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07469A1 - 턴핀 응축기 - Google Patents

턴핀 응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07469A1
WO2014007469A1 PCT/KR2013/004617 KR2013004617W WO2014007469A1 WO 2014007469 A1 WO2014007469 A1 WO 2014007469A1 KR 2013004617 W KR2013004617 W KR 2013004617W WO 2014007469 A1 WO2014007469 A1 WO 201400746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pipe
turn pin
turn
fasten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46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진욱
Original Assignee
(주)하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 filed Critical (주)하나
Publication of WO201400746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0746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6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heat exchang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3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 F28F1/3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obliquely the means being helically wound fins or wire spir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rn pin condenser, and a refrigerant pipe is directly fixed by a bracket and an end of the turn pin relates to a turn pin condenser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by a fastening tube.
  • a condenser is mainly used in an air conditioner such as a refrigerator or a freezer, and is used for heat exchange between a refrigerant and air.
  • the turn pin is wound around the tube (refrigerant tube)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and the condenser that spirally turns the turn pin around the tube (refrigerator tube) is called a turn pin condenser.
  • Korean Utility Model Model 20-0403755 discloses a horizontal fixing member for side-by-side fixing of a plurality of turn-pin refrigerant pipes wound around such spiral refrigerant pipes.
  • the conventional horizontal fixing member has a semicircular groove shape and is press-fitted by a press-fit device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turn pin condenser. That is, the semi-circular fasten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rizontal fixing member surrounds the turn pin.
  • a turn pin is wound spir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refrigerant tube), and the turn pin is welded or brazed to fix the turn pin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refrigerator tub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turn-pin condenser having a bracket for fixing a refrigerant pipe by a pair of fastening end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pip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rn pin condenser for coupling an end portion of the turn pin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by a fastening tube.
  • the turn-pin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rigerant flows inside, the refrigerant pipe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A turn pin wound spirally around the refrigerant pipe; An alignment bracket to which the refrigerant pipe is directly inserted and fixed, for aligning the refrigerant pipe wound at a plurality of tim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base frame supporting the refrigerant pipe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times.
  • a fastening bracket which is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is further provided;
  • the fastening bracket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base frame by a connection frame.
  • the end of the turn pin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pip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tube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turn pi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pipe.
  • the fastening bracket may include a bottom plate forming a lower surface, a side plate extending vertically bent upwards and downward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and vertically bent upwardly extending from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plate and fitted into the refrigerant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tting.
  • the turn pin is formed in the inner portion is fixed to the inner e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refrigerant pipe, the wrinkle por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rinkles; It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eat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at plate made of unfolded wrinkles, the thickness is gradually thinner away from the pleated portion.
  • the outer diameter of the corrugation portion is configured to be twice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 the ratio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turn pin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pipe is 1: 3 to 1: 4;
  • a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olant pipe and the turn pin wound around the coolant pipe is 1: 0.9 to 1: 1.
  • a base forming an appearance;
  • a side plate which extends vertic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base, and has a side plate through which side fastening holes for coupling with other parts are formed;
  • a vertical bending (bending)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is formed exten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upling plate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to be inserted and fixed.
  • a pair of fastening ends for wrapping and fix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from left and right are formed in pairs, and the pair of fastening end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has a size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refrigerant pipe is formed;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groov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groove is formed to be recessed to the lower side so that the pair of fastening ends easily bend inward to each other.
  • the turn pin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in a spiral direction and a heat dissipation portion bent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integrally formed;
  •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configured to become thinner and thinner as it moves away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 the thickness T0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the width L1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the outer diameter P0 of the coolant tube: the outer diameter size TP of the turn pin wound around the coolant tube is 1: 10: 20: 60; An angle ⁇ formed between the heat radiating part of the turn pin and the coolant pipe is formed to form 60 to 70 degrees.
  • the turnpin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a pair of fastening ends provided in the alignment bracket is configured to directly fix the refrigerant pipe. That is, the pair of fastening ends are fix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pipe from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refrigerant pipes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maintain exactly equal intervals with each o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w is prevented by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 the refrigerant pipes are forcibly fitted between the fastening ends of the alignment brackets, or the pair of fastening ends are bent inward to each other in the stat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so that the external separation of the coolant pipes is prevented. Completely prevented. 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astening member for fixing the refrigerant pipe, so that waste of material is prevented and work efficiency is improved.
  • a fastening tube is further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rn pin wound spirally on the coolant tube, so that the turn pin is fixed to the coolant tube. Therefore, the welding or brazing process is unnecessary as in the related art, and thu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oblem that the refrigerant tube is broken or the refrigerant leaks is prevent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urnpin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rn pin of the corrugated pin type (type) used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A;
  •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turn pin of the corrugated pin type (type)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material cut by the cutting step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turn pin of the corrugated pin type (type)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urn pin of the wrinkle forming step is complet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where the turn pin of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nfolding step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case of using a turn pin of the corrugated pin type (type)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rimping step is perform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turn pin of the corrugated fin type (type) is used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 of the turn pin L (L) pin type (type)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a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urn pin tube when the turn pin of the L (L) pin type (type) is used in the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B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cutting step to a crimping step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urn pin tube when an L (L) fin type turn pin is used in a turn 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c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terial is deformed by the pressing step of the turnpin tube manufacturing method when the turn pin of the L (L) pin type (type) is used in the turnpin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bra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7A; FIG.
  • Figure 7c is a state of use of the alignment bra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astening bracke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astening tub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 FIG.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turnpin cond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denser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urn pin tube 110 is wound several times.
  • the turn pin tube 110 includes a coolant tube 112 through which a coolant flows, and a turn pin 114 spirally wound around the coolant tube 112.
  • the refrigerant pipe 112 is formed of a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flows, and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so that the condenser has a predetermined volume as shown.
  • a plurality of alignment brackets 200 are provided to align the refrigerant pipes 112 wound at a plurality of times at regular intervals, and a base frame 120 is provided at a lower end thereof to support the refrigerant pipes 112 wound at a plurality of times. Done.
  • the alignment bracket 200 directly fixes the refrigerant pipe 112. That is, the coolant pipe 112 is directly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alignment bracket 20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will be described below.
  • the fastening tube 30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turn pin 114 is wound on the refrigerant pipe (112). That is,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tube 11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turn pin 114 so that the fastening tube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olant tube 112.
  • the fastening tube 300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that the end of the turn pin 114 is tightly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fastening tube 300 is made of a polyolefin that is shrunk by heat.
  • both ends of the base frame 1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frame 130, so that the upper turn pin tube 110 is fixed.
  • the fastening bracket 150 is fitted to the refrigerant pipe 112 is further provided.
  • the fastening bracket 15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20 by the connection frame 130 and is fixed.
