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89165A1 -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89165A1
WO2014189165A1 PCT/KR2013/004760 KR2013004760W WO2014189165A1 WO 2014189165 A1 WO2014189165 A1 WO 2014189165A1 KR 2013004760 W KR2013004760 W KR 2013004760W WO 2014189165 A1 WO2014189165 A1 WO 20141891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id
color conversion
paste
gel
slu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7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형구
Original Assignee
Chang Hyong-K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Chang Hyong-Ku filed Critical Chang Hyong-Ku
Publication of WO20141891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8916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0Sympathetic, colour changing or similar in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lurry or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containing a process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by adjusting the type and amount of processing aid having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various oil-based system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slurry, a paste or a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including a processing aid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form and viscosity of an oil-based color conversion ink.
  • the color conversion inks used in the existing field ar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particles are dispersed in an aqueous / oil-based solvent.
  • the particles settle by gravity over time even through the addition of a dispersant and a dispersing process, and it is easy to settle the particles using magnetism, but the particles themselves do not return to their original state after the magnetic removal. It is very difficult to keep the concentration uniform for each solvent position.
  • the color conversion ink is processed in the form of a micro bank, a micro cup, a micro capsule, etc., but this is also very complicated and highly advanced. Technology is required and its price range is limiting its scope.
  • the techniques for thickening or gelling the color converting ink can provide a method of having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form of the color converting ink in the form of a slurry or a paste or a gel in a liquid, which is a very innovative technique. will b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slurry or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comprising a processing aid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shape and viscosity of the water-based or oil-based color conversion ink.
  • a processing aid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shape and viscosity of the water-based or oil-based color conversion ink.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n ink including a process aid and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and a suspension fluid.
  •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are hematite ( ⁇ -Fe 2 O 3 ), magnetite (Fe 3 O 4 ), maghemite ( ⁇ -Fe 2 O 3 ), ferric trioxide ( ⁇ -Fe 2 O 3 , ⁇ - Fe 2 O 3 ), one of iron monoxide (FeO) or a plurality of selected.
  • the color conversion particles are Mg, Al, Cr, Mn, Fe, Co, Ni, Cu, Zn, Rb, Sr, Nb, Mo, Pd, Ag, Cd, Sn, Ba, W, Pt, Au and Pb It may be made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components.
  • the method for producing a slurry,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comprising the process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type and amount of the processing aid having an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various oil-based systems, thereby producing an aqueous or oil-based color conversion in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reely adjust the shape and viscosity.
  • the color conversion materials produced through this technology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and can be easily handled to extend the scope of application.
  • the slurry or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containing the processing aid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wide range of application. w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n ink comprising a process aid and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and a suspension fluid.
  • the suspension fluid is composed of any one of an aqueous fluid and an oil fluid.
  • the aqueous fluid is composed of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but preferably includes 90 to 100 mass% of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and more preferably includes 95 to 100 mass% of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 the aqueous fluid is water; Acetone; Hydrophilic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ldehyde solvents; Terpene derivative solvents such as ester solvents and ketone solvents; Ethyl acetate solvent; Chloroform solvent; Pyrrolidone solvents such as N-methyl-2-pyrrolidone, 2-pyrrolidone and N-vinyl-pyrrolidone; Carbonate solvents such as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1,2-butylene carbonate, 1,3-butylene carbonate, fluoro eth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 the oil-based fluid is composed of a water insoluble component, preferably made of 90 to 100% by mass of water insoluble components, more preferably 95 to 100% by mass of water insoluble components.
  • the oil-based fluid, epoxide solvent such as decane epoxide and dodecane epoxide
  • Vinyl ether solvents such as cyclohexyl vinyl ether and dicarb
  •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naphthalene
  • Halogenated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fluorodibromoethyl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trifluorochloroethylene, 1,2,4-trichlorobenzene, carbon tetrachloride,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and dichlorobenzene
  •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norpa, naphtha, and other petroleum
  • Silicone oil solvents such as octamethyl cyclosiloxane and high molecular weight cyclic siloxane, poly (methyl phenyl
  • Processing aids included in the aqueous fluid, cross-linked acrylic acid polymer Methylcellulose, 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nitrocellulose, sodium cellulose sulfate, carboxymethylcellulose, crystalline cellulose, powder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polyvinyl alcohol, carboxyvinyl polymer,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guar gum, hydroxypropyl guar gum, gelatin, xanthan gum, gum arabic, tragacanth, galactan, carob gum, karaya gum, carrageenan, pectin, agar, quince seed, starch, algal colloid and Modified cellulose polymers; Microbiological polymers such as dextran, succinoglucan, pulleran; Starch based polymers such as carboxymethyl starch, methylhydroxypropyl starch; Alginic acid-based polymers such as sodium alginate and propylene glycol est
  • the processing aid included in the oil-based fluid is a polymer produced by ester polymerization of styrene-isoprene block copolymer, ethylene and propylene rubber, acrylate or methacrylate group, polyisobutylene, disteadimonium Hectorite, ozokerite, carnauba wax, bisfig-12 dimethicone beeswax, bisfig-12 dimethicone canarylate, bisfig-18 dimethicone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stearyl dimethicone, C30 45 alkyl dimethicone and C30-45 olefin, behenoxy dimethicone, stearoxy dimethicone and cetyl dimethicone.
