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005997A2 -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 Google Patents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005997A2
WO2013005997A2 PCT/KR2012/005331 KR2012005331W WO2013005997A2 WO 2013005997 A2 WO2013005997 A2 WO 2013005997A2 KR 2012005331 W KR2012005331 W KR 2012005331W WO 2013005997 A2 WO2013005997 A2 WO 201300599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ord
bit
syllables
speech
accompan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533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3005997A3 (ko
Inventor
박상철
Original Assignee
(주) 아모스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모스에듀 filed Critical (주) 아모스에듀
Priority to JP201353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4500525A/ja
Priority to CN201280002482.3A priority patent/CN103221987A/zh
Priority to SG2012090635A priority patent/SG187533A1/en
Publication of WO201300599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05997A2/ko
Publication of WO201300599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00599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tching accompaniment and voice for a word learning music f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ccentuating a word (voice) in an accompaniment having a quarter beat rhythm consisting of four beats of strong, weak, medium, and weak. To match and match.
  •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se music files ha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method also ha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method is also less effective because the accent (beat) of the accompaniment does not match the strength of the actual wor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nter into the head. .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accent of the accompaniment and actuality by matching the accent of the word (voice) to the accompaniment having a quarter beat rhythm consisting of four beats of strong / medium / medium / weak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accompaniment and speech matching method for word learning music files that are not unobtrusive due to the correctness of words, and automatically learns the strength of words without knowledge, and increases the information transfer ability.
  • a word is strong (first bit) / weak (second bit) / medium (third bit) / weak
  • a word speech consisting of a source speech and a translation speech is matched to an accompaniment consisting of four quarters of four bits (fourth bits);
  • the word is divided into an obsession with an accent on the first syllable and an acronym with no accent on the first syllable.
  • Compulsive words match the first bit of the bar so that the original voice, the third bit of the bar so that the translation voice,
  • the abbreviated word is characterized by matching the fourth bit of the previous node with the first bit of the node so that the original voice comes, and matching the third bit of the node so that the translated voice comes.
  • the accent of the word accords with the accent of the word (voice) by matching the accent of the word (voice) with a quarter beat rhythm of four beats of strong, weak, medium, and weak. It doesn't bother you, and you can learn the strength of words automatically and unknowingly.
  • FIG. 1 is a view showing a ma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 mat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to 9 are exemplary diagrams of a screen that is actually output when a text image is matche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ccompaniment that matches the word (voice) is a quarter beat
  • the quarter quarter beat is composed of four quarter notes, each of which has four basic beats: strong, weak, medium, and weak. It consists of (beat).
  • the steel is strong, weak is weak, and medium is slightly strong.
  • Table 1 shows the types of English words with syllables.
  • the obsessive word may be classified into one syllable such as bell, two syllables such as rooster, three syllables such as abnegate, and four syllables such as temporary.
  • the abbreviation is accented on the second syllable (about one syllable), and about one syllable / strong one syllable, such as tonight, about one syllable / strong two syllable, such as utensil, About 1 syllable / strong 3 syllable such as unanimous and about 1 syllable / strong 4 syllable such as contemporary.
  • the third syllable is accentuated (about two syllables), depending on how many syllables after the third, about two syllables / one syllable such as underbuy, about two syllables / two syllables such as universal,
  • the same syllable can be divided into two syllables / three syllables.
  • the fourth syllable is stressed (about 3 syllables), and depending on how many syllables after the fourth syllable are divided into about 3 syllables / 2 syllables such as abiogenic, and about 3 syllables / 3 syllables such as abiochemistry. Can be.
  • the fifth syllable is stressed, and depending on how many syllables there are after the fifth syllable, it can be divided into about four syllables / two syllables such as abiogenetic.
  • the type can be represented as a rhythm or a rhythm.
  • the type can be divided into strong syllables, and in the case of a compulsive type, it can be divided into strong syllabl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after the first syllable with accentuation.
  • n 1 to 4 as described above.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accompaniment and vo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quarter beat bar has four bits, of which the first bit is strong, the second bit is weak, the third bit is medium, and the fourth bit is weak. It is done.
  • One quarter accompaniment is made by repeating a plurality of measures of four quarter beat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accompaniment is made with approximately 30 measures.
  • one word voice original voice and translation voice
  • the compulsive word with accent on the first syllable is matched so that the first voice of the bar comes with the original voice, and the third voice is translated. Match to come.
  • the obsession type words such as bell, rooster, abnegate, and temporary match the original voices of bell, rooster, abnegate, and temporary to the first bit of the node, and the bell and rooster to the third bit.
  • the bell and rooster to the third bit.
