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141536A9 -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141536A9
WO2012141536A9 PCT/KR2012/002835 KR2012002835W WO2012141536A9 WO 2012141536 A9 WO2012141536 A9 WO 2012141536A9 KR 2012002835 W KR2012002835 W KR 2012002835W WO 2012141536 A9 WO2012141536 A9 WO 2012141536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ution
connective tissue
cartilage
composition
tiss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028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141536A2 (ko
WO2012141536A3 (ko
Inventor
김석중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7026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5340A/ko
Priority to KR1020167030362A priority patent/KR20160129108A/ko
Publication of WO201214153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41536A2/ko
Publication of WO2012141536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41536A9/ko
Publication of WO201214153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141536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6Blood coagulation or fibrinolysis factors
    • A61K38/363Fibrin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even-membered rings, e.g. azelastine, pentylene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8Hyalur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39Connective tissue peptides, e.g. collagen, elastin, laminin, fibronectin, vitronectin, cold insoluble globulin [C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2Serine endopeptidases (3.4.21)
    • A61K38/4833Thrombin (3.4.21.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matolog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abet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히아루론산과 피브리노겐을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세포와 혼합하여 결합조직 손상 부위에 주입함으로써 손상 부위의 결합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은 결합조직의 손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 재생에 유효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 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본 발명은 히아루론산과 피브리노겐을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세포와 혼합하여 결합조직 손상 부위에 주입함으로써 손상 부위의 결합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동물의 관절을 이루는 연골 조직에는 혈관, 신경 및 임파조직이 없어서 한번 손상되게 되면 정상적으로 생체 내에서 재생이 되지 않는다. 이러한 관절의 연골조직이 손상될 경우 심한 통증과 함께 일상 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며, 만성화될 경우 치명적인 퇴행성 관절염을 유발하게 되어 정상적인 생활이나 직업적인 활동을 방해하게 된다. 그러므로 손상된 관절연골은 스스로 회복 및 재생이 매우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도모되지만 아직 관절연골인 초자 연골을 자연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임상적으로 연골을 재생시키는 수술 방법으로는 ① 줄기세포의 연골세포로의 분화유도를하는 방법, ② 골 연골 이식술(osteochondral transplantation)로 자가 혹은 동종의 연골조직을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 ③미세 골절술(microfracture)로 손상된 연골을 잘 긁어내어 제거하고 연골하 골이 노출되면 여기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이를 통해서 흘러나온 골수세포가 연골 조직으로 재생되는 것을 도모하는 방법, ④ 연골세포 이식술(chondrocyte transplantation)로 연골 결손부위에 연골세포를 이식함으로써 연골 재생을 유도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미세 골절술(microfracture)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그 대표적 방법인 관절경적 시술은 소형카메라가 장착된 관절경(arthroscopy)을 1㎝ 미만의 작은 구멍을 통해 관절강 내에 삽입하여, TV 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 관찰하면서 진단 및 수술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미세 골절술(microfracture)은 실제의 관절에 필요한 초자연골(hyaline cartilage)이 아니라 섬유연골(fibro-cartilage)이 주로 생성되기 때문에,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는 만족할 만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골 연골 이식술은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이미 생성되어 있는 연골과 연골하골 부분을 함께 채취하여, 손상된 연골 부위에 적당한 구멍을 파고 이식하여 초자연골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이식된 부위와 원래 조직 사이에 틈이 남는 문제 등이 있어 완전한 치료 방법이라 하기 어려우며, 그나마 자가이식(autolaugous transplantation)이 가능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어 보편적인 방법이 될 수 없다.
최근, 손상된 관절 연골의 치료를 위해 조직 공학에 기초를 둔 새로운 치료법으로서 자기유래 연골세포 이식술이 각광받고 있다. 이는 무릎 관절 연골이 손상된 환자의 연골 부위 중 사용이 많지 않은 연골을 채취한 후 연골 세포를 분리하고, 상기 연골 세포를 배양하여 연골 결손 부위를 치료할 만큼의 연골 세포수를 획득하며, 배양된 연골세포를 환자의 연골 결손 부위에 이식하여 환자의 관절 연골을 복원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이미 생성된 연골조직을 손상부위에 주입하는 골 연골 이식술에 비해, 이식된 연골세포가 손상된 부위 내에서 직접 증식하면서 손상부위를 채우게 되므로, 이식된 부위와 정상 부위가 비교적 잘 융합되며, 초자연골을 재생할 가능성 또한 많다. 그러나 연골세포를 채취할 때, 그리고 체외에서 배양된 연골세포를 다시 관절연골손상 부위에 이식할 때 각각 수술이 필요하므로, 결국 2차례에 걸친 수술에 의해 환자의 고통, 후유증 및 경제적 부담이 크며, 시술 과정 또한 복잡하다. 또한, 채취된 연골세포는 대부분은 이미 성장이 다 이루어진 성인으로부터 얻은 것이므로, 채취된 세포의 증식 및 생장이 왕성하지 않아 세포의 체외 배양시 이식에 필요한 만큼의 세포 수를 얻기까지 상당한 기간이 걸리며, 세포가 분화능력을 잃어 아예 증식하지 않는 경우에는 치료 자체가 이루어질 수 없고, 연골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하기 때문에 세포의 발현형이 변화되곤 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있다.
