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3312A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3312A1
WO2014163312A1 PCT/KR2014/002345 KR2014002345W WO2014163312A1 WO 2014163312 A1 WO2014163312 A1 WO 2014163312A1 KR 2014002345 W KR2014002345 W KR 2014002345W WO 2014163312 A1 WO2014163312 A1 WO 201416331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substrate
unit cell
dye
encapsulant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23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재권
조재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온
Publication of WO201416331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331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04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e.g. comprising an 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2Light-sensitive devices characterized by he count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77Sealing arrangements, e.g.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01G9/2081Serial interconnection of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in which an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a side part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er transparent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er transparent substrate.
  •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substrate due to perfor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forming the encapsulant pattern so that the electrolyte injection space is provided when forming the encapsulant pattern on the substrate will be.
  • Dye-sensitized solar cell is a device applying the principle of photosynthesis of plants and is applied to solar cell by combining dye with function of absorbing light energy in chloroplast with polymer.
  • Dye-sensitized solar cells are based on dye polymers for solar absorption, semiconductor oxides acting as n-type semiconductors, electrolytes acting as p-type semiconductors, counter electrodes for catalysts, and transparent electrodes for solar transmission.
  • the basic structure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has a sandwich structur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s 110 and 120 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136578).
  • the inside of the battery is a transparent electrode 111, 121 co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porous TiO 2 (131) consisting of nanoparticles adhered thereon, dye polymer 132 coated with a monolayer on the surface of the TiO 2 particles, two It is composed of a redox electrolyte solution 150 for filling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s, and a counter electrode 140 for reducing the electrolyte.
  •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electrolyte solution is injec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wo substrates. It is provid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at is,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of the perforated form is provid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provided i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is usually formed through laser processing, etching, or mechanical drilling. At this tim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transparent substrate made of glass is broke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method is applied to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side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is bonded, the encapsulant pattern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prevents damage to a substrate due to perforation of a transparent substrate and improves a production yield by forming an encapsulant pattern so that an electrolyte injection space is provided during formation. .
  • the opened portion of the encapsulant includes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nd an injection sealing part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cell consists of an opening for connecting the unit cells in the internal space and the injection portion sealing spatially.
  •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cell opening form a right angle.
  • dye and electrolyte may be injected into the inner space of each unit cell region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the injection seal part, and the cell opening part.
  • Method of manufactur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n encapsulant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respectively; Bonding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to each other; And injecting the dye and the electrolyte through the openings formed in the encapsulant, wherein each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s.
  • a light absorbing layer is provided, a counter electrode is provided in each unit cell region of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and a grid electrode form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is spaced apart from the light absorbing layer, and the counter electrode is disposed on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 a grid electrod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ach unit cell region having a space separated by an encapsulant, and having an opening on one side of the encapsulant, and an open portion of the encapsulant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 injection seal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 space inside the unit cell, and the injection se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he cell opening to be connected to the intermitten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forming a TiO 2 nanoparticle layer in each unit cell region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forming a counter electrode in each unit cell region of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 the dye may be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TiO 2 nanoparticle layer to complete the light absorption layer.
  •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dye and electrolyte can be injected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side of the substrate,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damaging the substrate and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process.
  • the opening portion of the encapsulant is divided into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 injection sealing part, and a cell opening,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cell opening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and an injection sealing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and the cell opening. It can be maximiz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A to 4D are referenc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dye-sensitized solar cell includes an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a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respectively, and the two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of the respective substrates face each other.
  •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collects photoelectrically converted electrons and may be made of materials such as fluorine tin oxide (FTO), indium tin oxide (ITO), and antimony tin oxide (ATO).
  •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s A, and the counter electrode 221 and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are independently provided in each unit cell region.
  • each unit cell region of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provided with a counter electrode 221 that serves to reduce the electrolyte, and each unit cell region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plays a role of photoelectric conversion.
  •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is provided.
  •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is an aggregate of TiO 2 nanoparticles on which dye is adsorbed, and the counter electrode 221 may be made of platinum (Pt) or carbon nanotubes.
