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63238A1 -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63238A1
WO2014163238A1 PCT/KR2013/005630 KR2013005630W WO2014163238A1 WO 2014163238 A1 WO2014163238 A1 WO 2014163238A1 KR 2013005630 W KR2013005630 W KR 2013005630W WO 2014163238 A1 WO2014163238 A1 WO 20141632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ismic
fastening
vibration
switchgear
bu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56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기주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케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케이디파워
Publication of WO20141632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632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고,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단로기, 진공차단기 및 전류계를 구비하는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제2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와 제2내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내진부재 또는 제2내진부재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각각 상기 제2내진부재 또는 제1내진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방진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내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면 상에서 상기 제1내진부재들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본 발명은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 제공자로부터 전력을 받는 역할과 전력소비가 필요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수전설비와 배전설비를 구비한 통상의 변전실의 관련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특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구분되며,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와, 상기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변압기 및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 제한 및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된 절연 본체, 즉 수배전반 몸체와 연속적이며 균일한 공급전압에 대한 신뢰성을 감안하여 본체 내부에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장비가 필수요건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배전반은 접속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을 교류전류으로 변환하여 자동 관리하는 인버터와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는 교류전류으로 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PCB와 리액터(reactor), 컨덴서, 계측제어모듈, SMPS, EMI필터 및 변압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접속반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을 직렬연결 방식으로 출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되는 전류값과 전압값을 검출하여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전의 수배전반은 설치면으로부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응하여 방진설비가 되어 있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양 축으로 복합적으로 방진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이 가해질 때 방진구조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복합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고,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단로기, 진공차단기 및 전류계를 구비하는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제2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와 제2내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내진부재 또는 제2내진부재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각각 상기 제2내진부재 또는 제1내진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방진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내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면 상에서 상기 제1내진부재들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을 제공한다.
상기 수배전반은 상기 제1내진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진부재와 제2내진부재 및 탄성부재를 연통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내진부재는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중앙 부분과 일부분이 접촉하도록 상단 및 하단의 직경 또는 단면적이 중심부분의 직경 또는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진부재는 설치면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상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사각 수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배전반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에 대응하도록 사각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접촉하는 제1사각너트와, 상기 제1사각너트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사각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전부에 구비된 애자의 단부에는 상기 단로기와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C자형 모선 부스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는 상기 체결홈 상에 삽입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1체결부재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 내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3체결부재와, 상기 체결홈 상에 일부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제3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제4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체결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에 따르면 방진부를 통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가해지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탄성부재의 형상을 개선하여 방진유닛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방진부가 상부에 배치되는 외함을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게다가 애자에 모선 부스바를 결합시켜 진동에 따른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방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의 방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수전부를 확대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수전부에 구비되는 체결스크류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1)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1)은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20)와, 단로기(30), 진공차단기(40) 및 전류계(미도시)를 포함한 외함 본체(10)와, 상기 외함 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방진부(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1)은 태양광을 기본적인 발전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외함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상기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미도시)이 마련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PCB,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방열 및 방습에 따른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외함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부(12)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부(12)는 상기 공간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12)를 통하여 상기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부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2)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배전반(1)에는 상기 도어부(12)가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12) 상에는 작업자가 상기 외함 본체(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14)이 마련된다.
