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88279A1 -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 Google Patents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88279A1
WO2014088279A1 PCT/KR2013/011082 KR2013011082W WO2014088279A1 WO 2014088279 A1 WO2014088279 A1 WO 2014088279A1 KR 2013011082 W KR2013011082 W KR 2013011082W WO 2014088279 A1 WO2014088279 A1 WO 20140882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ood composition
weight
parts
edib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10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차자현
백현호
홍준기
이성완
고원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화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화학(주) filed Critical 삼성정밀화학(주)
Priority to US14/442,87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50282509A1/en
Priority to JP2015545375A priority patent/JP2016502408A/ja
Priority to EP13860889.8A priority patent/EP2929787A4/en
Priority to CN201380063903.8A priority patent/CN104837367A/zh
Publication of WO20140882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882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23P10/35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with oils, lipids, monoglycerides or diglyce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Definitions

  • Food compositions and soft capsules comprising the same are disclosed. More specifically, a food composition excellent in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and a soft capsule containing the same are disclosed.
  • the dietary supplement market has been growing at an average annual rate of 6% over the past five year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rket is considered to have high potential because the demand for health functional foods is increasing with the economic growth of emerging countries.
  • the materials of these health functional foods contain many functional natural products in their natural state. However, most of these functional natural products are poorly water-soluble and have very low bioabsorptio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composition excellent in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ft capsule comprising the food composition.
  • compositions having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may include at least on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olyphenol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urcumin, silymarin, and resveratrol.
  • the edible surfactant may include polysorbates.
  • the edible cosurfactant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ol fatty acid esters, prop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 the edible oi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getable oils, refined fish oils and oils derived from seaweeds.
  •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500 parts by weight or less of the edible additive.
  • the edible additive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cithin, viscosity modifiers, fragrances, preservatives, pigments, glycerol, sorbitol and gelatin.
  •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has a high bioavailability when used in the field of soft capsules.
  • 1A to 1C are graphs showing the dissolution rate in water of the food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 Figure 2a to 2c is a graph showing the dissolution rate in the buffer of pH 1.2 of the food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 3A to 3C are graphs showing the dissolution rate in a buffer of pH 6.8 of the food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 4A to 4C are graphs showing PK experimental data for the food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2, 13, 20, and 21 together with PK experimental data for three commercial food compositions and blanks.
  • Food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00 parts by weight of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400 to 8,000 parts by weight of edible surfactant, 40 to 2,500 parts by weight of edible surfactant, and 40 to edible oil It contains 1,500 parts by weight and is water dispersible or water soluble.
  • edible means food acceptable
  • water dispersibility means the property that the food composition is present in the emulsion state in water
  • water soluble water solubility
  •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may have a health promoting function and / or a physiological function.
  •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may include a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olyphenol compound.
  •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olyphenol compound may include curcumin, silymarin, resveratrol,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urcumin may be derived from turmeric root extract
  • the silymarin may be derived from milk thistle (milk thistle) extract.
  • the silymarin may include silybin (silybin), isosilily (isosilybin), silycristine (silychristin) and sillydianin.
  • the edible surfactant plays a role of improving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the edible surfactant may include polysorbates.
  • the polysorbates may be polysorbate 20, polysorbate 40, polysorbate 60, polysorbate 80,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content of the edible surfactant is less than 4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is not sufficiently dissolved in the food composition, and when the content of the edible surfactant exceeds 8,000 parts by weight, It does not form an emulsion.
  • the edible cosurfactant serves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the edible cosurfactant may compris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erol fatty acid esters, propylene glycol and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 the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include glycerol dibehenate, glycerol monooleate, polyglycerol oleate, glycerol palmitostea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may include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ropylene glycol dicaprylocaprate, propylene glycol laurate,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edible cosurfactant may include Plurol Oleique ®, Capryol PGMC TM, propylene glycol, or a combination of both.
  • the food composition does not form a microemulsion in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or an emulsion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Particles are formed, which reduces absorption in the body and decreases bioavailability.
