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69818A2 -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69818A2
WO2012169818A2 PCT/KR2012/004522 KR2012004522W WO2012169818A2 WO 2012169818 A2 WO2012169818 A2 WO 2012169818A2 KR 2012004522 W KR2012004522 W KR 2012004522W WO 2012169818 A2 WO2012169818 A2 WO 201216981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cosmetic composition
extracts
ski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452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69818A3 (ko
Inventor
강희철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지에프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프씨(주) filed Critical 지에프씨(주)
Publication of WO201216981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9818A2/ko
Publication of WO201216981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6981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ntaining elemental extract.
  • Skin moisture level is about 70% in the dermis, but decreases to the epidermis, about 10-30% in the stratum corneum, the outermost layer. Water supplied from the dermis diffuses up the stratum corneum and is lost to the outside. This is called Trans 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it is also known that the epidermal moisture is prevented from the sebaceous and epidermal lipids, which are the stratum corneum. Moisture retention of these stratum corneum is not only important from the point of view of biological defense, but also from the cosmetic point of view for smooth and flexible skin surface.
  • 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
  • the skin is easily exposed to harsh external environment, such as wind, weather, sunlight, face wash, shaving, etc., and aging, and thus easily loses moisture, resulting in dry and rough skin.
  • a typical example is wrinkle formation.
  • Free radicals generated by ultraviolet rays of sunlight, the main cause of aging promote oxidative cleavage of collagen and elastin, the connective tissue of the skin, and consequently, wrinkles are formed by abnormal cross defects of connective tissue.
  • it promotes the cleavage and low molecular weight of hyaluronic acid, which plays a major role in the skin's water retention ability, thereby reducing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stratum corneum.
  • the moisture of the stratum corneum is less than 10%, the physiological action of the skin is lowered and the skin loses its original function and becomes rough.
  • the skin ages skin cells proliferate and regenerate.
  • proliferation of epidermal cells is reduced and metabolism is reduced.
  • the dermis lowers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fibroblasts responsible for the synthesis and degradation of not only connective tissues such as collagen and elastin, but also glycosaminoglycans and glycoproteins, which are intercellular lipid components, and their metabolic functions also decrease.
  • moisturizing agents such as water-soluble polyhydric alcohols, sodium pyridonecarboxylic acid sodium, urea, amino acids, elastin, and the like, which have been conventionally used for moisturizing creams or lotions, have problem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and improving wrinkle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which is not cytotoxic and does not cause side effects.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mal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 may be contained in about 0.001 to 50%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anti-wrinkle, which has a superior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ement effect compared to the snail extract and contains elemental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 Figure 1 shows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extract and snail extract
  • the X-axis shows the elapsed time (hours) after the extract treatment
  • the Y-axis shows the water retention (%).
  • Figure 2 shows the cell activity (%) of human keratinocyt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and snail extract, X-axis shows the concentration (%, weight basis) of the extract, Y-axis shows the cell activity (%) .
  • Figure 3 shows the collagen synthesis capac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snail extract and retinol
  • the X-axis shows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 by weight)
  • the Y-axis shows the synthesis capacity (%) of collagen.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small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plysia kurodai is a mollusk that is distributed all over the coast of Korea and belongs to the mollusk moon Bok-gang group.
  • Ingredient extracts can be obtained from the ingredients using conventional methods.
  • Extracts can be obtained by proteolytic enzyme treatment of small meats and precipitation of ethanol insoluble substances.
  • small extracts are hydrolyzed by the addition of conventional proteolytic enzymes such as Flavorzyme to the small groups. Centrifuge the obtained hydrolyzate.
  • An acid for example trichloroacetic acid, is added to the obtained supernatant to precipitate and remove the hydrolyzed protein degradation product.
  • An alcohol insoluble substance is obtained by adding an alcoholic solvent (for example, a mixture of alcohols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water, in particular ethanol) to the obtained supernatant, and then the precipitate is recovered by centrifugation and used as a small extract. .
  • an alcoholic solvent for example, a mixture of alcohols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water, in particular ethanol
  • the extract has a significantly improved water retention and collagen synthesis ability at the same extract concentration.
  • the extract may be contained in about 0.001 to 50%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Within this range, the skin moisturizing and wrinkle improving effect can be excellent, and the improvement effect compared to the content increase can be large. Preferably it may be contained in about 0.05 to 20.0% by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Elemental extracts can be used in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s.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When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t can be used in various formulations such as topical application such as ointment, cream, lotion, liquid, spray, etc. in use.
  • topical application preparations such as ointments, lotions, sprays, etc.
