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040B1 -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040B1
KR101019040B1 KR1020100070447A KR20100070447A KR101019040B1 KR 101019040 B1 KR101019040 B1 KR 101019040B1 KR 1020100070447 A KR1020100070447 A KR 1020100070447A KR 20100070447 A KR20100070447 A KR 20100070447A KR 101019040 B1 KR101019040 B1 KR 10101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suction
power
mod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00070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9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040B1/ko
Priority to PCT/KR2011/005324 priority patent/WO2012011729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8Dual-powered vacuum cleaners, i.e. devices which can be operated with mains power supply or by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가 개시된다.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는 파이프형 본체와,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전원부와,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가 제공됨에 따라 벌레류 감전사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 충격으로 감전사시켜,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하는 감전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혐호성이 강한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에 고전압의 전기를 가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므로써, 생활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ELECTRIC SHOCK DEVICE FOR A VACUUM CLEANER,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AND DEVICE FOR CAPTURING BUGS}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 파리 및 해충 퇴치방법은 모기장을 치고 모기향을 피워 접근을 막거나, 스프레이 형태의 살충제를 뿌리거나, 액체나 고체형태의 살충제를 전기를 이용하여 발산시키는 방법 또는 밝은 빛이나 해충들이 좋아하는 물질 등을 이용하여 유인하여 가두어 잡는 방법, 그 외 파리채 등을 이용하여 타격을 가하여 잡고 모기의 경우 맨손으로 잡는 예가 많았다.
하지만, 다양한 형태의 살충제는 사용시 인체에 직/간접적인 해를 줄 우려가 있고, 위생상의 좋지 못한 문제점까지 있다. 특히, 바퀴벌레와 같이 혐호성이 강한 벌레류의 경우, 살충제를 살포하더라도 잘 죽지않고, 타격에 의해 죽이더라도 사체 역시 혐호성이 강한 관계로 사후 처리 역시 여의치 않은 단점이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는 흡입모터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실의 필터를 이용하여 거르는 것에 의해 청소를 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벌레류를 제거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특히, 바퀴벌레와 같은 혐호성이 강한 벌레류를 진공청소기로 흡입하더라도 진공청소기 내의 집진실내에서 생활하거나 번식할 수도 있다. 특히, 집진실의 먼지봉투는 통상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것이므로 집진실 자체가 벌레류의 온상이 되어 위생환경이 저하될 우려가 높았다.
또한, 진공청소기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집진실을 빠져 나와 외부로 다시 유출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기에 채용되어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진공청소모드로만 동작시키고, 벌레류를 포획할 때에는 포충 모드로 동작되어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를 배출하기 위한 진공포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는 파이프형 본체와,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전원부와,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가 제공됨에 따라 벌레류 감전사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 충격으로 감전사시켜,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하는 감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르면, 흡입모터, 전원공급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는 작동스위치부 및 감전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상기 흡입모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배치된다.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피청소물이 상기 집진부에 도달되는 흡입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스위치부가 온 되었을 때, 상기 흡입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가하여 상기 벌레류를 감전사시킨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는 본체, 감전장치, 작동스위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한다.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흡입모터 앞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 및 사살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감전모드, (ii) 흡입된 벌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역회전 전원을 공급하는 배출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를 포함하는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는 본체, 감전장치, 작동스위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한다.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흡입모터 앞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 및 사살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감전모드, (ii) 벌레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는 본체, 감전장치, 작동스위치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한다.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상기 흡입모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모드, (ii) 흡입된 벌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역회전 전원을 공급하는 배출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이러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에 의하면, 혐호성이 강한 벌레류를 포획하거나 포획된 벌레류에 고전압의 전기를 가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고 감전사된 벌레의 처리를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함으로써, 생활 환경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회동날개가 결합된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e는 도 4d에 도시된 감전절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c에 도시된 감전절편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더욱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경사각도 조절용 감전절편의 각도 조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구성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형 진공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노즐형 및 휴대형 진공청소기에 채용되는 감전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진공청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진공청소기 내부에 채용되는 감전장치의 구조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진공포충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시예 1-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100)는 파이프형 본체(110), 전원부(120), 전원스위치(130) 및 감전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는 제1 단과 제2 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상을 갖는다.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단부에는 다른 파이프가 조립되도록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타단부에는 다른 파이프가 조립되도록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제1 단을 관찰할 때,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단부에 형성된 오목부는 12시 방향에 형성되고, 타단부에 형성된 오목부는 3시 방향에 형성된다.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된다.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전원부(120)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된다. 상기 전원부(12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연결부(미도시)와,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해 제공받은 전원을 벌레류 감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외부 전원부, 예를들어, 청소기 본체(미도시)에 배치된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전원부(120)가 파이프형 본체(110)의 외주면에 부착되도록 상기 전원부(120)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재(122)와 수납된 전원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뚜껑(1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22)는 복수의 스크류들(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부(12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전원스위치(130)는 복수의 스크류들(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감전부재(140)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전원스위치(130)의 제어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전원부(120)로부터 전기가 제공됨에 따라 벌레류 감전사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단부로부터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하여 감전사시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한다. 상기 감전부재(140)와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위해 절연 파이프(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 파이프(142)는 원통 등의 적절한 형상을 갖고서, 상기 감전부재(140)를 수납한다.
