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3623B1 - 습기 포집장치 - Google Patents

습기 포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623B1
KR102303623B1 KR1020180045346A KR20180045346A KR102303623B1 KR 102303623 B1 KR102303623 B1 KR 102303623B1 KR 1020180045346 A KR1020180045346 A KR 1020180045346A KR 20180045346 A KR20180045346 A KR 20180045346A KR 102303623 B1 KR102303623 B1 KR 102303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sture
collecting device
internal fluid
pipe
fluid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303A (ko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연암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1389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8505B1/ko
Application filed by 연암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연암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6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천정면 및 바닥면 등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하고,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상기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하우징을 조성하고, 상기 하우징을 면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차단되어 만들어 지는 제한된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내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습기 포집장치{Moisture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벽면, 천정면 및 바닥면 등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습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하고,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상기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하우징을 조성하고, 상기 하우징을 면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차단되어 만들어 지는 제한된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내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습기 포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나 폐쇄된 공간, 특히 시멘트를 주원료로 한 콘크리트 건조물로 된 지하나 폐쇄공간의 면은 시멘트의 흡습성으로 인해 늘 습기가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다.
그런데 벽면, 천정 면 및 바닥 면 등에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를 하고자 할 때 그러한 면에 습기가 묻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로 페인트칠 또는 방수처리를 하게 되면 작업이 더딜 뿐만 아니라, 작업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페인트가 들뜨거나 일어나며, 방수 물질이 제대로 도포되지 않아 방수처리가 완전하지 못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습기가 묻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면에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를 할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뒤에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는 자연의 현상 즉 태양열이나 자연풍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 건조된다.
그러나 지하나 폐쇄된 공간 등의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는 상기한 태양열이나 자연풍과 같은 자연의 현상을 이용하기가 어렵고, 설령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장시간이 소요되어 이러한 자연현상에 의존한 습기 제거 및 건조 방법은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 작업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지하나 폐쇄된 공간 등의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하기 위해 팬에 의해 상기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대류 시키면서 강제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기히터나 연소장치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연소장치에서 열매체를 가열한 후에 이를 상기 폐쇄공간 내로 주입하여 상기 폐쇄공간 내의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과열증기를 폐쇄공간 내로 주입하거나, 전극관을 통해 전극을 걸어 고주파로 가열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닐 등으로 작업 대상 면을 덮고 상기 비닐 주변의 위를 얇은 각목 등으로 덮고 상기 각목 위에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작업 대상 면에 비닐을 밀착시켜 비닐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봉하고, 그렇게 밀봉된 공간의 일부 지점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관에 의해 진공펌프와 연결한 뒤, 진공펌프로 상기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우선 작업을 종료하고 난 뒤 작업 대상 면에 못 또는 나사가 박힌 흔적이 남아 그대로 방치하면 작업 대상 면을 손상시켜 상기 면을 포함한 전체 시설에 손상을 주는 결과가 되고, 또한 작업 면적이 광범위 한 경우 상기 공정을 반복하는데 따른 공정속도 저하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우선 비닐, 각목,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밀봉하는 대신 복수의 지지대와 막에 의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용이하게 밀봉하게 하는 습기 포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습기 제거 작업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이 한 곳에 모이는 한 정점을 관통하는 유체 유통관을 통해 상기 폐쇄공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외부 유쳬 유통관을 통해 용이하게 진공펌프 등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펌프와 폐쇄공간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는 습기 포집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제습작업을 편리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에 의한 제습 작업 후 상기 유체 유통관에 열풍기 등을 연결하여 열풍을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제습 후 건조 과정까지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제고하는 습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들의 일단이 모아지는 정점 위치에 정점링을 설치하고 여기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을 흰지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보조지지대의 일단을 흰지 결합하고, 상기 유체 유통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링에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다른 일단이 흰지 결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와 이동이 용이한 습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대상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밀봉하게 하는 특징을 가진 습기 포집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단이 한 정점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한 정점을 관통함으로써 