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15555A1 - 진공감전 포충기 - Google Patents

진공감전 포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15555A1
WO2013115555A1 PCT/KR2013/000747 KR2013000747W WO2013115555A1 WO 2013115555 A1 WO2013115555 A1 WO 2013115555A1 KR 2013000747 W KR2013000747 W KR 2013000747W WO 2013115555 A1 WO2013115555 A1 WO 20131155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repeller
vacuum
disposed
ins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74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조이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이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이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155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155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00Manual implements, other than sprayers or powder distributor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e.g. butterfly nets
    • A01M3/005Manual suction tools for catch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6Catching insects by using a suction effe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진공청소기능 및 포충기능을 갖는 진공감전 포충기가 개시된다. 진공감전 포충기는, 포충기 본체와, 포충기 본체에 배치된 스위치와,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모터와,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과, 흡입팬 앞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스위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와, 벌레류 흡입시 이물질 및 벌레류가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감전장치와 흡입팬의 사이에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단백질 타는 냄새와 같은 악취를 필터링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감전 포충기
본 발명은 진공감전 포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능과 포충기능을 갖는 진공감전 포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 파리 및 해충 퇴치방법은 모기장을 치고 모기향을 피워 접근을 막거나,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뿌리거나, 액체나 고체형태의 살충제를 전기를 이용하여 발산시키는 방법 또는 밝은 빛이나 해충들이 좋아하는 물질 등을 이용하여 유인하여 가두어 잡는 방법, 그 외 파리채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가하여 잡고 모기의 경우 맨손으로 잡는 예가 많았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는 사용시 인체에 직/간접적인 해를 줄 우려가 있고, 위생상의 좋지 못한 문제점까지 있다. 특히, 바퀴벌레와 같이 혐오성이 강한 벌레류의 경우, 살충제를 살포하더라도 잘 죽지않고, 타격에 의해 죽이더라도 사체 역시 혐오성이 강한 관계로 사후 처리 역시 여의치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실의 필터를 이용하여 거르는 것에 의해 청소를 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벌레류를 제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특히, 바퀴벌레류와 같은 혐오성이 강한 벌레류를 진공청소기로 흡입하더라도 진공청소기 내의 집진실내에서 생활하거나 번식할 수도 있다. 특히, 집진실의 먼지봉투는 통상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므로 집진실 자체가 벌레류의 온상이 되어 위생환경이 저하될 우려가 높았다.
또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을 빠져 나와 외부로 다시 유출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평상시에는 진공청소모드로만 동작시키고, 벌레류를 포획할 때에는 포충 모드로 동작되어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가 특허출원 제2010-0070447호로 출원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진공포충장치를 이용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단백질 타는 냄새와 같은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능 및 포충기능을 갖고서 벌레류 흡입 및 감전시 발생된 이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감전 포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는, 포충기 본체와,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과, 상기 포충기 본체에 배치되어 상기 진공감전 포충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스위치와, 상기 흡입팬 앞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와, 벌레류 흡입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및 벌레류가 상기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는, 포충기 본체와, 상기 포충기 본체에 배치된 스위치와,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모터와,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 앞에 배치되고 상기 포충기 본체 앞에 고정되어 부착되며,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와, 벌레류 흡입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및 벌레류가 상기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감전장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그릴과, 상기 감전그릴을 전면 및 후면에서 에워싸는 감전그릴 하우징과, 상기 감전그릴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감전그릴에 연결되거나, 상기 감전그릴로부터 연장된 제1 전원연결핀 및 제2 전원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원연결핀들은 각각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홀 및 제2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된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은,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인 형상을 갖고서 상기 감전그릴의 에지부를 둘러싸는 전면부재와, 상기 전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감전그릴을 고정시키는 배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벌레,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와, 상기 필터의 고정 및 착탈을 위한 필터고정판 또는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감전그릴은 정극성부재 및 부극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해 정극성 전원과 부극성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정극성부재 및 상기 부극성부재는 동일 평면상이나, 또는 평행한 두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포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배치된 필터장착부에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포충기 본체에 결합되어 벌레류 및 벌레류의 사체를 모으는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진공감전 포충기는 상기 포집부에 결합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는 나팔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나팔흡입구는 상기 포집부에 결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나팔흡입구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포충기 본체에서 상기 나팔흡입구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눌렸을 때, 눌리는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나팔흡입구의 가장자리가 휘어져 상기 나팔흡입구가 면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형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포충기 본체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감전 살충시 발생되는 벌레류가 타는 냄새가 사용자에게 최소로 전달되도록 상기 배기구는 포충기 본체의 전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포집부는 파이프 형상, 원뿔 형상 및 다각형 뿔 형상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팬 동작시 열리고, 정지시 닫히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진공감전 포충기는 상기 역류방지부재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포집부에 배치된 배출버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배출버튼부는 지지대, 배출버튼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버튼은 슬라이드(Slide) 타입, 푸시(Push) 타입 및 풀(Pull) 타입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감전 살충시 벌레류가 감전장치에 달라붙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감전장치에 붙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상기 배기구에는 필터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감전 포충기에 의하면, 진공청소기능 및 포충기능을 갖고서 벌레류 흡입시 이물질 및 벌레류가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 제거하기 위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와 흡입팬의 사이에 필터부가 배치되므로써,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단백질 타는 냄새와 같은 악취를 필터링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에서 관찰할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관찰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에서 관찰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의 배출버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d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의 배출버튼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배기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배기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진공감전 포충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100)는 포충기 본체(110), 모터(120), 흡입팬(130), 감전장치(140), 필터부(150), 포집부(160), 연장관(170) 및 나팔흡입구(180)를 포함한다.
