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27990A2 - 풍선 카테터 - Google Patents

풍선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27990A2
WO2013027990A2 PCT/KR2012/006616 KR2012006616W WO2013027990A2 WO 2013027990 A2 WO2013027990 A2 WO 2013027990A2 KR 2012006616 W KR2012006616 W KR 2012006616W WO 2013027990 A2 WO2013027990 A2 WO 2013027990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haft
balloon
attached
balloon catheter
lu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661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27990A3 (ko
Inventor
장양수
홍명기
김병극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4/239,852 priority Critical patent/US9925328B2/en
Priority to JP2014527065A priority patent/JP5926381B2/ja
Priority to EP18157456.7A priority patent/EP3398643B1/en
Priority to EP12825733.4A priority patent/EP2749315A4/en
Priority to CN201280041224.6A priority patent/CN103957982B/zh
Publication of WO2013027990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7990A2/ko
Publication of WO2013027990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27990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007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for contras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59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theter, sheath or lumens from collapsing due to outer forces, e.g. compressing forces, or caused by twisting or kin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83Rapid exchange or monorai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56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guide wire lumens outside the main shaft, i.e. the guide wire lumen is within or on the surface of the ballo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 catheter, and more particularly, the diameter of the guiding catheter is reduced by configuring the expansion lumen to which the liquid for inflation of the balloon is supplied and the guide wire lumen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passes so as not to overlap.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lloon catheter that can be easily delivered to a limited space and secures sufficient space to facilitate injection of a contrast agent during the procedure and to improve the pushability of two or more balloon catheters to enter simultaneously.
  • a balloon catheter and stent are caused by various diseases issued in the human body, which causes narrowing of the lumen in the human body, thereby lowering its own function, or when blood vessels are narrowed, resulting in poor blood circulation. It is a medical device that is applied to the lumen or blood vessels and expands the lumen or blood vessels.
  • Coronary artery disease or ischemic heart disease is characterized by the deposition of fat on the walls of the coronary vessels and the accompanying inflammatory response, resulting in a narrowing of the lumen of the coronary arteries. Due to the size of the lumen, the heart muscle (myocardium) does not provide sufficient blood supply.
  • Coronary artery disease is manifested in clinical symptoms such as angina pectoris,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udden death.
  • 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the front end of the shaft 1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 balloon (2).
  • the balloon 2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shaft 1 using an adhesive or the like.
  • one side of the shaft 1 is formed with a wire discharge hole 3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is discharged.
  • the cross section of the shaft 1 having the wire discharge hole 3 is formed.
  • the guide wire lumen 4 and the expansion lumen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passes through the shaft 1, (5) is formed together.
  • the guide wire is inserted into the front end of the balloon catheter (opened) and passes through the guide wire lumen 4 and discharged to the wire discharge hole 3 so that the balloon catheter enters and exits along the guide wire. It plays a role.
  • the expansion lumen 5 is supplied with a liquid for inflating the balloon 2 (a solution for pressure transfer, for example a mixture of contrast agent and saline). Liquid for expansion is supplied through a connecting port 6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haft 1.
  • the connection port 6 is a port that is connected to the expansion-contraction device.
  • the guide wire lumen 4 and the expansion lumen 5 are formed to overlap the shaft 1, there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shaft 1 as a whole.
  • the procedure is difficult when the operator performs the catheter, so that the procedure is difficult, and in particular, the treatment of tortuous blood vessels such as cardiovascular is difficul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transferability by relatively small diameter of the shaft of the balloon catheter,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lloon It is to provide a balloon catheter.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haft; An inflatable balloon attached to a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An expansion lumen formed inside the first shaft and supplied with a liquid for inflating the balloon; A second shaft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and having a wire discharge hole through which guide wires are discharged; It is formed in the second shaft includes a guidewire lumen through which the guidewire passes, wherein the expansion lumen and the guidewire is separated.
  • At least one pressure injection port through which the liquid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is formed in the first shaft.
  • the pressure injection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alloon.
  • At least one radiopaque marker is formed on the first shaft.
  • the marker is further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aft.
  •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re integrally manufactured, and the blocking member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 the invention is a first shaft; An expansion lumen formed inside the first shaft and supplied with a liquid for inflating the balloon; A second shaft extending from a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A guide wire lumen formed in the second shaft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guide wire; And a front end portion is inflatable attached to the second shaft and a portion of the rear end portion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and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first shaft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portion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 An injection port is formed to inject liquid into the inside of the balloon, and a wir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shaft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portion to which the balloon is attached, and the guide wire is discharged.
  • the first shaft is formed with an expansion lumen to supply the fluid required for inflation of the balloon;
  • a second shaft extending from a front end to the first shaft and having a guide wire lumen through which a guide wire passes;
  • an inflatable balloon attached to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 the first shaft and the second shaft are coaxially connected, and expansion lumens and guidewire lumens are formed on each shaft, respectively,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shaft as a whole, making the procedure easier and pushable.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improved.
