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71734A2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71734A2
WO2014171734A2 PCT/KR2014/003307 KR2014003307W WO2014171734A2 WO 2014171734 A2 WO2014171734 A2 WO 2014171734A2 KR 2014003307 W KR2014003307 W KR 2014003307W WO 2014171734 A2 WO2014171734 A2 WO 201417173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mobile terminal
user
informa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3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4171734A3 (ko
Inventor
정두경
이진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84,689 priority Critical patent/US9869556B2/en
Publication of WO201417173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1734A2/ko
Publication of WO201417173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7173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32Guidance using simplified or iconic instructions, e.g. using arro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61Guidance output on an external device, e.g. car radi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2Detectors of external physical values, e.g. temperature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04G21/06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using vo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6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on the head

Definitions

  •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main body which is worn on a user's wrist part and is formed to be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and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 a mobile terminal outpu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by displaying on a screen in a By Turn mann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erminals may be divided into mobile / portable terminals and stationary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mobility.
  • the mobile terminal may be further classified into a handheld terminal and a vehicle mount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a user can directly carry it.
  • the terminal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ultimedia player having complex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video, playing a music or video file, playing a game or receiving a broadcast. have. Further, in order to support and increa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it may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art and the software part of the terminal.
  • a wearable device includes all kinds of electronic devices that a user can wear on a body or clothing.
  • the wearable device may be, for example, a smart watch, a wearable computer, a wearable computer, a google glass, a bluetooth headset, a smart wear, or the like.
  • Such wearable devices are implemented in the form of multimedia devices having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thereof.
  • multimedia devices having complex functions according to various functions thereof.
  • a smart watch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 provided as a watch, it is also possible to play back multimedia content through a function of capturing a still image, a video recording function, or a display unit formed in a main body.
  • various email plug-ins can be used to check messages over the wireless Internet or to access social networks.
  •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includes a main body which is worn on a user's wrist part and is formed to be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and receives vehicle information obtained from a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provide a navigation function by displaying on a screen by a By Turn method.
  •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worn on a user's wrist; A main body worn on the wrist part of the user and formed to be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An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externally output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wherein the output unit displays the vehicle information on a screen or vibrates or sounds of the main body. May be output to the outside.
  •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position detection unit detecting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calculate in real time and to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which is set in advance.
  • the turn-by-turn method may include displaying at least one arrow on the screen or, when there is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for providing a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at least one other graphic.
  • the arrow may be displayed in a larger way than the object.
  • the output unit may include the destination,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the total required time, the remaining required tim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rrival times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arrow.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input unit may be an input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input and a voice input.
  • the vehicle control device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navigation linkage function is activated, receiv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unit to display an arrow indicat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 TBT turn-by-turn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 the controller when the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is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navigation interworking function.
  •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got off from the vehicle before arriving at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when the user got off from the vehicle before arriving at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determines a pedestrian mode. It may be activated to output the walking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put unit.
  • the output unit may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walk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control unit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when it is difficult to move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touch input and voice input.
  • the controller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 the output unit may output a preset notification signal before the vehicle arrives at a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n arrow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 the preset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creen mode switching input from the user, and wherein the output unit is the turn-by-turn when the screen display mode is a TBT screen display mode.
  • Display on the screen and when the screen display mode is the MAP screen display mode, a driving route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a map around the driving rout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screen display mode is the dual screen display mode.
  • the screen in the TBT screen display mode and the screen in the MAP screen display mode are displayed together, and the control unit inputs the screen mode switching input whil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TBT screen display mode. If the screen display mode is changed to the MAP screen display mod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MAP screen display mode. If the state where the display mode switching input from input, may be to switch the display mode to the display mode TBT.
  • the input unit receives a screen mod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and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screen display mode as the TBT screen display mode and the MAP screen display based on the screen mode setting input. It may be set to any one of a mode and the dual screen display mode.
  • the output un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and the screen mode switching input may be a user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utput unit to display the screen by changing the attribute of the arrow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hanged. It may be.
  •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maining distanc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n entrance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nd an entrance speed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 the attribute of the arrow may be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display angle, and length of the arrow.
  • the controller collects pattern information about a driving pattern of the user or a walking pattern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d displays the screen on the arrow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It may be to change.
  • the driv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peed, the number of rapid accelerations, and the number of rapid braking times.
  • the walk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speed.
  • the vehicle control device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based on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It may be.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Can be.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and receiv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en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or a waypoint on the driving route is set.
  •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an air conditioning function for the vehicl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sunroof is opened,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 the vehicle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a stolen state of the vehicle, and a fueling state of the vehicle.
  • the mobi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user,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 vehicl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user input, and generates the vehicle control signal. It may be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ir conditioning for the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of a sunroof,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driving of the vehicle, and the vehicle. It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r setting a func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device.
  •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destination; A receiver which receives a signal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calculate a mo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in real time according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 display unit which output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moving direction; And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destin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preset vehicle navigation device, wherein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may guide the road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tarting point. .
  • the input unit may receive the destination as a voice signal.
  •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output an arrow indicating the changed moving direction when the mo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may control to output a preset signal indicating the calculated travel direction.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 receive data with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using a preset protocol.
  •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includes: (a) receiving a destination; (b) receiving a signal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alculating in real time a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d) outputting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traveling direction on a display unit; And (e) transmitting the destin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preset vehicle navigation device, wherein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us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s a starting point to guide the route to the destination. can do.
  • the step (a) may include receiving the destination as a voice signal.
  • the step (d) may include outputting an arrow indicating the changed moving direction to the display unit when the mo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 the step (d) may include outputting a preset signal indicating the calculated heading direction.
  • the step (e) may include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using a protocol set in advance with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 a mobile terminal by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from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 user may easily obtain the vehicle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st and efficient.
  •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s turned on.
  • TBT turn-by-turn
  • the speech recognition rate is higher than that of the vehicle microphone.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 3A and 3B illustrate front and rear views of a smart 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wearable eyeglass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5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5A.
  • 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display unit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 8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8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8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related to a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ch-typ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11A to 11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12A to 12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rrow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 13A to 1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related to destination setting.
  •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related to a road guidance method.
  •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linked to vehicle navigation.
  • 16A-16C illustrate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pedestrian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FIG. 1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by generating a vehic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 1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batter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linked to or linked to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hich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nd operate in association with or interlocked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can provide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provide a direction of travel to a destination and can also be linked to vehicle navigation.
  •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a slate PC
  • the tablet PC may include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s, desktop computers,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herein includes a telematics terminal, a navigation terminal, 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terminal, a television, a 3D television, an audio / video system, and an information provider.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evices or devices such as a center, a call center and the lik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described herein may be in the form of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vehicle by wire or wirelessly.
  • the vehicle control device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 navigation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 the device may include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and the like.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may be applied to a facility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facility installed in a building, and to a facility control system that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for controlling the facility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 UI user interface
  • the user interface may be provided by a specific equipment or device included in the facility control system, for example, a central control device (or a central control server).
  •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detection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d an interface.
  • the unit 170, the controller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Can be.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mean a serve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that receives a previously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same to a terminal.
  •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not only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nd a data broadcast signal, but also a broadcast signal having a data broadcast signal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exist in the form of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of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or Electronic Service Guide (ESG)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 DVB-H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include, for exampl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Media Forward Link Only (MediaFLO), and Digital Video Broadcast (DVB-H).
  • Digital broadcast signals can be received using digital broadcasting systems such as Handheld 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 ISDB-T Handheld 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not only the above-describe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but also other broadcasting systems.
  •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s configured to implement a video call mode and a voice call mode.
  • the video call mode refers to a state of making a call while viewing the other party's video
  • the voice call mode refers to a state of making a call without viewing the other party's image.
  •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t least one of audio and video.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or external to the mobile terminal 100.
  •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Wireless LAN (WLAN),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more. This can be used.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an be.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a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 GPS Global Position System
  • WiFi Wireless Fidelity
  •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 the camera 12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calculated from the image frame obtained by the camera 121.
  • Two or more cameras 121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 the microphone 1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all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etc., and processes the external sound signal into electrical voice data.
  •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ransmittabl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nd output in the call mode.
  • the microphone 122 may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ing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pplied from the user.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constant voltag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 the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as an open / closed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leration / decel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like.
  • the current state is detected to generate a detection signal (or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 the sensing unit 140 may detect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or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 the output unit 150 is used to generate an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s, and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 alarm unit 154, and a haptic module 155. have.
  •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the call.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a UI, and a GUI.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 display a 3D display, or an e-ink display.
  • Some of these displays can be configured to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ant OLED).
  •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also be configured as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151 of the terminal body.
  •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may exist.
  •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or integrally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respectively.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152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image.
  • the stereoscopic image represents a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represents a gradual depth and reality in which an object is placed on a monitor or a screen. This is a video that lets you feel the same as space.
  • 3D stereoscopic images are implemented using binocular disparity. Binocular parallax means the parallax made by the position of two eyes that are separated. When the two eyes see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the images are transferr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and are fused, the depth and reality of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felt. .
  •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152 may be a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such as stereoscopic (glasses), auto stereoscopic (glasses), projection (holographic). Stereoscopic methods commonly used in home television receivers include Wheatstone stereoscope.
  • Examples of the auto stereoscopic method include a parallax barrier method, a lenticular method, an integrated imaging method, a switchable lens, and the like.
  • Projection methods include reflective holographic methods and transmissive holographic methods.
  • a 3D stereoscopic image is composed of a left image (left eye image) and a right image (right eye image).
  • a top-down method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arranged up and down in one frame according to the way in which the left and right images are merged into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s.
  • L-to-R (left-to-right, side by side) method to be arranged as a checker board method to arrange the pieces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in the form of tiles, a column unit of the left and right images Or an interlaced method of alternately arranging rows, and a 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method of alternately displaying left and right images by time.
  • the 3D thumbnail image may generate a left image thumbnail and a right image thumbnail from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of the original image frame, respectively, and combine them to generate one 3D thumbnail image.
  • a thumbnail refers to a reduced image or a reduced still image.
  • the left image thumbnail and the right image thumbnail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are displayed with a left and right distance difference on the screen by a depth corresponding to the parallax of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thereby re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space.
  • the left image and the right image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3D stereoscopic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stereoscopic display 152 by a stereoscopic processor (not shown).
  • the stereo processing unit receives a 3D image and extracts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therefrom, or receives a 2D image and converts the image into a left image and a right image.
  • the display unit 151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151 outputs
  •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or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5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where the touch object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ouch.
  •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applying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As a result, the controller 1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51 is touched.
  • a proximity sensor 1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mobile terminal surrounded by the touch screen or near the touch screen.
  • the proximity sensor 141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of the sensing unit 140.
  • the proximity sensor 14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 the proximity sensor 141 has a longer life and higher utilization than a contact sensor.
  • 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141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a conductive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inter).
  • the touch screen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 proximity touch an act of allowing the pointer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pointer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 contact touch an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 the position at which the proximity touch is performed by the pointer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in proximity proximity.
  • the proximity sensor 141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 a stereoscopic touch screen Whe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152 and the touch sensor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reoscopic touch screen”), or when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152 and the 3D sens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 the stereoscopic display unit 152 may also be used as a three-dimensional input device.
  •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1, a stereoscopic touch sensing unit 142, an ultrasonic sensing unit 143, and a camera sensing unit 144.
  • the proximity sensor 141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a sensing object (for example, a user's finger or a stylus pen) and a detection surface to which a touch is applied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 the terminal recognizes which part of the stereoscopic image is touched using this distance.
  •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of the sensing object is detected by a change i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sensing object, and the touch screen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three-dimensional touch using the proximity.
  • the stereoscopic touch sensing unit 142 is configured to detect the strength or duration of the touch applied to the touch screen.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touch sensing unit 142 detects a pressure to apply a touch, and if the pressure is strong, recognizes it as a touch on an object located farther from the touch screen toward the inside of the terminal.
  • the ultrasonic sensing unit 143 uses ultrasonic waves to recogniz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object.
  • the ultrasonic sensing unit 143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n optical sensor and a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 the optical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light
  • the ultrasonic sensor is configured to detect ultrasonic waves. Because light is much faster than ultrasonic waves, the time that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that ultrasonic waves reach the ultrasonic sensor. Therefor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time difference from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light as the reference signal.
  • the camera sensing unit 144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121, a photo sensor, and a laser sensor.
  • the camera 121 and the laser sensor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sense a touch of a sensing object with respect to a 3D stereoscopic image.
  • 3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 a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element.
  • the photo sensor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object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mounts a photo diode and a transistor (TR) in a row / column and scans contents mount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calculates coordinates of the sensing obje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of light, and thereby obtain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object.
  • TR transistor
  •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or a message reception sound)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alarm unit 154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 Examples of events gene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 the alarm unit 154 may output a signal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by using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and thus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be classified as part of the alarm unit 154. .
  • the haptic module 155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5 may be vibration.
  •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5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155 may output different synthesized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m.
  • the haptic module 155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the jetting or suction por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the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 the haptic module 155 may not only transmit the haptic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implement the user to feel the haptic effect through the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Two or more haptic modules 155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configuration aspec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 the memory 160 may store data relating to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 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magnetic memory, magnetic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a disk and an optical disk.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60 on the Internet.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inside the mobile terminal 1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audio input / output (I / O) port,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70.
  •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a variety of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universal user authentication And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 Therefore,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70.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or inputted from the cradle by a user.
  • Various command signals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 Various command signals or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operate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 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are performed.
  •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ler 180.
  • controller 18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180 may execute a lock state for limiting input of a user's control command to applications.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lock screen displayed in the locked state based on the touch input sensed by the display unit 151 in the locked state.
  • 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clude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and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electrical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ler 180 itself.
  •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software modules.
  •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 the software cod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executed by the controller 180.
  • FIGS. 2A and 2B are conceptual views of a communication system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 a communication system may use different air interfaces and / or physical layers.
  • a radio interface that can be used by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 (in particular, Long Term Evolution (LTE)),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and the like.
  •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 LTE Long Term Evolution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th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terminal 100, at least one base station (BS) 270, and at least one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275. ), And a Mobile Switching Center (MSC) 280.
  • the MSC 280 is configured to connect wit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290 and BSCs 275.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the BSCs 275 may be coupled to the BS 270 through a backhaul line.
  • the backhaul line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E1 / 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or xDSL.
  • a plurality of BSCs 275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shown in FIG. 2A.
  • Each of the plurality of BSs 27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tor, and each sector may include an omnidirectional antenna or an antenna pointing in a specific radial direction from the BS 270.
  • each sector may include two or more antennas of various types.
  • Each BS 27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multiple frequency assignments, each of which may have a specific spectrum (eg, 1.25 MHz, 5 MHz, etc.).
  • BS 270 may be referred to a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BTSs).
  • BTS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s
  • one BSC 275 and at least one BS 27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base station”.
  • the base station may also indicate “cell site”.
  • each of the plurality of sectors for a particular BS 270 may be called a plurality of cell sites.
  • the broadcasting transmitter 291 transmits a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s 100 operating in the system.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illustrated in FIG. 1 is provided in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by the BT 295.
  • FIG. 2A illustrates a satellite 300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satellite 300 helps to locate the mobile terminal 100. Although two satellites are shown in FIG. 2A, usefu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wo or less or more satellites.
  •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shown in FIG. 1 cooperates with the satellite 300 shown in FIG. 2A to obtain desired location information.
  •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tracked using all the technologies capable of tracking the location as well as the GPS tracking technology.
  • at least one of the GPS satellites 300 may optionally or additionally be responsible for satellite DMB transmission.
  • BS 270 receives a reverse link signal from mobile terminal 100.
  •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ing a call, transmitting or receiving a message, or performing another communication operation.
  • Each of the reverse link signals received by a particular base station 270 is processed within by the particular base station 270.
  • the data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ed BSC 275.
  • BSC 275 provides call resource allocation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ality, including the organization of soft handoffs between base stations 270.
  • the BSCs 275 transmit the received data to the MSC 280, and the MSC 280 provides an additional transmission service for the connection with the PSTN 290.
  • the PSTN 290 is connected to the MSC 280
  • the MSC 280 is connected to the BSCs 275
  • the BSCs 275 are connected to the BS 100 so that the forward link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270 can be controlled.
  • FIG. 2B illustrates a method of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terminal using a Wi-Fi location tracking system (WPS: WiFi Positioning System).
  • WPS WiFi Positioning System
  • the Wi-Fi Positioning System (WPS) 300 moves by using a WiFi module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wireless access point 320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the WiFi module.
  • a technology for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100 it refers to a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based o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using WiFi.
  •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the Wi-Fi location tracking system 300 includes a Wi-Fi location server 310, a mobile terminal 100, a wireless AP 33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a database 330 in which arbitrary wireless AP information is stored. It may include.
  • the Wi-Fi location server 310 extract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32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r signal) of the mobile terminal 100.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32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Wi-Fi positioning server 31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100, or from the wireless AP 320 to the Wi-Fi positioning server 310 Can be sent.
  • the extracted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is MAC Address, SSID, RSSI, channel information, Privacy, Network Type, Signal Strength and Noise Strength It may be at least one of.
  • the Wi-Fi positioning server 31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320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and includes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re-built database 330 and the received wireless AP 320. By comparing the inform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tracted (or analyzed).
  • the wireless AP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s illustrated 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wireless APs 320 as an example.
  • the number of wireless AP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may vary depending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 the Wi-Fi location tracking system 300 may track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wireless AP.
  • the database 33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 of arbitrary wireless APs disposed at different locations.
  • the information on any wireless AP stored in the database 300 includes MAC address, SSID, RSSI, channel information, Privacy, Network Type,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of the wireless AP, the name of the building where the wireless AP is located, the number of floors, and indoor detailed location information. (GPS coordinates available), the AP owner's address, phone number and the like.
  • the Wi-Fi positioning server 3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database 330.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extracted by searching for wireless AP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AP 320 connected to and extracting location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etrieved wireless AP information.
  • the extracte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Wi-Fi positioning server 310, the mobile terminal 100 can obtain the location information.
  • 3A and 3B illustrate front and rear views of a smart w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3A and 3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smart watch form, which i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in the form of a wearable device.
  • the disclosed smart watch 200 has a rectangular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smart watch having various structures, that is, a polygonal structure having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or a triangle.
  • the smart watch 200 includes a band 230 and a body 220.
  • the case forming the exterior of the main body 220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210 and a rear case 250.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210 and the rear case 250.
  •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210 and the rear case 250.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 the front case 21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 camera 121, a microphone 122, and the like.
  • 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main surface of the front case 210. Cameras 121 and microphones 122 may b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various kinds of visual information. Thes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icons.
  • At least one of the letters, numbers, symbols, graphics, or icons may be display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so as t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keypad.
  • a keypad may be called a "soft key.”
  • the display unit 151 may operate in an entire area or may be operated in a divided manner. In the latter case, the plurality of region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not shown) and a wired / wireless data por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20 of the smart watch 200.
  • the ports ar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170 (see FIG. 1).
  • a first sensor 140a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220, that is, the rear case 250.
  • the first sensor 140a may be a sensor for detecting a skin condition of the user or a biosignal of the user.
  • a second sensor 140b may be disposed in at least one region of the band 23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kin behind the actual wrist of the user to detect muscle movement of the user.
  • An antenna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20.
  •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main body 220.
  • the main body 220 of the smart watch 200 may be provided with a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an interface, and the like.
  • the user input unit 340 and a connection port may be disposed on side surfaces of the front case 210 and the rear case 250.
  • the user input unit 240 is manipul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mart location 200,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manipulation unit 240a, 240b, 240c, or 240d.
  • the operation units may also be referred to collectively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operating with a tactile feeling.
  • the content input by the plurality of operation units may be variously set.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command such as input of a command such as start, end, scroll, etc., control of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152, or switching of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have.
  • connection port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receives power, transfers the power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smart watch 200, or transmits the data inside the smart watch 200 to an external device.
  •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170 (see FIG. 1).
  • the main body 220 of the smart watch 200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smart watch 200.
  •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built in the main body 220.
  • 4A and 4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wearable eyeglass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S. 4A and 4B illustrate a cas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has a smart glasses form which is a glasses type mobile terminal of the wearable device.
  •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includes a main body 100 ′, a display unit 151, and a controller 180.
  •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a voice recognition unit, and a motion detection unit.
  •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mounted display (HMD). In a specific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as smart glasses.
  • HMD head mounted display
  • the main body 100 ′ is formed to be mountable on the head.
  • the frame and the leg portion of the smart glasses may be implemented.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both eyes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body 100 ′.