  • the color conversion particl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to the fluid volume of 1 to 50% wt / vol.
  • the processing ai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fluid volume is thickened by adding 0.5 to 60% wt / vol.
  • the additive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and the additive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dispersant, a fluid strengthening agent, an antifoaming agent, an antioxidant, a UV absorber, and an organic film forming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producing an ink comprising a process aid and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and a suspension fluid.
  •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are hematite ( ⁇ -Fe 2 O 3 ), magnetite (Fe 3 O 4 ), maghemite ( ⁇ -Fe 2 O 3 ), ferric trioxide ( ⁇ -Fe 2 O 3 , ⁇ - Fe 2 O 3 ), one of iron monoxide (FeO) or a plurality of selected.
  • the color conversion particles are Mg, Al, Cr, Mn, Fe, Co, Ni, Cu, Zn, Rb, Sr, Nb, Mo, Pd, Ag, Cd, Sn, Ba, W, Pt, Au and Pb It may be made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components.
  • the suspension fluid is composed of any one of an aqueous fluid and an oil fluid.
  • the aqueous fluid is composed of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but preferably includes 90 to 100 mass% of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and more preferably includes 95 to 100 mass% of the water and a water-soluble component. .
  • the aqueous fluid is water; Acetone; Hydrophilic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ldehyde solvents; Terpene derivative solvents such as ester solvents and ketone solvents; Ethyl acetate solvent; Chloroform solvent; Pyrrolidones such as N-methyl-2-pyrrolidone, 2-pyrrolidone, and N-vinyl-pyrrolidone ( pyrrolidone solvents;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1,2-butylenes carbonate, 1,3-butylene carbonate, Carbonate solvents such as fluoro eth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Any one or a plurality of selected.
  • Processing aids included in the aqueous fluid, cross-linked acrylic acid polymer (CTFA name carbomer); Methyl cellulose, ethyl cellulose, hydroxy 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nitrocellulose, sodium cellulose sulfate , Carboxymethyl cellulose, crystalline cellulose, powdered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polyvinyl alcohol, carboxyvinyl polymer, guar Guar gum, hydroxypropyl guar gum, xanthan gum, arabic gum, tragacanth, galactan, carob gum ), Karaya gum, carrageenin, pectin, agar, cyndonia oblonga mill, starch (rice, corn, potato, wheat) (starch), bird colloid ( colloid) Cellulose derivatives and modified cellulose polymers; Microbiological polymers such as dextran, succinoglucan, and pulleran; Starch based polymers such
  • the oil-based fluid is composed of a water-insoluble component, but preferably comprises 90 to 100% by mass of water-insoluble components, more preferably 95 to 100% by mass of the water-insoluble component is provided with an oil-based fluid.
  • the oil-based fluid may be, for example, epoxide solvents such as decane epoxide and dodecane epoxide; Vinyl ether solvents such as cyclohexyl vinyl ether and Decave (Decave,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New York, NY); Aromatic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naphthalene; Tetrafluorodibromo ethylene, trichloroethylene, tetrachloroethylene, trifluorochloroethylene, 1,2,4-trichlorobenzene, carbon tetrachloride halogenated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chloride, dichloromethane, dichloroethane and dichlorobenzene; Aliphatic hydrocarbons of the dodecane, tetratradecane, isopar series (Exxon, Houston, TX);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Norpar, naphtha, and other petroleum; Silicone oil solvent
  • the processing aid included in the oil-based fluid is a hydrogenated styrene-isoprene block copolymer, ethylene (ethylene) and propylene rubber (OCP), acrylates (acrylates) or methacrylate (methacrylate) group Polymers produced by ester polymerization, polyisobutylene, disteardimonium fectorite, ozokerite, carnauba wax, bispage-12 dimethicone Bis PEG-12 Dimethicone bees wax, Bis PEG-12 Dimethicone Candelillate, Bis PG-18 Dimethicone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stearyl dimethicone, C30-45 alkyl dimethicone (C30-45 Alkyl dimethicone) and C30-45 olefins (C30-45 Olefin), Behenoxy Dimethicone, stearoxy dimethicone Cones made of any one or a selected plurality of (Stearoxy
  • the magnetic color conversion particles, the weight ratio of the fluid volume is preferably 1 to 50% wt / vol.
  • the processing aid the weight ratio to the fluid volume is preferably 0.5 to 60% wt / vol to add and thicken.
  • the processing aid is to prepare a slurry or paste or gel by varying the weight ratio to the fluid volume, respectively, the weight ratio of the fluid volume to each of the processing aid is added differently, of course.
