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495B1 -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 Google Patents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495B1
KR102156495B1 KR1020190038539A KR20190038539A KR102156495B1 KR 102156495 B1 KR102156495 B1 KR 102156495B1 KR 1020190038539 A KR1020190038539 A KR 1020190038539A KR 20190038539 A KR20190038539 A KR 20190038539A KR 102156495 B1 KR102156495 B1 KR 102156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plate
bed
rotation
frame
separation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윤상
Original Assignee
(주)한국베드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베드메디칼 filed Critical (주)한국베드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038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25Side-bol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자용 침대의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침대 옆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면서, 이탈방지판에 설치되는 고정유지수단을 통해 이탈방지판을 간편하게 개폐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매트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의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설치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과 침대프레임 사이에는 회전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이탈방지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프레임이 결합되는 이탈방지판에는 이탈방지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지수단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이탈방지판에 고정되고 외측은 회전프레임이 축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회전프레임의 회전반경에 따라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록킹장치와, 상기 록킹장치와 연결되어 몸체부의 외측에서 록킹장치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patient bed with railing}
본 발명은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환자용 침대의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침대 옆으로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면서, 이탈방지판에 설치되는 고정유지수단을 통해 이탈방지판을 간편하게 개폐조절 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용 침대는 금속 프레임에 매트리스가 올려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원환자는 회복시간을 대부분 침대 위에서 지내기 때문에 환자용 침대의 구조는 안전해야 된다.
따라서, 침대의 양옆에는 환자가 침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이탈방지판이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중증환자 및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낙상사고로 인해 생명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항시 보호자가 신경을 써야하는 실정이다.
종래의 이탈방지판은 대부분 난간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고 있지만, 환자가 침대 밖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판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 내려오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탈방지판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476267호(환자용 안전난간)에는 환자용 침대의 측면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프레임의 측면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난간의 개폐 작동시 매트리스와의 간섭이 방지되게 하여 원활한 개폐가 가능하게 하며, 또한, 환자용 의자에 설치 가능하게 하되, 안전난간이 좌판의 측면에서 프레임에 설치 및 회동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탈방지판의 기능을 하는 난간이 침대의 외측방향으로 회동 개폐가 이루어지는 기술이기 때문에, 개폐과정에서 난간이 지나는 공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점은 한정된 병실 공간에 많은 수의 환자용 침대를 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난간이 옆으로 떨어지는 방식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충격이나 소음이 환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 제20-0346118호(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에는 다수개의 다리가 고정되는 프레임의 상부에 매트리스가 놓여지며, 측면에는 환자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다수개의 지지봉으로 형성되고 하부 중앙에는 걸림쇠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침대의 프레임에 고정되며, 양쪽에는 이탈방지판의 지지봉이 삽입되는 지지봉관통구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고정부재 고정판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고정부재고정판에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이탈방지판의 걸림쇠와 결합되는 걸고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고리를 이탈방지부재의 걸림쇠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를 중심으로 걸고리 반대쪽에서 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되는 걸고리를 회전시키는 누름구로 이루어지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핵심구성에 해당하는 이탈방지판 고정장치가 이탈방지판의 지지봉을 따라 안내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반드시 이탈방지판의 형태가 창살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탈방지판 해제시 중력에 의해 수직으로 낙하되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탈방지판의 개폐를 들어올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이탈방지판이 수직으로 승하강 되지 않고, 회전프레임의 축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탈방지판이 내려오거나 올라가는 형태로 개폐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판에 설치된 고정유지수단을 통해 이탈방지판을 들어올렸을 때 그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매트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과 상기 침대프레임의 양측에 이탈방지판이 설치되는 환자용 침대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과 침대프레임 사이에는 회전프레임으로 연결되어 이탈방지판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프레임이 결합되는 이탈방지판에는 이탈방지판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지수단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이탈방지판에 고정되고 외측은 회전프레임이 축결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는 회전프레임의 회전반경에 따라 회전프레임의 회전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록킹장치와, 상기 록킹장치와 연결되어 몸체부의 외측에서 록킹장치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록킹장치는; 몸체부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며 외측에 결합된 회전프레임의 회전과 연동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에 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중심축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몸체부 방향으로 잠금핀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작동편과, 상기 작동편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되 한쪽 끝에는 회전축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끝쪽은 