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진공펌프와 같은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거나,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열풍기와 같은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부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정점 위치에 설치된 정점링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상기 보조지지대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링에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다른 일단이 흰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대상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지지대와 막에 의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용이하게 밀봉하게 하여, 습기 제거 작업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이 한 곳에 모이는 한 정점을 관통하는 유체 유통관을 통해 상기 폐쇄공간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외부 유쳬 유통관을 통해 용이하게 진공펌프 등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진공펌프와 폐쇄공간 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습작업을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진공펌프에 의한 제습 작업 후 상기 유체 유통관에 열풍기 등을 연결하여 열풍을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제습 후 건조 과정까지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의 일단이 모아지는 정점 위치에 정점링을 설치하고 여기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을 흰지 결합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보조지지대의 일단을 흰지 결합하고, 상기 유체 유통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링에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다른 일단이 흰지 결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인 습기 포집장치의 휴대와 이동이 용이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제습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 대상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밀봉하여 진공펌프에 의해 제습할 경우 제습 효과가 상승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에 진공펌프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에 열풍기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로서, 내부 유체 유통관에 보조지지대를 직접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로서, 내부 유체 유통관에 끼워지고 슬라이딩 가능한 링에 보조지지대를 부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로서,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이 다수의 분기관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로서,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이 나팔관으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돌기와 링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돌기를 누른 경우를 표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돌기를 놓은 경우를 표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삽입하는 관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구형 돌기와 삽입되는 관의 구형 홈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 구형 돌기를 누른 경우를 표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삽입하는 관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구형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 구형 돌기를 놓은 경우를 표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삽입하는 관의 일단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삽입되는 관의 일단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표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면접촉부와 압력센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접이식의 경우, 습기 포집장치를 폈을 때와 접었을 때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수단과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것까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충분한 개시를 위해 표현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충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고 보호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기술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별도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에 진공펌프를 연결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습기 포집장치는, 일단이 한 정점(13)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11),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를 덮고 있는 막(1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 및, 상기 한 정점(13)을 관통함으로써 전체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하우징(10)의 뼈대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철,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섬유강화합금 등 외부 충격과 압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견고하고 단단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은 일단이 정점(13)에 모아지며 정점에 부설되고 중공부를 포함한 정점링(37)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들은 각각이 인접한 지지대와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의 수가 4개의 경우는 상기 각도는 90 도( = 360 도/4)가 되며 지지대의 수가 3개의 경우는 120 도( = 360 도/3)가 되며 지지대의 수에 따라 상기 각도는 달라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은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0 ~ 90 도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내부 유통관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하우징(10)이 커버하는 작업 대상 면의 넓이와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이 넓은 범위의 작업 대상 면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이 이루는 각도는 거의 90도에 가까워지고, 좁은 범위의 작업 대상 면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내부 유통관이 이루는 각도는 0도에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지지대(11)의 수가 4개인 경우에는 사각 모양의 습기 포집장치가 되어 작업 대상 면을 사각형 단위로 나누어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원모양 단위로 나누어 작업을 하는 경우에 비교했을 때 미 작업 구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대(11)의 수가 3개인 경우에도 상기 4개의 지지대 경우와 유사한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막(12)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모두를 덮고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1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작업 대상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막(12)은 접착제 등 다양한 접합 수단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막(12)은 비닐과 같은 투명 재질 소재일 수 있다. 