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54280A1 -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 Google Patents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54280A1
WO2013154280A1 PCT/KR2013/002438 KR2013002438W WO2013154280A1 WO 2013154280 A1 WO2013154280 A1 WO 2013154280A1 KR 2013002438 W KR2013002438 W KR 2013002438W WO 2013154280 A1 WO2013154280 A1 WO 201315428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ayer
mold
optical film
patter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24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이대환
인스콘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이대환, 인스콘테크(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앤앤드에프
Publication of WO201315428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5428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02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1/12Spreading-out the material on a substrate, e.g. on the surface of a liq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18Reflow, i.e. characterized by the step of melting microstructures to form curved surfaces, e.g. manufacturing of moulds and surfaces for transfer 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39/148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14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39/20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3Optical lam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Definitions

  • the diffusion sheet serves to provide uniform luminance over the entire area.
  • the prism sheet performs a function of improving luminance in a specific viewing angle range.
  • the luminance improvement at this particular viewing angle may be realized by condensing by the prism structure.
  • a light guide plate may serve as the base layer 9.
  • the substrate layer 9 may be a light guide plate.
  • the light guide plate is a component that converts light incident from a lamp (not shown) into uniform planar light, and is generally made of PMMA (polymethymethacrylate), which is an acrylic resin.
  • PMMA polymethymethacrylate
  • each layer may be formed through a sticky resin, the surface of each layer may be unexpectedly generat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of a size and direction exceeding the allowable value is applied to the finished monolithic optical film so that the lay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ince stickiness is constantly maintained, the separated layers can be easily integrated again. Therefore, the integrated optical film can be more firmly maintained, thereby solving the problem that light leakage occurs, the optical viewing angle is narrowed, or the light does not diverge to a specific viewing angle.
  • FIGS. 7A to 7D, 8A to 8E, 9A, and 9B are second It is sectional drawing for demonstrating the integrat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 the fourth integrat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S300 may include the second mold 700, the second layer 2, the first layer 1, and the substrate between the rolls 900 installed at intervals from each other before the step S440. It may further comprise passing the layer 9.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rolls 900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total thickness of the second mold 700, the second layer 2, the first layer 1, and the base layer 9.
  • This integrated optical film includes the base layer 9. 12, 13, and 15 to 18, the base layer 9 is the most basic layer of each of the layers forming the integrated optical film.
  • the base layer 9 may be a layer that transmits light from the bottom side to the first layer 1. Accordingly, the base layer 35 may have a material having light transmit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이 개시되며, 상기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은: (a)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h)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 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본원은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수광형 표시장치, 간판, 조명 등에 적용될 수 있는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일체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CD)는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비발광형 장치이므로,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유닛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크기와 광효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양한 광학시트들의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 도광판, 반사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보호시트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광원에서 발생된 광은 도광판을 통해 확산시트를 향하고, 확산시트에 의해 확산된 광은 제1 및 제 2 프리즘시트를 통해 집광되어 액정표시패널로 향하게 된다.
확산시트는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휘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는 특정 시야각 범위에서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정 시야각에서의 휘도 향상은 프리즘 구조에 의한 집광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의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는 단순 접촉에 의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액정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경우 확산시트와 프리즘시트가 서로 어긋나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액정표시패널에 빛샘 현상이 발생되거나, 액정표시패널로의 빛의 굴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시야각이 좁아지거나, 특정 시야각에서 화면을 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되는 광학시트들은 확산 또는 집광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패턴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패턴을 갖는 광학시트들을 바닥면의 처짐이나 패턴 형상의 변형 없이 안정적으로 적층하기 위해서는, 광학시트들 각각의 하측에 기초가 되는 기재층이 배치되어야 했다. 이를테면 하나의 기재층 상에 패턴을 갖는 확산시트를 형성시키고, 다른 기재층 상에 패턴을 갖는 프리즘시트를 형성시킨 다음, 확산시트 상에 프리즘시트가 형성된 다른 기재층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광학적 시트의 어셈블리를 제조하였다.
