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444B1 -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444B1
KR102231444B1 KR1020180013098A KR20180013098A KR102231444B1 KR 102231444 B1 KR102231444 B1 KR 102231444B1 KR 1020180013098 A KR1020180013098 A KR 1020180013098A KR 20180013098 A KR20180013098 A KR 20180013098A KR 102231444 B1 KR102231444 B1 KR 102231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s
dehumidifying
outside
clos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300A (ko
Inventor
박종우
Original Assignee
연암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암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연암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4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천정면 및 바닥면 등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하고,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상기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하우징을 조성하고, 상기 하우징을 면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차단되어 만들어 지는 제한된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며, 중공부를 포함하는 유체 유통관을 통해 진공펌프 등을 연결하고, 상기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내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장치{Dehumidifier}
본 발명은 벽면, 천정면 및 바닥면 등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하고,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 간을 잇는 상기 막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하여 하우징을 조성하고, 상기 하우징을 면에 압착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차단되어 만들어 지는 제한된 폐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며, 중공부를 포함하는 유체 유통관을 통해 진공펌프 등을 연결하고, 상기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빨아내면 공기가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상기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켜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나 폐쇄된 공간, 특히 시멘트를 주원료로 한 콘크리트 건조물로 된 지하나 폐쇄공간의 면은 시멘트의 흡습성으로 인해 늘 습기가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다.
그런데 벽면, 천정면 및 바닥면 등에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를 하고자 할 때 그러한 면에 습기가 묻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로 페인트칠 또는 방수처리를 하게 되면 작업이 더딜 뿐만 아니라, 작업 후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페인트가 들뜨거나 일어나며, 방수 물질이 제대로 도포되지 않아 방수처리가 완전하지 못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습기가 묻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면에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를 할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뒤에 이러한 작업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는 자연의 현상 즉 태양열이나 자연풍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고 시간이 지나면 자연 건조된다.
그러나 지하나 폐쇄된 공간 등의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는 상기한 태양열이나 자연풍과 같은 자연의 현상을 이용하기가 어렵고, 설령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장시간이 소요되어 이러한 자연현상에 의존한 습기 제거 및 건조 방법은 페인트칠이나 방수처리 작업의 생산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지하나 폐쇄된 공간 등의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하기 위해 팬에 의해 상기 폐쇄된 공간의 공기를 대류 시키면서 강제로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전기히터나 연소장치의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연소장치에서 열매체를 가열한 후에 이를 상기 폐쇄공간 내로 주입하여 상기 폐쇄공간 내의 공기를 간접 가열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과열증기를 폐쇄공간 내로 주입하거나, 전극관을 통해 전극을 걸어 고주파로 가열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비닐 등으로 작업 대상 면을 덮고 상기 비닐 주변의 위를 얇은 각목 등으로 덮고 상기 각목 위에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작업 대상 면에 비닐을 밀착시켜 비닐 내부의 공간을 외부와 차단하여 밀봉하고, 그렇게 밀봉된 공간의 일부 지점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관에 의해 진공펌프와 연결한 뒤, 진공펌프로 상기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우선 작업을 종료하고 난 뒤 작업 대상 면에 못 또는 나사가 박힌 흔적이 남아 그대로 방치하면 작업 대상 면을 손상시켜 상기 면을 포함한 전체 시설에 손상을 주는 결과가 되고, 또한 작업 면적이 광범위 한 경우 상기 공정을 반복하는데 따른 공정속도 저하의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우선 비닐, 각목,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밀봉하는 대신 복수의 지지대와 막에 의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용이하게 밀봉하게 하는 습기 포집장치를 사용하고,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상기 면에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상기 면에 압착하면서 습기 포집장치의 밀봉 상태를 확실히 확보함으로써, 습기 제거 작업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이 한 곳에 모이는 한 정점을 관통하는 유체 유통관을 통해 상기 폐쇄공간 내부를 외부와 연결하게 하고, 상기 유체 유통관의 외부에 용이하게 진공펌프 등을 연결하여 상기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폐쇄공간 내의 습기뿐만 아니라 상기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편리하게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펌프에 의한 제습 작업 후 상기 유체 유통관의 외부에 열풍기 등을 연결하여 열풍을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제습 후 건조 과정까지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제고하는 제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착수단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작업 대상 면의 높이에 맞춰 제습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 면이나 바닥 면의 습기도 편리하게 제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습기 포집장치, 이를 압착하는 상기 압착수단, 및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과 상기 위치이동수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작업 대상 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서, 넓은 작업 대상 면적에 대하여도 제습작업을 편리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일단이 한 정점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11),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1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11)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11)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1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한 정점을 관통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습기 포집장치(1) 및 상기 습기 포집장치(1)를 상기 면에 압착하는 압착수단(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수단(20)에 