  • the counter electrode 221 and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provided in each unit cell area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provid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Like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collect electrons, and as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low,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electron collecting electrodes. It is additionally arranged.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absorbing layer 211 or the counter electrode 221 in a space between the unit cell regions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 the space betwee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filled with an electrolyte that serves to reduce the dye oxidized by sunlight absorption.
  • an encapsulant 23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 the encapsulant 230 seals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to prevent electrolyte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substrate from the external space.
  • the encapsulant 230 is patterned on each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and each unit cell area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the encapsulant.
  • the area is divided by 230. That is, each unit cell region is surrounded by the encapsulant 230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and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lso have a form enclosed by the encapsulant 230.
  • a part of the encapsulant 230 provided around the unit cell region forms an open form.
  • the opening portion of the encapsulant 230 extends to th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s a form in which it is spati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space. That is, the encapsulant 230 of a specific portion is formed in an open form from the side of the substrat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pen form extends to the space of each unit cell region.
  • the electrolyte can be injected into the space of each unit cell region, and dyes can be injected in addition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 the opened shape of the encapsulant 230 has a structure as follows in detail.
  • An opening of the encapsulant 230 may include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n injection sealing part 232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an inner space of the unit cell, and the injection sealing part 232. ) Is divided into a cell opening 233 that spatially connects.
  • the injection seal 232 is formed under a region where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formed,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is provid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nd the cell
  • the opening 233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bottom of the unit cell area. Accordingly,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and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ell opening 233 form a right angle.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s 231 and the cell openings 233 are designed at right angles to effectively prevent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cell region from leaking through the cell openings 233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s 231. It becomes possible.
  • the space of the injection seal 232 is filled with a sealant (not shown).
  •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is not provided on the extension lines of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nd is formed below the unit cell area so that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unit cell area, and the electrolyte After the injection is complete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may be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but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unit cell region leaks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is relatively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opening directions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s 231 and the cell openings 233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n injection sealing part betwe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s 231 and the cell openings 233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232).
  • the structures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the injection seal 232, and the cell opening 233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3. That is,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is provided on the extension lines of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nd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and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cell opening 233 form a right angle. Under the premise of satisfying,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structure of FIGS. 2 and 3.
  • Method for manufacturing a dye-sensitized solar cell is largely 1) the prepara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2)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 3) dye and electrolyte injection.
  • the prepara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process of forming the TiO 2 nanoparticles, the counter electrode 221, the grid electrodes 212, 222 and the encapsulant 230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provided with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performed. 1) It is included in the preparation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s, and a light absorption layer 211 is formed in each unit cell region (see FIG. 4A). That is,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is repeatedl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Then,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form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see FIG. 4B). The grid electrodes 212 and 22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absorbing layer 211 and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unit cell regions.
  •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nit cell regions, and a counter electrode 221 is formed in each unit cell region (see FIG. 4A).
  • the counter electrode 221 of each unit cell region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 grid electrodes 212 and 222 are formed on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nter electrode 221 (see FIG. 4B).
  • an encapsulant 230 is form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respectively.
  • the encapsulant 230 serves as a medium for bonding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to insulate the space inside the substrate from the outer space and to independently separate each unit cell region. It plays a role of dividing into the realm.
  • the encapsulant 230 formed on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basically forms a closed loop so that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substrat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each unit cell region is formed. It is provided around the each unit cell region is also enclosed in the encapsulant 230 to form an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unit cell region to form an isolated form.
  • a portion of the encapsulant 230 provided around the unit cell region may have an open shape, and the space outside the substrate and each unit The internal space of the cell region is formed to be spatially connected.
  • the opened shape of the encapsulant 230 is an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connected to an external space, an injection seal 232 connected to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the unit cell internal space and the injection sealing. It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 cell opening 233 for spatially connecting the portion 232.
  • An opening direction of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and the cell opening 233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injection sealing part 232 is provided between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and the cell opening 233.
  • the encapsulant 230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has a symmetrical shape.