  • An additive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processing aid, and the additive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a dispersant, a fluid strengthening agent, an antifoaming agent, an antioxidant, a UV absorber, and an organic film forming agent.
  • the dispersant may include a polyalkylene succinimide dispersant; Any one or a plurality of mixtures of OLOA class such as OLOA 11000, OLOA 11001, OLOA 11002, OLOA 11005, OLOA 371, OLOA 375, OLOA 411, OLOA 4500, OLOA 46001, OLOA 8800, OLOA 8900, OLOA 9000, OLOA 9200; BYK P-105, which is an un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BYK 9076 or BYK 9077, which is an alkylammonium salt of a high molecular weight copolymer; Disperbyk 108, a hydroxy-functional carboxylic acid ester; Disperbyk 116, an acrylates copolymer; Disperbyk 140, a solution of alkylammonium salts of acid polymers in 2-methoxy-1-methylethyl acetate; Disperbyk 168, a solution of
  • the dispersant is a polyvinyl pyrrolidone, alginic acid, chitosan, carboxy methyl cellulose, a homo and copolymer of acrylamide, polyacrylic acid, polyethylene oxide,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polyvinyl acetate copolymer, poly (N Vinylpyrrolidone), polyhydroxyethyl acrylate, polyaspartic acid, carbomer, polyalk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polyalkylene oxide, polyoxyethylene, gelatin,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unit,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t may consist of either a unit or a plurality of mixtures selected from a phosphoric acid group containing monomer unit.
  • the dispersant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but may be made of any one or a plurality of mixtures selected from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added for dispersion, such a simple change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 the slurry,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containing the processing aid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by allowing the preparation of the slurry, paste, and gel in the form requi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processing aid. Widens.
  • An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eparing a slurry or paste or gel for a color conversion ink including the process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 the mixture is maintained at 50 ° C. and slowly added to the mixture by dividing gelatin 1.5 g and xanthan gum 1 g over 10 times while the ultrasonic wave and stirring are performed.
  • the mixture is slowly cooled in 5 steps, thereby maintaining a gel state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o prepare a gel for a magnetic color conversion ink.
  • the slurry is applied in a desired shape and form,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gel for a magnetic color conversion ink in which color changes in a magnetic field even in a gel state.
  • the temperature is slowly cooled to 5 steps, thereby maintaining the paste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at 5 ° C. to prepare a paste for the color conversion ink.
  • the temperature is slowly cooled to 5 steps, thereby maintaining a gel state at room temperature for 30 minutes to prepare a gel for a magnetic color conversion ink.
  • the slurry is applied in a desired shape and form,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prepare a gel for a magnetic color conversion ink in which color changes in a magnetic field even in a gel st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제시스템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는 가공조제의 종류 및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수계 또는 유계의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 및 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자계색변환 입자 및 현탁유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는 것이 특징으로서, 다양한 유제시스템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는 가공조제의 종류 및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수계 또는 유계의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 및 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유제시스템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는 가공조제의 종류 및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수계 또는 유계의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 및 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필드에서 사용되는 자계색변환 잉크들은 수/유계 용매에 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상기 자계색변환 잉크에서 입자는 분산제 첨가와 분산공정을 통해서도 시간이 지남에 있어 중력으로 침강하게 되고, 또한 자성을 이용하여 입자를 침강시키는 것은 쉬우나 자성제거 후 입자 자체가 스스로 원래 상태로 복귀하지 못하여 용매 위치마다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상기 자계색변환 잉크들을 여러 산업분야에 응용, 활용할 때에도 저점도의 액체 자체를 핸들링하기 쉽지 않아 가공을 통해 사용영역을 확대하려는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취급이 쉬운 필름 형태로 가공하기 위해 자계색변환 잉크를 마이크로 뱅크(Micro bank), 마이크로 컵(Micro cup), 마이크로 캡슐(Micro capsule) 등의 형태로 가공하고 있으나, 이 또한 매우 복잡하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며 높은 가격대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단순한 형태로 간편하게 제조하고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의 형태로 제조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자계색변환 잉크를 증점시키거나 겔화시키기 위한 기술들은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를 액체에서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등의 형태로 자유도를 갖는 제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획기적인 기술이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계 또는 유계의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 및 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자계색변환 입자 및 현탁유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헤마타이트(α-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마그헤마이트(γ-Fe2O3), 삼산화이철(β-Fe2O3, ε-Fe2O3), 일산화철(FeO)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Mg, Al, Cr, Mn, Fe, Co, Ni, Cu, Zn, Rb, Sr, Nb, Mo, Pd, Ag, Cd, Sn, Ba, W, Pt, Au 및 Pb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은, 다양한 유제시스템과의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는 가공조제의 종류 및 첨가량을 조정함으로써, 수계 또는 유계의 자계색변환 잉크의 형태 및 점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제조된 자계색변환 물질은 여러 형태로 응용이 가능하고 핸들링이 쉬워 그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기 가공조제의 투입량에 따라 요구하는 형태의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의 제조가 가능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은 그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자계색변환 입자 및 현탁유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현탁유체는, 수계유체 또는 유계유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계유체는, 물 