의해 상기 습기 포집장치(1)를 압착할 경우 상기 폐쇄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는 밀봉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일단에 상기 하우징(10) 내의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진공펌프와 같은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거나,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열풍을 주입할 수 있는 열풍기와 같은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의 일단에 설치된 연결부에 상기 압착수단을 회전 가능한 회전봉에 의해 연결하되, 상기 회전봉과 직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에 부설된 래칫기어에 의해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수직, 수평, 일직선, 또는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압착수단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습기 포집장치, 상기 압착수단, 및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위치이동수단, 및 상기 위치이동수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해제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지지대와 막에 의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사용하여 습기 제거 대상 면을 외부와 차단하고 용이하게 밀봉하게 하고, 나아가 상기 하우징을 외부에서 압착하는 압착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밀봉상태를 확실하게 함으로써 제습작업 공정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외부로 연결하는 유체 유통관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체 유통관의 외부에 진공펌프 등을 연결하고, 상기 진공펌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제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습 후 상기 유체 유통관의 외부에 열풍기 등을 교체 연결하여 열풍을 상기 폐쇄공간에 주입함으로써 제습 후 건조 과정까지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습 효율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수직, 수평, 일직선, 또는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어 벽면, 천정 면, 및 바닥 면 모두에 대해 제습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압착수단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함으로써 작업 대상 면의 높이에 맞춰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이동시켜 편리하게 제습작업을 할 수 있고, 천정 면 또는 바닥 면까지도 용이하게 제습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습기 포집장치, 상기 압착수단, 및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위치이동수단, 및 상기 위치이동수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해제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넓은 작업 면적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제습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벽면에 대한 제습작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벽면에 대한 제습작업에 적용한 경우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압착수단의 하방 회전모멘트 경감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천정 면에 대한 제습작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바닥 면에 대한 제습작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 적용된 습기 포집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 적용된 습기 포집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받침대와 압력펌프 이동수단의 결합상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압착수단과의 연결부에 대한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압착수단의 피스톤과 외부 유체 유통관과의 결합상태 정면 및 평면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외부 유체 유통관과 외부 장치 연결관과의 결합상태 상세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수단과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동일 또는 유사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것까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하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충분한 개시를 위해 표현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충분히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고 보호된다.
몇몇 실시예에서는, 잘 알려진 구성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기술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본 발명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별도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벽면에 대한 제습작업에 적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 적용된 습기 포집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 적용된 습기 포집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습장치는, 일단이 한 정점(13)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11),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를 덮고 있는 막(12)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11)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11)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1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11)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12)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한 정점(13)을 관통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습기 포집장치(1), 및
상기 습기 포집장치(1)를 상기 면에 압착하는 압착수단(20)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수단(20)에 의해 상기 습기 포집장치(1)를 압착할 경우 상기 폐쇄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는 밀봉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하우징(10)의 뼈대 역할을 하며, 예를 들어, 철,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섬유강화합금 등 외부 충격과 압력에 의해 부러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견고하고 단단한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은 일단이 정점(13)에 모아지며 정점에 부설되고 중공부를 포함한 정점링(17)에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지지대(11)들은 각각이 인접한 지지대와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의 수가 4개의 경우는 상기 각도는 90 도( = 360 도/4)가 되며 지지대의 수가 3개의 경우는 120 도( = 360 도/3)가 되며 지지대의 수에 따라 상기 각도는 달라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들은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1)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0 ~ 90 도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와 상기 내부 유통관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하우징(10)이 커버하는 작업 대상 면의 넓이와 범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이 넓은 범위의 작업 대상 면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이루는 각도는 거의 90도에 가까워지고, 좁은 범위의 작업 대상 면을 커버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1)와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이 이루는 각도는 0도에 가까워지게 된다.