  • the content of the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be 40 to 1,50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60 to 1,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the content of th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 is 100 to 2,500 parts by weight, for example 120 to 2,0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It may be wealth.
  • the edible oil further serves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dispersibility or water solubility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the edible oil may be one having a physiological control activity.
  • the edible oi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egetable oils, refined fish oils and oils derived from seaweeds.
  • the edible oil may include olive oil, medium chain triglyceride oil (MCT oil), fish oil, Ahi flower oil, Algae oil, or a combination thereof.
  • MCT oil may be a refined oil and fat as a kind of edible oil and fat.
  • the food composition does not form a microemulsion in water or an aqueous solution.
  • the food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more than 0 parts by weight to 500 parts by weight or less of the edible additiv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the edible additive may include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cithin, viscosity modifiers, fragrances, preservatives, pigments, glycerol, sorbitol and gelatin.
  • the viscosity modifier may include a water-soluble polymer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and absorption of the solids.
  • the fragrance may include ethers, esters, ketones, fatty acids, phenols, aromatic alcohols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fragrance may include formic acid keranyl, formic acid citronelyl, formic acid isoamyl, cinnamic acid,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reservative may include dihydroacet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propionic acid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preservative may be a synthetic additive such as dibutylhydroxytoluene or butylhydroxyanisole; Natural additives such as D-tocopherol or degreasing rice extract;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pigment may be a natural pigment such as turmeric, saffron or green chlorophyll; Pigments as artificial pigments listed in food additives such as food coloring green No. 3, food coloring red No. 3 or food coloring yellow No. 5;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food composition is emulsified quickly in gastric juice condition (pH 1.2) and small intestine condition (pH 6.8) so that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is absorbed into the body in minutes. Therefore, the food composition may maximize the bioavailability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oft capsule comprising the food composition.
  • Such soft capsules may be prepared by methods well known in the art.
  • the soft capsule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food excipient in addition to the food composition.
  • the edible surfactant, the edible cosurfactant and the edible oil were mixed uniformly in the ratio as shown in Tables 1 to 3 below. Thereafter,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was added to the resultant in the same ratio as in the following Tables 1 to 3, and uniformly mixed, thereby sufficiently dissolving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to prepare a food composition. As a result, 18 kinds of food compositions were obtained. However, each numerical value shown in Tables 1-3 is content, and the unit is a weight part.
  • curcumin, silymarin and resveratrol are manufactured by NATUREX of France
  • polysorbate 80 is EMASOL O-120V of KAO Chemical of Japan
  • Plurol ® Oleique is a brand name of polyglyceryl-3 dioleate
  • Capryol TM PGMC is a trade name of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type I), a product of Gattefosse Co. of France, olive oil is a product of Borges extra virgin of Spain, and fish oil is an ethyl ester form of Korean NeoMega product.
  • Ahi flower oil is a vegetable oil and is a TCI product of the United States
  • algae oil is an algae extract oil of NeoMega of Korea.
  • the food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were prepared using nanometer or micrometer emulsions in water, gastric fluid buffer (pH 1.2) or small intestine buffer (pH 6.8). It was found to form. From this, when orally ingesting each of the food compositions, it can be easily expected that the bioavailability will be high absorption in the human body. For reference, the smaller the size of the formed emulsion is effective absorp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membrane and at the same time structurally stabilized state is higher bioavailability.
  • the food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was filled in a capsule of size 0, and then the dissolu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paddle method according to the USP 35 dissolution rule.
  • the dissolution test refers to a test for investigating the solubility of a physiologically regulating active substance (drug, etc.) injected into the dispersion medium after the formulation such as tablets or capsules is administered to the dispersion medium and then disintegrated in the dispersion medium.
  • the dissolution rate of 50% means that 50%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substances included in each food composition are solubilized to form an emulsion.
  • the dissolution test was carried out for 2 hours with a paddle speed of 50 rpm, using a dispersion medium 900 ml as the dissolution medium, the temperature was set to 37 ⁇ 0.5 °C.