상기 방법을 응용하여 자가 유래 골수(bone marrow), 근육, 피부 등의 간엽 조직으로부터 연골세포(chondrocyte)의 전구모세포(precursor cell)인 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를 얻고, 체외에서 증식시켜 고분자와 함께 관절연골손상 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이 성숙한 개체에서 얻은 간엽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연골손상을 치료하는 방법은 자기유래연골세포 이식술에 비해, 보다 미분화된 세포를 얻어 체외 배양하므로 세포증식력이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방법 역시 다양한 연골 손상을 충분히 치료하기에는 여전히 미약한 수준의 세포증식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미약한 세포증식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를 관절연골 손상부위에 주입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69115호), 연골 재생 효과 면에서 아직 미흡한 점이 많고, 실제 관절연골 구조를 고려한 지지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상으로 볼 때, 연골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골 형성능력이 있는 조직이어야 하고, 기질형성에 필요한 외적 요소를 갖추어야 하며 성장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최근에 손상되었거나 기능을 상실한 환자 자신의 조직이나 장기에서 세포를 일부 채취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 지지체를 이용해 체외에서 배양한 다음 체내의 원래 위치에 이식하여 조직이나 장기를 복원, 재생 또는 대체하는 조직공학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조직 공학을 이용하여 손상된 연골을 재생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연골 제조와 관련하여서는 시험관, 배양기 등과 같은 인공적 환경인 차원 담체 구조체에서 제작하거나, 지지체/세포 혼합물을 이용하여 생물체 내(in vivo)에서 제작하는 것이 연구된 바 있다.
그러나, 연골 조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앞에서도 서술한 바와 같이 연골 재생층 단독만으로는 한계점이 있다. 연골은 발생학적으로 경골조직과 같은 중배엽에서 기원한 조직으로, 뼈와 함께 내골격을 형성한다. 이처럼 연골과 뼈는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조직이지만 종래의 연골과 뼈의 조직공학적 치료는 이들을 각각 치료하였다. 또한 연골 손상이 심한 경우 연골 뿐만 아니라 연골 밑의 골조직 까지 손상을 입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런 점을 개선하여 뼈와 연골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지지체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되었으나(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054236호),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뼈와 연골의 복합 재생용 지지체의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히아루론산과 피브리노겐을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세포와 혼합하여 결합조직 손상 부위에 주입하면 효과적으로 손상 부위의 조직을 재생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결합조직의 손상 부위의 조직, 특히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이용하여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술한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으로 이루어진 응고인자 용액; 및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생체 내에서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 증진제는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노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Factor ⅩⅢ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7 : 3 ~ 9 :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1 : 9 ~ 5 : 5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응고인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혼합하여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여 3 ~ 10분간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로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하고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하고 용해시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7 : 3 ~ 9 :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1 : 9 ~ 5 : 5의 혼합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은 결합조직의 손상 부위를 효과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특히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 재생에 유효한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 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텔로콜라겐을 이용한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수를 이용한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준비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토끼를 대상으로 연골조직의 손상을 유도한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4mm의 직경 및 2mm의 깊이를 갖는 둥근홀을 제조한 것을 나타낸 사진이고, b는 23-게이지의 주사를 사용하여 연공하천공술(microfracture)을 수행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함유한 