  •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lumen becomes relatively large,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balloon.
  •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front' refers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ottom, that is, the balloon catheter, based on FIG. Means.
  • the term 'front' means an end located forward in the balloon catheter, and the term 'rear' means an end located backward in the balloon catheter.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the first shaft (10); A balloon 12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10; And a second shaft 20 extending coaxially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10 to which the balloon 12 is attached.
  • the first shaft 10 and / or the second shaft 20 are not only braided to improve the torque of the balloon catheter, but are generally made of a hydrophilic coating to reduce friction with the vessel wall.
  •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alloon 12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10 by an attachment means using an adhesive, heat, or laser.
  • the balloon 12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haft 10 or overlap the first shaft 10 and the second shaft 20.
  • the balloon 12 gradually expands in a state where a stent (not shown)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erves to closely adhere the stent to the inner wall of the blood vessel.
  • An expansion lumen 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shaft 10.
  • the expansion lumen 13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hub 16 (a solution for pressure transfer, for example a mixture of contrast agent and saline, etc.) flows.
  • Hub 16 has an expansion-contraction device (not shown) is coupled to the expansion-contraction device serves to inflate the balloon 12 by supplying pressurized liquid.
  • the expansion lumen 13 is formed inside the first shaft 10, and the guide wire lumen 22 is not 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 a pressure injection port 14 is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first shaft 10 to which the balloon 12 is attached.
  •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4 is a portion where the liquid supplied through the expansion lumen 13 is injected into the balloon 12.
  • At least one pressure injection port 14 may be formed in the first shaft 10.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4 is formed in each of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balloon 12, the balloon 12 may be unfolded at the same time without being unevenly expanded.
  • At least one marker 15 may be formed on the first shaft 10.
  • the marker 15 is formed of a radiopaque material, and is formed to easily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balloon catheter during the procedure.
  • Marker 15 may be formed of a radiopaque metal or resin,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ainless steel, gold, platinum, tin, tungsten and lead.
  • the marker 15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ly on the first shaft 10,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arker 15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econd shaft 20.
  • the second shaft 20 extends coaxially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shaft 10.
  • the first shaft 10 and the second shaft 20 should be connected such that the respective lumens 13 and 22 are blocked without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 a blocking material 21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shaft 10 and the second shaft 20.
  • the second shaft 20 may be manufactured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shaft 10 and to be installed with the blocking material 21 at portions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cond shaft 2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shaft 10 and may be coupled with one end blocked.
  • the guide wire lumen 22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haft 20 to allow the guide wire to pass therethrough.
  • the guide wire lumen 22 is a portion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is inserted.
  • two lumens 13 and 22 on a single shaft Since only one lumen (13, 22) is positioned without overlapping)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diameter of the shaft.
  • the diameter of the shaft was 0.87 mm as shown in FIG. 1, but according to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meter of the shaft may be reduced to 0.6 mm as shown in FIG. 2.
  • This change in diame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guidewire used, and the above figures are for the 0.014 "guidewire. Therefore, since the balloon catheter can be miniaturized, it may be meandering like a cardiovascular system. The mobility in the vessels can be improved and the pushability can be improved, and the shape of the balloon catheter can be reduced, enabling the kissing balloon technique and kissing stenting using the 5F guiding catheter, and the 5F guiding catheter. By overcoming the difficulty of contrast injection, which is the most problematic problem when stenting, the transradial approach can be more active than the transfemoral approach in the future.
  • the diameter of the expansion lumen (13)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prior art, so that a larger amount of liquid can be injected or discharged so that the balloon 12
  •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time can be shortened.
  • the diameter of the guide wire lumen 22 becomes relatively large, insertion of the guide wire becomes easy.
  • a wire discharge hole 24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is discharged.
  • the guide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front end portion (opened) of the second shaft 20 and discharged through the wire discharge hole 24, so that the balloon catheter enters and exits along the guide wire. That is, the guidewire is inserted to pass through the guidewire lumen 22 and is discharg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shaft 20.
  • the balloon catheter is inserted with the guide wire inserted in advance.
  • the balloon catheter is inserted along the guidewire until it reaches the lesion or stenosis to be treated.
  • the operator supplies liquid through the hub 16 coupled with the pressurization device, and the balloon 12 is inflated by the liquid injected through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4.
  • the inflated balloon 12 widens the constricted blood vessels to facilitate the flow of blood flow.
  • the guide wire existing on the outside of the balloon 12 can be expected to play a role of inducing cracks in the arteriosclerosis plaque which is much calcification.
  •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blood vessel in the contracted stat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lloon 12 is expanded in the lesion or stenosis, it is possible to treat the lesion.
  • the balloon 12 may be extended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wire is inserted, that is, the guide wire is present outside the stent, or the balloon 12 may be expanded in the state in which the guide wire is removed after the stent is positioned.