  • a dispersion medium water (Figs. 1A to 1C), a buffer of pH 1.2 (Figs. 2A to 2C), or a buffer of pH 6.8 (Figs. 3A to 3C) were used.
  • the dispersion medium containing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solubilized in the dispersion medium was intermittently collected by an autosampler,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was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
  • the dissolution rate wa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according to the USP 35 dissolution rule. As a result, the obtained dissolution rate was shown to FIGS. 1A-1C, FIGS. 2A-2C, and FIGS. 3A-3C, respectively.
  • "blank” means a test result of the 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itself (that is, nothing added) used in the embodiments shown in each of the drawings.
  • the unit of the dissolution rate in FIGS. 1A-1C, 2A-2C, and 3A-3C is weight%.
  • the food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22 was found to have a very high dissolution rate and dissolution rate compared to the poorly water-soluble food composition itself (ie, blank).
  • the food compositions prepared in Examples 2, 13, 20, and 21 have a higher bioabsorption rate in rats (about 5 to 20 times) compared to commercial food compositions or poorly water-soluble food compositions themselves. Appea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이 개시된다. 개시된 식품 조성물은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 식용 계면활성제 400~8,000중량부, 식용 공계면활성제 40~2,500중량부, 및 식용 오일 40~1,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을 갖는다.

Description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이 우수한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이 개시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건강 지향적 소비자」의 증가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최근 5년간 연평균 6% 수준의 고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신흥 개발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높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에는 화학적 의약품과 달리 자연 상태의 기능성 천연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성 천연물들은 대부분 수난용성이며 체내흡수성이 매우 낮아 생체 이용률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이 우수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질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
식용 계면활성제 400~8,000중량부;
식용 공계면활성제 40~2,500중량부; 및
식용 오일 40~1,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은 커큐민(curcumin), 실리마린(silymarin)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난용성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오일은 식물성 오일, 정제 어유 및 해조류에서 유래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용 첨가제 50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첨가제는 레시틴, 점도 조절제, 방향제, 보존제, 색소, 글리세롤, 소르비톨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질 캡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이 우수하여, 연질 캡슐 분야에 이용될 경우 생체이용률이 높은 이점을 갖는다.
도 1a 내지 도 1c는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의 물에서의 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의 pH 1.2의 완충액에서의 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의 pH 6.8의 완충액에서의 용출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 2, 13, 20 및 21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에 대한 PK 실험 데이터를 3종의 상용 식품 조성물 및 blank에 대한 PK 실험 데이터와 함께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수난용성 천연물(poorly water-soluble natural product) 100중량부, 식용 계면활성제 400~8,000중량부, 식용 공계면활성제 40~2,500중량부, 및 식용 오일 40~1,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식용(edible)」이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수분산성(water dispersibility)」이란 상기 식품 조성물이 수중에서 에멀젼 상태로 존재하는 성질을 의미하고, 「수용해성(water solubility)」이란 상기 식품 조성물이 수중에서 용액 상태로 존재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은 건강 증진 기능 및/또는 생리조절활성기능(physiological function) 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은 수난용성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난용성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은 커큐민(curcumin), 실리마린(silymarin),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큐민은 강황뿌리 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고, 상기 실리마린은 밀크씨슬(milk thistle) 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마린은 실리빈(silybin), 이소실리빈(isosilybin), 실리크리스틴(silychristin) 및 실리디아닌(silydiani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류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80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00중량부 미만이면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이 상기 식품 조성물내에서 충분히 용해되지 않고, 8,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상기 식품 조성물이 물 또는 수용액 중에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는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는 글리세롤 디베헤네이트, 글리세롤 모노올리에이트, 폴리글리세롤 올리에이트, 글리세롤 팔미토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는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로카프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라우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는 Plurol®Oleique, Capryol™ PGMC,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40~2,500중량부)를 벗어나면, 상기 식품 조성물이 물 또는 수용액 중에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지 않거나, 입자크기가 큰 에멀젼 입자를 형성하게 되어 체내에서 흡수율이 감소하고 생체이용율이 저하된다.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로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함량은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40~1,500중량부, 예를 들어, 60~1,000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로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의 함량은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00~2,500중량부, 예를 들어, 120~2,0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식용 오일은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수분산성 또는 수용해성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식용 오일은 생리조절활성기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용 오일은 식물성 오일, 정제 어유 및 해조류에서 유래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용 오일은 올리브 오일, MCT oil(medium chain triglyceride oil), fish oil, Ahi flower oil, Algae oil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T oil은 식용유지의 일종으로서 정제가공 유지일 수 있다.
