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51744A1 -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 Google Patents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51744A1
WO2013051744A1 PCT/KR2011/007469 KR2011007469W WO2013051744A1 WO 2013051744 A1 WO2013051744 A1 WO 2013051744A1 KR 2011007469 W KR2011007469 W KR 2011007469W WO 2013051744 A1 WO2013051744 A1 WO 20130517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ns
omnidirectional
lens module
camera lens
inciden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4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충구
Original Assignee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티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022,81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73253B2/en
Publication of WO20130517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517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8Catadioptric systems
    • G02B17/085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 G02B17/086Catadioptric systems comprising a refractive element with a reflective surface, the reflection taking place inside the element, e.g. Mangin mirrors wherein the system is made of a single block of optical material, e.g. solid catadioptric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으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본 발명은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으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행 차량용과 보안용으로 판매되는 소형 감시용 카메라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왜곡 없이 촬영하는 기법으로 개발되었다.
날로 지능화되고 있는 범죄현장과 위험요소의 감시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왜곡 없이 획득하는 통상적인 목적보다는 시야각을 최대로 하여 사각지대(보이지 않는 부분의 영상)를 최대한 없애는 소형카메라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들은 광시야각이 아닌 단 시야각으로 한쪽 면만의 영상데이터를 가공 처리하다 보니 렌즈에 잡히지 않는 각에 대해서는 취약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하여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대해 그 영상을 획득하였다.
그러다 보니 사각지대를 제거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메라 설치에 따른 설치 비용의 증대와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었다.
또한, 대부분의 감시용 카메라는 한 대의 카메라로 넓은 영역을 관측 및 감시하기 어려우며, 광각을 구현하는 기술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배경기술로는 일본공개특허 2009-145839호(2009.07.02)인 어안렌즈 및 촬상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80도 이상의 광각화에 대응하면서 제수차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공개특허 2009-145839호(2009.07.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으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은,
입사광이 굴절되도록 형성되는 굴절부(120)와,
상기 굴절부의 끝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0)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어 내측반사코팅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내측오목부로 입사광을 제공하는 반사코팅(150)과,
반사코팅을 통해 반사된 입사광을 렌즈어레이로 제공하도록 다시 굴절시키는 내측오목부(210)와,
내측오목부의 끝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굴절부(220)와,
상기 내측굴절부에 형성되어 굴절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코팅으로 반사시키는 내측반사코팅(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방위렌즈(100)와;
상기 전방위렌즈가 전방에 설치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렌즈어레이(300)가 형성되어 있는 경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으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렌즈 자체가 비구면이 아니라, 구면이므로 가공이 쉬워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상의 편의성 및 제조 원가 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구면렌즈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이미지를 나타나게 하는 이미지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시야각을 확보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이용하여 전,후,좌,우 4채널의 이미지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전방위렌즈 및 렌즈어레이의 직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전방위렌즈
110 : 중앙축
120 : 굴절부
130 : 수평부
150 : 반사코팅
210 : 내측오목부
220 : 내측굴절부
230 : 내측반사코팅
300 : 렌즈어레이
500 : 경통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은,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있어서,
입사광이 굴절되도록 형성되는 굴절부(120)와,
상기 굴절부의 끝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0)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어 내측반사코팅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내측오목부로 입사광을 제공하는 반사코팅(150)과,
반사코팅을 통해 반사된 입사광을 렌즈어레이로 제공하도록 다시 굴절시키는 내측오목부(210)와,
내측오목부의 끝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굴절부(220)와,
상기 내측굴절부에 형성되어 굴절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코팅으로 반사시키는 내측반사코팅(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방위렌즈(100)와;
상기 전방위렌즈가 전방에 설치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렌즈어레이(300)가 형성되어 있는 경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가상의 중앙축(110)을 기준으로 내측굴절부의 경사는 굴절부의 경사보다 가파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오목부(210)는,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방위렌즈(100)는,