  • connection frame 130, the fastening bracket 150 is fixed to the base frame 120, so that the turn pin tube 110 wound a plurality of times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rame 120. .
  • connection frame 130 is fastened to the base frame 120 and the fastening bracket 150, respectively.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130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120,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frame 130 is coupled to the side end of the fastening bracket 150 by the fastening bolt 140.
  • the turn pin 114 may be divided into a pleat pin and an L (L) pin, etc., depending on the shape thereof, and examples of the turn pin tube 110 in which the pleat pin is used as the turn pin 114 are illustrated in FIGS. 2A through 4D. Each manufacturing method is shown.
  • FIG. 2A a front end surface of the turn pin tube 110 is partially illustrated, and in FIG. 2B, a cross section (left section) of the 'A-A' part of FIG. 2A is illustrated.
  • the refrigerant pipe 112 is made of a thin cylinder made of a metal material, more preferably iron (Fe) material.
  • the turn pin 114 is a heat dissipation fin for dissipating heat and, as shown in the drawing, is spirally woun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ant pipe 112 has a form in which a part is in contact.
  • the turn pin 114 is also made of a metal material like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more preferably made of iron (Fe) or aluminum (Al) that is easy to transfer heat.
  • the turn pin 114 is composed of a pleated portion 114a formed on a relatively inner side, a flat portion 114b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pleated portion 114a, and the like.
  • the wrinkle portion 114a is a portion where a plurality of wrinkles are provided as shown, and the flat portion 114b is a portion formed of a flat plate spreading the wrinkles. That is, the flat plate portion 114b, as the wrinkle portion 114a is first formed in the wrinkles and then unfolded, so that the turn pin 114 has a shape wound in a spiral.
  • the inner end of the wrinkle portion 114a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is fixed. That is, as shown, the inner end of the corrugated portion (114a) is tight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plate portion 114b is formed to become thinner and thinner as it moves away from the wrinkle portion 114a. In other words, as the plate portion 114b moves away from the center portion (in FIG. 2B), its thickness becomes thinner. This is to allow the turn pin 114 to be smoothly wou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to improv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 the outer diameter of the wrinkle portion 114a is configured to be twice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More specifically, the outer diameter P0 of the coolant tube 112 has a size of ⁇ 5 mm, and the outer diameter size T0 of the wrinkle part 114a has a size of 10 mm.
  • the ratio of the outer diameter P0 of the coolant tube 112 and the outer diameter size TP of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tube 112 is 1: 3 to 1: 4.
  • the outer diameter size TP of the turn pin 114 may be about ⁇ 17 mm.
  • the ratio of the distance L between the outer diameter P0 of the coolant tube 112 and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tube 112 is 1: 0.9 to 1: 1.
  • the distance L between the turn pins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pipe 112 is preferably about 4.7 mm. .
  •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is deriv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considering the heat ra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the size of the turn pin 114. That is, it is a value consider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turn pin 114 to bring the maximum heat ra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outer diameter size TP of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pipe 112 is TP.
  • the turn pin 114 is helically attached to the coolant pipe 112 and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ant pipe 112. That is, the turn pin 114 is no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 112, but is inclined as shown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 An angle ⁇ formed between the turn pin 114 and the coolant pipe 112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out 60 to 70 degrees, specifically 66.5 degrees.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urn pin tube 110 using the turn pin 114 of the corrugated pin type shown in FIGS. 2A and 2B.
  • the cutting step (S10) is a process of cutting the raw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material cut by the cutting step (S10)
  • Figure 4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urn pin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rinkle forming step (S20) is completed.
  • 4C and 4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expanding step S30 and the pressing step S50 are performed, respectively.
  • the wrinkle forming step (S20) is a process of making the material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4a to wrinkle as shown in Figure 4b. Therefore, after the wrinkle forming step (S20) is performed, as shown in Figure 4b the material is bent (folded) a number of times (folding).
  • the unfolding step (S30) as shown in FIG. 4B, a portion of the turn pin 114 having a corrugated shape is unfolded.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a flat plate by unfolding the wrinkles of the 1/2 part (upper half in Figure 4c). Therefore, after the unfolding step (S30) proceeds, as shown in Figure 4c, the lower half forms a wrinkled portion (114a), the upper half forms a flat portion (114b).
  • the unfolded flat portion 114b has a relatively longer length than the fold portion 114a, and thus the turn pin 114 is wound in a circular shape. . Therefore, the turn pin 114 naturally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both sides of the flat part 114b in which the wrinkles are unfolded by the expanding step S30 are compressed as shown in FIG. 4D, and the thickness of the flat part 114b is upward (in FIG. 4D). It is a process that gradually becomes thinner.
  • the close step S50 is a process of spirally winding the turn pin 114 to the outside of the coolant pipe 112. Therefore, such an adhesion step (S50), it is preferable that the same as the expanding step (S30) and the pressing step (S40).
  •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urn pin 114 (up and down in FIG. 4C) is naturally different from the turn pin 114. Is spontaneously wound into a fan shape.
  • the turn pin 114 is a refrigerant pipe 112 in a spiral direction. It will be wound in a twisted form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 the refrigerant pipe bending step is performed.
  • a linear refrigerant pipe 112 wound around the turn pin 114 is positioned between a plurality of cylinders, and then the cylinder is advanced to allow the refrigerant pipe 112 to be bent in a zigzag manner.
  • FIGS. 5 to 6C illustrate examples of the turn pin tube 110 in which the turn pin 114 of the L (L) pin type is use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FIG. 5 an example of a turn pin tube 110 using an L pin type type turn pin 114 is illustrated in cross-sectional view.
  • the turn pin tube 110 is composed of a coolant tube 112 through which the coolant flows, and a turn fin 114 wound spirally around the coolant tube 112.
  • the turn pin 114 may include a close contact portion 114c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ant pipe 112 in a helical direction, and a heat radiating portion 114d that is bent from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and integrally formed. It is composed.
  •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is a portion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114d is bent and extended from one end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and positioned in the air.
  • the heat transmitted from the refrigerant pipe 112 through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serves to discharge to the air.
  • the heat dissipation portion 114d is configured to become thinner and thinner away from the contact portion 114c.
  • the thickness T0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the width L1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the outer diameter P0 of the refrigerant pipe 112: the outer diameter of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size TP is configured to be 1: 10: 20: 60.
  • each part as described above is deriv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considering the heat ra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the size of the turn pin 114. That is, it is a value consider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turn pin 114 to bring the maximum heat ra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outer diameter size TP of the turn pin 114 wound around the coolant pipe 112 is 14.0. It is configured to be 16.5 mm. This value is such that the turn pin 114 has the maximum refrigerant efficiency without interfering with each other when the refrigerant pipe 112 is bent in a zigzag shape.