즉,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학시트들 각각의 하측마다 기재층을 배치하여야 해서 슬림한 두께의 구현에 한계가 있었으며, 기재층과 광학시트 사이에 추가적인 경계면이 형성되므로 입사되는 광의 경로를 예측하기 어려웠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견고하게 일체성을 확보하고 보다 슬림하게 구비됨에 동시에, 휘도 및 광 균일도가 크게 향상되도록 광을 효율적으로 확산 또는 굴절시킬 수 있는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방법 및 일체형 일체형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은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기재층을, 상기 제1 층이 상기 제2 층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 (h)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에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2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은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을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점착성 또는 접착성 있는 물질을 코팅하고,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기재층을 상기 제1 층이 상기 제2 층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3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은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상기 제1 층이 상기 제2 층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4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은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을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기재층을, 상기 제1 층이 상기 제2 층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에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제1 층, 및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제1 측면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은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제2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상기 제1 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재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1 층 상에 적층되는 광학층들이 각각을 지지하여 주는 기재층 없이도 편평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슬림한 두께를 가짐과 동시에 바닥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입사 각도를 균일하게 설정할 수 있는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제1 층 상에 적층되는 광학층들이 기재층 없이도 명확한 형상의 패턴을 가진 상태로 제조 및 적층될 수 있어, 패턴을 원하는 형상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별 적용 여건에 따라 휘도 및 광 균일도를 보다 용이하게 조절 또는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각 층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허용치 이상의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빛샘 현상이 발생되거나 광 시야각이 좁아지거나 특정 시야각으로 광 발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3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3d, 도 4a 내지 4d,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7d, 도 8a 내지 8e,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1 층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4b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1 층의 다른 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상면, 하면, 상측, 상향, 하향 등)는 도 3a 내지 3d, 도 4a 내지 4d, 도 5a, 도 5b 등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 5b에서 위쪽을 향한 방향이 상향, 위쪽을 향한 면이 상면, 아래쪽을 향한 방향이 하향, 아래쪽을 향한 면이 하면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의 다양한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는, 상면이 전방을 향하게 배치되는 등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이하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이라 함)(S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3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3a 내지 3d, 도 4a 내지 4d, 도 5a, 및 도 5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패턴(610)을 갖는 제1 몰드(6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105)를 포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몰드(600)의 패턴(610)은 제1 층(1)의 패턴(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몰드(600)의 패턴(610)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층(1)의 패턴(11)은 이에 맞물리는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층(1)의 패턴이 볼록한 형상인 경우라면, 반대로 제1 몰드(600)의 패턴(610)은 이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제1 몰드(6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9)을 덮는 단계(S110)를 포함한다.
기재층(9)은 일체형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각 층들의 가장 기초가 되는 층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기재층(9)은 하측으로부터 제1 층(1)으로 광을 전달하는 층이 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S110 단계에서 이러한 기재층(9)은 제1 층(1)에 해당되는 레진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기재층(9)은 제1 층(1)이 될 레진의 상면을 덮어 향후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예시적으로, 기재층(9)은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편평한 필름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재층(9)은 원하는 휘도 및 광 균일도의 확보를 위해 소정의 굴절률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이 이러한 기재층(9)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재층(9)은 도광판일 수 있다. 도광판은 램프(도면 미도시)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한 평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인 PMMA(polymethymethacrylate)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기재층(9) 자체가 도광판이 되는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적용되는 백 라이트 유닛은 보다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기재층(9)은 반드시 도광판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층들의 기초가 되는 층으로서 하측으로부터 제1 층(1)으로 광을 전달할 수 있는 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기재층(9)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형성하는 단계(S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레진은 자외선(UV) 및 적외선(IR)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의 투명한 레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가경화를 위해 레진에 투사되는 광은 단파장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BL 램프를 통해 이러한 단파장 자외선이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완전 경화를 위해 레진에 투사되는 광은 장파장 자외선(UV)일 수 있으며, 수은 램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갈륨 램프, LED 램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장파장 자외선(UV)에 의하면 광 경화 뿐만 아니라 열 경화도 어느 정도 수반될 수 있다.
또한,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한다는 것은 레진이 가경화될 정도로 광을 투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시적으로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경화를 위한 광은 상측 및 하측에서 동시에 투사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가경화를 위한 광 투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가경화가 어느 정도의 경화를 의미하는 것인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몰드(600)에 레진을 코팅한 후 소정 이상으로 경화시켜 과도하게 경화된 상태로 제1 층(1)을 제조하게 되면, 제1 층(1)이 제1 몰드(600)에 엉겨 붙게 되어 제1 층(1)을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워지거나, 제1 층(1)이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되더라도 표면 등이 손상될 수 있다.
즉, 가경화는 제1 층(1)이 제1 몰드(600)로부터 손상 없이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정도 및 제1 층(1)이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제1 층(1)의 형상이 변형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경화를 의미한다. 앞으로 사용되는 가경화라는 용어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1 몰드(600)가 일반적인 몰드가 아니라 이형제(release agent) 등을 통해 이형성이 높은 표면을 갖는 몰드를 통해 구비되는 경우라면, 제1 층(1)을 완전 경화시킨 다음에도 제1 몰드(600)로부터 손상 없이 분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명확한 패턴을 갖는 제1 층(1)의 형성을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도의 가경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3d를 참조하면, 이렇게 가경화된 상태의 제1 층(1) 및 가경화된 제1 층(1)과 일체로 접합된 기재층(9)을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분리 시점이 반드시 제2 층(2)을 제조하기 이전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여건을 고려하여 분리 시점을 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반드시 제1 층(1)의 제조 공정이 먼저 진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여건 등에 따라 제2 층(2)의 제조 공정이 먼저 진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패턴(710)을 갖는 제2 몰드(7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120)를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몰드(700)의 패턴(710)은 제2 층(2)의 패턴(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몰드(700)의 패턴(710)은 프리즘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층(1)의 패턴(11)은 이에 맞물리는 프리즘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층(2)의 패턴이 볼록한 형상인 경우라면, 반대로 제2 몰드(700)의 패턴(710)은 이에 대응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제2 몰드(7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99)을 덮는 단계(S125)를 포함한다.