  •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performed. Is completed. In this state, 2) the bonding process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two substrates are bond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ncapsulant 230 of the upper transparent substrate 210 and the encapsulant 230 of the lower transparent substrate 220 coincide with each other.
  • the inner space of the bonded substrate and the outer space of the substrate are spatially separated by the encapsulant 230, and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the injection seal 232, and the cell opening of the encapsulant 230 are formed.
  • An outer space of the substrate and an inner space of the unit cell area inside the substrate are spatially connected through 233.
  • a dy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the injection sealing part 232, and the cell opening 233 of the encapsulant 230, to the surface of the TiO 2 nanoparticles.
  • the dye is adsorbed to form the light absorption layer 211.
  • the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the electrolyte injection hole 231, the injection seal 232 and the cell opening 233, and the injection seal is sealed with a sealing material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is complet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method in which an electrolyte is injected through a side part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er transparent substrate are bond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er transparent substrate.
  •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while preventing damage to the substrate due to perfor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y forming the encapsulant pattern so that the electrolyte injection space is provided when forming the encapsulant pattern on the substrate will 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합착되어 봉지된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을 포함하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각각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흡수층이 구비되고,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이 구비되며, 상부 투명기판 상에 광흡수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하부 투명기판 상에 상대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며, 봉지재의 일측에 개구된 부위가 구비되며, 봉지재의 개구된 부위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와, 전해질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 및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주입 밀봉부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투명기판의 천공에 따른 기판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측부를 통해 전해질이 주입되는 방식을 적용하고,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상의 봉지재 패턴 형성시 전해질 주입공간이 구비되도록 봉지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투명기판의 천공에 따른 기판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1년 스위스 로잔공대(EPFL)의 마이클 그라첼(Michael Gratzel) 연구팀에 의해 염료감응 나노입자 산화티타늄 태양전지가 개발된 이후, 이 분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식물의 광합성 원리를 응용한 소자로 엽록체에서 빛에너지를 흡수하는 기능의 색소를 고분자와 결합시켜 태양전지에 적용한 경우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태양광 흡수용 염료고분자, n형 반도체 역할을 하는 반도체 산화물, p형 반도체 역할을 하는 전해질, 촉매용 상대전극, 태양광 투과용 투명전극을 기본으로 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기본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기판(110)(120)의 샌드위치 구조를 갖는다(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136578호). 전지 내부는 투명기판 위에 코팅된 투명전극(111)(121), 그 위에 접착되어 있는 나노입자로 구성된 다공질 TiO2(131), TiO2 입자의 표면에 단분자층으로 코팅된 염료고분자(132), 두 전극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는 산화/환원용 전해질 용액(150), 그리고 전해질 환원용 상대전극(14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부의 투명기판과 하부의 투명기판을 합착한 후 두 기판 사이의 공간에 전해질 용액을 주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전해질 주입을 위한 전해질 주입구는 상부의 투명기판에 구비된다. 즉, 상부의 투명기판에 천공된 형태의 전해질 주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전해질 주입구를 통해 전해질이 주입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부의 투명기판에 구비되는 전해질 주입구는 통상, 레이저 가공, 식각 또는 기계적 천공을 통해 형성되는데, 이 때 유리 재질의 투명기판이 파손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선행기술문헌]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1365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측부를 통해 전해질이 주입되는 방식을 적용하고,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상의 봉지재 패턴 형성시 전해질 주입공간이 구비되도록 봉지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투명기판의 천공에 따른 기판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합착되어 봉지된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각각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흡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상대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봉지재의 일측에 개구된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봉지재의 개구된 부위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와, 상기 전해질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 및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해질 주입구의 개구 방향과 상기 셀 개구부의 개구 방향은 직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전해질 주입구, 주입 밀봉부 및 셀 개구부를 통해 각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에 염료 및 전해질 주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상에 각각 봉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봉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염료 및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각각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흡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상대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봉지재의 일측에 개구된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봉지재의 개구된 부위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와, 상기 전해질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 및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봉지재의 형성 전에,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 TiO2 나노입자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 상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염료를 주입하여, 상기 TiO2 나노입자층의 표면에 염료를 흡착시켜 광흡수층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기판 측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염료 및 전해질 주입이 가능함에 따라, 기판이 손상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공정의 안정성이 담보된다.