  •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portion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uide wire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from the rear instead of being discharged from the front of the ballo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of 100,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 an expansion lumen 113 is formed in the first shaft 110, a pressure injection port 114 is formed in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and a guidewire lumen is formed in the second shaft 120. 122) is formed.
  •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shaft 10 and the second shaft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 balloon 12 or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4, but in FIG.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boundary between the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14 and located behind the rear end of the balloon 112.
  • the balloon 112 is attached to the shafts 110 and 120 differently from the top and the bottom.
  •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oon 112 refers to a portion located above the shafts 110 and 120
  •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oon 112 refers to a portion located below the shafts 110 and 120.
  • the balloon 112 may have a spherical, elliptical, conical, stepped balloon, or the like.
  • the upper end of the balloon 112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aft 120, respectively, but the lower end of the balloon 112 is attached to the second shaft 120 and the rear end is attached to the first shaft 110. Attached.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front ends of the balloon 112 are attached at the same position, but the rear ends are attach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is wa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lloon 112 are divided and attached to the first shaft 110 and the second shaft 120, so that the expansion lumen 113 and the guidewire lumen 122 can be separated.
  • the rear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oon 112 is attached to the first shaft 110 corresponding to the rear side of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14.
  • the liquid injected into the pressure injection port 114 will inflate the balloon 112.
  • a wire discharge hole 124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W is discharged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shaft 120.
  • the wire discharge hole 124 is formed in the second shaft 120 corresponding to the rear of the balloon 112 attached to the second shaft 12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balloon 112. Accordingly, the second shaft 120 extends substantially across the interior of the balloon 112 and the guidewire W also passes across from the rear of the portion to which the balloon 112 is attached.
  • the balloon 112 is substantially formed integrally, and the sides of the balloon 112 connect upper and lower portions attached to the shafts 110 and 120, respectively. do.
  • the balloon 112 is not necessarily attached as shown in FIG. 4,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lloon 112 may be attached to the shafts 110 and 120 at opposite angles or at different angles.
  • the production of the balloon 112 is divided into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two balloons 112 of different sizes may be manufactured first and attached to the laser, or may be manufactured by making a special molding.
  • the blocking material 121 is installed to be located behind the balloon 112, but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blocking material 21 is located in front of the balloon 12.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oon 112 is provided with a stent 130 can be delivered to the balloon catheter to the lesion or stenosis.
  • the procedure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ocedur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eed only be formed by blocking the expansion lumens 13 and 113 and the guidewire lumens 22 and 122 on each of the first shafts 10 and 110 and the second shafts 20 and 120. It is not limited.
  • the diameter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shafts 10 and 110 and the second shafts 20 and 120 described above may be manufactured differently.
  • FIGS. 5 and 6 are side views showing a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alloon cathe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noted by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hundred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 the balloons 212 and 213 are double diameter stepped balloons including a first inflation portion 212 and a second inflation portion 213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inflation portion 212. .
  • the shapes of the balloons 212 and 213 are changed in this way to prevent the bursts when the balloons 212 and 213 are inflated.
  • the second inflation portion 213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is preferentially inflated.
  • the second inflation portion 213 substantially has a smal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shaft 220 and, for example, 0.1 to 1.0 mm. Therefore, when the balloon 212, 213 is inflated from the second inflating portion 213 in the process of inflating, the first inflating portion 212 is uniformly inflated, the diameter of the first inflating portion 212 is always second expansion Because of the size larger than the portion 213, the wall tension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lloon by the LaPlace 'law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expansion portion 212. Even if the expansion unit 213 is deformed to adhere to some shafts, the rupture phenomenon can be minimized.
  • an upper end of the second expansion part 213 is attached to the second shaft 220.
  • the rear end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13 may be attached over the second shaft 220 and the first shaft 210 as shown in FIG. 6.
  • a wire discharge hole 224 penetr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expansion portion 213 and the second shaft 220 is formed.
  • the balloon catheter when the balloon catheter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shaft 212 and the second shaft 213 meet, that is,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enter the balloon at the point where the guide wire (W) emerges Corewires present in the first shaft 212 (mid-shaft) or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213 at the first shaft 212 to prevent it from appearing and to improve the pushability of the balloon catheter. , Not shown).