이동축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축은 몸체부에 형성된 안내장공을 따라 이동하고, 하부에는 잠금핀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잠금홈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막대와, 상기 잠금막대의 이동축 부분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당김력을 발생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축은 몸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외측까지 연장되어 레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역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탈방지판의 개폐를 들어올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이탈방지판이 수직으로 승하강 되지 않고, 회전프레임의 축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탈방지판이 내려오거나 올라가는 형태로 개폐되도록 하여, 공간활용성을 높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판에 설치된 고정유지수단을 통해 이탈방지판을 들어올렸을 때 그 위치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이탈방지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편한 레버작동만으로 이탈방지판을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지수단의 외측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지수단의 내측면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탈방지판을 고정하기 위해 들어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지수단의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다른 고정유지수단의 고정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지수단의 고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따른 고정유지수단의 레버를 통해 일시적으로 고정상태를 해제한 것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11)과 상기 침대프레임(11)의 양측에 이탈방지판(12)이 설치되는 환자용 침대(1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탈방지판(12)과 침대프레임(11) 사이에는 회전프레임(13)으로 연결되어 이탈방지판(12)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프레임(13)이 결합되는 이탈방지판(12)에는 이탈방지판(1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지수단(10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이탈방지판(12)은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지만 수직방향으로 그대로 내리거나 올리는 형태가 아닌 회전프레임(13)의 축을 기준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이탈방지판(12)이 내려오거나 올라가는 형태로 개폐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유지수단(100)은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이탈방지판(12)에 고정되고 외측은 회전프레임(13)이 축결합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는 회전프레임(13)의 회전반경에 따라 회전프레임(13)의 회전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록킹장치(300)와, 상기 록킹장치(300)와 연결되어 몸체부(200)의 외측에서 록킹장치(300)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레버(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지수단(100)은 이탈방지판(12)에 매립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유지수단(100)의 몸체부(200) 역시 매립되는 내측면(210) 노출되는 외측면(220)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면(210)은 록킹장치(300)와 같은 주요구성이 설치되며 이탈방지판(12)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부분이다. 그리고 몸체부(200)의 외측면(220)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서 회전프레임(13)이 결합되어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작동할 수 있는 레버(40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장치(300)는 고정유지수단(100)의 주요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00)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며 외측에 결합된 회전프레임(13)의 회전과 연동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중심축(310)에 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중심축(31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몸체부(200) 방향으로 잠금핀(321)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작동편(320)과, 상기 작동편(32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되 한쪽 끝에는 회전축(33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끝쪽은 이동축(33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축(332)은 몸체부(200)에 형성된 안내장공(230)을 따라 이동하고, 하부에는 잠금핀(321)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잠금홈(333)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막대(330)와,상기 잠금막대(330)의 이동축(332) 부분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당김력을 발생하는 스프링(3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310)은 몸체부(2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회전프레임(13)과 연결되어 회전프레임(13)의 회전에 따라 작동편(320)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작동편(320)은 중심축(31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잠금핀(3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핀(321)의 위치 역시 작동편(320)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잠금막대(330)는 작동편(32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 부분은 회전축(331)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끝 부분은 이동축(332)이 회전반경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부(200)에 형성된 안내장공(230)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340)이 잠금막대(330)의 이동축(332) 부분을 하부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막대(330)의 하부에는 잠금홈(333)이 형성되어 있어 작동편(320)의 회전작동에 따라 잠금핀(321)이 자동으로 잠금홈(333)의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되면 회전프레임(13)이 더이상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탈방지판(12) 역시 고정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해제시 레버(400)를 당겨서 잠금막대(330)를 움직이는 형태로 잠금핀(321)과 잠금홈(333)이 서로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축(332)은 몸체부(2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외측까지 연장되어 레버(400)와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400)를 위로 당기게 되면 잠금막대(330)도 함께 들어올려 지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장치(300)의 작동편(320)은 몸체부(200)의 중심부에 설치되고 잠금막대(330)는 윗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몸체부(20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잠금막대(330)의 이동축(332)과 근접한 부분에 잠금핀(321)이 걸릴 수 있도록 한 스톱퍼(350)가 더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레버(400)를 당긴 상태에서 이탈방지판(12)을 반대방향으로 내릴 경우 록킹장치(300)에서는 잠금핀(321)이 스프링(340) 방향으로 넘어가버리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편(320)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이다.