2개의 주사기 및 각 주사기에 함유된 성분을 모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 및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M) 그룹의 조직 모습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처리한 후, 사프라닌 O 염색(a), 톨루딘 블루 염색(b), 항-콜라겐 타입 I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c) 및 항-콜라겐 타입 II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을 처리한 후, 사프라닌 O 염색(a), 톨루딘 블루 염색(b), 항-콜라겐 타입 I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c) 및 항-콜라겐 타입 II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M)에 대해 사프라닌 O 염색(a), 톨루딘 블루 염색(b), 항-콜라겐 타입 I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c) 및 항-콜라겐 타입 II 항체를 사용한 면역조직염색법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처리한 후 군의 경우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의 혼합에 의해 다양한 폴리머화가 생성된 모습을 SEM으로 분석한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조성물의 외부를, b)~f)는 조성물 내부에서 형성된 다공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b) 및 c)에 표시된 화살표시는 세포가 구조물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e) 및 f)에 표시된 화살표시는 200~1000nm 크기의 직경을 갖는 섬유형 구조물이 벽-유사 구조 안에 관찰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서 a)~c)는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에 의한 구조를 TEM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고, d)~f)는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에 의한 구조를 TEM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다공 구조에 대해 a)는 저배율로 b)는 고배율로 관찰한 것으로 나타낸 것이고, 박스 표시 부분은 밀집된 부위를 나타낸 것이며, e) 및 f)는 세포들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구조체에 도입되는 것은 나타낸 것이고, g) 및 h)는 새로 합성된 콜라겐 분자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관절경 수술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대퇴골 내과의 연골 손상 부위에서의 연골하천공술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수술 전 모습을, c)는 수술 후 1년 이 경과한 이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c)는 활차 연골 손상에 대한 연골하천공술을 나타낸 것으로서, d)는 수술 전 모습을, c)는 수술후 1년이 지난 이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은 피브리노겐, 히아루론산, 트롬빈 및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를 포함하며, 이들을 혼합하여 결합조직, 특히 연골의 손상 부위에 주입함으로써 손상 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킨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조직”은 다세포동물의 몸을 구성하는 조직의 일종으로, 세포성분보다 세포간물질이 차지하는 부분 쪽이 많고, 여러 가지 조직, 기관 등의 사이에서 이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세포간물질은 섬유성분과 무구조의 기질로 구성하며, 섬유성분은 교원, 세망, 탄성의 3종류의 섬유로 구별할 수 있다. 교원섬유는 특징적인 아미노산배열을 나타내는 3개의 포리펩티드사슬의 3중 나선으로 구성된 교원분자가 일정 간격씩 어긋나게 회합한 교원섬유가 다발을 이룬 것으로, 장력에 대한 강한 저항성을 나타낸다. 망섬유도 교원섬유와 마찬가지로 교원으로 구성되지만 단위가 되는 세섬유의 수, 배열양식과 수식단백질의 차이 등으로 또한 은염에서 강하게 염색되는 것으로 구별할 수 있다. 체내의 분포도 교원섬유는 널리 분포하는 데 비하여 세망섬유는 림프조직, 조혈조직 등 일정한부위에서만 나타난다. 탄성섬유는 엘라스틴을 주성분으로 하며 신장성이 큰 섬유로 기질은 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황산, 테르마탄황산, 케라탄황산 등을 포함한 글리코사미노글리칸, 혹은 그것이 단백질의 심에 결합한 프로테오글리칸으로 구성한다.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은 그 분자 내의 부적 전하에 의해 크게 넓어진 형태를 취하고, 친수성이므로 전체적으로 수화한 겔을 형성한다. 이 부분은 결합조직 내의 영양, 노폐물이나 호르몬 등의 확산경로가 되는 것 외에도 이동성인 세포의 통로가 되기도 한다. 세포성분은 상술한 세포간물질을 생산하는 고정세포와 이동성이 있는 유주세포를 크게 나눌 수 있다. 결합조직의 기능으로는 기계적 지지, 혈액과 조직 간의 대사물질의 교환, 지방세포로서의 에너지 저장, 감염예방, 손상후회복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조직의 고정세포는 발생적으로는 간엽유래이지만 같은 지지조직에 포함되는 골조직의 골세포, 연골조직의 연골세포, 간엽유래의 평활근세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골”은 연골세포와 그것을 둘러싸는 다량의 기질로 된 뼈로 이것에 대해 보통 말하는 뼈는 경골이다. 기질의 구성성분에 따라 초자연골, 탄성연골, 섬유연골로 나눈다. 연골의 작용에는 관절의 골단을 덮는 관절연골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골단의 마찰을 방지하는 외에 기관, 귓바퀴와 같이 탄력을 유지하거나, 늑연골, 치골결합 연골과 같이 압력에 대한 저항력을 주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초자연골에서는 기질이 반투명하고, 언뜻 보아 균일하며 무구조로 보이나 수분이 많고(60 ~ 80%), 황산콘드로이틴을 가지는 복합단백질(무코이드)을 포함하며, 늑연골, 비연골, 후두연골, 관절연골, 기관연골 등이 속한다. 탄성연골은 기질 중에 탄성섬유가 들어 있어 쉽게 만곡되며, 귓바퀴 연골, 외이도, 후두개 등이 속한다. 섬유연골에는 많은 교원질섬유가 들어 있어, 추간원판연골, 치골결합연골, 관절원판(악관절, 흉쇄관절에 있음) 등이 속한다.
