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43B1 -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43B1
KR101649843B1 KR1020160054643A KR20160054643A KR101649843B1 KR 101649843 B1 KR101649843 B1 KR 101649843B1 KR 1020160054643 A KR1020160054643 A KR 1020160054643A KR 20160054643 A KR20160054643 A KR 20160054643A KR 101649843 B1 KR101649843 B1 KR 10164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side rail
bed
moving groov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윤
박상기
이성표
Original Assignee
송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윤 filed Critical 송재윤
Priority to KR1020160054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08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 A61G7/0509Side-rail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connection mechanism sliding or pivoting downw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07Side-rails
    • A61G7/0516Side-rails with height adjustability
    • A61G2007/0509
    • A61G2007/051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승강링커를 접철시킴으로써 사이드레일의 승강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부;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며,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스크류;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크류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부재;침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사이드레일;상기 스크류측와 사이드레일 사이에 서로 교차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스크류 회전에 의한 이동부재의 이동시 접철되면서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링커;상기 사이드레일의 일측에 힌지축 결합되어 침대의 외부를 향해 회동되는 출입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An automatic elevating device for a siderail of a medical bed}
본 발명은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사이드레일의 승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침대는 병원 및 요양원 등의 의료시설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가 누울 수 있도록 한 침대를 말한다.
상기 의료용 침대에는 환자가 침대로부터 떨어지는 낙상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의료용 침대의 양측면에는 일정높이를 갖는 난간 형태의 사이드 레일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사이드 레일은 의료용 침대의 양측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사이드 레일을 침대의 양측에서 상승시킬 경우 가드 역할을 하여 환자의 추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호자와 주변 물품과의 접촉을 차단시켜 환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반면에 사이드 레일을 하강시키면 침대의 양측이 개방되어 환자가 침대로부터 자유로이 내려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사이드 레일의 승강 구조에 관한 기술들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92484』『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18485』『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6029』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승강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사이드 레일을 수동으로 승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안전사고 발생의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었다.
즉, 환자나 보호자가 사이드 레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손이나 팔, 옷 등이 사이드 레일을 구성하는 프레임 사이에 신체의 일부가 끼면서 환부가 덧나거나 부상을 입을 뿐만 아니라 옷이 찢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둘째, 보호자가 자리를 비운 경우, 환자가 직접 사이드 레일을 승강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용이하지 않아 매우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환자가 노인이거나 어린이의 경우, 사이드 레일의 록킹 수단을 해제하거나 잠그는 일련의 과정이 어려워 반드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윰을 초래할 수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92484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18485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60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사이드레일의 승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 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부;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며,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스크류;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크류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부재;침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사이드레일;상기 스크류측와 사이드레일 사이에 서로 교차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스크류 회전에 의한 이동부재의 이동시 접철되면서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링커;상기 사이드레일의 일측에 힌지축 결합되어 침대의 외부를 향해 회동되는 출입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레일의 저면에 고정되며 사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제1이동홈부와, 상기 스크류측의 상방에 마련되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제2이동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링커는, 일단부는 제2이동홈부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제1이동홈부의 이동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연결바와, 일단부는 제1이동홈부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되 제2이동홈부의 이동홈을 따라 가이드되며, 제1연결바에 교차되는 지점에 축 결합된 제2연결바로 구성되고, 상기 출입도어는 힌지축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승강되며, 출입도어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레일 중 출입도어의 회동 반경에는 구속돌기가 삽입되어 출입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되며, 함체가 마련되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는 구동부, 스크류, 승강링커가 설치되며, 출입도어를 제외한 사이드레일은 함체의 내,외부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함체에는 함체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높이조절홈을 따라 승강되면서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높이조절홈을 따라 승강되며, 함체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승강부재;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체결공에 대응된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 일체로 형성되되 침대의 사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절곡면을 따라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브라켓;상기 브라켓의 결합공 및 승강부재의 체결공을 통과해 체결되어, 밀착편을 돌출부의 양측면에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상부에는 사이드레일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결합공은 장공(長空)으로 형성되어 승강부재를 기준으로 전,후로 브라켓이 이동되도록 하여 브라켓의 절곡부가 침대 프레임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이드레일의 승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노약자나 어린이 환자가 보호자 없이도 사이드레일 승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는 과정에서, 사이드레일이 자중에 의해 급작스럽게 하강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탈착수단을 이용해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침대 프레임에 탈착시킬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침대 프레임에 탈착되는 브라켓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결합시 침대 사이즈에 영향을 덜 받는 효과가 있다.