상기 막(12)은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모두를 덮고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12)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작업 대상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12)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막(12)은 접착제 등 다양한 접합 수단들에 의해 상기 복수의 지지대(11)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막(12)은 연성의 플라스틱 또는 연질 고무 성분이 함침된 천이나, 비닐 등과 같이 질기고 접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막이 질기고 접혀지는 소재로 형성될 경우, 하우징(10)이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접이식 습기 포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12)은 경성 플라스틱, 강화유리, 철판, 알루미늄 판 등 견고한 고체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막이 견고한 고체 소재로 된 경우, 막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11)를 생략하고 상기 막만으로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유통관은 상기 정점링(17)의 중공부를 관통하게 되며, 이로써 유체 유통관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15)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으로 구성되며, 또한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 중 상기 정점링(17)과 가까운 일정 부분의 외주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조임 너트(16)를 끼우고,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14)중 상기 정점링(17)과 가까운 일정 부분의 외주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조임 너트(16)를 끼우되, 상기 조임 너트들(16)을 상호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유체 유통관에 압착하여 고정한다.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의 길이(h1)는 상기 정점((13)에서 상기 면까지의 수직 길이(h2)와 같거나 상기 수직 길이(h2)보다 짧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일단이 상기 작업 대상 면과 붙어 있거나 약간 이격되게 되어,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일단에 결합된 진공펌프 등에 의해 상기 면에 부착되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흡입할 경우 상기 면 측에 위치한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15)의 일단으로 습기가 용이하기 흡입이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과 2에서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에 진공펌프(22)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진공펌프를 본 발명의 습기 포집장치(1)에 연결관(43)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관(43)의 일부분 중 진공펌프(22)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진공펌프 개폐밸브(47)를 열게 되면, 상기 진공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폐쇄공간의 습기와 상기 하우징(10)이 커버하고 있는 작업 대상 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침투되어 있는 습기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1에서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외부 유체 유통관과 진공펌프(22) 또는 열풍기(23) 등의 외부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관(43)과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우선 상기 연결관(43)은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중공관이며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주름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43)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주름관일 경우, 상기 연결관에 연결되어 있는 진공펌프(22) 또는 열풍기(23)의 진동을 흡수할 수 있어 상기 습기 포집장치(1)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연결관(43)은 일단이 분기관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기관 한 쪽에는 진공펌프(22)가 연결되고, 다른 한 쪽에는 열풍기(23)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22) 쪽 분기관의 일부분에는 진공펌프(22)와 상기 연결관(43)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진공펌프 개폐밸브(47)가 부설되어 있으며, 열풍기(23) 쪽 분기관의 일부분에는 열풍기(23)와 상기 연결관(43)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열풍기 개폐밸브(48)가 부설되어 있다.
진공펌프(22)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열풍기 개폐밸브(48)를 닫고 진공펌프 개폐밸브(47)를 열며, 반대로 열풍기(23)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진공펌프 개폐밸브(47)를 닫고, 열풍기 개폐밸브(48)를 열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진공펌프(22)에 의한 제습과 열풍기(23)에 의한 건조를 교대로 할 수 있고, 이러한 교대를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제습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끝단 근처에 상기 연결관(43)과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을 필요에 따라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외주에 나사가 형성된 중공 돌출부가 있다. 상기 돌출부에 상기 연결관(43)과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을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연결관(43)을 상기 돌출부에 끼우고 상기 돌출부에 상시 끼워져 있는 고무링 등으로 단단하게 압착하여 결합한다. 상기 돌출부에 상기 연결관(43)과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을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고무링을 늘려 상기 연결관(43)을 상기 돌출부로부터 벗겨 내어 분리한다.