  • the core wire may be composed of a metal having different strengths as well as a metal such as stainless steal and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샤프트;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한 풍선; 제1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 풍선이 부착된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서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 샤프트; 제2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가 동축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샤프트에 팽창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샤프트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작게할 수 있어 시술이 보다 용이하고 전달성(pushability)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풍선 카테터
본 발명은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선의 팽창을 위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과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샤프트의 직경을 작게함으로써, 가이딩카테터의 제한된 공간으로 쉽게 전달할 수 있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 가능하게 하여 시술 시 조영제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고 2개 이상의 풍선 카테터가 동시에 진입할 수 있는 전달성(push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풍선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풍선 카테터와 스텐트(stent)는 인체 내에서 발행하는 각 종 질병에 의해 인체 내의 내강이 좁아져서 그 고유의 기능을 저하시키거나, 혈관이 좁아져서 혈액 순환이 불량한 경우 등의 질환이 발생한 경우에 그 내강 또는 혈관의 내부에 시술되어 내강 또는 혈관을 확장시키는 의료용 기구이다.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또는 허혈성 심장 질환(ischemic heart disease)은 관상동맥 혈관벽에 지방성분이 침착되고, 이에 동반된 염증반응으로 관상동맥의 내강(lumen)이 점점 좁아지며, 좁아진 관상동맥의 내강 크기 때문에 심장 근육(심근)으로 충분한 혈액 공급이 이루어 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근으로 충분한 혈액 공급되지 않으면 그 정도에 따라 흉통, 호흡 곤란 및 기타 증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관상동맥 질환은 협심증, 급성심근경색증 및 급사 등의 임상증상으로 나타난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은 콜레스테롤이 혈관 벽에 침착되어 좁아진 관상동맥의 내강을 풍선 카테터(balloon catheter) 또는 스텐트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확장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종래 기술에 의한 풍선 카테터의 샤프트(1)의 전단부에는 풍선(2)이 구비된다. 풍선(2)은 샤프트(1)의 전단부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1)의 일측에는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기존의 풍선 카테터에서는 와이어 배출공(3)이 형성된 샤프트(1)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2에서와 같이 샤프트(1)의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4)과 팽창 루멘(5)이 함께 형성된다.
즉, 가이드와이어는 풍선 카테터의 전단부(개구되어 있음)로 삽입되어 가이드와이어 루멘(4)을 통과하고 와이어 배출공(3)으로 배출됨으로써,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진입과 진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팽창 루멘(5)으로는 풍선(2)을 팽창시키기 위한 액체(압력전달을 위한 용액, 예를 들어 조영제와 saline의 혼합물 등)가 공급된다. 팽창을 위한 액체는 샤프트(1)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 포트(6)를 통해 공급된다. 연결 포트(6)는 팽창-수축장치와 연결되는 포트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풍선 카테터에서는 샤프트(1)에 가이드와이어 루멘(4)과 팽창 루멘(5)이 중첩되어 형성됨으로써 샤프트(1)의 직경이 전체적으로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샤프트(1)의 직경이 커지면 시술자가 카테터를 시술할 때 전달성(pushability)이 떨어져 시술이 어렵고, 특히 심장혈관과 같이 구불구불한(tortuous) 혈관의 시술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와이어 루멘(4)과 팽창 루멘(5)이 함께 형성되어 있어, 팽창 루멘(5)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아질 수 밖에 없어 풍선(2)의 팽창 및 수축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풍선 카테터의 샤프트의 직경을 상대적으로 작게 하여 전달성을 향상시키고, 풍선의 팽창 및 수축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풍선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한 풍선;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 상기 풍선이 부착된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서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루멘과 가이드와이어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고,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장치와 결합된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샤프트에는 상기 풍선의 내부로 액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주입 포트는 상기 풍선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샤프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불투과성의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상기 마커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는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사이에는 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 및 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하고, 후단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풍선을 포함하고, 상기 풍선이 부착된 부분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샤프트에 압력주입 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내부로 액체가 주입되고, 상기 풍선이 부착된 부분의 후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샤프트에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유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이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전단부에서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한 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가 동축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샤프트에 팽창 루멘과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샤프트의 직경을 전체적으로 작게 할 수 있어 시술이 보다 용이하고 전달성(pushability)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일의 샤프트에 하나의 루멘만 존재함으로써, 팽창 루멘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져 풍선의 팽창 및 수축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풍선 카테터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인 '전방'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하단, 즉 풍선 카테터의 삽입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상단, 즉 풍선 카테터의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전단'이란 용어는 풍선 카테터에서 전방 쪽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하고, '후단'이란 용어는 풍선 카테터에서 후방 쪽에 위치한 단부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풍선 카테터는 크게 제1 샤프트(10); 제1 샤프트(10)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풍선(12); 및 풍선(12)이 부착된 제1 샤프트(10)의 전단부에서 동축으로 연장되는 제2 샤프트(20)를 포함한다.