이렇게 막이 투명 재질로 되어 있으면, 하우징(10) 내부를 관찰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습기 포집장치 내부의 제습의 완료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막(12)은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연질 고무 성분이 함침된 천이나, 비닐 등과 같이 질기고 접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막이 질기고 접혀지는 소재로 형성될 경우, 하우징이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12)은 경성 플라스틱, 강화유리, 철판, 알루미늄 판 등 견고한 고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막이 견고한 고체 소재로 된 경우, 막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11)를 생략하고 상기 막만으로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통관은 상기 정점링(37)의 중공부를 관통하게 되며, 이로써 유체 유통관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으로 구성되며, 또한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 중 상기 정점링(37)과 가까운 일정 부분의 외주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조임 너트(36)를 끼우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중 상기 정점링(37)과 가까운 일정 부분의 외주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조임 너트(36)를 끼우되, 상기 조임 너트들(36)을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유체 유통관에 압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h1)는 상기 정점((13)에서 상기 면까지의 수직 길이(h2)와 같거나 상기 수직 길이(h2)보다 짧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일단이 상기 작업 대상 면과 붙어 있거나 약간 이격되게 되어,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일단에 결합된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흡입할 경우 상기 면 측에 위치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으로 습기가 용이하기 흡입이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에 진공펌프(16)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진공펌프를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에 연결하게 되면,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폐쇄공간의 습기와 상기 하우징(10)이 커버하고 있는 작업 대상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서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에 열풍기(17)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열풍기를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에 연결하게 되면, 상기 열풍기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폐쇄공간의 습기와 상기 하우징(10)이 커버하고 있는 작업 대상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가열하여 수증기 상태로 만들어 상기 작업 대상 면을 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에 진공펌프에 의한 습기 흡입 작업과 열풍기에 의한 건조 작업을 교대로 하게 되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작업 대상 면의 제습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지지대(11)의 일부 부위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일부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지지대(18)를 더 포함하고 있는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습기 포집장치의 작업 대상 면과의 밀착성을 높여 밀봉의 정도를 강화하기 위해 상기 습기 포집장치의 상기 정점(13) 또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에 압착수단에 의해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지지대(11)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지지대가 부러지거나 구부러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보조지지대(18)에 의해 상기 지지대(11)를 지지해 줌으로써 이러한 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정점(13) 위치에 설치된 정점링(37)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상기 보조지지대(18)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링(19)에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다른 일단이 흰지 결합되어 있는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우선 내부 유체 유통관이 끼워진 조임 너트(36)을 회전하여 아래로 내린 다음, 상기 링(19)을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가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과 접하게 되어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접을 수 있게 됨으로써 습기 포집장치의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도 8과 도 9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상부 및 하부 일부 부위의 각각에, 탄성에 의해 누르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 내부로 들어가고 놓으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 외부로 나오도록 설치된 탄성 돌기(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링(19)의 일부 부위에 홈(21)이 더 포함되되, 상기 링(19)을 상기 상부 일부 부위의 돌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링의 홈(21)에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상부 일부 부위에 설치된 돌기가 삽입될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상기 막이 상기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링(19)을 상기 하부 일부 부위의 돌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링의 홈(21)에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하부 일부 부위에 설치된 돌기가 삽입될 경우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상기 막(12)이 상기 공간을 좁히거나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과 도 9에서 도시한 구조에 의해, 상기 링(19)을 상기 상부 일부 부위의 돌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링의 홈(21)에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상부 일부 부위에 설치된 돌기(20)가 삽입될 경우, 도 5의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가 편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상기 막이 상기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링(19)을 상기 하부 일부 부위의 돌기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링의 홈(21)에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하부 일부 부위에 설치된 돌기가 삽입될 경우, 도 5의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가 접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상기 막(12)이 상기 공간을 좁히거나 없앨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 중 상기 작업 대상 면에 가까운 일부 