도 1에는,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상기 작업 대상 면에 압착하는 압착수단(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압착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 펌프일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압착수단의 피스톤(42)과 외부 유체 유통관(14)과의 결합상태의 정면도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착수단의 피스톤(42)의 끝단을 Y자 형으로 분리하고,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끝단을 두꺼운 판형으로 하여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판형 끝단을 상기 압착수단의 피스톤(42)의 Y자 형 끝단의 사이에 삽입하고, 단수 또는 복수의 체결볼트(52)와 체결너트(53)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압착수단의 피스톤(42)과 외부 유체 유통관(14)을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상기 압착수단의 피스톤(42)과 외부 유체 유통관(14)을 결합하거나 분리했지만, 볼트와 너트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2에는, 상기 압착수단(20)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은 유압 또는 공압 펌프일 수 있으며, 유압 또는 공압을 사용한 압력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을 작동할 수 있고,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에 의해 상기 압착수단(20)을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어서 작업 대상 면의 높이에 따라 습기 포집장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압착수단의 실린더(40)를 연결하는 연결부(25)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의 상부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25)에 형성되어 있는 홀에 회전봉(51)을 끼우고, 상기 회전봉(51)의 중앙부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에 상기 압착수단의 실린더(40)의 한 쪽 끝단을 삽입하고, 상기 회전봉(51)의 중앙부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홀과, 상기 회전봉(51)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압착수단의 실린더(40)의 한 쪽 끝단 부분에 형성된 홀을 모두 관통하여 회전봉 체결볼트(511)를 끼우고 여기에 회전봉 체결너트(51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연결부(25), 상기 회전봉(51) 및 상기 압착수단의 실린더(40)를 모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5)의 홀을 관통한 상기 회전봉(51)의 끝단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25)의 일측면에 부설된 상단부 래칫기어(26)와 상기 래칫기어(26)에 부설되어 있는 포올(Pawl)에 의해,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수직, 수평, 일직선, 또는 임의의 각도가 되도록 회전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압착수단을 회전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대상의 면이 벽면, 천정 면 또는 바닥 면 등 어떠한 방향의 면이라 할지라도 모두 상기 압착수단(20)의 일단에 부착되어 있는 습기 포집장치(1)를 해당 면으로 옮겨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작업 대상 면이 벽면인 경우, 도1과 같이 작업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수직이 되게 조절하면 된다.
만약 작업 대상 면이 천정 면인 경우, 도5와 같이 작업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일직선이 되게 조절하면 된다.
만약 작업 대상 면이 바닥 면인 경우, 도4과 같이 작업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일단 상기 압착수단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과 수직이 되게 조절하고, 다음으로 상기 체결볼트(52)와 체결너트(53)가 복수인 경우에는 이들을 단수로 만든 뒤, 상기 체결볼트(52)를 조절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상기 압착수단 피스톤(42)과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이 이루는 각도가 직각이 되도록 맞추고, 상기 습기 포집장치(1)가 바닥 면을 향하도록 하면 된다. 이 경우,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바닥 면에 압착하는 수단은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이며,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을 하강 또는 상승시키면서 압착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습장치의 받침대(46)와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의 결합상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다. 압력펌프 이동수단의 실린더(44)의 외측에 복수의 'ㄴ 자 꺽쇠의 일측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고, 다른 일측을 받침대(46)에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받침대(46)과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을 연결 및 고정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압착수단(20)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수직이 되도록 회전할 경우, 압착수단(20)과 습기 포집장치(1)의 하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상기 연결부(25)에 과중한 부하가 걸릴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압착수단(20)과 습기 포집장치(1)의 하중에 의해 상기 연결부(25)에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는 부하경감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부하경감수단은,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의 측면부에 하단도르래(30), 상기 하단도르래(30)를 회전할 수 있는 핸들(31), 및 상기 하단도르래(3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는 래칫기어로 구성된 하단 래칫기어 세트(32), 상기 연결부(25)에, 연결부의 길이 방향에 대해 45 도의 각도로 부착된 상단도르래(33), 상기 압착수단(20)의 외부 상단 또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14)의 외부 상단에 부착된 상부걸림쇠(34),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14)의 측면부에 부착된 하부걸림쇠(35), 및 상기 하단도르래(30)에 감겨있는 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하경감수단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하단도르래(30)에 감겨있는 줄의 끝단에 부착된 고리를 상기 하부걸림쇠(35)에 걸어두고, 상기 부하경감수단을 사용할 경우, 상기 고리를 상기 하부걸림쇠(35)로부터 벗겨내고 상기 상단도르래(33)를 경유하여 상기 상부걸림쇠(34)에 건 후 상기 하단 래칫기어 세트(32)에 의해 상기 줄을 견인하여 상기 줄을 팽팽하게 한다.
도 1, 도 3, 도 4 및 도 8에는 받침대(46) 하단에,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받침대(46)가 사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퀴 등의 위치이동수단(27)이 복수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위치이동수단(27)은 전후좌우 사방으로 자유로이 이동이 가능한 바퀴일 수 있으며, 상기 위치이동수단은 의자, 유모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바퀴로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기술을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3, 도 4 및 도 8에는 받침대(46) 측면에 부설되며, 상기 위치이동수단(27)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위치이동수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상기 고정을 해제할 수도 있는 복수의 위치고정수단(28)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위치고정수단(28)은 상기 받침대(46)의 측면에 흰지 결합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에 부착된 걸쇠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의 끝단에는 고무 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이동수단(27)을 사용하여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받침대(46)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홀더를 지상으로부터 들어 올리면서 회전시켜 상기 걸쇠에 건 후,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받침대(46)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24)과 받침대(46)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걸쇠에 걸려 있는 상기 홀더를 회전시키면서 지상으로 내려놓으면 되며, 상기 홀더의 끝단에 부착된 고무 등의 소재로 인해 상기 홀더가 지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이 예방된다.