  • the thickness of the turn pin 114 is 0.25 ⁇ 0.4mm
  • the width (L1)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in close contact with the refrigerant pipe 112 is configured to be 2.5mm.
  • the turn pin 114 is helically attached to the coolant pipe 112, and the heat radiating part 114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s shown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olant pipe 112. . That is, the heat radiating part 114d of the turn pin 114 is not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oolant pipe 112 but is inclined as shown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 the angle ⁇ formed between the heat radiating part 114d of the turn fin 114 and the refrigerant pipe 112 is preferably formed to be about 60 to 70 degrees, and specifically, to be 66.5 degrees.
  • FIG. 6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urn pin tube 110 using the turn pin 114 of the L pin type shown in FIG. 5.
  • the manufacture of the turn pin tube 110 using the L (L) pin type (turn) of the pin type (type), for the turn pin 114 by cutting a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to a certain size width
  • Step S70, the pressing step (S80) of closely contacting the end of the heat dissipating unit (114d) formed by the bending step (S70) on both sides, and the contact portion 114c formed by the bending step (S70) is a refrigerant It consists of a close step (S90) and the like wound so as to close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112).
  • the cutting step (S60) is a process of cutting the raw material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That is, as shown in (a) of FIG. 6B, the material having a thickness T of 2.5 mm is cut to have a width L0 of about 8 to 9 mm.
  • the bending step S70 is a process of bending and bending a part of the material cut to a predetermined width. That is, as shown in (b) of FIG. 6B, the flat material is bent to be divided into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114d and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and the length of the close contact portion L1 is 2.5 mm, The length L2 of the heat radiating part 114d is about 5.5 to 6.5 mm.
  • the thickness of the heat dissipating portion 114d is reduced and the area (left and right width) of the end portion is increased.
  • the state at the time of crimping the edge part (upper half) of the said heat radiating part 114d is shown to (a) and (b) of FIG. 6C. That is, as shown in FIG. 6C, when the upper half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eat dissipating part 114d are pressed together, the thickness of the heat dissipating part 114d becomes thin and the width of the left and right is wide. Therefore, whil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ower end portion remain intac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half portion increase, so that the heat radiating portion 114d has a fan shape.
  • the turn pin 114 is twisted in a spiral direction.
  • the pressing step (S80) and the close step (S90) is made at the same time.
  • the close step (S90) is a process of spirally contacting the turn pin 114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frigerant pipe 112.
  • both ends of the coolant pipe 112 are fixed to the rotary chuck to move forward with the rotation.
  • the close contact portion 114c of the turn pin 114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olant tube 112, and then the outer side (end) of the heat radiating portion 114d is pressed from both sides.
  • the turn pin 114 is moved when the refrigerant pipe 112 is moved forward with the rotation. It will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in a helical shape.
  • FIG. 7A and 7b show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respectively. That is, FIG. 7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and FIG. 7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7A. In addition, the use state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is shown in Figure 7c.
  • the alignment bracket 200 of the turn pin condenser includes a base 210 forming an appearance, a side plate 220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and a plurality of refrigerant tubes. It consists of a coupling plate 230 and the like to support the 112 is fitted.
  • the base 210 is made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thickness of a predetermined size, such a base 210 forms the overall skeleton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holes 212 ar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base 210.
  • the heat generating hole 212 serves to facilitate the flow and heat dissipation of air through the base 210. That is, since the heat exchange occurs in the condenser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 the efficiency of the condenser 100 is increased only when heat exchang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ondenser 100 is easily performed. Therefore, when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holes 212 are formed through the base 210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inside and outside the condenser 100 is smoothly formed through the heat generating holes 212, thereby exchanging heat exchange efficiency. This is augmented.
  • the side plate 220 is vertically bent from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of the base 210 as shown, extending upward.
  • the side plate 220 is formed through the side fastening holes 222 for coupling with other components. That is, the side plate 220 is formed with a side fastening hole 222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olt 140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frame 130 and the alignment bracket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coupling plate 230 is vertically bent from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base 210 to extend upward.
  •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112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plate 230.
  • a pair of fastening ends 232 are formed in pairs to surround and fix the outer surfa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from left and right.
  • a plurality of such fastening ends 232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210.
  • An interval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Therefore, the refrigerant pipe 112 is inserted and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 the accommodating the refrigerant pipe 112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Therefore,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234 is formed to have a roun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In this case, the coolant pipe 112 will be inserted into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 the inner groove 236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so that the pair of fastening end 232 is easily bent inward to each other.
  • the inner groove 236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downward, as shown. Therefore, since the inner groove 236 serves as a gap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facilitates the proximity of each other.
  • an outer groove 238 is further formed at an outer lower end of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so that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are easily bent inside each other.
  • the outer groove 238 is formed to be recessed to the inner side, as shown. That is, it consists of a ' ⁇ ', ' ⁇ ' shape is configured to be recessed laterally.
  • the outer groove 238 bends so that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easily approach each other like the inner groove 236.
  •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the upper surface 240, as shown,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its height gradually lower toward the inside.
  • the reason why the upper surface 240 of the fastening end 232 is inclined is because the coolant pipe 1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4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 the pipe 112 is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4 by sliding along the upper surface 240 of the fastening end (232).
  • the alignment of the refrigerant pipe 112 using the alignment bracket 200 is performed after the bending process of the turn pin tube 110.
  • the turn pin tube 110 is bent a number of times to arrange several strands side by side. That is, the turn pin tube 110, the turn pin 114 is wound on the outer side of the coolant tube 112 is bent a plurality of times to align side by side, and then the turn pin tube bent several times using the alignment bracket 200 ( 110).
  • the coolant tube 1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4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That is, the refrigerant pipe 112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34 as shown in (a) of FIG. 7C.
  • the refrigerant pipe 112 is guided to easily enter the receiving groove 234.
  • the upper end of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may overlap each other by a user or a pressure press. That is,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are bent to apply a force to approac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upper ends of the pair of fastening ends 232 as shown in (b) of FIG. 7C overlap each other.
  • the fixing of the refrigerant pipe 112 is made firm. Since the fastening ends 232 are formed side by side at equal intervals,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pipes 112 are firmly fixed side by side at equal intervals.
  • FIG 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bracket 150 in a perspective view.
  • the fastening bracket 150 as shown, the bottom plate 152 to form a lower surface, the side plate 154 is formed by extending vertically bent upwards from the left and right of the bottom plate 152 and the bottom plate 152 is vertically bent upwards and forwards from front and rear of 152 to be fitted into the coolant pipe 112 to be fitted with the fitting piece 156 or the like.
  • the fastening bracket 150 is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That is, since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e alignment bracket 200 and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below.