상기 투시창(14)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 본체(10) 내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투시창(14)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상체 일부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10)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는 전기의 발전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의 현재 진단 상황과, 발전량, 일사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발전효율 등을 나타내며, 상기 도어부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진부(100)은 상기 외함본체(10) 또는 설치면 중 어느 일 측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타 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방진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진부(100)는 상기 외함 본체(10) 저면에 결합되는 제1내진부재(110)와, 상기 제1내진부재(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내진부재(120)와,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제2내진부재(120)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0)와,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제2내진부재(120) 및 탄성부재(130)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40)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결합부재(140) 없이도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제2내진부재(120) 사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외함 본체(10)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피가진부에 해당하며, 상기 제2내진부재(120)는 진동이 가해지는 설치면 즉 가진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10) 즉 피가진부는 발전기,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및 수변전반 등과 같이 설치면 즉 가진부 상에 설치된 방진구조를 필요로 하는 독립적인 외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방진부(100)의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방진부(100)와 외함 본체(10)가 결합된 수배전반(1)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내진부재(110)는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제1내진부재(110)는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1)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재(13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수용공간(115)이 형성된 하우징(114)을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111)은 상기 하우징(114)을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중심부분에는 상기 결합부재(14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4)은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5)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30)는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제2내진부재(12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내진부재(110) 또는 제2내진부재(120) 중 일 측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제2내진부재(120)는 상기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121)과, 상기 제2지지판(121)의 상부에 돌출되는 고정부재(12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123)는 상기 제2지지판(121)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사각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23)에는 외주면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와 치합(齒合)하여 체결되는 높이조절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60)는 상기 고정부재(12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사각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1사각너트(161)와, 동일 형상으로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하측에 체결되는 제2사각너트(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사각너트(161)와 제2사각너트(16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재(123) 상에서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23)에는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수직 왕복운동에 따라서 높이가 변화하는 지지판(150)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판(150)은 상기 수평 방진부재(133)의 하단과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재(130)가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50)은 상기 높이조절부(160)가 상기 고정부재(123) 상에서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탄성부재(130)를 지지하여, 상기 외함 본체(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결합부재(140)는 상기 결합공(112)과 통공(132)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재(123)의 중심에 체결되며,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탄성부재(130) 및 제2내진부재(120)를 동시에 결합하여 서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내진부재(110)가 제2내진부재(12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140)의 단부에 마련된 헤드(141)는 상기 결합공(11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112)과 헤드(141) 사이에서 마찰 또는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셔(142)가 체결된다.
상기 방진부(100)의 작용효과에 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상기 방진부(100)는 상기 제1내진부재(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가압되고, 또한 설치면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방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재(130)가 소폭 압축되어 높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내진부재(110)가 하강하여 상기 제1내진부재(110)와 제2내진부재(1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내진부재(11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배전반(1)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의 방진부(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230)의 외주면은 항아리의 외형과 같이 수직방향에 있어서 중심부분이 돌출되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상단 및 하단의 직경은 중심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30)의 일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단 및 하단의 단면적이 중심부분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하우징(114) 내부에 삽입 시 중심부분이 상기 하우징(114)의 내주면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탄성부재(230)의 상측 및 하측 단부와 상기 하우징(114)의 내주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탄성부재(230)가 수평 방향의 가진을 받는 경우, 상기 탄성부재(230)의 중심부분에 압력이 집중되면서 상기 탄성부재(230)의 상단 및 하단이 상기 하우징(114) 사이 내부공간으로 밀려나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방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수전부(20)를 확대 도시하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와 같이 상기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1)의 내측 상부에는 수전부(2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수전부(20)에 마련된 애자(21)의 하단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전달하는 부분으로 전압이 집중된다.