넷째, 구동부의 동력을 이용해 사이드레일 승강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이드레일의 높이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의 사이드레일 승강작용을 나타낸 작용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가 침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의 탈착수단이 침대의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탄낸 요부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이하,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의료용 침대에 있어서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사이드레일을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의 도움 없이도 사이드레일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00)와, 스크류(200)와, 이동부재(300)와, 사이드레일(400)과, 승강링커(500)와, 출입도어(600)와, 함체(700)와, 탈착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부(100)는 사이드레일(400)을 승강시키는 동력을 발생하며, 모터(110)와 회전축(120)을 포함한다.
구동부(100)의 모터(110)는 회전축(120)을 정,역 회전시키는 동력을 발생한다.
다음으로, 스크류(200)는 구동부(100)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며, 구동부(100)의 회전축(120)에 축 결합된다.
스크류(200)는 침대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이동부재(300)는 스크류(200)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크류(200) 상에서 직진 왕복 운동을 하면서 후술하는 승강링커(500)를 접철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300)는 스크류(200)에 나사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부(100)의 모터(110)가 동력을 발생하면 스크류(200)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스크류(200)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재(300)는 스크류(200) 상에서 왕복 운동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이드레일(400)은 침대로부터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며,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이드레일(400)은 후술하는 승강링커(500)의 접철 작용에 의해, 침대의 상,하 방향으로 승강된다.
사이드레일(400)의 구성은 한정되지 않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세로바(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이드레일(400)의 승강작용시, 세로바(410)가 가이드 역할도 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이드레일(400)의 승강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승강링커(500)는 구동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사이드레일(400)을 직접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승강링커(500)는 사이드레일(400)과 스크류(20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100)의 동력을 이용해 사이드레일(400)을 승강시키는 매개체인 것이다.
승강링커(500)는 서로 교차된 상태로 축 결합된 한 쌍으로 마련되며, 어느 하나의 승강링커(500) 하단부는 이동부재(30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300)가 스크류(200) 상에서 왕복 이동시, 한 쌍의 승강링커(500)는 서로 연동되면서 접철 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승강링커(500)의 접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동홈부(510)가 더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홈부(510)는 승강링커(500)의 접철 작용시, 승강링커(50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승강링커(500)가 정해진 경로에서 접철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홈부(510)는 승강링커(500)의 상방에 마련된 제1이동홈부(511)와, 승강링커(500)의 하방에 마련된 제2이동홈부(512)로 구성된다.
제1이동홈부(511)는 사이드레일(400)의 저면에 고정되며, 사이드레일(40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長空) 형태의 이동홈(511a)을 형성한다.
제1이동홈부(511)의 이동홈(511a)은 한 쌍의 승강링커(500) 중 상단부가 이동되는 승강링커(500)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것이다.
제2이동홈부(512)는 스크류(200)의 상방에 고정되며, 스크류(200)의 길이 방향으로 장공(長空) 형태의 이동홈(512a)을 형성한다.
즉, 제2이동홈부(512)의 이동홈(512a)은 한 쌍의 승강링커(500) 중 하단부가 이동되는 승강링커(500)의 이동을 가이드해주는 것이다.
한편, 승강링커(5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되며 설명의 편의상 제1연결바(520)와 제2연결바(530)라 하기로 한다.
제1연결바(520)의 하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홈부(512)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그의 상단부는 제1이동홈부(511)의 이동홈(511a)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제2연결바(530)는 제1연결바(520)와 교차되는 지점에 축 결합되되, 그의 상단부는 제1이동홈부(511)의 일측에 축 결합되고, 그의 하단부는 이동부재(300)에 결합된다.
이때, 제2연결바(530)의 하단부는 이동부재(300)가 스크류(200)를 따라 이동할 때, 제2이동홈부(512)의 이동홈(512a)을 따라 가이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출입도어(600)는 사이드레일(400)이 상승된 상태에서, 환자가 침대에서 내려오거나 침대로 올라갈 때, 사이드레일(400) 전체를 승강시킬 필요없이 사이드레일(400)의 일측만 개폐시켜 환자의 편의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즉, 사이드레일(400)의 일측에 출입도어(600)를 마련함으로써, 사이드레일(400)을 하강시키지 않더라도 출입도어(600)를 통해 환자다 침대로 드나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이드레일(400)의 일측에는 상,하 방향으로 힌지축(610)이 결합되고, 출입도어(600)는 상기 힌지축(610)에 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입도어(600)는 힌지축(610)을 중심으로 침대 외측을 향해 회동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이때, 출입도어(600)는 힌지축(610)의 높이 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출입도어(600)는 힌지축(610) 상에서, 유격이 발생한 만큼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출입도어(600)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구속돌기(620)가 형성된다.