상기 감전부재(140)는 흡입되는 유입물이 중간에 걸리지 않으면서 벌레 감전에 유용한 내부 구조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감전절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감전절편들은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찰할 때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되도록 서로 교차 배치된다. 상기한 감전절편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100)는 역류방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50)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개폐되어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 내로 유입된 벌레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외부에는 상기 역류방지부재(150)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15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59)는 복수의 스크류(도면부호 미부여)에 의해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부재(150)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역류방지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스프링을 통해 회동날개가 결합된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역류방지부재(150)는 지지부재(152), 복수의 스프링들(154), 복수의 회동날개들(156) 및 날개조정부재(158)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52)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고, 동일한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홀들(152a)을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152)에서 일부들은 개구되어 상기 날개조정부재(158)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들(152b, 152c)을 정의한다.
상기 스프링(154)은 상기 지지부재(152)에 형성된 홀들(152a) 각각을 통해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날개조정부재(158)에 결합되고, 상기 스프링의 타단은 상기 회동날개(156)에 결합된다.
상기 회동날개(156)는 상기 스프링(154)에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동날개(15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픈되어 상기 벌레류의 유입을 허용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폐쇄되어 상기 벌레류의 유출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날개(156)는 4개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오픈 또는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회동날개들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1개 또는 2개, 3개, 5개 등 임의의 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날개조정부재(158)는 상기 스프링(154)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152)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되어 회동날개의 각도를 조정한다.
또한, 회동날개 각도 조절 기능이 없는 역류방지부재(미도시)는 도 3a 및 도 3b에서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만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를 스프링(154)으로 연결하는 방법, 또는,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를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하고 탄력적인 재질로 통짜 성형하는 방법으로, 이 경우 필요시 개폐를 위해 접히는 부분을 적절히 절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류방지부재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되는 바람의 힘에 의해 회동날개(156)가 개폐된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140)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감전부재(140)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파이프(142) 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전부재(140)는 다양한 곡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나선형 코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파이프형 본체를 통과하면서 어느 한 부분에서는 나선형 코일에 충돌되어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함이다. 예를들어, 파이프형 본체(110)의 유입구측에 근접해서는 나선형 코일의 곡류형상이 크고, 파이프형 본체(110)의 유입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나선형 코일의 곡류형상이 작아지는 형상이 반복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전부재(140)인 나선형 코일은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된다.
도 4b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류가 흐르도록 형성된 나선형 코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나선형 코일은 제1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제1 극성 도전라인(CLA)과, 제2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제2 극성 도전라인(CLB)과,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CLA)과 제2 극성 도전라인(CLB)을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부재(CLC)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1 극성 도전라인(CLA)에는 마이너스(-) 전류가 흐르게 구성하면, 제2 극성 도전라인(CLB)에는 플러스(+) 전류가 흐르게 하여 그 사이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흐를 때 충돌하는 벌레류는 감전되어 감전사 당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나선형 코일은 제1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제1 극성 도전라인과, 제1 절연부재와, 제2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제2 극성 도전라인과, 제2 절연부재와, 제1 극성의 전류가 흐르는 제3 극성 도전라인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극성 도전라인 및 제3 극성 도전라인에는 마이너스(-) 전류가 흐르게 구성하면, 제2 극성 도전라인에는 플러스(+) 전류가 흐르게 하여 그 사이에 고전압이 발생하여 흐를 때 충돌하는 벌레류는 감전되어 감전사 당할 수 있다.
도 4c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특히, 울퉁불퉁한 내부 측벽에 복수의 감전절편들이 배치된 예가 도시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감전부재(140a)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파이프(142) 내에 배치되되, 울퉁불퉁한 내부 측벽에 배치된 복수의 감전절편들(140a1, 140a2, 140a3, 140a4)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감전절편들(140a1, 140a2, 140a3, 140a4)은 내부 측벽에 벌레류가 충돌될 확률이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해당 벌레류에 전기를 공급한다. 도 4c에서, 관찰자가 관찰할 때, 도면의 좌측은 벌레류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해당하고, 도면의 우측은 벌레류가 유출되는 유출구에 해당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감전절편들(140a1, 140a2, 140a3, 140a4)에 전기를 공급하는 별도의 전원선이 더 배치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4c에서는 내부 측벽의 형상이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공기의 흐름에 변형을 주어 진공흡입된 벌레가 흡입경로 상에서 충돌되도록 지그재그형상의 커브 형태인 예가 도시되었다. 하지만, 상기 내부 측벽의 형상은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일자형상 혹은, 곡선형상, 나선형상, 물결형상 중 어느 하나의 커브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 측벽의 형상은 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L-자형상, S-자형상, P-자형상, U-자형상, V-자형상 중 어느 하나의 트랩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커브형태 및 상기 트랩형태의 조합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감전절편들(140a1, 140a2, 140a3, 140a4)은 상기 내부 측벽 전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일부에만 부착될 수도 있다. 도 4c에서는 상기 감전절편들(140a1, 140a2, 140a3, 140a4)이 내부 측벽의 일부에만 부착된 예가 도시되었다.