  • the display unit 151 may have light transmission and output visual information.
  • the visual information refers to a virtual object generated by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 the virtual object may refer to an application,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icon, content, or a UI in a call mode. This may be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80 or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 the display unit 151 is light transmissive, the user can see the external environm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n external environment and output information on any external object constitu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external object may be a business card, a person, or an external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th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detect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display unit 151.
  • the controller 180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detected external device.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external device is located within a user's field of view, and determine whether to output information of the detected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controller 180 may be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 of the wearable eyeglass terminal 200 ′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100 ′. In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disposed away from the main body 100 ′.
  • the camera 121 may be disposed in front of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right eye display units 151.
  • the frame 100 ' may be disposed on one or both sides to capture a space other than the wearer's field of view.
  •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touch panel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rame 110 ′. Or it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 key. For example, an ON / OFF switch of the power source may be implemented on one side of the frame 110 '.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to directly receive a control command from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module that recognizes a voice command of a user. In this way, the user may input a specific command to the main body 100 ′ through voice.
  • Smart glasses have been released. Smart glasses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can easily execute functions that were previously executed in a mobile terminal.
  • the display unit 151 of the smart glasses may display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together (Augmented Reality). This makes it easier for users to grasp information about arbitrary objects that make up the external environment.
  • the smart glasses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glasses or with an external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smart glasses.
  •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51.
  • FIG. 4B illustrates a wearable device on which an eye proximity display may be moun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illustrated wearable device is a glass type terminal 200 ′′, and the glass type terminal 200 ′′ is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head of a human body, and a frame part (case, housing, etc.) for this purpose. It may be provided.
  • the frame portion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wearing.
  • the frame part includes a first frame 201 ′′ and a second frame 202 ′′ of different materials.
  • the frame part is supported by the head, and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various components.
  •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control module 280 ′′, a sound output module 252 ′′, or the like may be mounted on the frame unit.
  • the display unit 251 ′′ covering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frame unit.
  • the control module 280 ′′ is configured to control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glass type terminal 200 ′′.
  • the control module 280 ′′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roller 180 (see FIG. 1) described above. In this figure, the control module 280 ′′ illustrates that it is installed in the frame portion on one side head. However, the position of the control module 280 ′′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unit 251 ′′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 the HMD type is a display method mounted on the head and showing an image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s eyes.
  • the display unit 251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so as to provide an image directly in front of the user's eyes.
  • the display 251 ′′ may project an image into the eyes of a user.
  • the display unit 251 may be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user may view the projected image and the general field of view (the range that the user looks through the eyes) together.
  •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rovide an augmented reality (AR) that displays a single image by superimposing a virtual image on a real image or a backgroun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 AR augmented reality
  • the camera 221 ′′ is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is formed to capture an image of the front. Since the camera 221 ′′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eye, the camera 221 ′′ may acquire a scene viewed by the user as an image.
  • the camera 221 ′′ is illustrated in the control module 280 ′′,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camera 221 ′′ may be installed in the frame unit or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acquire a stereoscopic image.
  • the glass terminal 200 ′′ may include user input units 223a ′′ and 223b ′′ operated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 the user input units 223a ′′ and 223b ′′ may be adopt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or push.
  • the frame unit and the control module 280 ′′ are provided with push and touch input user input units 223a ′′ and 223b ′′, respectively.
  • the glass type mobile terminal 200 ′′ may include a microphone (not shown) that receives sound and processes the sound into electrical voice data, and a sound output module 252 ′′ that outputs sound.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in a general sound output method or a bone conduction method.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 is implemented in a bone conduction manner, when the user wears the glass type terminal 200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ad and the sound is caused by vibrating the skull. Will be delivered.
  • FIGS. 5A and 5B the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in FIG. 1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will be described.
  • 5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sclosed mobile terminal 100 has a terminal body in the form of a ba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watch type, a clip type, a glasses type, or a folder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 swing type, a swivel type, in which two or more bodies are relatively movable. have.
  • the body includes a case (frame, housing, cover, etc.) that forms an exterior.
  • the case may be divided into a front case 101 and a rear case 102.
  •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built i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1 and the rear case 102, and the battery cover 103 covering the battery 191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r case 102. have.
  • 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ng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metal, for example, stainless steel (STS), aluminum (Al), titanium (Ti), or the like.
  • STS stainless steel
  • Al aluminum
  • Ti titanium
  •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the first camera 121a,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etc. ar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the microphone 122 and the interface unit 170 are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
  •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may be provided.
  •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to display (output)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for visually representing information,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 At least one of a flexible display,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FT 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 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ensing means to receive a control command by a touch method.
  • the touch sens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touch and inpu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ouched position.
  • the content input by the touch method may be letters or numbers or menu items that can be indicated or designated in various modes.
  • the touch sensing means is formed to be translucent so that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151 can be seen, and may include a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touch screen in a bright place. According to FIG. 5A, the display unit 151 occupies mos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101.
  •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and the first camera 121a ar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one end of both ends of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and the microphone 122 are locat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other end. ) Is placed.
  • the second manipulation unit 132 (see FIG. 5B), the interface unit 170,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 call sound to a user's ear or a loud speaker for outputting various alarm sounds or reproduction sounds of multimedia.
  • Sound generated from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may be configured to be emitted along an assembly gap between the structures.
  • the holes formed independently for the sound output may not be visible or hidden,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simplifi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hole for emitting the sound may be formed in the window.
  • the first camera 121a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user input unit 130 is operat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 the first and second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anipulating portions,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is tactile in a tactile manner such as touch, push, or scroll. Can be.
  •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is illustrated as a touch ke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manipulation unit 131 may be a push key or a combination of a touch key and a push key.
  • Content input by the first and / or second manipulation units 131 and 132 may be variously set.
  • the first operation unit 131 receives a command such as a menu, a home key, a cancellation, a search, etc.
  • the second operation unit 132 adjusts the volume of the sound output from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or A command such as switching to the touch recognition mode of the display unit 151 may be input.
  • the microphone 122 is formed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 the microphone 122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and configured to receive stereo sound.
  •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100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 the interface unit 170 is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the earphone, a port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nfrared port (IrDA Port), Bluetooth port (Bluetooth Port), wireless LAN port (Wireless) LAN Port) and the like, or at least one of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7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cket for receiving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storing information.
  •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 UIM user identity module
  • FIG. 5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terminal 100 shown in FIG. 5A.
  • a second camera 121b may be additional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terminal body, that is, the rear case 102.
  • the second camera 121b has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camera 121a (see FIG. 5A),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camera 121a.
  • the first camera 121a has a low pixel so that the user's fac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counterpart in case of a video call, and the second camera 121b photographs a general subject and does not transmit it immediately. In many cases, it is desirable to have a high pixel.
  •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121a and 121b may be installed in the terminal body in a rotatable or pop-up manner.
  • the flash 123 and the mirror 124 are further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camera 121b.
  • the flash 123 shines light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photographed by the second camera 121b.
  • the mirror 124 allows the user to see his / her own face or the like when photographing (self-photographing) the user using the second camera 121b.
  •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3b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 the second sound output module 153b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see FIG. 5A), and may be used to implement a speakerphone mode during a call.
  •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a broadcast signal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 An antenna that forms part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fer to FIG. 1) may be installed to be pulled out of the terminal body.
  • 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include a battery 191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detachably configured from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 the battery cover 103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02 so as to cover the battery 191 to limit the detachment of the battery 191, and to protect the battery 191 from external shocks and foreign matters. .
  • 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6B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 6B is connectable with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t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external devices.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 sensing unit 4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10, a vehicle driving unit 420, and the lik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mory 440, and may further include an output unit 450.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be formed in a body portion of a vehicle including an outer frame and a window forming an exterior of the vehicle and an inner frame formed to allow the user to ride.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A are not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described herein has more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Or may have fewer components.
  • the detector 43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user information.
  • the detector 43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432, an illumination sensor,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nd a gravity sensor.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disclosed herein may utiliz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 the detector 430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31.
  •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31 is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and includes Bluetooth TM,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y can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431 may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external device 170 (refer to FIG. 6B) through local area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 the external device may be the mobile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wearable device 200 which is a form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 the vehicle driver 420 may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or change the state of the vehicle to the locked state.
  •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vehicle is limited in whole or in part, or does not start or the door does not open.
  • the state in which the locked state is released means that at least one of the doors of the driver's seat or the driver's seat or the rear seat, the trunk of the rear seat, or the trunk is opened, or all functions of the vehicle, that is, the start This may mean that it is possible to take this or to make various functions such as navigation or ventilation functions available.
  • the vehicle driver 420 may change various settings of the vehicle or allow a function to be automatically performed.
  • the vehicle driver 420 may control the components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of the driver's seat or the auxiliary seat,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or the like. It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nd the height of the seat of at least one of the driver's seat or auxiliary seat and the rear seat or the horizontal position of the seat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s) can be adjusted.
  • the vehicle driver 120 may set the steering wheel of the driver's seat, that is, the height of the steering wheel or the sensitivity of the steering wheel,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10.
  • the vehicle driver 420 may allow the gear of the vehicle to operate in an automatic shift mode or a manual shift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10.
  •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ngine is used. Either one of the mode to use or the mode using the electric motor may be selected first.
  • the vehicle driver 420 may change not only the physical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but also the software set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10.
  • the vehicle driver 420 may display a preset music lis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10, or may automatically play any one of the music on the preset list.
  • the vehicle driver 420 may automatically set a predetermined specific destination and automatically display a route to the specific destination through the provided navigation.
  • the vehicle driver 420 may automatically set the distance between vehicles or the vehicle spe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10 during cruise control of the vehicle.
  • the vehicle driving unit 420 may have at least one different lower driving unit, and the lower driving units may change a physical setting state or a software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respectively.
  • the lower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physical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will be referred to as the first driving unit 421
  • the lower driving unit for changing the software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riving unit 422.
  • the first driver 421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that can change the outer frame or the inner frame of the vehicle in order to change the physical setting of the vehicle.
  • the first driving unit 421 may further include a physical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or the backrest, and an elastic member or a pressure member such as a coil or a spring for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height of the handle. It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height adjustment unit and the like.
  • the second driver 422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r more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 the second driver 122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playing any one of application programs for driving navigation or pre-stored media data (for example, MP3).
  • Such an application or applications may be any of those for driving control of a vehicle.
  • the output unit 4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hearing,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451, an audio output unit 452, a hap tip module 453, and an optical output unit 454. can do.
  • the display unit 451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mage information may form a layer structure or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 the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42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user.
  • Such a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arts of the vehicle.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on all or a part of a wind shield glass of the vehicle, and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a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vehicle) or an inner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It can be implemented anywhere.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the outer surface or the inner surface of the window of the driver's side, the side window of the driver's seat or the window of the rear seat of the vehicle.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a side mirror of a vehicle or a sunroof of the vehicle.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not only on a glass part such as a window or a sunroof, but also on an outer frame or an inner frame of the vehicle.
  • the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on the surface of the outer frame of the vehicle, such as between a windshield glass and a window, or between a window or a window, such as A-pillar, B-pillar, and C-pillar.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door (eg near the handle portion of the vehicle door).
  • the touch screen may be formed on a gear box cover surface or a cover part of a console box in a vehicle.
  • at least one touch screen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different parts of the vehicle, of course.
  • the memory 44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memory 440 may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driven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data for operat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instruction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may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s also exist 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eg, start function, navigation function, vehicle lock and unlock function). Can be.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memory 440, installed 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nd driven by the controller 410 to perform an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 the application program may be a navigation program that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 the memory 440 may stor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user.
  • the user-related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setting state of various vehicles, which are directly set by the user o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or set properly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For example, it may be internal temperature or humidity of a vehicle set by a specific user, or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a driving habit of the user. Alternatively, such information may be recorded as a driving route of the user.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about a password or pattern set in advance by the user, or may be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or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Alternativel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gesture of the user.
  •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may be obtain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wearable device 200.
  • the wearable device may be a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specific body part of the user.
  • the wearable device may be a watch-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of a user.
  • the wearable device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which communicates with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nd a main body which is worn on a wrist part of the user a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 the wearabl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specific body part (for example, a wrist part).
  •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obtains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specific body part (for example, a wrist part).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acquir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nd the storage unit 440 may stor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heart rate, body fat, blood pressure, blood sugar, face shape, fingerprint, brain wave, and iris for the user.
  • the memory 44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41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driving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 the memory 440 may store data regarding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nput on the touch screen is performed.
  • the memory 44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type, an SSD type, a silicon disk drive type, and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type),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random access memory (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read-only memory (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read-only memory (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be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440 on the Internet.
  • the controller 41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driving of the vehicle by processing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by driv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40.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A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40.
  • the controller 410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 the controller 410 may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an authenticated user based on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 fingerprint of a user or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pattern.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of a user or a specific gesture of the user.
  • the controller 410 ma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a pattern of a plurality of taps (for example, a tab or knock) applied to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vehicle or the inside of the vehicle by the user, or the vehicle exterior.
  • fingerprint recogni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a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which may be input through a touch screen area formed on a surface of a part of the inside, a window of a driver's seat or an auxiliary seat, a windshield glass, or the like.
  • the controller 410 may recognize a gesture of a user mad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by using a photo sensor or a camera provided in the detector 430, or may recognize the user's iris information.
  • the controller 410 may allow the authenticated user to release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Therefo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is. The user can open the door of the vehicle, open the trunk, etc. without using the key. Alternatively, the vehicle may be started using pre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lternatively, the state of the vehicle may be switched to the locked state. That is, the controller 410 may maintain the locked state of the vehicle unti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is input again based on the selec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Meanwhile, whe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s input through the outside of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unlocked, the controller 410 may switch the state of the vehicle to the locked state based on this. When the sam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once again while the vehicle is in the locked state, the vehicle may be switched to the unlocked state again.
  • the controller 410 may allow a touch screen to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vehicle to receiv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controller 410 may receive the user's fingerprint information or the pattern information through the formed touch screen, or may receive a preset password. To this end, the controller 41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a writing input or a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text and an image,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any one or a plurality of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410 may display various image information on a touch screen formed on a por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410 may allow a graphic input area for fingerprint input or a pattern input for user authent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isplay an authentication result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authenticated user. You can also
  • the controller 410 may change the setting state of the vehicle by using user relat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the first driving unit 421 to adjust the seat height of the driver's seat, the angle of the backrest, and the like based on the authenticated user's information, and may adjus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side the vehicle. have.
  • the controller 410 may adjust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ver's seat and the driver's seat window, the angle of the side mirror, or the like based o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ed user, or may adjust the height of the handle.
  • the controller 410 may change various operation mode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authenticated user.
  • the controller 410 may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authenticated user prefers any one operation mode (for example, a normal mode or a sports mode). May be selected.
  • the controller 110 may allow the gear shifting method to be set by any one of the manual shifting method and the automatic shifting method.
  • control unit 410 may perform not only the physical setting change but also the software setting change.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ed user is in the vehicle, the controller 410 may automatically select a music list that the user prefers or a music list that the currently authenticated user is listening to.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410 may automatically select a channel of a radio station that the currently authenticated user mainly listens to.
  • the controller 410 may allow the setting of various vehicles to be changed based on the time when the authenticated user boards the vehicle. For example, the controller 410 may analyze a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mainly heads at the time based on the time at which the authenticated user is in the vehicle, that is, the time at which the user is authenticated and the driving record of the authenticated user. That is, if the user has a driving habit of moving home from 8 o'clock to 9 o'clock and heading home,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the user's driving record from 8 o'clock to 9 o'clock in the evening based on the driving record of the user.
  • the destination When the user rides in the vehicle, the destination may be automatically set to 'home' and the corresponding rout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navigation provided.
  • control unit 41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enables the user to control the vehicle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ride in the vehicle and use the vehicle.
  • control unit 41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when the user is authenticated, by adjusting the various environment settings of the vehicle based on the authenticated user, the user's preferred driving environment is automatically To be provided.
  • the controller 410 may allow the physical setting change or the software setting change of the vehicle to be easily changed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
  • the controller 410 may change at least one of the physical settings based on a plurality of taps (tab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console box or a gear box, or a window of a driver's seat or a driver's seat.
  • the controller 410 may recognize this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steering wheel or change the operation mode of the power steering device to another mode.
  • the controller 410 may change the physical or software setting state based on the user's gesture as well as the plurality of tabs.
  • the controller 410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driver or assistant in the vehicle by using a camera, a photo sensor, a laser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 a specific function may be performed or a currently set state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driver's or assistant's movement.
  • the controller 410 may play predetermined specific music data when a specific gesture (for example, a gesture of flicking or clapping a finger) is detected based on the gesture of the driver's seat or the occupant.
  • 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be implemented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440.
  • the sensor 43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driving or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 or operation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based on the sensing sig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detector 4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 the proximity sensor 432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present in the vicinity without using a mechanical contact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r infrared rays.
  • the proximity sensor 432 may be disposed in each area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or near the touch screen.
  • the proximity sensor 432 examples include a transmission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 the proximity sensor 432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object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onductive object.
  •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 the proximity touch the action of allowing an object to be recognized without being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so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a "proximity touch", and the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an object on a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 the position where the object is in close proximity touch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object is perpendicular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object is in close proximity touch.
  • the proximity sensor 432 may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for example,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nd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have.
  • the controller 410 processes the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detected through the proximity sensor 432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provide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It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Furthermore,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to process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touch on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touch touch. have.
  • the touch sensor sense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the touch screen (or the display unit 45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do.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rea, pressure at the touch, capacitance at the touch, and the like, when the touch object applying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applying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410.
  •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451 is touched.
  •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controller 410 or may be the controller 410 itself.
  • the controller 41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objec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in addition to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or an application program being executed.
  • the touch sensor and the proximity sensor described above may be independently or combined, and may be a short (or tap) touch, a long touch, a multi touch, a drag touch on a touch screen. ),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etc. A touch can be sensed.
  • the ultrasonic sensor may recognize location information of a sensing object using ultrasonic waves.
  • the control unit 410 may calculate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through the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optical sensor and the plurality of ultrasonic sensors.
  •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property that the light is much faster than the ultrasonic wave, that is, the time that the light reaches the optical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posi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may be calculated using a time difference from the time when the ultrasonic wave reaches the light as the reference signal.
  • the detector 4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in order to recognize a user's gesture.
  •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 a photo sensor or an image sensor
  • a laser sensor in order to recognize a user's gesture.
  • the camera 421 and the laser senso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a touch of a sensing object.
  • the photo sensor may be stacked on the display element, and the photo sensor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sensing object in proximity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mounts a photo diode and a transistor (TR) in a row / column and scans contents mount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That is, the photo sensor calculates coordinates of the sensing object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change, and thu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ensing object can be obtained.
  • TR transistor
  • the display unit 451 may display various image information related to input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display unit 451 may display a graphic object indicating an area for receiving a fingerprint of the user or a graphic object for receiving pattern information in a partial area of the vehicle where the touch screen is formed.
  • the display unit 451 may display a user authentication result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urrently authenticated user.
  • imag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at least a part of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the window of the driver's seat or the auxiliary seat, and thus, the window or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t least some of the electrodes may be designed to detect a user's touch input.
  • the display unit 45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s well as the outer surface of the windshield glass and the window.
  • the display unit 4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may display (output)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scree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5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may includ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driven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or a UI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It may be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information.
  • the display unit 451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30.
  • the display unit 451 may display a detection result of the detection unit 430, a matching result of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a part of the user's uniqu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user's name). .
  • the sound output unit 452 may output audio data stored in the memory 440.
  • the sound output unit 152 may also output a sound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eg, a user authentication confirmation sound, a user authentication guide sound, etc.)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sound output unit 452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 the output unit 45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include a haptic module 453.
  • the haptic module 453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a user can feel.
  •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453 may be vibration.
  • the controller 410 may output the tactile information by using the haptic module 453 when a user's touch input is detected on a touch screen implemented in an external frame, an internal frame or a glass window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user may check whether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is correctly input using the tactile information.
  •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453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For example, the haptic module 453 may output a combination of different vibrations or sequentially output them.
  • the haptic module 453 includes a pin array that vertically moves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jett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air through an injection or inlet, grazing to the skin surface, contact of an electrode, electrostatic force, and the like.
  • Various tactile effects can be generated, such as effects by the endothermic and the reproduction of a sense of cold using the elements capable of endotherm or heat generation.
  • the haptic module 453 may not only transmit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may allow a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a muscle sense such as a finger or an arm.
  • the haptic module 453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a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sensing unit 43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be mounted to the body to be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user's body, and a tab to which the user taps the body or A tap detector 433 may be further provided for detecting a tap gesture.
