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813Y1 -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813Y1
KR200490813Y1 KR2020170003995U KR20170003995U KR200490813Y1 KR 200490813 Y1 KR200490813 Y1 KR 200490813Y1 KR 2020170003995 U KR2020170003995 U KR 2020170003995U KR 20170003995 U KR20170003995 U KR 20170003995U KR 200490813 Y1 KR200490813 Y1 KR 200490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body
medical bed
coupl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352U (ko
Inventor
조재영
Original Assignee
(주) 봄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봄날애 filed Critical (주) 봄날애
Priority to KR202017000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81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3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3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8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4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rive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이드레일이 구비된 기존의 의료용 침대에서 상기 사이드레일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부에 매트리스를 설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의료용 침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에 있어서; 도우넛 형상의 틀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결합편이 구비된 난간몸체와; 상부에 상기 난간몸체의 결합편이 진입하는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편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되는 '컵(cup)'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편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과 상기 체결편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결합밴드를 가지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밴드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Secondary side rail device of medical bed}
본 고안은, 난간이 구비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레일이 구비된 기존의 의료용 침대에서 상기 사이드레일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편안하게 누워 휴식을 취하도록 된 것으로, 특히 환자가 사용하는 의료용 침대는 일측 또는 양측에 외부에 대하여 차폐함으로서 무단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사이드레일이 구비된다.
이러한 사이드레일은, 사용자의 팔, 다리를 걸치거나 추락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의 사이드레일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일측으로 절첩하거나 하측으로 하강시켜 개방함으로써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의료용 침대는, 매트리스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구조를 이루는 프레임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저면에는 프레임 및 환자의 무게를 버티는 한편 의사나 간호사 등이 환자의 진찰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일정 높이로 부양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의 양쪽 측면에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레일이 설치된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14199호(명칭: 환자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절첩장치/2000.05.1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다수의 수직봉으로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접합부에 좌우로 회동되는 핀을 축설하고 일측 수직봉의 상단을 지지 및 회동되게 관삽시킨 접동관을 삽지된 괘정핀이 작동레버의 조작으로 삽탈자재 되어 사이드레일을 좌우로 절첩하는 사이드레일 절첩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45345호(명칭: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2011.12.2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의료용 침대에 설치되는 사이드레일; 상기 의료용 침대의 측부에 서로 다른 높이 단차를 갖는 복수의 구동기어와, 상기 복수의 구동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상기 복수의 구동기어를 연결하며 상기 사이드레일의 이송경로를 제공하는 구동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의료용 침대에 설치되는 RFID 센서; 및상기 RFID 센서와 송수신이 가능하며 환자의 신체에 탈, 부착이 가능한 반지 또는 팔찌 형태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RFID 센서 및 센서와 연결되어, 상기 RFID 센서와 센서 간에 송수신 범위가 기 설정된 송수신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상기 구동체인을 통해 상기 사이드레일을 의료용 침대의 상부로 경사지게 올리는 낙상방지를 위한 의료용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68924호(명칭: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2012.06.2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에 있어서, 침대프레임의 좌/우측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며 측면에 기둥이 구비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기둥에 힌지로 조립된 채, 측방으로 개폐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며 상부 레버의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프레임의 위치가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된 도어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사이드레일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37883호(명칭: 환자용 안전난간/2013.04.0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수평대와 수직대로 된 난간에 있어서, 환자용 침대의 프레임이나, 의자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프레임 브라켓; 및 수평방향 장형링 형태를 이루는 수평대와, 상기 수평대로부터 하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한편 하단에 상기 각각의 프레임 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도록 난간 브라켓가 형성된 복수의 수직대로 된 난간;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프레임 브라켓에는 고정레버가 장착 및 그 프레임 브라켓의 일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레버가 장착된 프레임 브라켓에 결합되는 수직대의 난간 브라켓에는 고정레버가 끼움 고정될 수 있도록 난간 고정공을 더 구성된 안전난간이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0-0014199호(2000.05.19.) 2,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145345호(2011.12.29.) 3,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2-0068924호(2012.06.27.) 