도 4d는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감전부재(140b)는 파이프형 본체(110)의 유입구측에서 유출구 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감전절편들(140b1)로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절연파이프(142) 내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한다. 상기 감전절편들은 서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내부 측벽에는 벌레류가 충돌함에 따라 해당 벌레류에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한 감전절편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감전부재(140, 140a, 140b)의 내부는 벌레류뿐만 아니라 피청소물도 원활히 흡입 통과시켜야 하며, 흡입되는 벌레류가 감전되기 유용한 구조로 구성되어야 한다. 즉, 전술된 예시와 같이 상기 감전부재는 내부에 적절한 변형을 주어 유입물의 내부 충돌은 잦으나 중간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도 4e는 도 4d에 도시된 감전절편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e를 참조하면, 감전절편(140b1)은 제1 극성 도전라인(b11), 제2 극성 도전라인(b12) 및 절연부재(b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은 사형 구조(또는 지그재그 구조)로 이루어져 제1 극성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은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과 오버레이되도록 사형구조로 이루어져 제2 극성의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과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은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격자 형상을 정의한다. 상기 격자 형상의 단위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격자 형상의 단위 크기는 감전사시키고자 하는 벌레류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전절편은 격자 형상 이외에도 극성이 다른 두 도전라인이 나란하거나 교차된 형태의 지그재그, 곡선, 물결, 혹은 ㄹ자 등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등 벌레 감전에 효과적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절연부재(b13)는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 및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간에 게재되어,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과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상기 감전절편(140b1)에 전기가 흐르더라도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과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은 전기적으로 쇼트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상기 격자 형상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으로 벌레류가 유입되면, 상기 벌레류에는 상기 제1 극성 도전라인(b11)과 상기 제2 극성 도전라인(b12)에 흐르는 전원에 의해 감전사된다.
상기한 감전절편(140b1)은 도 4c에 도시된 감전부재(140a)의 내부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c에 도시된 감전절편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종단면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전절편은 격자 형상으로만 도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감전 절편은, 도 4e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극성 도전라인, 제2 극성 도전라인 및 상기 제1 및 제2 극성 도전라인들간에 게재된 절연부재에 의해 구성됨은 자명하다.
도 5a를 참조하면,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1 감전절편은, 종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4사분면 상에 배치되되, 에지면이 1시와 8시 방향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1 감전절편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가장 먼저 충돌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2 감전절편은, 종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1사분면 상에 배치되되, 에지면이 4시와 11시 방향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2 감전절편은 상기 제1 감전절편에서 충돌된 벌레류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3 감전절편은, 종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3사분면 상에 배치되되, 에지면이 4시와 10시 방향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3 감전절편은 상기 제1 감전절편 또는 상기 제2 감전절편에서 충돌된 벌레류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4 감전절편은, 종단면상에서 관찰할 때, 2사분면 상에 배치되되, 에지면이 2시와 7시 방향을 연결하는 라인상에 배치된다. 예를들어, 상기 제4 감전절편은 상기 제1 감전절편 또는 상기 제2 감전절편, 상기 제3 감전절편에서 충돌된 벌레류 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감전절편들을 파이프형 본체내에 여러 각도로 배치하므로써, 파이프형 본체를 통해 유입된 벌레류는 어느 하나의 감전절편에 접촉되어 감전사 당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감전부재의 더욱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전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경사각도 조절용 감전절편의 각도 조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감전부재(140)는 몸통부재(1412), 복수의 감전절편들(1414) 및 각도 조정부재(1416)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벌레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하여 감전사시킨다.
상기 몸통부재(1412)는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서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몸통부재(1412)에서 일부들은 개구되어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들(1412a, 1412b)을 정의한다.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는 상기 가이드부재들(1412a, 1412b)을 통해 상기 몸통부재(1412)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감전절편들(1414)과 상기 파이프형 본체(110)간의 경사 각도는 조정될 수 있다.
상기 감전절편들(1414)은 상기 몸통부재(1412) 내부에 배치되고, 고정부재(1414a)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의 제어에 의해 각도가 조정된다.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는 상기 감전절편들(1414)의 경사 각도를 조정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 도면부호 1416a는 유동부재이다. 상기 유동부재 (1416a)는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에 배치되어 상기 각도 조정부재(1416)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감전절편(1414)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진공청소기에 채용되어 일측부를 통해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가하여 감전사시켜 타측부를 통해 유출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혹은 감전장치를 채용하는 노즐형 진공청소기 및 감전장치를 포함하는 휴대형 진공청소기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노즐형 진공청소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형 진공청소기(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형 진공청소기(200)는 청소기 본체(210), 유입호스부(220), 흡입브러시(230), 손잡이부(240), 흡입관 연장부(250) 및 감전장치(26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210)에는 진공흡입수단(미도시)과 집진장치(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유입호스부(220)가 연결된다.
상기 흡입브러시(230)는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에 연결되고, 상기 진공흡입수단의 구동에 따라 바닥면에 존재하는 피청소물을 흡입하여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 상기 감전장치(260), 상기 손잡이부(240) 및 상기 유입호스부(220)를 경유하여 상기 청소기 본체(210)에 설치된 집진장치에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유입호스부(220)와 상기 감전장치(260)간에 조립된다. 상기 손잡이부(240)나 상기 청소기 본체(210)에는 진공청소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별도의 작동스위치부가 배치된다. 도 8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40)에 작동스위치부(242)가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는 상기 흡입브러시(230)와 상기 감전장치(260)간에 조립된다.