이러한 결합조직이 손상될 경우 스스로 회복 및 재생이 매우 제한되며, 의학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 관절연골인 초자 연골을 자연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응고인자와 세포기질 안정제로 이루어진 응고인자 용액과, 응고인자를 응고물질로 가수분해하는 가교활성 촉매제와 골형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으로 이루어진 응고인자 용액; 및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가교활성 촉매용액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조성물을 구성하는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액체 상태로 생체에 주입되어 생체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브리노겐(fibrinogen)은 응고인자 역할을 하며, Factor ⅩⅢ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으로 동결 건조 피브리노겐에 아프로티닌 용액을 넣어 녹인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세포기질 안정제로서 생체적합성의 천연 고분자인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히아루론산은 생체고분자 물질로 분자량이 5만 내지 1,300만 달톤에 이르는 무색 투명한 점도의 선형 다당류이며, β-D-N-아세틸글루코사민과 β-D-글루쿠론산이 교대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히아루론산은 생체 결합조직의 기본물질로, 생체적합성을 갖으며, 조직 생성 시 세포의 이동에 유리하고 생체 내 효소에 의해 완전 분해되는 특성을 갖는다. 천연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에 비례한 다분성이지만, 종간 특이성을 갖지 않으며 또한 조직이나 장기특이성을 갖지 않아, 그 유래에 관계없이 생체에 이식 또는 주입한 경우에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히아루론산은 분자량이 150만 내지 300만 달톤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자량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도 있으며, 히아루론산에 특정 잔기가 치환된 히아루론산 유도체 또는 히아루론산의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은 생체조직 또는 혈액과 접촉하여 조직을 괴사시키거나 혈액을 응고시키지 않는 조직적합성 및 혈액적합성을 의미하며, “생체적합성 고분자”란 이러한 생체적합성을 갖추고 있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가교활성 촉매제로서 트롬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트롬빈용액으로 동결 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CaCl2)을 넣어 녹인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트롬빈은 혈액 응고에 관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의 일종으로, 혈장 속에서는 프로트롬빈으로 존재하며, 출혈 시에 혈소판이 파괴되어 트롬보플라스틴이 혈장 중에 나오면 혈액의 칼슘이온의 존재 하에 활성화되어 트롬빈이 된다. 또한, 혈액 응고의 본질인 혈액 속의 가용성 피브리노겐을 가수분해하여 불용성인 피브린으로 변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피브리노겐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매우 높고 피브리노겐의 4개의 펩티드 결합을 자르는데, 그 곳은 아르지닌과 글리신 잔기 사이이다.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부근이다. 주성분은 단백질로 최소분자량은 8,000이며 중합하기 쉬운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골형성 증진제로는 아텔로콜라겐(atelocollagen)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텔로콜라겐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 20,000 정도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자량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텔로콜라겐은 콜라겐의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강력한 항원성이 있는 분자 말단에 존재하는 펩티드인 텔로 부분을 제거하여 체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요소를 제거한 것으로, 항원성이 없고, 생체적합성이 좋으며 단기간에 대사, 흡수되어 조직 생성 시 세포의 부착에 유리하고, 물리적 골격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골형성 증진제로 아텔로콜라겐 대신에 채취한 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골수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채취할 수 있으며, 골수를 채취하는 주사기에는 항혈전제(헤파린, 시트릭산 등)가 포함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HyFibTM 시술시 피브린 응고반응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이 혼합되어 형성된 응고인자 용액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7 : 3 ~ 9 : 1로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응고인자를 응고물질로 가수분해하는 가교활성 촉매제와 골형성 증진제가 혼합되어 형성된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1 : 9 ~ 5 : 5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골형성 증진제로 아텔로콜라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롬빈 용액과 아텔로콜라겐을 3 : 7 ~ 5 : 5로 혼합할 수 있으며, 골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롬빈 용액과 골수를 1 : 9 ~ 3 : 7로 혼합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은 항균성 부여를 위해 항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항생제는 당업계에 세균의 생육과 활성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고 알려진 것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암피실린(ampicillin), 젠타마이신(gentamicin), 메틸파라벤(methyl paraben), 에틸파라벤(ethyl 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 모노박탐(monobactam), 카바페넴(carbapenem),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마크롤라이드(macrolid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클로르암페니콜(chloramphnicol), 퀴놀론(quinolone), 반코마이신(vancomycin), 테이코플라닌(teicoplanin), 린코사미드(lincosamide),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 설폰아미드(sulfonamide), 트리메소프림(trimethoprim) 및 이들의 염이 포함되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항생제는 각 항생제가 표적으로 하는 세균의 생육 및 활성을 저지하거나 억제하는데 최적으로 알려진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응고인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혼합하여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여 3 ~ 10분간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로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해 녹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해 녹여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으로 이루어진 응고인자 용액; 및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가교활성 촉매용액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손상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손상 치료용 조성물은 두개안면, 귓바퀴, 코, 관절 등의 외상, 선천기형, 이물 제거부, 노화에 따른 변성 등에 의해 발생된 연골 결손부의 수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조직의 손상 부위, 특히 낮은 재생 활성을 갖는 연골을 효과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으며, 천연물질을 사용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자연 연골과 유사한 조직공학적 연골을 재생하여 손상된 연골조직을 효과적으로 수복할 수 있는 연골 치료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1-1> 응고인자 용액의 준비
아프로티닌 용액 1mL을 동결건조된 피브리노겐 병에 주입하여 녹인 후(100mg/1mL), 주사기 A에 용해된 피브리노겐 용액 0.8mL을 흡입하여 채운다. syringe connector를 이용하여 히아루론산 0.2mL을 새로운 3mL 주사기에 충진하고, syringe connector가 장착된 상태에서 히아루론산이 들어있는 3mL 주사기를 주사기 A와 결합시킨 후 10회 이상 왕복시켜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모든 용액을 주사기 A로 옮긴다. 이렇게 준비가 끝난 주사기 A를 two-way applicator에 장착하였다.