제1 샤프트(10) 및/또는 제2 샤프트(20)에는 풍선 카테터의 토크를 향상시키기 위해 꼰 형태(braided)일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혈관 내벽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친수성 코팅이 이루어진다. 제1 샤프트(10)의 전단부에는 풍선(12)이 접착제, 열 또는 레이저를 이용한 부착수단에 의해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풍선(12)은 제1 샤프트(10)에 부착되거나, 제1 샤프트(10) 및 제2 샤프트(20)에 겹쳐질 수 있다. 풍선(12)은 외주면에 스텐트(미도시)가 부착된 상태에서 서서히 팽창하여 혈관 내벽에 스텐트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1 샤프트(10)의 내부에는 팽창 루멘(13)이 형성된다. 팽창 루멘(13)은 허브(16)에서 공급되는 액체(압력전달을 위한 용액, 예를 들어 조영제와 saline의 혼합물 등)가 유동하는 통로이다. 허브(16)는 팽창-수축장치(미도시)가 결합되며 팽창-수축장치에서는 액체를 가압하여 공급함으로써 풍선(12)을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10)의 내부에 팽창 루멘(13)만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제1 샤프트(10)에서 풍선(12)이 부착된 전단부에는 압력주입 포트(14)가 형성된다. 압력주입 포트(14)는 팽창 루멘(13)을 통해 공급되는 액체가 풍선(12)으로 주입되는 부분이다. 압력주입 포트(14)는 제1 샤프트(1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주입 포트(14)가 풍선(1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면 풍선(12)은 불균일하게 팽창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동시에 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샤프트(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커(15)가 형성될 수 있다. 마커(15)는 방사선불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시술 시에 풍선 카테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마커(15)는 방사선불투과성의 금속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강, 금, 백금, 주석, 텅스텐 및 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마커(15)가 제1 샤프트(10)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커(15)가 제2 샤프트(20)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1 샤프트(10)의 전단부에는 제2 샤프트(20)가 동축으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샤프트(10)와 제2 샤프트(20)는 서로 연통되지 않고 각 루멘(13,22)이 차단되도록 연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샤프트(10)와 제2 샤프트(20)의 사이에는 차단재(2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샤프트(20)는 제1 샤프트(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차단재(21)가 설치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샤프트(20)는 제1 샤프트(10)와 별개로 제작되고 어느 하나의 단부가 막힌 상태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샤프트(20)의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기 위한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이 형성된다.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은 가이드와이어가 삽입하여 통과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10)와 제2 샤프트(20)가 서로 연통되지 않고 팽창 루멘(13)과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이 서로 격리되기 때문에 단일의 샤프트에 두 개의 루멘(13,22)이 중첩되지 않고 하나의 루멘(13,22)만 위치하게 되므로 샤프트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풍선 카테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직경이 0.87mm이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풍선 카테터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의 직경이 0.6mm로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직경의 변화는 사용하는 가이드와이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예시한 수치는 0.014" 가이드와이어를 이용할 때의 수치이다. 따라서, 풍선 카테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심장혈관과 같이 구불구불한 혈관에서의 이동성이 좋아지고 전달성(pushability)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풍선 카테터의 형상이 작아짐으로써 5F guiding catheter를 이용해서 kissing balloon technique과 kissing stenting이 가능해진다. 또한, 5F guiding catheter를 이용하여 stenting을 할 때 가장 문제가 되는 조영제 주입(contrast injection)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어 향후에 transfemoral approach보다 transradial approach를 더욱 활발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단일의 샤프트에 하나의 루멘(13,22)만 위치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팽창 루멘(1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보다 많은 양의 액체가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으므로 풍선(12)의 팽창 및 수축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가이드와이어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한편, 제2 샤프트(20)의 후단부에는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24)이 형성된다. 가이드와이어는 제2 샤프트(20)의 전단부(개구되어 있음)를 통하여 삽입되어 와이어 배출공(24)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풍선 카테터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진입과 진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이드와이어는 가이드와이어 루멘(22)을 통과하도록 삽입되고, 제2 샤프트(20)의 전단으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풍선 카테터의 시술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혈관풍선성형시술은 가이드와이어가 미리 삽입된 상태에서 풍선 카테터의 삽입이 시작된다. 풍선 카테터는 치료할 병변 또는 협착부에 도달할 때까지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삽입된다. 풍선 카테터가 병변 또는 협착부에 도달되면 시술자는 가압장치와 결합된 허브(16)를 통해 액체를 공급하게 되고, 압력주입 포트(14)를 통해 주입된 액체에 의하여 풍선(12)이 팽창된다. 팽창된 풍선(12)은 협착된 혈관을 넓혀 혈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한다. 이때, 풍선(12)의 외측에 존재하는 가이드와이어는 석회화가 많이 되어 있는 동맥경화반에 크랙을 유도하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풍선(12)의 외면에 스텐트가 수축된 상태로 혈관으로 삽입되어 병변 또는 협착부에서 팽창되어 병변의 치료가 가능하다. 이때, 가이드와이어가 삽입된 상태에서 즉 가이드와이어가 스텐트 외측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풍선(12)을 확장할 수도 있고 스텐트를 위치시킨 후 가이드와이어를 빼낸 상태에서 풍선(12)을 확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와이어를 상술한 도 2의 실시예와 같이 풍선의 전방에서 배출되도록 하지 않고 후방에서 배출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백번 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샤프트(110)의 내부에는 팽창 루멘(113)이 형성되고, 전단부에는 압력주입 포트(114)가 형성되고, 제2 샤프트(120)의 내부에는 가이드와이어 루멘(122)이 형성된다.