상기 감전장치(260)는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와 상기 손잡이부(240)간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전장치(260)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7c에서 설명되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전장치(260)와 손잡이부(240)간에는 별도의 제1 연결관 조립체(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감전장치(260)와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간에는 별도의 제2 연결관 조립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 조립체는 상기 감전장치(260)의 직경과 상기 손잡이부(240)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해 연결할 수 없는 경우, 채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연결관 조립체의 직경은 상기 감전장치(260) 및 상기 손잡이부(24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일단을 통해 상기 감전장치(260) 내에 끼워 맞추고, 타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부(240) 내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상기 감전장치(260)와 상기 손잡이부(240)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연결관 조립체의 직경은 상기 감전장치(260) 및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되어 일단을 통해 상기 감전장치(260) 내에 끼워 맞추고, 타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 내에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상기 감전장치(260)와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감전장치(260)의 전원 공급은 도 1 및 도 2에서 전술한 것과 같으며, 상기 감전장치(260)의 전원스위치는 파이프형 본체에 부착된 스위치가 사용되거나, 상기 노즐형 진공청소기의 작동스위치부와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브러시(230)를 통해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가하여 해당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해 상기 감전장치(260)가 상기 흡입관 연장부(250)와 상기 손잡이부(240)간에 배치되어 이용되는 것이 설명되었다. 하지만, 상기 감전장치(260)를 배치시키지 않고, 상기 진공청소기(200) 내부에 별도의 감전장치를 더 구비하여 유입호스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가하여 해당 벌레류를 감전사시킬 수도 있다. 상기 감전장치는 유입호스부(220)와 집진장치 사이에 배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노즐형 진공청소기에 채용되는 감전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감전장치(500)는 감전장치케이스(510), 감전부재(520) 및 전원연결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감전장치케이스(510)는 원통형상 또는 다각형 박스 등의 적절한 형상을 갖고서 내부에는 유입호스부(220)를 통해 유입되는 피청소물 또는 벌레류를 집진장치에 도달되도록 곡선 형상의 공기 유로(5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는 공기 유로(512)는 S-자 형상을 갖는 것이 도시되었으나, 공기의 흐름을 적절히 변경하여 유입물이 상기 공기 유로(512)에 충돌은 잦으나 중간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되도록 지그재그형상, P-자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측에 역류방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한 역류방지부재는 도 3a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전부재(520)는 상기 공기 유로(512)에 부착되어 상기 감전장치케이스(5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흐르는 벌레를 감전사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감전부재(520)는 제1 감전절편(522) 및 제2 감전절편(5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감전절편들(522, 524)은 벌레류의 충돌 확률이 높은 영역이나 전체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감전절편들(522, 524)은 도 4e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전원연결부(530)는 제1 극성단자(532)와 제2 극성단자(534)를 포함하고 상기 감전부재(520)와 연결되고, 상기 감전장치케이스(5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감전부재(520)에 제공하는 일종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원연결부(530)와 상기 감전부재(520)는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별도의 전원선이 더 구비됨은 자명하다.
또한, 상기 감전장치(500)는 후술되는 휴대형 진공청소기(300)에서 설명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같은 변형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노즐형 진공청소기(200)에는 작동스위치부(2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스위치부(242)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작동스위치부(242)가 단일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i) 스위치는 흡입감전모드 및 정지모드로 구성되거나, (ii)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및 정지모드로 구성되며, 흡입감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감전장치(500)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부(242)가 둘 이상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감전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어 흡입스위치와 독립적인 감전스위치로 상기 감전장치(500)에 전원 공급을 선택하거나, (i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감전선택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어 흡입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흡입스위치에 종속적인 감전선택스위치로 상기 감전장치(500)에 전원 공급을 선택하거나, (ii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흡입감전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부(242)는 상기 손잡이부(240) 혹은 상기 청소기 본체(210) 등 일측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상기 감전장치(260 및 500)가 상기 노즐형 진공청소기(200)에 사용되는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감전장치(260 및 500)는, 후술되는 휴대형 진공청소기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2-휴대형 진공청소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진공청소기(300)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진공청소기(300)는 청소기 본체(310), 흡입부재(320), 연결부(325) 및 감전장치(330)를 포함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310)는 프론트 케이스(311)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311)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313)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전원부(314)를 통해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흡입 동작을 위한 흡입모터(315)와,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동작에 의해 유입되는 피청소물을 저장하는 집진실(317)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부재(320)는 청소기 본체(310)의 연결부(325)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모터(315)의 동작에 따라 외부의 피청소물을 흡입하여 상기 집진실(317)에 제공한다.
