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161B1 -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 Google Patents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161B1
KR101648161B1 KR1020130167717A KR20130167717A KR101648161B1 KR 101648161 B1 KR101648161 B1 KR 101648161B1 KR 1020130167717 A KR1020130167717 A KR 1020130167717A KR 20130167717 A KR20130167717 A KR 20130167717A KR 101648161 B1 KR101648161 B1 KR 101648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le
elastic
fixing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8407A (ko
Inventor
박기주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3016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161B1/ko
Priority to PCT/KR2014/004839 priority patent/WO2015102171A1/ko
Publication of KR2015007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Abstract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외함 본체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제2지지부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2지지부로부터 제1지지부 방향으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서로 다른 경도가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1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및 탄성부를 연통하여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용 방진유닛{Vibration Proof Unit for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전력 제공자로부터 전력을 받는 역할과 전력소비가 필요한 설비에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수전설비와 배전설비를 구비한 통상의 변전실의 관련 설비를 구축하고 있다.
예컨대,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특고압측과 저압측으로 구분되며, 전력 제공자인 한국전력에서 전기를 받는 수전설비와, 상기 수전설비를 통해 수전된 전기를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압 또는 용량으로 변경하여 공급하는 변압기 및 정전사고 등과 같은 사고로부터 전체 설비를 보호하는 차단기 등을 구비한 배전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수배전반은 사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의 감전 및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외부와의 직접적인 접촉 제한 및 내부 점검이나 유지보수를 위한 개폐형 배전함 도어가 장착된 절연 본체, 즉 수배전반 몸체와 연속적이며 균일한 공급전압에 대한 신뢰성을 감안하여 본체 내부에 차단기나 피뢰기와 같은 각종 보호장비가 필수요건으로 설치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배전반은 접속반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을 교류전류으로 변환하여 자동 관리하는 인버터와 연결된다.
상기 인버터는 교류전류으로 변환시켜 전력을 공급하는 PCB와 리액터(reactor), 컨덴서, 계측제어모듈, SMPS, EMI필터 및 변압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한 접속반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류을 직렬연결 방식으로 출력하는 입력부와, 입력부에 직렬로 연결되어 입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류를 상기 인버터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출력되는 전류값과 전압값을 검출하여 모니터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수배전반에 관한 기술은 등록실용신안 20-0457648호 "수배전반용 방진구"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전의 수배전반은 설치면으로부터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일 방향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응하여 방진설비가 되어 있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양 축으로 복합적으로 방진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
또한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이 가해질 때 방진구조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7648호.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복합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배전반의 외함 본체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서 서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중앙에서 상부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부 및 탄성부를 연통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을 제공한다.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가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지지판과 외함 본체 저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내에서 상기 제1통공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제4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외함 본체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4통공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의 형상 변화를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진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과 가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방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은 상기 고정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은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에 대응하도록 사각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접촉하는 제1사각너트와, 상기 제1사각너트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사각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방진패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차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에 따르면 방진유닛을 통하여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가해지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탄성부의 형상을 개선하여 방진유닛의 내구성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탄성부 내부의 경도를 달리하여 진동의 크기에 관계없이 수배전반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탄성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탄성부의 정면 및 평면을 각각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이 수직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이 수평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이 결합되는 수배전반(1)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배전반(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인버터 모듈(미도시)과, 수배전 모듈(미도시) 및 변압부(미도시)를 포함한 외함 본체(10)와, 상기 외함 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배전반(1)은 태양광을 기본적인 발전장치로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상기 외함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상기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부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의 구획벽(미도시)이 마련되어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분리 또는 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공간부(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PCB, 차단기, 피뢰기, 퓨즈 및 개폐기 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와, 방열 및 방습에 따른 구성이 추가적으로 마련된다.