  • the bottom plate 152 corresponds to the base 210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 the side plate 154 is the side plate 220
  • the fitting piece 156 is It corresponds to the coupling plate 230.
  • a vent hole 152a is further formed in the bottom plate 152 of the fastening bracket 150, and a side plate hole 154a is formed in the side plate 154.
  • the vent hole 152a corresponds to the heating hole 212
  • the side plate hole 154a corresponds to the side fastening hole 222 where the fastening bolt 140 penetrates.
  • the fitting piece 156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tting ends 160 for fixing the refrigerant pipe 112 from side to side.
  • the fitting end 160 corresponds to the fastening end 232 of the alignment bracket 200. Therefore,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itting end 160 has a size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refrigerant pipe 112.
  • a fitting groove 162 corresponding to the accommodation groove 234 is formed between the pair of fitting ends 160, and a guide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ner groove 236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itting groove 162. 164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 FIG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tube 300 is fitted to an end of the turn pin 114.
  • the fastening tube 300 a portion (right) surrounds the end of the turn pin 114, the other portion (left)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refrigerant pipe (112). Accordingly, the refrigerant pipe 112 and the turn pin 114 are firmly held by each other so as to be firmly fixed to each other.
  • the end of the turn pin 114 wound on the refrigerant pipe 112 is crushed by pressing so that the fastening tube 300 is fitted to the outside. That is, a part of the end of the turn pin 114 is crushed with a pressing jig, and then the fastening tube 300 is inserted into this part.
  • the turn pin tube 110 is zigzag bent a number of times by volume, and then the alignment bracket 200 and the fastening bracket 150 are By using the turn pin tube 110 is fixed to the base frame 120. In this case, a turnpin condenser as shown in FIG. 1 is manufactu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관의 외면에 감겨지는 턴핀의 고정을 위해 체결튜브가 사용되는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는,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절곡되는 냉매관(112)과; 상기 냉매관(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114)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브라켓(200)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20)과; 상기 냉매관(112)의 주위에 감겨지는 턴핀(114)이, 냉매관(112)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튜브(300)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관이 직접 정렬브라켓에 고정되어 결합이 견고하며, 냉매관의 손상없이 턴핀이 냉매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턴핀 응축기
본 발명은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브라켓에 의해 냉매관이 직접 고정되며 턴핀의 끝단부는 체결튜브에 의해 냉매관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턴핀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응축기는, 냉장고나 냉동기 등과 같은 공기조화기에 주로 사용되며, 냉매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응축기에는, 효율적인 열교환을 위하여, 턴핀을 튜브(냉매관)에 감아 열교환 면적을 증대시키는데, 이와 같이 턴핀을 튜브(냉매관)에 나선형으로 감은 응축기를 턴핀 응축기라 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403755'호에는, 이와 같은 나선형의 냉매관이 감겨진 다수의 턴핀 냉매관을 나란하게 고정하기 위한 수평고정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고정부재는, 반원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압입장치에 의해 압입되어, 턴핀응축기의 외부를 감싸게 된다. 즉, 수평고정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반원 형상의 고정구가 턴핀을 감싸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수평고정부재는, 냉매관를 직접 잡는 것이 아니라, 고정구의 상단부를 이용하여 턴핀을 고정하게 되므로, 고정이 견고하지 못하여 턴핀이 고정구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튜브(냉매관)의 외주면에는 턴핀이 나선형으로 감겨지는데, 이러한 턴핀이 튜브(냉매관)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용접(welding)을 하거나, 브레이징(brazing) 처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턴핀을 튜브(냉매관)에 고정하기 위해 용접(welding)을 하거나 브레이징(brazing) 처리를 하게 되면, 이 과정에서 튜브(냉매관)가 손상을 입게 된다. 즉, 열에 의해 튜브(냉매관)에 구멍이 생성되거나,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약하게 된다. 따라서, 내부의 냉매가 누설되거나, 조립을 위해 튜브(냉매관)를 구부리는(벤딩시) 경우에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체결단이 냉매관에 직접 접촉하여 냉매관을 고정하는 브라켓이 구비되는 턴핀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관의 외면에 감겨지는 턴핀의 끝단부를 체결튜브에 의해 결합하는 턴핀 응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는,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절곡되는 냉매관과; 상기 냉매관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과; 상기 냉매관이 직접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브라켓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측에는, 상기 냉매관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브라켓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브라켓은, 연결프레임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관에 감겨지는 턴핀의 끝단부에는, 상기 턴핀이 냉매관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튜브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브라켓은,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매관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턴핀은, 내측부에 형성되어 내측단이 상기 냉매관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다수의 주름이 구비되는 주름부와; 상기 주름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주름이 펼쳐진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평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름부의 외경 크기는, 상기 냉매관의 외경 크기의 2배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의 외경 크기와 냉매관에 감겨진 턴핀의 외경 크기의 비(比)는, 1:3 ~ 1:4이고;
상기 냉매관의 외경 크기와 냉매관에 감겨진 턴핀 사이의 거리의 비(比)는, 1:0.9 ~ 1:1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브라켓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며,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측면체결홀이 관통 형성되는 측면판과; 상기 베이스의 전후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며, 다수의 냉매관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판에는, 상기 냉매관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이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단은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체결단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매관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체결단 사이에는, 상기 냉매관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내측홈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턴핀은, 상기 냉매관의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방열부는, 상기 밀착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의 두께(T0) : 밀착부의 폭(L1) : 냉매관의 외경(P0) : 냉매관에 감겨진 턴핀의 외경 크기(TP)는 1:10:20:60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턴핀의 방열부와 상기 냉매관이 이루는 각(δ)은, 60~70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한 턴핀 응축기에서는, 정렬브라켓에 구비되는 한 쌍의 체결단이 냉매관을 직접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한 쌍의 체결단이 좌우에서 냉매관을 감싸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회 절곡되는 냉매관이 서로 정확히 등(等)간격을 유지하게 되고,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한 턴핀 응축기에서는, 정렬브라켓의 체결단 사이에 냉매관이 억지끼움으로 장착되거나,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체결단이 내측으로 서로 구부려지게 되므로 냉매관의 외부 이탈이 완전히 방지된다. 따라서, 냉매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불필요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방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에서는, 냉매관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의 끝단부에 체결튜브가 더 구비되어, 턴핀이 냉매관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용접(welding)이나 브레이징(brazing) 처리가 불필요하므로 냉매관이 파손되거나 냉매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된 상태를 보인 정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A-A'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조방법을 보인 블럭도.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조방법 중 절단단계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조방법 중 주름형성단계가 완료된 상태의 턴핀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조방법 중 펼침단계가 수행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조방법 중 압착단계가 수행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엘(L)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엘(L)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턴핀튜브 제조방법의 일례를 보인 블럭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엘(L)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턴핀튜브 제조방법 중 절단단계 내지 압착단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턴핀튜브에 엘(L)핀 타입(type)의 턴핀이 사용되는 경우의 턴핀튜브 제조방법 중 압착단계에 의해 소재가 변형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7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A-A'부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렬브라켓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체결튜브가 사용된 상태를 보인 부분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의 외관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100)는, 턴핀튜브(110)가 다수 회 감겨진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턴핀튜브(11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12)와, 냉매관(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11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냉매관(112)은,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는 파이프(pipe)로 이루어지며, 다수 회 절곡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가 소정의 부피를 가지도록 한다.