  • the cosmetic composition when used as a cosmetic composition, may be used in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lotion, lotion, nutrition cream, essence, massage cream and pack.
  • Sauce was boiled in boiling water for 5 minutes, the meat and the intestines were separated, and only the meat part was lyophilized and stored in a freezer at -20 ° C and used as an extract raw material.
  • Proteolytic enzyme (Flavourzyme) was added to the lyophilized sample so as to have a protein concentration ratio of 1/50 and reacted for 15 hours while shaking in a constant temperature bath at 60 ° C.
  • the obtained hydrolyzate was centrifuged (3,000 g, 30 minutes) and the supernatant was taken.
  • Trichloroacetic acid was added to a final concentration of 0.5% relative to the supernatant and left at 25 ° C. for 1 hour. Then, the obtained reaction was centrifuged (3,000 g, 30 minutes) to remove the precipitate and the supernatant was taken. 10 times (volume basis) of ethanol was added to the supernatant to precipitate an ethanol insoluble substance, and centrifuged (3,000 g, 30 minutes) to separate the precipitate to obtain a small extract.
  •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of the extract was verified.
  • the Petri dishes were added with the extracts of the small and snail extract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respectively, and wetted with paper of a suitable size, and then weighed.
  • the paper containing each extract was placed in an empty Petri dish to determine the moisture retention by weighing the paper over time.
  • the salin extra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better water retention than the snail extract for the same time.
  • absorbance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except that the same amount of purified water was used instead of the extract. Absorbance was measured using the same amount of DMEM (containing 10% FBS) instead of the extract as a positive control and the same amount of DMSO (10% concentration) instead of the extract as the negative control.
  • the degree of cell activity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and FIG.
  • the cell activity was 22%.
  • the extract showed no cytotoxicity at high concentrations, rath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ell regeneration effect by promoting the growth of human keratinocytes.
  • the extract is higher in human keratinocyte growth promoting effect than the snail extract.
  • Human fibroblasts (ACTT, PCS-201-012, USA) were counted using a hemacytometer equally at 4 x 10 4 cells / well in a 24-well plate, aliquoted, 37 ° C., 5% Incubated for 24 hours under carbon dioxide conditions. Cell cultures obtained after incubation for 24 hours were removed, and the extracts obtained in the above examples were treated in each well at 0.05, 0.1, and 0.2 (weight / volume)% in DMEM medium at 37 ° C., 5% carbon dioxide conditions for 24 hours. Incubated. After that, the culture solution is collected, and 100 ⁇ l each is placed in a 96-well plate and coated overnight at 4 ° C.
  • Absorbance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except that the snail extract of Comparative Example was used instead of the small extract. In addition, the absorbance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for retinol (0.5 ⁇ M) known to have wrinkle improvement. Absorbance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DMEM (containing 10% FBS) was used as the positive control and no extract was used.
  • Collagen synthesis degree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and FIG.
  • the extract was significantly higher collagen synthesis capacity than the snail extract at the same concentration.
  • Retinol was found to have a collagen synthesis capacity of 50% when used at 0.5 ⁇ M. It can be seen that the extract has a similar effect at 0.2% compared to retinol (0.5uM) known to have wrinkle improvement.
  • the nutrition lotion was prepared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using the component of Table 5 be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은 군소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나타나 피부 노화 및 건조 현상을 예방 및 개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본 발명은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나이가 들거나 외부의 자극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게 되면 피부가 손상되고 생리 기능이 저하되는 등 피부 노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피부 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고 여러 가지 환경요인에 의해 피부 노화의 발생 요인이 증가한 최근에 들어서 피부 노화에 대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
피부 수분량은 진피에서 70% 정도이나 표피로 가면서 감소하여 최외각층인 각질층에서는 약 10~30%가 된다. 진피에서 공급된 물은 각질층 상부로 확산되어 외부로 손실된다. 이것을 경피수분손실(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이라 하며 이 경피수분손실을 막아주는 것 또한 각질층이 지질막 성분인 피지성분과 표피 지질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각질층의 수분보유능은 생체 방어라는 관점에서 중요할 뿐 아니라, 매끄럽고 유연한 피부 표면을 위한 미용상의 관점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기능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피부는 혹독한 외부환경 즉, 바람, 날씨, 햇빛 등과 세안, 면도 등과 더불어 노화라는 인자가 더해져서 쉽게 수분을 잃게 되어 건조하고 거친 피부가 되기 쉽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피부는 점차 그 고유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노화 현상이 일어나고 그 대표적인 예가 주름 생성이다. 이러한 노화의 주된 원인인 태양광의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프리라디칼은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산화적 절단을 촉진시키며 결과적으로는 결합조직의 비정상적인 교차결함에 의해 주름을 형성시킨다. 또한 피부의 수분 보유능력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히아루론산의 절단 및 저분자화를 촉진시켜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력을 감소시키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피부의 생리작용이 저하되어 피부가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되어 거칠어지게 된다.