<1-2> 가교활성 촉매용액의 준비
다음으로, CaCl2 용액 1mL을 동결건조된 트롬빈 병에 주입하여 녹인 후, 주사기 B에 용해된 트롬빈 용액 0.4mL을 흡입하여 채운다. syringe connector를 이용하여 아텔로콜라겐 0.6mL을 새로운 3mL 주사기에 충진하고, syringe connector가 장착된 상태에서 아텔로콜라겐이 들어있는 3mL 주사기를 주사기 B와 결합시킨 후 10회 이상 왕복시켜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모든 용액을 주사기 B로 옮긴다. 이렇게 준비가 끝난 주사기 B를 two-way applicator에 장착하였다.
<1-3> 연골 조직에 주입
다음으로, Long needle을 장착하고 주사기 A와 B의 용액을 연골 손상 부위에 주입하고, 5분 후 겔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2>
<2-1> 응고인자 용액의 준비
아프로티닌 용액 1mL을 동결건조된 피브리노겐 병에 주입하여 녹인 후(100mg/1mL), 주사기 A에 용해된 피브리노겐 용액 0.8mL을 흡입하여 채운다. syringe connector를 이용하여 히아루론산 0.2mL을 새로운 3mL 주사기에 충진하고, syringe connector가 장착된 상태에서 히아루론산이 들어있는 3mL 주사기를 주사기 A와 결합시킨 후 10회 이상 왕복시켜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모든 용액을 주사기 A로 옮긴다. 이렇게 준비가 끝난 주사기 A를 two-way applicator에 장착하였다.
<2-2> 가교활성 촉매용액의 준비
다음으로, CaCl2 용액 1mL을 동결건조된 트롬빈 병에 주입하여 녹인 후, 주사기 B에 용해된 트롬빈 용액 0.2mL을 흡입하여 채운다. syringe connector를 이용하여 채취한 골수 0.8mL을 새로운 3mL 주사기에 충진하고, syringe connector가 장착된 상태에서 골수가 들어있는 3mL 주사기를 주사기 B와 결합시킨 후 10회 이상 왕복시켜 용액을 완전히 혼합한 다음 모든 용액을 주사기 B로 옮긴다. 이렇게 준비가 끝난 주사기 B를 two-way applicator에 장착하였다.
<2-3> 연골 조직에 주입
다음으로, Long needle을 장착하고 주사기 A와 B의 용액을 연골 손상 부위에 주입하고, 5분 후 겔화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의 처리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에 의한 연골손상 회복력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3-1> 동물모델 준비
6주령 된 4kg의 뉴질랜드 화이트 토끼 21마리를 모두 동일 조건 하에서 사육시킨 후, 이중 7 마리는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을 사용하여 연골시술 하였고, 다른 7마리는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사용하여 연골시술 하였으며, 다른 7마리는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해 아무 처리를 하지 않았다. 상기 실험에 사용한 동물들은 Institutional Review Board의 승인하게 수행하였고, 모든 실험은 ILAR(Institute of Laboratory animal resources)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3-2> 수술방법
상기 <3-1>에서 준비된 동물들은 35mg/kg의 케타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ketamine hydrochloride) 및 5mg/kg의 xylazine의 혼합액을 사용하여 마취시킨 후, 등을 바닥에 위치시켰다.
이후 모두 마취시킨 후 통증을 못느끼는 상태에서, 종단으로 중간 피부를 절개하고 경골 무릎 뼈 위쪽으로 3cm정도 되도록 확장시킨 다음, 피부 절개 라인에 따라 피하조직을 절개하였다. 이후 대퇴사 두근건(quadriceps tendon), 슬개골의 내측연 (medial border of the patella) 및 슬개건의 내측연 (medial border of the patella tendon)을 따라 절개를 하고나서 슬개골을 외측으로 탈구 시켜서 대퇴골의 원위 관절면이 보이도록 하였다.
<3-2-1> 손상부위 제조
상기 준비된 동물을 대상으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골조직의 손상을 유도하였는데, 약 4mm의 직경 및 2mm의 깊이로 연골 하골에 손상 분위를 만들었다(도 3a 참조). 그리고 23 G-바늘을 이용하여 3개의 구명을 연골 하골에 만들었다(도 3b 참조).