한편,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해 다수의 정렬브라켓(200)이 구비되고, 하단부에는 베이스프레임(120)이 구비되어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상기 냉매관(112)을 직접 고정한다. 즉, 상기 정렬브라켓(200)에는 상기 냉매관(112)이 직접 끼워져 고정되는데, 이러한 정렬브라켓(200)의 상세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지는 턴핀(114)의 끝단에는 체결튜브(300)가 삽입된다. 즉, 상기 냉매관(112)의 주위에 감겨지는 턴핀(114)이, 냉매관(112)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튜브(300)가 턴핀(114)의 끝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체결튜브(300)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턴핀(114)의 끝단부가 냉매관(112)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튜브(300)는, 열에 의해 수축되는 폴리올레핀(polyolefin)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양단에는 연결프레임(130)이 더 구비되어, 상측의 턴핀튜브(110)가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브라켓(150)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체결브라켓(150)은, 상기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체결브라켓(150)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다수 회 감겨진 턴핀튜브(110)가 베이스프레임(120)의 상측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프레임(1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20)과 체결브라켓(150)에 각각 체결된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130)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결합되고, 연결프레임(130)의 상단은 체결볼트(140)에 의해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턴핀(114)은 그 형태에 따라, 주름핀과 엘(L)핀 등으로 나누어지기도 하나, 도 2a 내지 도 4d에는 상기 턴핀(114)으로 주름핀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일례와 제조방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상기 턴핀튜브(110)의 정단면이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2b에는 도 2a의 'A-A'부 단면(좌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냉매관(112)은 가는 원통으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재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철(Fe)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턴핀(114)은,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핀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진다. 즉, 냉매관(112)의 외면에 일부가 접촉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턴핀(114)도 상기 냉매관(112)과 같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열전달이 용이한 철(Fe) 또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턴핀(114)은, 상대적으로 내측부에 형성되는 주름부(114a)와, 상기 주름부(114a)의 외측에 구비되는 평판부(114b)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름부(114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주름이 구비되는 부분이며, 상기 평판부(114b)는 주름이 펼쳐진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평판부(114b)는, 상기 주름부(114a)와 같이 먼저 주름이 형성된 다음 펼쳐짐으로써, 상기 턴핀(114)이 나선형으로 감겨진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주름부(114a)는, 내측단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부(114a)의 내측단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평판부(114b)는, 상기 주름부(114a)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평판부(114b)는 중앙부(도 2b에서)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얇아진다. 이는 상기 턴핀(114)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원활하게 감겨지도록 하는 한편, 표면적을 넓혀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주름부(114a)의 외경 크기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의 2배가 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이 Φ5mm의 크기를 가지며, 상기 주름부(114a)의 외경 크기(T0)는 10mm의 크기를 가진다.
한편,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와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의 비(比)는, 1:3 ~ 1:4이다. 예들 들어,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가 Φ5mm인 경우에는, 상기 턴핀(114)의 외경 크기(TP)는 약 Φ17mm가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와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 사이의 거리(L)의 비(比)는, 1:0.9 ~ 1:1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가 Φ5mm인 경우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 사이의 거리(L)는 약 4.7mm가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각 부의 크기는, 냉매관(112)의 크기와 턴핀(114)의 크기에 따른 방열효과를 고려한 실험결과에 의해 도출된 것이다. 즉,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에 따른 최대 방열효과를 가져오는 턴핀(114)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한 수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냉매관(112)이, 외경(P0) 크기가 5mm이고, 두께(P1)가 0.6mm일 때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는 17mm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냉매관(11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될 때 상기 턴핀(114)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최대의 냉매효율을 가지도록 한 수치이다.
한편,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에 나선형으로 부착되며, 냉매관(112)의 외면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턴핀(114)과 상기 냉매관(112)이 이루는 각(θ)은 약 60~70도 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66.5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3에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주름핀 타입(type)의 턴핀(114)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제조방법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름핀 타입의 턴핀(114)이이 사용되는 턴핀튜브(110)의 제조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소재를 일정 크기의 폭으로 절단하여 턴핀(114)용 소재를 형성하는 절단단계(S10)와, 상기 절단단계(S10)에 의해 절단된 소재에 주름을 형성하는 주름형성단계(S20)와, 상기 주름형성단계(S20)에 의해 주름이 형성된 소재의 외측 부분에 형성된 주름을 펼쳐 평판이 되도록 하는 펼침단계(S30)와, 상기 펼침단계(S30)에 의해 주름이 펼쳐진 소재의 평판 부분의 끝단을 양측에서 밀착하는 압착단계(S40)와, 턴핀(114)용 소재를 냉매관(112)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벤딩하여 밀착시키는 밀착단계(S5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단계(S10)는, 원 소재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과정이다.
도 4a에는 상기 절단단계(S10)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b에는 상기 주름형성단계(S20)가 완료된 상태의 턴핀 구성의 일례를 보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c 및 도 4d에는 상기 펼침단계(S30)와 압착단계(S50)가 수행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름형성단계(S20)는, 도 4a와 같은 상태의 소재를 도 4b과 같이 주름지게 만드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주름형성단계(S20)가 수행되고 나면, 도 4b과 같이 소재는 다수 회 벤딩(Bending)되어 주름지게 된다.
상기 펼침단계(S30)는, 도 4b과 같이 주름진 형상을 가진 턴핀(114)을 일부분 주름이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1/2 부분(도 4c에서는 상반부)의 주름이 펼쳐지도록 하여 평판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펼침단계(S30)가 진행되고 나면, 도 4c에서와 같이 하반부는 주름부(114a)를 형성하며, 상반부는 평판부(114b)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펼침단계(S30)에 의해 외측 일부분의 주름이 펼쳐지면, 펼쳐진 평판부(114b)는 주름부(114a)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턴핀(114)은 원형으로 감겨지게 된다. 따라서, 자연적으로 턴핀(114)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측을 감싸게 된다.