및 수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및 수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물 및 수용성 성분이 95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유체는,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알코올 용매; 알데히드 용매; 에스테르 용매 및 케톤 용매 등의 테르펜 유도체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클로로포름 용매;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 용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2-부틸렌 카보네이트, 1,3-부틸렌 카보네이트, 플로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계유체는, 물 불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불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물 불용성 성분이 95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유계유체는, 데칸 에폭시드 및 도데칸 에폭시드 등의 에폭시드 용매; 시클로헥실 비닐 에테르 및 디카브 등의 비닐 에테르 용매; 톨루엔 및 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테트라플루오르디브로모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1,2,4-트리클로로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유기 용매; 도데칸, 테트라데칸, 아이소파 시리즈의 지방족 탄화수소; 노르파, 나프타, 및 기타 페트롤륨 등의 탄화수소 용매; 옥타메틸 시클로실록산 및 고분자량의 고리형 실록산, 폴리 (메틸 페닐 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오일 용매; 갈든, 듀폰의 크라이톡스 등의 저분자량 할로겐-함유 중합체 용매;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소듐 셀룰로스술페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결정성셀룰로스, 분말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 젤라틴, 잔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 갈락탄, 카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닌, 펙틴, 아가, 귄체씨드, 녹말, 조류콜로이드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및 개질된 셀룰로스 중합체;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레란과 같은 미생물학적 중합체; 카르복시메틸녹말, 메틸히드록시프로필녹말과 같은 녹말 기재 중합체; 소듐알기네이트,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와 같은 알긴산-기재중합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아민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벤토니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라포니트, 헥토리트 및 무수 실릭산과 같은 무기 수용성 물질;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토산, 또는 알파-클로로아크릴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단량체,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쇄를 갖는 카르복실에스테르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카르복실산/카르복실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 및 비이온성 중합체; 중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수소화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및 프로필렌계고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군의 에스테르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 오조케라이트, 카나우바왁스,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칸데릴레이트, 비스 피이지-18 디메티콘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스테아릴 디메티콘, C30-45 알킬 디메티콘 및 C30-45 올레핀, 베헤녹시 디메티콘, 스테아록시 디메티콘 및 세틸 디메티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1 ∼ 50% wt/vol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공조제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0.5 ∼ 60% wt/vol 을 첨가하여 증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유동성강화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UV흡수제, 유기막형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본 발명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자계색변환 입자 및 현탁유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헤마타이트(α-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마그헤마이트(γ-Fe2O3), 삼산화이철(β-Fe2O3, ε-Fe2O3), 일산화철(FeO)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Mg, Al, Cr, Mn, Fe, Co, Ni, Cu, Zn, Rb, Sr, Nb, Mo, Pd, Ag, Cd, Sn, Ba, W, Pt, Au 및 Pb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현탁유체는, 수계유체 또는 유계유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계유체는, 물 및 수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및 수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 및 수용성 성분이 95 ∼ 100 질량%로 수계유체를 구비한다.
상기 수계유체는, 물; 아세톤(acetone);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등의 친수성 알코올(alcohol) 용매; 알데히드(aldehyde) 용매; 에스테르(ester) 용매 및 케톤(ketone) 용매 등의 테르펜(terpene) 유도체 용매;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용매; 클로로포름(chloroform) 용매; N-메틸-2-피롤리돈(N-methyl-2-pyrrolidone), 2-피롤리돈(2-pyrrolidone), N-비닐-피롤리돈(N-vinyl-pyrrolidone) 등의 피롤리돈(pyrrolidone) 용매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1,2-부틸렌 카보네이트(1,2-butylenes carbonate), 1,3-부틸렌 카보네이트(1,3-butylene carbonate), 플로로 에틸렌 카보네이트(fluoro ethylene carbonate),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thyl·methyl carbonate), 디에틸 카보네이트 (diethyl carbonate) 등의 카보네이트(carbonate)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CTFA명 carbomer);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ydroxy ethyl cellulose),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 니트로셀룰로스(nitrocellulose), 소듐 셀룰로스술페이트(sodium cellulose sulf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methyl cellulose), 결정성셀룰로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분말셀룰로스(powdered cellulos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vinylpolymer), 구아검(guar gum),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hydroxypropyl guar gum) , 잔탄검(xanthan gum), 아라비아검(arabic gum), 트라가칸트(tragacanth), 갈락탄(galactan), 카로브검(carob gum), 카라야검(karaya gum), 카라기닌(carrageenin), 펙틴(pectin), 아가(agar), 귄체씨드(Cydonia oblonga Mill), 녹말(쌀, 옥수수, 감자, 밀)(starch), 조류콜로이드(colloid)(조류추출물)와 같은 셀룰로스(cellulose) 유도체 및 개질된 셀룰로스(cellulose) 중합체; 덱스트란(dextran), 숙시노글루칸(succinoglucan), 풀레란(puleran)과 같은 미생물학적 중합체; 카르복시메틸녹말(carboxymethyl starch), 메틸히드록시프로필녹말(methylhydroxypropyl starch)과 같은 녹말 기재 중합체; 소듐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sodium propylene glycol alginate)와 같은 알긴산-기재중합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sodium polyacrylate),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polyethylacrylate),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폴리에틸렌아민(polyethylene amine)과 같은 아크릴레이트(acrylate) 중합체; 벤토니트(bentonite), 알루미늄(Aluminium), 마그네슘(magnesium), 실리케이트(silicate), 라포니트(rapportneat), 헥토리트(hectorite) 및 무수 실릭산(silicic)과 같은 무기 수용성 물질; 및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이타콘산(itaconic acid), 푸마르산(fumaric acid), 크로토산(croto acid), 또는 알파-클로로아크릴산(α-chloroAcrylic acid)과 같은 카르복실산(carboxylic acid) 단량체,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쇄를 갖는 카르복실에스테르(carboxyl ester)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카르복실산/카르복실레이트(carboxylic acid/Carboxylate) 공중합체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 및 비이온성 중합체; 중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계유체는, 물 불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불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물 불용성 성분이 95 ∼ 100 질량%로 유계유체를 구비한다.