상술한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제1 샤프트(10)와 제2 샤프트(20)의 경계가 풍선(12)의 전단부 또는 압력주입 포트(14)의 전방에 위치하지만, 도 3에서는 제1 샤프트(110)와 제2 샤프트(120)의 경계가 압력주입 포트(114)의 전방에 위치하고 풍선(112)의 후단부의 후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양자의 차이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풍선(112)은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다르게 샤프트(110,120)에 부착된다. 참고로, 풍선(112)의 상부는 샤프트(110,120)를 중심으로 위쪽에 위치한 부분을 말하고, 풍선(112)의 하부는 샤프트(110,120)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을 말한다. 여기에서 풍선(112)의 모양은 도 3에 나타난 형상 이외에도 구형(spherical), 타원형(elliptical), 원추형, 그리고 이중직경의 풍선(stepped balloon)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풍선(112)의 상부는 전단부 및 후단부가 각각 제2 샤프트(120)에 부착되지만, 풍선(112)의 하부에서 전단부는 제2 샤프트(120)에 부착되고 후단부는 제1 샤프트(110)에 부착된다. 즉, 풍선(112)의 상부 및 하부의 전단부는 동일한 위치에 부착되지만, 후단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풍선(112)의 상하부가 나뉘어 제1 샤프트(110) 및 제2 샤프트(120)에 부착됨으로써, 팽창 루멘(113)과 가이드와이어 루멘(122)의 분리가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풍선(112)의 하부의 후단부는 압력주입 포트(114)보다 후방에 대응되는 제1 샤프트(110)에 부착된다. 따라서, 압력주입 포트(114)로 주입된 액체는 풍선(112)을 팽창시키게 된다.
한편, 제2 샤프트(120)의 후단부에는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1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와이어 배출공(124)은 제2 샤프트(120)에 부착된 풍선(112)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2 샤프트(120)에 형성됨으로써 풍선(112)과 간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 샤프트(120)는 실질적으로 풍선(112)의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W) 또한 풍선(112)이 부착된 부분의 후방에서부터 내부를 가로질러 통과하게 된다.
여기에서, 풍선(112)의 부착 위치를 상하부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풍선(112)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풍선(112)의 측부는 샤프트(110,120)에 각각 부착된 상부 및 하부를 연결하게 된다. 또한, 풍선(112)은 반드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풍선(112)의 상부 및 하부가 서로 반대로 또는 다른 각도로 샤프트(110,120)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풍선(112)의 제작은 상하부로 나누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풍선(112) 반쪽을 먼저 제작하고 이를 레이저로 부착할 수도 있고, 특수한 형태의 몰딩을 만들어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재(121)가 풍선(11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지만,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차단재(21)가 풍선(12)의 전방에 위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풍선(112)의 외주면에는 스텐트(130)가 구비되어 병변 또는 협착부까지 풍선 카테터로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시술 과정은 상술한 실시예의 시술 과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한 풍선 카테터는 제1 샤프트(10,110) 및 제2 샤프트(20,120) 각각에 팽창 루멘(13,113) 및 가이드와이어 루멘(22,122)이 서로 차단되어 형성되기만 하면 되고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샤프트(10,110) 및 제2 샤프트(20,120)의 직경과 물성은 서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백번 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풍선(212,213)은 제1 팽창부(212)와, 제1 팽창부(21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팽창부(213)를 포함하는 이중직경의 풍선 형상(stepped balloon)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 같이 풍선(212,213)의 형상을 변경한 것은 풍선(212,213)의 팽창 시에 파열(rupture)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체 주입에 의해 풍선(212,213)이 팽창될 때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팽창부(213)가 우선적으로 팽창된다. 제2 팽창부(213)는 실질적으로 제2 샤프트(220)와 예를 들어, 0.1 내지 1.0 mm의 작은 간격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풍선(212,213)이 팽창되는 과정에서 제2 팽창부(213)부터 팽창이 되면 제1 팽창부(212)가 균일하게 팽창이 되고, 직경이 항상 제1 팽창부(212)가 제2 팽창부(213)보다 크기 때문에 라플라스 법칙(LaPlace' law)에 의해서 풍선의 표면에 받는 팽창력(wall tension)은 제1 팽창부(212)에 비해 제2 팽창부(213)는 현저히 작게되어 비록 제2 팽창부(213)에 일부 사프트에 유착을 시키는 변형을 준다 해도 파열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팽창부(213)의 상부는 후단부가 제2 샤프트(220)에 부착된다. 물론, 제2 팽창부(213)의 상부의 후단부는 도 6에서와 같이 제2 샤프트(220)와 제1 샤프트(210)에 걸쳐서 부착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팽창부(213)의 상부 및 제2 샤프트(220)를 관통하는 와이어 배출공(22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2 팽창부(213)가 부착되면 제2 샤프트(220)와 제2 팽창부(213)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풍선(212,213)이 균일하게 팽창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풍선 카테터를 제작시 제1 샤프트(212)와 제2 샤프트(213)가 만나는 지점 즉 가이드와이어(W)가 나오는 부위에서 풍선을 진입시키려고 힘을 가할 때 꺾이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하고 풍선 카테터의 전달성(pushability)을 좋게 하기 위해 제1 샤프트(212, mid-shaft)에 존재하는 또는 제1 샤프트(212)에서 제2 샤프트(213)에 연결되는 코어 와이어(corewire, 미도시)가 필요하다. 상기 코어 와이어(corewire)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al), 니티놀(nitinol) 등의 금속뿐만 아니라 강도가 다른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23)

  1.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한 풍선;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
    상기 풍선이 부착된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서 동축으로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 루멘과 가이드와이어는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고,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장치와 결합된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에는 상기 풍선의 내부로 액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주입 포트는 상기 풍선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불투과성의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의 전단부에는 상기 마커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사이에는 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8.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액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서 연장되는 제2 샤프트;