상기 압착단계(S40)는, 상기 펼침단계(S30)에 의해 주름이 펼쳐진 평판부(114b)의 양면을 도 4d과 같이 압착하여, 상기 평판부(114b)의 두께가 상측(도 4d에서)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밀착단계(S50)는, 상기 턴핀(114)을 상기 냉매관(112) 외측에 나선형으로 감아 고정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밀착단계(S50)는, 상기 펼침단계(S30) 및 압착단계(S40)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펼침단계(S30)에 의해 턴핀(114)의 일부분에 형성된 주름을 펼치게 되면, 자연적으로 턴핀(114)의 좌우(도 4c에서는 상하)의 길이가 차이나게 되므로, 턴핀(114)은 저절로 부채꼴 형상과 같이 되어 감겨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평판부(114b)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압착단계(S40)가 수행되면, 상기 평판부(114b)의 끝단 길이는 더욱 늘어나게 되므로 턴핀(114)은 나선형으로 냉매관(112)에 감겨진다.
이와 같이, 상기 턴핀(114)의 주름을 펼치는 과정과, 평판부(114b)를 가압하는 과정이 수행되면서 압착단계(S40)가 진행되면, 상기 턴핀(114)은 나선방향으로 냉매관(112) 외주면에 밀착하여 꼬인 형태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각 단계에 의해 상기 냉매관(112)에 턴핀(114)이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나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매관벤딩단계가 진행된다. 냉매관벤딩단계는, 턴핀(114)이 감겨진 직선형태의 냉매관(112)을 다수의 실린더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실린더를 전진시켜 냉매관(112)이 지그재그로 절곡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단계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콘덴서가 제조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콘덴서에서 냉매관(112)을 통해 고온의 냉매가 흐르게 되면, 냉매의 높은 열이 상기 턴핀(114)을 통해 공기 중으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6c에는 엘(L)핀 타입(type)의 턴핀(114)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일례와 그 제조방법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에는 엘(L)핀 타입(type)의 턴핀(114)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일례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물론, 여기에서도 상기에서와 같이 턴핀튜브(11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112)과 냉매관(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11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는 밀착부(114c)와, 상기 밀착부(114c)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부(114d)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부(114c)는, 상기 냉매관(112)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며, 상기 방열부(114d)는 상기 밀착부(114c)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 것으로, 공기 중에 위치되어 상기 밀착부(114c)를 통해 냉매관(11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방열부(114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착부(114c)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14c)의 두께(T0) : 밀착부(114c)의 폭(L1) : 냉매관(112)의 외경(P0) :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는 1:10:20:60가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각 부의 크기는, 냉매관(112)의 크기와 턴핀(114)의 크기에 따른 방열효과를 고려한 실험결과에 의해 도출된 것이다. 즉,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에 따른 최대 방열효과를 가져오는 턴핀(114)의 크기 및 형태를 고려한 수치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냉매관(112)이, 외경(P0) 크기가 5mm이고, 두께가 0.6mm일때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는 14.0~16.5mm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냉매관(112)이 지그재그 형상으로 절곡될 때 상기 턴핀(114)이 서로 간섭되지 않으면서도 최대의 냉매효율을 가지도록 한 수치이다.
그리고, 상기 턴핀(114)의 두께는 0.25~0.4mm로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112)에 밀착되는 밀착부(114c)의 폭(L1)은 2.5mm가 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에 나선형으로 부착되며, 상기 방열부(114d)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턴핀(114)의 방열부(114d)는, 상기 냉매관(112)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턴핀(114)의 방열부(114d)와 상기 냉매관(112)이 이루는 각(δ)은 약 60~70도 정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66.5도가 되도록 형성된다.
도 6a에는 도 5에 도시된 엘(L)핀 타입(type)의 턴핀(114)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제조방법의 일례가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L)핀 타입(type)의 턴핀(114)이 사용된 턴핀튜브(110)의 제조는, 일정 두께를 가지는 소재를 일정 크기의 폭으로 절단하여 턴핀(114)용 소재를 형성하는 절단단계(S60)와, 상기 절단단계(S60)에 의해 절단된 소재의 일부를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벤딩(Bending)시켜 방열부(114d)와 밀착부(114c)를 형성하는 벤딩단계(S70)와, 상기 벤딩단계(S70)에 의해 형성된 방열부(114d)의 끝단을 양측에서 밀착하는 압착단계(S80)와, 상기 벤딩단계(S70)에 의해 형성된 밀착부(114c)가 냉매관(112)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밀착되도록 감는 밀착단계(S9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단단계(S60)는, 원 소재를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는 과정이다. 즉, 도 6b의 (a)와 같이 두께(T)가 2.5mm인 소재를 폭(L0)이 약 8~9mm되도록 절단하는 과정이다.
상기 벤딩단계(S70)는, 소정 폭으로 절단된 소재의 일부를 벤딩(Bending)시켜 절곡시키는 과정이다. 즉, 도 6b의 (b)에서와 같이, 평판 형상의 소재를 절곡시켜 방열부(114d)와 밀착부(114c)로 나누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밀착부(L1)의 길이는 2.5mm가 되고, 상기 방열부(114d)의 길이(L2)는 약 5.5~6.5mm가 된다.
상기 압착단계(S80)는, 도 6b의 (c)에서와 같이 상기 벤딩단계(S70)에 의해 벤딩(Bending)된 소재의 방열부(114d) 끝부분(도 6b의 (c)에서는 상반부)을 양단에서 압착하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방열부(114d)의 끝부분을 양측에서 가압하게 되면, 방열부(114d)의 두께가 작아지면서 끝부분의 면적(좌우 폭)은 더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열부(114d)의 끝부분(상반부)을 압착할 때의 상태가 도 6c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c의 (a)에서 방열부(114d)의 전후면 상반부를 서로 가압하게 되면, 이러한 방열부(114d)의 두께는 얇아지고 좌우의 폭은 넓게 된다. 따라서, 하단부의 좌우 폭은 그대로 있으면서, 상반부의 좌우 폭은 증가하므로, 상기 방열부(114d)는 부채꼴 형상과 같이 된다.
상기와 같이 방열부(114d)의 상반부를 가압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면, 상기 턴핀(114)은 나선방향으로 꼬인 형태가 된다.
상기 압착단계(S80)와 밀착단계(S90)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 밀착단계(S90)는, 상기 원통 형상의 냉매관(112) 외면에 턴핀(114)을 나선형으로 밀착시키는 과정이다.