상기 외함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상기 공간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부(12)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부(12)는 상기 공간부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나 또는 복수개가 마련되며, 상기 도어부(12)를 통하여 상기 인버터 모듈, 수배전 모듈 및 변압부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부(12)는 여닫이 또는 미닫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배전반(1)에는 상기 도어부(12)가 여닫이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 도어부(12) 상에는 작업자가 상기 외함 본체(1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미도시)이 마련된다.
상기 투시창은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외함 본체(10) 내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투시창이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손이나 상체 일부가 드나들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10)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로부터 입력 및 출력되는 전기의 발전정보 및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3)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는 상기 인버터 모듈 및 수배전 모듈의 현재 진단 상황과, 발전량, 일사량, 네트워크 환경설정, 발전효율 등을 나타내며, 상기 도어부 (12)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은 상기 외함본체(10) 또는 설치면 중 어느 일 측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을 타 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상세한 설명은 후기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탄성부(130)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나타낸 탄성부(130)의 정면 및 평면을 각각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은 상기 외함 본체(10) 저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부(110)와, 상기 제1지지부(11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지지부(120)와,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 사이에 결합되는 탄성부(130)와,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 및 탄성부(130)를 결합시키는 고정부(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함 본체(10)는 외부로부터 발생된 진동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피가진부에 해당하며, 상기 제2지지부(120)는 진동이 가해지는 설치면 즉 가진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함 본체(10)는 내부에 발전기, 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및 수변전반 중 선택된 하나로써 방진구조를 필요로 하는 독립적인 외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에 고정되는 제1지지판(111)과, 상기 제1지지판(111)의 중심에서 하향 돌출되고, 상기 탄성부(13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수용공간(115)이 형성된 하우징(114)과, 상기 제1지지판(111)과 외함 본체(10)의 저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방진패드(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판(111)은 상기 하우징(114)을 상기 외함 본체(10)의 저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중심부분에는 상기 고정부(14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14)은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하우징(11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5)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 또는 제2지지부(120) 중 일 측으로부터 발생된 진동이 타 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130)는 내부를 관통하는 제1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제1통공(132)에 인접하여 상기 탄성부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제4통공(136)이 형성된다.
상기 제1통공(132)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140)가 관통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140)의 외주면과 상기 제1통공(132)은 밀착된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하우징(114)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2와 같이 일 단면이 원형인 형상을 일 예로써 설명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탄성부(130)의 상부에 상기 제1지지부(110)의 하중이 실려 수직 하방으로 가압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4통공(136)은 상기 제1통공(132)이 상기 탄성부(130)를 관통하는 형상과 달리, 상기 탄성부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상기 탄성부(130)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4통공(136)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복원스프링(133)이 삽입된다. 상기 복원스프링(133)은 상기 외함 본체(10)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4통공(136)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상기 복원스프링(133)은 외부로부터 지진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상기 탄성부(130)의 형상 변화를 방지하여 상기 탄성부(130)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거나 복원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복원력을 배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원스프링은(133) 상기 탄성부(13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130)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제1통공(13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경도범위(F1)와, 상기 제1경도범위(F1) 외측으로 상기 제4통공(136) 주변에 형성되는 제2경도범위(F2)와, 상기 제2경도범위(F2) 외측으로 제3경도범위(F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도범위(F1)는 제2경도범위(F2)보다 경도가 크고, 상기 제2경도범위(F2)는 제3경도범위(F3)보다 경도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30)는 합성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GEPO250C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진고무용 소재는 고무나 플라스틱의 경도를 측정하는 경도측정기를 통하여 경도가 측정되며, 측정자와 스프링의 강도에 따른 종류에 따라서 여러 가지 타입으로 나누어진다. 