상기 식용 오일의 함량이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범위(40~1,500중량부)를 벗어나면, 상기 식품 조성물이 물 또는 수용액 중에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식용 첨가제 0중량부 초과 내지 50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용 첨가제는 레시틴, 점도 조절제, 방향제, 보존제, 색소, 글리세롤, 소르비톨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고형물의 분산성 및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는 에테르류, 에스테르류, 케톤류, 지방산류, 페놀류, 방향족 알코올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제는 개미산 케라닐, 개미산 시트로넬릴, 개미산 이소아밀, 계피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는 디히드로초산류, 소르빈산류, 안식향산류, 프로피온산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존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합성 첨가물; D-토코페롤 또는 탈지미강추출물과 같은 천연 첨가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심황, 사프란 또는 녹색의 엽록소와 같은 천연색소; 식용색소 녹색 제3호, 식용색소 적색 제3호 또는 식용색소 황색 제5호와 같은 식품 첨가물에 등재되어 있는 인공색소로서 색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위액 조건(pH 1.2) 및 소장액 조건(pH 6.8)에서 빠른 시간내에 에멀젼화되어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 중의 활성 성분이 수분내에 체내로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생체이용률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질 캡슐을 제공한다. 상기 연질 캡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연질 캡슐은 상기 식품 조성물 외에 통상의 식품용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22: 식품 조성물의 제조
먼저, 식용 계면활성제, 식용 공계면활성제 및 식용 오일을 하기 표 1~3과 같은 비율로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상기 결과물에 수난용성 천연물을 하기 표 1~3과 같은 비율로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을 충분히 용해시켜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결과로서, 18종의 식품 조성물을 얻었다. 단, 표 1~3에 기재된 각 수치는 함량이며, 그 단위는 중량부이다. 하기 표 1~3에서, 커큐민, 실리마린 및 레스베라트롤은 프랑스의 NATUREX사 제품이고, 폴리소르베이트 80은 일본 KAO Chemical의 EMASOL O-120V이며, Plurol®Oleique는 polyglyceryl-3 dioleate의 상품명으로서 프랑스의 Gattefosse Co.의 제품이며, Capryol™ PGMC는 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typeI)의 상품명으로서 프랑스의 Gattefosse Co.의 제품이며, 올리브오일은 스페인의 Borges extra virgin의 제품이며, Fish oil은 Ethyl ester 형태로서 한국의 NeoMega 제품이며, Ahi flower oil은 식물성 오일로서 미국 TCI 제품이며, Algae oil은 해조류 추출 오일로서 한국의 NeoMega의 제품이다.