상기 감전장치(330)는 상기 연결부(325)와 상기 집진실(317)간에 배치되어 상기 피청소물에 포함된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하여 상기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고, 감전사된 벌레류를 상기 집진실(317)에 제공한다. 상기 감전장치(330)는 상기 벌레류를 감전사시키기 위해 감전절편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 감전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감전장치(330)는 노즐형 진공청소기(20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의 감전장치(5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도 11a 내지 도 11c와 같이 변형된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진공청소기 내의 감전장치(330)의 구조의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상기 감전장치(330)도 전술된 감전장치(500)와 같이 그 기본적인 사상은 내부를 적절히 변형하여 유입물의 내부 충돌은 잦으나 중간에 걸리지 않고 쉽게 통과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장치(330)는 유입구측의 면적과 유출구측의 면적이 동일한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전장치의 내측에는 감전절편(332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전절편(332a)은 도 4e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감전장치의 유입구를 통해 벌레류가 흡입되고, 유출구를 통해 상기 벌레류가 배출될 때, 상기 감전절편(332a)이 배치되는 감전장치의 내측은 상기 벌레류의 충돌 확률이 높은 영역이거나 전체 영역일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장치(330)는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전장치의 내측에는 감전절편들(332b, 332c)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전절편들(332b, 332c)은 도 4e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장치(330)는 유입구측의 면적이 유출구측의 면적보다 작은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전장치의 내측에는 감전절편(332d)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전절편(332d)은 도 4e에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감전장치는 도 4c 및 도 4d와 비슷하게 그 내부가 지그재그 혹은 그와 유사한 변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흡입된 바람의 진행 방향을 변화시켜 충돌될 확률이 높은 내벽이나 전체 내벽에 감전절편을 배치할 수 있다. 감전절편은 도 4e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또한, 감전장치에는 청소기로부터 전원 연결을 위한 전원 연결부 및 공급받은 전원을 벌레 감전에 적절하도록 전압을 높여주는 승압부가 추가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휴대형 진공청소기(300)에도 작동스위치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스위치부(미도시)는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상기 작동스위치부(미도시)가 단일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 (i) 스위치는 흡입감전모드 및 정지모드로 구성되거나, (ii)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및 정지모드로 구성되며, 흡입감전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감전장치(330)에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작동스위치부(미도시)가 둘 이상의 스위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경우 (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감전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며 흡입스위치와 독립적인 감전스위치로 상기 감전장치(330)에 전원 공급을 선택하거나, (i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감전선택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며 흡입스위치가 선택된 경우에 흡입스위치에 종속적인 감전선택스위치로 상기 감전장치(330)에 전원 공급을 선택하거나, (iii) 흡입스위치(미도시)와 흡입감전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되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형 진공청소기(300)에 상기 감전장치(330)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감전장치(330)는 전술된 노즐형 진공청소기(200)에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실시예 3-진공포충장치>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진공포충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400)는 유입부(410), 본체(420), 감전장치(430), 작동스위치부(440), 전원부(450), 흡입모터(460), 전원경로 스위치(470) 및 제어부(48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410)는 파이프 형상 등의 적절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유입부(410)에는 유입부 마개(도면부호 미부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1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부(410)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면 유입부(410)에 포획된 벌레류의 수나 종류 등을 외부에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포충장치(400)가 곤충 채집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거미류와 같이 독성이 강한 벌레류를 채집하고, 채집된 벌레류의 수나 종류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유입부(410)에는 연결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유입부(410)의 길이가 작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천정이나 높은 나무 등에 위치하는 벌레류를 흡입하기 위해 별도의 연결관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유입부(410)의 길이가 작은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420)는 상기 유입부(410)에 연결되고, 전원부(450), 흡입모터(460) 및 제어부(480)를 수납한다. 상기 본체(420)에는 적절한 모양과 크기로 형성된 손잡이(4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모터(460)의 앞단, 즉 벌레류가 유입되는 부위에 거름망(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벌레류가 상기 흡입모터(460)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링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거름망의 형상은 벌레류가 상기 흡입모터(460)에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름망은 상기 감전장치와 상기 흡입모터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감전장치(430)는 상기 유입부(410)와 상기 본체(420)간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전원부(450)는 배터리 타입의 충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배터리의 출력이 상기 감전장치(430)를 통해 벌레를 감전사시키기에 부족하다면, 상기 감전장치(430) 구동에 적절한 레벨로 전압을 승압하는 승압회로 또는 승압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부(450)가 외부 전원을 공급받는다면, 상기 본체(420)에는 전원 연결단자가 더 형성되거나 전원 연결선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전장치(430)는 전술된 도 4e의 감전절편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감전장치(430)의 앞단에는 사용자 감전을 예방하기 위한 안전망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작동스위치부(440)의 조작을 통해 진공포충장치에 포획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제공하여 감전사시킬 것인지, 단순히 벌레류를 흡입하고 흡입된 벌레류를 배출할 것인지 등의 진공포충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진공포충장치는 흡입감전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의 동작모드를 갖는다. 상기 동작모드는 임의의 어느 순간 진공포충장치가 동작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흡입감전모드의 경우에는 흡입모드와 감전모드로 분리 혹은 조합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상기 동작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부(4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스위치에 상기 동작모드의 선택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본체(420)에 배치된다. 즉,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구성은 하나의 작동스위치에 각종 동작모드 작동을 위한 기능이 부여될 수도 있고, 둘 이상의 작동스위치에 각종 동작모드 작동을 위한 기능이 부여될 수도 있다.