상기 위치이동수단(27)과 상기 위치고정수단(28)에 의해, 본 발명인 제습장치는 수평으로 자유로이 이동하고, 소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음으로 해서 작업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에서는, 상기 면에 접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11) 사이를 잇는 상기 막(12)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37)를 부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막과 상기 탄성소재 간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38)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가령 상기 막(12)이 딱딱하고 견고한 소재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작업 대상 면과 상기 막이 충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여 충분한 밀봉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에 진공펌프를 연결하여 습기를 흡입할 경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이 커버하고 있는 작업 대상 면의 습기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를 예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연질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37)를 상기 막(12)이 상기 작업 대상 면과 접촉하는 부분에 부착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충분한 밀봉을 위해 상기 정점(13) 또는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에 외부 압착수단을 연결하여 하우징(10)을 강제로 상기 작업 대상면에 압착을 할 경우, 과도한 외력이 작용을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대(11)에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 상기 지지대가 손상을 입을 수가 있다. 이러한 손상을 막기 위해 상기 막(12)과 상기 면접촉부(37) 사이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38)를 부착하여 외력의 세기를 측정하고, 과도한 외력이 작용할 경우, 압력센서(38)가 감지한 신호를 예를 들어, 디지털 표시 장치나, 부저, 램프 등에 송신하여 경고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과도한 외력을 작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에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되게 된다.
1: 습기 포집장치, 10: 하우징
11: 지지대 12: 막
13: 정점 14: 외부 유체 유통관
15: 내부 유체 유통관 16: 조임 너트
17: 정점링 20: 압착수단
21: 폐쇄공간 22: 진공펌프
23: 열풍기 24: 압력펌프 이동수단
25: 연결부 26: 상단부 래칫기어
27: 위치이동수단 28: 위치고정수단
29: 래칫기어 세트 30: 하단 도르래
31: 핸들 32: 하단부 래칫기어
33: 상단 도르래 34: 상부 걸림쇠
35: 하부 걸림쇠 36: 줄
37: 면접촉부 38: 압력센서
40: 압착수단의 실린더 42: 압착수단의 피스톤
43: 연결관 44: 압력펌프 이동수단의 실린더
45: 압력펌프 이동수단의 피스톤 46: 받침대
47: 진공펌프 개폐밸브 48: 열풍기 개폐밸브
49: ㄴ 자 꺽쇠 50: 상단 도르래 지지대
51: 회전봉 511: 회전봉 체결 볼트
512: 회전봉 체결 너트 52: 체결 볼트
53: 체결 너트 54: 연결관 체결부

Claims (12)

  1. 일단이 한 정점에 모아지며, 상호간 소정의 각도와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펼쳐져 있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를 덮고 있는 막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지지대가 마주 보는 다른 지지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이격됨으로써 상기 막에 의해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다른 일단들이 면에 접할 경우 상기 막에 의해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습기포집장치와,
    상기 습기 포집장치를 상기 면에 압착하는 압착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압착수단에 의해 상기 포집장치를 압착할 경우 상기 폐쇄공간이 외부와 차단되는 밀봉 상태가 되는 제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정점을 관통함으로써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있는 내부 유체 유통관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외부 유체 유통관으로 구성되며, 중공부를 가짐으로써 중공부를 통해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유통관이 포함되며,
    상기 압착수단이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내부 유체 유통관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폐쇄공간을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수단은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체 유통관의 일단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수단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 내의 공간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수단은 열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은 유압 또는 공압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을 수직으로 이동하는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수단을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펌프 이동수단을 위치 이동할 수 있는 위치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이동수단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도 있고, 고정을 해제할 수 있는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에 접하는 상기 막 부분에 유연한 탄성소재로 형성된 면접촉부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막과 상기 탄성소재 간에 1개 이상의 압력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장치.