보다 정확하게는 서로 다른 타입의 고무경도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ASTM 규격을 참조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상기 탄성부(130)의 경도는 상기 제1경도범위(F1)가 약 60~70경도, 상기 제2경도범위(F2)가 약 55~60 경도, 상기 제3경도범위(F3)가 약 50~55 경도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120)는 상기 설치면 상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121)과, 상기 제2지지판(121)과 설치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2방진패드(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제2지지판(121)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사각 수나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의 외주면은 상기 탄성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제1통공(132)의 내주면과 밀착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40)의 하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와 치합(齒合)하여 체결되는 높이조절부(160)가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부(160)는 상기 고정부(1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사각 암나사가 형성되는 제1사각너트(161)와, 동일 형상으로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하측에 체결되는 제2사각너트(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사각너트(161)와 제2사각너트(16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풀거나 조일 수 있으며,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정부(140) 상에서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에는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161)의 수직 왕복운동에 따라서 높이가 변화하는 지지판(150)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판(150)은 상기 탄성부(130)가 상기 하우징(114)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50)은 상기 높이조절부(160)가 상기 고정부(140) 상에서 고정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탄성부(130)를 지지하여, 상기 외함 본체(1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결합공(112)과 제1통공(132)을 관통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와 탄성부(130) 및 제2지지부(120)를 동시에 결합하여 서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탄성부(130)가 가지는 탄성으로 인하여 상기 제1지지부(110) 또는 탄성부(130)가 수평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112)과 제1통공(132)은 상기 고정부(14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10)가 제2지지부(120)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140)의 단부에 마련된 너트(141)는 상기 결합공(112)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고정부(140) 상에 상기 제1지지부(110)가 체결되고 상기 제1지지부(110)와 외함 본체(1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지지판(111) 상부에서 상기 고정부(140)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141)로 체결되는 차음부재(143)가 마련되어 상기 너트(141)와 차음부재(143) 및 제1지지판(111)이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차음부재(143)와 상기 제1지지판(111) 사이에는 상기 제1방진패드(30)가 배치되고, 상기 차음부재(143)와 제1방진패드(30) 사이에서 마찰 또는 이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셔(142)가 체결된다.
상기 차음부재(143)는 상기 고정부와 제1지지부(110) 상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을 절감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6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이 수직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수직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이며, 상기 탄성부(130)는 도 2와 달리 상기 제1지지부(110)에 의해 하방으로 압축되도록 접촉하고 있다.
이는 상기 탄성부(130)가 상기 제1지지부(11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수직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고, 또한 설치면이 수직방향으로 진동하면서 가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면 상기 탄성부(130)가 소폭 압축되어 높이가 줄어들면서, 상기 탄성부(130)의 압력이 증가되어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10) 상부에 배치되는 상기 수배전반(1)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이나 소음도 현저히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도 2에 나타낸 수배전반용 방진유닛(100)이 수평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지지부(110)는 상기 제1지지부(110)가 좌측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14)의 우측 내주면은 상기 탄성부(130)와 밀착되어 접촉 면적이 증대되거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지진과 같은 일시적인 지각변동에 의해 설치면에 고정된 상기 제2지지부(120)가 우측 방향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일어난 현상을 나타내며, 운동의 법칙에 의해 정지 상태에 있던 상기 제1지지부(110)의 하우징(114) 내주면에는 상기 탄성부(130)로부터 압력이 가해져 상기 하우징(114)의 우측 내주면과 상기 탄성부(130)의 접촉 면적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110)가 제2지지부(1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좌측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부(140)가 상기 결합공(112)과 제1통공(132)의 일 측으로 동시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결합공(112)은 상기 제1통공(132)에 비하여 지름이 적어도 같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110)와 제2지지부(120) 사이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탄성부(130)의 형상 변형 및 상기 복원스프링(133)의 탄성 복원력을 통한 충격흡수 작용으로 상기 외함 본체(10)의 파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110 : 제1지지부
120 : 제2지지부 130 : 탄성부
140 : 체결부 150 : 지지판
160 : 높이조절부
1 : 수배전반 10 : 외함 본체

Claims (9)