  • the tap detected by the tap detection unit 433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is a means for inputt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controls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when the user boards a vehicle. It can be used as a means for.
  • the tap may be understood as an operation of lightly tapp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in body or an object with a tap object such as a finger, or an operation of lightly contacting the tap object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in body or an object.
  • the body of the sensing unit 430 may be formed in a body portion of the vehicle including an outer frame and an inner frame of the vehicle and a window or a windshield glass.
  • the tab object applying the tab may be an object capable of exerting an external force on the body or the object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tap object is not limited to an object capable of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an object capable of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 body or the object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object to which the tap gesture is applie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bject placed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in body and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tap or tap gesture may be detected by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ouch sensor included in the tap sensor 433.
  • An acceleration sensor is a sensor which can measure dynamic force, such as acceleration, a vibration, an impact,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here.
  • the acceleration sensor may detect the vibration (or movement) of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generated by the tap gesture to detect whether a tap is applied to the object. Accordingly, the acceleration sensor is located close to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so as to sense a tap o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or to detect whether movement or vibration has occurred i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t can detect that the object is being tapped.
  • the acceleration sensor may be applied to a point outside the main body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 tap is applied to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s long as the acceleration sensor can detect movement or vibration i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Even if the tap can be detected.
  • a mode using only an acceleration sensor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mode and a mode using a touch sensor as a second mode, and utilize both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touch senso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Mode)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mode or a hybrid mode.
  • the minimum current or power It in order to detect the tap through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touch sensor, even if the display unit 451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is in a deactivated state, the minimum current or power It can operate in a specific mode that is consumed. This particular mode may be called 'doze mode'.
  • the dose mode in the touch screen structure in which the touch sensor and the display unit 451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he light emitting device for outputting the screen from the display unit 451 is turned off, and the touch sensor May be in a state of maintaining an on state.
  • the dose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splay unit 451 is turned off and the acceleration sensor is turned on.
  • the dose mode may be a mode in which the display unit 451 is turned off and the touch sensor and the acceleration sensor are both turned on.
  • the display unit 451 is turned off (the display unit 451 is inactive), at least one point on the touch screen formed on a portion of the vehicle by the user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tap is applied to a specific point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detect that the tap is applied from the user through at least one of the touch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which is on.
  • control unit 410 in order to distinguish that the tap as a means for inputting the us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tap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nd any external object simply collided, Only when at least two taps are applied to the touch screen formed on a part of the vehicle within a reference time, it is determined that a "tap" for inputting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controll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s detected. can do.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one tap is applied to the touch screen formed on a portion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410 inpu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one tap. It is not intended to be received, but merely to recognize that an external object or human body has collided.
  • control unit 410 is a means for inpu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only when the tap detection unit 433 detects at least two (or more) taps continuously applied within the reference time, or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tap is sensed as a mean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tap gestures may mean that at least two or more tap gestures are continuously detected within a reference time. According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tap" detected may mean that an object such as a user's finger or a touch pen is hit on the main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 plurality of times.
  • the controller 410 may determine whether the tap is detected not only within the reference time but also by the user's different finger or by one finger.
  • the control unit 410 may be a part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vehicle, that is, a part of the window or the windshield glass of the vehicle, a part of the A, B, C pillar or the sunroof of the vehicle, or a part of the vehicle door, or the console inside the vehicle.
  • the controller 410 recognizes an acceleration generated by the taps or a position where the taps are sensed on the display unit 451 through at least one of a touch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tap detector 433.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taps are made through one finger or through different fingers.
  • controller 410 further considers whether the user inputs the tabs through one hand or one finger or through both hands or at least two fingers,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and distance at which the tab is applied or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ngerprint is recognized.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input.
  • the taps may mean a plurality of tappings that are continuously detected within a reference time.
  • the reference time may be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a time within 300 ms to 2 s.
  • the tap detector 433 is next to the first tap within a referenc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tap is detected. You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tap.
  • the tap detector 433 or the controller 410 may input a us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a specific function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 tap for controlling is detected. As such, the control unit 410 recognizes the 'valid tap' only when the second tap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first tap is detected, so that the user input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a tap is applied to control the vehicle, or whether a user's mistake or an unintended object collides with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410 may tap the main body by the second reference number or the second reference number of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fter detecting the first tap that strikes the first reference number of times or the first reference number of times or more. This detection may be recognized as the 'valid tap'.
  • the number of the first reference number of time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reference number of time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first reference number may be one time and the second reference number may be two times.
  • both the first reference number and the second reference number may be one time.
  • the controller 410 may determine that the “taps” are detected only when the tap is appli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That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body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s first hit, the controller 410 may calculate a predetermined area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tap is detected. The controller 410 taps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number of times or more than the first or second reference number of times in the “predetermined region” within the referenc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first tapping is detected. If is detected,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tap or the second tap is applied.
  • the reference time and the predetermined region described above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first tap and the second tap may be sensed as separate taps according to the location where each tap is sensed, as well as the reference time and the predetermined area. That is, the controller 410 may determine that the first tap and the second tap are applied when the second tap is detected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ap is detected. In addition, when the first tap and the second tap are recognized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the first tap and the second tap may be sensed at the same time.
  • first tab and the second tab are configured with a plurality of touches, that is, a plurality of taps
  • a plurality of touches respectively constituting the first tab and the second tab may also be sensed at the same time.
  • the first touch constituting the first tab is detected, the first touch constituting the second tab is located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from a position at which the first touch of the first tab is detected.
  • the controller 110 may detect first touche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taps, respectively.
  • the controller 410 detects an additional touch input detected at each location, and when the touch is detected at the first reference number or the second reference number of times at each location, the controller 410 determines that the first tap and the second tap are applied. can do.
  • the controller 410 may not only authenticate the user but also the vehicle control device ( At least one of the functions executable at 400 may be controlled.
  • the functions executable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mean all kinds of functions capable of being executed or driven o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One of the executable functions may b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term "the arbitrary function is executed” may mean that the "an arbitrary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or driven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controller 410 may control navigation so that a music file is played or a path to a preset destination is automatically set based on a plurality of tabs of the user detected by the console box.
  • a function executable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be a function necessary for basic driving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a function required for basic driving may be a function of turning on / off an air conditioner or a hot air fan provided in the vehicle, starting the vehicle, switching the vehicle from the locked state to the unlocked state, or vice versa.
  • There may be a function for switching from a state to a locked state.
  • it may be a function to turn on (on) or off (off) the cruise control func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410 may form a location for receiving the us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based on a point on the main body or the touch screen where the user's tap is detected.
  • the controller 410 may be configured to form an area for receiving pattern information based on a point where a user's tap is first applied, or an area for receiv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hat is, for example, a fingerprint. You can do that.
  • the point at which the user's pattern information or biometric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may change every time. Accordingly, the user can minimize the exposure of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us can be more secure from threats such as theft of the vehicle.
  • the us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through a preset external device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That is,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430 may be connected to a preset external device outside the vehicle by using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31,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may include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 It may be applied to the detector 430 through 431 and may be authenticated by the controller 410.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obtain vehicle information from a vehicle.
  • the vehicle information may be obtained through the sensing unit 430 described abov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separately include a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401 for acquiring the vehicle information.
  • the vehicle information the air conditioning function for the vehicl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sunroof is opened,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the navig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stolen state of the vehicle and a fueling state of the vehicle.
  • the vehicl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peed, the driving acceleration, the driving distance to the present, the number of rapid accelerations and the number of rapid braking of the vehicle.
  •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401 may communicate with various sensors provided in the vehicle.
  •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401 may b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 acceleration sensor that measures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to collect acceleration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 the vehicle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C401 may communicate with the black box provided in the vehicle to acquire an accident image when a vehicle accident occurs.
  • the memory 440 may store the accident image.
  • 6B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t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t external device 170 may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user's smart phone 171 or a smart key 172.
  • the controller 110 may recognize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170, and may automatically recognize a specific user when the external device 170 i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controller 410 may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70,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external device 170 may be detected by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external device 170, and may be detected.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through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431 of the unit 430.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wearable device 200.
  • the wearable device 200 may be a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specific body part of the user.
  • the wearable device 200 may be a watch-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part of a user.
  • the wearable device 2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that communicates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nstalled in the vehicle 500, and a main body that is worn on a wrist part of the user and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can do.
  • the wearable device 200 may further include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specific body part (eg, a wrist part).
  • a biometric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that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about the user from the specific body part (eg, a wrist part).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acquire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and the storage unit 440 may stor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heart rate, body fat, blood pressure, blood sugar, face shape, fingerprint, brain wave, and iris for the user.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 user's heart rate, fingerprint or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or preset password or pattern information.
  •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 gesture of a specific user.
  •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based on a plurality of biometric information or a plurality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 authentication of the user may be performed by confirming both the user's heart rate and the user's gesture.
  • the external device 170 is configured to receiv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that is, at least some of the sensors provided in the sensing unit 43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r other addition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number of sensors.
  • the external device 170 such as the smart key 172 or the smart phone 171 may be connected to a touch screen or a sensing unit 430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through which a user may input pattern information.
  • a sensing unit similar to or corresponding to the provided tap sensing unit 433 may be provided.
  • the external device 170 may further include a fingerprin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user's fingerprint.
  • the external device 170 may further include an inertial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or the like for recognizing a user's gesture.
  • a sensor for acquiring a heart rate of a user may be provided.
  • an iris recognition camera for recognizing a user's iris may be provided.
  • the user may input his or h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ing at least one of a fingerprint, preset pattern information, and iris recognition information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70.
  • the user may make his / h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170 by making a specific gesture while wearing the external device 170.
  • the control unit 110 of the external device 170 uses information 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external device 170 according to a user's gesture, that is, an acceleration measurement value, a gravity change amount, or a change amount of inertia. By recognizing the gesture of the user can be used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 the external device 170 may recognize that the location is changed by using an image of a user input through a camera or the like and measure the changed value.
  • the controller 410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vehicle using the inpu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ler 410 may recognize the current user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vehicle, and set the vehicle internal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user. Alternatively,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is in the unlocked state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once again in the state where starting is completed, the controller 410 may convert the unlock state of the vehicle into the locked state.
  • the driving of the vehicle may be controlled immediately by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70 as described above, but the controller 410 may further request the user for one authentication process.
  • the controller 410 switches the state of the vehicle to a wake up state when the external device 170 approa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or when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170.
  • the vehicle may be prepared to be driven.
  • the user When the user enter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nce again into a preset area (for example, a driver's seat or a driver's window or A, B, C pillar, etc.) in the vehicle's exterior or interior, when the user enters the wake-up state, The user may be authenticated to receive an input, and the vehicle may be driven accordingly.
  • a preset area for example, a driver's seat or a driver's window or A, B, C pillar, etc.
  •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taking only one authentication procedure as an example,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more authentication procedures can be performed.
  • the plurality of authentication procedures are performed.
  • the plurality of authentication procedures may be performed by the user directly on the touch screen area formed on a part of the vehicle. Of course, the same may also be applied to the input of the own authentication information.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describing a display unit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 7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ead unit of a vehicl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D100 to D102.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ncludes one first display unit D100 in front of a driver's seat and two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D101 and D102 in front of each rear seat. It may include.
  • the first display unit D100 is limited by the vehicle content display method, and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D101 and D102 may display the entire content without the limitation.
  • FIG. 8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FIG. 8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mage display device, a head unit of a vehicle, or a telematics terminal.
  • the vehicle controller 400 ′ includes a controller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a CPU) 412 ′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vehicle controller 400 ′, and a controller 412.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the memory 413 ' may store map information (map data) for displaying road guidance information on a digital map.
  • the memory 413 ′ may store a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control algorithm for inputting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road situation i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driving a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algorithm.
  • the main board 410 ' is assigned a unique device number and has a built-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dule 406', a GPS signal for locating the vehicle and tracking a driving route from a starting point to a destination.
  • GPS module 207 for receiving a signal or transmitting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by a user a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and a CD deck (408 ') for reproducing a signal recorded on a compact disk (CD).
  • a gyro sensor 409 ' The CDMA module 406 'and the GPS module 407'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the antennas 404 'and 405'.
  •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422 '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10' and receive a broadcast signal through the antenna 423 '.
  • the main board 410 ' has a display unit (LCD) 401' under the control of the LCD control unit 414 'through an interface board 403' and a front board under the control of the key control unit 411 '. 402 ′ and a camera 427 ′ photographing the inside and / or outside of the vehicle may be connected.
  • the display unit 401 ′ displays various video signals and text signals
  • the front board 402 ′ includes buttons for inputting various key signals, and provid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user-selected button on the main board. 410 '.
  • the display unit 401 ' includes a proximity sensor and a touch sensor (touch screen).
  • the front board 402 ' may include a menu key for directly inputting traffic information, and the menu key may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the key controller 411'.
  • the audio board 417 ' is connected to the main board 410' and processes various audio signals.
  • the audio board 417 ' includes a microcomputer 419' for controlling the audio board 417 ', a tuner 418'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microcomputer 419 '. 416 '), and a signal processor 415' for processing various voice signals.
  • the audio board 417 ' also includes a radio antenna 420' for receiving radio signals and a tape deck 421 'for playing audio tapes.
  • the audio board 417 ′ may further include a voice output unit (eg, an amplifier) 426 ′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audio board 417 ′.
  • a voice output unit eg, an amplifier
  • the voice output unit (amplifier) 426 '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424'. That is, the audio board 417 'and the main board 410' are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424 '.
  • the vehicle interface 424 ' may be connected with a hands-free 425a'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n airbag 425b 'for occupant safety, and a speed sensor 425c' for detecting a vehicle speed.
  • the speed sensor 425c ' calculates a vehicle speed and provides the calculated vehicle speed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412'.
  • the navigation session 400_1 'appli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generates road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map data and the vehicl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ies the user of the generated road guide information.
  • the display unit 401 ′ detects a proximity touch in the display window through a proximity sensor.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401 'detects the position of the proximity touch when the pointer (for example, a finger or a stylus pen) is in close proximity and detects the posi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Output to the controller 412 '.
  • the pointer for example, a finger or a stylus pen
  • the voice recognition device (or voice recognition module) 401_1 'recognizes the voice spoken by the user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recognized voice signal.
  • the navigation session 400_1 'appli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displays a driving route on map data, and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previously determined from a blind spot included in the driving route.
  • the wireless network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eg, a vehicle navigation device) mounted on a nearby vehicle and / or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nearby pedestria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near-field wireless network) when within a set distance.
  • a terminal eg, a vehicle navigation device mounted on a nearby vehicle and / or a mobile terminal carried by a nearby pedestria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a near-field wireless network) when within a set distance.
  •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vehicl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mounted on the surrounding vehicle
  •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pedestria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carried by the surrounding pedestrian.
  • the main board 410 ′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430 ′, and the interface unit 430 ′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1 ′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432 ′.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431 ′ may connect the external device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1 ′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431 ′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isk (DVD), a Blu-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laptop), or the like by wire / wireless.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231 transmits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o the controller 412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an image, audio, or data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ler 412 'may be output to a connected external device.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1 ′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not shown)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 S-video terminal (analog), so that video and audio signals of an external device can be input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It may include a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perform near field communication with another electronic devic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may include, for exampl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DLNA (Digital Living Network). Network can be connected to other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ZigBee
  • DLNA Digital Living Network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1 ′ may be connected through at least one of various set-top boxes and various terminals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431 ′ may receive an application or a list of applications in a neighboring external device and transmit the received application or application list to the controller 412 ′ or the memory 413 ′.
  • the network interface unit 432 ′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with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an internet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432 ' may include, for example, an Ethernet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a wired network, and for example, for connection with a wireless network, for example, a wireless LAN (WLAN) (Wi).
  • WLAN wireless LAN
  • Wibro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the network interface unit 432 ′ may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nother user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 some content data stored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may be transmitted to another user or a selected electronic device selected from other user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 the network interface unit 432 ' can access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a connected network or another network linked to the connected network. That is, by accessing a predetermined web page through the network, it is possible to send or receive data with the server.
  •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may be received. That is, content such as a movie, an advertisement, a game, a VOD, a broadcast signal, and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provider may be received through a network.
  • the network interface unit 432 ′ may select and receive a desired application from among applications that are open to the public through the network.
  • 8B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ehicl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8B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with emphasis on the function of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is implemented as a vehicle navigation device,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may be an in-dash type and an on-dash type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type in a vehicle. ).
  • the desiccation type navigation device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space allocated in a dash board of the vehicle and fixedly mounted.
  • the on-decay navigation device (vehicle navigation) is mounted on a dashboard of the vehicle or installed using a fixed support near the vehicle, and thus can be detached and carried from the vehicl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includes such an instant type and an on-type type navigation device (vehicle navigation) device, and in addition to the navig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 in a vehicle. It includes both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pable of receiving and / or processing traffic information, such as various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in conjunction with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a.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receive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ignal received from a satellite and based on the received GPS signal, a navig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 GPS module 401 &quot for generating first vehicle location data of the same vehicle
  • a dead-reckoning (DR) sensor (402 ") for generating second vehicle position data based on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 a storage unit (or memory) 404 &quot for stor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 a vehicle estimation position is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vehicle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vehicle position data, and the generated vehicle estimation position and a link (map matching link or map) in the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4 ''.
  • a voice output unit 406 ′′ which outputs voice guidance information (road guidance voice message) included in the road guide information and voic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ffic light inform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408 ′′ may further include a hands-free having a Bluetooth module, and may receive a broadcast signal including traffic information in TPEG format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rough an antenna.
  • the broadcast signal includes not only video and audio data according to various standards such as terrestrial or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and digital video broadcasting (DVB-T, DVB-H), but also traffic information (TPEG). And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raffic information and various additional data according to a service, a binary format for scene (BIFS) data service.
  • the communication unit 408 &quot tunes a signal band provided with traffic information and demodulates the tuned signal and outputs the demodulated signal to a TPEG decoder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407).
  • the TPEG decoder decodes the traffic information in the TPEG format and provides the controller 407 ′′ with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raffic ligh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raffic information.
  •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map data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such as lane information, driving speed limit information, turn-by-turn information, traffic safety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nd route finding information. .
  •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GPS module 401 '' include 802.11, which is a standard standard of a wireless network for a wireless LAN including a wireless LAN and some infrared communication proposed by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and Bluetooth.
  • 802.15 the standard for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PANs), including UWB, ZigBee, and wireless metro area networks (MAN), including fixed wireless access (FWA), etc.
  •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s such as 802.16, which is a standard for the Internet, and 802.20, which is the standard for the mobile Internet for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MBWA) including Wibro, WiMAX, etc.
  • the vehicle may also be configured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 An input unit may be further configured 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and the input unit may select a function desired by a user or receive information, and various devices such as a keypad, a touch screen, a jog shuttle, a microphone, and the like may be used. have.
  • the map matching unit 403 '' generates an estimated vehicle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and reads map data corresponding to a driving route from the storage unit 404 ''. do.
  • the map matching unit 403 &quot matches the estimated vehicle position with a link (road) included in the map data, and the controller 407 " matches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 the map matching unit 403 ′′ generates a vehicle estimation position based on the first position data and the second position data, and the generated vehicle estimation position and the storage unit 404 ′′.
  • the links in the map data stored in the network are matched according to the link order, and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is output to the controller 407 ".
  • the map matching unit 403 '' may output road attribute information, such as a tomographic road or a double-story road, included in the matched map information (map matching result) to the controller 407 ''.
  • the function of the map matching unit 403 ′′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ler 407 ′′.
  • the storage unit 404 '' stores map data.
  • the stored map data includes geographic coordinates (Geographic Coordinate or longitude coordinates) for displaying latitude and longitude in degrees and seconds (DMS unit: Degree / Minute / Second).
  • the stored map data may use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UTM) coordinates, Universal Polar System (UPS) coordinates, Transverse Mercator (TM) coordinates, etc. in addition to the geographic coordinates.
  • UDM 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 UPS Universal Polar System
  • TM Transverse Mercator
  • the storage unit 404 ′′ stor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point of interest (POI), and func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p data.
  • various information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point of interest (POI), and function characteristic information according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map data.
  • POI point of interest
  • the storage unit 404 ′′ stores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 UIs user interfaces
  • GUIs graphical user interfaces
  • the storage unit 404 ′′ stores data, a program, and the like necessary for the navigation device 400 to operate.
  • the storage unit 404 ′′ stores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 the destination information may be a destination, or one of a departure point and a destination.
  • the display unit 405 ′′ displays image information (or road guide map) included in the road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407.