<3-2-2> 히아루론산 및 피브린 혼합물의 주입
히아루론산 및 피브린 혼합물 주입에 의한 연골 손상 회복을 관찰하기 위해, 먼저 손상된 상기 동물 모델의 연골 하골 부위에 2개의 1ml 주사기 및 Y-형태의 믹싱 카테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는데, 먼저 1ml의 주사기에는 피브리노겐을 채우고, 다른 1ml의 주사기에는 0.2ml의 히아루론산 및 0.8ml의 트롬빈을 채웠다(도 4에서 a 도면 참조). 이후 히아루론산과 피브리노겐을 채운 상기 2개의 주사기 속의 용액을 손상 부위에 천천히 주입시켰다. 또한 이때 상기 용액이 흘러 넘치지 않게 하기 위해 손상 부위에서 상기 용액을 주입을 5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손상 부위는 피부 조직으로 덮었고, 이식 실패 여부의 측정은 무릎의 굽힘과 펴기 동작을 3회 반복수행하여 측정하였다.
<3-2-3> 히아루론산 및 골수세포의 혼합물 주입
상기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노출된 경골의 내측면으로부터 3ml의 골수세포를 18 게이지 바늘을 이용하여 빠르게 10ml의 주사기로 흡입시켰다. 이후 수득한 상기 골수세포는 동일 부피의 DPBS(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Gibco, NY, USA)와 혼합하였다. 이후 골수세포가 함유된 용액을 재 현탁시킨 다음, Ficoll-Plaque Premium(density 1.0777g/ml; GE Healthcare Bio-Science AB, Uppsala, 스웨덴) 위에 천천히 로딩한 후, 1153g의 속도로 20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 하였다. 이후 적혈구를 제외한 세포와 혈장층을 얻었다. 그런 뒤, 2개의 주사기를 대상으로 1개의 주사기에는 0.8ml의 피브리노겐 및 0.2ml의 히아루론산 용액을 채우고, 다른 1개의 주사기에는 0.8ml의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골수유래 적혈구를 제외한 세포와 혈장층 및 0.2ml의 트롬빈으로 채웠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한 상기 골수세포는 단순한 골수세포가 아니라 토끼로부터 추출된 골수를 대상으로 원심분리하여 적혈구를 제외한 세포와 혈장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2개의 주사기 안에 함유된 용액은 천천히 연골 손상 부위에 주입하였다(도 4에서 b 도면 참조).
<실시예 4>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처리에 따른 연골손상 부위의 회복력 분석
앞서 수행한 연골 조직이 손상된 토끼모델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처리한 후, 상기 조성물 처리에 의해 연골손상 부위가 회복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4-1> 관찰 분석
상기 실시예 <3-1>에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눈 토끼들을 대상으로 8주, 12주 및 24주 동안 각 조성물을 처리하고 사육한 다음, 그룹당 2마리씩을 치사시키고, 연골 손상 부위와 정상 조직 부분을 각각 적출한 후, 조직의 변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새로 발생된 연골은 정상 조직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처리한 군의 경우 손상된 연골 조직이 거의 온전하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 표면도 균일한 모양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정상 조직과 잘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골의 색깔도 정상과 유사한 색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의 a~c 참고). 또한,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을 처리한 군의 경우, 비록 조직 표면이 조금 불규칙 적이지만 연골 손상부위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5의 d~f 참고). 반면, 연골 손상된 부위에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새로운 조직에 의한 손상 조직의 회복은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 형성된 조직은 표면이 불규칙한 흰색의 섬유 형태인 것으로 관찰되었다(도 5의 g~i 참조).
<4-2> 조직학적 점수 분석
연골 조직이 손상된 토끼 모델들을 대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각각 주입시키고 24시간 동안 사육한 상기 토끼들을 대상으로, 조직손상의 정도를 연골조직의 색깔 및 조직표면의 평탄함(smoothness)을 관찰하여 분석하였고, 신생연골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2002835-appb-T000001
표 2
Figure PCTKR2012002835-appb-T000002
분석결과,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BH와 M을 처리한 군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처리한 군에서는 조직의 색깔, 표면 평탄함, 및 신생 연골의 두께가 거의 완벽하게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참조). 반면, 대조군의 경우 모든 평가항목에서 손상된 조직이 회복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참조). 히아루론산과 피브린이 혼합된 혼합용액(MH)을 처리한 군은 MBH에 의한 효과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손상된 조직이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7 참조).