표 1
구분 구성 성분 실시예
1 2 3 4 13 14 19
수난용성 천연물 커큐민 4.8 4.8 4.8 4.8 4.8 4.8 7.3
식용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 76.2 76.2 66.7 66.7 76.2 76.2 45.8
식용 공계면활성제 Plurol®Oleique 9.5 9.5 0 0 9.5 9.5 9.2
Capryol™ PGMC 0 0 19.0 19.0 0 0 9.2
프로필렌글리콜 0 0 0 0 0 0 0.9
식용 오일 올리브오일 9.5 0 9.5 0 0 0 0
Fish oil 0 9.5 0 9.5 0 0 0
MCT oil 0 0 0 0 0 0 27.5
Ahi flower oil 0 0 0 0 9.5 0 0
Algae oil 0 0 0 0 0 9.5 0
표 2
구분 구성 성분 실시예
5 6 7 8 15 16 20 21
수난용성 천연물 실리마린 11.6 11.6 9.1 9.1 11.6 11.6 10.7 10.6
식용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 70.8 70.8 63.6 63.6 70.8 70.8 40.2 44.2
식용 공계면활성제 Plurol®Oleique, 8.8 8.8 0 0 8.8 8.8 46.9 8.8
Capryol™ PGMC 0 0 18.2 18.2 0 0 0 8.8
프로필렌글리콜 0 0 0 0 0 0 0 0.9
식용 오일 올리브오일 8.8 0 9.1 0 0 0 2.2 0
Fish oil 0 8.8 0 9.1 0 0 0 0
MCT oil 0 0 0 0 0 0 0 26.5
Ahi flower oil 0 0 0 0 8.8 0 0 0
Algae oil 0 0 0 0 0 8.8 0 0
표 3
구분 구성 성분 실시예
9 10 11 12 17 18 22
수난용성 천연물 레스베라트롤 7.4 7.4 7.4 7.4 7.4 7.4 5.6
식용 계면활성제 폴리소르베이트 80 64.8 64.8 74.0 74.0 74.0 74.0 46.6
식용 공계면활성제 Plurol®Oleique, 0 0 9.3 9.3 9.3 9.3 9.3
Capryol™ PGMC 18.5 18.5 0 0 0 0 9.3
프로필렌글리콜 0 0 0 0 0 0 0.9
식용 오일 올리브오일 9.3 0 9.3 0 0 0 0
Fish oil 0 9.3 0 9.3 0 0 0
MCT oil 0 0 0 0 0 0 28
Ahi flower oil 0 0 0 0 9.3 0 0
Algae oil 0 0 0 0 0 9.3 0
평가예
평가예 1: 에멀젼의 입자크기 평가
상기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 1g을 분산매 200mL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에멀젼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형성된 에멀젼을 물로 1,000배 희석하여 희석액을 얻었다. 이어서, Zetasizer Nano ZS(Malvern Instrument, U.K.)를 사용하여 상기 희석액 중의 에멀젼의 입자크기(즉, 수난용성 천연물의 입자크기)를 측정하였다. 동일 희석액 시료에 대하여 3회 반복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하기 표 4~6에 나타내었다. 단, 하기 표 4~6에 기재된 수치는 에멀젼의 입자크기이며, 그 단위는 nm이다. 여기서, pH 1.2의 완충액은 염산 수용액이고, pH 6.8의 완충액은 인산 수용액이다.
표 4
실시예
수난용성천연물 분산매 1 2 3 4 13 14 19
커큐민 7.0±0.2 20.2±1.0 26.5±8.4 8.3±0.1 8.4±0.9 7.7±0.1 34.3±0.9
pH 1.2 완충액 8.0±0.3 22.8±1.1 27.1±0.3 8.4±0.4 8.9±0.3 7.9±0.3 41.2±0.2
pH 6.8 완충액 8.2±0.1 19.8±1.0 25.0±0.9 8.6±0.3 9.1±0.2 8.3±0.3 31.0±0.8
표 5
실시예
수난용성천연물 분산매 5 6 7 8 15 16 20 21
실리마린 69.2±1.0 98.9±25.9 21.2±8.1 8.1±0.5 8.3±0.1 9.1±1.7 188.1±12.3 97.3±2.0
pH 1.2 완충액 100.3±3.3 140.8±1.0 34.7±0.9 8.4±0.3 9.1±0.2 8.4±0.3 218.3±53.4 102.4±4.9
pH 6.8 완충액 98.7±0.7 129.2±0.7 29.3±0.8 8.2±0.1 8.6±0.2 8.6±0.2 303.7±73.3 109.9±20.4
표 6
실시예
수난용성천연물 분산매 9 10 11 12 17 18 22
레스베라트롤 8.0±0.0 69.7±2.5 87.6±4.0 7.3±0.1 9.2±0.6 10.0±0.7 20.9±0.9
pH 1.2 완충액 8.9±0.0 83.0±2.5 107.6±2.9 7.8±0.3 10.1±0.2 9.0±0.3 24.3±0.8
pH 6.8 완충액 9.1±0.1 78.9±3.0 101.6±3.7 8.6±0.4 10.0±0.5 10.5±0.8 37.8±0.1
상기 표 4~6을 참조하면,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은 물, 위액 조건의 완충액(pH 1.2) 또는 소장액 조건의 완충액(pH 6.8)에서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부터, 상기 각 식품 조성물을 경구 섭취할 경우, 인체에서 흡수가 잘 되어 생체이용률이 높을 것임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참고로, 형성된 에멀젼의 크기가 작을수록 위장관막에서의 효과적인 흡수가 이루어지며 동시에 구조적으로 안정화된 상태가 되어 생체이용률이 높아진다.