4,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37883호(2013.04.0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침대들은, 각각의 사이드레일이 설치된 각각의 의료용 침대를 별도로 제조해야만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제조된 의료용 침대에는 적합하게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범용성이 떨어져 기존의 의료용 침대에는 적용하제 못하여, 별도로 구비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이드레일이 구비된 기존의 의료용 침대에서 상기 사이드레일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공간을 차폐하도록 설치됨으로써 환자의 안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는,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으로 이루어진 프레임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부에 매트리스를 설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의료용 침대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에 있어서; 도우넛 형상의 틀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결합편이 구비된 난간몸체와; 상부에 상기 난간몸체의 결합편이 진입하는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편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편이 형성되는 '컵(cup)' 형상의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편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과 상기 체결편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결합밴드를 가지는 결합수단과; 상기 결합밴드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는, 기존의 의료용 침대를 구성하는 본체에 결합밴드를 통해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수용공간에 난간몸체를 결합하게 됨에 따라, 본체에서 원하는 위치에 보조난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체에 설치된 사이드레일이 위치하지 않는 부위에서 간편하게 보조난간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무단낙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을 더욱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기존의 의료용 침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게 됨에 따라, 경제적인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구성하는 결합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구성하는 커버으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단면 예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멀티 가시설을 이용한 교량인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보수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1)는,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으로 이루어진 프레임(11)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부에 매트리스(12)를 설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의료용 침대(10)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낙상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즉, 기존의 의료용 침대(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외부에 대하여 차폐함으로서 무단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사이드레일(13)이 위치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무단 낙하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난간보조장치(1)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결합되면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도우넛 형상의 틀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결합편(21)이 구비된 난간몸체(2)와; 상부에 상기 난간몸체(2)의 결합편(21)이 진입하는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편(21)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편(31)이 형성되는 '컵(cup)' 형상의 고정부재(3)와;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11)과 상기 체결편(31)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결합밴드(41)를 가지는 결합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기존의 의료용 침대(1)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에 프레임(11)에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결합밴드(41)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3)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3)의 수용공간에 상기 난간몸체(2)의 결합편(21)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되어 사용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3)와 상기 결합편(21)에는, 고정핀(5)이 관통하면서 체결되는 관통공(51)들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3)의 수용공간에 상기 난간몸체(2)를 결합하게 됨에 따라, 상기 본체에서 원하는 위치를 외부에 대하여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에서 상기 사이드레일(13)이 위치하지 않는 부위에서 간편하게 보조난간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무단낙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난간보조장치(1)에서 상기 체결편(31)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의 저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의 상부에 상기 고정부재(3)가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 7 내지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의 배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의 전면에 상기 고정부재(3)가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1)에서, 상기 결합수단(4)은,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11)과 상기 체결편(31)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결합밴드(41)와; 상기 결합밴드(41)의 양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밴드(41)의 양단을 상기 결속부재(42)를 통해 결속하여 무단으로 결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속부재(42)는, 상기 결합밴드(41)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결합밴드(41)의 타단이 관통하면서 진입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관체(43)와, 상기 관체(43)의 내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결합밴드(41)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랙구멍(44)들과 나사결합하여 회전시 상기 결합밴드(41)를 직선운동시키도록 되는 결속나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결속나사(45)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상기 결합밴드(41)의 조임 및 풀림을 통해 상기 고정부재(3)와 상기 본체의 프레임(11)간의 결합 및 분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1)는, 상기 결합밴드(41)와 상기 결속부재(42)를 외부에서 감싸면서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커버(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본체와 상기 결합수단(4)의 결합부위가 상기 커버(6)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됨에 따라, 사용자가 부딪히어 손상입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게 된다.