  • the display unit 405 includes a touch sensor (touch screen) and a proximity sensor.
  • the road guidance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map data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driving such as lane information, driving speed limit information, turn-by-turn information, traffic safety information, traffic guidance information, vehicle information, and route finding information. have.
  • the display unit 405 ′′ When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405 ′′ displays various contents such as various menu screens and road guide information using a user interface and / or a graphic user interface included in the storage unit 404. can do.
  •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5 ′′ includes a menu screen including various text or image data (including map data and various information data), data such as an icon, a list menu, a combo box, and the like.
  • the voice output unit 406 ′′ outputs voice information (or a voice message for the road guid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oad guid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407.
  • the voice output unit 406 ′′ may be an amplifier or a speaker.
  • the controller 407 ′′ generates road guide information based on the matched map information, and outputs the generated road guide information to the display unit 405 ′′ and the audio output unit 406 ′′. .
  • the display unit 405 ′′ displays the road guide information.
  •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407 ", the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and / or a terminal (vehicle navigation device) mounted in a nearby vehicle to generate road guidance information.
  • the control unit 407 '' may be connected to the call cen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08 '' to perform a telephone call or to transmit / receive information betwe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and the call center.
  • the communication unit 408 '' further includes a handsfree module having a Bluetooth function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the controller 407 &quot searches for POIs located on a path from a current location to a destination, and displays the searched POIs on the display unit 405 ".
  • the control unit 407 '' may be a POI located on the path (a point where the path does not need to be changed (re-searched), for example, a POI locat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driving road) and / or the periphery of the path.
  • a POI located at is searched for, for example, a point at which a path should be changed, for example, a point at which a predetermined path must be changed to pass through a surrounding POI, and the retrieved POI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5 ''.
  • 8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creen related to a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screen illustrated in FIG. 8C may be a screen display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the wearable device 200, o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400 ′, 400 ′′.
  • the mobile terminal 100 i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wearable device, etc.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 FIG. 8C When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ly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C may be displayed, or all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8C may not be displayed.
  • the display unit providing a scree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may display an icon I1 indicating an orientation of a map displayed on an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providing a scree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may display a map such that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the true north direction of the earth),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direction in which the destination is located, is fixedly displayed on the upper direction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that provides a scree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may display an icon I2 indicating whether the sound output module 162 is activated and a volume setting in one area of the screen. The user may activate or deactivate the sound output module 162 or adjust the volume by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icon I2.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3 indicating whether to activate a route search function using a TPEG (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 in one area of the screen.
  • TPEG 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
  • TPEG 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4 displaying a scale of the map data on one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5 displaying a current time on one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6 indicating an estimated time to reach a preset destination in one region of the screen.
  • an icon indicating a time required to reach a predetermined destination may be displayed.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7 indicating a distance remaining to a preset destination in one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8 that enlarges the map displayed on one area of the screen or an icon I8 ′ that reduces the map.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9 indicating a position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in one region of the screen.
  • the icon I9 may be displayed at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current moving object on the map. Further,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may be indicated by the vertex direction of the arrow or the like in the icon I9.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10 displaying a place name of an area where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in one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con I11 indicating a lane configuration of the roadway when the moving object travels in a length roadway in one area of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 path required to reach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I12 (see FIG. 8).
  • the route may not be displayed if the destin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not set.
  • All functions (for example, navigation functions)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es 400, 400 ′ and 400 ′′ described above may include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ed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by wire or wirelessly, In particular, all of them may be performed by the wearable device 200.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es 400, 400 ′, 400 ′′ and the mobile terminal 100 may perform all the functions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wearable device 200 may include components identical, similar to, or corresponding to, components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accele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wearable device 200 may serve as an accele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a virtual network computing (VNC) scheme may be applied for interworking or linking betwe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es 400, 400 ′, 400 ′′ and the mobile terminal 100.
  •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 VNC Virtual network computing
  • RFB Remote Control Agent
  • the VNC may provide a method of updating a graphic screen through a network by transmitting a keyboard, mouse, or touch event from one terminal to another terminal.
  • all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and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wearable device 200.
  • the input for the set temperature for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vehicle is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or the wearable device 200, and the input set temperature
  • the role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may be perform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some or a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or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Duplicate part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repres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the same, similar or cor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a, and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Portions that overlap with the above-described parts may be omitted for clarity of presentation of th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 watch-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part of a user,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nd worn on the wrist part of the us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wrist part at all times, an output unit provided at the main body,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utput unit to externally output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 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screen or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in a) manner.
  •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ch-typ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a smart watch-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part of a user.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ntroller C200, a communication unit CM100, a main body B200, and an output unit OT200.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IN200, a position detector P200, a display unit D200, and a memory unit ST200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 the components shown in FIG. 9 are not essential, so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with more or less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serve to communicate with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perform wired 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include an electronic component for any one or more of BluetoothTM, Zigbee, Ultra Wide Band (UWB), Wireless USB,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Wireless LAN, or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obtain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500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navig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500, a stolen state of the vehicle 500, and a fueling state of the vehicle 500.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 position detector P200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C200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transmit the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which is set in advance.
  •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may be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may be another preset terminal instead o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may be a mobile terminal possessed by a passenger riding in the vehicle 500.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500, a speed of the vehicle 500,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0. May include relevant inform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transmit and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based on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etc. protocol), It may be at least one of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Wireless LAN
  • Wi-Fi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clude an input unit IN200 that receives a user input from the user.
  • the controller C200 may generate a vehicl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user input.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transmit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main body B200 includes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inside or on the surface to support the components, determine the shap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simultaneously maintain the same. It can play a role in protecting against shocks.
  • the body (B200) may be formed to be worn on the wrist of the user.
  • main body B200 may be formed to be always in contact with the wrist portion.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serve to output information or a result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outside.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a screen or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output unit OT200 displays an arrow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calculated in real time by the controller C200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can do.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display unit D200.
  • the output unit OT200 may include the destination,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the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the time required, and the arrival tim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abov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arrow.
  • the output unit OT200 may indicate an arrow indicating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ased on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the pedestrian mode when the user gets off from the vehicle before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e pedestrian mode may be activated.
  • the output unit OT200 may output a walking direction to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walk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configured to notify a preset position before the vehicle 500 arrives at a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0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n arrow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Can output a signal.
  • the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the screen in the turn-by-turn method.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a driving route to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a map around the driving route on the screen.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a screen in the TBT screen display mode and a screen in the MAP screen display mode together.
  • the controller C200 changes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MAP screen display mode. You can switch to
  • the controller C200 may switch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TBT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mode switch input is input whil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MAP screen display mode.
  • the output unit OT200 may include a touch screen.
  • the screen mode switching input may be a user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 the output unit OT200 may change an attribute of the arrow according to driving information from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500 to a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0 should be changed.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D200 displays and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display unit D200 may display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function provid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 the display unit D200 may be implemented by being included in the output unit OT200.
  • the display unit D20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3D display).
  • two or more display units D200 may exis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form of the mobile terminal 200.
  •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simultaneously provi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display unit D200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 the display unit D200 is output.
  • the touch sensor may have, for example, a form of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 the position detector P200 may serve to detect a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position detector P200 may include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or a GPS sensor) or a WiFi Fidelity (WiFi) module.
  • GPS Global Position System
  • WiFi WiFi Fidelity
  • the position detector P200 may further include a DR sensor.
  • the location detector P200 may detect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based on the detected value from the DR sensor.
  • 'DR' is an abbreviation of 'Dead Reckoning' and it can be called 'guessing navigation' or 'guessing' in Korean.
  • the dead reckoning technique has been used by navigators before the development of GPS-based positioning technology. It is a general term for the method of estimating the current position by measur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hip by using the astronomy system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port.
  • the “inferred navigation” is called “Deduced Reckoning” at the beginning. It is shortened to “Deduced” and is pronounced “Ded” and later generalized to “Dead”, and is recently called “Dead Reckoning".
  • the dead reckoning technology used by navigators in the past has been incorporated into today's car navigation systems to assist GPS in the underground space where GPS satellite propagation is completely cut off or in the forest environment where GPS waves are distorted and lost. It is becoming.
  • the DR unit for a vehicle includes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so as to determin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may be designed to be connected with the vehicle speed sensor so as to track the moving distance.
  • the controller C200 may play a role of controlling components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in order to implement a function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the controller C20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OT200 to externally output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500 obtain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controller C200 may calculate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C20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OT200 to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the arrow when the arrow is only displayed on the screen or when there is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for providing a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arrow is more than the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 the display may be larg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perform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500.
  • control unit C200 may drive the vehicle 500 based on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n arrow indicating a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controller C200 may activate the navigation interworking function when it is recognized by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that the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500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C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gets off from the vehicle 500 before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arrives.
  • the controller C200 may activate a pedestrian mode and output a walking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through the output unit OT200 when the user gets off from the vehicle before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arrives. Can be.
  • the output unit OT200 may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walk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the controller C20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 controller C20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user's touch input and voice input.
  • controller C20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500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 control unit C200 may display the screen display mode when a screen mode change input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N200 while a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a TBT screen display mode. Can switch to the MAP screen display mode.
  • the controller C200 may switch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TBT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mode switch input is input whil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MAP screen display mode.
  • the controller C200 when the screen mode setting input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N200, the controller C200 sets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TBT screen display mode based on the screen mode setting input. It may be set to one of the MAP screen display mode and the dual screen display mode.
  • the controller C200 may change a property of the arrow based on driving information from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500 to a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0 should be changed.
  • the output unit OT200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istanc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vehicle 500 enters the driving branch point, and the speed at which the vehicle 500 enters the driving branch point. .
  • the attribute of the arrow may be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display angle and length of the arrow.
  • the controller C200 may collect pattern information about a driving pattern of the user or a walking pattern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 the controller C200 may change the screen display time point of the arrow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 the driv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peed, the number of rapid accelerations, and the number of rapid braking times.
  • the walk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speed.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may perform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500.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transmit and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based on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500, a speed of the vehicle 500,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500. May include relevant information.
  •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may transmit / receiv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or the waypoint on the driving route is set.
  • the controller C200 may generate a vehicle control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IN200.
  • control unit C20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CM200 to transmit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400.
  •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ir conditioning for the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of a sunroof,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driving of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It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r setting a function related to one.
  • the input unit IN200 may serve to receive an external input (or user input) from an external (or user) to control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input unit IN200 may serve to receive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based on at least one of a user's touch input and a voice input.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the screen mode switching input from the user.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the screen mod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a user input for generating the vehicle control signal.
  • the input unit IN200 may allow a user to generate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input unit IN20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 a touch pad static pressure / capacitance
  • a jog wheel a jog switch
  • a touch screen a touch screen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or receive) various user inputs from a user.
  • the input unit IN200 may be configured to set a parameter or environment related to hardware or softwar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or to set a setting necessary for the mobile terminal 200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You can receive input.
  • the input unit IN200 may receive a user inpu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the user by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user interface may be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storage unit ST10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C20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the user input, control input, setting input, etc.). You can also perform a function for storage.
  • the storage unit ST200 may store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vehicle 500 is getting on or off the vehicle.
  • the storage unit ST200 may includ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solid state disk or a solid state driv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nd a card type.
  •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 RAM random access memory
  •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ROM read-only memory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It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of at least one type of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perate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storage unit ST200 on the Internet.
  • the first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some or a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provides a clear represent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isclosed herein. Duplicate parts can be omitted.
  • a mobile terminal has been able to provide a navigation function to provide a route guidance to a set destination.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a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part of a us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destination,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or calculating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process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the mobile terminal is a watch-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the user's wrist,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is worn on the user's wris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main body,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wrist portion at all times.
  • 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screen or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in a) manner.
  •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the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a preset vehicle navigation device (or vehicle control device).
  • the arrow when the arrow is only displayed on the screen or when there is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for providing a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arrow is more than the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It may be a large display method.
  • the display unit or output unit may include one of the destination, a stopover on a driving route from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a distanc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destination, a time required, and an arrival time.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arrow.
  •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200 providing a navigation function includes an input unit 130, a receiver 115, a controller 180, a display unit 151, and a communication unit 110.
  • the input unit 130 is an input unit IN200 shown in FIG. 9, the receiver 115 is a position detecting unit P200 shown in FIG. 9, and the control unit 180 is a control unit C200 shown in FIG. 9.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display unit D100 or an output unit OT200 illustrated in FIG. 9,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the same as, similar to, or correspond to a communication unit CM200 illustrated in FIG. 9. Can be.
  • a step (S410) of receiving a destination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input unit 130 is performed.
  • the user may input a destination to receive the directions through a physical keypad or a touch pad.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may input a destination using a voice signal through the microphone 122.
  • a step (S420) of receiving a signal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rough the receiver 115 is performed.
  • the receiver 115 may receive a GPS signal for calcul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rom the GPS satellite 300.
  • step S430 of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calculating in real time a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performed.
  • the controller 180 may calculate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500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step (S440) of outputting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moving direction to the display unit 151 is performed. Specific matter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 TBT turn-by-turn
  • the arrow when the arrow is only displayed on the screen or when there is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for providing a vehicle navigation function, the arrow is more than the at least one other graphic object. It may be a large display method.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the destination,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destination.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distance, total time required, remaining time required and arrival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arrow.
  • 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total distance of 3 km, a distance from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200 to the destination, a 20 minute walk, and a remaining time. '3 minutes remaining'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arrow
  • a step (S460) of determining whether communication with a preset vehicle navigation device (or vehicle control device) is possible is performed.
  • step S420 of receiving a GPS signal again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20 of receiving a GPS signal again.
  • a step (S470) of transmitting a destination and a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is performed.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destination and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a vehicle navigation device or a vehicle control device which is set in advance.
  • step S470 data can be transmitted / received using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and a preset protocol (or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that receives the transmission guides the road to the destination us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as a starting point. That is,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proceeds to guide the road that was progress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or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perform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with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based on a preset communication protocol.
  • the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etc. protocol),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at least one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 UWB Ultra Wideband
  • ZigBee Wireless LAN
  • Wi-Fi Wireless Broadband
  •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nd receive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or the waypoint on the driving route is set.
  • Figure 10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road guidance process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 the receiving of the GPS signal (S420) and the calculating of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S430) may be performed in real time in succession or at predetermined intervals.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as a wearable device.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arable bracelet or a necklace.
  • 11A to 11B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implementing a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screen mode switch input from the user.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the screen in the turn-by-turn method.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 driving route to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nd a map around the driving route on the screen.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 screen in the TBT screen display mode and a screen in the MAP screen display mode together.
  • the controller 180 may switch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MAP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mode switch input is input whil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TBT screen display mode.
  • the controller 180 may switch the screen display mode to the TBT screen display mode when the screen mode switch input is input while the previously set screen display mode is the MAP screen display mode.
  • the input unit 130 may receive a screen mode setting input from the user.
  • the controller 180 may set the screen display mode to any one of the TBT screen display mode, the MAP screen display mode, and the dual screen display mode based on the screen mode setting input.
  • the display unit 151 may include a touch screen, and the screen mode switching input may be a user touch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earable watch.
  • a user may wear and carry the mobile terminal 200 on a wrist.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heck the time or transmit and receive a call and a messag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before switching to the navigation mode).
  • the user may switch the mobile terminal 200 to a navigation mode (for example, a TBT screen display mode or a MAP screen display mode).
  • a navigation mode for example, a TBT screen display mode or a MAP screen display mode.
  • 11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navigation mode is the TBT screen display mode.
  • a specific button may be touched to switch to the navigation mode.
  • the destination may be inputted as a voice signal to switch to the navigation mode.
  • an arrow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may be output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 FIG. 11B it may be confirmed that the current position should be moved to the right of the movable path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required time from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o the destination at the time of starting the road guidance, and the time required to reach the destination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output together. Can be.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perform the road guidance in a TBT (Turn By Turn) method that outputs an arrow indicating a traveling direction.
  • TBT Transmission By Turn
  • 12A to 12D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rrow indicating a moving direction.
  • 12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rrow indicating a straight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arrow may be outpu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be straight. For example, an arrow indicating a relatively long distance may be output longer.
  • 12B and 12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rrow indicating a right turn and a left turn, respectively.
  • the angle at which the arrow is bent may be output relativel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right turn and left turn.
  • an arrow indicating a plurality of movable paths and a moving direction may be output.
  • the signal may include a voice signal, a vibration signal, and other sound signals, and the signal output method may be set by a user.
  • the signal may also be output with the arrow.
  • the Beep sound may b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the vibration may be output for a predetermined time.
  • a voice signal of "going straight" may be output.
  • Each output scheme may be selected in whole or in part and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r may be output with an arrow in FIG. 12A.
  • each output method may be selected in whole or in part and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r may be output with an arrow in FIG. 12B.
  • a beep sound or vibration may be output once.
  • a voice signal of "left turn” may be output.
  • Each output scheme may be selected in whole or in part and may be output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or may be output with an arrow in FIG. 12C.
  • time point at which the signal or the arrow is output can be set in various ways.
  • a signal or an arrow indicating the changed traveling direction may be output.
  • the aforementioned signal or arrow when passing through an intersection while moving to a destination, the aforementioned signal or arrow may be output 10m before reaching the branch point. Or, if a preset cycle or a user's request is requested, this can be output.
  • the deviation from the path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PS error at low speed may output the closest direction to return to the path from the current position.
  • a technique of matching on a road without error even if there is a GPS error may be used.
  • intersection may mean a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an arrow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display unit 151 may output a preset notification signal before the vehicle 500 arrives at the driving branch point.
  • the predetermined notification signal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controller 180 may change the attribute of the arrow and display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driving informa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t which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should be changed. can do.
  • th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remaining distanc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n entry direction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and an entry speed of the vehicle to the driving branch point.
  • the attribute of the arrow may be at least one of the size, shape, display angle and length of the arrow (see FIGS. 12A to 12D).
  • the controller 180 may collect pattern information about the driving pattern of the user or the walking pattern of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 controller 180 may change a screen display time point of the arrow based on the pattern information.
  • the driv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driving speed, the number of rapid accelerations, and the number of rapid braking times.
  • the walking patter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 walking speed.
  • 13A to 13C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related to destination setting.
  • a user may input a destination or a waypoint by voice. For example, a user may voice input "E-Mart" as a destination.
  • the voice input in FIG. 13A may be recognized to output information 710 such as a distance to E-Mart, a required time, and a map 720.
  • the user may set an e-mart on the output map 720 by touching the destination setting 730 as a destination.
  •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ist of destinations by inputting "recent destinations" and select a dual destination.
  • a recently searched destination list 740 may be output.
  • the location view 750 can be touched to check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destination.
  • the quick search 760 may be touched to start the directions to the selected destination.
  •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list of destinations by voice inputting a recent search place, a previous departure place, a favorite place, and the like.
  • an API for setting a destination or waypoint may be provided. For example, you can send a query to ⁇ slot> ⁇ destination> and check the results.
  • ⁇ nearby> ⁇ convenience store> may be recognized as a request for finding a nearby convenience store.
  • an API of route information may be provided. Accordingly, when requesting a route, the request may be queried / requested in the form of XML, and route information including each way point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may be provided. To this end, relevan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navigation map developer.
  • the destination may be chang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mong the road guidance to the set destination. This may be particularly useful during the road guidance process by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Specific matters related to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FIG. 1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user interface related to a road guidance method.
  • the road guidance to the destination may be performed by a TBT method using an arrow.
  • the user may switch to a screen displaying a map indicating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 the screen display mode displayed by the TBT method may be the above-described TBT screen display mode.
  • a map 820 indicating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is output.
  • the TBT switch 830 may be touched to return to the state of the left figure of FIG. 14.
  • the touch of the MAP 810 may mean the screen mode switch input described above.
  • the screen display mode corresponding to the right diagram of FIG. 14 may mean the aforementioned MAP screen display mode.
  • a map 820 indicating a current location and a destination and an arrow indicating a progress direction may be output together.
  •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or the vehicle control device performs a navigation function for the vehicle, and the communication unit 110.
  • vehicle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vigation func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control device.
  • the controller 180 displays the arrow indicat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on the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vehicle driving information. 151 can be controlled.
  • TBT turn-by-turn
  •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estination of the vehicle, a waypoint on a driving route, a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a speed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navigation interworking function.
  •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linked to vehicle navigation.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linked with a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or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set in advance.
  •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a protocol set in advance.
  •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set in advance when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set in advance is recognized while receiving the road guidance using the mobile terminal 200, the road guidance that is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is performed in the vehicle navigation. That is, the above-described navigation interworking function can be activated. To this end, the vehicle navigation apparatus may need to be close to the mobile terminal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navigation linkage function may be activated.