이형필름(99)(release film)은 이형성을 갖는 필름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이형필름(99)은 박리되기 쉬운 박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이다. 예시적으로, 이형필름(99)은 실리카, 불소, 티타늄 등을 포함하는 표면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형필름(99)은 앞서 살핀 S110 단계에서의 기재층(9)과는 달리 레진이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된 이후에도 이렇게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된 레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S125 단계에서 이러한 이형필름(99)은 제2 층(2)에 해당되는 레진의 상측에 배치된다. 즉, 이형필름(99)은 제2 층(2)이 될 레진의 상면을 덮어 향후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 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하게 유지된 상태로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 및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이형필름(99)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형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레진의 재질, 가경화, 가경화를 위한 광 등에 대한 설명은 앞서 살핀 S115 단계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도 1 및 도 4d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이형필름(99)을 제거한 제2 층(2) 상에,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한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제1 층(1)이 제2 층(2)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S135)를 포함한다.
즉, 이형필름(99)을 덮은 상태에서 편평한 상면(도 5b에서 보았을 때에는 하면)이 변형 없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로 레진을 가경화하여 제2 층(2)을 형성시킨 다음, 도 4d처럼 이형필름(99)이 제거된 제2 층(2) 상에 도 3d처럼 제2 몰드(600)로부터 분리된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적층한다.
도 1,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에 광을 투사하여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일체화하고 제2 몰드(700)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120)을 형성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때, S140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일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이렇게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게 되면,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이 서로 맞붙은 상태에서 제2 층(2) 및 제1 층(1)이 완전히 경화되므로, 2층 광학 필름(120)은 일체성을 갖는 일체형 광학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제1 층(1) 및 제2 층(2)이 완전 경화되면서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의 접합된 부분이 서로 엉겨붙음으로써 일체형 광학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일체형이라 함은, 광학 필름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적층된 각 층들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2층 광학 필름(120)이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 기간이 길어지더라도 허용치 이상의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므로, 빛샘 현상이 발생되거나 광 시야각이 좁아지거나 특정 시야각으로 광 발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완전 경화를 통해 각 층들이 자체적으로 일체형이 되므로, 별도의 점착층 또는 접착층을 부가할 필요가 없어져, 일체형 광학 필름이 보다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점착층 또는 접착층의 부가가 없어 구성이 간명하므로 제조가 용이해지고 구성이 조잡하지 않은 만큼 구성간 결합이 보다 견고해져 적층된 각 층들간의 분리가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 및 제2 층(2)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레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레진을 완전 경화시켜 제1 층(1) 및 제2 층(2)을 형성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점착성이라 함은 끈끈하게 달라붙어서 점착력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점착성은 기재층(9)과 맞붙은 제1 층(1)을 기재층(9)으로부터 소정 이상의 힘을 가해 떼어내어도 때어낸 면에 끈끈함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성질이다. 즉, 점착성을 갖는 제1 층(1)을 기재층(9)으로부터 떼어낸 뒤 기재층(9)에 다시 맞붙이면 또 다시 서로 달라붙어 소정 이상의 일체성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점착성은 처음 접합할 때에만 끈끈함이 존재하고 떼어내면 끈끈함이 상실되어 다시 붙일 수 없게 되는 성질인 접착성과는 구별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해, 점착이라는 개념은 일체형 광학 필름을 처음 제조하였을 때에만 접착력이 존재하고 제조가 완료된 후에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각 층들이 서로 벌어지는 경우에는 접착력이 상실되어 다시 서로 접합되지 못하게 되는 접착, 부착 등과는 다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점착성을 갖는 레진을 통해 각 층들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완성된 일체형 광학 필름에 허용치를 초과하는 크기 및 방향의 외력이 가해져 각 층들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가 예상치 못하게 발생되더라도, 각 층들의 표면에는 계속적으로 끈끈함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분리된 층들이 다시 쉽게 일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광학 필름이 보다 견고하게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빛샘 현상이 발생되거나 광 시야각이 좁아지거나 특정 시야각으로 광 발산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훨씬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완전 경화를 통해 기재층(9) 상에 제1 층(1) 및 제2 층(2)이 적층된 2층 광학 필름(120)(도 5b 참조)으로 제조되는 경우, 가경화 상태에서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되는 제1 층(1)과 달리, 제2 층(2)은 완전 경화된 후에 제2 몰드(70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몰드(700)는 이형성(박리성)이 높은 표면을 갖는 몰드를 통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S140 단계에서 제2 층(2)은 제2 몰드(700)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아울러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S140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900) 사이로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900) 사이의 간격은 제2 몰드(6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S140 단계의 진행에 앞서, 차례로 적층된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롤(900)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1차적으로 전체 두께가 균일해지도록 하는 물리적인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롤(900)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소정의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층(2) 및 제1 층(1)은 하측이 제2 몰드(700)를 통해 지지되고 있고 상측에는 기재층(9)을 통해 보호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제2 층(2) 및 제1 층(1)은 두께 균일화나 소정의 압착을 위한 물리적인 작용력을 간접적으로 받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S140 단계 이후에 패턴을 갖는 제3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145), 제3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S150),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3 층(3)을 형성하는 단계(S155), 이형필름을 제거한 제3 층(3) 상에 2층 광학 필름(120)을 제2 층(2)이 제3 층(3)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S160), 그리고 제3 층(3) 및 2층 광학 필름(120)에 광을 투사하여 제3 층(3) 및 2층 광학 필름(120)을 일체화하고 제3 몰드를 분리하여 3층 광학 필름(130)을 형성하는 단계(S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S165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일 수 있다.