  1. 수배전반의 외함 본체 저면 모서리 부분에 복수개 결합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의 하측에 각각 배치되고, 진동이 발생되는 가진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 사이에서 서로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서로 다른 경도가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지지부의 중앙에서 상부로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1지지부 및 탄성부를 연통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외함 본체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가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지지판과, 상기 제1지지판으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일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된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제1지지판과 외함 본체 저면 사이에 개재되는 제1방진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제1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 내에서 상기 제1통공과 수평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상기 탄성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으로 형성된 제4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외함 본체 중량에 대응하여 상기 제4통공 내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수평방향으로 상기 탄성부의 형상 변화를 방지하고, 수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가진부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2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과 가진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2방진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통공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경도범위와, 상기 제1경도범위 외측으로 상기 제4통공 주변 내측까지 형성되는 제2경도범위와, 상기 제4통공에서 상기 탄성부의 외주면까지 제3경도범위가 형성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 상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사각 수나사에 대응하도록 사각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며, 상기 지지판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한 쌍이 각각 체결되어 상기 지지판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왕복 이송하여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접촉하는 제1사각너트와,
    상기 제1사각너트의 하측에 체결되어 상기 제1사각너트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제2사각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방진패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지지판과 고정부 사이에 마련되어 진동 또는 소음을 감소시키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20130167717A 2013-12-30 2013-12-30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48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17A KR101648161B1 (ko) 2013-12-30 2013-12-30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PCT/KR2014/004839 WO2015102171A1 (ko) 2013-12-30 2014-05-30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717A KR101648161B1 (ko) 2013-12-30 2013-12-30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07A KR20150078407A (ko) 2015-07-08
KR101648161B1 true KR101648161B1 (ko) 2016-08-12

Family

ID=53790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717A KR101648161B1 (ko) 2013-12-30 2013-12-30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527B1 (ko) * 2017-11-14 2020-08-03 (주)협동콘트롤 내진 성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마운트 구조
KR102109965B1 (ko) * 2019-11-08 2020-05-12 (주)이나인파워텍 수배전반 내진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758B2 (ja) 2000-11-14 2004-07-21 エヌイーシーアメニプランテクス株式会社 除振マウント
JP2010031953A (ja) 2008-07-28 2010-02-12 Herz Co Ltd 圧縮コイルばねによる制振・防振装置
KR101276252B1 (ko) 2013-04-02 2013-06-2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325640B1 (ko) 2013-08-29 2013-11-26 조영숙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48Y1 (ko) 2011-09-16 2011-12-28 주식회사 광무기전 수배전반용 방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3758B2 (ja) 2000-11-14 2004-07-21 エヌイーシーアメニプランテクス株式会社 除振マウント
JP2010031953A (ja) 2008-07-28 2010-02-12 Herz Co Ltd 圧縮コイルばねによる制振・防振装置
KR101276252B1 (ko) 2013-04-02 2013-06-2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325640B1 (ko) 2013-08-29 2013-11-26 조영숙 스마트 내진용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407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791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347745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794668B1 (ko) 방진장치
KR101276252B1 (ko) 수평 조절이 가능한 방진용 수배전반
KR101275864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이동형 이중 구조 수배전반
KR101812117B1 (ko) 전력기기함
KR101648164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14347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08689B1 (ko) 내진 구조체
KR102030958B1 (ko) 내진 기능을 가지는 전기 제어 함체
KR101196398B1 (ko) 내진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KR20150121405A (ko) 수변전 및 배전설비용 내진장치
KR101648160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427879B1 (ko) 방진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1607240B1 (ko)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1752842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590440B1 (ko) 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태양광 접속반, 모터 제어반의 스마트 내진센싱 장치
KR101640439B1 (ko) 상시 하중 보호기능을 갖는 면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배전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KR102112560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1578677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101648161B1 (ko) 수배전반용 방진유닛
KR20160128809A (ko) 방진구조를 가지는 벽 부착형 분전반
KR102077294B1 (ko) 전방향 진동의 감쇠 기능을 갖는 전력변환장치용 면진 장치
KR102112561B1 (ko) 내진 기능을 갖는 조립식 배전반(고·저압배전반, mcc, 분전반, ess)
KR20170000481A (ko)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