  • the road guidance which was made through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is mad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activation of the pedestrian mode).
  •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navigation device may need to be able to recognize the adjacent mutual devices. Alternatively, it may be switched through the switch button 910 or the switch voice recognition command.
  • 16A-16C illustrate a mobile terminal providing a pedestrian mod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isclosed herein.
  • the controller 180 can output a walking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n arrow indicating the walking direction on a screen in a turn-by-turn (TBT) manner (see FIG. 16A).
  • TBT turn-by-turn
  • the pedestrian mode may be automatically activat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automatic activation method or method of the pedestrian mode may be made based on various criteria.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the user got off from the vehicle before arriving at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walking direction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put unit by activating a pedestrian mode when the user gets off from the vehicle before arriving at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when it is difficult to move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180 may determine whether it is difficult to move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vehicle driving information including vehicle driving route information.
  •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based on the voice input of the user (switching through the switch button 910 or the switch voice recognition command described above).
  • the controller 180 may activate the pedestrian mod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IS10 or more.
  •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vehicle navigation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protocol set in advance.
  • the user does not have to enter a new destination in the vehicle navigation when changing the destination during vehicle operation.
  • the microphone 122 of the mobile terminal 200 is used instead of the vehicle microphone, the accuracy of speech recognition is increased.
  • security can be enhanced by using the smart key of the vehicle.
  • the body information of the wearer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used.
  • the body information may b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a specific body part of the user (eg, a wrist part in the case of the watch-type mobile terminal).
  • the biometric information may b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heart rate, body fat, blood pressure, blood sugar, face shape, fingerprint, brain wave, and iris for the user.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etermine a physical condition such as a wearer's heart rate, and when an abnormality of the wearer's body is detected, make an emergency call or change a destination to a hospital.
  • a physical condition such as a wearer's heart rate
  • the secon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some or a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Duplicate parts can be omitted.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wrist part of a user, a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control device installed in a vehicle, and is worn on the wrist part of the us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main body,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wrist portion at all times.
  • 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screen or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wrist region of the user.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tect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in a) manner.
  • the vehicle information the air conditioning function for the vehicle,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window is opened or closed, whether the sunroof is opened, the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the navig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vehicle ,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stolen state of the vehicle and a fueling state of the vehicle.
  • the controller may generate an alarm signal indicating that the state of the vehicle is abnormal based on the vehicle information, and the output unit may output the alarm signal to the wrist part of the user. have.
  • 1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for outputting vehicl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ontrol the output unit OT200 to externally output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500 obtained from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400.
  • 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state of a battery included in the vehicle 500 ('60% remaining ') and a vehicle door state (' door open ') of the vehicle information. ! ')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third embodiment disclosed herein may be embodied in some or a combination of configurations or step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Duplicate parts can be omitted.
  •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watch type mobile terminal worn and used on a user's wrist,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nd worn on the user's wrist.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unit to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for the vehicle obtained from the main body, the output unit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to the outside of the wrist portion at all times.
  • the output unit may display the vehicle information on the screen or output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vibration or voice of the main body.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 control unit calculates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s an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n turn-by-turn (TBT).
  • the output unit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on the screen in a) manner.
  • the mobi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user input from the user.
  •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vehicle control signal based on the user input, and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vehicle control signal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control signal.
  • the vehicle control signal may include air conditioning for the vehicl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opening and closing of a sunroof, battery charging state of the vehicle, driving of the vehicle, and at least provided in the vehicle. It may b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r setting a func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one device.
  • the at least one device may be a device related to at least one of an audio function, a video function, and a navigation function.
  •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control the vehicle, a part included in the vehicle, or at least one device provided in the vehicle based on the vehicle control signal.
  • FIG. 18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a vehicle by generating a vehicl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 the mobile terminal 200 may control an air conditioning function in a vehicle.
  • the mobile terminal 200 controls the in-vehicle air conditioning function through a user input input through a button or graphic object indicating 'up' or 'down'.
  •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 the vehicle 500 may set the temperature in the vehicle to 18 degrees based on the vehicle control signal.
  • the mobi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d herein is describ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network is supported, a service such as Wi-Fi or tethering may be support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itself.
  • the terminal 200 without the network modem may be inexpensive.
  •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i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 processor-readable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nclude.
  • the above-described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ay be.
  • FIG. 19 describes an electric vehicle
  • the technology disclos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vehicles (for example, a vehicle having a gasoline engine, a diesel engine, or an LPG engin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pplicability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19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n electric vehicle having a battery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 an electric vehicle 600 including a battery charging device includes a vehicle body 610, a battery 625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610, and The battery charger 640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610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charge the battery 625.
  • an upper area of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 boarding space in which a driver or a passenger boards.
  •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 cabin (not shown) in which a boarding space is formed.
  • the vehicle body 6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615 to enable driving. Suspensions 6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vehicle body 610 and the wheels 615, respectively. As a result,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when the vehicle body 610 is driven on the road surface may be alleviated.
  • the wheel 615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ehicle body 610 before and after.
  •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625 for power supply.
  • the battery 625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ary battery to be charged.
  •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motor 630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wheel 615.
  •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n inverter device 635 which provides driving power to the electric motor 630.
  • the inverter device 635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625 and the electric motor 630, respectively.
  • the inverter device 635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125 to receive DC power, convert the DC power into a power suitable for driving the motor 630, and provide the same to the electric motor 130.
  • the vehicle body 610 may be provided with a battery charging device 640 to charge the battery 625.
  • the battery charger 640 includes a charging circuit 660 connected to an external commercial power source (AC) and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to a power suit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625 and providing the battery 625 to the battery 625.
  • AC commercial power source
  • the charging circuit 660 is connected to the commercial power source, commercial power input unit for inputting commercial power, rectifier and smoothing unit for converting commercial power input through the commercial power input unit into direct current
  • a power converter converts the converted DC power into a power suitable for charging the battery 625 and outputs the converted power.
  • a mobile terminal by acquiring vehicle information about the vehicle from a vehicle control apparatus installed in a vehicle and outputting the vehicle information to the outside, a user may easily obtain the vehicle information.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fast and efficient.
  • a driving direction for reaching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arrow indicating the calculated driving direction is turned on.
  • TBT turn-by-turn
  • the speech recognition rate is higher than that of the vehicle microphone.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mpr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명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이며,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 중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는 사용자가 신체 또는 의류에 착용할 수 있는 각종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시계형 이동 단말기),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구글 글래스(google glass), 블루투스 헤드셋(Bluetooth Headset), 스마트 웨어(Smart wear)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그 다양한 기능에 따라 복합적인 기능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의 경우 시계로서 제공되는 기본 기능 외에도,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정지 화상을 촬영하거나, 동영상을 녹화하는 기능 또는 본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이메일 플러그인등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을 통한 메시지를 확인하거나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접속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량의 운전 내지 동작과 관련하여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활용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구비하고,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턴-바이-턴 방식은, 상기 화살표만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보다 상기 화살표가 더 크게 표시되는 방식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목적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전체 소요시간, 남은 소요시간 및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화살표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는,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에 대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경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보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 상기 차량으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에 상기 차량이 도착하기 이전에 기설정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기설정된 알림 신호는,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턴-바이-턴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 주위의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듀얼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 및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을 함께 표시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하고,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근거로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 및 상기 듀얼 화면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까지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화살표의 속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주행 분기점까지의 남은 거리,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화살표의 속성은, 상기 화살표의 크기, 모양, 화면 상의 표시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 패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도보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패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살표의 화면 표시 시점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운전 패턴은, 운전 속도, 급가속 횟수 및 급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보 패턴은, 도보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또는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도어의 개폐, 창문의 개폐, 선루프의 개폐,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는,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상기 목적지로 길 안내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목적지를 음성신호로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이 변하는 경우, 상기 변화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출력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사전에 설정한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와 사전에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은, (a)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e)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상기 목적지로 길 안내 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목적지를 음성신호로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이 변하는 경우, 상기 변화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사전에 설정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와 사전에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차량 정보를 쉽고, 빠르며,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목적지로의 진행 방향을 진행 방향이 바뀌는 경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전력이 절약될 수 있고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를 주시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네비게이션과의 연동으로 끊김없이 길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운전시 안전하게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므로 차량 마이크 이용시보다 음성 인식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들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형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구현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목적지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는 길 안내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는 차량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신호 생성을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차량과 연계 또는 연동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연계 또는 연동되어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목적지로의 진행 방향을 제공할 수 있고, 차량 네비게이션과도 연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 제어 장치는,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텔레비전(Television), 3D 텔레비전, A/V(Audio/Video) 시스템, 정보 제공 센터, 콜 센터(call center)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 또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의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는, 전술된 이동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건물 내에 설치된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설비 제어 방법에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설비를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설비 제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설비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특정 장비 또는 장치, 예를 들어, 중앙 제어 장치(또는 중앙 관제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내지 형태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성 내지 형태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실시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도 2a를 살펴보면,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10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 및 BSCs(27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와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2a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BS(27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은 각각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가질 수 있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는,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를 합하여 “기지국”이라고 칭할 수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 수신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2a에서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의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300)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2a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위치정보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위성(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추적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는,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s(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로 송신하고, MSC(280)는,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와 연결되고, MSC(280)는 BSCs(275)와 연결되고, BSCs(275)는 이동 단말기(100)로 순 링크 신호가 전송되도록 BS(27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에서는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Wireless Fidelity)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WPS: WiFi Positioning System, 300)은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WiFi모듈 및 상기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 32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로서, WiFi를 이용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위치추적 시스템(300)은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 이동 단말기(100),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30),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또는 신호)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는 이동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되거나, 무선 AP(320)에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 요청 메시지에 근거하여, 추출되는 무선 AP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신호세기(Signal Strength) 및 노이즈 세기(Noise Strengt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위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를 수신하여, 미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330)에 포함된 정보와 상기 수신된 무선 AP(320)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또는 분석)한다.
한편, 도 2b에서는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어 있는 무선 AP를 제1, 제2 및 제3 무선 AP(320)로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100)와 접속되는 무선 AP의 수는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무선 통신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와이파이 위치추척 시스템(300)은 이동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무선 AP와 접속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임의의 무선 AP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33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데이터 베이스(33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임의의 무선 AP들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에 저장되는 임의의 무선 AP들의 정보는 MAC Address, SSID, RSSI, 채널정보, Privacy, Network Type, 무선 AP의 위경도 좌표, 무선 AP가 위치한 건물명, 층수, 실내 상세 위치정보(GPS 좌표 이용가능), AP소유자의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는 임의의 무선 AP정보 및 상기 임의의 무선 AP에 대응되는 위치정보가 함께 저장되어 있으므로,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에서 이동 단말기(100)에 접속된 무선 AP(320)의 정보와 대응되는 무선 AP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무선 AP정보에 매칭된 위치정보 추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엑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이동 단말기의 구현 형태에 대해 살펴본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워치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a 및 도 3b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 중 시계형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워치 형태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낸다.
개시된 스마트 워치(Smart Watch : 200)는 사각형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 즉 원형이나 삼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형 구조를 가지는 스마트 워치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워치(200)는 밴드(230)와 본체(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2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케이스(250)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케이스(25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10)와 리어 케이스(25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21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카메라(121), 마이크(122)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210)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에는 카메라(121) 및 마이크(122)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200)의 본체(220)의 일 측면에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미도시)과 유/무선 데이터 포트(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트들은 인터페이스(17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된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체(220)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50)에는 제1 센서(140a)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140a)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실제 사용자의 손목 뒷부분의 피부와 접촉되는 밴드(230)의 적어도 일 영역에서는 사용자의 근육 움직임등을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140b)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220)의 측면에는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본체(2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워치(200)의 본체(220)에는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 인터페이스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케이스(210) 및 리어 케이스(250)의 측면에는 사용자 입력부(340)와 연결 포트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0)는 스마트 위치(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조작 유닛들(240a, 240b, 240c, 240d)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하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복수의 조작 유닛들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의 입력, 음향 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 포트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스마트 워치(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스마트 워치(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연결 포트는, 인터페이스(170, 도 1 참조)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200)의 본체(220)에는 스마트 워치(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는 본체(220)에 내장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즉,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 중 안경형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안경 형태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는 본체(100'), 디스플레이부(151)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는 사용자 입력부, 음성인식부, 동작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는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체(100')는 두부에 장착가능 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스마트 안경에서의 프레임과 다리 부분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본체(100')와 결합하여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광투과성을 가지며,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시각 정보는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에서 생성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받은 가상의 객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상의 객체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이에 대응하는 아이콘, 콘텐츠, 통화모드의 UI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제어부(180)에 의해 생성되거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51)는 광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부(151)는 외부 환경이 보이는 동시에 상기 외부 환경을 구성하는 임의의 외부 물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물체는 명함, 사람 또는 상호 통신이 가능한 외부기기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무선통신부(110)에서 감지한 외부기기의 정보를 출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가 사용자의 시야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감지된 외부기기의 정보를 출력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200')의 본체(100')에 장착되거나,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체(100')와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좌안 및 우안 디스플레이부(151) 중 적어도 하나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프레임(100')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시야 이외의 공간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프레임(110') 한쪽 또는 양쪽에 별도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물리적인 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원의 ON/OFF 스위치가 프레임(110')의 한쪽에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본체(100')와 연결된 별도의 외부 기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별도의 외부 기기 장치에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제어 명령을 직접 입력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는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을 통하여 본체(100')에 특정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착용 가능한 안경형 단말기의 일 실시 예로서, 스마트 안경(smart glasses)이 출시되고 있다. 착용 가능한 장치(Wearable device)로 구현된 스마트 안경은 기존의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던 기능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경의 디스플레이부(151)는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보이는 외부 환경과 출력된 시각 정보를 함께 표시(Augmented Reality)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 환경을 구성하는 임의의 객체에 대한 정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스마트 안경들끼리 혹은, 스마트 안경과 통신이 가능한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기기와 관련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수 있다.
도 4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눈 근접 디스플레이가 장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시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글래스형 단말기(200'')로, 글래스형 단말기(2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201'')과 제2 프레임(2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280''), 음향 출력 모듈(2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디스플레이부(25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280'')은 글래스형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모듈(280'')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 도 1 참조)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2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2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형 단말기(2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251)는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2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2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2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221'')가 제어 모듈(2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2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형 단말기(2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223a'', 2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3a'', 2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2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223a'', 2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2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글래스형 단말기(2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2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도 1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구조를 살펴본다.
도 5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a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 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5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5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 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5a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 제어 장치 및 네비게이션 기능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6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네비게이션 기능에 대해 상술한다.
도 6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들의 일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외부 기기들의 예를 보이고 있는 예시도이다.
우선 도 6a에서 보이고 잇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제어부(410) 및, 제어부(410)와 연결되는 감지부(430), 차량 구동부(420), 메모리(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출력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차량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 프레임과 윈도우 및 사용자가 탑승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의 바디(body)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4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차량 제어 장치(4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감지부(430)는 차량 제어 장치(400) 내 정보, 차량 제어 장치(4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430)는 근접센서(432,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 제어 장치(4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한편, 감지부(430)는 근거리 통신 모듈(4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31)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431)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와 외부 기기(170, 도 6b 참조)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는 전술된 이동 단말기(100)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 기기는 전술된 이동 단말기의 일 형태인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일 수 있다.
차량 구동부(420)는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거나 또는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잠금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기능이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이 제한되거나 또는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는 상태일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라는 것은, 차량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도어(door)나, 뒷좌석의 도어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트렁크(trunk)가 열리도록 하거나, 상기 차량의 모든 기능, 즉 시동이 걸릴 수 있도록 하거나 네비게이션 기능이나 환기 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들이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420)는 차량의 각종 설정을 변경하거나 기능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구동부(420)는, 차량의 각 구성부, 예를 들어 앞좌석의 운전석이나 보조석의 윈도우(Window)가 열린 정도, 또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의 각도 등을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제어할 수 있으며, 운전석 또는 보조석 및 뒷자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시트 높이 또는 시트의 수평 위치(예를 들어 시트 사이의 간격)가 조정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량 구동부(120)는 운전석의 핸들의 설정, 즉 핸들의 높이나 핸들의 감도등이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42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기어(gear)가 자동 변속 모드 또는 수동 변속 모드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하이브리드(hybrid) 차량의 경우, 내연 기관 엔진을 사용하는 모드 또는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구동부(420)는 이러한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역시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 구동부(420)는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된 음악 리스트가 표시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리스트 상의 음악 중 어느 하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구동부(420)는 기 설정된 특정 목적지를 자동으로 설정하고, 구비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통해 상기 특정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자동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구동부(420)는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Cruise control) 시에,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에 따라 차량간 거리 또는 차량 속도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차량 구동부(420)는, 적어도 하나의 서로 다른 하부 구동부들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하부 구동부들은 각각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하부 구동부를 제1 구동부(421)라고 칭하기로 하고, 차량의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를 변경하는 하부 구동부를 제2 구동부(422)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구동부(421)는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하여, 차량의 외부 프레임이나 내부 프레임을 변경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구동부(421)는 시트의 높이나 등받이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물리적인 구동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핸들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기 위한 코일이나 스프링등의 탄성부재나 압력부재를 포함하는 핸들 높이 조정부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42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구동부(122)는 네비게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또는 기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MP3 등)등을 재생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들은 차량의 구동 제어를 위한 것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부(452), 햅팁 모듈(453), 광 출력부(4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종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차량 제어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4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차량 제어 장치(4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차량의 다양한 부분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은,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Wind Shield Glass)의 전체 또는 일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외부면(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면) 또는 내부면(차량의 내부를 향하는 면) 중 어디에서라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은 운전석 옆면의 윈도우나 보조석 옆면의 윈도우 또는 차량 뒷좌석의 윈도우의 외부면 또는 내부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은 차량의 사이드 미러나, 차량의 썬루프(sunroof)에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차량의 윈도우나 썬루프와 같은 글래스(galss) 부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부 프레임 또는 내부 프레임에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은 A-필라(Pillar), B-필라, C-필라와 같이, 윈드 쉴드 글래스와 윈도우 사이, 또는 윈도우나 윈도우 사이와 같은 차량의 외부 프레임의 표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차량 도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손잡이 부분 근처)에 구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스크린은 차량 내부의 기어(Gear) 박스(box) 덮개 표면이나, 콘솔(Console) 박스의 덮개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 이상, 차량의 서로 다른 부분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메모리(440)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440)는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차량 제어 장치(4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시동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 잠금 및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차량 제어 장치(4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440)에 저장되고, 차량 제어 장치(4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410)에 의하여 상기 차량 제어 장치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메모리(440)는 적어도 한 명이상의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관련 정보라는 것은, 해당 사용자의 인증 정보 및 해당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적합하게 설정된 각종 차량의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차량의 내부 온도나 습도, 또는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따른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또는 해당 사용자의 주행 경로 기록 등이 이러한 정보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인증 정보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패스워드(password)나, 패턴(pattern)에 관한 정보일 수도 있으며, 또는 지문이나 홍채 인식 정보와 같은 사용자의 생체 정보에 근거한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에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특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손목 부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440)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박수, 체지방, 혈압, 혈당, 얼굴 모양, 지문, 뇌파 및 홍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형태에 따라 획득될 수 있는 다양한 생체 정보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음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메모리(440)는 제어부(41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정보, 운전 환경 설정 정보)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4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4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 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4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4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1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4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차량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1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인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지문이나, 기 설정된 패턴의 인식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홍채 인식 정보 또는 사용자의 특정한 제스처와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표면 일부분에 가해지는 복수의 두드림(예를 들어 탭(Tab) 또는 노크(Knock))의 패턴을 인식한 정보, 또는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일부분의 표면,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 및 윈드 쉴드 글래스 등에 형성된 터치스크린 영역을 통해 입력될 수 있는 지문 인식 정보를 상기 인증 정보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감지부(430)에 구비된 포토 센서나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에 한하여 차량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사용자가 키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의 도어를 오픈하거나, 트렁크 등을 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인증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다시 입력될 때까지 차량의 잠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차량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차량의 외부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이에 근거하여 차량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잠금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동일한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을 다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어부(4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해 차량의 일부에 터치스크린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상기 형성된 터치스크린을 통해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입력받거나 패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또는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41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상기 차량의 일부분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서 각종 화상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지문 입력 영역 또는 패턴 입력을 위한 그래픽 객체들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증 결과 또는 현재 인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 등이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의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응되는 사용자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제1 구동부(421)를 제어하여,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석 등의 시트 높이나 등받이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의 온도나 습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운전석 및 보조석 윈도우의 열림 정도, 또는 사이드 미러의 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핸들의 높이 등을 조절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410)는 차량의 각종 동작 모드가 인증된 사용자에 따라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핸들의 파워 스티어링(Power steering)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인증된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예를 들어 노말(normal) 모드 또는 스포츠(sports) 모드)가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10)는 기어의 변속 방식에 있어서 수동 변속 방식 또는 자동 변속 방식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기어 변속 방식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이러한 물리적인 설정 변경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변경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해당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악 또는 현재 인증된 사용자가 청취하던 음악 리스트를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현재 인증된 사용자가 주로 청취하는 라디오 방송국의 채널이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시각에 근거하여 다양한 차량의 설정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인증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즉 사용자가 인증된 시각 및 인증된 사용자의 주행 기록에 근거하여, 해당 사용자가 해당 시각에 주로 향하는 목적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주로 사용자가 저녁 8시 사이에서 9시 사이에 퇴근하여 '집'으로 향하는 주행 습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410)는 이러한 사용자의 주행 기록에 근거하여, 저녁 8시 부터 9시 사이에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하는 경우, 목적지를 '집'으로 자동 설정하고 해당 경로를 기 구비된 네비게이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하게 차량에 탑승하고 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사용자에 근거하여 차량의 각종 환경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운전 환경이 자동으로 제공되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때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에도,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물리적인 설정 변경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변경이 손쉽게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차량의 내부, 즉 예를 들어 콘솔 박스나 기어 박스 또는 운전석이나 보조석의 윈도우에 가해지는 복수의 두드림(탭(Tab))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물리적인 설정 변경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차량의 핸들 부분에 복수의 탭을 가하는 경우, 제어부(410)는 이를 인식하여 핸들의 높이가 조정되도록 하거나 또는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동작 모드를 다른 모드로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이러한 복수의 탭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처에 근거하여서도 상기한 물리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설정 상태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차량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나 포토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또는 보조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 또는 보조자의 움직임에 근거하여 특정 기능이 수행되거나 현재 설정된 상태가 조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 만약 보조석에 앉은 탑승자가, 보조석 윈도우 근처에서 손을 위에서 아래로 내리는 제스처를 취하는 경우, 상기 보조석 윈도우는 탑승자의 상기 제스처에 근거하여 그 열림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운전석 또는 탑승자의 제스처에 근거하여 특정 제스처(예를 들어 손가락을 튕기거나 박수를 치는 제스처)가 감지되는 경우, 기 설정된 특정 음악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4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4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6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감지부(430)는 차량 제어 장치 내 정보, 차량 제어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41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차량 제어 장치(4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감지부(43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43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432)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각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43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432)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432)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432)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스크린 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10)는, 터치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차량 제어 장치(400)를 제어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4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 입력)를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1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41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41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터치스크린(또는 터치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차량 제어 장치(4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광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감지부(43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해,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4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인증 정보 입력과 관련된 다양한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51)는 터치스크린이 형성된 차량의 일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을 표시하는 그래픽 객체나, 패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451)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 인증 결과 및 현재 인증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상 정보들은 차량의 윈드 쉴드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나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 등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가 구비되는 차량의 윈도우 또는 윈드 쉴드 글래스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전극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부(451)는, 상기 윈드 쉴드 글래스 및 윈도우의 외부면 뿐만 아니라 내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내부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451)는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면에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는 화면 정보는,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451)는 상기 감지부(13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451)는 상기 감지부(430)의 감지 결과 및, 사용자 인증 정보의 매칭 결과 또는 상기 사용자의 고유 인증 정보의 일부(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 등)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452)는 메모리(4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확인음, 사용자 인증 안내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4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출력부(450)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453)을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4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차량의 외부 프레임이나 내부 프레임 또는 글래스 형태의 윈도우등에 구현된 터치스크린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햅틱 모듈(453)을 이용하여 촉각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촉각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입력한 인증 정보가 올바르게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4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4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3)은 차량 제어 장치(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감지부(430)는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어 사용자 신체의 일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본체 및,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두드리는 탭(tab) 또는 탭 제스처(tab 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탭 감지부(43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의 탭 감지부(433)에서 감지되는 탭은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또는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경우 차량 제어 장치(4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탭은, 손가락 등의 탭 대상체로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 또는 물체를 가볍게 치는 동작, 또는 탭 대상체를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 또는 물체에 가볍게 접촉시키는 동작으로 이해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430)의 본체는, 차량의 외부 프레임과 내부 프레임 및 윈도우나 윈드 쉴드 글래스를 포함하는 차량의 바디(body)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탭을 인가하는 탭 대상체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손가락,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펜(pen), 포인터, 주먹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대상체는, 반드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에 터치입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에 제한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 또는 물체에 외력을 가할 수 있는 사물이기만 하면 그 종류가 무관하다.