따라서 상기 애자(21)의 하단부에는 단면적 및 접촉면적이 넓은 모선 부스바(310)가 마련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수전부에 구비되는 체결스크류(300)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상기 모선 부스바(310)는 중공의 사각봉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체결홈(31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311)의 폭은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폭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일 단면은 대략 'C'자 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선 부스바(310)에는 자선 부스바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모선 부스바 상에 상기 자선 부스바를 결합시키는 체결스크류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스크류(150)는 상기 체결홈(311) 상에 삽입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360)와, 상기 제1체결부재(360)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311) 내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370)와, 상기 제2체결부재(370)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320)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3체결부재(380)와, 상기 체결홈(311) 상에 일부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제3체결부재(380)가 삽입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320)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제4체결부재(3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부재(36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대각선 방향에 서로 마주하는 제1모서리 부분(361)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모서리부분과 인접하는 또 다른 대각선 방향에 서로 마주하는 제2모서리 부분(362)이 직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홈(311)을 따라서 삽입되는 상기 제1체결부재(360)는 상기 모선 부스바(310) 내부에서 시계방향으로 90° 회전하여 상기 체결홈(311) 내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1모서리 부분(361)은 라운드가 형성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촉하면서 회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모서리 부분(362)은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내벽으로부터 더 이상 회전이 방지되며, 이로써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내부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모서리 부분(362)은 상기 모선 부스바(310) 내부에서 정방향으로 90°이상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이라면 직각 형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2체결부재(37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체결홈(311)의 두께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기 제1모서리 부분(361)과 대응하는 위치에 라운드진 제3모서리 부분(371)이 형성되고, 상기 제2모서리 부분(362)에 대응하는 위치에 직각으로 형성된 제4모서리 부분(37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체결부재(370)는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 내부에 삽입 시 상기 체결홈(311) 내부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체결부재(370)도 연동하여 상기 체결홈(311)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재(370)는 상기 제3모서리 부분(371)이 라운드로 형성되고 상기 제4모서리 부분(372)이 직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360)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90° 회전이 가능하며,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면 상기 제1체결부재(360)와 제2체결부재(370)가 각각 상기 모선 부스바(310)와 체결홈(311) 내부에 결합되어 보다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3체결부재(380)는 상기 제2체결부재(370) 상부에 결합되는 자선 부스바(320) 또는 상기 제4체결부재(390)로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써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제4체결부재(390)는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체결블럭(391)과, 상기 체결블럭(39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돌기(39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블럭(391)은 육면체 형상으로 측면을 관통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방열공(193)이 형성된다.
상기 방열공(193)은 상기 모선 부스바(310) 또는 자선 부스바(32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체결돌기(394)는 상기 체결블럭(391)의 하방 중심을 지나도록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311)에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체결블럭(391)은 내부로 상기 제3체결부재(380)가 삽입되고, 저면이 상기 제2체결부재(370)와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체결돌기(394)가 상기 체결홈(311)체결홈(311)체결홈(311) 제2체결부재(37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4체결부재(39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 상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체결부재(360) 내지 제3체결부재(380)의 역회전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기 제1체결부재(36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4체결부재(390)가 상기 모선 부스바(310)의 상면에 위치하고 나면 상기 제4체결부재(390)의 상부에 자선 부스바(320)가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자선 부스바(320)의 상면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기 제3체결부재(380)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블럭(391)의 상면과 상기 너트 사이에 체결상태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링 와셔가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에 따르면, 진동이나 또는 이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갖는 수배전반에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다.
100, 200 : 방진부 110 : 제1내진부재
120 : 제2내진부재 130, 230 : 탄성부재
140 : 결합부재 150 : 지지판
160 : 높이조절부 300 : 체결스크류
310 : 모선 부스바 320 : 자선 부스바
360 : 제1체결부재 370 : 제2체결부재
380 : 제3체결부재 390 : 제4체결부재
1 :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10 : 외함 본체 20 : 수전부
21 : 애자 30 : 단로기
40 : 진공차단기

Claims (9)

  1. 일 측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고, 내부에 전원을 공급받는 수전부와, 단로기, 진공차단기 및 전류계를 구비하는 외함 본체;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제2내진부재와, 상기 제1내진부재와 제2내진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내진부재 또는 제2내진부재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각각 상기 제2내진부재 또는 제1내진부재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방진부 및
    상기 탄성부재와 상기 제2내진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면 상에서 상기 제1내진부재들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평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진부재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내진부재와 제2내진부재 및 탄성부재를 연통하여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내진부재는,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중앙 부분과 일부분이 접촉하도록 상단 및 하단의 직경 또는 단면적이 중심부분의 직경 또는 단면적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내진부재는,