특히, 2개 이상의 작동스위치로 구성된 경우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스위치가 동작모드의 작동에 사용되고 나머지 스위치는 동작모드 및 부가 옵션 선택에 사용되도록 구성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또 다른 하나 이상의 특정 스위치에 종속되어 특정 스위치가 선택된 경우에만 해당 선택이 유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스위치는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슬라이드형, 푸시버튼형, 토글형, 락커형 및 레버형 등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 편리성 및 다양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의 예시와 같이 상기 동작모드 및 상기 작동스위치부를 조합 및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하나의 작동스위치에 흡입감전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모드 작동시 감전모드의 선택 여부에 따라 흡입감전모드 혹은 흡입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배출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배출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 및 정지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배출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모드 작동시 감전모드의 선택 여부에 따라 흡입감전모드 혹은 흡입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배출모드가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 및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되어, 전원 온시 감전모드와 흡입모드가 선택되면 흡입감전모드로 흡입모드만 선택되면 흡입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 및 흡입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되며, 전원 온시 감전모드와 흡입모드가 선택되면 흡입감전모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며, 또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 및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작동스위치에는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및 배출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고, 다른 하나의 작동스위치는 전원 온/오프 작동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드는 진공포충장치 구동을 위한 동작을 정의한 것으로, 상기 동작모드 및 상기 동작모드의 분리 또는 조합을 통해 구성되고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예시하지 않았더라도 상기 동작모드의 분해/조합 및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재구성 등의 변형을 통한 궁극적인 동작구성의 결과가 상기 동작모드의 사상을 포함한다면, 그러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즉, 상기 동작모드를 분해해 보면 동작(감전, 흡입, 배출)과 전원(온, 오프)으로 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하나의 작동스위치 상에서 상기 동작모드의 사상을 포함한 동작모드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복수의 작동스위치 상에서 상기 동작모드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도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경로 스위치(470)는 상기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감전장치에 제공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스위칭부(472) 및 상기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흡입모터에 제공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스위칭부(47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스위칭부(472)는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정극성 전원을 감전장치(430)의 정극성 단자에 제공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472a)와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부극성 전원을 감전장치의 부극성 단자에 제공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472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제1 스위칭부(472)의 조작에 따라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정극성 전원 및 부극성 전원이 감전장치(430)에 제공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위칭부(474)는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정극성 전원 또는 부극성 전원을 상기 흡입모터(460)의 제1 단자에 제공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3 스위치(474a)와 상기 전원부(450)에서 제공되는 정극성 또는 부극성 전원을 흡입모터(460)의 제2 단자에 제공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4 스위치(474b)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입모터(460)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통해 정극성 전원 및 부극성 전원이 각각 공급되면 정회전할 수 있고,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통해 부극성 전원 및 정극성 전원이 각각 공급되면 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450)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포함하고, 작동스위치부(440)를 통해 감전장치(4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스위칭부(474)를 통해 흡입모터(4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흡입모터(460)는 상기 제2 스위칭부(474)의 제어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예를들어, 상기 흡입모터(460)가 정회전하면, 상기 유입부(410)를 통해 외부의 공기 및 벌레류 등을 흡입한다. 상기 흡입모터(460)가 역회전하면, 내부에 존재하는 벌레류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흡입감전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흡입모터(460)를 정회전시키고 상기 전원부(45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감전 장치에 제공하여 상기 유입부(410)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의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흡입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흡입모터(460)를 정회전시켜 상기 유입부(410)를 통해 외부의 벌레류를 흡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감전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전원부(45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상기 감전장치에 제공하여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배출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흡입모터를 역회전시켜 상기 유입부(410)내의 벌레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포충장치(400)에는 상기 유입부(410) 내에 배치된 역류방지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역류방지부재는 도 3a 및 도 3b에서 설명된 형상과 유사하며, 역류방지부재(미도시)는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로 구성할 수 있다.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는 탄력적으로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스프링(154)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하고 탄력적인 재질로 지지부재(152)와 회동날개(156)를 통짜 성형하고, 필요시 접히는 부분을 적절히 절개할 수도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흡입모터(460)의 회전에 따른 바람의 힘과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420)쪽 또는 상기 본체(420)의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개방되며, 상기 흡입모터(460)가 정지하면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닫혀져서 내부로 흡입된 벌레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흡입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흡입모터(460)의 정회전에 따라 상기 본체(420)쪽으로 기울어지고, 사용자의 작동스위치부(440) 조작이 배출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흡입모터(460)의 역회전에 따라 상기 유입부(410)의 입구쪽으로 기울어지며, 사용자에 의한 작동스위치부(440)의 조작이 정지모드로 체크되면, 상기 유입부(410) 내의 벌레류를 포획하도록 닫혀진다. 이에 따라, 유입부(410)에 흡입된 벌레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포충장치는 배출기능 없이도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진공포충장치에서 배출기능과 관련된 구성을 삭제하여 흡입감전모드, 흡입모드 및 정지모드의 동작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 동작모드와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포충장치는 감전기능 없이도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술된 진공포충장치에서 감전기능과 관련된 구성을 삭제하여 흡입모드, 배출모드 및 정지모드의 동작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 동작모드와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퀴벌레와 같은 벌레류가 많은 곳을 청소할 때,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를 진공청소기에 부착하여 흡입하므로써, 벌레류가 감전장치를 통과하면서 감전사되므로 사용자는 진공청소기를 통해 흡입한 벌레류를 용이하게 사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혐호성이 강한 벌레류를 보다 손쉽게 구제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내의 집진실에 벌레류가 서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거하여 실내의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벌레류를 죽이기 위해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벌레류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살충제 구입을 위한 비용이 불필요하고, 살충제 사용에 따른 실내 환경의 오염이 증가하는 것을 제거할 수 있다.