한편, 상기 탭 제스처가 가해지는 물체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 및 차량 제어 장치(400) 위에 놓여진 물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 또는 탭 제스처는 탭 감지부(433)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이다.
즉, 가속도 센서는 탭 제스처에 의해 발생하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의 진동(또는 움직임)을 감지하여, 물체에 대하여 탭이 가해졌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거나,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발생했는지를 감지할 수 있을 만큼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와 가깝게 위치하는 물체가 탭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속도 센서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움직임 또는 진동이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기만 하면, 상기 탭이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인가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를 벗어난 지점에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탭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에서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대한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거나,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 센서만을 사용하는 모드는, 제1 모드, 터치 센서를 사용하는 모드는 제2 모드로 명명될 수 있고, 가속도 센서 및 터치 센서를 모두 활용(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모드는 제3 모드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모드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를 통해 탭을 감지하는 경우, 탭이 감지되는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는, 가속도 센서 또는 터치 센서를 통해 상기 탭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의 디스플레이부(451)가 비활성화 상태에서도 최소한의 전류 또는 전력이 소모되는 특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모드는 '도즈 모드(또는 Doze mode)'라고 명명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즈 모드는,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부(451)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스크린 구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451)에서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소자가 오프(off)되고, 상기 터치 센서는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즈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51)가 오프되고, 상기 가속도 센서가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즈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51)가 오프되고, 상기 터치 센서 및 가속도 센서가 모두 온 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즈 모드 상태, 즉, 디스플레이부(451)가 오프된 상태(디스플레이부(451)가 비활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일부분에 형성된 터치스크린 상의 적어도 일 지점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의 특정 지점에 상기 탭을 가하는 경우, 온(on) 되어 있는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탭이 가해졌음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 또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과 단순하게 외부의 임의의 물체가 충돌한 것을 구분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일부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이 기준 시간 이내에 가해지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의 입력 또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탭 감지부(433)의 감지 결과, 상기 차량의 일부분에 형성된 터치스크린에 한 번의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한 번의 탭을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외부의 임의의 물체 또는 인체가 충돌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410)는 탭 감지부(433)에 의해,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적어도 두 번 이상(또는 복수 번)의 탭이 감지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 또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탭'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탭 제스처들은 적어도 두 번 이상의 탭 제스처가 기준시간 이내에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탭"이 감지되었다고 함은, 실질적으로 복수 회 차량 제어 장치(400)의 본체에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터치펜등의 물체가 두드려지는 것이 감지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10)는 상기 탭이,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감지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상기 탭이 사용자의 각각 다른 손가락에 의해 감지된 것인지 하나의 손가락에서 감지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차량의 기 설정된 일부 영역, 즉 차량의 윈도우나 윈드 쉴드 글래스의 일부 영역이나 A, B, C 필라 또는 차량의 썬루프, 또는 차량 도어의 일부분이나, 차량 내부의 콘솔 박스나 기어 박스 등에서 상기 탭들이 감지된 경우, 상기 탭들이 가해진 부분에서 감지되는 지문을 이용하여 상기 탭들이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각각 다른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탭 감지부(433)에 구비된 터치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51) 상에서 상기 탭들이 감지된 위치 또는 상기 탭들로 인해 발생된 가속도를 인식하여 상기 탭들이 하나의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 또는 각각 다른 손가락을 통해 이루어진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410)는 탭이 가해진 각도 및 거리, 또는 상기 지문이 인식된 방향등을 더 고려하여, 사용자가 상기 탭들을 한 손 또는 한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또는 양손 또는 적어도 두 개의 손가락을 통해 입력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탭들은 기준시간 내에서 연속적으로 감지되는 복수 회의 두드림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ms 내지 2s 이내의 시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탭 감지부(433)에 위해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탭 감지부(433)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다음번 두드림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다음 번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탭 감지부(433) 또는 제어부(4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 정보의 입력 또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탭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410)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제2 탭이 감지된 경우에만, '유효한 탭'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증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또는 차량 제어 장치(400)를 제어하기 위하여 탭을 가한 것인지, 아니면 단지 사용자의 실수 또는 의도되지 않은 물체가 차량 외부 또는 내부에 충돌한 것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탭'이 인식되도록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제1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1 탭이 감지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본체를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리는 제2 탭이 감지되는 것을 상기 '유효한 탭'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준 횟수와 상기 제2 기준 횟수의 수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준 횟수는 1회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준 횟수는 2회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1 기준 횟수 및 제2 기준 횟수는 모두 1회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0)는, 상기 탭이 "소정의 영역" 내에서 가하진 경우에 한하여, 상기 "탭"들이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410)는,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가 처음 두드려진 것이 감지되면,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지점으로부터 소정의 영역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상기 처음 두드림이 감지된 시간으로부터 상기 기준시간 이내에 상기 "소정의 영역"에 상기 처음 두드림에 이어 상기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만큼, 또는 제1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 두드림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또는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준시간 및 소정의 영역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탭 및 제 2 탭은 기준 시간 및 소정의 영역 뿐만 아니라, 각 탭이 감지된 위치에 따라 별개의 탭으로 감지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어부(410)는 제1 탭이 감지된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서 제 2 탭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감지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은 동시에 감지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복수의 터치, 즉 복수의 두드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각각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들 역시 동시에 감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탭의 최초의 터치가 감지된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을 구성하는 최초의 터치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각 위치에서 감지되는 추가적인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각 위치에서 제1 기준 횟수 또는 제2 기준 횟수 이상의 터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1 탭 및 제2 탭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400) 본체에 대한 탭이, 탭 감지부(133)로부터 복수 회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410)는 상기 복수 회 감지된 탭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인증 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 상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실행되거나 구동되는 것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행 가능한 기능 중 하나는, 차량 제어 장치(4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그리고 '임의의 기능이 실행된다'고 함은,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실행 또는 구동'되는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콘솔 박스에서 감지되는 사용자의 복수의 탭에 근거하여 음악 파일을 재생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경로가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네비게이션을 제어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차량 제어 장치(400)에서 실행 가능한 기능은, 차량 제어 장치(400)의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적인 구동을 위하여 필요한 기능은, 차량에 구비된 에어컨이나 온풍기를 온/오프하는 기능일 수 있고, 차량에 시동을 걸거나, 차량을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상태에서 전환하거나, 반대로 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의 크루즈 컨트롤 기능을 온(on) 시키거나 또는 오프(off)하는 기능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입력받는 위치를 사용자의 탭이 감지된 본체 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지점에 근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처음 사용자의 탭이 가해진 지점을 중심으로, 패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 즉 예를 들어 지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영역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매번 본체 또는 터치스크린 상의 다른 지점에 탭을 가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사용자의 패턴 정보 또는 생체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지점은 매번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인증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차량의 도난 등의 위협으로부터 보다 안전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외부기기를 경유하여 차량 제어 장치(400)에 입력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예를 들어 감지부(430)는 근거리 통신 모듈(431)을 이용하여 차량 외부의 기 설정된 외부 기기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기기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는,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431)을 통해 감지부(430)로 인가되고, 제어부(410)에 의해 인증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정보는 전술된 감지부(430)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상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차량 정보 획득부(C401)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의 운전 속도, 운전 가속도, 현재까지의 운행 거리, 급가속 횟수 및 급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차량 정보 획득부(C401)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정보 획득부(C401)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차량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정보 획득부(C401)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블랙 박스와 통신을 수행하여, 차량 사고 발생 시, 사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440)는 상기 사고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도 6b는 이처럼 기 설정된 외부 기기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러한 기 설정된 외부 기기(170)는, 사용자의 스마트 폰(smart phone : 171)이나 스마트 키(smart key : 172)등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0)는 상기 외부 기기(170)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여, 상기 외부 기기(17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한 경우 자동으로 특정 사용자가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10)는 사용자가 상기 외부 기기(170)를 통해 입력하는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170)에서 입력된 인증 정보는 외부 기기(170)에 구비된 통신 모듈과, 감지부(430)의 근거리 통신 모듈(431)을 통해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 특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차량(500)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400)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손목 부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생체 정보를 획득하는 생체 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440)은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박수, 체지방, 혈압, 혈당, 얼굴 모양, 지문, 뇌파 및 홍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심박수, 지문이나 홍채 인식 정보 또는 기 설정된 패스워드나 패턴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증 정보는 특정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관련된 정보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복수 개의 생체 정보 또는 복수 개의 인증 정보를 근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은, 상기 사용자의 심박수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모두 확인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외부 기기(170)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 즉,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의 감지부(430)에 구비된 센서 중 적어도 일부 또는 그 외의 다른 부가적인 센서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키(172) 또는 스마트 폰(171)과 같은 외부 기기(170)에는, 사용자가 패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의 감지부(430)에 구비된 탭 감지부(433)와 유사 또는 그에 대응되는 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17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지문 인식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외부 기기(170)에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기 위한 관성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예를 들어, 시계형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워치(173)의 경우, 사용자의 심박수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안경형 이동 단말기인 스마트 안경(174)의 경우, 사용자의 홍채를 인식하기 위한 홍채 인식 카메라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170)를 통해 지문, 기 설정된 패턴 정보, 홍채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자신의 인증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170)를 착용한 채로 특정한 제스처를 취함으로써 자신의 인증 정보가 외부 기기(170)에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기기(170)의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170)의 위치 변경에 대한 정보, 즉 가속도 측정값이나 중력 변화량, 또는 관성의 변화량을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이를 인증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외부 기기(170)는 카메라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영상을 이용하여 위치가 변경되었음을 인식하고, 변경된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외부 기기(170)를 통해 인증 정보가 입력되면,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부(410)는 상기 입력된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10)는 상기 인증 정보에 따라 현재 사용자를 인식하고,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 및 상기 인식된 사용자에 대응되는 차량 내부 환경이 설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410)는 현재 차량의 상태가 잠금 해제 상태이며, 시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상기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의 잠금 해제 상태를 잠금 상태로 변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이처럼 상기 외부 기기(17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차량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제어부(410)는 한 번의 인증 과정을 사용자에게 더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410)는 상기 외부 기기(170)가 일정 거리 이내로 근접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기기(170)를 통해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차량의 상태를 웨이크 업(wake up)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정보에 따라 차량을 구동할 준비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크 업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의 기 설정된 영역(예를 들어 운전석 또는 보조석의 윈도우나, A, B, C 필라 등)에 다시 한번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이를 입력받아 사용자를 인증하고, 그에 따라 차량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단지 한번의 인증 절차가 더 수행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얼마든지 더 많은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외부 기기(170)를 통해 사용자의 인증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 복수의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복수의 인증 절차는 사용자가 직접 차량의 일부분에 형성된 터치스크린 영역에 자신의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가 차량의 헤드 유닛(Head Unit)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D100 ~ D1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운전석 앞쪽에 하나의 제 1 디스플레이부(D100), 각 뒷좌석 앞쪽에 두 개의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D101, D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D100)만이 주행 규제의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부(D100)만 차량용 컨텐츠 표시 방법의 제한을 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부(D101, D102)은 상기 제한 없이 전체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a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가 영상표시기기, 차량의 헤드 유닛 또는 텔레메틱스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제어 장치(400')는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 처리 장치, CPU)(412')와, 제어부(41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메모리(4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411')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제어하는 LCD 제어부(414')를 내장한 메인 보드(410')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4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4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410')는 고유의 기기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듈(4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정보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CD(compact disk)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CD 데크(CD Deck)(4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4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DMA 모듈(406'), GPS 모듈(407')은 안테나(404', 4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422')은 상기 메인 보드(410')에 연결되고, 안테나(4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보드(4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403')를 통해서 상기 LCD 제어부(414')의 제어를 받는 표시부(LCD)(401')와, 키 제어부(4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4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42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4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위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 보드(4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401')는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보드(402')는 교통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4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상기 메인 보드(410')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오디오 보드(4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4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4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4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420')와, 오디오 테이프를 재생하기 위한 테이프 데크(4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417')는 상기 오디오 보드(417')에서 신호 처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42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426')는 차량 인터페이스(4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417')와 메인 보드(410')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4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4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4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4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4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4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412')에 제공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400_1')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표시부(4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4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4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401_1')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400_1')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사각지대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일 때 무선 통신(예를 들면,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내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메인 보드(410')는 인터페이스부(4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43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를 포함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외부 장치와 차량 제어 장치(4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231)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의 제어부(412')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412')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차량 제어 장치(4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4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431')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412') 또는 메모리(413')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는, 차량 제어 장치(4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차량 제어 장치(4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차량 제어 장치(4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32')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도 8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b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를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의 기능에 중점을 두어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가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차량에서의 설치 형태에 따라 인데시 타입(In Dash Type)과 온데시 타입(OnDash Type)으로 구분된다. 인데시 타입의 내비게이션(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데시 보드(Dash Board) 내에 할당된 일정 공간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형태이다. 온데시 타입의 내비게이션(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는 차량의 데시보드 위에 거치되거나 또는 그 근처에 일정한 지지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형태로서 탈착이 가능하므로 차량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400'')는 이러한 인데시 타입과 온데시 타입의 내비게이션(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차량 내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항법 메시지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와 연동하여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와 같은 교통정보의 수신 및/또는 처리가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신호를 근거로 내비게이션 장치(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동일한 위치인 것으로 간주함)의 제1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GPS 모듈(401'')과; 차량의 주행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속도를 근거로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발생하는 DR(Dead-Reckoning) 센서(402'')와; 지도 데이터 및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또는 메모리)(404'')와; 상기 제1 차량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차량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지도 정합 링크 또는 지도 정합 도로)를 정합(matching)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출력하는 지도 정합부(403'')와; 무선 통신망(500'')을 통해 정보 제공 센터 및/또는 주변 차량으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교통 신호등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408'')와;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는 제어부(407'')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지도(관심지 정보 포함) 및 상기 교통 신호등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05'')와; 상기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길 안내 음성 정보(길 안내 음성 메시지) 및 상기 교통 신호등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40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408'')는 블루투스 모듈을 갖는 핸즈프리를 더 포함하며, 안테나를 통해 TPEG 포맷의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신호는 지상파 또는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 DVB-H) 등 각종 규격에 따른 비디오와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교통정보(TPEG) 서비스, BIFS(Binary Format for Scene) 데이터 서비스에 따른 교통정보 및 각종 부가 데이터와 같은 부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408'')는 교통정보가 제공되는 신호 대역을 동조하고 동조된 신호를 복조하여 TPEG 디코더(제어부(407)에 포함됨)로 출력한다.
상기 TPEG 디코더는 TPEG 포맷의 교통정보를 복호화하여, 교통정보에 포함된 신호등 정보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제어부(407'')에 제공한다.