구속돌기(620)는 출입도어(600)의 회동을 구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출입도어(600)가 힌지축(610)을 중심으로 자유회전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사이드레일(40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구속돌기(620)가 삽입되어 출입도어(600)의 회동이 구속될 수 있도록 구속홈(630)이 형성된다.
즉, 출입도어(600)에 마련된 구속돌기(620)가 사이드레일(400)의 일측에 형성된 구속홈(63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구속돌기(620)가 구속홈(630)에 간섭되어 출입도어(600)의 회동이 구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속홈(630)은 출입도어(600)의 회전반경 상에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구속홈(630)은 출입도어(600)가 닫혀 있을 때 구속돌기(620)에 대응되는 위치와, 출입도어(6000가 열려 있을 때 구속돌기(6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다음으로, 함체(700)는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의 각 부품들을 보호하며, 각 부품들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더불어 함체(700)는,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P)에 사이드레일 승강장치가 탈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함체(700)는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사각의 형태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그의 내부에는 각 부품들이 배치된다.
이때, 함체(700)는 각 부품들에 대한 유지 보수를 위해 함체(700) 내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함체(700)의 일면에는 높이조절홈(710)이 형성된다.
이때, 함체(700)의 일면이라 함은 침대의 프레임(P)에 대향되는 면을 말한다.
상기 높이조절홈(710)은 후술하는 탈착수단(800)이 결합되는 부위이며, 탈착수단(800)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한 구성이다.
높이조절홈(710)은 함체(70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함체(700)의 너비 방향으로 복수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높이조절홈(710)의 형성으로 인해, 탈착수단(800)이 결합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침대 매트리스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위치에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탈착수단(800)은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를 침대의 프레임(P)에 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탈착수단(8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재(810)와, 브라켓(820)과, 볼트(830) 및 너트(840)를 포함한다.
승강부재(810)는 함체(700)의 높이조절홈(710)을 따라 승강되는 구성이며. 함체(700)의 내측에 위치된다.
이때, 승강부재(810)는 함체(70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높이조절홈(710)을 통해 함체(70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811)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811)에는 브라켓(820)이 고정되며, 브라켓(8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공(8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브라켓(820)은 침대의 프레임(P)에 결합되는 부위이며, 침대의 프레임(P) 면을 따라 절곡 형성된다.
즉, 침대의 프레임(P)은 통상적으로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 브라켓(820)은 침대의 프레임(P) 상부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ㄱ'형태로 절곡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브라켓(820)에는 상기 승강부재(810)의 돌출부(8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밀착편(821)이 형성된다.
밀착편(821)은 한 쌍으로 형성되며, 한 쌍의 밀착편(821) 사이의 간격에는 상기 돌출부(811)가 위치된다.
이때, 밀착편(821)에는 상기 돌출부(811)의 체결공(811a)에 대응되는 결합공(821a)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821a)은 장공(長空)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공(821a)이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브라켓(820)은 승강부재(810)를 기준으로 전,후로 이동되어 절곡된 부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바, 이를 통해 침대 프레임(P)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볼트(830) 및 너트(840)는 승강부재(810)의 돌출부(811)에 위치된 브라켓(82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볼트(830) 및 너트(840)를 통해 돌출부(811)의 양면에 한 쌍의 밀착편(821)이 압착되고, 브라켓(820)의 절곡된 간격에 침대 프레임(P)이 압입되어 끼움 결합됨으로써, 침대 프레임(P)에 함체(70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승강장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사이드레일(400)이 상승된 상태로서, 침대 위에 환자가 누워 있을 경우, 상기와 같이 사이드레일(400)을 상승시켜 사용한다.