  • the first beat matching the original speech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one bit is composed of four sixteenth notes), and the first syllable is divided into quarters of the first beat, and the second syllable is 1/4 of the first beat.
  • the syllables of the three syllables are matched to the first and fourth quarters of the first beat, and the four syllables are located in the first and fourth quarters of the first beat.
  • the first bit of the corresponding node is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and the matching is performed so as to occupy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first bit divided into four equal parts by the number of strong n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 Abbreviated words without accents in the first syllable match strong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according to the first beat of the corresponding section, match weak n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according to the fourth beat of the previous section, and match the third beat Match the translation voice.
  • the accented syllables are matched to be located in the quarter of the first beat, and based on this, the remaining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are matched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at and the fourth beat of the previous node.
  • the two syllables are in the quarter and second quarters of the first beat
  • the three syllables are in the quarter and fourth quarters of the first beat
  • the four syllables are the 1/1 of the first beat.
  • Matches corresponding to sections 4 to 4/4 about one syllable is in section 4/4 of the previous beat fourth beat, and about two syllables are in sections 3/4 and 4/4 of the previous measure fourth beat
  • About three syllables are matched to sections 2/4 to 4/4 of the previous measure fourth beat
  • about four syllables correspond to sections 1/4 to 4/4.
  • a word consisting of about one syllable / strong n syllable among the abbreviated words is matched so that approximately one syllable of the original speech corresponds to the fourth quarter of the fourth bit of the previous node.
  • the strong n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are matched as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rhythm type.
  • a word composed of approximately two syllables / n syllables matches approximately two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to correspond to sections 3/4 and 4/4 of the fourth bit of the previous section, and strong n syllables of the original speech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Match as in the case of a child.
  • the original speech of the weak n syllables is matched to the fourth bit of the previous node, the original speech of the strong n syllables to the first bit of the corresponding node, and the translation voice to the third bit of the corresponding node.
  •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 match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exts (images) as well as accompaniment and voices are matched.
  • the text of the word is output on the screen, and then the voice of the word is output.
  • the text (image) is output first, and the voice is output later after 0.5 to 0.7 seconds.
  • 4 to 9 are exemplary views of a screen that is actually output when text (image) is match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ranslated text is not newly output after the original text disappears, but is output in such a manner that the translated text is applied to the original text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약/중강/약의 4비트로 이루어진 4분의 4박자 리듬을 갖는 반주에 단어(음성)의 강세를 맞추어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은, 한 마디가 강(제1비트)/약(제2비트)/중강(제3비트)/약(제4비트)의 4비트로 구성되는 4분의 4박자로 이루어진 반주에, 원어음성과 번역음성으로 이루어진 단어음성을 매칭하되; 상기 마디 하나에 단어 하나가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상기 단어를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강박자형과 첫 음절에 강세가 없는 약박자형으로 구분하여, 강박자형의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며, 약박자형의 단어는 이전 마디의 제4비트와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본 발명은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약/중강/약의 4비트로 이루어진 4분의 4박자 리듬을 갖는 반주에 단어(음성)의 강세를 맞추어 매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글로벌화되어 가면서 영어, 일본어, 한자 등 외국어가 사회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언어학습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 바, 예를 들어 외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외국어 학원에 직접 등록 및 출석하여 강사의 강의를 듣는 방법과, 강사의 강의를 녹화하고, 녹화된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방법과, 영화나 텔레비전 드라마를 통해서 어학공부를 한다든지, 아니면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팝송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방법을 제공하는 것들이 있다,