상기 포충기 본체(110)는 통형상을 갖고 상부에는 손잡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포충기 본체(110)에는 모터(120), 흡입팬(130), 상기 모터(12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지(112), 충전지(112)를 충전하기 위해 마련된 충전단자(113),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터(120)를 구동시키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제어회로(도면부호 미부여) 등이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포충기 본체(110)의 외부에는 스위치(114), 분리버튼(115), 배기구(116) 등이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114)는 진공감전 포충기(100)의 동작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분리버튼(115)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충기 본체(110)로부터 포집부(160)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기구(116)는 손잡이(111)를 통해 진공감전 포충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포충기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어 진공감전 포충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기구(116)는 손잡이(111)를 통해 진공감전 포충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포충기 본체(110)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116)는 포충기 본체(110)의 바닥면 및 상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모터(120)는 상기 포충기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지(112)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기초로 구동되어 상기 흡입팬(130)을 구동시킨다.
상기 흡입팬(130)은 상기 포충기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12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나팔흡입구(180), 상기 연장관(170), 상기 포집부(160), 상기 감전장치(1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배기구(116)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흡입팬(130) 뒤에는 가이드베인(134)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전장치(140)는 상기 흡입팬(130) 앞에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114)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고전압으로 감전사시킨다.
상기 감전장치(140)는 상기 포충기 본체(110)에 고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150)는 감전사된 벌레류가 상기 흡입팬(13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 제거한다.
상기한 필터부는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분리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필터부는 배기구(116)에 추가적으로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포집부(160)는 포충기 본체(110) 앞단에 결합되어 상기 감전장치(140)에 의해 감전사된 벌레류의 사체, 흡입된 먼지류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포집부(160)에는 배출버튼(161)이 배치된다. 상기 배출버튼(161)은 푸쉬형, 슬라이드형, 풀형, 또는 여타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버튼(161)을 통해 역류방지부재(168)를 수동 개방하고, 포충기를 아래로 향하면 상기 포집부(160) 내의 벌레류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장관(170)은 파이프 형상을 갖고서 상기 포집부(160)에 결합된다.
상기 나팔흡입구(180)는 상기 포집부(160) 또는 상기 연장관(1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팔흡입구(180)는 유연하거나,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이나 벽면에 붙은 벌레를 잡기 위해 상기 포충기 본체(110)에서 상기 나팔흡입구(180)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눌렸을 때, 눌리는 각도에 상관없이 상기 나팔흡입구(180)의 가장자리가 휘어져 상기 나팔흡입구(180)가 면에 잘 밀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형 절개부(18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에서 관찰할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정면에서 관찰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배면에서 관찰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감전장치(140)는 감전그릴(141), 감전그릴 하우징(142), 제1 전원연결핀(145) 및 제2 전원연결핀(146)을 포함하고, 필터부(150) 앞에 배치된다.