또한, 봉지재의 개구부를 전해질 주입구, 주입 밀봉부, 셀 개구부로 구분하고, 전해질 주입구와 셀 개구부가 직각 형태로 배치되고, 전해질 주입구와 셀 개구부 사이에 주입 밀봉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통해 전해질 밀봉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분리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는 각각 투명도전막(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며, 각 기판의 투명도전막이 마주보도록 두 기판이 합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투명도전막은 광전변환된 전자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FTO(fluorine tin oxide), ITO(indium tin oxide), ATO(antimony tin oxide)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A)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221)과 광흡수층(211)이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투명기판(220)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전해질을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상대전극(221)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전변환의 역할을 하는 광흡수층(211)이 구비된다. 상기 광흡수층(211)은 염료가 흡착된 TiO2 나노입자의 집합체이며, 상기 상대전극(221)은 백금(Pt) 또는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에 구비되는 상대전극(221)과 광흡수층(211)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 및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는 그리드 전극(212)(222)이 구비된다.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은 상기 투명도전막과 마찬가지로 전자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투명도전막의 전기전도도가 낮음에 따라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그리드 전극(212)(222)이 전자 수집용 전극으로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은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 및 하부 투명기판(220)의 각 단위 셀 영역 사이의 공간에 광흡수층(211) 또는 상대전극(221)과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사이의 공간에는 태양광 흡수에 의해 산화된 염료를 환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해질이 충전된다.
또한,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사이에는 봉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봉지재(230)는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을 봉착시켜 전해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기판 내부를 외부 공간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봉지재(230)는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각각에 패터닝되어 구비되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각 단위 셀 영역은 상기 봉지재(230)에 의해 그 영역이 구분된다. 즉,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230)에 의해 둘러쌓여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며,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 역시 봉지재(230)에 의해 둘러쌓인 형태를 갖는다.
각 단위 셀 영역을 한정하는 형태로 패터닝된 봉지재(230)에 있어서, 각 단위 셀 영역의 둘레에 구비된 봉지재(230)의 일부는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봉지재(230)의 개구 부위는 기판의 측부까지 연장되어 외부 공간과 공간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즉, 기판의 측부에서부터 특정 부위의 봉지재(230)는 개구된 형태를 이루며, 각 단위 셀 영역의 공간까지 개구된 형태가 연장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룸에 따라, 각 단위 셀 영역의 공간에 전해질의 주입이 가능하게 되며, 전해질 주입 이외에 염료를 주입할 수도 있다.
상기 봉지재(230)의 개구된 형태는 세부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상기 봉지재(230)의 개구된 형태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231),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232),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232)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233)로 구분된다.