100 :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110 : 파이프형 본체
120 : 전원부 130 : 전원스위치
140 : 감전부재 150 : 역류방지부재
152 : 지지부재 154 : 스프링
156 : 회동날개 158 : 날개조정부재
140b1 : 감전절편 b11 : 제1 극성 도전라인
b12 : 제2 극성 도전라인 b13 : 절연부재
1412 : 몸통부재 1414 : 감전절편
1416 : 각도 조정부재 200 : 노즐형 진공청소기
210 : 청소기 본체 215, 325 : 연결부
220 : 유입호스부 230 : 흡입브러시
240 : 손잡이부 250 : 흡입관 연장부
260 : 감전장치 300 : 휴대형 진공청소기
310 : 청소기 본체 320 : 흡입부재
330, 430 : 감전장치 400 : 진공포충장치
410 : 유입부 420 : 본체
440 : 작동스위치부 450 : 전원부
460 : 흡입모터 470 : 전원경로 스위치
480 : 제어부 500 : 감전장치
510 : 감전장치케이스 520 : 감전부재
530 : 전원연결부

Claims (33)

  1. 파이프형 본체;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측에 배치된 전원부; 및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기가 제공됨에 따라 벌레류 감전사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단부로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 충격으로 감전사시켜,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타단부를 통해 배출하는 감전부재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는 공기의 흐름에 변형을 주어 진공흡입된 벌레가 흡입경로 상에서 충돌되도록 하는 내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측벽은 곡선형상, 나선형상, 물결형상, 지그재그형상의 커브형태 및 L-자형상, S-자형상, P-자형상, U-자형상, V-자형상의 트랩 형태 중 어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조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전원연결부; 및
    제공받은 전원을 벌레류 감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외부 전원부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외주면에 부착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본체에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감전부재의 전원 연결을 온 제어 또는 오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가 더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감전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감전절편은 상기 파이프형 본체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찰할 때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되도록 교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파이프형 본체 내부 측벽과 상기 감전절편 간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각도 조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또는 진공청소기의 흡입에 따른 바람의 힘에 의해 역류방지 날개가 개방되거나, 닫혀지는 역류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의 상기 내부 측벽은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감전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10. 흡입모터, 전원공급부 및 집진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에서,
    상기 흡입모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배치된 작동스위치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피청소물이 상기 집진부에 도달되는 흡입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흡입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벌레류에 전기를 가하여 상기 벌레류를 감전사시키는 감전장치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부에는 감전모드 선택 기능이 포함되고,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감전모드가 선택되었을 때,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의 선택 혹은 상기 스위치의 조합된 선택에 따라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 상기 전원공급부 및 상기 집진부를 수납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된 유입호스부; 및
    상기 유입호스부에 연결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청소기 본체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장치는,
    감전장치케이스;
    상기 감전장치케이스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흐르는 벌레를 감전사시키는 감전부재; 및
    상기 감전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감전장치케이스의 일측에 배치된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장치는 상기 전원연결부를 통해 제공받은 전원을 벌레 감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는 공기의 흐름에 변형을 주어 진공흡입된 벌레가 흡입경로 상에서 충돌되도록 하는 내부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측벽은 곡선형상, 나선형상, 물결형상, 지그재그형상의 커브형태 및 L-자형상, S-자형상, P-자형상, U-자형상, V-자형상의 트랩 형태 중 어느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조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는 상기 내부 측벽의 전체 또는 일부에 부착된 감전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부재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감전절편을 포함하고, 상기 감전절편은 상기 감전장치케이스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관찰할 때 유입되는 벌레류가 충돌되도록 교차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9.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하는 본체;
    상기 흡입모터 앞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감전장치;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된 작동스위치부; 및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 및 사살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감전모드, (ii) 흡입된 벌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역회전 전원을 공급하는 배출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를 포함하는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충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모드는 (iv)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벌레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21. 삭제
  22. 삭제
  23.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하는 본체;
    상기 흡입모터 앞단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감전장치;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된 작동스위치부; 및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 및 사살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와 상기 감전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감전모드, (ii) 벌레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를 포함하는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충장치.
  24. 전원부 및 흡입모터를 수납하는 본체;
    상기 흡입모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배치된 작동스위치부; 및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조작에 응답하여 (i) 벌레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흡입모드, (ii) 흡입된 벌레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흡입모터에 역회전 전원을 공급하는 배출모드, (iii) 전원을 차단하는 정지모드를 포함하는 동작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진공포충장치.