측면 부분에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고 있는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 중 상기 작업 대상 면에 가까운 일부 부분에 다수의 분기관(22)을 형성하고 있는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7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 중 상기 작업 대상 면에 가까운 일부 부분에 나팔관(23) 형상을 한 습기 포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일단에 결합된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흡입할 경우, 내부 유체 유통관의 끝단 흡입구가 습기의 주요 흡입 통로 역할을 하게 되겠지만, 습기 흡입을 촉진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 중 상기 작업 대상 면에 가까운 일부 측면 부분에 1개 이상의 홀을 형성하거나, 도 6과 같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 중 상기 작업 대상 면에 가까운 일부 부분에 다수의 분기관(22)을 형성하거나, 도 7과 같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끝단 흡입구를 나팔관(23)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하나의 삽입하는 관(30)이 인접한 다른 삽입되는 관(29)에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삽입하는 관(30)은, 일단에 탄성에 의해 누르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에 설치된 관 홈(25)을 통하여 내부로 들어가고 놓으면 상기 관 홈(25)을 통하여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 외부로 나오도록 설치된 탄성 구형 돌기(24)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구형 돌기 반대편에 상기 삽입하는 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요홈(2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되는 관(29)은, 일단에 상기 탄성 구형 돌기(24)에 마주보는 위치에 구형 홈(27)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구형 홈(27) 반대편에 상기 삽입되는 관(29)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요홈(26)에 삽입되는 철부(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하는 관은 인접한 다른 상기 삽입되는 관에 삽입을 하고, 상기 삽입되는 관은 다음 인접한 다른 관에 다시 삽입을 하는 패턴을 이룸으로써, 복수의 관들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되, 마지막의 상기 삽입되는 관(29)을 붙잡고 최초의 상기 삽입하는 관(30)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돌기(24)가 상기 구형 홈(27)에 삽입이 되어 상호 인접하는 관들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전체 길이를 확대할 수 있으며, 마지막의 상기 삽입 되는 관(29)을 붙잡고 최초의 상기 삽입하는 관(30)을 밀어 넣으면 상기 구형 홈(29)으로부터 상기 구형 돌기(24)가 이탈이 되어 상기 삽입하는 관(30)이 상기 삽입되는 관(29)에 깊숙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구조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삽입하는 관(30)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구형 돌기(24)와 삽입되는 관(29)의 구형 홈(27)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 구형 돌기(24)를 누른 경우를 표시하고 있으며,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경우, 삽입하는 관(30)의 측면에 부설된 탄성 구형 돌기(24)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탄성 구형 돌기(24)를 놓은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상기 복수의 관들의 측면 일부에 1개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될 경우, 상기 삽입되는 관(29)은 이 관(29)과 인접한 다음 관을 삽입하게 되며, 이 관에 의해 삽입이 되는 다음 관은 이 관과 인접한 다음 관을 삽입하게 되는 형태가 되고, 이러한 형태를 반복하게 되면. 전체 내부 유체 유통관을 이루는 모든 부분 관들이 상호 삽입이 되며, 상기 탄성 구형 돌기(24)와 상기 구형 홈(27)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삽입되는 관(29)의 상기 철부(28)는 상기 삽입하는 관(30)의 요홈(26)에 삽입 결합되어 삽입되는 관(29)과 삽입하는 관(30)이 회전하는 것을 막아 삽입되는 관(29)의 탄성 구형 돌기(24)가 정확하게 삽입되는 관(29)의 구형 홈에 삽입이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인접한 관들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호 연결될 경우, 마지막 삽입되는 관을 붙잡고 처음으로 삽입하는 관을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돌기(24)가 상기 구형 홈(27)에 삽입이 되어 상호 인접하는 관들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전체 길이를 확대할 수 있으며, 마지막 삽입되는 관을 붙잡고 처음으로 삽입하는 관을 밀어 넣으면 상기 구형 홈(29)으로부터 상기 구형 돌기(24)가 이탈이 되어 상기 삽입하는 관(30)이 상기 삽입되는 관(29)에 깊숙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서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하나의 삽입하는 관(30)이 삽입되는 인접한 다른 관(29)에 슬라이딩 삽입이 가능하도록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삽입하는 관(30)은, 일단의 외측에는 수나사부(32)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되는 관의(29) 일단 내측에는 암나사부(31)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하는 관은 인접한 다른 상기 삽입되는 관에 삽입을 하고, 상기 삽입되는 관은 다음 인접한 다른 관에 다시 삽입을 하는 패턴을 이룸으로써, 복수의 관들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되, 상기 삽입되는 관(29)을 붙잡고 상기 삽입하는 관(30)을 잡아당기면서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나사부(32)와 암나사부(31)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전체 길이를 확대하고, 상기 삽입되는 관(29)을 붙잡고 상기 삽입하는 관(30)을 밀어 넣으면서 상기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수나사부(32)와 상기 암나사부(31)를 분리하여 상기 삽입하는 관을 상기 삽입되는 관에 깊숙이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는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될 경우, 상기 삽입되는 관(29)은 이 관(29)과 인접한 다음 관을 삽입하게 되며, 이 관에 의해 삽입이 되는 다음 관은 이 관과 인접한 다음 관을 삽입하게 되는 형태가 되고, 이러한 형태를 반복하게 되면. 전체 내부 유체 유통관을 이루는 모든 부분 관들이 상호 삽입이 되고, 상기 수나사(32)와 상기 암나사(31)를 통해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상기 복수의 관들의 측면 일부에 1개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접한 관들이 상기와 같은 구조로 상호 연결될 경우, 삽입되는 관을 붙잡고 인접한 삽입하는 관을 잡아당기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수나사(32)와 암나사(31)가 결합하게 되고, 계속하여 차례대로 인접한 관들을 상기한 형태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전체 길이를 확대할 수 있으며, 삽입 되는 관을 붙잡고 삽입하는 관을 회전하면서 밀어 넣으면 상기 수나사(32)와 상기 암나사(31)의 결합이 분리되고, 계속하여 차례대로 인접한 관들을 상기한 형태로 분리하면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삽입하는 관이 상기 삽입되는 관에 깊숙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전체 길이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상호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관들에 의해 구성될 경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4에서는,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를 접을 경우의 내부 유체 유통관의 모양(b)과, 폈을 경우의 내부 유체 유통관의 모양(a)을 도시하고 있다.