상기 유계유체는, 데칸 에폭시드(dacane epoxide) 및 도데칸 에폭시드(dodecane epoxide) 등의 에폭시드 용매; 시클로헥실 비닐 에테르(cyclohexyl vinyl ether) 및 디카브(Decave,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New York, NY)등의 비닐 에테르 용매; 톨루엔(toluene) 및 나프탈렌(naphthal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테트라플루오르디브로모에틸렌(tetrafluorodibromo ethyle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trifluorochloroethylene), 1,2,4-트리클로로벤젠(trichlorobenzene), 사염화탄소(carbon tetrachloride),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디클로로에탄(dichloroethane), 디클로로벤젠(dichlorobenzene) 등의 할로겐화 유기 용매; 도데칸(do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아이소파(Isopar) 시리즈의 지방족 탄화수소(Exxon, Houston, TX); 노르파(Norpar), 나프타(naphtha), 및 기타 페트롤륨(Petroleum) 등의 탄화수소 용매; 옥타메틸 시클로실록산(Octamethylcyclosiloxane) 및 고분자량의 고리형 실록산, 폴리(메틸 페닐 실록산)poly(Methylphenylsiloxane), 헥사메틸디실록산(hexamethyldisiloxane), 및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등의 실리콘오일 용매; 갈든(Galden)(Ausimont, Morristown, NJ의 퍼플루오로화 에테르), 듀폰(Dupont)(Wilmington, DE)의 크라이톡스(Krytox) 등의 저분자량 할로겐-함유 중합체 용매;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oly(chlorotrifluoroethylene) 중합체(Halogenated hydrocarbonInc., River Edge, NJ)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수소화스티렌-이소프렌 블록(hydrogenaterstyrene-isoprene block) 공중합체, 에틸렌(ethylene) 및 프로필렌계고무(OCP), 아크릴레이트(acrylates) 또는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군의 에스테르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fectorite), 오조케라이트(ozokerite), 카나우바왁스(carnauba wax),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밀납(Bis PEG-12 Dimethicone bees wax),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칸데릴레이트(Bis PEG-12 Dimethicone Candelillate), 비스 피이지-18 디메티콘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Bis PEG-18 Dimethicone Methyl ether Dimethyl silane), 스테아릴 디메티콘(Stearyl Dimethicone), C30-45 알킬 디메티콘(C30-45 Alkyl dimethicone) 및 C30-45 올레핀(C30-45 Olefin), 베헤녹시 디메티콘(Behenoxy Dimethicone), 스테아록시 디메티콘(Stearoxy Dimethicone) 및 세틸 디메티콘(Cetyl Dimethicone)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1 ∼ 50% wt/vol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조제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은 0.5 ∼ 60% wt/vol 을 첨가하여 증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공조제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을 각각 달리하여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을 각각 제조하는 것으로, 가공조제의 종류에 따라서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각각 다르게 첨가됨은 물론이다.
즉, A라는 가공조제를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할 때 0.5 ∼ 10% wt/vol을 첨가하였다면, B라는 가공조제를 이용하여 페이스트를 제조할 때에는 20 ∼ 40% wt/vol을 첨가하는 등 각 가공조제의 종류에 따라 첨가비율이 다르게 되는 것이다.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0.5 ∼ 60% wt/vol 내에서, 각 가공조제에 따라 첨가하는 비율이 달라져야 하는 것을 통상적으로 알고 있다.