<4-3> 조직염색법에 의한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한 각 그룹별 토끼들로부터 신생연골과 정상연골을 각각 적출한 후, 3.7%의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시켰다. 이후 각 연골 샘플들은 포름산:질산:H2O=25:5:70으로 혼합된 용액에 침지시켜 칼슘을 제거하였다. 이후 50% 소듐 설페이트 용액(sodium sulfite solution)에서 중성화 시키고 물로 세척하였다. 이후 50, 60, 70, 80, 90 및 95%의 에탄올 용액에서 1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각각 침지시키고 10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탈수시켰다. 그런 뒤 크실렌 용액에 담그고 파라핀이 스며들게 한 다음, 절편화 시켰고 절편들은 조직염색법으로 염색하였다. 즉, 각 절편들은 헤마토크실렌 및 에오신을 사용하여 염색함으로써 조직의 형상을 관찰하였고, 톨루딘 블루 및 사프라닌 O를 사용하여 GAG 함량 뿐만 아니라 연골의 콜라겐을 관찰하였다. 총 5개 항목인 세포모양(형태), 매트릭스 염색, 표면 균일성, 신생연골의 두께 및 이식된 조직의 온정성에 대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 MBH 및 MH 용액을 주입한 군은 신생연골이 생겨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생연골의 두께도 인접한 관절연골과 거의 유사한 정도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이식된 연골 및 원래 존재하였던 연골 간에도 부서짐과 격차없이 순조롭게 이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및 도 7 참조).
반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손상된 조직에서 조직회복이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손상된 상태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8 참조). 또한 톨루딘 블루 염색 방법으로 통해 확인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단지 이식된 부위가 매우 적게 염색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MBH 및 MH 용액을 주입한 군은 정상 연골과 유사하게 염색된 부분이 확장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4> 면역조직염색화학법에 의한 분석
상기 <4-3>에서 수행한 샘플과 동일한 샘플을 대상으로 면역조직염색화학법을 수행하였는데, 콜라겐 타입 I에 대한 항체로 IH11을, 콜라겐 타입 II에 대한 항체로 CIIC1을 사용하였다. IH11 및 CIIC1은 각각 10% DMEM 배지를 이용하여 반응시켰으며 배양 배지는 원심분리하여 분리하였다. 닷-블롯 분석을 이후 수행하였는데 이는 적절한 항체의 반응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수행한 것이다. 또한 유니버셜 항체인 ABC 키트(Vector, Burlingame, UK)를 이차 항체로 사용하엿으며, DAB 시약을 사용하여 발색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라겐 타입 I은 모든 샘플에서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지 콜라겐 타입 II만이 발현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는데, 새로 형성된 연골 조직에서는 콜라겐 타입 II가 살짝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에 의한 미세구조(microstructure)의 전자현미경 분석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로 형성된 조직의 미세구조(microstructure;MSC)에 대해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24웰 플레이트에 주입하고 이후 0.5ml의 연골분화배지를 첨가하였다. 연골분화배지는 10mg의 TGF-3, 25g/ml의 아스코르브산, 25M의 아스코르브산-2-포스페이트, 100U/ml페니실린, 100g/ml 스트렙토마이신 및 1%(v/v)ITS 플러스를 포함하는 DMEM-HG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ho호 glucose)배지로 이루어져 있다. 24웰 플레이트는 5일 동안 배양하였고, 상기 혼합물들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히알루론산 및 피브린을 포함하는 MSC의 형태 분석을 위해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y) 및 TEM(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를 사용하였는데, 상기 혼합물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 및 2.5% 글루타알데히드가 함유된 0.1M 포스페이트 버퍼 상에서 밤새도록 고정시키고, 0.1M 포스페이트 버퍼로 세척한 후, 1% osmium teroxide가 포함된 상기 동일 버퍼로 추가 고정시켰다. 이후 에틸 알콜 및 아세톤을 사용하여 탈수 처리하고, TEM 작업을 위해 Epon 812(에폭시 레진)로 임베드하였다. 미세 두께의 절편은(70~80nm)은 울트라마이크로톰(Leica Ultracut UCT, Germany)를 사용하여 얻었고, 유라닐(uranyl) 아세테이트/리드 시트레이트로 이중 염색한 후, 60kV에서 JEM 1010 유닛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탈수처리 후, 각 샘플은 HMDS(hexametyldisilazane)로 옮기고 SEM 분석을 위해 공기중에서 건조시켰다. 이후 모든 샘플들은 sputter coater로 금을 코팅시켰고 JSM-5410LV 유닛으로 분석하였다. SEM은 15kV에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SEM 분석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해 주입된 골수세포는 구조물의 다공 표면에 잘 부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1000nm의 직경을 갖는 섬유형 폴리머 구조물이 기공 내부에 존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섬유형, 다공형의 구조는 피브린이 히아루론산과 다양한 폴리머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TEM 분석 결과, 새로이 합성된 콜라겐 분자와 세포들은 지지체 안에 잘 도입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지체 내부에서 세포의 미세 운동도 관찰되었으며 이것은 활동성 콜라겐의 형성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6>
임상실험을 통해 본 발명의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의 손상조직 회복력 분석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이 정말 손상된 조직 회복력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골 손상된 41세의 남성 환자를 대상으로 히아루론산, 피브린 및 골수세포가 혼합된 혼합용액(MBH)을 주입하고, 손상 조직의 회복력을 관찰하였다. 여기서 상기 골수세포는 사람 유래의 골수(약 25ml)를 대상으로 원심분리한 다음, 세포층과 혈장층을 합쳐 약 1ml 정도를 취한 후, 이 중 약 0.8ml을 사용하였다. MBH의 주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2개의 주사기를 대상으로 1개의 주사기에는 0.8ml의 피브리노겐 및 0.2ml의 히아루론산 용액을 채우고, 다른 1개의 주사기에는 상기 방법으로 수득한 골수유래 세포층과 혈장층(즉,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된 골수세포) 0.8ml 및 0.2ml의 트롬빈으로 채웠다. 