그런데 언어 습득의 기본이 되는 단어 능력 개발은 개인의 노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지배적이고, 같은 단어를 반복해서 들어야 하기 때문에 싫증과 지루함을 느끼게 되어 단어 학습에 대한 효과는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영어단어 발음 학습방식은 영어단어를 발음하기 위하여 영어단어(알파벳)를 기준으로 발음기호를 표기하거나, 한글로 발음을 표기함으로써 '단어(알파벳)'와 '소리(발음)'와의 연관성을 통하여 영어단어를 발음하게 하는 학습 방식이었으나, 학습 효과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단어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반주와 단어(음성)를 합성하여 음악파일 형식으로 만들고, 이 음악을 따라하면서 단어를 학습하게 하여 지루함을 느끼지 않게 하는 학습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파일을 이용한 학습 방식은 반주의 강세(비트)와 실제 단어의 강세가 맞지 않아 귀에 거슬림으로써 머리에 입력이 잘 안 되고, 정보전달력이 떨어져 이 학습 방식 역시 학습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약/중강/약의 4비트로 이루어진 4분의 4박자 리듬을 갖는 반주에 단어(음성)의 강세를 맞추어 매칭함으로써 반주의 강세와 실제 단어의 강세가 맞아 귀에 거슬리지 않고, 부지불식간에 자동으로 단어의 강세가 익혀지며 정보전달력이 높아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은, 한 마디가 강(제1비트)/약(제2비트)/중강(제3비트)/약(제4비트)의 4비트로 구성되는 4분의 4박자로 이루어진 반주에, 원어음성과 번역음성으로 이루어진 단어음성을 매칭하되;
상기 마디 하나에 단어 하나가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상기 단어를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강박자형과 첫 음절에 강세가 없는 약박자형으로 구분하여,
강박자형의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며,
약박자형의 단어는 이전 마디의 제4비트와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강/약/중강/약의 4비트로 이루어진 4분의 4박자 리듬을 갖는 반주에 단어(음성)의 강세를 맞추어 매칭함으로써 반주의 강세와 실제 단어의 강세가 맞아 귀에 거슬리지 않고, 부지불식간에 자동으로 단어의 강세가 익혀지며 정보전달력이 높아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매칭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칭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매칭한 경우에 실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학습하고자 단어로 영어단어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단어(음성)와 매칭하는 반주는 4분의 4박자로서, 이 4분의 4박자는 한 마디가 4분 음표 4개로 되어 있으며 강/약/중강/약을 기본적인 흐름으로 하는 4비트(beat)로 구성된다.
상기 강은 세게(strong), 약은 약하게(weak), 중강은 조금 세게(middle strong)를 의미한다.
한편, 영어단어에는 단어의 음절에 강세(stress)가 있어 강세가 있는 음절에서는 강하게 발음해야 한다.
아래의 표 1은 음절이 있는 영어 단어의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PCTKR2012005331-appb-T0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어 단어의 유형을 bell, rooster, abnegate, temporary와 같이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강박자형의 단어와, tonight, underby, abiogenic, abiogenetic과 같이 첫 음절이 아닌 다른 음절에 강세가 있는 약박자형의 단어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박자형 단어는 그 음절수에 따라 bell과 같은 강1음절, rooster와 같은 강2음절, abnegate와 같은 강3음절, temporary와 같은 강4음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약박자형은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약1음절), 그 두 번째 이후의 음절수가 몇 개냐에 따라 tonight과 같은 약1음절/강1음절, utensil과 같은 약1음절/강2음절, unanimous와 같은 약1음절/강3음절, contemporary와 같은 약1음절/강4음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약2음절), 그 세 번째 이후의 음절수가 몇 개냐에 따라 underbuy와 같은 약2음절/강1음절, universal과 같은 약2음절/강2음절, university와 같은 약2음절/강3음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네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약3음절), 그 네 번째 이후의 음절수가 몇 개냐에 따라 abiogenic과 같은 약3음절/강2음절, abiochemistry와 같은 약3음절/강3음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다섯 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고, 그 다섯 번째 이후의 음절수가 몇 개냐에 따라 abiogenetic과 같은 약4음절/강2음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강박자형과 약박자형으로 유형을 나타낼 수 있고, 약박자형인 경우에 강세가 없는 음절 이후의 음절수와 강세가 있는 음절 이후의 음절수에 따라 약n음절 강n음절로 구분하여 유형을 나눌 수 있으며 강박자형인 경우에 강세가 있는 첫 음절 이후의 음절수에 따라 강n음절로 구분하여 나눌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n은 1~4인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분의 4박자 한 마디(bar)는 4비트로 이루어지고, 이중 제1비트는 강, 제2비트는 약, 제3비트는 중강, 제4비트는 약을 기본적인 흐름으로 한다.
상기 4분의 4박자의 마디가 다수 반복되어 하나의 반주가 이루어지되, 본 발명에서는 대략 30마디로 하나의 반주가 이루어진다.
또한, 마디 하나에 한 단어의 음성(원어음성와 번역음성)을 대응하되,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강박자형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bell, rooster, abnegate, temporary와 같은 강박자형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bell, rooster, abnegate, temporary의 원어음성을 매칭하고, 제3비트에 종, 수탉, 포기하다, 일시적인의 뜻을 갖는 번역음성을 매칭한다.
이때 원어음성에 매칭되는 제1비트를 다시 4등분하여(한 비트는 16분음표 4개로 이루어짐) 강1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에, 강2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과 2/4구역에, 강3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 내지 4/3구역에, 강4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 내지 4/4구역에 오도록 매칭한다.
즉, 상기 해당 마디의 제1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강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1비트의 해당 구역을 앞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한다.