가령 도 5에 도시된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의 내부 유체 유통관을 상기 도 10 및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내부 유체 유통관을 접목할 경우, 습기 포징장치를 접거나 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습기 포집장치를 접었을 경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를 확장하여, 짧은 내부 유체 유통관 때문에 링(19)이 내부 유체 유통관을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습기 포집장치를 폈을 경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를 줄여,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가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h1)가 상기 정점(13)에서 상기 면까지의 수직 길이(h2)보다 길어져 하우징(10)에 의해 작업 대상 면을 충분히 밀봉할 수 없게 되는 경우를 막을 수가 있기 때문에 항상 원활한 제습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도 13에서는,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간을 잇는 상기 막(12)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33)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막과 상기 탄성소재 간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34)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가령 상기 막(12)이 딱딱하고 견고한 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작업 대상 면과 상기 막이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충분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습기를 흡입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이 커버하고 있는 작업 대상 면의 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연질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33)를 상기 막(12)이 상기 작업 대상 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충분한 밀봉을 위해 상기 정점(13) 또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에 외부 압착수단을 연결하여 하우징(10)을 강제로 상기 작업 대상면에 압착을 할 경우, 과도한 외력이 작용을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대(11)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지지대가 손상을 입을 수가 있다. 이러한 손상을 막기 위해 상기 막(12)과 상기 면접촉부(33) 사이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34)를 부착하여 외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압력센서(34)가 감지한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표시 장치나, 부저, 램프 등에 송신하여 경고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과도한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에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되게 된다.
10: 하우징 11: 지지대
12: 막 13: 정점
14: 외부 유체 유통관, 15: 내부 유체 유통관,
16: 진공펌프 17: 열풍기
18: 보조지지대 19: 링
20: 탄성 돌기 21: 링의 홈
22: 분기관 23: 나팔관
24: 탄성 구형 돌기 25: 관 홈
26: 요홈 27: 구형 홈
28: 철부 29: 삽입되는 관
30: 삽입하는 관 31: 암나사부
32: 수나사부 33: 면 접촉부
34: 압력센서 35: 접이식 내부 유체 유통관
36: 조임 너트 37: 정점링

Claims (16)

  1. 일단이 한 정점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습기 포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정점을 관통함으로써 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고,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상기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고, 상기 막과 상기 탄성소재 간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은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수단은 열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3개 또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부 부위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정점 위치에 설치된 정점링에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일부 부위에 상기 보조지지대의 일단이 흰지 결합되며,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링에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다른 일단이 흰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측면 일부에 1개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이 다수의 분기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이 나팔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h1)가 상기 정점에서 상기 면까지의 수직 길이(h2)와 같거나 상기 수직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투명 재질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질기고 접혀지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점을 중심으로 일정 구간에 외부 유체 유통관 나사부와 내부 유체 유통관 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 나사부와 내부 유체 유통관의 나사부에 각각 너트가 체결되되, 상기 너트의 회전에 의한 조임에 의해 상기 유체 유통관과 상기 하우징이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기 포집장치.