360도 시야각 확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구면렌즈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은,
입사광이 굴절되도록 형성되는 굴절부(120)와,
상기 굴절부의 끝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0)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어 내측반사코팅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내측오목부로 입사광을 제공하는 반사코팅(150)과,
반사코팅을 통해 반사된 입사광을 렌즈어레이로 제공하도록 다시 굴절시키는 내측오목부(210)와,
내측오목부의 끝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굴절부(220)와,
상기 내측굴절부에 형성되어 굴절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코팅으로 반사시키는 내측반사코팅(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방위렌즈(100)와;
상기 전방위렌즈가 전방에 설치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렌즈어레이(300)가 형성되어 있는 경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전방위렌즈 구성을 통해 360도 시야각 확보가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즉, 굴절부(120)가 입사광이 굴절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굴절부의 끝단에 수평하게 수평부(130)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부에 반사코팅(150)을 형성하여 내측반사코팅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내측오목부로 입사광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내면에는 전방위렌즈의 중앙 부위에 반사코팅을 통해 반사된 입사광을 렌즈어레이로 제공하도록 다시 굴절시키는 내측오목부(210)를 형성하게 되며, 내측오목부의 끝단에 오목하게 내측굴절부(22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측굴절부에 형성되어 굴절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코팅으로 반사시키는 내측반사코팅(230)을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굴절면과 두 개의 반사코팅면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전방위렌즈 자체가 비구면이 아니라, 구면이므로 가공이 쉬워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상의 편의성 및 제조 원가 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굴절부와 내측굴절부 및 내측오목부는 구면을 가지게 되는 것이어서 비구면시의 문제점인 가공의 어려움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전방위 촬영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위렌즈를 경통(500)의 전방에 설치 구성하게 되며, 경통의 내부에는 렌즈어레이(30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전방위렌즈의 가상의 중앙축(110)을 기준으로 내측굴절부의 경사는 굴절부의 경사보다 가파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35도 내지 85도 범위 내의 시야범위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내측굴절부의 경사각도가 굴절부의 경사각도보다 가파르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방위렌즈의 내측 중앙 부위에 내측오목부(210)를 형성하는 이유는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이미지를 나타나게 하는 이미지 시뮬레이션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내측오목부에 의해 입사광이 렌즈어레이에 입사할 경우에 광을 모아주어 초점을 맞추어주는 것이다.
보통 광학 렌즈의 경우에는 빛의 양이나 반사에 따라 상이 맺히기에 광학계의 설계는 완전체로 제작해야 한다.
즉, 하나의 전체적인 형상을 통해 발생되는 빛의 반사는 유기적인 것이므로 최초 설계시점부터 완전체로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단순하나, 어떻게 하면 좀 더 넓은 범위의 입사각을 확보할 수 있을 까라는 착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도 4와 같이 경통의 전방에 전방위렌즈를 결합시키고, 내부에 렌즈어레이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시야각을 확보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이용하여 전,후,좌,우 4채널의 이미지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의 경우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렌즈모듈을 본 발명의 렌즈모듈로 교체할 경우에 전방위 시야각이 확보된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의 경우에는 전,후,좌,우 4채널의 이미지 화면을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방위렌즈를 통해 전방위 촬영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의 전방위렌즈 및 렌즈어레이의 직경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위렌즈(100)와 렌즈어레이(300) 간의 직경은 3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방위렌즈가 예를 들어 약 Ø 33.00 이면, 렌즈어레이는 약 Ø 11.00 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초점을 정밀하게 맞추어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함으로써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으며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렌즈에 잡히지 않는 시야각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여 종래 기술의 취약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 자체가 비구면이 아니라, 구면이므로 가공이 쉬워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제조상의 편의성 및 제조 원가 절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은,
광각 촬영이 가능한 단일 광학렌즈를 이용한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을 제공하여 종래의 감시카메라에 렌즈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잇는 카메라를 이용한 방범 및 관제 분야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에 있어서,
    입사광이 굴절되도록 형성되는 굴절부(120)와,
    상기 굴절부의 끝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30)와,
    상기 수평부에 형성되어 내측반사코팅으로부터 반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시켜 내측오목부로 입사광을 제공하는 반사코팅(150)과,
    반사코팅을 통해 반사된 입사광을 렌즈어레이로 제공하도록 다시 굴절시키는 내측오목부(210)와,
    내측오목부의 끝단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내측굴절부(220)와,
    상기 내측굴절부에 형성되어 굴절부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을 반사코팅으로 반사시키는 내측반사코팅(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방위렌즈(100)와;
    상기 전방위렌즈가 전방에 설치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렌즈어레이(300)가 형성되어 있는 경통(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가상의 중앙축(110)을 기준으로 내측굴절부의 경사는 굴절부의 경사보다 가파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오목부(210)는,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렌즈(100)는,
