기 제2 측면 측을 향하여 연장되게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로 복수 개의 제1 통공들(first through holes)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면에서 상기 제1 측면 측을 향하여 연장되게 상기 쿠션부재의 내부로 복수 개의 제2 통공들(second through holes)을 형성하여, 상기 제1 통공들 각각과 상기 제2 통공들 각각이 서로 만나도록 하여 상기 복수 개의 온수관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 방법.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나란히, 그리고 각각이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복수 개의 온수관 이탈 방지부;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되는 온수관; 및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된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를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는 상기 온수관을 감싸는 바디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박음질되는 테일을 가지며,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은 평탄부와 오목부를 갖되, 상기 박음질부는 상기 테일을 상기 평탄부에 박음질하여 형성되며, 상기 바디는 상기 오목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는 상기 온수관을 감싸는 바디와,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에 박음질되는 테일을 가지며,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은 평탄부와 오목부를 갖되, 상기 테일 및 상기 바디 모두가 상기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박음질부는 상기 테일을 상기 오목부 내에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상부천과 하부천 사이에 개재되는 쿠션부재와 가열된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온수가열부를 포함하는 온수매트에 있어서,
상면이 복수 개의 평탄부와 복수 개의 오목부를 갖도록 형성된 상기 쿠션부재;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온수가열부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제공받아 순환시키는 온수관;
상기 온수관이 삽입된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개의 오목부 각각에 대응되게 독립적으로 마련되는 온수관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 내에 삽입된 온수관의 이탈을 막도록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의 양측을 상기 오목부의 양측으로 인접한 평탄부에 박음질로 고정시키는 박음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음질부는 상기 쿠션부재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온수관 이탈 방지부와 상기 쿠션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천까지 박음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PCT/KR2014/004167 2013-05-27 2014-05-09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WO20141930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9594 2013-05-27
KR20130059594A KR20140139224A (ko) 2013-05-27 2013-05-27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KR10-2013-0094472 2013-08-09
KR1020130094472A KR20150018055A (ko) 2013-08-09 2013-08-09 온수 매트 장치
KR1020130094467A KR20150018054A (ko) 2013-08-09 2013-08-09 온수 매트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3-0094467 2013-08-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3098A1 true WO2014193098A1 (ko) 2014-12-04

Family

ID=51989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4167 WO2014193098A1 (ko) 2013-05-27 2014-05-09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93098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484A (ja) * 2001-09-19 2003-03-28 Mitsui Chemicals Inc サドル系電気融着継手用のマット
KR20030035879A (ko) * 2001-10-25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히터선부착 시트체, 히터선부착 시트체를 사용한 전위매트및 히터선부착 시트체의 제조방법
KR200404244Y1 (ko) * 2005-09-01 2005-12-20 정병조 온수매트의 온수튜브의 고정구조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090116323A (ko) * 2008-05-07 2009-11-11 최승모 스프링 침대용 온수 매트리스
KR20130009530A (ko) * 2011-07-15 2013-01-23 모명숙 발열파이프가 내장된 온열식 침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484A (ja) * 2001-09-19 2003-03-28 Mitsui Chemicals Inc サドル系電気融着継手用のマット
KR20030035879A (ko) * 2001-10-25 2003-05-09 가부시키가이샤 아텍스 히터선부착 시트체, 히터선부착 시트체를 사용한 전위매트및 히터선부착 시트체의 제조방법
KR200404244Y1 (ko) * 2005-09-01 2005-12-20 정병조 온수매트의 온수튜브의 고정구조
KR100686594B1 (ko) * 2006-08-18 2007-02-26 주식회사 토원 밀폐식 소형 전기보일러를 이용한 온수매트장치
KR20090116323A (ko) * 2008-05-07 2009-11-11 최승모 스프링 침대용 온수 매트리스
KR20130009530A (ko) * 2011-07-15 2013-01-23 모명숙 발열파이프가 내장된 온열식 침대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87286A2 (ko) 도전성 직조물,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20150173514A1 (en) Office chair
JP3792101B2 (ja) 電気加熱/加温布製品
WO2000040108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motifs en relief sur un tissu vestimentaire et vetement correspondant
WO2014193098A1 (ko)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온수매트
PL190527B1 (pl) Taśma odwadniająca, zwłaszcza sito osuszające
WO2009136703A1 (ko) 제직으로 일체된 버티컬 블라인드 및 그 제조 방법
JPH0753935B2 (ja) ニットタイプの布帛シート、布帛シートの製造方法、布帛と布帛シートの複合体および該複合体を第2の布帛に接合する方法
US20060197250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inforcing cloth of sheet pad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186393A1 (ko) 발열시트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장치
WO2019156345A1 (ko) 환기 구조를 갖는 양면 탑퍼를 포함하는 매트리스 어셈블리
WO2015093703A1 (ko) 이불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불
WO2014171785A1 (ko) 냉온수 매트
WO2018009013A1 (ko) 퀼팅 인조가죽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34160A (ko) 도전선 삽입형 면상도전체와 그 제조방법
JP4167942B2 (ja) 強化繊維シート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83507A (ko) 수축성 직물을 이용한 누비이불 제조방법
KR102454253B1 (ko) 온열 매트용 발열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3642086B2 (ja) 電気採暖具の製造方法
KR20000005507A (ko) 보호커버를 갖춘 원통형 보빈 제조방법
WO2023177011A1 (ko) 가열장치가 내장된 이동용 플렉시블 백 제조 방법 및 이동용 플렉시블 백
WO2010107186A2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40525A1 (ko) 금속사 장력 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 면상발열체 직조방법
WO2023096116A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장치
CN212422389U (zh) 一种阻燃色织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03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8.03.2016)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035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