    상기 제2 샤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 및
    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하고, 후단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풍선을 포함하고,
    상기 풍선이 부착된 부분의 전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1 샤프트에 압력주입 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풍선의 내부로 액체가 주입되고, 상기 풍선이 부착된 부분의 후방에 대응되는 상기 제2 샤프트에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고,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장치와 결합된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의 상부 및 하부의 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고, 상기 풍선의 상부의 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의 후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풍선의 하부의 후단부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전단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샤프트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사선불투과성의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사이에는 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3. 풍선의 팽창에 필요한 유체가 공급되는 팽창 루멘이 형성된 제1 샤프트;
    상기 제1 샤프트에 전단부에서 연장되고, 가이드와이어가 통과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이 형성된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부착되어 팽창 가능한 풍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의 후단에 설치되고, 액체를 공급하는 가압장치와 결합된 허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에는 상기 풍선의 내부로 액체가 주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주입 포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주입 포트는 상기 풍선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방사선불투과성의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의 사이에는 차단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은,
    제1 팽창부; 및
    상기 제1 팽창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2 팽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부의 상부의 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에 부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팽창부 및 제2 샤프트를 관통하는 와이어 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팽창부의 상부의 후단부는 상기 제2 샤프트 및 제1 샤프트에 걸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상기 제1 샤프트에서 제2 샤프트에 연결되는 코어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와이어는 스테인레스 스틸, 니티놀 또는 고분자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PCT/KR2012/006616 2011-08-22 2012-08-21 풍선 카테터 WO2013027990A2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39,852 US9925328B2 (en) 2011-08-22 2012-08-21 Balloon catheter
JP2014527065A JP5926381B2 (ja) 2011-08-22 2012-08-21 バルーンカテーテル
EP18157456.7A EP3398643B1 (en) 2011-08-22 2012-08-21 Balloon catheter
EP12825733.4A EP2749315A4 (en) 2011-08-22 2012-08-21 BALLOON CATHETER
CN201280041224.6A CN103957982B (zh) 2011-08-22 2012-08-21 球囊导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548 2011-08-22
KR20110083548 2011-08-22
KR1020120089980A KR101396017B1 (ko) 2011-08-22 2012-08-17 풍선 카테터
KR10-2012-0089980 2012-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27990A2 true WO2013027990A2 (ko) 2013-02-28
WO2013027990A3 WO2013027990A3 (ko) 2013-05-10

Family

ID=4817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6616 WO2013027990A2 (ko) 2011-08-22 2012-08-21 풍선 카테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25328B2 (ko)
EP (2) EP3398643B1 (ko)
JP (1) JP5926381B2 (ko)
KR (1) KR101396017B1 (ko)
CN (1) CN103957982B (ko)
WO (1) WO201302799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20626A1 (en) 2019-08-14 2021-07-22 Vaso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0828470B1 (en) 2019-08-14 2020-11-10 Vaso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0773059B1 (en) * 2019-08-14 2020-09-15 Vaso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0821267B1 (en) * 2019-08-14 2020-11-03 Vasoinnov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dvanc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hrough a lumen
US10792469B1 (en) 2019-08-14 2020-10-06 Vasoinnovations Inc.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catheters or other medical devices to locations within a patients body
CN111419476A (zh) * 2020-04-27 2020-07-17 中国医学科学院阜外医院 经导管主动脉瓣膜置换手术用辅助球囊结构
KR102569595B1 (ko) 2021-03-05 2023-08-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카테터
KR102337067B1 (ko) 2021-06-25 2021-12-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미드라인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711A (en) * 1988-02-29 1995-06-20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and transition member
US4896670A (en) 1988-04-19 1990-01-30 C. R. Bard, Inc. Kissing balloon catheter
US5395332A (en) * 1990-08-28 1995-03-07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alr catheter with distal tip guide wire lumen
US5154725A (en) * 1991-06-07 1992-10-1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Easily exchangeable catheter system
FR2718645B1 (fr) * 1994-04-15 1996-07-12 Nycomed Lab Sa Cathéter de dilatation à échange rapide.