이 경우, S140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가경화를 위한 광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40 단계에서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함으로써 2층 광학 필름(120)의 형태로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제2 층(2) 상에 다른 층들을 더 적층하여 3층 또는 4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140 단계에서도 S115 단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할 수 있다.
즉,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3층 광학 필름(130)이 형성된 이후에도 S145 단계, S150 단계, S155 단계, S160 단계, 및 S165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n층 광학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층 광학 필름의 형성을 위해 S145 내지 S165 단계가 반복될 때, 반복되는 S165 단계마다 투사하는 광 중 제n 층 및 (n-1)층 광학 필름에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이고, 나머지 광은 가경화를 위한 광일 수 있다. 즉, 최종 층의 적층 전까지는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고, 최종 층의 적층이 이루어진 다음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함으로써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또는, 각 층이 적층될 때마다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는 방식으로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최종적으로 3층(기재층 제외)인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도 15 참조), 기재층(9) 상에 적층되어 있는 가경화 상태의 제1 층(1) 상에 가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적층한 다음 완전 경화시켜 일단 2층을 일체화시키고, 여기에 다시 가경화 상태의 제3 층(3)을 적층한 다음 완전 경화시켜 3층을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필요에 따라서는 3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에 있어서 후술할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에 적용된 제2 층(2)의 형성 방식(완전 경화 후 점착성 또는 접착성 갖는 물질 코팅 방식)을 함께 조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층(2) 및 제3 층(3)은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에 따라 제조되되, 제4 층은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에서 제2 층(2)을 제조하는 방식에 따라 제조되고, 제4 층은 제2 층(2) 및 제3 층(3)처럼 제조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은 S165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900) 사이로 제3 몰드, 제3 층(3), 및 2층 광학 필름(120)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700) 사이의 간격은 제3 몰드, 제3 층(3), 및 2층 광학 필름(120)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경화를 통해 층의 형상을 형성한 다음 완전 경화를 통해 점착 또는 접착시키는 방식을 통해, 별도의 점착제나 점착제를 코팅하지 않더라도 각 층들 자체가 점착제 또는 접착제의 역할까지 할 수 있어, 일체형 광학 필름이 보다 슬림한 두께로 구비될 수 있으면서도 서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빛샘 현상 등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제2 층(2) 이상의 층 형성에 있어서는 기재층(9) 대신 이형필름(99)을 이용한 후 제거함으로써, 제1 층(1) 상에 적층되는 광학층들이 각각에 대한 기재층 없이도 편평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각각의 광학층들의 바닥면이 보다 편평해지게 되면, 바닥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입사 각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어, 광 균일도, 휘도 등의 광학 특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기재층 상에 레진을 도포한 후 상면을 패턴 가공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패턴을 명확하게 형성하기 어렵고 패턴 가공 공정 중에 레진이 기재층 주변으로 흘러내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재층 상에 레진을 직접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으로 각각의 광학층을 형성하게 되면, 광학층에 원하는 형태를 갖는 패턴을 형성시키기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예를 들어 기재층 상에 레진을 도포한 다음 레진이 경화되기 전에 프레스를 통해 패턴의 형상을 가공한다면, 프레스된 패턴의 형상이 계속 유지되기 어렵고 프레스 압축에 의해 레진이 옆으로 흘러내리게 될 수 있다. 한편, 레진이 경화된 후에 프레스 가공을 하게 되면 패턴을 형성시키고자 하는 광학층이 파손 또는 변형될 우려가 심해져 프레스 가공이 더욱 어려워진다. 이와 같이, 기재층 상에 레진을 직접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패턴을 갖는 광학층을 명확한 형상으로 제조하기가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에 반해, 본원은 몰드 상에 레진을 코팅하여 레진의 상측이 아닌 하측에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고, 레진의 상측은 쉽게 분리 가능한 이형필름(99)을 덮어 편평한 바닥면을 우선 형성시킨 후 이형필름(99)을 분리하는 방식을 통해, 바닥면도 편평해질 뿐만 아니라 패턴도 원하는 형상으로 명확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어, 본원은 가경화 또는 완전 경화 시 각각의 광학층이 몰드와 엉겨 붙지 않도록 몰드 상에서는 광학층이 분리 가능한 가경화된 상태로 제조되도록 하거나, 이형성(박리성)이 높은 표면을 갖는 몰드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몰드 및 이형필름(99)의 적용에 따라 제1 층(1)을 지지하는 기재층(9) 이외에는 기재층이 전부 생략될 수 있어, 종래의 광학 필름보다 훨씬 슬림한 두께로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즉, 본원에 개시되는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들은 광학층의 재료적 측면(경화성 레진), 광학층의 제조수단 측면(몰드를 이용), 및 광학층의 제조공정 측면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조합한 발명이다.
다음으로,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이하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이라 함)(S2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a 내지 7d, 도 8a 내지 8e, 도 9a, 및 도 9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a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패턴(610)을 갖는 제1 몰드(6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205)를 포함한다.