이에 상기 가공조제에 따라 첨가하는 비율이 달라지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공조제에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유동성강화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UV흡수제, 유기막형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알킬렌 숙신이미드(polyalkylene succinimide) 분산제; OLOA 11000, OLOA 11001, OLOA 11002, OLOA 11005, OLOA 371, OLOA 375, OLOA 411, OLOA 4500, OLOA 46001, OLOA 8800, OLOA 8900, OLOA 9000, OLOA 9200 등 OLOA류의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혼합물; 불포화 폴리카르복시산(unsaturated carboxylic acids)인 BYK P-105; 고분자량 코폴리머(copolymer)의 알킬 암모늄염(alkylammonium salt)인 BYK 9076 또는 BYK 9077; 히드록시(hydroxy)-기능성 카르복시산 에스테르(carboxylic acid ester)인 Disperbyk 108;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인 Disperbyk 116; 2-메톡시-1-메틸에틸 아세테이트(2-methoxy-1-methylethyl acetate)내에서 산 폴리머(polymer)의 알킬 암모늄염(alkylammonium salt)의 용액인 Disperbyk 140; 디카르복시산 에스테르(dicarboxylic acid ester) 내에서 고분자량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의 용액인 Disperbyk 168;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methoxypropyl acetate) 내에서 변형된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s polymer)의 용액인 Disperbyk 2000; 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methoxypropyl acetate), 부틸글리콜(butylglycol) 및 메톡시프로판올(methoxy propanol)의 혼합물 내에서 변형된 아크릴레이트 폴리머(acrylates polymer)의 용액인 Disperbyk 2001; SOLSPERSE 16000, SOLSPERSE 28000, SOLSPERSE 32500, SOLSPERSE 38500, SOLSPERSE 39000, SOLSPERSE 54000, SOLSPERSE 17000, SOLSPERSE 17940, SOLSEPERSE 13240, SOLSPERSE 19000 등의 폴리에스테르 분산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분산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 알긴산, 키토산,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오스, 아크릴아미드의 단독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 옥시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알코올-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N-비닐피롤리돈), 폴리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스파트산, 카보머,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옥시드, 폴리옥시에틸렌, 젤라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유니트,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유니트 및 인산기 함유 단량체 유니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분산제는 상기에 기술한 것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분산을 위해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인바, 이와 같은 단순 변경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 가공조제의 투입량에 따라 요구하는 형태의 슬러리, 페이스트, 겔의 제조가 가능해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은 그 응용범위가 매우 넓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 1>
34mL의 물에 폴리비닐피롤리돈 0.4g을 녹인 후, 8g의 자성 입자를 넣고 초음파로 30분간 분산시켜 준다.
상기 분산이 이루어지면 50℃를 유지하며 초음파와 교반이 함께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에 젤라틴 1.5g과 잔탄검 1g을 약 10회에 걸쳐 나누어 천천히 투입한다.
이때 첨가물이 모두 녹을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온도를 5 step으로 천천히 냉각하게 되고, 이에 5℃ 상태에서 20분간 유지하여 상온에서도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실시 예 2>
36mL의 에탄올에 3g의 카르복시비닐폴리머를 넣고 약 50℃에서 20분간 교반시켜 준다.
상기 용매가 투명해지면 폴리비닐피롤리돈 0.2g을 녹인 후 4g의 자성입자를 넣고, 상기 혼합물을 약 10분 동안 50℃에서 초음파로 처리하여 입자를 분산시킨다.
상기 혼합물의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면 상기 혼합물에 3g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를 혼합하고 충분한 시간을 기다리며 용해시켜 준다.
상기 첨가물이 모두 녹은 것을 확인한 후, 5 step으로 천천히 냉각하게 되고, 이에 10℃ 상태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상온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겔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첨가물이 모두 녹으면 상기 슬러리를 원하는 모양 및 형태로 도포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겔 상태에서도 자계에서 색이 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겔을 제조할 수도 있다.
<실시 예 3>
30mL의 아이소파(Isopar) G용매에 OLOA 0.6g을 녹인 후 6g의 자성입자를 넣고 초음파로 30분간 분산시켜 준다.
상기 혼합물에 분산이 이루어진 후 50℃를 유지하며 초음파와 교반이 함께 진행되는 상태에서 상기 혼합물에 5wt% 아이소파(Isopar) G용매에 용해된 폴리이소부틸렌 10g을 투입한다.
상기 두 용액이 모두 섞일 때까지 충분히 기다린 후, 온도를 5 step으로 천천히 냉각하게 되고, 이에 5℃ 상태에서 20분간 유지하여 상온에서도 페이스트 상태를 유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실시 예 4>
34mL의 테트라클로로에틸렌에 3g의 스테아록시 디메티콘을 넣고 약 50℃에서 20분간 교반시켜 준다.
상기 용매가 투명해지면 OLOA 0.4g을 녹인 후 4g의 자성입자를 넣고 상기 혼합물을 50℃ 상태에서 약 10분 동안 초음파로 처리하여 입자를 분산시켜 준다.
상기 혼합물의 입자가 고르게 분산되면 상기 혼합물에 4g의 진크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고 충분히 용해시켜 준다.