첫 음절에 강세가 없는 약박자형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맞추어 원어음성의 강n음절을 매칭하고,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 맞추어 원어음성의 약n음절을 매칭하며 제3비트에 맞추어 번역음성을 매칭한다.
이때 강세가 있는 음절이 제1비트의 1/4구역에 위치하도록 매칭하고 이것을 기준으로 하여 나머지 원어음성의 음절을 제1비트와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 대응되게 매칭한다.
즉, 강2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과 2/4구역에, 강3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 내지 4/3구역에, 강4음절은 제1비트의 1/4구역 내지 4/4구역에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약1음절은 이전 마디 제4비트의 4/4구역에, 약2음절은 이전 마디 제4비트의 3/4구역과 4/4구역에, 약3음절은 이전 마디 제4비트의 2/4구역 내지 4/4구역에, 약4음절은 1/4구역 내지 4/4구역에 대응하도록 매칭한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박자형 단어 중 약1음절/강n음절로 이루어지는 단어는 원어음성의 약1음절이 이전 마디 제4비트의 4/4구역에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원어음성의 강n음절은 상기한 강박자형의 경우와 같이 매칭한다.
마찬가지로 약2음절/강n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는 원어음성의 약2음절이 이전 마디 제4비트의 3/4구역과 4/4구역에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원어음성의 강n음절은 상기한 강박자형의 경우와 같이 매칭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약n음절의 원어음성이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 강n음절의 원어음성이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번역음성은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맞추어 매칭한다.
즉, 상기 해당 마디의 제1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강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1비트의 해당 구역을 앞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하고, 상기 이전 마디의 제4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약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4비트의 해당 구역을 뒤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한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칭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반주와 음성뿐만 아니라 텍스트(이미지)를 매칭하는 경우의 도면이다.
반주와 음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칭하고, 텍스트 중에서 원어텍스트는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서 해당 마디의 제3비트까지 출력되도록 매칭하고, 번역텍스트는 해당 마디의 제2비트와 제3비트에 출력되도록 매칭한다.
이에 따라 단어의 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고 나서 해당 단어의 음성이 출력된다.
본 발명에서는 텍스트(이미지)가 먼저 출력되고 0.5초 내지 0.7초 지나서 음성이 나중에 출력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이미지)를 매칭한 경우에 실제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어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고 나서 원어텍스트가 사라진 후 번역텍스트가 새로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원어텍스트 화면에 번역텍스트가 입혀지는 방식으로 출력된다.
이에 의해 상기한 원어음성, 번역음성과 단어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매칭되어 재생된다.

Claims (8)

  1. 한 마디가 강(제1비트)/약(제2비트)/중강(제3비트)/약(제4비트)의 4비트로 구성되는 4분의 4박자로 이루어진 반주에, 원어음성과 번역음성으로 이루어진 단어음성을 매칭하되;
    상기 마디 하나에 단어 하나가 대응하도록 매칭하고,
    상기 단어를 첫 음절에 강세가 있는 강박자형과 첫 음절에 강세가 없는 약박자형으로 구분하여,
    강박자형의 단어는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며,
    약박자형의 단어는 이전 마디의 제4비트와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원어음성이 오도록 매칭하고, 해당 마디의 제3비트에 번역음성이 오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박자형의 단어는 첫 음절 이후의 음절수에 따라 강n(n=1-4)음절로 구분하고 해당 마디의 제1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강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1비트의 해당 구역을 앞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박자형의 단어는 강세가 없는 음절 이후의 음절수와 강세가 있는 음절 이후의 음절수에 따라 약n(n=1-4)음절과 강n(n=1-4)음절로 구분하여, 약n음절은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 강n음절은 해당 마디의 제1비트에 대응되게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마디의 제1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강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1비트의 해당 구역을 앞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마디의 제4비트를 4등분으로 나누어, 원어음성의 해당 약n음절수만큼 4등분된 제4비트의 해당 구역을 뒤에서부터 차지하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의 텍스트(이미지) 중에서 원어텍스트는 이전 마디의 제4비트에서 해당 마디의 제3비트까지 화면에 출력되도록 매칭하고, 번역텍스트는 해당 마디의 제2비트와 제3비트에 화면에 출력되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어의 텍스트가 화면에 출력되고 0.5~0.7초 경과 후에 단어음성이 화면에 출력되도록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어음성, 번역음성과 단어의 텍스트나 이미지가 매칭되어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PCT/KR2012/005331 2011-07-07 2012-07-05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WO2013005997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536546A JP2014500525A (ja) 2011-07-07 2012-07-05 単語学習音楽ファイルのための伴奏と音声のマッチング方法
CN201280002482.3A CN103221987A (zh) 2011-07-07 2012-07-05 用于单词学习音乐文件的伴奏和语音匹配方法