아래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방지판(12)의 개폐과정에서 고정유지수단(100)의 작동 예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고정유지수단(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12)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 내려놓은 상태로서, 작동편(320)의 잠금핀(321)은 잠금막대(330)와 접촉되지 않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고정유지수단(100)이 고정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탈방지판(12)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발생하게 된다. 도 6을 살펴보면 고정유지수단(100)을 기준으로 회전프레임(13)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편(320) 역시 함께 회전하며, 작동편(320)의 잠금핀(321)은 잠금막대(330)의 하부에 밀착되면서 잠금막대(330)의 하부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때 잠금막대(330)의 이동축(332)은 안내장공(230)을 따라 위로 올라간 상태이며, 잠금막대(330)에 결합된 스프링(340)은 잠금막대(330)가 들어 올려진 만큼 늘어나게 되며 스프링(340)의 압축력에 의해 잠금핀(321)과 잠금막대(330)의 밀착상태는 유지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판(12)을 조금만 더 들어올리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잠금핀(321)의 위치가 잠금막대(330)의 잠금홈(333)에 다다르게 될 경우 "딸깍" 하는 소리와 함께 잠금핀(321)이 잠금홈(333)에 끼워지면서 스프링(340)의 당김력에 의해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는 잠금핀(321)이 잠금홈(333)에 완전히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이탈방지판(12)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탈방지판(12)을 다시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400)를 위로 당겨주게 되면 이동축(332)과 연결된 잠금막대(330)의 한 부분이 들어올려 지게 되면서 잠금핀(321)과 잠금홈(333)이 서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이탈방지판(12)을 들어올렸던 방향으로 다시 내리게 되면 도 5의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다. 만약, 이탈방지판(12)을 들어올렸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내리게 될 경우 잠금막대(330)에 형성된 스톱퍼(350)에 의해 이탈방지판(12)의 움직임이 저지되어 부품 간의 간섭을 막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환자용 침대 11 : 침대프레임
12 : 이탈방지판 13 : 회전프레임
100 : 고정유지수단 200 : 몸체부
210 : 내측면 220 : 외측면
230 : 안내장공 300 : 록킹장치
310 : 중심축 320 : 작동편
321 : 잠금핀 330 : 잠금막대
331 : 회전축 332 : 이동축
333 : 잠금홈 340 : 스프링
350 : 스톱퍼 400 : 레버

Claims (4)

  1. 매트가 올려지는 침대프레임(11)과 상기 침대프레임(11)의 양측에 이탈방지판(12)이 설치되는 환자용 침대(10)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판(12)과 침대프레임(11) 사이에는 회전프레임(13)으로 연결되어 이탈방지판(12)을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형태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되, 상기 회전프레임(13)이 결합되는 이탈방지판(12)에는 이탈방지판(12)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유지수단(100)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유지수단(100)은;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은 이탈방지판(12)에 고정되고 외측은 회전프레임(13)이 축결합되는 몸체부(200)와,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는 회전프레임(13)의 회전반경에 따라 회전프레임(13)의 회전을 자동으로 고정하는 록킹장치(300)와,
    상기 록킹장치(300)와 연결되어 몸체부(200)의 외측에서 록킹장치(300)의 고정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하는 레버(400);로 구성되고,
    상기 록킹장치(300)는;
    몸체부(200)의 내측에서 돌출형성되며 외측에 결합된 회전프레임(13)의 회전과 연동되는 중심축(310)과,
    상기 중심축(310)에 단부에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며, 중심축(310)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몸체부(200) 방향으로 잠금핀(321)이 돌출형성되어 있는 작동편(320)과,
    상기 작동편(320)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되되 한쪽 끝에는 회전축(331)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반대편 끝쪽은 이동축(332)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축(332)은 몸체부(200)에 형성된 안내장공(230)을 따라 이동하고, 하부에는 잠금핀(321)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한 잠금홈(333)이 형성되어 있는 잠금막대(330)와,