상기 주입 밀봉부(232)는 그리드 전극(212)(222)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는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며, 상기 셀 개구부(233)는 단위 셀 영역의 측하단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전해질 주입구(231)의 주입 방향과 셀 개구부(233)의 주입 방향은 직각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전해질 주입구(231)와 셀 개구부(233)를 직각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에 주입된 전해질이 셀 개구부(233) 및 전해질 주입구(231)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해질 주입이 완료된 경우 상기 주입 밀봉부(232)의 공간은 밀봉재(도시하지 않음)로 채워진다. 한편, 전해질 주입구(231)를 그리드 전극(212)(222)의 연장선 상에 구비시키지 않고, 단위 셀 영역의 하부에 형성시켜 전해질 주입구(231)가 곧바로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도록 하고 전해질 주입 완료 후 전해질 주입구(231)를 밀봉재로 밀봉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단위 셀 영역 내부에 주입된 전해질이 전해질 주입구(231)를 통해 누출될 가능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각 단위 셀 영역의 밀봉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해질 주입구(231)와 셀 개구부(233)의 개구 방향이 직각이 되도록 하고, 전해질 주입구(231)와 셀 개구부(233) 사이에 주입 밀봉부(232)가 구비되는 구조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 주입 밀봉부(232) 및 셀 개구부(233)의 구조는 도 3과 같이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가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고, 전해질 주입구(231)의 주입 방향과 셀 개구부(233)의 주입 방향이 직각의 형태를 이루는 조건을 만족하는 전제 하에, 도 2 및 도 3의 구조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크게 1)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준비, 2)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합착, 3) 염료 및 전해질 주입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1)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준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명도전막이 구비된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 TiO2 나노입자, 상대전극(221), 그리드 전극(212)(222) 및 봉지재(230)를 형성하는 과정이 1)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준비 과정에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투명기판(210)의 경우,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단위 셀 영역에 광흡수층(211)을 형성한다(도 4a 참조). 즉,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 상에 광흡수층(211)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도록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 상에 그리드 전극(212)(222)을 형성한다(도 4b 참조). 상기 그리드 전극(212)(222)은 상기 광흡수층(211)과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투명기판(220)의 경우,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단위 셀 영역에 상대전극(221)을 형성한다(도 4a 참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의 상대전극(221)은 상부 투명기판(210)의 광흡수층(2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 상기 상대전극(221)과 이격되도록 그리드 전극(212)(222)을 형성한다(도 4b 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 각각 봉지재(230)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봉지재(230)는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합착 매개체로서 기판 내부의 공간을 외부 공간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함과 함께 각 단위 셀 영역을 독립적인 영역으로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 상에 형성되는 봉지재(230)는 기본적으로 기판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격리되도록 폐루프(closed loop) 형태를 이루며, 각각의 단위 셀 영역의 둘레에 구비되어 각각의 단위 셀 영역 또한 봉지재(230)에 둘러쌓여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이 격리된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한다.
각 단위 셀 영역을 한정하는 형태로 패터닝하는 봉지재(230)에 있어서, 각 단위 셀 영역의 둘레에 구비된 봉지재(230)의 일부는 개구된 형태를 갖도록 하며, 기판 외부의 공간과 각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을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봉지재(230)의 개구된 형태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231),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232),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232)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233)로 구분되도록 형성한다. 전해질 주입구(231)과 셀 개구부(233)의 개구 방향은 직각을 이루며, 전해질 주입구(231)과 셀 개구부(233) 사이에 주입 밀봉부(232)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봉지재(230)는 대칭되는 형태를 갖는다.
전해질 주입구(231), 주입 밀봉부(232) 및 셀 개구부(233)가 구비된 봉지재(230)의 형성이 완료되면 1)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준비 과정은 완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2) 상부 투명기판(210)과 하부 투명기판(220)의 합착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상부 투명기판(210)의 봉지재(230)와 하부 투명기판(220)의 봉지재(230)가 일치되도록 두 기판을 합착한다. 이에 따라, 합착된 기판의 내부 공간과 기판의 외부 공간은 상기 봉지재(230)에 의해 공간적으로 격리되며, 상기 봉지재(230)의 전해질 주입구(231), 주입 밀봉부(232) 및 셀 개구부(233)를 통해 기판의 외부 공간과 기판 내부의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은 공간적으로 연결된다.