상기 길 안내 정보는,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차량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PS 모듈(40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에서 제안한 무선 LAN 및 일부 적외선 통신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에 대한 무선 네트워크의 표준 규격인 802.11과, 블루투스, UWB, 지그비 등을 포함하는 무선 PAN(Personal Area Network)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5과, 도시 광대역 네트워크(Fixed Wireless Access : FWA) 등을 포함하는 무선 MAN(Metropolitan Area Network)(Broadband Wireless Access : BWA)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16과,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을 포함하는 무선MAN(MBWA :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에 대한 모바일 인터넷에 대한 표준 규격인 802.20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입력부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거나 정보를 입력받으며, 키패드, 터치스크린, 조그셔틀, 마이크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저장부(404'')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지도 데이터에 포함된 링크(도로)를 정합(matching)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제1 위치 데이터 및 상기 제2 위치 데이터를 근거로 차량 추정 위치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차량 추정 위치와 상기 저장부(404'')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내의 링크들을 링크 순번에 따라 정합하고,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를 제어부(407'')에 출력한다. 상기 지도 정합부(403'')는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지도 정합 결과)에 포함된 단층 도로 또는 복층 도로 등과 같은 도로 속성 정보를 상기 제어부(407'')에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도 정합부(403'')의 기능은 상기 제어부(407'')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404'')는, 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도분초 단위(DMS 단위 : Degree/Minute/Second)로 위도 및 경도를 표시하는 지리 좌표(Geographic Coordinate 또는, 경위도 좌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되는 지도 데이터는 상기 지리 좌표 이외에도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 UPS(Universal Polar System) 좌표, TM(Transverse Mercator) 좌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404'')는, 각종 메뉴 화면, 관심 지점(POI: Point Of Interest, 이하 'POI' 라 한다),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에 따른 기능 특성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404'')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404'')는, 상기 네비게이션 장치(4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404'')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목적지 정보는 목적지, 또는 출발지와 목적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제어부(407)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화상 정보(또는, 길 안내 지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05)는, 터치 센서(터치 스크린)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길 안내 정보에는, 지도 데이터뿐만 아니라, 차선 정보, 주행 제한 속도 정보, 턴바이턴 정보, 교통 안전 정보, 교통 안내 정보, 차량 정보, 길 찾기 정보 등의 주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화상 정보를 표시할 때, 상기 저장부(404)에 포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과 길 안내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05'')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지도 데이터나 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406'')는, 상기 제어부(407)에 의해 발생된 길 안내 정보에 포함된 음성 정보(또는, 상기 길 안내 정보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406'')는, 앰프 또는 스피커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정합된 지도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상기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상기 표시부(405'') 및 음성 출력부(406'')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표시부(405'')는 상기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407''), 상기 정보 제공 센터 및/또는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차량 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실시간 교통 정보를 수신하여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콜 센터와 통신부(408'')를 통해 연결되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와 상기 콜센터 간의 정보를 송신/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408'')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블루투스 기능을 갖는 핸즈프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7'')는 사용자에 의해 POI 검색 메뉴가 선택되면,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 상에 위치한 POI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POI를 상기 표시부(405'')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7'')는 상기 경로 상에 위치한 POI(경로를 변경(재탐색)하지 않아도 되는 지점, 예를 들면, 주행 도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한 POI) 및/또는 상기 경로의 주변에 위치한 POI(경로를 변경하여야 하는 지점, 예를 들면, 주변 POI를 경유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경로를 변경하여야 하는 지점)를 검색하고, 그 검색된 POI를 상기 표시부(405'')에 표시한다.
도 8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8c에 도시된 화면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 400', 400'')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형태의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웨어러블 디바이스등의 형태로 구현된 경우, 도 8c에 도시된 구성요소 중 일부만이 표시되거나, 도 8c에 표시된 도시된 구성요소들 모두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도의 방위를 표시하는 아이콘(I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는 특정 방향(예를 들어 지구의 진북방향), 이동체의 진행방향, 목적지가 위치하는 방향 등이 화면의 상방향에 고정되어 표시되도록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향출력모듈(162)의 활성화 여부 및 볼륨설정을 나타내는 아이콘(I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I2)에 터치입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향출력모듈(16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거나 그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TPEG(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을 이용한 경로탐색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I3)을 표시할 수 있다. TPEG(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은 본래 1997년에 유럽 방송 연합(European Broadcasting Union)에 의하여 설립된 교통정보 프로토콜 제정을 위한 그룹을 의미하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교통상황 정보를 이용한 경로안내 기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scale)을 표시하는 아이콘(I4)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I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목적지에 도달하는 예상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I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예상되는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표시하는 아이콘(I7)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느 아이콘(I8) 또는 축소하는 아이콘(I8')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아이콘(I9)을 표시할 수 있다. 지도상에 현재 이동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I9)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진행방향은 상기 아이콘(I9)에서 화살표의 꼭지점방향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이동체가 위치한 지역의 지명을 표시하는 아이콘(I1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체가 진행하는 길이 차도인 경우, 차도의 차선구성을 나타내는 아이콘(I1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기 설정된 목적지(I12, 도8 참조)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이동체의 목적지가 설정되지 않은경우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된 차량 제어 장치(400, 400', 40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기능)은,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 특히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 400', 4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이 서로 연동 또는 연계하여 상기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100)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포함된 구성 요소와 동일,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의 역할을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가속도 센서가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 400', 4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100) 간의 연동 또는 연계를 위해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VNC(Virtual Network Computing, 가상 네트워크 컴퓨팅)는 컴퓨터 환경에서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또는 다른 단말)를 제어하는 그래픽 데스크톱 공유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VNC는 자판, 마우스 또는 터치 이벤트를 한 단말에서 다른 단말로 전송시켜서 네트워크를 거쳐 그래픽 화면을 갱신하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은,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 나누어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수행되는 모든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수행될 때, 상기 특정 기능 중 일부 기능은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수행되고, 나머지 기능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기능의 경우, 차량 내에 구비된 공기 조화기에 대한 설정 온도에 대한 입력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 또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의해 수행되고, 상기 입력된 설정 온도로 상기 공기 조화기를 제어하는 역할은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차량 제어 장치에 대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형 이동 단말기의 구성 및 그 기능에 대해 자세히 상술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 기술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된 이동 단말기와 동일, 유사 또는 대응되는 것일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명확한 표현을 위해 전술된 부분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일 수 있으며,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형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시계형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스마트 워치 형태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제어부(C200), 통신부(CM100), 본체(B200), 출력부(OT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입력부(IN200), 위치 검출부(P200), 디스플레이부(D200) 및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처리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ST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통신부(CM200)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CM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와 유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CM200)는 BluetoothTM,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LAN 또는 이동 통신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위한 전자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CM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상기 차량(500)에 대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500)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5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500)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5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500)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500)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P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CM200)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이 아닌 기설정된 다른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차량(500)에 탑승한 동승자가 소지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CM200)는,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500)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500)의 속도 및 상기 차량(500)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CM200)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등등 프로토콜),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IN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CM200)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본체(B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을 내부 또는 표면에 포함하여 상기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형태를 결정함과 동시에 이를 유지시키며,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B200)는,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B200)는,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처리되는 정보 또는 결과를 외부에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제어부(C200)에 의해 실시간으로 산출된 상기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목적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및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화살표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에 대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경우, 보행자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보행자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보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상기 차량의(500)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에 상기 차량(500)이 도착하기 이전에 기설정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알림 신호는,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턴-바이-턴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 주위의 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듀얼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 및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20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상기 입력부(IN200)을 통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차량(5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500)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까지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화살표의 속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는 상기 출력부(OT2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D200)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상기 디스플레이부(D20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위치 검출부(P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검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검출부(P200)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또는 GPS 센서)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검출부(P200)는, DR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 검출부(P200)는, 상기 GPS 센서로부터의 위치 정보가 부정확한 경우, 상기 DR 센서로부터의 감지 값을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DR’이란 ‘Dead Reckoning’의 약어로서 한글로는 ‘추측항법’, “추측 측위”라고 할 수 있다.
추측항법 기술은 GPS를 사용한 위치 파악 기술이 개발되기 이전부터 항해사들이 이용해온 방법으로, 항구의 위치를 기준으로 배가 진행한 거리와 방향을 천문계를 사용하여 계측하여 현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의 총칭인 “추측항법”은 초기에는 “Deduced Reckoning (추측 측위)”으로 불리우다 “Deduced”를 줄여 “Ded”라고 발음하게 되었고 이후 “Dead”로 일반화 되면서 최근에는 “Dead Reckoning”으로 표기하고 있다.
과거 항해술사들이 사용했던 추측 항법 기술은 오늘날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접목되어 GPS 위성 전파가 완전히 단절되는 지하 공간이나 GPS 전파의 왜곡과 손실이 큰 빌딩숲 환경에서 GPS를 보조하여 현위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차량용 DR 유닛은 차량의 회전 방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자이로 센서와 가속도 센서를 내장하고 있으며, 이동 거리를 추척할 수 있도록 차량의 차속 센서와 연계하도록 설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C200)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가 수행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500)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턴-바이-턴 방식은, 상기 화살표만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보다 상기 화살표가 더 크게 표시되는 방식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상기 차량(500)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통신부(CM200)을 통해 수신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500)에 대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에 의해 상기 차량(500)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500)으로부터 하차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경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출력부(OT200)를 통해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OT200)는, 상기 보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차량(5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까지 상기 차량으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차량(5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IN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20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입력부(IN200)를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근거로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 및 상기 듀얼 화면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차량(5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500)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까지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화살표의 속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주행 분기점까지의 남은 거리, 상기 차량(500)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방향 및 상기 차량(500)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살표의 속성은, 상기 화살표의 크기, 모양, 화면 상의 표시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일정 기간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 패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도보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패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살표의 화면 표시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패턴은, 운전 속도, 급가속 횟수 및 급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보 패턴은, 도보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는, 상기 차량(500)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부(CM200)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500)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500)의 속도 및 상기 차량(500)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CM200)는,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 또는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500)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500)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500)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500)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상기 차량(500)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500)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입력부(IN200)을 통해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C200)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CM2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도어의 개폐, 창문의 개폐, 선루프의 개폐,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을 제어하기 위해 외부(또는 사용자)로부터 외부 입력(또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IN200)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IN20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따.
상기 입력부(IN200)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입력부(IN20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상기 디스플레이부(D10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IN200)는,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또는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포함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파라미터 또는 환경을 설정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을 위한 설정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IN2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일 수 있다.
상기 저장부(ST100)는, 상기 제어부(C2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 제어 입력, 설정 입력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ST200)는, 상기 차량(500)으로부터의 승차 또는 하차 시의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ST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Solid State Disk or Solid State Driv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ST2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제 1 실시예 - TBT 방식으로의 길 안내 기능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설정한 목적지로의 길 안내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실시간으로 도보 길 안내를 제공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길 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항상 길 안내 제공 화면을 주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로써,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에 따라 상기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상기 목적지로 길 안내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또는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턴-바이-턴 방식은, 상기 화살표만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보다 상기 화살표가 더 크게 표시되는 방식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출력부는, 상기 목적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및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화살표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200)는 입력부(130), 수신부(115), 제어부(180), 디스플레이부(151) 및 통신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130)는 도 9에 도시된 입력부(IN200), 상기 수신부(115)는 도 9에 도시된 위치 검출부(P200), 상기 제어부(180)는 도 9에 도시된 제어부(C200),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부(D100) 또는 출력부(OT200), 상기 통신부(110)는 도 9에 도시된 통신부(CM200)와 동일, 유사 또는 대응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우선, 입력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S410)가 진행된다.
실시 예로, 사용자는 길 안내를 받고자 하는 목적지를 물리적인 키 패드나 터치 패드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는 마이크(122)를 통해 음성신호로 목적지를 입력할 수 있다.
그 다음,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부(115)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앞서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신부(115)는 GPS 위성(300)으로부터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한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는 단계(S430)가 진행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500)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산출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는 단계(S440)가 진행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턴-바이-턴 방식은, 상기 화살표만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보다 상기 화살표가 더 크게 표시되는 방식인 것일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목적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전체 소요 시간, 남은 소요시간 및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화살표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200)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인 '전체 3km', 전체 소요 시간인 '20분 보도' 및 남은 소요시간인 '3분남음'을 상기 화살표와 함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가 목적지와 일치하는지 여부, 즉 목적지에 도착하였는지를 판단(S450)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경우 길 안내를 종료하게 된다.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또는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지 판단하는 단계(S460)가 진행된다.
그 결과 통신 가능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가 검색되지 않으면, 다시 GP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20)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달리 통신 가능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가 검색되면, 목적지와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S470)가 진행된다.
즉,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단계(S470)에서는,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와 사전에 설정한 프로토콜(또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전송받은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출발지로 하여 목적지로의 길 안내를 진행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기(200)에서 진행되던 길 안내를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가 이어서 진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따.
이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reless LAN (Bluetooth, 802.11n 등등 프로토콜),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또는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길 안내 과정을 도식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이 상기 순서에 반드시 구속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GPS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420)와 이동 단말기(100)의 현재 위치 및 진행 방향을 산출하는 단계(S430)는 실시간으로 연속하여 진행되거나 사전에 설정한 주기마다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착용 가능한 장치(wearable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착용 가능한 팔찌나 목걸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구현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턴-바이-턴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 주위의 지도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듀얼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 및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근거로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 및 상기 듀얼 화면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인 것일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는 손목시계(wearable watch)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손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되기 전)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시간을 확인하거나 전화 및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200)를 네비게이션 모드(예를 들어, TBT 화면 표시 모드 또는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1b는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가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인 실시 예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플리킹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 터치 입력을 가해 화면 잠금을 해제한 후, 특정 버튼을 터치하여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는 목적지를 음성신호로 입력하여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200)가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현재 위치에서 좌우의 이동 가능 경로 중 오른쪽으로 이동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를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 및 소요시간, 현재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소요시간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도 11b에서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는 3km이고 도보로 20분이 걸리며 현재 위치에서는 3분 후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는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출력하는 TBT(Turn By Turn) 방식으로 길 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a는 직진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직진해야 하는 거리 정도에 따라 화살표의 길이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먼 거리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더 길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2b 및 도 12c는 각각 우회전 및 좌회전을 나타내는 화살표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2b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우회전 및 좌회전의 정도에 따라 화살표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상대적으로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복수의 이동 가능 경로 및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610의 경우 좌우의 이동 가능 경로 중 오른쪽 방향의 화살표를 통해 우회전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620의 경우 분기점에서 직진해야하며 630의 경우 분기점에서 좌회전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출력 방식으로, 사용자는 진행 방향이나 목적지까지의 거리 정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전에 설정한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진행 방향을 알려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는 음성신호, 진동신호 및 기타 음향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신호출력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신호는 상기 화살표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실시 예로, 직진해야 하는 경우 Beep음을 일정 시간 출력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 지속하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직진"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출력 방식은 전부 또는 일부 선택되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12a에서의 화살표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우회전해야 하는 경우 Beep음이나 진동을 두 번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우회전"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출력 방식은 전부 또는 일부 선택되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12b에서의 화살표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좌회전해야 하는 경우 Beep음이나 진동을 한 번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좌회전"의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각각의 출력 방식은 전부 또는 일부 선택되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도 12c에서의 화살표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나 화살표가 출력되는 시점을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진행 방향이 변하는 경우, 변화된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나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지로의 이동 중 교차로를 지나게 되는 경우, 분기점에 도달하기 10m 전에 앞서 설명한 신호나 화살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전에 설정한 주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저속에서의 GPS 오차를 고려하여 경로에서 일정 거리 이상 벗어난 경우 현재 위치에서 경로로 되돌아오는 가장 가까운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GPS 오차가 있어도 오류없이 도로 위에 matching시키는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교차로는,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주행 분기점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주행 분기점에 상기 차량(500)이 도착하기 이전에 기설정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알림 신호는,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주행 분기점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까지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화살표의 속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주행 분기점까지의 남은 거리,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살표의 속성은, 상기 화살표의 크기, 모양, 화면 상의 표시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도 12a 내지 도 12d 참조).
TBT 방식의 화살표 표시 방식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180)는, 일정 기간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 패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도보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패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살표의 화면 표시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전 패턴은, 운전 속도, 급가속 횟수 및 급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보 패턴은, 도보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목적지 설정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목적지나 경유지를 음성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음성으로 "이마트"를 목적지로 입력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도 13a에서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이마트까지의 거리, 소요시간 등의 정보(710)와 지도(720)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목적지 설정(730)을 터치하여 출력된 지도(720) 상의 이마트를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로, 사용자는 "최근 목적지"를 입력하여 목적지 리스트를 제공받고, 이중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도 13a에서 사용자가 "최근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 최근 검색된 목적지 리스트(740)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목적지를 선택한 후 위치보기(750)를 터치하여 선택한 목적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바로탐색(760)을 터치하여 선택한 목적지로의 길 안내를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사용자는 최근 검색지, 이전 출발지, 즐겨찾는 곳 등을 음성으로 입력하여 목적지 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목적지나 경유지를 설정할 수 있는 API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lot> <목적지> 등으로 query를 보내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nearby> <편의점>은 근처 편의점을 찾는 요청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한, 경로 정보의 API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로를 요청한 경우 XML 형태로 query/request할 수 있고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각 경로 지점(way point)을 포함한 경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네비게이션 지도 개발 업체로부터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목적지로의 길 안내 중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에 의해 길 안내 진행 중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후술한다.
도 14는 길 안내 방식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는 화살표를 이용한 TBT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TBT 방식으로 표시되는 화면 표시 모드는, 전술된 TBT 화면 표시 모드일 수 있다.
도 14의 우측 도면을 참조하면, 도 14의 좌측 도면에서 사용자가 MAP(810)을 터치하면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지도(820)가 출력된다. 또한, TBT 전환(830)을 터치하여 도 14의 좌측 도면의 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상기 MAP(810)의 터치는 전술된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4의 우측 도면에 해당하는 화면 표시 모드는 전술된 MAP 화면 표시 모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 예로,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나타내는 지도(820)와 진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이동 단말기 간의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과 관련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110)는,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에 대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15는 차량 네비게이션과 연동되는 실시 예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또는 차량 제어 장치, 4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길 안내를 받는 중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가 인식되면, 이동 단말기(200)에서 진행되던 길 안내가 차량 네비게이션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전술된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이동 단말기(200)와 일정 거리 정도로 근접하여야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목적지에 도착하기 전 차량에서 하차하는 경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던 길 안내가 이동 단말기(200)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보행자 모드의 활성화).
이를 위해, 이동 단말기(200) 및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는 근접한 상호 장치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할 수 있다. 또는, 전환 버튼(910)이나 전환 음성 인식 명령을 통해 전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6a 내지 도 16c를 참조하여, 상기 보행자 모드와 관련된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자 모드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보행자 모드(IND10)가 활성화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보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도 16a 참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행자 모드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의해 자동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보행자 모드의 자동 활성화 방법 내지 방식은 다양한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경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 상기 차량으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차량 주행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통하여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 상기 차량으로 이동이 어려운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근거로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전술된 전환 버튼(910)이나 전환 음성 인식 명령을 통한 전환).