    360도 시야각 확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위렌즈(100)와,
    렌즈어레이(300) 간의 직경은 3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PCT/KR2011/007469 2011-10-07 2011-10-10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WO20130517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22,814 US10073253B2 (en) 2011-10-07 2011-10-10 Synchronous camera lens module photographing all directions with single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2391A KR101653846B1 (ko) 2011-10-07 2011-10-07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KR10-2011-0102391 2011-10-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1744A1 true WO2013051744A1 (ko) 2013-04-11

Family

ID=48043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469 WO2013051744A1 (ko) 2011-10-07 2011-10-10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073253B2 (ko)
KR (1) KR101653846B1 (ko)
WO (1) WO201305174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6002A1 (zh) * 2015-06-23 2016-12-29 博立多媒体控股有限公司 折反射镜头组及全景影像采集装置
CN107589617A (zh) * 2017-09-29 2018-0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及移动终端
CN109541787A (zh) * 2018-12-04 2019-03-29 湖北久之洋红外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非制冷型双波段全景凝视成像光学系统
CN110058372A (zh) * 2017-02-23 2019-07-26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13Y1 (ko) 2017-07-31 2020-01-17 (주) 봄날애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102158528B1 (ko) * 2019-04-15 2020-09-22 (주)에이치엠티 화질 개선 구조의 블랙박스용 렌즈 조립체
KR102409108B1 (ko) * 2020-09-18 2022-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 광학계
KR102446196B1 (ko) * 2020-09-23 2022-09-26 주식회사 에픽옵틱스 돔 형태의 커버유닛을 포함하는 전방위 카메라모듈
WO2024071973A1 (ko) * 2022-09-28 2024-04-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343A (ja) * 1998-05-01 1999-11-16 Nikon Corp カタディオプトリックレンズ
JP2010008496A (ja) * 2008-06-24 2010-01-14 Panasonic Corp 広角レンズ、照明光学系、面発光装置
KR101051169B1 (ko) * 2010-05-26 2011-07-21 (주)모인옵텍 광각 렌즈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8474B2 (ja) 2007-12-18 2012-10-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魚眼レンズ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16343A (ja) * 1998-05-01 1999-11-16 Nikon Corp カタディオプトリックレンズ
JP2010008496A (ja) * 2008-06-24 2010-01-14 Panasonic Corp 広角レンズ、照明光学系、面発光装置
KR101051169B1 (ko) * 2010-05-26 2011-07-21 (주)모인옵텍 광각 렌즈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6002A1 (zh) * 2015-06-23 2016-12-29 博立多媒体控股有限公司 折反射镜头组及全景影像采集装置
CN110058372A (zh) * 2017-02-23 2019-07-26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CN110058372B (zh) * 2017-02-23 2022-02-08 核心光电有限公司 折叠式摄影机透镜设计
CN107589617A (zh) * 2017-09-29 2018-01-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及移动终端
CN107589617B (zh) * 2017-09-29 2020-10-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摄像头及移动终端
CN109541787A (zh) * 2018-12-04 2019-03-29 湖北久之洋红外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非制冷型双波段全景凝视成像光学系统
CN109541787B (zh) * 2018-12-04 2020-10-16 湖北久之洋红外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非制冷型双波段全景凝视成像光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883A (ko) 2013-04-17
KR101653846B1 (ko) 2016-09-02
US20160274337A1 (en) 2016-09-22
US10073253B2 (en)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51744A1 (ko)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US20080297612A1 (en) Image pickup device
CN205812185U (zh) 一种双目单图像传感器的拍摄系统
WO2017082480A1 (en) Tele-lens and imaging device
CN210572980U (zh) 相机模块与电子装置
WO2015088148A1 (en) Catadioptric light-field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17160095A1 (ko) 촬영 렌즈 광학계
WO2017160092A2 (ko) 촬영 렌즈 광학계
CN108513097A (zh) 一种多目摄像装置和监控系统
WO2017164607A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WO2017155303A1 (ko) 촬영 렌즈 광학계
WO2017161871A1 (zh) 广角拍摄的光学镜头配件
WO2017160093A1 (ko) 촬영 렌즈 광학계
WO2017034308A1 (ko) 카메라 모듈
US7777970B2 (en) Super-wide-angle lens and imaging system having same
WO2017034307A1 (ko) 촬상 렌즈,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디지털 기기
WO2021002728A1 (ko) 소형 반사부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증강 현실용 광학 장치
WO2022035219A1 (ko) 광학계
WO2021187775A1 (ko) 이동 통신 단말기
WO2010064816A2 (ko)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프로젝터용 렌즈 장치, 이미지 캡쳐용 렌즈 장치 및 이들을 구비한 3차원 스캐닝 시스템
WO2017160091A1 (ko) 렌즈 광학계 및 촬상 장치
WO2012157996A2 (ko) 굴절률 변화 렌즈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WO2016206002A1 (zh) 折反射镜头组及全景影像采集装置
CN110286459B (zh) 镜头及摄像头模组
WO2016163707A1 (ko)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736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7369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022814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