상기에서 커버(6)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자체탄성을 가지는 밴드형태로 이루어져 양단에 매직화스너(일명 ' 찍찍이')가 구비되어 결속 및 분리가 자유로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절첩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도우넛 형상의 합성수지재질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에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1)는, 기존의 의료용 침대(10)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3)의 수용공간에 상기 난간몸체(2)를 결합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보조난간장치 10 : 침대
11 : 프레임 12 : 매트리스
13 : 사이드레일 2 : 난간몸체
21 : 결합편 3 : 고정부재
31 : 체결편 4 : 결합수단
41 : 결합밴드 42 : 결속부재
43 : 관체 44 : 랙구멍
45 : 결속나사 5 : 고정핀
51 : 관통공 6 : 커버

Claims (1)

  1. 다수의 프레임(11)들이 '틀' 형상으로 결합되어 상부에 매트리스(12)를 설치되는 본체를 가지는 의료용 침대(10)의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도우넛 형상의 틀구조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하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형성된 결합편(21)이 구비된 난간몸체(2)와; 상부에 상기 난간몸체(2)의 결합편(21)이 진입하는 개구가 배치되며 상기 결합편(21)이 수용되어 끼움결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고 바닥면을 구비하고 외주면에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체결편(31)이 형성되는 '컵(cup)' 형상의 고정부재(3)와;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11)과 상기 체결편(31)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결합밴드(41)를 가지는 결합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수단(4)은, 상기 체결편(31)이 상기 본체의 프레임(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프레임(11)과 상기 체결편(31)을 동시에 감싸면서 권취하여 결합하도록 된 상기 결합밴드(41)와; 상기 결합밴드(41)의 양단을 결속하는 결속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속부재(42)는, 상기 결합밴드(41)의 일단이 고정되며 상기 결합밴드(41)의 타단이 관통하면서 진입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관체(43)와, 상기 관체(43)의 내부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결합밴드(41)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랙구멍(44)들과 나사결합하여 회전시 상기 결합밴드(41)를 직선운동시키도록 되는 결속나사(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1)에 있어서;
    상기 결합밴드(41)의 외부를 감싸면서 외부에 대하여 밀폐하도록 된 커버(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결편(31)은,
    상기 고정부재(3)의 배면에서 양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프레임(11)의 전면에 상기 고정부재(3)가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2020170003995U 2017-07-31 2017-07-31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200490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95U KR200490813Y1 (ko) 2017-07-31 2017-07-31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995U KR200490813Y1 (ko) 2017-07-31 2017-07-31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52U KR20190000352U (ko) 2019-02-11
KR200490813Y1 true KR200490813Y1 (ko) 2020-01-17

Family

ID=6536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995U KR200490813Y1 (ko) 2017-07-31 2017-07-31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81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495B1 (ko) * 2019-04-02 2020-09-15 (주)한국베드메디칼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716A (ja) * 1998-07-06 2000-01-18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付属品の取付金具
JP2000288038A (ja) 1999-04-01 2000-10-17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側柵の取付構造
JP2004121681A (ja) 2002-10-04 2004-04-22 Paramount Bed Co Ltd 身体保護用手段を備えた折り畳み式側柵およびその身体保護用手段
JP3108447U (ja) 2004-10-27 2005-04-14 友貴 中野 ベッドサイドフレーム用起立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9147Y1 (ko) 1998-12-30 2005-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단말기의커버결합구조
JP5155980B2 (ja) 2009-10-23 2013-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ボコンパウンド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KR200467897Y1 (ko) * 2011-05-04 2013-07-10 노건상 밴드 클램프
KR101653846B1 (ko) 2011-10-07 2016-09-02 이선구 단일렌즈로 전방위를 촬영하는 동기식 카메라 렌즈모듈
KR20140001416A (ko) * 2012-06-27 2014-01-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716A (ja) * 1998-07-06 2000-01-18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等における付属品の取付金具
JP2000288038A (ja) 1999-04-01 2000-10-17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側柵の取付構造
JP2004121681A (ja) 2002-10-04 2004-04-22 Paramount Bed Co Ltd 身体保護用手段を備えた折り畳み式側柵およびその身体保護用手段
JP3108447U (ja) 2004-10-27 2005-04-14 友貴 中野 ベッドサイドフレーム用起立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352U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866B2 (en) Height-adjustable bedframes
US3063066A (en) Sidegate for beds
US3093839A (en) Guard accessory for beds
ITMI20010759A1 (it) Box convertibile multiuso a piu' livelli
US6694547B1 (en) Bed enclosure
KR200490813Y1 (ko)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RU2500378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поручень для кровати
US20140090680A1 (en) Canopy System for an Emergency Gurney
US20080034499A1 (en) Protective pads for cribs and child safety devices
US20110179569A1 (en) Bedrail for convertible crib
US6721974B1 (en) Safety equipment for beds
KR200477531Y1 (ko) 건축공사용 안전난간
KR101649843B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US10188572B2 (en) Stirrups devices
US20170273466A1 (en) Method for adjusting mattresses into an operating position and mechanism for performing said method
CN205832092U (zh) 医用床体
US20130061392A1 (en) Combination Perimeter Element and Support Boom
EP3067032A1 (en) Lifting mechanism
ITMI20120624A1 (it) Letto a castello a scomparsa
KR20180120955A (ko) 인출식 안전수단을 구비한 병원용 침대
KR101500465B1 (ko) 침대의 사이드 프레임 겸용 안전 손잡이
CA2433646C (en) Therapeutic bedding pad for hospital beds
US10188566B2 (en) Lifting mechanism
CN217886422U (zh) 一种用于防止老年病人起床跌倒的辅助用具
CN209574727U (zh) 一种放射科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