또한 피부의 수분 보유 능력에 가장 큰 역할을 하고 있는 히아루론산의 절단 및 저분자화를 촉진시켜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력을 감소시키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질층의 수분이 10% 이하로 되는 경우에는 피부의 생리작용이 저하되어 피부가 본래의 기능을 잃게 되어 거칠어지게 된다.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 피부 세포들의 증식 및 재생 능력이 저하된다. 표피에서는 표피 세포의 증식이 저하되고 신진대사가 저하된다. 표피와 마찬가지로 진피에서는 콜라겐이나 엘라스틴과 같은 결합 조직 뿐만 아니라 세포간 지질 성분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과 글리코프로테인 등의 합성 및 분해를 담당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활성이 저하되고 그 대사 기능도 저하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여 매끄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화장품을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이다. 피부에 화장품을 바르게 되면 피부에 인공막을 만들어주어 외부의 자극을 막아주고 피부 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막아줄 뿐 아니라 어느 정도의 수분을 피부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화장품으로서는 매끄럽고 촉촉하며, 피부에 부담감이 없는 피부 관리를 하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다. 즉, 종래 보습목적의 크림 또는 로션에 사용되어온 수용성 다가 알코올류, 피로리돈카르복실산 나트륨, 요소, 아미노산, 엘라스틴 등과 같은 보습제들은 각각 문제점 등을 갖고 있다.
종래 화장품에 보습제로 가장 많이 쓰고 있는 수용성 다가알코올류의 경우 - OH기가 3개 이상인 글리세린, 솔비톨 등은 뛰어난 보습력에 반해 끈적임이 심하여 사용시 불쾌감을 느끼게 하며, -OH기가 2개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등은 다량 사용 시 피부 부작용이 있게 된다.
이에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용도로 달팽이 추출물을 개발하는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달팽이 추출물로부터 피부 보습 등의 효과를 얻기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달팽이 추출물 대비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 효과가 뛰어난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포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는 천연물 유래의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은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군소 추출물은 화장용 조성물 중 약 0.001~5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달팽이 추출물 대비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나고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군소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의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 것으로, X축은 추출물 처리 후 경과시간(시간)을 나타내고, Y축은 수분 보유능(%)을 나타낸다.
도 2는 군소 추출물 및 달팽이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세포활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X축은 군소 추출물의 농도(%, 중량 기준)를 나타내고, Y축은 세포활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군소 추출물, 달팽이 추출물 및 레티놀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의 합성능을 나타낸 것으로, X축은 추출물의 농도(%, 중량 기준)를 나타내고, Y축은 콜라겐의 합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은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군소(Aplysia kurodai)는 대한민국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체동물문 복족강 군소목 군소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이다.
군소 추출물은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군소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군소 추출물은 군소 육질을 단백 분해 효소 처리하고, 에탄올 불용성 물질을 침전시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군소 추출물은 통상의 단백질 분해 효소 예를 들면 플라보자임(Flavourzyme)을 군소에 첨가하여 군소의 육질을 가수분해한다. 얻은 가수 분해물을 원심분리한다. 얻은 상등액에 산 예를 들면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가수분해된 단백질 분해물을 침전시켜 제거한다. 얻은 상등액에 알코올성 용매(예를 들면 탄소수 1-5의 알코올 또는 물과의 혼합물, 특히 에탄올)를 첨가하여 알코올 불용성 물질(침전물)을 얻은 다음, 침전물을 원심분리하여 회수함으로써 이를 군소 추출물로 사용한다.