그런 다음, 3) 염료 및 전해질 주입의 과정을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봉지재(230)의 전해질 주입구(231), 주입 밀봉부(232) 및 셀 개구부(233)를 통해 염료를 주입하여, 상기 TiO2 나노입자의 표면에 염료를 흡착시켜 광흡수층(211)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해질 주입구(231), 주입 밀봉부(232) 및 셀 개구부(233)를 통해 전해질을 주입하고, 상기 주입 밀봉부를 밀봉재로 밀봉하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은 완료된다.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이 합착된 상태에서 측부를 통해 전해질이 주입되는 방식을 적용하고,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상의 봉지재 패턴 형성시 전해질 주입공간이 구비되도록 봉지재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투명기판의 천공에 따른 기판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7)

  1. 합착되어 봉지된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각각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흡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상대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봉지재의 일측에 개구된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봉지재의 개구된 부위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와,
    상기 전해질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 및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주입구의 개구 방향과 상기 셀 개구부의 개구 방향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주입구, 주입 밀봉부 및 셀 개구부를 통해 각 단위 셀 영역의 내부 공간에 염료 및 전해질 주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밀봉부는 그리드 전극이 형성된 영역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전해질 주입구는 상기 그리드 전극의 연장선 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5.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상에 각각 봉지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및
    봉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염료 및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과 하부 투명기판 각각은 복수의 단위 셀 영역으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광흡수층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는 상대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광흡수층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 투명기판 상에 상기 상대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된 그리드 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각 단위 셀 영역은 봉지재에 의해 공간이 분리되며, 상기 봉지재의 일측에 개구된 부위가 구비되며,
    상기 봉지재의 개구된 부위는,
    외부 공간과 연결되는 전해질 주입구와,
    상기 전해질 주입구와 연결되는 주입 밀봉부 및
    상기 단위 셀 내부 공간과 상기 주입 밀봉부를 공간적으로 연결시키는 셀 개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재의 형성 전에,
    상기 상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 TiO2 나노입자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투명기판의 각 단위 셀 영역에 상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봉지재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염료를 주입하여, 상기 TiO2 나노입자층의 표면에 염료를 흡착시켜 광흡수층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CT/KR2014/002345 2013-04-03 2014-03-20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416331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435 2013-04-03
KR1020130036435A KR20140121910A (ko) 2013-04-03 2013-04-03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312A1 true WO2014163312A1 (ko) 2014-10-09

Family

ID=5165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2345 WO2014163312A1 (ko) 2013-04-03 2014-03-20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121910A (ko)
WO (1) WO201416331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6037A1 (en) * 2004-04-23 2005-10-27 Kwang-Soon Ahn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US20070137702A1 (en) * 2001-12-28 2007-06-21 Shinji Murai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 sensitized solar cell
US20080314448A1 (en) * 2007-05-17 2008-12-25 Kato Yasutake Dye-sensitized solar cell fabricating kit,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10174352A1 (en) * 2010-01-19 2011-07-21 Nam-Choul Yang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20130014911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37702A1 (en) * 2001-12-28 2007-06-21 Shinji Murai Dye 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ye sensitized solar cell
US20050236037A1 (en) * 2004-04-23 2005-10-27 Kwang-Soon Ahn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US20080314448A1 (en) * 2007-05-17 2008-12-25 Kato Yasutake Dye-sensitized solar cell fabricating kit,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110174352A1 (en) * 2010-01-19 2011-07-21 Nam-Choul Yang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20130014911A (ko) * 2011-08-01 2013-02-12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910A (ko) 2014-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8804B2 (ja) 機能デバイス
KR100658263B1 (ko) 적층형 광전변환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EP1603169B1 (en) Photovoltaic module architecture
CN102754273B (zh) 色素增感型太阳能电池及其制造方法
KR20080112280A (ko) 기능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26404A (ko) 색소 증감 태양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72425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6324090A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発電装置
JP2011151001A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
KR20080067586A (ko) 분리막을 구비하고 있는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CN201302932Y (zh) 一种染料敏化太阳能电池的电极结构
CN102074376A (zh) 一种染料敏化太阳能电池
KR20080054971A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5495447B2 (ja) 光電変換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50471B1 (ko) 광전 변환 모듈
CN103137338B (zh) 染料敏化太阳能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KR20130023929A (ko)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해질 실링 구조
WO2014163312A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2079495A (ja)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法
KR101106431B1 (ko) 그리드 보호 코팅층을 구비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CN104299790B (zh) 一种复合型叠层式染料敏化太阳能电池组件
US20130340809A1 (en) Dye-sensitized photovolta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WO2010005212A2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또는 서브모듈 및 서브모듈 봉지방법
CN204045403U (zh) 一种复合型叠层式染料敏化太阳能电池组件
JP2010176950A (ja) 光電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78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778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