상기 첨가물이 모두 녹은 것을 확인한 후, 온도를 5 step으로 천천히 냉각하게 되고, 이에 10℃ 상태에서 30분간 유지하여 상온에서도 겔 상태를 유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겔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첨가물이 모두 녹으면 상기 슬러리를 원하는 모양 및 형태로 도포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겔 상태에서도 자계에서 색이 변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겔을 제조할 수도 있다.

Claims (14)

  1. 가공조제를 포함하여 자계색변환 입자 및 현탁유체를 포함하는 잉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헤마타이트(α-Fe2O3), 마그네타이트(Fe3O4), 마그헤마이트(γ-Fe2O3), 삼산화이철(β-Fe2O3, ε-Fe2O3), 일산화철(FeO)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Mg, Al, Cr, Mn, Fe, Co, Ni, Cu, Zn, Rb, Sr, Nb, Mo, Pd, Ag, Cd, Sn, Ba, W, Pt, Au 및 Pb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의 성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유체는,
    수계유체 또는 유계유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유체는,
    물 및 수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및 수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유체는,
    물; 아세톤; 메탄올, 에탄올 등의 친수성 알코올 용매; 알데히드 용매; 에스테르 용매 및 케톤 용매 등의 테르펜 유도체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용매; 클로로포름 용매; N-메틸-2-피롤리돈, 2-피롤리돈, N-비닐-피롤리돈 등의 피롤리돈 용매;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2-부틸렌 카보네이트, 1,3-부틸렌 카보네이트, 플로로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계유체는,
    물 불용성 성분으로 이루어지되, 물 불용성 성분이 90 ∼ 100 질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계유체는,
    데칸 에폭시드 및 도데칸 에폭시드 등의 에폭시드 용매; 시클로헥실 비닐 에테르 및 디카브 등의 비닐 에테르 용매; 톨루엔 및 나프탈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용매; 테트라플루오르디브로모에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1,2,4-트리클로로벤젠, 사염화탄소,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유기 용매; 도데칸, 테트라데칸, 아이소파 시리즈의 지방족 탄화수소; 노르파, 나프타, 및 기타 페트롤륨 등의 탄화수소 용매; 옥타메틸 시클로실록산 및 고분자량의 고리형 실록산, 폴리 (메틸 페닐 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및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오일 용매; 갈든, 듀폰의 크라이톡스 등의 저분자량 할로겐-함유 중합체 용매;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용매;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가교된 아크릴산 중합체;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니트로셀룰로스, 소듐 셀룰로스술페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결정성셀룰로스, 분말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비닐폴리머, 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구아검, 젤라틴, 잔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 갈락탄, 카로브검, 카라야검, 카라기닌, 펙틴, 아가, 귄체씨드, 녹말(쌀, 옥수수, 감자, 밀), 조류콜로이드(조류추출물)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및 개질된 셀룰로스 중합체;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풀레란과 같은 미생물학적 중합체; 카르복시메틸녹말, 메틸히드록시프로필녹말과 같은 녹말 기재 중합체; 소듐알기네이트, 알긴산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와 같은 알긴산-기재중합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에틸렌아민과 같은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벤토니트, 알루미늄,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라포니트, 헥토리트 및 무수 실릭산과 같은 무기 수용성 물질; 및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푸마르산, 크로토산, 또는 알파-클로로아크릴산과 같은 카르복실산 단량체, 탄소수 1내지30의 알킬쇄를 갖는 카르복실에스테르를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되는 카르복실산/카르복실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음이온성 중합체 및 비이온성 중합체; 중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계유체에 포함하는 가공조제는,
    수소화스티렌-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에틸렌 및 프로필렌계고무,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군의 에스테르 중합에 의하여 제조된 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디스테아르디모니움헥토라이트, 오조케라이트, 카나우바왁스,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밀납, 비스 피이지-12 디메티콘 칸데릴레이트, 비스 피이지-18 디메티콘 메틸 에테르 디메틸 실란, 스테아릴 디메티콘, C30-45 알킬 디메티콘 및 C30-45 올레핀, 베헤녹시 디메티콘, 스테아록시 디메티콘 및 세틸 디메티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색변환 입자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1 ∼ 50% wt/v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조제는, 유체 부피대비 무게 비율이 0.5 ∼ 60% wt/vol 을 첨가하여 증점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분산제, 유동성강화제, 소포제, 산화방지제, UV흡수제, 유기막형성제 중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PCT/KR2013/004760 2013-05-23 2013-05-30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WO201418916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970 2013-05-23
KR10-2013-0058970 2013-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9165A1 true WO2014189165A1 (ko) 2014-11-27

Family