군소 추출물은 달팽이 추출물 대비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동일 추출물 농도에서 현저하게 향상된 수분보유능과 콜라겐 합성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군소 추출물은 화장용 조성물 중 약 0.001~5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 효과가 뛰어날 수 있고, 함유량 증가 대비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장용 조성물 중 약 0.05~20.0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군소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또는 화장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사용시에 연고제, 크림제, 로숀제, 액제, 스프레이제 등의 국소 적용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고제, 로숀제, 스프레이제 등의 국소 적용 제제로 제형화시켜 피부 일부분에 직접 적용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화장용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그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마사지크림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군소 추출물의 제조
군소는 끓는 물에서 5분 동안 자숙하고, 육질과 내장을 분리한 다음, 육질 부분만을 동결건조시켜 -20℃의 냉동고에서 보관하면서 추출물 원재료로 사용하였다. 군소 동결건조 시료 1g에 대해 50mM sodium phosphate 완충액(pH 6.0)을 10배량으로 첨가하였다. 동결건조 시료에 대하여 단백질 농도비 1/50이 되도록 단백질 분해 효소(Flavourzyme)를 첨가하고 60℃의 항온 수조에서 흔들어주면서 15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얻은 가수분해물을 원심 분리(3,000g, 30분)하고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에 대해 최종 농도가 0.5%가 되도록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얻은 반응물을 원심분리(3,000g, 30분)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취하였다. 상등액에 대해 10배량(부피 기준)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에탄올 불용성 물질을 침전시키고, 원심분리(3,000g, 30분)하여 침전물을 분리함으로써 군소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달팽이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군소 대신에 달팽이(Acusta despecta sieboldian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달팽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수분 보유능 평가
추출물의 수분 보유능을 검증하였다. 페트리 디쉬에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군소 추출물과 달팽이 추출물을 각각 첨가하고 적당한 크기의 종이를 적신 다음 종이의 무게를 재었다. 각 추출물을 함유하는 종이를 빈 페트리 디쉬에 넣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종이의 무게를 측정하여 수분 보유능을 확인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에 정제수를 첨가하고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였다. 수분 보유능은 하기 식 1에 의해 평가할 수 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식 1>
Figure PCTKR2012004522-appb-I000001
표 1
추출물 종류 경과 시간에 따른 수분 보유능(%)
0hr 0.5hr 1hr 2hr 3hr 4hr 5hr 6hr
군소 추출물 100 100 76.31 65.78 52.63 36.84 26.31 21.05
달팽이 추출물 100 32.55 23.25 20.93 20.93 18.60 18.60 18.60
대조군 100 0 0 0 0 0 0 0
상기 표 1 및 도 1에서 살핀 바와 같이, 군소 추출물은 동일 시간에 대해 달팽이 추출물보다 수분보유능이 현저하게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및 활성도 실험
추출물이 피부에 대한 자극과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한다. 인간 각질형성 세포 HaCat(ACTT, CLS 300493, USA)를 96웰 플레이트에 5 x 103 셀/웰씩 동일하게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분주하고, 37℃,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얻은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은 군소 추출물과 달팽이 추출물을 0, 0.05, 0.1, 0.5, 1 및 2(중량/부피)%로 각 웰에 100㎕씩 넣고 DMEM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웰당 WST를 10㎕씩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그 후 ELISA reader(Thermo, Multiskan EX)로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추출물 대신에 동일한 양의 정제수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에 동일한 양의 DMEM(10% FBS 함유)를 사용하고, 음성 대조군으로 추출물 대신에 동일한 양의 DMSO(10% 농도)를 사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활성 정도는 하기 식 2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PCTKR2012004522-appb-I000002
표 2
추출물 종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 활성도(%)
0 0.05 0.1 0.5 1 2
군소 추출물 96.54 108.66 113.12 119.54 111.52 119.88
달팽이 추출물 96.23 111.21 109.06 112.82 103.94 110.41
세포 독성 물질인 DMSO를 넣은 음성 대조군의 경우 세포 활성도는 22%로 나왔다. 그러나, 상기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군소 추출물은 높은 농도에서도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인간 각질세포 생장을 촉진시켜 세포 재생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군소 추출물은 달팽이 추출물보다 인간 각질세포 생장 촉진 효과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Collagen 합성능 실험
군소 추출물이 주름 개선능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인간 섬유아세포(human fibroblast cell)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주름개선능 여부를 확인한다.