또한 도 6 및 도 7b을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제1 몰드(6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9)을 덮는 단계(S21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c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기재층(9)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기재층(9)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S215)를 포함한다.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의 S115 단계에서는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형성하였으나,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의 S215 단계에서는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1)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도 6 및 도 8a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패턴(710)을 갖는 제2 몰드(7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제2 몰드(7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99)을 덮는 단계(S225)를 포함한다. 또한 도 6 및 도 8c을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이형필름(99)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형성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S220 내지 S230 단계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의 S120 내지 S130 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 도 8d, 도 8e, 및 도 9a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이형필름(99)을 제거한 제2 층(2) 상에 점착성 또는 접착성 있는 물질(8)을 코팅하고,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한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제1 층(1)이 제2 층(2)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S235)를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점착성 또는 접착성 있는 물질(8)의 코팅은 점착 레진 또는 접착 레진을 1~5㎛ 정도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제2 몰드(700)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120)을 형성하는 단계(S24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S235 단계 이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900) 사이로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900) 사이의 간격은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2층 광학 필름(120)이 형성된 이후에도, S220 단계 내지 S240 단계를 유사하게 반복함으로써, 3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은 필요에 따라서는 3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에 있어서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에 적용된 제2 층(2) 또는 제3 층(3)의 형성 방식(가경화 후 완전 경화 방식)을 함께 조합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층(2)은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에 따라 제조되되, 제3 층(3)은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에서 제2 층(2) 또는 제3 층(3)을 제조하는 방식에 따라 제조되고, 제4 층은 제2 층(2)처럼 제조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이하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이라 함)(S3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패턴(610)을 갖는 제1 몰드(6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305), 제1 몰드(6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9)을 덮는 단계(S310), 그리고 기재층(9)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형성하는 단계(S315)를 포함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패턴(710)을 갖는 제2 몰드(7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320), 제2 몰드(7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99)을 덮는 단계(S325), 그리고 이형필름(99)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형성하는 단계(S3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이형필름(99)을 제거한 제2 층(2) 상에,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한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제1 층(1)이 제2 층(2)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S335), 그리고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일체화하고 제2 몰드(700)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120)을 형성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즉,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제2 몰드(700) 상에 코팅된 레진에 이형필름(99)을 덮은 후 완전 경화시켜 애초에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형성시킨다는 점에서, 처음에는 가경화 상태로 제2 층(2)을 형성시키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과 차이가 있다. 제2 층(2)이 완전 경화 상태로 형성되더라도 가경화 상태인 제1 층(1)과 접합한 후 완전 경화시키면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제1 층(1) 및 제2 층(2) 중 제1 층(1)만 가경화 상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S340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900) 사이로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900) 사이의 간격은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일 수 있다.
또한 제3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필요에 따라서는 3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에 적용된 제2 층(2) 또는 제3 층(3)의 형성 방식(가경화 후 완전 경화 방식) 및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에 적용된 제2 층(2)의 형성 방식(완전 경화 후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 코팅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이하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이라 함)(S400)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2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400)은 패턴(610)을 갖는 제1 몰드(6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405), 제1 몰드(6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9)을 덮는 단계(S410), 그리고 기재층(9)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기재층(9)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S415)를 포함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400)은 패턴(710)을 갖는 제2 몰드(700)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S420), 제2 몰드(700)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99)을 덮는 단계(S425), 그리고 이형필름(99)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2)을 형성하는 단계(S4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400)은 이형필름(99)을 제거한 제2 층(2) 상에, 제1 몰드(600)로부터 분리한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제1 층(1)이 제2 층(2)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S435), 그리고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에 광을 투사하여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일체화하고 제2 몰드(700)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120)을 형성하는 단계(S440)를 포함한다.
즉,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400)은 제1 몰드(600) 상에 코팅된 레진에 기재층(9)을 덮은 후 완전 경화시켜 애초에 기재층(9)과 완전히 일체화 된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1)을 형성시킨다는 점에서, 처음에는 가경화 상태로 제1 층(1)을 형성시키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과 차이가 있다. 제1 층(1)이 완전 경화 상태로 형성되더라도 가경화 상태인 제2 층(2)을 접합한 후 완전 경화시키면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제1 층(1) 및 제2 층(2) 중 제2 층(2)만 가경화 상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S440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일 수 있다. S415 단계에서 완전 경화를 위한 광 투사를 통해 제1 층(1)은 기재층(9)과 이미 완전히 일체화된 상태이다. 그리고 S440 단계에서 이렇게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게 되면, 제2 층(2)이 제1 층(1)과 서로 맞붙은 상태에서 완전히 경화되므로, 제2 층(2)도 제1 층(1) 및 기재층(9)과 함께 일체화될 수 있어 2층 광학 필름(120)은 일체성을 갖는 일체형 광학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는, S440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가경화를 위한 광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S440 단계에서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함으로써 2층 광학 필름(120)의 형태로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제2 층(2) 상에 다른 층들을 더 적층하여 3층 또는 4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S440 단계에서는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종 층의 적층 전까지는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고, 최종 층의 적층이 이루어진 다음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함으로써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400)은 필요에 따라서는 3층 이상의 다층 광학 필름의 형성에 있어서는 제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100)에 적용된 제2 층(2) 또는 제3 층(3)의 형성 방식(가경화 후 완전 경화 방식) 및 제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200)에 적용된 제2 층(2)의 형성 방식(완전 경화 후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 코팅 방식) 중 하나 이상을 함께 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제4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S300)은 S440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900) 사이로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900) 사이의 간격은 제2 몰드(700), 제2 층(2), 제1 층(1) 및 기재층(9)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는 앞서 설명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일체형 광학 필름에 관한 것이므로, 앞서 살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참고로, 본원의 다향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은 액정표시장치(LCD)뿐 아니라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의 모든 수광형 표시장치, 간판, 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에 대한 도면(도 12, 도 13, 도 14a, 및 도 14b)을 참조하여,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이하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이라 함)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구성 및 기술적 사항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a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1 층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14b는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1 층의 다른 예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은 기재층(9)을 포함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기재층(9)은 일체형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각 층들의 가장 기초가 되는 층이다. 기재층(9)은 하측으로부터 제1 층(1)으로 광을 전달하는 층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재층(35)은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재층(9)은 폴레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편평한 필름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기재층(9)은 원하는 휘도 및 광 균일도의 확보를 위해 소정의 굴절률 및 광 투과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광판(LGP, Light Guide Plate)이 이러한 기재층(9)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기재층(9)은 도광판일 수 있다. 도광판은 램프(도면 미도시)로부터 입사된 광을 균일한 평면광으로 변환시켜주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으로 아크릴 수지인 PMMA(polymethymethacrylate)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기재층(9) 자체가 도광판이 되는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적용되는 백 라이트 유닛은 보다 슬림하게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기재층(9)은 반드시 도광판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층들의 기초가 되는 층으로서 하측으로부터 제1 층(1)으로 광을 전달할 수 있는 층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은 제1 층(1)을 포함한다.