이후, 사이드레일(400)을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구동부(100)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110)의 회전축(120)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축(120)이 회전되면, 회전축(120)에 연동된 스크류(200)가 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크류(200)에 나사 결합된 이동부재(300)는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부재(300)는 이동을 하면서 제2연결바(530)의 하단부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연결바(520)는 제2연결바(530)와 교차된 부위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1연결바(520)의 상단부 역시 제1이동홈부(511)의 이동홈(511a)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제1연결바(520)의 상단부와 제2연결바(530)의 하단부가 이동을 함에 따라, 제1연결바(520)와 제2연결바(530)가 이루는 세움각는 낮아지게 되고, 승강링커(500)에 지지되어 있던 사이드레일(40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링커(500)가 낮아진 각도 만큼 하강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이드레일(400)이 하강된 상태에서, 사이드레일(400)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모터(110)의 회전축(120)을 반대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300)는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승강링커(500)는 이동부재(300)와 연동되면서 사이드레일(400)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의 승강작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의 승강작용은 구동부(100)에 컨트롤부(미도시)를 두어 환자나 보호자로 하여금 리모콘 조작을 통해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병실에 모니터를 두고 통제실에서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여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에 공지된 기술의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복수로 제공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의 양측에 결합이 되어 사용된다.
즉,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침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출입도어(600)가 서로 이웃하도록, 침대의 프레임(P)에 설치된다.
상기한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를 침대의 프레임(P)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함체(700)의 일면에 설치된 탈착수단(800)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볼트(830) 및 너트(840)를 풀어 높이조절홈(710) 상에서 승강부재(810)를 승강시키면서 승강부재(81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는, 침대의 매트리스 두께 및 여러 설치 조건을 고려하여, 승강부재(81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이후, 승강부재(810)의 위치가 결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820)을 침대의 프레임(P)에 걸어 결합시킨다.
이때, 밀착편(821)에 형성된 결합공(821a)을 통해 승강부재(810)의 돌출부(811) 상에서 브라켓(820)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후, 볼트(830) 및 너트(840)를 조임으로써, 프레임(P) 상에 브라켓(820)은 압착이 되며, 이에 따라, 침대의 프레임(P)에 사이드레일 승강장치의 결합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승강장치는 사이드레일을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기 위한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환자나 보호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구동부 110 : 모터
120 : 회전축 200 : 스크류
300 : 이동부재 400 : 사이드레일
410 : 세로바 500 : 승강링커
510 : 이동홈부 511 : 제1이동홈부
511a,512a : 이동홈 512 : 제2이동홈부
520 : 제1연결바 530 : 제2연결바
600 : 출입도어 610 : 힌지축
620 : 구속돌기 630 : 구속홈
700 : 함체 710 : 높이조절홈
800 : 탈착수단 810 : 승강부재
811 : 돌출부 811a : 체결공
820 : 브라켓 821 : 밀착편
821a : 결합공 830 : 볼트
840 : 너트 P : 프레임

Claims (5)

  1.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정,역 회전되며,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정,역 회전에 의해 스크류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이동부재;
    침대의 양측에 배치되어 환자의 낙상을 방지하는 사이드레일;
    상기 스크류측와 사이드레일 사이에 서로 교차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되 어느 하나의 일단부는 이동부재에 고정되며, 스크류 회전에 의한 이동부재의 이동시 접철되면서 사이드레일을 승강시키는 승강링커;
    상기 사이드레일의 일측에 힌지축 결합되어 침대의 외부를 향해 회동되는 출입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사이드레일의 저면에 고정되며 사이드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제1이동홈부와, 상기 스크류측의 상방에 마련되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홈이 형성된 제2이동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링커는,
    일단부는 제2이동홈부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제1이동홈부의 이동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제1연결바와,
    일단부는 제1이동홈부의 일측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이동부재에 결합되어 스크류를 따라 이동되되 제2이동홈부의 이동홈을 따라 가이드되며, 제1연결바에 교차되는 지점에 축 결합된 제2연결바로 구성되고,
    상기 출입도어는 힌지축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승강되며,
    출입도어의 하부에는 하방을 향해 돌출된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레일 중 출입도어의 회동 반경에는 구속돌기가 삽입되어 출입도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되며,