평가예 2: 용출속도 및 용출률 평가
상기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을 사이즈 0호의 캡슐에 충진시킨 다음, USP 35 용출 규정에 따라 패들법을 사용하여 용출시험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용출시험이란 정제 또는 캡슐과 같은 제형을 분산매에 투여한 후, 상기 제형이 분산매에 붕해된 후 상기 분산매에 투입된 생리조절활성기능물질(약물 등)의 가용화도를 조사하는 시험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용출률이 50%라는 것은 상기 각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수난용성 천연물의 50%가 가용화되어 에멀젼을 형성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용출 시험은 패들 속도를 50rpm으로 하고, 용출 매질로서 분산매 900ml를 사용하고, 온도를 37±0.5℃로 설정하여, 2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상기 분산매로는 물(도 1a~1c), pH 1.2의 완충액(도 2a~2c) 또는 pH 6.8의 완충액(도 3a~3c)을 사용하였다. 상기 각 제형이 붕해된 후, 상기 분산매에 가용화된 수난용성 천연물을 함유하는 분산매를 Autosampler로 간헐적으로 채취하여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농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이후, USP 35 용출 규정에 따라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의 농도로부터 용출률을 계산하였다. 결과로서, 얻어진 용출률을 도 1a~1c, 도 2a~2c 및 도 3a~3c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각 도면에서 「blank」는 상기 각 도면에 표시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수난용성 천연물 자체(즉,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것)의 시험 결과를 의미한다. 도 1a~1c, 도 2a~2c 및 도 3a~3c에서 용출률의 단위는 중량%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실시예 1~22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은 수난용성 식품 조성물 자체(즉, blank)에 비해 용출속도 및 용출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예 3: PK 시험(Pharmacokinetic test)
상기 실시예 2, 13, 20 및 21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 및 상용 식품 조성물을 스프라그-다우리계 웅성 랫트(rat)에 경구 투여한 후, 상기 각 식품 조성물 및 상용 식품 조성물의 스프라그-다우리계 웅성 랫트에서의 생체흡수율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9 및 도 4a~c에 나타내었다. 1종의 식품 조성물 당 6마리의 랫트를 사용하였으며, 적어도 커큐민이 사용된 시험의 경우는 4시간 동안, 적어도 실리마린이 사용된 시험의 경우는 12시간 동안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중 커큐민 또는 실리빈의 함량은 LC-M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여기서, 실리마린의 총 함량 대신에, 측정이 용이한 실리빈의 함량만을 측정하여 실리마린 전체의 생체흡수율을 간접적으로 평가하였다. 여기서, 「blank」는 하기 표 7~9 및 도 4a~c에 나타낸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커규민 또는 실리마린(즉, 실리빈) 자체(즉, 아무것도 첨가되지 않은 것)를 의미한다.