도 12, 도 13, 및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층(1)은 기재층(9)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11)이 형성된다.
예시적으로 패턴(11)은 도 1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규칙적인 형상 및 배열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랜덤한 크기, 깊이, 모양, 배치 등에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패턴(11)의 형상 및 배열은 원하는 광 확산의 정도, 휘도 확보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제1 층(1)은 경화성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러한 레진은 자외선(UV) 및 적외선(IR)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의 투명한 레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진은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레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층(1)을 형성하는 레진은 경화된 상태에서도 점착성이 유지되는 레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은 제2 층(2)을 포함한다.
제2 층(2)은 제1 층(1)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2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층(2)은 제1 층(1)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제1 층(1)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앞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몰드 및 이형필름이 적용이 유기적으로 연계됨에 따라 제1 층(1)을 지지하는 기재층(9) 이외에는 제2 층(2)을 지지하는 기재층 등 다른 기재층은 전부 생략될 수 있어, 종래의 광학 필름보다 훨씬 슬림한 두께로 일체형 광학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은 일체로 형성된다.
앞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가경화 후 완전 경화 방식과 완전 경화 후 점착성 또는 접착성을 갖는 물질 코팅 방식 중 하나 이상의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2)의 하면은 편평한 상태로 제1 층(1)과 연결될 수 있다.
앞서 본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서 살핀 바와 같이,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제2 층(2) 이상의 층 형성에 있어서는 기재층(9) 대신 이형필름(99)을 이용한 후 제거함으로써, 제1 층(1) 상에 적층되는 제2 층(2)은 편평한 바닥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제2 층(2)의 바닥면이 보다 편평해지게 되면, 바닥면을 통해 입사되는 광의 입사 각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질 수 있어, 광 균일도, 휘도 등의 광학 특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층(2)은 경화성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1 층(1)의 구성을 설명하면서 살핀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은 하나의 광학층(3)(도 15 참조) 또는 복수의 광학층(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이 3층 이상으로 적층되더라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1 층(1)을 지지하는 기재층(9) 이외에는 다른 기재층은 전부 생략될 수 있고, 각 층들은 편평한 바닥면을 가질 수 있게 되며, 각 층들에 형성되는 패턴은 원하는 형태로 명확하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일체형 광학 필름이 3층 이상의 다층으로 구비되더라도, 종래의 다층 광학 필름에 비해 훨씬 슬림하면서도 견고하고, 향상된 광학 특성을 갖는 일체형 광학 필름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광학층(3)이 하나인 경우, 하나의 광학층(3)은 제2 층(2)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31)이 형성된다. 이렇게 광학층(3)이 하나인 경우, 이를 제3 층(3)이라 부르기로 한다. 하나의 광학층(3), 즉 제3 층(3)은 하측의 제2 층(2)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하측의 제2 층(2)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기재층(9), 제1 층(1), 제2 층(2), 및 제3 층(3)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학층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광학층은 제2 층(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면에는 패턴이 형성된다. 이렇게 광학층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광학층 각각은 하측의 제2 층(2) 또는 하측의 광학층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하측의 제2 층(2) 또는 하측의 광학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기재층(9), 제1 층(1), 제2 층(2), 및 복수의 광학층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본 일체형 광학 필름에 대해 상술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원의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을 살핀다. 다만, 본원을 통해 구현되는 일체형 광학 필름은 제1 내지 제5 실시예의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본 일체형 광학 필름에 대한 설명에 대응되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120)은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층(1)은 확산층이고, 제2 층(2)은 굴절층일 수 있다.