따라서, 상기 밀착단계(S90)는, 상기 압착단계(S80)와 동시에 일어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압착단계(S80)에서 방열부(114d)의 끝단부를 양측에서 압착하면 도 6c의 (b)와 같이 부채꼴 형상의 방열부(114d)가 되므로, 길게 연결된 턴핀(114)은 상기 압착단계(S80)가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선형으로 꼬여지게 되므로, 결국, 상기 냉매관(112) 외주면에 턴핀(114)이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상기 턴핀(114)을 감기 위해서는 상기 냉매관(112)의 양단을 회전 척에 고정시켜서 회전과 동시에 전진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턴핀(114)의 밀착부(114c)가 상기 냉매관(11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방열부(114d)의 외측(끝단부)을 양측에서 가압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턴핀(114)의 밀착부(114c)를 늘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방열부(114d)의 외측 부분이 늘어나게 되므로, 상기 냉매관(112)이 회전과 동시에 전진하면 상기 턴핀(114)이 나선형으로 냉매관(112) 외주면에 감겨지게 되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에는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상세 구성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a에는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b에는 도 7a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7c에는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의 정렬브라켓(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와,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측면판(220)과,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2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베이스(210)가 정렬브라켓(200)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1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발열홀(21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열홀(212)은, 상기 베이스(210)를 통해 공기의 유동과 열 발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1와 같은 구성으로 가지는 응축기(100)에서는 열교환이 일어나게 되므로, 응축기(100) 내측과 외부와의 열교환이 쉽게 이루어져야 응축기(100)의 효율이 증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에 다수의 발열홀(212)이 관통 형성되면, 이러한 발열홀(212)을 통해 응축기(100) 내측과 외부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되므로, 열교환 효율이 보다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판(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10)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측면판(220)에는,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측면체결홀(222)이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판(220)에는, 상기 연결프레임(130)과 정렬브라켓(2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체결볼트(140)가 관통되는 측면체결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230)은, 상기 베이스(210)의 전후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판(230)에는, 상기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결합판(230)에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232)이 쌍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체결단(232)은 상기 베이스(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등(等)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 상기 냉매관(112)이 삽입되어 끼워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는, 상기 냉매관(112)이 수용되는 수용홈(23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34)의 하면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관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간격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보다 미세하게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상기 냉매관(112)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고정될 것이다.
상기 수용홈(234)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내측홈(236)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측홈(23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소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내측홈(236)은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서 갈라진 틈새 역할을 하게 되므로,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근접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외측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외측홈(23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외측홈(23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측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즉, '⊃','⊂'형상으로 이루어져 측방으로 함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측홈(238)은 상기 내측홈(236)과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쉽게 근접하도록 잘 휘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면(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단(232)의 상면(240)이 경사지도록 하는 이유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수용홈(234)으로 상기 냉매관(112)이 삽입되는 경우에, 냉매관(112)이 상기 체결단(232) 상면(240)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수용홈(234)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이용한 냉매관(112)의 정렬은 턴핀튜브(110)의 절곡과정 다음에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상기 턴핀튜브(110)를 다수회 절곡하여 여러 가닥이 나란하게 되도록 정렬한다. 즉, 상기 냉매관(112) 외측에 턴핀(114)이 감겨진 턴핀튜브(110)가 다수 회 절곡되어 나란히 정렬되도록 한 다음,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이용하여 이러한 다수 회 절곡된 턴핀튜브(11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정렬브라켓(200)을 턴핀튜브(110)에 근접시키면,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수용홈(234)에 삽입된다. 즉, 도 7c의 (a)와 같이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수용홈(234) 내측에 삽입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체결단(232)의 상면(240)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냉매관(112)이 상기 수용홈(234)에 용이하게 들어가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 7c의 (a)와 같이 상기 수용홈(234)에 냉매관(112)이 삽입된 다음에는, 사용자 또는 압력프레스 등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이 서로 겹쳐지도록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휘어져 서로 근접하도록 힘을 가한다. 이렇게 되면, 도 7c의 (b)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상단부가 서로 겹쳐지게 되면, 상기 수용홈(234)의 상단이 차폐되므로, 상기 수용홈(234)에 삽입된 냉매관(112)의 외부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냉매관(112)의 고정이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결단(232)은 등(等) 간격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냉매관(112)이 나란히 등(等) 간격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 8에는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판(152)과, 상기 바닥판(152)의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측판(154)과, 상기 바닥판(152)의 전후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매관(112)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편(1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브라켓(150)은,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구성과 유사하다. 즉 길이가 상기 정렬브라켓(200)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 이외에 타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대응시켜 보면, 상기 바닥판(152)은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베이스(210)와 대응되는 것이며, 상기 측판(154)은 측면판(220)과, 그리고 상기 끼움편(156)은 상기 결합판(230)과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브라켓(150)의 바닥판(152)에는 통기홀(152a)이 상하로 더 형성되고, 상기 측판(154)에는 측판홀(15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통기홀(152a)은 상기 발열홀(212)과 대응되며, 상기 측판홀(154a)은 상기 체결볼트(140)가 관통되는 곳으로 상기 측면체결홀(222)에 대응되는 것이다.
상기 끼움편(156)에는, 상기 냉매관(112)을 좌우에서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끼움단(160)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단(160)은 상기 정렬브라켓(200)의 체결단(232)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끼움단(160)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한 쌍의 끼움단(160) 사이에는 상기 수용홈(234)과 대응되는 끼움홈(162)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162)의 하단에는 상기 내측홈(236)과 대응되는 가이드홈(164)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도 9에는 상기 체결튜브(300)가 상기 턴핀(114)의 끝단부에 끼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튜브(300)는, 일부(우측)는 상기 턴핀(114)의 끝단부를 감싸고, 다른 일부(좌측)은 상기 냉매관(112)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에 의해 상기 냉매관(112)과 턴핀(114)이 서로 고정되도록 견고하게 붙잡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끝단부는, 외측에 상기 체결튜브(300)가 끼워지도록 압착에 의해 찌그러진다. 즉, 상기 턴핀(114)의 끝단부 일부를 압착 지그로 찌그러트린 다음, 상기 체결튜브(300)를 이 부분에 삽입하여 끼운다.