    설치면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 상에서 상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주면에 사각 수나사가 형성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에 대응하도록 사각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접촉하는 제1사각너트와, 상기 제1사각너트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사각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전부에 구비된 애자의 단부에는 상기 단로기와 연결되는 자선 부스바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체결홈이 형성된 C자형 모선 부스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모선 부스바와 자선 부스바는,
    상기 체결홈 상에 삽입되어 상기 모선 부스바의 내부에 결합되는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1체결부재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홈 내면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상단에 돌출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와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제3체결부재와, 상기 체결홈 상에 일부 삽입되고, 중앙에 형성된 결합홀에 상기 제3체결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자선 부스바의 상면을 가압 고정시키는 제4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체결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PCT/KR2013/005630 2013-04-02 2013-06-26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WO20141632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5939A KR101276252B1 (ko) 2013-04-02 2013-04-02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2013-0035939 2013-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238A1 true WO2014163238A1 (ko) 2014-10-09

Family

ID=48867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5630 WO2014163238A1 (ko) 2013-04-02 2013-06-26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76252B1 (ko)
WO (1) WO20141632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64B1 (ko) 2015-05-14 2015-08-28 주식회사 동인 변전설비용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68086B (zh) * 2013-06-29 2016-01-20 芜湖明远电力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开关设备用减震装置
KR101377110B1 (ko) 2013-07-01 2014-03-25 주식회사 우경일렉텍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529883B1 (ko) * 2013-08-26 2015-06-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347745B1 (ko) 2013-11-20 2014-01-06 박기주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578677B1 (ko) 2013-11-20 2015-12-1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355191B1 (ko) 2013-12-05 2014-01-27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자동복귀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1614347B1 (ko) 2013-12-30 2016-04-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WO2015102171A1 (ko) * 2013-12-30 2015-07-09 (주)케이디파워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48161B1 (ko) * 2013-12-30 2016-08-1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930739B1 (ko) * 2017-10-25 2018-12-19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배전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643U (ko) * 1997-03-11 1998-11-05 김욱한 자동차시동모터 솔레노이드의 콘넥트리턴스프링
WO2010122663A1 (ja) * 2009-04-24 2010-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高電圧電気機器の導体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091183B1 (ko) * 2011-04-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135986B1 (ko) * 2011-09-20 2012-04-17 (주)예성엔지니어링 내진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643U (ko) * 1997-03-11 1998-11-05 김욱한 자동차시동모터 솔레노이드의 콘넥트리턴스프링
WO2010122663A1 (ja) * 2009-04-24 2010-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高電圧電気機器の導体
KR101081571B1 (ko) * 2011-04-20 2011-11-08 진영이티에스 (주) 내진스프링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091183B1 (ko) * 2011-04-20 2011-12-09 진영이티에스 (주)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135986B1 (ko) * 2011-09-20 2012-04-17 (주)예성엔지니어링 내진 기능을 갖는 무정전 전원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264B1 (ko) 2015-05-14 2015-08-28 주식회사 동인 변전설비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6252B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63238A1 (ko)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WO2014163237A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KR101349791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347745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20170057547A (ko) 방진장치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EP3314745B1 (en) Universal photovoltaic laminate
WO2019088550A1 (ko) 일체형 전력변환 및 계통연계 시스템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CN210744716U (zh) 单芯电缆接地箱
WO2022103123A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진동저감장치
WO2022025632A1 (ko) 태양광발전 접속함
KR20200006777A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배전반(고·저압배전반, mcc, 분전반, ess)
KR101578677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427879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868857B1 (ko) 태양광 접속반
WO2014065474A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WO2020060061A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50078406A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07817B1 (ko) 수배전반의 내진장치
KR101648160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CN109301530A (zh) 一种新型低压线缆线路分配盘
KR101981784B1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1607241B1 (ko) 양축형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20150006251A (ko) 내진 감응형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81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8117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