이후 상기 2개의 주사기를 사용하여 주사기 안에 함유된 용액을 천천히 연골 손상 부위에 주입하였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술전 처리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고 1년의 시간이 경과한 후, 손상 부위를 관찰한 결과 손상 부위에 새로 형성된 연골 조직이 채워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의 경우, 연골 손상 조직을 매우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으로 이루어진 응고인자 용액; 및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로 이루어진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생체 내에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성 증진제는 아텔로콜라겐 또는 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노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Factor ⅩⅢ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하여 용해시킨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7 : 3 ~ 9 :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1 : 9 ~ 5 : 5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9.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혼합하여 응고인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혼합하여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응고인자 용액과 가교활성 촉매용액을 손상 조직부위에 주입하여 3 ~ 10분간 겔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브리노겐 용액은 동결건조 피브리로겐에 아프로티닌을 주입하고 용해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트롬빈 용액은 동결건조된 트롬빈에 염화칼슘을 주입하고 용해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응고인자 용액은 피브리노겐 용액과 히아루론산 용액을 7 : 3 ~ 9 : 1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활성 촉매용액은 트롬빈 용액과 골형성 증진제를 1 : 9 ~ 5 : 5의 혼합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결합조직 손상 치료용 조성물.
PCT/KR2012/002835 2011-04-15 2012-04-13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WO2012141536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7026475A KR20130135340A (ko) 2011-04-15 2012-04-13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KR1020167030362A KR20160129108A (ko) 2011-04-15 2012-04-13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5014 2011-04-15
KR10-2011-0035014 2011-04-15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536A2 WO2012141536A2 (ko) 2012-10-18
WO2012141536A9 true WO2012141536A9 (ko) 2013-01-03
WO2012141536A3 WO2012141536A3 (ko) 2013-02-21

Family

ID=4700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2/002835 WO2012141536A2 (ko) 2011-04-15 2012-04-13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20130135340A (ko)
WO (1) WO201214153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733B1 (ko) * 2014-02-28 2015-06-0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콜라겐 유래 연골재생술을 위한 수술 키트
FR3063649B1 (fr) * 2017-03-07 2021-05-21 Laboratoire De Rhumatologie Appliquee Nouvelle solution visco-elastique et son utilisation en rhumatologi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1922B1 (ko) * 2003-12-23 2005-11-29 주식회사 셀론텍 연골치료제 조성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774089B1 (ko) * 2005-07-20 2007-11-06 세원셀론텍(주) 주입형 연골세포치료제의 이식방법
KR100926975B1 (ko) * 2007-08-01 2009-11-17 리젠프라임 주식회사 알지네이트로 코팅된 피브린/ha 혼합체 스캐폴드를이용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방법 및 연골세포의 배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41536A2 (ko) 2012-10-18
WO2012141536A3 (ko) 2013-02-21
KR20130135340A (ko) 2013-12-10
KR20160129108A (ko) 201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258B2 (en) Freeze-dried fibrin matrices and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JP5089006B2 (ja) 軟骨および他の組織の修復および再生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7009039B2 (en) Plasma protein matric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CA2677436C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rtilage disease
WO2013009102A2 (ko) 콜라겐, 히알루론산 유도체 및 포유류의 탯줄 유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연골세포치료제
WO2010044577A2 (ko) 동물조직 분말을 이용한 다공성 3차원 지지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다공성 3차원 지지체
WO2018026198A1 (ko) 연골 재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02319888A1 (en) Plasma protein matric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WO2011049265A1 (ko)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1060776A1 (ko) 세포외기질로 유도된 자가조립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인공조직 제조
WO2012141536A9 (ko) 결합조직 재생용 조성물 및 결합조직을 재생하는 방법
WO2014088205A1 (ko) 양성 연골종양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연골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32604A2 (ko) 인간 섬유연골 또는 탄성연골 재생용 조성물
EP3694570A1 (en) Elastin reduction allowing recellularization of cartilage implants
WO2021075732A1 (ko) 세포외기질로 유도된 구획 특이적 복합조직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136538A1 (ko) 식물성 복합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생체 삽입용 무세포 진피 기질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3204006B2 (en)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rtilage dis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27711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7026475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27711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