ID=5193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760 WO2014189165A1 (ko) 2013-05-23 2013-05-30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4189165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5675A (zh) * 2017-04-17 2017-07-18 山东毅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性水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80033528A1 (en) * 2015-03-13 2018-02-01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Surface-modified iron-based oxide magnetic particl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0128937A (zh) * 2019-04-23 2019-08-16 安徽五岳松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光诱变色防护涂料
CN111978456A (zh) * 2020-08-11 2020-11-24 中颉化工科技(上海)有限公司 吸收性树脂颗粒及其制备方法及吸收性物品
CN112898987A (zh) * 2020-12-18 2021-06-04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一种去除土壤中重金属的磁性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3861515A (zh) * 2021-09-16 2021-12-31 无锡学院 一种可水溶性淀粉基包装缓冲填充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896A (ja) * 1995-07-31 1997-02-10 Toppan Moore Co Ltd 水性磁気インキおよびこれを塗布してなる印刷物
JPH11349870A (ja) * 1998-06-03 1999-12-21 Dainippon Ink & Chem Inc 水性インク組成物
JP2009046664A (ja) * 2007-07-24 2009-03-05 Kansai Paint Co Ltd 顔料分散ペースト及び電着塗料
KR20110021853A (ko) * 2008-05-12 2011-03-04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마이크로캡슐화된 착색제를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896A (ja) * 1995-07-31 1997-02-10 Toppan Moore Co Ltd 水性磁気インキおよびこれを塗布してなる印刷物
JPH11349870A (ja) * 1998-06-03 1999-12-21 Dainippon Ink & Chem Inc 水性インク組成物
JP2009046664A (ja) * 2007-07-24 2009-03-05 Kansai Paint Co Ltd 顔料分散ペースト及び電着塗料
KR20110021853A (ko) * 2008-05-12 2011-03-04 타그라 바이오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마이크로캡슐화된 착색제를 포함하는 국소 적용용 조성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33528A1 (en) * 2015-03-13 2018-02-01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Surface-modified iron-based oxide magnetic particle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1097956B2 (en) * 2015-03-13 2021-08-24 Dowa Electronics Materials Co., Ltd. Surface-modified iron-based oxide magnetic particle powder
CN106955675A (zh) * 2017-04-17 2017-07-18 山东毅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性水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6955675B (zh) * 2017-04-17 2019-06-11 毅康科技有限公司 一种磁性水溶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128937A (zh) * 2019-04-23 2019-08-16 安徽五岳松纳米技术有限公司 一种高效光诱变色防护涂料
CN111978456A (zh) * 2020-08-11 2020-11-24 中颉化工科技(上海)有限公司 吸收性树脂颗粒及其制备方法及吸收性物品
CN112898987A (zh) * 2020-12-18 2021-06-04 中国科学院南京土壤研究所 一种去除土壤中重金属的磁性复合材料及其制备和应用
CN113861515A (zh) * 2021-09-16 2021-12-31 无锡学院 一种可水溶性淀粉基包装缓冲填充物及其制备方法
CN113861515B (zh) * 2021-09-16 2023-04-21 无锡学院 一种可水溶性淀粉基包装缓冲填充物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89165A1 (ko)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WO2014092501A1 (ko) 공중합물 캡핑제를 이용한 은 나노와이어 제조방법
EP2543686B1 (en) Alkoxysilyl group-containing block copolym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esin-treated pigment, and pigment dispersion
WO2011059215A2 (ko) 은 나노입자의 고상 합성방법 및 이에 의해 합성된 은 나노입자
Kaewsaneha et al. Fluorescent-magnetic Janus particles prepared via seed emulsion polymerization
WO2017215093A1 (zh) 水溶性量子点、制备方法及量子点薄膜制备方法
TW201231517A (en) White reflective polymer particles
CN111620980B (zh) 一种基于聚集诱导发光效应的荧光聚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Metanawin et al. Cytotoxicity and photocytotoxicity of structure-defined water-soluble C60/micelle supramolecular nanoparticles
JP2020187380A (ja) カラー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媒体で使用されるポリマー添加物
WO2011136521A2 (ko) 수용성 형광 플러렌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
CN110740738A (zh) 抗微生物化合物和纳米结构体
WO2016178462A1 (en) Amphiphilic hydrogel particles for antifouling pain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07119462A1 (ja) 非水系顔料分散組成物
KR102151724B1 (ko) 수계 고분자 분산제, 이를 포함하는 색 재료 밀 베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02516A2 (ko) 자성 특성과 발광 특성을 동시에 갖는 나노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7325209A (zh) 抗菌性交联纳米粒子及其制备方法
KR20140138548A (ko)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자계색변환 잉크용 슬러리 또는 페이스트 또는 겔 제조방법
CN117721085A (zh) 一种荧光噬菌体、包含荧光噬菌体的检测试剂及应用
WO2018004105A1 (ko) 암병변 선택적 표지를 위한 수화젤 기반 나노 에멀전 및 이의 제조 방법
Safiullah et al. Preparation of poly (Glycidyl methacrylate)–copper nanocomposite by in-situ suspension polymerization–A novel synthetic method
CN111273499A (zh) 一种具有稳态的电泳显示液及其制备方法
CN113527564B (zh) 一种双活性中心罐状聚合物Janus抗菌微球的制备方法
WO2013024972A2 (ko) 반구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JP5378914B2 (ja) 高分子分散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51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51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