인간 섬유아세포(ACTT, PCS-201-012, USA)를 24웰 플레이트에 4 x 104셀/웰씩 동일하게 헤마사이토미터(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분주하고, 37℃, 5%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한 후 얻은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추출물을 0.05, 0.1 및 0.2(중량/부피)%로 각 웰에 처리하고 DMEM 배지에서 37℃, 5%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회수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넣고 4℃에서 overnight하여 코팅한다. PBS_T solution으로 3반복 washing을 하고 5% Skim milk를 100㎕씩 각 웰에 넣고 90분 동안 흔들어주었다. Collagen antibody(COL1A1(L-19), Santa Cruz Biotechnology, Inc)(1:500)를 100㎕씩 각 웰에 넣고 1시간 동안 흔들어주었다. PBS-T solution으로 3반복 washing 한 후 Secondary antibody(Anti Goat IgG Antibody(Alkaline Phosphatase, Novus Biologicals)(1:10,000)를 100ul씩 각 웰에 넣고 1시간 동안 흔들어주었다. 각 웰 당 AP 100㎕씩 넣고 30분간 암 조건에서 흔들어주었다. 그 후 ELISA reader(Thermo, Multiskan EX)로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군소 추출물 대신에 비교예의 달팽이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주름개선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레티놀(0.5μM)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고 DMEM(10% FBS 함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을 실시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llagen 합성 정도는 하기 식 3에 의해 나타낼 수 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식 3>
Figure PCTKR2012004522-appb-I000003
표 3
추출물의 종류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콜라겐 합성능(%) 양성 대조군
0.05% 0.1% 0.2%
군소 추출물 32.14 43.55 57.37 0.5
달팽이 추출물 12.3 16.7 20.2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군소 추출물은 동일한 농도에서 달팽이 추출물 대비 콜라겐 합성능이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레티놀은 0.5μM로 사용시 콜라겐 합성능이 50%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소 추출물은 주름개선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레티놀(0.5uM) 대비 0.2%에서 유사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4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군소 추출물 2.0
히드록시에틸렌셀룰로오스(2% 수용액) 12.00
잔탄검(2% 수용액) 2.00
1,3-부틸렌글리콜 6.00
글리세린 4.00
히알루론산나트륨(1% 수용액) 5.00
정제수 잔량
100.0
제제예 2: 영양로션의 제조
하기 표 5에 기재된 성분을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표 5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의 군소 추출물 3.00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1.00
수용성 콜라겐 (1% 수용액) 1.00
시트르산나트륨 0.01
시트르산 0.05
1,3-부틸렌글리콜 3.00
정제수 잔량
100.0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거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3)

  1. 군소(Aplysia kurodai)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군소 추출물은 상기 화장용 조성물 중 약 0.001-50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그 제형이 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마사지크림 및 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PCT/KR2012/004522 2011-06-10 2012-06-08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WO2012169818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283 2011-06-10
KR1020110056283A KR101099665B1 (ko) 2011-06-10 2011-06-10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9818A2 true WO2012169818A2 (ko) 2012-12-13
WO2012169818A3 WO2012169818A3 (ko) 2013-03-07

Family

ID=45507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4522 WO2012169818A2 (ko) 2011-06-10 2012-06-08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99665B1 (ko)
WO (1) WO201216981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73B1 (ko) 2012-05-03 2018-11-14 박시향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CN109966196A (zh) * 2019-03-01 2019-07-05 王珊珊 一种具有愈合功效的天然精华液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54B1 (ko) * 2017-12-07 2019-08-19 주식회사 선마린바이오테크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YUN CHUL, SUNG ET AL.: 'A Clinical Study on the Efficacy of Cosmetics Containing the Ascidian tunic in Reducing Wrinkle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 46, no. 7, 2008, pages 896 - 902 *
MI-OK, SHI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Internal Organs of Aplysia kurodai Frac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9, no. 10, October 2010, pages 1433 - 1438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8773B1 (ko) 2012-05-03 2018-11-14 박시향 군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CN109966196A (zh) * 2019-03-01 2019-07-05 王珊珊 一种具有愈合功效的天然精华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9665B1 (ko) 2011-12-29
WO2012169818A3 (ko) 201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35B1 (ko) 인삼열매 아위버섯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7562B1 (ko) 인체 지방줄기세포 배양액 추출물과 히아루론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60928A (ko) 티오레독신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038639A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217695A1 (ko) 알파-망고스틴, 베타-망고스틴, 감마-망고스틴 또는 가르탄닌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69818A2 (ko) 군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용 조성물
CN110075053A (zh) 一种适用于高原人群的复方鹿茸保湿美白面膜及其制备方法
CN112368367A (zh) 包含α-硫辛酸或α-硫辛酸盐、维生素C衍生物和透明质酸的组合物及其用途
KR19990086516A (ko) 인삼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131049A (ja) 皮膚外用剤
KR20160051274A (ko) 효소 처리된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20025244A (ko)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9430B1 (ko) 기능성 펩타이드와 콜라겐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2972359B (zh) 一种微脂囊包裹的化妆品用组合物及其在芙蓉霜中的应用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3223A (ko) 소엽맥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7349B1 (ko) 잎새버섯 다당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1239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86547A (zh) 菠萝萃取物的皮肤保健用途
Kim et al. Preventive effect of fermented Gelidium amansii and Cirsium japonicum extract mixture against UVB-induced skin photoaging in hairless mice
KR101545552B1 (ko) 황금 붉은덕다리버섯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5682B1 (ko) 에퀴세툼 기간테움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974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974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