표 7
혈액 중 커큐민의 함량 (ng/ml)
0시간 0.5시간 0.75시간 1시간 1.5시간 2시간 2.5시간 3시간 4시간
실시예 2 106.5 136.8 69.5 81.1 70.5 73.4 74.4 75.9 68.6
실시예 13 52.5 57.7 51.9 55.0 74.7 54.4 53.5 54.6 49.0
Meriva* 28.2 28.6 22.8 21.9 18.2 16.4 15.4 15.7 16.0
Blank 1.7 6.0 2.0 2.9 3.0 3.3 3.3 3.7 3.1
* Meriva: Indena S.P.A 社(Italy) 제품(커큐민에 phytosome 기술을 적용한 제품)
표 8
혈액 중 실리빈의 함량 (ng/ml)
0시간 0.25시간 0.5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실시예 20 0.0 1969.3 918.7 753.2 659.5 185.1 242.0 22.9 19.9 12.4
레가론 캡슐** 0.0 37.2 103.2 114.6 56.5 27.7 21.0 8.0 8.0 4.5
Blank 0.0 56.0 59.1 33.5 31.6 21.4 13.5 5.7 4.3 0.8
** 레가론 캡슐: 부광약품의 레가론 캡슐 140
표 9
혈액 중 실리빈의 함량 (ng/ml)
0시간 0.25시간 0.5시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실시예 21 0.0 673.1 633.2 412.0 579.6 294.4 126.9 10.7 9.6 5.1
닥터슈퍼칸*** 0.0 72.8 63.9 34.9 16.1 12.4 11.8 0.0 1.0 0.0
Blank 0.0 28.9 43.5 40.8 32.8 19.4 8.6 1.6 0.9 0.0
*** 닥터 슈퍼칸: 코스맥스바이오社 제품.
상기 표 7~9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 2, 13, 20 및 21에서 제조된 식품 조성물은 상용 식품 조성물이나 수난용성 식품 조성물 자체에 비해 랫트에서의 생체흡수율이 높은(약 5~20배)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수난용성 천연물 100중량부;
    식용 계면활성제 400~8,000중량부;
    식용 공계면활성제 40~2,500중량부; 및
    식용 오일 40~1,500중량부를 포함하고,
    수분산성 또는 수용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난용성 천연물은 커큐민(curcumin), 실리마린(silymarin) 및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난용성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계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류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공계면활성제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오일은 식물성 오일, 정제 어유 및 해조류에서 유래된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식용 첨가제 500중량부 이하를 더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용 첨가제는 레시틴, 점도 조절제, 방향제, 보존제, 색소, 글리세롤, 소르비톨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연질 캡슐.
PCT/KR2013/011082 2012-12-04 2013-12-03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WO20140882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42,875 US20150282509A1 (en) 2012-12-04 2013-12-03 Food composition and soft capsule comprising same
JP2015545375A JP2016502408A (ja) 2012-12-04 2013-12-03 食品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軟質カプセル
EP13860889.8A EP2929787A4 (en) 2012-12-04 2013-12-03 FOOD COMPOSITION AND MOLLE CAPSULE CONTAINING THE SAME
CN201380063903.8A CN104837367A (zh) 2012-12-04 2013-12-03 食品组合物及包括该食品组合物的软胶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846 2012-12-04
KR20120139846 2012-12-04
KR10-2013-0147996 2013-11-29
KR1020130147996A KR20140071913A (ko) 2012-12-04 2013-11-29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8279A1 true WO2014088279A1 (ko) 2014-06-12

Family

ID=51126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1082 WO2014088279A1 (ko) 2012-12-04 2013-12-03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82509A1 (ko)
EP (1) EP2929787A4 (ko)
JP (1) JP2016502408A (ko)
KR (1) KR20140071913A (ko)
CN (1) CN104837367A (ko)
TW (1) TW201438598A (ko)
WO (1) WO20140882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7187A (zh) * 2014-06-17 2016-01-27 优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治疗脂肪肝的医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3468607T3 (da) * 2016-06-14 2021-01-11 Aquanova Ag Resveratrolsolubilisat
US20210195908A9 (en) * 2018-11-30 2021-07-01 Virun, Inc. Creamy edible emulsions
KR102394648B1 (ko) * 2019-03-25 2022-05-09 (주)아모레퍼시픽 실리마린의 생체이용률 향상용 첨가제 조성물
CN111329063A (zh) * 2020-03-26 2020-06-26 江南大学 一种制备鱼油和白藜芦醇共包埋微胶囊粉末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804A (ko) * 1999-07-05 2001-02-05 민경윤 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함유하는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0386533B1 (ko) * 1993-07-08 2003-08-21 노바티스 아게 난용성활성제용약학적조성물
KR100588771B1 (ko) * 2004-01-15 2006-06-1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리마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 캅셀
KR20090131585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KR20110096132A (ko) * 2008-11-26 2011-08-29 리포프로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레스베라트롤의 향상된 생활성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3257B1 (en) * 1987-03-20 1993-01-13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Edible composition
US20060051462A1 (en) * 2004-09-03 2006-03-09 Wang Jimmy X Self emulsifying compositions for delivering lipophilic coenzyme Q10 and other dietary ingredients
MX2007011031A (es) * 2005-03-08 2008-04-21 Reliant Pharmaceuticals Inc Tratamiento con estatina y acidos grasos omega-3 y un producto de combinacion de los mismos.