  25. 삭제
  26. 제19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에 연결되거나,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 내에 배치된 역류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상기 흡입모터의 회전에 따른 바람의 힘과 방향에 따라, 상기 본체쪽 또는 반대쪽으로 기울어져 개방되며, 상기 흡입모터가 정지하면 상기 역류방지부재가 닫혀져서 내부로 흡입된 벌레가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28. 제19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모터의 앞단에 거름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29. 제19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 외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 연결단자 또는 전원 연결선이 상기 본체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30. 제19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 또는 충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31. 제19항 및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감전장치에 공급하는 전원을 벌레류 감전을 위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키는 승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32. 삭제
  33. 제19항, 제20항, 제23항 및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스위치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작동스위치의 선택 또는 상기 하나 이상 작동스위치의 조합된 선택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포충장치.
KR1020100070447A 2010-07-21 2010-07-21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KR101019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47A KR101019040B1 (ko) 2010-07-21 2010-07-21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PCT/KR2011/005324 WO2012011729A2 (ko) 2010-07-21 2011-07-20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47A KR101019040B1 (ko) 2010-07-21 2010-07-21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9040B1 true KR101019040B1 (ko) 2011-03-03

Family

ID=4393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447A KR101019040B1 (ko) 2010-07-21 2010-07-21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19040B1 (ko)
WO (1) WO201201172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KR101592122B1 (ko) 2014-11-19 2016-02-04 서영기 진드기 제거 장치
KR20160052251A (ko) 2014-11-04 2016-05-12 조이넥스(주) 진공청소기
KR20160063696A (ko) * 2014-11-27 2016-06-07 이진수 진드기 퇴치기
KR20220142334A (ko) * 2021-04-14 2022-10-21 김홍국 연결관 내부의 먼지 유출을 방지하는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989A (zh) * 2014-08-25 2014-12-03 苏州市春菊电器有限公司 吸尘器弯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552U (ko) 1985-10-17 1987-04-28
JPS6468523A (en) * 1987-09-08 1989-03-14 Ohara Tekkosho Kk Automatic opener
WO2008140409A1 (en) 2007-05-15 2008-11-20 Ratcon Handelsbolag Arrangement for preventing vermin from advancing in pipes
KR20090008993U (ko) * 2008-03-04 2009-09-09 박인홍 벌레 포집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1635U (ko) * 1998-12-04 2000-07-05 배길성 진공청소기용 벌레퇴치장치의 구동제어회로
JP4999150B2 (ja) * 2006-08-30 2012-08-15 ポラリス株式会社 吸引型殺虫機
KR100984847B1 (ko) * 2008-04-25 2010-10-01 주식회사 지티 전기 충격 살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8552U (ko) 1985-10-17 1987-04-28
JPS6468523A (en) * 1987-09-08 1989-03-14 Ohara Tekkosho Kk Automatic opener
WO2008140409A1 (en) 2007-05-15 2008-11-20 Ratcon Handelsbolag Arrangement for preventing vermin from advancing in pipes
KR20090008993U (ko) * 2008-03-04 2009-09-09 박인홍 벌레 포집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WO2013115555A1 (ko) * 2012-01-30 2013-08-08 조이넥스 주식회사 진공감전 포충기
KR20160052251A (ko) 2014-11-04 2016-05-12 조이넥스(주) 진공청소기
KR101624159B1 (ko) 2014-11-04 2016-06-07 조이넥스(주) 진공청소기
KR101592122B1 (ko) 2014-11-19 2016-02-04 서영기 진드기 제거 장치
KR20160063696A (ko) * 2014-11-27 2016-06-07 이진수 진드기 퇴치기
KR101641557B1 (ko) * 2014-11-27 2016-07-21 이진수 진드기 퇴치기
KR20220142334A (ko) * 2021-04-14 2022-10-21 김홍국 연결관 내부의 먼지 유출을 방지하는 청소기
KR102688613B1 (ko) 2021-04-14 2024-07-25 김홍국 연결관 내부의 먼지 유출을 방지하는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729A2 (ko) 2012-01-26
WO2012011729A3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040B1 (ko) 진공청소기용 감전장치, 이를 갖는 진공청소기 및 진공포충장치
KR101123248B1 (ko) 해충 박멸장치
US901001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edbugs
US8595894B1 (en) Hand-held pest vacuum
US7404269B2 (en) Insect collector and viewer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US5926997A (en) Stationary vacuum trap for vermin
KR100810051B1 (ko) 휴대용 해충 퇴치기
US8701339B1 (en) Vacuum-based pest capture container
KR101189809B1 (ko) 진공감전 포충기
AU2602499A (en) Portable electric vacuum wired to terminate and dispose of pests
KR20120078220A (ko) 해충 포집장치
US4449319A (en) Fly exterminator
KR200402319Y1 (ko) 흡입식 포충기
TWM499768U (zh) 吸蟲裝置
EP0941660A1 (en) Insect-catcher
WO2014065709A1 (ru) Электромухоловка
GB2236467A (en) Portable insect catching device
CN209251482U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
KR102098823B1 (ko) 방충망 구조체
CN210382338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
CN208258844U (zh) 一种吸虫器
KR20110094386A (ko) 포터블타입의 해충 박멸장치
KR200401111Y1 (ko) 흡입식 포충기
CN213603950U (zh) 捕蚊清理装置及具有它的灭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