확산층은 하측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확산시켜 상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굴절층은 하측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굴절(집광)시켜 상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확산층은 광 확산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광 확산이 다소 작게 이루어져야 하는 기기에서는 확산과 집광의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광 전달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굴절층도 마찬가지로 집광의 정도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층(1)의 패턴(11)은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층(1)의 오목한 형상의 패턴(11)은 제1 층(1)의 층(3)의 상면에서 하향으로 움푹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기재층(9)을 통해 전달된 광은 제1 층에 형성된 오목한 형상의 패턴(11)을 거치면서 보다 균일하게 확산된 상태로 상측의 제2 층(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렇게 확산층에 적용되는 패턴(11)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한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효율적인 광 확산 및 휘도 향상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패턴(11)의 배열 방식 역시 원하는 광 확산의 정도, 휘도 확보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를테면 패턴(11)은 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턴(11)은 하나의 패턴(11)을 다른 6개의 패턴(11)이 둘러싸는 허니콤 구조로 배열될 수 있다. 또는 도 14b를 참조하면 패턴(11은 랜덤(random)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층(2)의 패턴(21)은 제2 층(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프리즘 기둥 형상은 정점이 위로 향한 삼각형 형태(프리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상적인 프리즘의 정점각은 대략 90˚ 정도이며, 보다 효율적인 광 굴절을 위해서는 90˚보다 작은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프리즘 기둥의 형상은 삼각형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굴절 방향 등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각도 및 피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리즘의 표면에는 굴절 방향, 휘도, 광 투과율 등을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미세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5는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원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130)은 기재층(9), 제1 층(1), 제2 층(2), 및 제3 층(3)(즉, 하나의 광학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층(1)은 확산층이고, 제2 층(2) 및 제3 층(3)은 굴절층일 수 있다. 또한, 제1 층(1)의 패턴(11)은 오목한 형상이고, 제2 층(2)의 패턴(21)은 상기 제2 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며, 제3 층(3)의 패턴(31)은 제2 층(2)의 프리즘 기둥 형상의 패턴과 직교하도록 하나의 광학층(3)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16은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120)은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층(1) 및 제2 층(2)은 굴절층일 수 있다. 또한, 제1 층(1)의 패턴(11)은 제1 층(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며, 제2 층(2)의 패턴(21)은 제1 층(1)의 프리즘 기둥 형상의 패턴과 직교하도록 제2 층(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일 수 있다.
도 17은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120)은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층(1)은 굴절층이고, 제2 층(2)은 확산층일 수 있다. 이때, 확산층인 제2 층(2)은 마이크로 렌즈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의 패턴(11)은 제1 층(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고, 제2 층(2)의 패턴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도 18은 본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원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광학 필름(120)은 기재층(9), 제1 층(1), 및 제2 층(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층(1) 및 제2 층(2)은 확산층일 수 있다. 이때, 확산층인 제1 층(1) 및 제2 층(2)은 마이크로 렌즈 필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층(1)의 패턴(11) 및 제2 층(2)의 패턴(21)은 볼록한 형상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해지도록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에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제1 몰드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층의 하면이 상기 제2 층의 편평한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 사이로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가경화를 위한 광이고,
    상기 (h) 단계 이후에,
    (i) 패턴을 갖는 제3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j) 상기 제3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k)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3 층을 형성하는 단계;
    (l)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3 층 상에 상기 2층 광학 필름을 상기 제2 층이 상기 제3 층에 접촉되도록 적층하는 단계; 및
    (m) 상기 제3 층 및 상기 2층 광학 필름에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3 층 및 상기 2층 광학 필름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3 몰드를 분리하여 3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 사이로 상기 제3 몰드, 상기 제3 층, 및 상기 2층 광학 필름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3 몰드, 상기 제3 층, 및 상기 2층 광학 필름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 내지 (m) 단계를 반복하여 n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며,
    상기 n층 광학 필름의 형성을 위해 상기 반복되는 (m) 단계마다 투사하는 광 중 제n 층 및 (n-1)층 광학 필름에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이고, 나머지 광은 가경화를 위한 광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8.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을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해지도록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점착성 또는 접착성 있는 물질을 코팅하고,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제1 몰드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층의 하면이 상기 제2 층의 편평한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 사이로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0.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해지도록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을 완전 경화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제1 몰드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층의 하면이 상기 제2 층의 편평한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 사이로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2.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패턴을 갖는 제1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b) 상기 제1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기재층을 덮는 단계;
    (c) 상기 기재층이 덮인 레진에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완전 경화 상태의 제1 층을 상기 기재층과 일체로 형성하는 단계;
    (d) 패턴을 갖는 제2 몰드 상에 경화성의 레진을 코팅하는 단계;
    (e)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이 편평해지도록 상기 제2 몰드 상에 코팅된 레진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덮는 단계;
    (f) 상기 이형필름이 덮인 레진에 가경화를 위한 광을 투사하여 가경화 상태의 제2 층을 형성하는 단계;
    (g) 상기 이형필름을 제거한 상기 제2 층 상에 상기 제1 몰드로부터 분리한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적층하는 단계; 및