US20120088829A1 (en) * 2010-09-29 2012-04-12 MyCell Holdings Limited Formulations of Ubiquinol and Resveratrol Est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533B1 (ko) * 1993-07-08 2003-08-21 노바티스 아게 난용성활성제용약학적조성물
KR20010008804A (ko) * 1999-07-05 2001-02-05 민경윤 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함유하는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0588771B1 (ko) * 2004-01-15 2006-06-14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주식회사 실리마린 함유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연질 캅셀
KR20090131585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KR20110096132A (ko) * 2008-11-26 2011-08-29 리포프로틴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레스베라트롤의 향상된 생활성 제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7187A (zh) * 2014-06-17 2016-01-27 优普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治疗脂肪肝的医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29787A1 (en) 2015-10-14
KR20140071913A (ko) 2014-06-12
EP2929787A4 (en) 2016-06-15
JP2016502408A (ja) 2016-01-28
CN104837367A (zh) 2015-08-12
TW201438598A (zh) 2014-10-16
US20150282509A1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88279A1 (ko) 식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연질 캡슐
CN110035774A (zh) 大麻素的可稀释制剂及其制备方法
KR20170102932A (ko) 복합 보충제 조성물
AU2014235733B2 (en) Racecadotril lipid compositions
CN101022786A (zh) 用自乳化制剂释放亲脂性辅酶Q10(CoQ10)及其他膳食组分
KR20200040756A (ko) 안정한 카나비노이드 조성물
EP2866789B1 (en) Racecadotril lipid compositions
CN100528155C (zh) 一种盐酸黄连素纳米乳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631405A (zh) 一种复方芹菜素纳米乳抗高血压药物
CN101496808A (zh) 一种用于视力保健的复方叶黄素微囊及其制备方法
CN105963254B (zh) 一种辅酶q10药物组合物及其制备工艺
WO2020146478A1 (en) Cannabinoid formulations for treating alcohol hangover
EP3265177B1 (en) Formulations of hydrophilic compounds
CN109464552A (zh) 复方白藜芦醇纳米脂质载体及其制备方法以及应用
CN111567805A (zh) 一种水溶性雨生红球藻虾青素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2019518047A (ja) 医薬目的のレスベラトロール可溶化製品
WO2015102188A1 (ko) 기능성 음료
JP2017014125A (ja) ソフトカプセル用アントシアニン含有組成物及びソフトカプセル剤
US20240108727A1 (en) Eutectic matrix for nutraceutical compositions
CN1615846A (zh) 含有岩白菜素的软胶囊剂及其制备方法
CN103830322B (zh) 一种含丹参提取物的软胶囊及其制备方法
JP2024060517A (ja) 油性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カプセル製剤
JP2024060510A (ja) 油性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カプセル製剤
CN113318036A (zh) 艾纳植物提取水的新应用
ITFI20090244A1 (it) Nano-sistemi lipidici liquidi per veicolare principi attivi e nutraceutici in mangimi ad uso zootecn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0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4287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60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8608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4537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