    함체가 마련되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는 구동부, 스크류, 승강링커가 설치되며, 출입도어를 제외한 사이드레일은 함체의 내,외부를 승강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함체에는 함체의 높이 방향으로 높이조절홈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에는 높이조절홈을 따라 승강되면서 침대를 구성하는 프레임에 탈착 가능한 탈착수단이 더 마련되며,
    상기 탈착수단은,
    상기 높이조절홈을 따라 승강되며, 함체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승강부재;
    상기 돌출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위치되며, 상기 돌출부의 체결공에 대응된 결합공이 형성된 한 쌍의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에 일체로 형성되되 침대의 사이드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절곡면을 따라 절곡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결합공 및 승강부재의 체결공을 통과해 체결되어, 밀착편을 돌출부의 양측면에 압착시켜 고정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함체의 상부에는 사이드레일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결합공은 장공(長空)으로 형성되어 승강부재를 기준으로 전,후로 브라켓이 이동되도록 하여 브라켓의 절곡부가 침대 프레임의 두께에 대응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54643A 2016-05-03 2016-05-0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KR10164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43A KR101649843B1 (ko) 2016-05-03 2016-05-0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643A KR101649843B1 (ko) 2016-05-03 2016-05-0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43B1 true KR101649843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643A KR101649843B1 (ko) 2016-05-03 2016-05-03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004B2 (en) 2018-03-23 2021-07-06 Stryker Corporation Interchangeable side rails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KR20230060147A (ko) * 2021-10-27 2023-05-04 (주)성원엠엔디 디스플레이 난간장치
WO2023108243A1 (pt) * 2021-12-16 2023-06-22 Sociedade Beneficente De Senhoras - Hospital Sírio-Libanês Equipamento de prevenção de quedas
EP4268781A1 (de) * 2022-04-26 2023-11-01 tecfor care GmbH Bettgestell sowie seitengittersystem für ein bettgestel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833A (ja) * 1989-08-01 1991-03-22 Pfu Ltd 電源投入時における用紙送り機構からの用紙排出制御方法
JPH11347074A (ja) * 1998-06-05 1999-12-21 Michiko Hiratsuka 寝返りベッド
KR20100118485A (ko) 2009-04-28 2010-11-05 남준욱 침대의 사이드레일 절첩장치
KR20110001239A (ko) * 2009-06-30 2011-01-06 신정훈 승하강 기능을 갖는 방석
KR20120092484A (ko) 2011-02-11 2012-08-21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승하강 구조
KR20140001416A (ko) * 2012-06-27 2014-01-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
KR101396029B1 (ko) 2013-05-10 2014-05-27 주태숙 침대용 사이드레일 승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7833A (ja) * 1989-08-01 1991-03-22 Pfu Ltd 電源投入時における用紙送り機構からの用紙排出制御方法
JPH11347074A (ja) * 1998-06-05 1999-12-21 Michiko Hiratsuka 寝返りベッド
KR20100118485A (ko) 2009-04-28 2010-11-05 남준욱 침대의 사이드레일 절첩장치
KR20110001239A (ko) * 2009-06-30 2011-01-06 신정훈 승하강 기능을 갖는 방석
KR20120092484A (ko) 2011-02-11 2012-08-21 성심의료산업 주식회사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승하강 구조
KR20140001416A (ko) * 2012-06-27 2014-01-07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침대의 개폐식 사이드레일
KR101396029B1 (ko) 2013-05-10 2014-05-27 주태숙 침대용 사이드레일 승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2004B2 (en) 2018-03-23 2021-07-06 Stryker Corporation Interchangeable side rails for a patient support apparatus
KR20230060147A (ko) * 2021-10-27 2023-05-04 (주)성원엠엔디 디스플레이 난간장치
KR102526154B1 (ko) * 2021-10-27 2023-05-30 (주)성원엠엔디 디스플레이 난간장치
WO2023108243A1 (pt) * 2021-12-16 2023-06-22 Sociedade Beneficente De Senhoras - Hospital Sírio-Libanês Equipamento de prevenção de quedas
EP4268781A1 (de) * 2022-04-26 2023-11-01 tecfor care GmbH Bettgestell sowie seitengittersystem für ein bettgeste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580B2 (en)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US11865056B2 (en)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KR101649843B1 (ko) 의료용 침대의 사이드레일 자동 승강장치.
EP2819629B1 (en) Patient support
RU2414877C2 (ru) Кровать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для больницы или кровать для ухода за лежачими больными
US7467427B1 (en) Handrail means of bed frame
WO2006103457A1 (en) Height-adjustable bedframes
US2827641A (en) Hospital beds
CN113143609B (zh) 一种精神科医疗用具有输液装置的约束座椅
JP2018015067A (ja) ベッド柵
KR101874322B1 (ko) 웜기어를 이용한 휴대용 상체 리프트 기구
US20240180764A1 (en) Patient support usable with bariatric patients
KR20190000352U (ko) 의료용 침대의 보조난간장치
KR20180118302A (ko) 용변구용 자동개폐장치가 사각틀에 형성된 상부접촉형 개폐문을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220115290A (ko) 낙상 방지용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