    (h)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에 광을 투사하여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일체화하고 상기 제2 몰드를 분리하여 2층 광학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g) 단계에서, 상기 제1 몰드의 패턴에 대응하는 패턴이 형성된 상기 제1 층의 하면이 상기 제2 층의 편평한 상면에 접촉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에서 투사하는 광은 완전 경화를 위한 광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h) 단계 이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롤 사이로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을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몰드, 상기 제2 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기재층의 전체 두께보다 작거나 같은 크기인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15. 일체형 광학 필름에 있어서,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층; 및
    상기 제1 층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며, 하면이 편평한 상태로 상기 제1 층과 연결되는 제2 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1 층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상기 제1 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재층,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층은 경화성 레진으로 형성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 상에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하나의 광학층 또는 상기 제2 층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면에 패턴이 형성되는 복수의 광학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광학층은 하측의 제2 층 또는 하측의 광학층과의 사이에 별도의 기재층의 부가 없이 상기 하측의 제2 층 또는 하측의 광학층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재층,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광학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확산층이고,
    상기 제2 층은 굴절층이며,
    상기 제1 층의 패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2 층의 패턴은 상기 제2 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확산층이고,
    상기 제2 층은 굴절층이며,
    상기 광학층은 하나이고, 상기 하나의 광학층은 굴절층이며,
    상기 제1 층의 패턴은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2 층의 패턴은 상기 제2 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며,
    상기 하나의 광학층의 패턴은 상기 제2 층의 프리즘 기둥 형상의 패턴과 직교하도록 상기 하나의 광학층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층은 굴절층이고,
    상기 제1 층의 패턴은 상기 제1 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며,
    상기 제2 층의 패턴은 상기 제1 층의 프리즘 기둥 형상의 패턴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2 층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굴절층이고,
    상기 제2 층은 확산층이며,
    상기 제1 층의 패턴은 상기 제1 층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리즘 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2 층의 패턴은 볼록한 형상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마이크로 렌즈 필름으로 구비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층은 확산층이고,
    상기 제1 및 제2 층의 패턴은 볼록한 형상인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마이크로 렌즈 필름으로 구비되는 것인 일체형 광학 필름.
PCT/KR2013/002438 2012-04-10 2013-03-25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WO201315428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7391A KR101209803B1 (ko) 2012-04-10 2012-04-10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KR10-2012-0037391 2012-04-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54280A1 true WO2013154280A1 (ko) 2013-10-17

Family

ID=4790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2438 WO2013154280A1 (ko) 2012-04-10 2013-03-25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09803B1 (ko)
WO (1) WO20131542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9557A1 (ko) * 2016-06-03 2017-12-07 주식회사 엘엠에스 광학시트모듈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66666B1 (ko) * 2018-07-11 2020-01-15 주식회사 네패스디스플레이 광학 필름, 다층 패턴 도광판, 및 다층 패턴 도광판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0389A (ja) * 2006-05-19 2007-11-29 Cayman Islands Shoako Kagi Kofun Yugenkoshi 多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44586B1 (ko) * 2006-11-03 2008-07-09 주식회사 코오롱 휘도향상용 플레이트
KR20110039807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파인텍 액정디스플레이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10056012A (ko) *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 및 빔-정형을 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용 광학 시트
EP2357515A1 (en) * 2010-01-06 2011-08-17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7755A (ja) * 2003-04-16 2004-11-11 Nikon Corp 光学素子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KR101059656B1 (ko) 2010-10-29 2011-08-25 이순옥 광확산기능 일체형 도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용 백라이트 유닛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0389A (ja) * 2006-05-19 2007-11-29 Cayman Islands Shoako Kagi Kofun Yugenkoshi 多層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44586B1 (ko) * 2006-11-03 2008-07-09 주식회사 코오롱 휘도향상용 플레이트
KR20110039807A (ko) * 2009-10-12 2011-04-20 주식회사 파인텍 액정디스플레이용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KR20110056012A (ko) * 2009-11-20 2011-05-26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추출 및 빔-정형을 위한 유기발광표시장치용 광학 시트
EP2357515A1 (en) * 2010-01-06 2011-08-17 LG Innotek Co., Lt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803B1 (ko) 2012-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5580A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12088B1 (ko) 광학시트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11466A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5105317A1 (ko) 광학시트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WO2011081351A2 (ko) 패턴 도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WO2016195300A1 (ko) 확산패턴을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14003389A1 (ko) 적층형 광학시트모듈
WO2010027240A2 (en) Optical sheet and composite sheet with moire fringe,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WO2010033002A2 (ko) 미세복합형상렌즈 및 그 제조방법
WO2016186410A1 (ko) 파티클이 구비된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14104772A1 (ko) 광학시트 모듈
WO201912475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6153192A1 (ko) 필름 터치 센서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15105318A1 (ko) 적층형 광학시트모듈
WO2016114597A1 (ko) 광 리사이클링 향상 시트를 가지는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19059605A2 (ko) 일체형 광학시트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13154280A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WO2016208892A1 (ko) 벤딩 저감이 가능한 반사편광모듈 및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WO2014021594A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WO2018221878A1 (ko) 차폐부가 형성된 광전달유닛,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모듈 및 광전달유닛의 제조방법
WO2019198893A1 (ko) 백라이트 유닛,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WO2017171269A1 (ko) 터치 센서가 일체화된 플렉서블 컬러 필터와 플렉서블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032053A1 (ko) 광학부재 및 그 제조방법
WO2017204413A1 (ko)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88360A1 (ko) 일체형 광학 필름 제조 방법 및 일체형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74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749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