  16. 삭제
KR1020180045346A 2017-09-06 2018-04-19 습기 포집장치 KR102303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46A KR102303623B1 (ko) 2017-09-06 2018-04-19 습기 포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99A KR101858505B1 (ko) 2017-09-06 2017-09-06 습기 포집장치
KR1020180045346A KR102303623B1 (ko) 2017-09-06 2018-04-19 습기 포집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99A Division KR101858505B1 (ko) 2017-09-06 2017-09-06 습기 포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8074A Division KR20210053861A (ko) 2021-05-04 2021-05-04 습기 포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3A KR20190027303A (ko) 2019-03-14
KR102303623B1 true KR102303623B1 (ko) 2021-09-16

Family

ID=6575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346A KR102303623B1 (ko) 2017-09-06 2018-04-19 습기 포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362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1230A1 (en) 2003-09-26 2005-04-07 Fernandes John P Concrete wall heating and drying system
KR100799307B1 (ko) 2007-01-12 2008-02-01 대한민국 포집장치
KR200442709Y1 (ko) 2007-12-13 2008-12-05 (주)드라이어코리아 제습호스 장착구
US20100192400A1 (en) 1999-03-08 2010-08-05 Storrer Ernest J Moisture removal system
KR101028835B1 (ko) 2010-05-28 2011-04-1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물을 이용한 오일집진장치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JP2013178211A (ja) 2012-02-29 2013-09-09 Japan Environment Research Co Ltd 除染方法およびドライアイス打ち込みシステム並びに除染システム
KR101665127B1 (ko) 2015-10-13 2016-10-12 (주)부흥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670A (ja) * 1997-04-15 1998-10-27 Toshiba Corp 非接触型表面汚染検査方法、表面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278150B1 (ko) * 2011-06-27 2013-06-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공관을 갖는 미세먼지 포집장치
KR101481156B1 (ko) * 2013-02-04 2015-0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포집장치
KR20140121719A (ko) *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를 이용한 건조장치
GB2514149B (en) * 2013-05-15 2015-05-13 Graeme Joynson A fluid movement device
KR20170014302A (ko) * 2015-07-29 2017-02-08 정민우 열풍을 이용한 건조기 본체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00A1 (en) 1999-03-08 2010-08-05 Storrer Ernest J Moisture removal system
WO2005031230A1 (en) 2003-09-26 2005-04-07 Fernandes John P Concrete wall heating and drying system
KR100799307B1 (ko) 2007-01-12 2008-02-01 대한민국 포집장치
KR200442709Y1 (ko) 2007-12-13 2008-12-05 (주)드라이어코리아 제습호스 장착구
KR101028835B1 (ko) 2010-05-28 2011-04-1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물을 이용한 오일집진장치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JP2013178211A (ja) 2012-02-29 2013-09-09 Japan Environment Research Co Ltd 除染方法およびドライアイス打ち込みシステム並びに除染システム
KR101665127B1 (ko) 2015-10-13 2016-10-12 (주)부흥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3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541666C2 (en) A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drying a water damaged floor structure
CN210316081U (zh) 一种保温墙体结构
CN110409635A (zh) 一种外墙伸缩缝结构及其安装方法
KR102303623B1 (ko) 습기 포집장치
KR101858505B1 (ko) 습기 포집장치
KR20210053861A (ko) 습기 포집장치
KR102231444B1 (ko) 제습장치
CN209661222U (zh) 一种应用于圣诞树的假树枝固定结构
CN205123023U (zh) 一种带有自干燥功能的开关柜
CN210832905U (zh) 一种戊二酰亚胺生产用分离装置
KR101840604B1 (ko) 제습장치
CN109549435A (zh) 一种鞋子晾晒烘干架
CN211735839U (zh) 一种装配式建筑外挂墙板排水结构
CN213572764U (zh) 一种可有效防止霉菌蔓延的家用板材
CN205784332U (zh) 速干型电泳玻璃面板清洗存放装置
CN209040441U (zh) 一种防水保温的屋顶结构
CN204370723U (zh) 主动呼吸式防潮排汽倒置屋面系统
KR101854085B1 (ko) 제습용 압력조절장치 및 이를 활용한 제습장치
CN220918668U (zh) 一种固定结构及空气干燥器防漏气装置
CN205637357U (zh) 一种楼层屋面建筑结构
CN213477490U (zh) 一种卫生间墙面防水结构
CN219657106U (zh) 一种用于防水屋面的检测装置
CN117868157B (zh) 一种建筑基坑排水结构
CN207671038U (zh) 建筑保温聚苯板的仓储用风干系统
CN218060787U (zh) 一种装配式钢结构外挂式墙板拼缝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