이처럼,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끝단부가 일그러지고, 이러한 일그러진 턴핀(114)의 끝단부에 상기 체결튜브(300)가 끼워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턴핀 응축기의 제조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턴핀튜브(110)를 지그재그로 다수 회 절곡하여 볼륨화 한 다음, 상기 정렬브라켓(200)과 체결브라켓(150)을 이용하여 베이스프레임(120)에 턴핀튜브(1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도 1과 같은 턴핀 응축기가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1. 내부에는 냉매가 흐르며, 다수 회 절곡되는 냉매관(112)과;
    상기 냉매관(112) 주위에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턴핀(114)과;
    상기 냉매관(112)이 직접 끼워져 고정되며,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기 위한 정렬브라켓(200)과;
    상기 다수 회 감겨진 냉매관(112)을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상기 냉매관(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브라켓(15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체결브라켓(150)은,
    연결프레임(13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20)에 연결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관(112)에 감겨지는 턴핀(114)의 끝단부에는, 상기 턴핀(114)이 냉매관(112)에 밀착되도록 하는 체결튜브(30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브라켓(150)은,
    하면을 형성하는 바닥판(152)과, 상기 바닥판(152)의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측판(154)과, 상기 바닥판(152)의 전후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냉매관(112)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편(1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핀(114)은,
    내측부에 형성되어 내측단이 상기 냉매관(112)의 외측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다수의 주름이 구비되는 주름부(114a)와;
    상기 주름부(114a)의 외측에 구비되며, 주름이 펼쳐진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름부(114a)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형성되는 평판부(1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부(114a)의 외경 크기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의 2배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와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의 비(比)는, 1:3 ~ 1:4이고;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P0) 크기와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 사이의 거리(L)의 비(比)는, 1:0.9 ~ 1:1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브라켓(200)은,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의 양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며, 타 부품과의 결합을 위한 측면체결홀(222)이 관통 형성되는 측면판(220)과;
    상기 베이스(210)의 전후단으로부터 수직 벤딩(bending)되어 연장 형성되며, 다수의 냉매관(112)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결합판(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판(230)에는,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을 좌우에서 감싸 고정하는 한 쌍의 체결단(232)이 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은 다수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경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 사이에는, 상기 냉매관(112)이 수용되는 수용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34)의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체결단(232)이 서로 내측으로 휘어지기 용이하도록 하는 내측홈(236)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턴핀(114)은,
    상기 냉매관(112)의 외면에 나선방향으로 밀착되는 밀착부(114c)와, 상기 밀착부(114c)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방열부(114d)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방열부(114d)는, 상기 밀착부(114c)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턴핀 응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114c)의 두께(T0) : 밀착부(114c)의 폭(L1) : 냉매관(112)의 외경(P0) : 냉매관(112)에 감겨진 턴핀(114)의 외경 크기(TP)는 1:10:20:60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턴핀(114)의 방열부(114d)와 상기 냉매관(112)이 이루는 각(δ)은, 60~70도를 이루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턴핀 응축기.
PCT/KR2013/004617 2012-07-04 2013-05-27 턴핀 응축기 WO201400746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046A KR101223423B1 (ko) 2012-07-04 2012-07-04 턴핀 응축기의 제조방법
KR10-2012-0073046 2012-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07469A1 true WO2014007469A1 (ko) 2014-01-09

Family

ID=478985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617 WO2014007469A1 (ko) 2012-07-04 2013-05-27 턴핀 응축기
PCT/KR2013/004615 WO2014007468A1 (ko) 2012-07-04 2013-05-27 턴핀 응축기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4615 WO2014007468A1 (ko) 2012-07-04 2013-05-27 턴핀 응축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23423B1 (ko)
WO (2) WO20140074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5543A (zh) * 2014-08-01 2014-11-26 苏州威尔博机械有限公司 一种旋翅片热交换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760B1 (ko) * 2013-12-09 2015-07-15 글로벌에너지개발 주식회사 배기가스 및 증기의 잔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바이오연료 열병합발전시스템
CN104132485B (zh) * 2014-05-16 2016-08-24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多层空间结构的螺旋百叶窗冷凝器
CN104165480B (zh) * 2014-06-30 2016-05-25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扭层式螺旋翅片冷凝器
CN104748446B (zh) * 2015-04-14 2017-12-01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固定支架扣合旋翅热交换器
KR101688054B1 (ko) 2015-05-22 2016-12-20 (주)바오텍 열교환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247698B (zh) * 2016-08-09 2018-09-25 河南新科隆电器有限公司 一种单螺旋丝管冷凝器
JP6715338B2 (ja) * 2016-08-19 2020-07-01 常州市常蒸熱交換器科技有限公司Changzhou Changzheng Hechanger Technology Co., Ltd スパイラルフィンコンデンサ
CN106196757A (zh) * 2016-08-19 2016-12-07 常州市常蒸热交换器科技有限公司 螺旋翅片式冷凝器
CN106524603A (zh) * 2017-01-14 2017-03-22 合肥太通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翅片式冷凝器
CN107144050A (zh) * 2017-06-19 2017-09-08 合肥太通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翅片式冷凝器
CN107192178A (zh) * 2017-06-20 2017-09-22 合肥太通制冷科技有限公司 一种内齿铝管冷凝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1268U (ko) * 2011-12-22 2012-02-22 주식회사 하나 냉장고용 콘덴서
KR200458909Y1 (ko) * 2011-10-24 2012-03-21 주식회사 하나 응축기용 브라켓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55Y1 (ko) * 2005-09-05 2005-12-14 주식회사 한국번디 턴핀 응축기
KR20090060500A (ko) * 2007-12-10 2009-06-15 주식회사 한국번디 석션파이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09Y1 (ko) * 2011-10-24 2012-03-21 주식회사 하나 응축기용 브라켓
KR20120001268U (ko) * 2011-12-22 2012-02-22 주식회사 하나 냉장고용 콘덴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65543A (zh) * 2014-08-01 2014-11-26 苏州威尔博机械有限公司 一种旋翅片热交换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423B1 (ko) 2013-02-12
WO2014007468A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7469A1 (ko) 턴핀 응축기
WO2016144007A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WO2014119902A1 (en) Heater for motor vehicle
EP2879136B1 (en) Sheathing member mounting apparatus and sheathing member mounting method
WO2018088655A1 (ko) 배터리 열교환기 및 그를 갖는 배터리 팩
WO2021040164A1 (ko) 파이프 연결용 피팅장치
WO2018143599A1 (en) Explosion-proof apparatus
WO2015037824A1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WO2019124853A1 (ko) 열교환기
WO2014112814A1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881478B2 (ja) エアバッグとモジュールハウジングに固定可能な管状ガスジェネレータとを含む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WO2019231209A1 (ko) 열 교환기 및 열 교환기 제조 방법
WO2023080315A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2103178A1 (ko)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 제조방법
WO2021006702A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샤프트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1015390A1 (ko) 루버 핀 성형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조된 루버 핀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KR101252460B1 (ko) 턴핀 응축기
WO2024075931A1 (ko) 열 교환기
CN215399685U (zh) 一种型材热封座
WO2023149643A1 (ko) 열교환기
WO2018236063A1 (ko) 열전달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제조 방법
CN110509532A (zh) 一种尼龙管压扁成型装置及压扁成型方法
WO2023113362A1 (ko) 핀 및 이를 포함하는 열 교환기
ITTO960059A1 (it) Struttura per il sopporto su di una copertura di un elemento d'isola mento nei confronti delle vibrazioni.
WO2023191376A1 (ko) 열교환기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13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134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