상기 감전그릴(141)은 벌레류를 감전사시킨다. 상기 감전그릴(141)은 상기 제1 전원연결핀(145)을 통해 정극성 전원을 공급받는 정극성부재(141a)와 상기 제2 전원연결핀(146)을 통해 부극성 전원을 공급받는 부극성부재(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극성부재(141a) 및 상기 부극성부재(141b)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정극성부재(141a) 및 상기 부극성부재(141b)는 빗(comb)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정극성부재(141a) 및 상기 부극성부재(141b)는 각각 평행한 두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은 전면부재(142a) 및 배면부재(142b)로 이루어져, 상기 감전그릴(141)을 전면 및 후면에서 에워싼다. 상기 전면부재(142a)는 링형상을 갖고서 상기 감전그릴(141)의 에지부를 둘러싼다. 상기 배면부재(142b)는 상기 전면부재(142a)에 결합되어 상기 감전그릴을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면부재(142b)는 격자부(도면부호 미부여)와 상기 격자부를 둘러싸는 테두리(도면부호 미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격자부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면부재(142b)는 링 형상의 테두리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은 원형상을 갖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다각형 형상 또는 원형상과 다각형 형상이 조합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전원연결핀(145)은 일단이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에 형성된 제1 홀을 통해 관통되어 상기 감전그릴(141)에 접촉된다.
상기 제2 전원연결핀(146)은 일단이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관통되어 상기 감전그릴(141)에 접촉된다.
상기 제1 전원연결핀(145) 및 상기 제2 전원연결핀(146)은 상기 필터 고정판(144)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원연결핀(145) 및 상기 제2 전원연결핀(146)은 별도의 구성품이 아닌, 상기 감전그릴(141)로부터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150)는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의 후면에 배치되어 감전사된 벌레류가 흡입팬(13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 제거한다. 상기 필터부(150)는 활성탄으로 구성된 탈취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부(150)는 공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분진, 진드기 사체, 꽃가루, 담배연기(입자), 부유곰팡이균, 동물털 등과 같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or)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파필터는 0.3㎛ 이상의 미세먼지뿐 아니라 박테리아 및 바이러스 등을 99.97%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탈취필터와 헤파필터 모두가 채용될 수도 있고, 둘중 어느 하나가 채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헤파필터 대신 일반적인 섬유(fiber)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150) 뒤에는 필터고정판(144) 및 고무링(147)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링은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판(144)은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142)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150)를 고정시킨다.
상기 고무링(147)은 상기 감전장치(140)가 상기 포충기 본체(110)에 결합될 때 밀봉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필터고정판(144)에 결합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필터고정판(144), 또는 상기 필터고정판(144)과 상기 고무링(147) 대신 상기 필터(150)에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필터의 고정 및 밀봉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16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16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7c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160)의 배출버튼(16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d는 도 1에 도시된 포집부(160)의 배출버튼(161)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포집부(160)는 나팔형상의 하우징부재(162), 배출버튼(161), 지지대(166) 및 역류방지부재(168)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부재(162)는 입구부와 상기 입구부보다 큰 출구부를 갖는 확장된 구조의 나팔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부재(162)에는 입구부에 근접하게 배출버튼 장착홀(162a)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버튼(161)은 상기 하우징부재(162)에 형성된 배출버튼 장착홀(162a)을 통해 돌출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재(162)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대(166)는 상기 배출버튼(16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하우징부재(162)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재(162)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166)의 일측에는 스프링(167)이 고정되도록 고정돌기(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67)의 일측은 상기 지지대(166)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결합되고, 타측은 배출버튼(161)에 형성된 고정돌기(도면부호 미부여) 또는 고정홈에 결합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68)는 상기 하우징부재(162)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일측부가 지지대의 측면에 체결된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배기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배기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단면평면도이다. 배기구(air exhaust damper)는 제1 배기구와 상기 제1 배기구에 마주하는 제2 배기구로 이루어져, 진공감전 포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 진공감전 포충기를 관찰할 때, 포충기 본체(1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배기구를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포충기 본체(110)에는 흡입팬(130), 가이드베인(134), 상기 흡입팬(130)을 구동하는 모터(120)가 배치된다. 가이드베인(134)의 에지부와 모터(120)에 근접하는 영역에 대응하여 포충기 본체(110)에는 배기통로(AEP)가 형성되고, 배기통로(AEP)는 포충기 본체(110)에 형성된 배기창(air outlet)(AO)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감전 포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관점에서 진공감전 포충기를 관찰할 때, 흡입팬(13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1시 내지 2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1 배기구에 대응하는 배기창은 포충기 본체(110)에 형성되고, 흡입팬(130)의 구동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10시 내지 11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제2 배기구에 대응하는 배기창은 포충기 본체(110)에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배기구가 포충기 본체(110)의 좌우로 배치되어 XY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배기구가 포충기 본체(110)의 상하로 배치되어 XZ 평면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감전장치는 포충기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고, 포충기 본체에 고정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2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특히, 분리형 감전장치를 갖는 진공감전 포충기(200)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200)는 포충기 본체(110), 스위치(114), 모터(120), 흡입팬(130), 감전장치(240), 필터부(250), 포집부(160), 연장관(170) 및 나팔흡입구(180)를 포함한다. 도 1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전장치(240)는 상기 흡입팬(130) 앞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114)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킨다.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해 감전장치(240)는 전원연결부(24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감전장치(240)와 흡입팬(130)간에 배치된다.