도 16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DIS10)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200)와 차량 네비게이션은 사전에 설정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차량 운정 중 목적지를 변경할 때 차량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새로 입력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때 차량 마이크가 아닌 이동 단말기(200)의 마이크(122)를 이용하게 되므로, 음성 인식의 정확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할 수 있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차량의 스마트 키로 이용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200) 착용자의 신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신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신체 부위(예를 들어, 상기 시계형 이동 단말기의 경우, 손목 부위)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생체 정보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심박수, 체지방, 혈압, 혈당, 얼굴 모양, 지문, 뇌파 및 홍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200)는 착용자의 심장 박동수 등의 신체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 이상이 감지되면 긴급 전화를 걸거나 목적지를 병원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일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에 대한 상태가 비정상적이라는 것을 나타내는 경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경보 신호를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보를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400)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500)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OT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정보 중 상기 차량(500)에 포함된 배터리의 상태('60% 남음') 및 차량 도어 상태('문열림!!')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 이동 단말기를 통한 차량의 제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 또는 단계의 일부 또는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실시예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중복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로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도어의 개폐, 창문의 개폐, 선루프의 개폐,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기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및 네비게이션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기인 것일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 상기 차량에 포함된 부품 또는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신호 생성을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차량 내의 공조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p' 또는 'down'을 나타내는 버튼 또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차량 내 공조 기능을 제어하는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500)은,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근거로 상기 차량 내 온도를 18도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는 네트워크가 지원되는 조건으로 서술하였으나, 이동 단말기(200) 자체에 와이파이나 테터링 등의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그 결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길 안내나 음성 인식의 리소스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으로부터 사용하고 테터링을 통해 기 설정된 프로토콜로 관련 정보를 가져올 수 있다. 이에 따라, 3G나 LTE와 같은 네트워크 모뎀이 없어도 관련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 모뎀이 없는 단말기(200)는 단가가 저렴해질 수 있다. 또한, 기존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테터링을 통해 실시간 길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적용 가능한 차량에 대한 설명
이하에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이 적용 가능한 차량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서는 전기차량에 대해 기술하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다른 종류의 차량(예를 들어, 가솔린 엔진, 디젤 엔진 또는 LPG 엔진을 구비한 차량)에도 적용 가능함이 본 기술분야에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차량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장치를 구비한 전기차량(600)은, 차량바디(610)와, 상기 차량바디(610)에 구비되는 배터리(625)와, 상기 차량바디(610)에 구비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625)를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장치(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의 상부영역에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운전자 또는 승객이 탑승하는 탑승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바디(610)는 내부에 탑승공간이 형성되는 캐빈(cabin)(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는 주행이 가능하게 복수의 휠(61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와 상기 각 휠(615) 사이에는 현가장치(62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차량바디(610)의 노면 주행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상기 휠(615)은 상기 차량바디(610)의 전, 후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6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625)는 충전이 가능하게 2차 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의 일 측에는 상기 휠(615)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기(63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에는 상기 전동기(630)에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인버터장치(6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장치(635)는 상기 배터리(625) 및 상기 전동기(63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장치(635)는 상기 배터리(125)에 연결되어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직류 전원을 상기 전동기(630)의 구동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동기(1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량바디(610)에는 상기 배터리(625)를 충전할 수 있게 배터리 충전장치(6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충전장치(640)는 외부 상용 전원(AC)과 연결되어 상용 전원을 상기 배터리(625)의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배터리(625)에 제공하는 충전회로(66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회로(66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용 전원과 연결되어 상용 전원이 입력되는 상용전원입력부, 상기 상용전원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상용 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평활부, 변환된 직류 전원을 상기 배터리(625)의 충전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력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차량 정보를 쉽고, 빠르며,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따르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목적지로의 진행 방향을 진행 방향이 바뀌는 경우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의 전력이 절약될 수 있고 사용자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를 주시할 필요 없이 안전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네비게이션과의 연동으로 끊김없이 길 안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운전시 안전하게 목적지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의 마이크를 이용하므로 차량 마이크 이용시보다 음성 인식률이 높아지게 된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Claims (31)

  1.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시계형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된 차량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되어 상기 손목 부위에 항상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구비된 출력부; 및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외부에 출력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상기 차량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외부로 출력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차량의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한 주행 방향을 실시간으로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목적지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한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턴-바이-턴 방식은,
    상기 화살표만을 상기 화면에 표시하거나,
    차량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그래픽 오브젝트 보다 상기 화살표가 더 크게 표시되는 방식인 것인 이동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목적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거리, 전체 소요시간, 남은 소요시간 및 도착시간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상기 화살표와 함께 상기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입력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차량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것인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는,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차량 주행 정보를 근거로 상기 차량에 대한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됨이 인식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연동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것인 이동 단말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 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목적지 도착 전 상기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경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보행 방향을 출력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보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턴-바이-턴(TBT: Turn By Turn)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 상기 차량으로 이동이 어려운 경우,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이동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및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이동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떨어졌을 때 상기 보행자 모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이동 단말기.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행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에 따라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에 상기 차량이 도착하기 이전에 기설정된 알림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알림 신호는,
    상기 본체의 진동 또는 음성의 형태로 출력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부는,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턴-바이-턴 방식으로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 주위의 지도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가 듀얼 화면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 및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에서의 화면을 함께 표시하되,
    상기 제어부는,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TBT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하고,
    기존에 설정된 화면 표시 모드가 MAP 화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이 입력된 경우,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입력 받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 모드 설정 입력을 근거로 상기 화면 표시 모드를 상기 TBT 화면 표시 모드, 상기 MAP 화면 표시 모드 및 상기 듀얼 화면 표시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 모드 전환 입력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 터치 입력인 것인 이동 단말기.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 주행 분기점까지의 주행 정보에 따라 상기 화살표의 속성을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정보는,
    상기 주행 분기점까지의 남은 거리,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방향 및 상기 차량의 상기 주행 분기점으로의 진입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화살표의 속성은,
    상기 화살표의 크기, 모양, 화면 상의 표시 각도 및 길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이동 단말기.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기간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차량에 대한 운전 패턴 또는 상기 사용자의 도보 패턴에 대한 패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패턴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살표의 화면 표시 시점을 변경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패턴은,
    운전 속도, 급가속 횟수 및 급제동 횟수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보 패턴은,
    도보 속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통신부는,
    기설정된 통신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차량 제어 장치와 상기 네비게이션 기능과 관련된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주행 정보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 상기 차량의 속도 및 상기 차량의 주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의 목적지 또는 주행 경로 상의 경유지가 설정된 경우, 상기 차량 주행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2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기능, 도어의 개폐여부, 창문의 개폐 여부, 선루프의 개폐여부,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상기 차량에 구비된 네비게이션 기능, 차량의 도난 상태 및 상기 차량의 주유 상태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인 것인 이동 단말기.
  3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을 근거로 차량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제어 신호를 상기 차량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인 이동 단말기.
  3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신호는,
    상기 차량에 대한 공조, 도어의 개폐, 창문의 개폐, 선루프의 개폐, 상기 차량의 배터리 충전 상태, 상기 차량의 주행 및 상기 차량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기능을 제어하거나 설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인 것인 이동 단말기.
PCT/KR2014/003307 2013-04-17 2014-04-1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4171734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84,689 US9869556B2 (en) 2013-04-17 2014-04-16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2398 2013-04-17
KR1020130042398A KR102011457B1 (ko) 2013-04-17 2013-04-17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71734A2 true WO2014171734A2 (ko) 2014-10-23
WO2014171734A3 WO2014171734A3 (ko) 2014-12-11

Family

ID=51731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3307 WO2014171734A2 (ko) 2013-04-17 2014-04-16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69556B2 (ko)
KR (1) KR102011457B1 (ko)
WO (1) WO2014171734A2 (ko)

Cited B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6651A1 (ko) * 2014-11-12 2016-05-19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복수의 장치 간의 각도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094096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WO2016125971A1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K201670074A1 (en) * 2015-02-13 2016-09-05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WO2016190466A1 (ko) * 2015-05-28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WO2016199967A1 (ko) * 2015-06-12 2016-12-15 (주)블루와이즈 패턴 및 센서기반의 사용자 의사입력 시스템
EP3110107A1 (en) * 2015-06-26 2016-12-28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lf-balanced vehicle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EP3185041A1 (en) * 2015-12-21 2017-06-28 Clarion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O2017146689A1 (en) * 2016-02-24 2017-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tifications in a wearable device
CN107409283A (zh) * 2015-04-09 2017-11-28 戴姆勒股份公司 车辆与可穿戴设备之间的持续活动的无缝交接
US9940637B2 (en) 2015-06-05 2018-04-10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US10066959B2 (en) 2014-09-02 2018-09-04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10200587B2 (en) 2014-09-02 2019-02-05 Apple Inc. Remote camera user interface
US10216351B2 (en)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09547972A (zh) * 2017-09-22 2019-03-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车辆间通信环境中验证车辆的方法和装置
US10255595B2 (en) 2015-02-01 2019-04-0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332079B2 (en) 2015-06-05 2019-06-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10621581B2 (en) 2016-06-11 2020-04-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CN112651806A (zh) * 2020-12-30 2021-04-13 北京瞰瞰科技有限公司 快速找到乘客的方法
US11080004B2 (en) 2019-05-31 2021-08-03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301130B2 (en) 2019-05-06 2022-04-12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392117B2 (en) 2016-02-18 2022-07-1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teraction between a wearable device and a vehicle
US11539831B2 (en) 2013-03-15 2022-12-27 Apple In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11604571B2 (en) 2014-07-21 2023-03-14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12002042B2 (en) 2022-10-13 2024-06-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44163A3 (en) 2011-06-05 2024-04-2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notifications received from multiple applications
GB2519325A (en) * 2013-10-17 2015-04-22 Ibm Switching of electronic social presence between devices
US10250735B2 (en) 2013-10-30 2019-04-02 Apple Inc. Displaying relevant user interface objects
US20150350146A1 (en) 2014-05-29 2015-12-03 Apple Inc. Coordination of message alert presentations across devices based on device modes
US10540723B1 (en) * 2014-07-21 2020-01-21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Methods of providing insurance savings based upon telematics and usage-based insurance
WO2016018040A1 (en) * 2014-07-31 2016-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termina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746913B2 (en) * 2014-10-31 2017-08-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cured mobile maintenance and operator system including wearabl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voice command interface, and visual recogni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2257474B1 (ko) * 2014-11-04 2021-05-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9874456B2 (en) * 2014-11-28 2018-01-23 Here Global B.V.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destination preview
US20160162678A1 (en) * 2014-12-08 2016-06-0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USD789417S1 (en) 2014-12-22 2017-06-13 Google Inc. Portion of a display panel with a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component for a lock screen interface
US9207092B1 (en) * 2014-12-22 2015-12-08 Google Inc. Displaying navigation information within a secondary user interface of a mobile device
KR101638095B1 (ko) * 2015-01-16 2016-07-20 한국과학기술원 시선 인식 및 생체 신호를 이용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E102015102352A1 (de) * 2015-02-19 2016-08-25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Ruhezustandes bei einem Kraftfahrzeug
US10328855B2 (en) 2015-03-18 2019-06-25 Uber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lerts to a connected vehicle driver and/or a passenger via condi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US9610893B2 (en) * 2015-03-18 2017-04-04 Car1St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alerts to a driver of a vehicle via condition detec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s
KR102366473B1 (ko) * 2015-06-16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351009B2 (en) * 2015-07-31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 vehicle display systems
US20180228448A1 (en) * 2015-08-07 2018-08-16 Seiko Epson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053001B1 (en) * 2015-09-24 2018-08-2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communication of an operational status
WO2017074328A1 (en) * 2015-10-28 2017-05-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voice recognition including a wearable device
DE102015221419A1 (de) * 2015-11-02 2017-05-0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System und Fahrzeug umfassend das System zum Übermitteln eines Navigationsziels an ein Navigationsgerät des Fahrzeugs
US10137777B2 (en) 2015-11-03 2018-11-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system control based on physiological traits
KR102149295B1 (ko) * 2015-11-10 2020-08-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추월 차선에서의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170131775A1 (en) * 2015-11-10 2017-05-11 Castar, Inc. System and method of haptic feedback by referral of sensation
US20170153636A1 (en) * 2015-11-27 2017-06-01 Bragi GmbH Vehicle with wearable integration or communication
US10099636B2 (en) 2015-11-27 2018-10-16 Bragi GmbH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user role and user settings associated with a vehicle
US9944295B2 (en) 2015-11-27 2018-04-17 Bragi GmbH Vehicle with wearable for identifying role of one or more users and adjustment of user settings
US10104460B2 (en) 2015-11-27 2018-10-16 Bragi GmbH Vehicle with interaction between entertainment systems and wearable devices
WO2017147744A1 (zh) * 2016-02-29 2017-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可穿戴设备和消息传送方法
EP3217231A1 (fr) * 2016-03-10 2017-09-13 Tissot S.A. Systeme de navigation a affichage deporté
CN107478377B (zh) * 2016-06-08 2023-06-06 深圳市艾而特传感器精密有限公司 一种双画面显示的数字气压表
DK201770423A1 (en) 2016-06-11 2018-01-15 Apple Inc Activity and workout updates
JP6702001B2 (ja) * 2016-06-14 2020-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9916501B2 (en) * 2016-07-22 2018-03-13 Yung-Hui Li Smart eyeglasses with iris recognition device
US10759424B2 (en) * 2016-08-16 2020-09-01 Honda Motor Co., Ltd. Vehicle data selection system for modifying automated driving functionalities and method thereof
US9730255B1 (en) * 2016-08-30 2017-08-08 Polycom, Inc. Room-specific pairing via a combined ultrasonic beacon/bluetooth approach
DE102016217532A1 (de) 2016-09-14 2018-03-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obile Funkeinheit zur Verbesserung der Verkehrssicherheit
US10860199B2 (en) 2016-09-23 2020-12-08 Apple Inc. Dynamically adjusting touch hysteresis based on contextual data
US10196058B2 (en) 2016-11-28 2019-02-05 drive.ai Inc. Method for influencing entities at a roadway intersection
US10261513B2 (en) 2016-12-19 2019-04-16 drive.ai Inc. Methods for communicating state, intent, and context of an autonomous vehicle
US10900800B2 (en) 2017-04-18 2021-01-26 Garmin Switzerland Gmbh Mobile application interface device for vehicle navigation assistance
KR102410937B1 (ko) * 2017-04-18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방법
JP6897415B2 (ja) * 2017-08-16 202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6984281B2 (ja) 2017-09-27 2021-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状態提示システム、車両、端末装置、および、方法
US10688962B2 (en) * 2017-10-24 2020-06-23 Anthony House Remote vehicle control system
CN108449116B (zh) * 2018-04-27 2021-06-18 广州杰赛科技股份有限公司 多系统接入平台透传端口损耗的检测方法、装置及系统
US20200001779A1 (en) 2018-06-27 2020-01-02 drive.ai Inc. Method for communicating intent of an autonomous vehicle
KR20200050610A (ko) * 2018-11-02 2020-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9669340B (zh) * 2019-02-12 2023-09-26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智能手表
US11863700B2 (en) 2019-05-06 2024-01-02 Apple Inc. Providing user interfaces based on use contexts and managing playback of media
US11481094B2 (en) 2019-06-0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US11477609B2 (en) 2019-06-01 2022-10-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location-related communications
GB2584917B (en) * 2019-07-29 2021-07-28 Armour Surveillance Security Equipment And Tech Ltd Wearable device
US11614739B2 (en) 2019-09-24 2023-03-28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dging for different gaps in an interaction zone
CN110806197B (zh) * 2019-09-28 2022-04-19 上海翊视皓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视觉设备的姿态检测系统
US20220055633A1 (en) * 2020-08-21 2022-02-2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1775148B2 (en) * 2020-11-06 2023-10-03 Motional Ad Llc Augmented reality enabled autonomous vehicle command center
JP7213297B2 (ja) * 2021-03-31 2023-0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N115056727A (zh) * 2021-09-24 2022-09-16 博泰车联网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控制车辆设备的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828600B2 (en) * 2021-09-29 2023-11-28 Ncr Corporation Indoor wayfinder interface and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9783A (ja) * 2000-07-27 2002-02-06 Hiroshi Nishiyama 道案内システム及び道案内方法
US9360337B2 (en) * 2007-06-20 2016-06-07 Golba Llc Navigation system and methods for route navigation
KR20090071077A (ko) 2007-12-27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의 턴 지점 정보 제공방법
KR20090074574A (ko) * 2008-01-02 2009-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둘 이상의 네비게이션간 정보 공유 장치 및 방법
US20090321483A1 (en) * 2008-06-30 2009-12-31 Walt Froloff Universal wrist-forearm docking station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KR101259170B1 (ko) * 2011-03-18 2013-05-31 박성규 차량의 정보 수집용 통신 디바이스 및 차량의 정보 수집용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971968B1 (ko) 2011-04-28 2019-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한 차량을 이용한 통신 성능 향상 방법

Cited By (6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9831B2 (en) 2013-03-15 2022-12-27 Apple In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10438205B2 (en) 2014-05-29 2019-10-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796309B2 (en) 2014-05-29 2020-10-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1836725B2 (en) 2014-05-29 2023-12-0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483763B2 (en) 2014-05-29 2016-11-01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902424B2 (en) 2014-05-29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748153B2 (en) 2014-05-29 2020-08-1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482461B2 (en) 2014-05-29 2019-11-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911123B2 (en) 2014-05-29 2018-03-0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043185B2 (en) 2014-05-29 2018-08-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977651B2 (en) 2014-05-29 2021-04-1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9967401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US10178234B2 (en) 2014-05-30 2019-01-0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US10616416B2 (en) 2014-05-30 2020-04-0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hone call routing among devices
US11604571B2 (en) 2014-07-21 2023-03-14 Apple Inc. Remote user interface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11126704B2 (en) 2014-08-15 2021-09-21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US9547419B2 (en) 2014-09-02 2017-01-17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0200587B2 (en) 2014-09-02 2019-02-05 Apple Inc. Remote camera user interface
US10914606B2 (en) 2014-09-02 2021-02-09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10936164B2 (en) 2014-09-02 2021-03-02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0066959B2 (en) 2014-09-02 2018-09-04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10324590B2 (en) 2014-09-02 2019-06-18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0579225B2 (en) 2014-09-02 2020-03-03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US11733055B2 (en) 2014-09-02 2023-08-22 Apple Inc. User interactions for a mapping application
US11609681B2 (en) 2014-09-02 2023-03-21 Apple Inc. Reduced size configuration interface
WO2016076651A1 (ko) * 2014-11-12 2016-05-19 주식회사 퓨처플레이 복수의 장치 간의 각도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711835B1 (ko) * 2015-01-30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20160094096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US10255595B2 (en) 2015-02-01 2019-04-0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payments
US10187511B2 (en) 2015-02-03 2019-01-2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WO2016125971A1 (ko) * 2015-02-03 2016-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24682B2 (en) 2015-02-13 2018-07-17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US9574896B2 (en) 2015-02-13 2017-02-21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DK201670074A1 (en) * 2015-02-13 2016-09-05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EP3256817B1 (en) * 2015-02-13 2023-11-15 Apple Inc. Navigation user interface
US10254911B2 (en) 2015-03-08 2019-04-09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US11079894B2 (en) 2015-03-08 2021-08-03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US10216351B2 (en) 2015-03-08 2019-02-26 Apple Inc. Device configuration user interface
CN107409283A (zh) * 2015-04-09 2017-11-28 戴姆勒股份公司 车辆与可穿戴设备之间的持续活动的无缝交接
WO2016190466A1 (ko) * 2015-05-28 201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황에 따라 최적화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웨어러블 단말기
US10621955B2 (en) 2015-05-28 2020-04-14 Lg Electronics Inc. Wearable terminal for displaying screen optimized for various situations
US11783305B2 (en) 2015-06-05 2023-10-10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10332079B2 (en) 2015-06-05 2019-06-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9940637B2 (en) 2015-06-05 2018-04-10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10026094B2 (en) 2015-06-05 2018-07-1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11321731B2 (en) 2015-06-05 2022-05-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11734708B2 (en) 2015-06-05 2023-08-22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US10990934B2 (en) 2015-06-05 2021-04-27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for a wearable device
US10600068B2 (en) 2015-06-05 2020-03-2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loyalty accounts and private label accounts
WO2016199967A1 (ko) * 2015-06-12 2016-12-15 (주)블루와이즈 패턴 및 센서기반의 사용자 의사입력 시스템
EP3110107A1 (en) * 2015-06-26 2016-12-28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self-balanced vehicle
US10018732B2 (en) 2015-12-21 2018-07-10 Clarion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P3185041A1 (en) * 2015-12-21 2017-06-28 Clarion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11392117B2 (en) 2016-02-18 2022-07-1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teraction between a wearable device and a vehicle
WO2017146689A1 (en) * 2016-02-24 2017-08-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otifications in a wearable device
US11481769B2 (en) 2016-06-11 2022-10-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US10621581B2 (en) 2016-06-11 2020-04-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CN109547972A (zh) * 2017-09-22 2019-03-2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车辆间通信环境中验证车辆的方法和装置
CN109547972B (zh) * 2017-09-22 2022-06-1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在车辆间通信环境中验证车辆的方法和装置
US10887193B2 (en) 2018-06-03 2021-01-05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updating network connection settings of external devices
US11301130B2 (en) 2019-05-06 2022-04-12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340778B2 (en) 2019-05-06 2022-05-24 Apple Inc. Restricted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11714597B2 (en) 2019-05-31 2023-08-0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080004B2 (en) 2019-05-31 2021-08-03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1157234B2 (en) 2019-05-31 2021-10-26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CN112651806B (zh) * 2020-12-30 2023-08-08 北京瞰瞰智能科技有限公司 快速找到乘客的方法
CN112651806A (zh) * 2020-12-30 2021-04-13 北京瞰瞰科技有限公司 快速找到乘客的方法
US12002042B2 (en) 2022-10-13 2024-06-0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trans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4634A (ko) 2014-10-27
US20160061613A1 (en) 2016-03-03
WO2014171734A3 (ko) 2014-12-11
KR102011457B1 (ko) 2019-08-19
US9869556B2 (en) 2018-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1734A2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135804A1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WO2017111271A1 (en) Mobile device and operating method hereof
WO2017078209A1 (ko) 영상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WO201619515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032311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32048A1 (ko) 근접 센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6140391A1 (ko) 차량 제어 장치, 차량 운전 보조 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7018579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18044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5156461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8066746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535A1 (ko)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WO2016032076A1 (en) Watch type terminal
WO2017030223A1 (ko) 카드유닛을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6047902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6195160A1 (ko) 이동 단말기
WO2018034370A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47863A1 (ko) 모바일 디바이스, hmd 및 시스템
WO2017069324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038809A1 (ko) 전자기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WO2018084351A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3434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6047887A1 (ko) 이동단말기의 운용 체제 전환장치 및 방법, 차량 및 그 차량의 운용 체제 전송장치 및 방법
WO2018199379A1 (ko) 인공 지능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4689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8527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