US6234951B1 (en) * 1996-02-29 2001-05-22 Scimed Life Systems, Inc. Intravascular radiation delivery system
US5782740A (en) * 1996-08-29 1998-07-2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diation dose delivery catheter with reinforcing mandrel
US5830227A (en) 1997-04-16 1998-11-03 Isostent, Inc.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with enhanced capability to penetrate a tight arterial stenosis
EP1017442B1 (en) * 1997-09-23 2005-01-12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Catheter with stand-off structure
JP2001269410A (ja) * 2000-03-24 2001-10-02 Aisin Seiki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077841B2 (en) * 2001-03-26 2006-07-18 Curon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employing a guidewire for positioning and stabilizing external instruments deployed within the body
JP4441159B2 (ja) * 2002-02-27 2010-03-31 株式会社カネカ 血管内一時閉塞用バルーンカテーテル
US7022104B2 (en) * 2003-12-08 2006-04-04 Angioscore, Inc. Facilitated balloon catheter exchange
US20060064064A1 (en) * 2004-09-17 2006-03-23 Jang G D Two-step/dual-diameter balloon angioplasty catheter for bifurcation and side-branch vascular anatomy
US20070191767A1 (en) * 2005-12-16 2007-08-16 Medtronic Vascular, Inc. Bifurcated Catheter Joints
US20090292241A1 (en) * 2006-06-23 2009-11-26 Abbott Laboratories Balloon catheter
US9339632B2 (en) * 2006-09-27 2016-05-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atheter shaft designs
KR100898413B1 (ko) 2007-06-15 2009-05-2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터 시스템
JP2010530260A (ja) * 2007-06-15 2010-09-09 チュンアン ユニヴァーシティ インダストリー アカデミー コー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バイポーラ電極方式のガイドワイヤー及びカテーテルシステム
KR100938353B1 (ko) * 2007-09-18 2010-01-22 안용철 혈관 개구부에 설치된 스텐트에 접근을 도와주는 가이딩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스텐트 확장방법
KR20110088841A (ko) 2010-01-29 2011-08-04 주식회사에이앤에이엠디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혈관확장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one
See also references of EP2749315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8643B1 (en) 2019-11-20
CN103957982A (zh) 2014-07-30
WO2013027990A3 (ko) 2013-05-10
EP2749315A2 (en) 2014-07-02
US9925328B2 (en) 2018-03-27
JP2014524329A (ja) 2014-09-22
KR20130021335A (ko) 2013-03-05
KR101396017B1 (ko) 2014-05-27
US20140180086A1 (en) 2014-06-26
EP3398643A1 (en) 2018-11-07
EP2749315A4 (en) 2015-06-24
CN103957982B (zh) 2016-10-26
JP5926381B2 (ja)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27990A2 (ko) 풍선 카테터
CN109381780B (zh) 药物涂层球囊导管
US6142973A (en) Balloon catheter for repairing bifurcated vessels
US6569180B1 (en) Catheter having exchangeable balloon
US7387639B2 (en) Short sleeve stent delivery catheter and methods
US7238168B2 (en) Exchangeable catheter
JP5638614B2 (ja) 血管内吻合コネクタデバイス、供給システム、ならびに供給および使用方法
CN102274575B (zh) 一种球囊扩张导管
IL143534A (en) Endovascula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stenoses of the carotid and catheter for this system
EP2884949B1 (en) Bifurcated dual-balloon catheter system for bifurcated vessels
US20100298922A1 (en) Angioplasty Assembly
JP2004504093A (ja) 超音波映像カテーテル
ITMI940800A1 (it) Catetere di scambio, per operatore singolo presentante una sezione distale a condotto
WO2019024726A1 (zh) 药物涂层球囊导管
JP2018534061A (ja) 動静脈シャントの薬剤コーティング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11093635A2 (ko)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혈관확장장치
WO2011149321A2 (ko) 사전확장 벌룬 및 스텐트 벌룬이 일체로 구비된 카테터
US20090062898A1 (en) Catheter system for bifurcated coronary vessel
WO2023165261A1 (zh) 输送装置以及支架系统
CN108815682B (zh) 一种药物涂层保护球囊导管
CN116328157A (zh) 一种球囊
CN113384381B (zh) 一种医用装置
KR20150102813A (ko) 풍선 카테터
EP1369097A1 (en) Balloon catheter assembly
EP2889021B1 (en) Prewire channel s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82573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239852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52706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