상기 감전장치(240) 및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흡입팬(130) 앞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예컨대, 상기 감전장치(240) 및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포집부(160)에 결합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포집부(160)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상기 포충기 본체(110)에 결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감전장치(240)는 상기 포집부(16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스위치(114)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시키고, 상기 필터부(250)는 상기 감전장치(240)의 후단에 배치되어 벌레류를 흡입 및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벌레류의 사체, 먼지, 세균 등과 같은 이물질 또는 벌레류가 타는 냄새를 필터링 제거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3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특히, 고정형 감전장치를 갖는 진공감전 포충기(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감전 포충기(300)는 포충기 본체(110), 스위치(114), 모터(120), 흡입팬(130), 감전장치(340), 필터부(350), 포집부(160), 연장관(170) 및 나팔흡입구(180)를 포함한다. 도 1과 비교할 때,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전장치(340)는 상기 흡입팬(130) 앞에 배치되고 상기 포충기 본체(110) 앞에 부착되며, 상기 스위치(114)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킨다.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감전장치(340)와 흡입팬(130)간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흡입팬(130) 앞에 배치된 필터장착부(352)에 슬라이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감전장치(340)는 상기 필터장착부(352)의 앞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감전장치(340)는 포충기 본체(110)에 형성된 필터장착부(352)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114)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시키고, 상기 필터부(350)는 상기 필터장착부(352)에 끼워져 벌레류를 흡입 및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벌레류의 사체, 먼지, 세균 등과 같은 이물질을 차단, 또는 벌레류 타는 냄새를 필터링 제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벌레류 흡입시 쓰레기류, 세균 등과 같은 이물질 및 벌레류가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 또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 제거하기 위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와 흡입팬의 사이에 필터부가 배치되므로써,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때 발생되는 단백질 타는 냄새와 같은 악취를 필터링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 진공감전 포충기 110 : 포충기 본체
112 : 충전지 113 : 충전단자
114 : 스위치 115 : 분리버튼
116 : 배기구 120 : 모터
130 : 흡입팬 134 : 가이드베인
140, 240, 340 : 감전장치 141 : 감전그릴
142 : 감전그릴 하우징 150, 250, 350 : 필터부
144 : 필터고정판 145 : 제1 전원연결핀
146 : 제2 전원연결핀 147 : 고무링
142a : 전면부재 142b : 배면부재
160 : 포집부 162 : 하우징부재
161 : 배출버튼 166 : 지지대
168 : 역류방지부재 170 : 연장관
180 : 나팔흡입구

Claims (20)

  1. 포충기 본체;
    상기 포충기 본체 일단에 배치된 스위치;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모터;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 앞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 및
    벌레류 흡입시 이물질 및 벌레류가 상기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의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2. 포충기 본체;
    상기 포충기 본체 일단에 배치된 스위치;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된 모터;
    상기 포충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 앞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조작에 따라 흡입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 및
    벌레류 흡입시 이물질 및 벌레류가 상기 흡입팬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분리 가능하도록 배치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장치는,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그릴;
    상기 감전그릴을 전면 및 후면에서 에워싸는 감전그릴 하우징; 및
    상기 감전그릴에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그릴은 정극성부재 및 부극성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해 정극성 전원과 부극성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정극성부재 및 상기 부극성부재는 동일 평면상이나, 또는 평행한 두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은,
    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의 조합인 형상을 갖고서 상기 감전그릴의 에지부를 둘러싸는 전면부재; 및
    상기 전면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감전그릴을 고정시키는 배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감전그릴에 연결되거나, 상기 감전그릴로부터 연장된 제1 전원연결핀 및 제2 전원연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전원연결핀들은 각각 상기 감전그릴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제1 홀 및 제2 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포충기 본체에 마련된 전원공급부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8.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이물질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및
    상기 필터의 고정 및 착탈을 위한 필터고정판 또는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포충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배치된 필터장착부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 본체에 결합되어 벌레류 및 벌레류의 사체를 모으는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파이프 형상, 원뿔 형상 및 다각형 뿔 형상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의 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팬 동작시 열리고, 정지시 닫히는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를 수동으로 개방하기 위해 상기 포집부에 배치된 배출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버튼부는 지지대, 배출버튼 및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버튼은 슬라이드(Slide) 타입, 푸시(Push) 타입 및 풀(Pull) 타입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에는 나팔흡입구가 더 연결되며,
    상기 나팔흡입구에는 상기 포충기 본체에서 상기 나팔흡입구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눌렸을 때, 가장자리가 휘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형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와 상기 나팔흡입구 간에는 연장관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충기 본체에는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에는 이물질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19.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감전 살충시 벌레류가 감전장치에 달라붙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감전장치에 붙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감전 살충시 발생되는 벌레류가 타는 냄새가 사용자에게 최소로 전달되도록 상기 배기구는 포충기 본체의 전면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감전 포충기.