    상기 잠금막대(330)의 이동축(332) 부분에 결합되어 하부방향으로 당김력을 발생하는 스프링(3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332)은 몸체부(200)를 관통하는 형태로 외측까지 연장되어 레버(40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4. 제 1항 또는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는 역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KR1020190038539A 2019-04-02 2019-04-0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KR102156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39A KR102156495B1 (ko) 2019-04-02 2019-04-0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539A KR102156495B1 (ko) 2019-04-02 2019-04-0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95B1 true KR102156495B1 (ko) 2020-09-15

Family

ID=7246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539A KR102156495B1 (ko) 2019-04-02 2019-04-02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53A (ja) * 2002-04-09 2003-10-21 Seahonence Inc 寝台におけるサ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KR200346111Y1 (ko) * 2003-12-30 2004-03-26 이상용 의료용 침대의 스윙식 핸드레일
KR200346118Y1 (ko) * 2003-12-31 2004-03-26 유지영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0694815B1 (ko) * 2005-10-06 2007-03-14 (주)성우특장 응급환자용 주들것의 록킹장치
KR20110005327A (ko) * 2009-07-10 2011-01-1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의 절첩식 사이드레일
KR20120128857A (ko) * 2011-05-18 2012-11-28 박순덕 침대의 절첩식 사이드레일
KR20190000352U (ko) * 2017-07-31 2019-02-11 조재영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99553A (ja) * 2002-04-09 2003-10-21 Seahonence Inc 寝台におけるサ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KR200346111Y1 (ko) * 2003-12-30 2004-03-26 이상용 의료용 침대의 스윙식 핸드레일
KR200346118Y1 (ko) * 2003-12-31 2004-03-26 유지영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고정장치
KR100694815B1 (ko) * 2005-10-06 2007-03-14 (주)성우특장 응급환자용 주들것의 록킹장치
KR20110005327A (ko) * 2009-07-10 2011-01-18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의 절첩식 사이드레일
KR20120128857A (ko) * 2011-05-18 2012-11-28 박순덕 침대의 절첩식 사이드레일
KR20190000352U (ko) * 2017-07-31 2019-02-11 조재영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0906A2 (en) Gate assembly
CA2758037A1 (en) Panel assembly for a partial drop-side crib
JP7074770B2 (ja) 天井患者リフトシステムのための受入モジュール
KR20100024786A (ko) 도어의 하단 틈새 차단장치
KR102156495B1 (ko) 이탈방지판이 구비된 환자용 침대
KR102156496B1 (ko) 환자용 침대의 이탈방지판
KR101438449B1 (ko) 층고 변화용 갱폼 인양 안전장치
US2109493A (en) Slip elevator
KR20190017367A (ko) 덮개잠금기능과 부양기능을 갖는 맨홀
JP5070630B2 (ja) ドアストッパ
JP2006257706A (ja) グレーチング
US4916862A (en) Ceiling access panel
KR102060507B1 (ko) 공동주택 건축용 창호롤러 교체구조
JP5499394B2 (ja) 移動用バー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3873205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
KR100538464B1 (ko) 건축용 문의 열림 각도 고정장치
JP2010037921A (ja) 引戸の開閉装置
JP2008261154A (ja) シャッターの手動操作装置
KR20180094754A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KR101213125B1 (ko) 수직구 내에서의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 출입장치
JP2005119768A (ja) 車椅子用昇降機
JP7234844B2 (ja) 筐体
KR100460334B1 (ko) 수문 인상장치
JP2006068459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JPH084538Y2 (ja) シャッターの施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