KR1020180013098A 2018-02-01 2018-02-01 제습장치 KR102231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98A KR102231444B1 (ko) 2018-02-01 2018-02-01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098A KR102231444B1 (ko) 2018-02-01 2018-02-01 제습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922A Division KR101840604B1 (ko) 2017-09-06 2017-09-06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0A KR20190027300A (ko) 2019-03-14
KR102231444B1 true KR102231444B1 (ko) 2021-03-25

Family

ID=6575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098A KR102231444B1 (ko) 2018-02-01 2018-02-01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50657A (zh) * 2020-06-28 2020-10-09 岳阳弘昱农产品仓储有限公司 一种仓储物流管理用除湿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31230A1 (en) 2003-09-26 2005-04-07 Fernandes John P Concrete wall heating and drying system
KR100799307B1 (ko) 2007-01-12 2008-02-01 대한민국 포집장치
KR200442709Y1 (ko) 2007-12-13 2008-12-05 (주)드라이어코리아 제습호스 장착구
US20100192400A1 (en) 1999-03-08 2010-08-05 Storrer Ernest J Moisture removal system
KR101028835B1 (ko) 2010-05-28 2011-04-1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물을 이용한 오일집진장치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JP2013178211A (ja) 2012-02-29 2013-09-09 Japan Environment Research Co Ltd 除染方法およびドライアイス打ち込みシステム並びに除染システム
KR101665127B1 (ko) 2015-10-13 2016-10-12 (주)부흥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8670A (ja) * 1997-04-15 1998-10-27 Toshiba Corp 非接触型表面汚染検査方法、表面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278150B1 (ko) * 2011-06-27 2013-06-2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다공관을 갖는 미세먼지 포집장치
KR20140121719A (ko) * 2013-04-08 2014-10-16 주식회사 위닉스 제습기를 이용한 건조장치
GB2514149B (en) * 2013-05-15 2015-05-13 Graeme Joynson A fluid movement device
KR20170014302A (ko) * 2015-07-29 2017-02-08 정민우 열풍을 이용한 건조기 본체의 가열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2400A1 (en) 1999-03-08 2010-08-05 Storrer Ernest J Moisture removal system
WO2005031230A1 (en) 2003-09-26 2005-04-07 Fernandes John P Concrete wall heating and drying system
KR100799307B1 (ko) 2007-01-12 2008-02-01 대한민국 포집장치
KR200442709Y1 (ko) 2007-12-13 2008-12-05 (주)드라이어코리아 제습호스 장착구
KR101028835B1 (ko) 2010-05-28 2011-04-12 주식회사 휴텍엔지니어링 물을 이용한 오일집진장치
KR101189809B1 (ko) 2012-01-30 2012-10-10 조이넥스(주) 진공감전 포충기
JP2013178211A (ja) 2012-02-29 2013-09-09 Japan Environment Research Co Ltd 除染方法およびドライアイス打ち込みシステム並びに除染システム
KR101665127B1 (ko) 2015-10-13 2016-10-12 (주)부흥 이동식 자동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300A (ko) 201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6271B2 (en) Moisture removal system
US5960556A (en) Method for drying sheathing in structures
KR102231444B1 (ko) 제습장치
CN110409635A (zh) 一种外墙伸缩缝结构及其安装方法
CN106196406B (zh) 一种室内安装的穿墙风口组件
US20040255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moisture from water laden structures
KR102169403B1 (ko) 진공흡착장치용 진공압형성 지지장치
KR101840604B1 (ko) 제습장치
KR101858505B1 (ko) 습기 포집장치
CN211373940U (zh) 工程监理用墙体渗水检测装置
KR101854085B1 (ko) 제습용 압력조절장치 및 이를 활용한 제습장치
CN217980374U (zh) 一种传感器防水结构
CN115164491B (zh) 一种能够调节抽吸范围的冷气干燥装置
KR102303623B1 (ko) 습기 포집장치
CN216811027U (zh) 一种建筑工程吊杆便捷安装装置
KR20210053861A (ko) 습기 포집장치
CN209924363U (zh) 室内架空地板结构
CN111385989A (zh) 一种防潮加热装置
CN212180198U (zh) 一种建筑幕墙气密性检测装置
CN216440309U (zh) 一种建筑工程设备用高效防潮处理装置
CN216787899U (zh) 一种工具式建筑施工预留洞临时封堵装置
CN115406195B (zh) 一种药材加工晾晒装置
CN219298285U (zh) 地下室外墙防潮结构
CN112857774B (zh) 一种便于紧固门窗的门窗物理性能检测设备
CN214664976U (zh) 一种建筑设计节能通风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