PCT/KR2013/000747 2012-01-30 2013-01-30 진공감전 포충기 WO20131155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46 2012-01-30
KR1020120009246A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01-30 진공감전 포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15555A1 true WO2013115555A1 (ko) 2013-08-08

Family

ID=4728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747 WO2013115555A1 (ko) 2012-01-30 2013-01-30 진공감전 포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89809B1 (ko)
WO (1) WO201311555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995B2 (en) 2015-03-06 2017-11-07 John Foster Insect trapping device
TWI839207B (zh) 2023-05-08 2024-04-11 何易璋 具電擊模組之吸塵器轉接裝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1304B (zh) * 2013-08-21 2014-12-24 长江大学 一种旋风式负压气流捕虫机
CN105309407A (zh) * 2014-07-04 2016-02-10 秦秋波 捕蚊器
KR101624159B1 (ko) 2014-11-04 2016-06-07 조이넥스(주) 진공청소기
KR102303623B1 (ko) * 2017-09-06 2021-09-16 연암 유한회사 습기 포집장치
KR102231444B1 (ko) * 2018-02-01 2021-03-25 연암 유한회사 제습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747A (ja) * 1997-09-30 1999-04-20 Neotec Japan:Kk 虫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82524Y1 (ko) * 1999-12-27 2000-05-15 오기수 해충 퇴치장치
KR100936094B1 (ko) * 2007-08-06 2010-01-11 정진원 파리의 유인포집장치
KR101019040B1 (ko) * 2010-07-21 2011-03-03 김영식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27650A4 (en) 2004-11-30 2013-02-20 Alpha Technologies Corp Ltd IMPROVED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STERILIZATION FIL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747A (ja) * 1997-09-30 1999-04-20 Neotec Japan:Kk 虫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82524Y1 (ko) * 1999-12-27 2000-05-15 오기수 해충 퇴치장치
KR100936094B1 (ko) * 2007-08-06 2010-01-11 정진원 파리의 유인포집장치
KR101019040B1 (ko) * 2010-07-21 2011-03-03 김영식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7995B2 (en) 2015-03-06 2017-11-07 John Foster Insect trapping device
TWI839207B (zh) 2023-05-08 2024-04-11 何易璋 具電擊模組之吸塵器轉接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809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15555A1 (ko) 진공감전 포충기
WO2011027996A2 (en) Air conditioner
CN108488090B (zh) 送风机
US6226919B1 (en) Insect vacuum trap
KR101283662B1 (ko) 해충 포집장치
US6651380B2 (en) Insect collection device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20120055073A1 (en) Insect catc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900046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123248B1 (ko) 해충 박멸장치
CN201178641Y (zh) 改良的诱捕飞行昆虫装置
CN209898056U (zh) 一种杀虫灯风扇
KR101270820B1 (ko) 해충 자동흡입 및 배출 포충기
KR101105832B1 (ko) 점착시트가 구비된 빛 유인식 포충기
WO2022078507A1 (zh) 灭蚊装置
WO2012011729A2 (ko)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WO2016137084A1 (ko) 위생 포충기
KR101127975B1 (ko) 곤충퇴치기
KR102519804B1 (ko) 메쉬형 전극판을 갖는 매개모기 자동 분석 장치
KR200407272Y1 (ko) 흡입식 포충기
CN206275023U (zh) 一种蚊虫诱捕器
KR101076259B1 (ko) 해충 포획장치
CN110708955A (zh) 送风装置
CN209121052U (zh) 一种养鸭场诱虫灯
KR100426496B1 (ko) 해충 퇴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43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8/10/2014)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43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