SG2012090635A SG187533A1 (en) 2011-07-07 2012-07-05 Accompaniment and voice matching method for word learning music f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192 2011-07-07
KR1020110067192A KR101112422B1 (ko) 2011-07-07 2011-07-07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05997A2 true WO2013005997A2 (ko) 2013-01-10
WO2013005997A3 WO2013005997A3 (ko) 2013-04-11

Family

ID=4584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5331 WO2013005997A2 (ko) 2011-07-07 2012-07-05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4500525A (ko)
KR (1) KR101112422B1 (ko)
CN (1) CN103221987A (ko)
SG (1) SG187533A1 (ko)
WO (1) WO20130059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0206B (zh) * 2014-06-23 2018-08-0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音频的播放方法、装置
CN107247768A (zh) * 2017-06-05 2017-10-13 北京智能管家科技有限公司 语音点歌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190046312A (ko)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앰버스 영어 능력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210015064A (ko) * 2019-07-31 2021-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017A (ko) * 2003-07-10 2005-01-17 남창우 바로크 음악과 주기 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3시스템구현방법
KR20060028839A (ko) * 2004-09-30 2006-04-04 박순복 뜻과 소리로 풀어가는 저절로 연상영어 학습방법과 그 학습방법이 이용된 기록매체와 전자매체
JP2011013295A (ja) * 2009-06-30 2011-01-20 Brother Industries Ltd 配信装置及び配信方法
KR101025665B1 (ko) * 2009-10-16 2011-03-30 박상철 음악기반 언어 학습방법과 이를 활용한 학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7005B2 (ja) * 2000-05-18 2004-03-15 明宏 川村 外国語学習支援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7017A (ko) * 2003-07-10 2005-01-17 남창우 바로크 음악과 주기 반복을 통한 외국어 학습3시스템구현방법
KR20060028839A (ko) * 2004-09-30 2006-04-04 박순복 뜻과 소리로 풀어가는 저절로 연상영어 학습방법과 그 학습방법이 이용된 기록매체와 전자매체
JP2011013295A (ja) * 2009-06-30 2011-01-20 Brother Industries Ltd 配信装置及び配信方法
KR101025665B1 (ko) * 2009-10-16 2011-03-30 박상철 음악기반 언어 학습방법과 이를 활용한 학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0525A (ja) 2014-01-09
SG187533A1 (en) 2013-03-28
WO2013005997A3 (ko) 2013-04-11
KR101112422B1 (ko) 2012-02-27
CN103221987A (zh) 2013-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termeyer Afrikaans English
Gottlieb Subtitles: readable dialogue?
WO2013005997A2 (ko) 단어학습 음악파일을 위한 반주와 음성의 매칭방법
WO2021033865A1 (ko) 한글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Bundgaard-Nielsen et al. Discrimination of multiple coronal stop contrasts in Wubuy (Australia): A natural referent consonant account
WO2009003308A2 (fr) Procédé de marquage d'accent et de séparation de mot en anglais et application associée
WO2021137534A1 (ko) 음성 분석을 통한 한국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20170236447A1 (en) Pronunciation aid
Low English in East and South Asia in the post-Kachruvian era
Chen The development of an interlanguage
Kissova The role and goals in teaching English pronunciation
Haide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generated Arabic subtitles: insights from Veed. io's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system of Jordanian Arabic
Aleksandrowicz The reading comprehension skill of d/deaf and hard-of-hearing poles and its importance for media accessibility: a pilot study
WO2011136454A1 (ko) 이미지를 이용한 음원 생성 시스템 및 방법
Nakamura et al. Biliteracy spelling acquisition in akshara and English
WO2018199376A1 (ko) 듣기 학습을 지원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N117219116B (zh) 现代汉语语音分析方法、系统及存储介质
Huang To Epenthesize or Not? Segment Insertion in Mandarin Loanwords
Lanza et al. “A1 for everyone”: lineamenti di un progetto plurilinguistico
Archibald et al. Contemporary linguistic analysis
Zhao The Negative Transfer of Mother Tongue on the Influences of Chinese English Learner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y and Countermeasures
Samarca et al. Word Formation Knowledge Through the Cantilangnun Linguistic Landscape
Zhao Cross-Language Influence English Learning as Chinese Learners
Hussain et al. The Use of English Loanwords in Balti Language
Lysenko et al. PRONUNCIATION PERILS: OVERCOMING PHONETIC INTERFERENCE IN LANGUAG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document number: 2013536546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8069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