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74191A2 - 수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수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74191A2
WO2012074191A2 PCT/KR2011/007225 KR2011007225W WO2012074191A2 WO 2012074191 A2 WO2012074191 A2 WO 2012074191A2 KR 2011007225 W KR2011007225 W KR 2011007225W WO 2012074191 A2 WO2012074191 A2 WO 201207419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ter
fluid
moisture
scrubber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72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74191A3 (ko
Inventor
신종수
Original Assignee
Shin Jong-S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in Jong-Soo filed Critical Shin Jong-Soo
Publication of WO201207419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191A2/ko
Publication of WO201207419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19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01D45/1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which are wet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16Other waste gases from CVD treatment 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removal device that separates and removes water from a fluid discharged by a scrubber to remove waste gas genera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a semiconductor. More specifically, the water removal device is connected to a sieve standing upright in an exhaust pipe of the scrubber.
  • the water separator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is exte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inlet pipe Including a contact plate which is inclined toward the end toward the end so as to have an intersection angle of the center line and the acute angle, to contact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to form a vortex; including, to minimize the volume occupied by the water removal devi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rrosion of the inlet pipe, and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incoming fluid is scattered to remove moisture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and remove not only the moisture in the liquid state but also the moisture in the form of the liquid
  • oxidizing component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various types of semiconductor gases used for forming thin films on wafers or for etching have oxidizing components, flammable components, and toxic components.
  • semiconductor gas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gases"
  • a scrubber is installed in the exhaust line of the semiconductor equipment to remove the oxidized component, the flammable component, the toxic component of the waste gas and the like, and to discharge it to the atmosphere.
  • the scrubber is a devic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fluid by treating the waste gas used during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 the scrubber burns the waste gas by using an induction heating method in an indirect combustion wet type and filters the waste gas once more using water.
  • the waste gas is collected by using a scrubber and water as a wet type, and the scrubber is purified by using a wet scrubber and a direct combustion wet type. There is a burn-wet scrubber and the like by using a collection method. Regardless of the type, the scrubber uses water in the process of treating waste gas, and since the used water contains many contaminants, the scrubb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drain pipe by treating with a filter, etc.,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waste gas of the scrubber.
  • a water removal device for removing water from the fluid purified from the scrubber is provid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crubber and a conventional water removing device.
  • a conventional water removing device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An inlet pipe 31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21 of the scrubber 2 so that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2 flows into the water separator 32.
  • the liquid or gaseous water is separated from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water separator 32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ipe 33, and only the fluid from which the water is remove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4.
  •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one side and the fluid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ther side, so that the water removing device 3 is more efficient than the scrubber 2. Since it cannot be positioned without reduction, it must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crubber 2, so that space cannot be efficiently u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poils aesthetics.
  • the scrubber (2) is the exhaust pipe 21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for efficiency, in order to connect the inlet pipe (31) to the water removal device (3) in which fluid is introduced to one side of the inlet pipe (31) Including the bent portion and the length is inevitably long, when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inlet pipe 31 is subjected to a load and a large pressure drop occurs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fluid is stuck to the inlet pipe 31, the inlet Pipe 31 is easily corro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increased because many materials must be used.
  • the moisture removal device 3 ha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the water can not be removed effectively in the gaseous stat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isture removal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rrosion of the pipe generated when the fluid containing the corrosive water passes through the pipe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orrosive water contained in the fluid treated in the scrubber. There is a purpos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removal device that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ubber,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water removal device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and provide improved aesthetics.
  •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crubber and the water separator through an upright inlet pipe, there is no bent portion in the inlet pipe to minimize the pressure drop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to minimize corrosion of the inlet pi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removal device that can effectively block and shorten the length of the inlet pipe to reduce the amount of material us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removal device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and remove not only the moisture in the liquid state but also the moisture in the liquid state scattered by the fluid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incoming flui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collecting tube includes a funnel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discharge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water separator to the outside.
  •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embodiment having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water removal device is a water removal device for separating and removing water from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the water remov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sieve upright to the exhaust pipe of the scrubber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is introduced;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scrubber, the water separation passage for separating the water from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A water collecting tube connected to a lower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and draining the separated water to the out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the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fluid from which the water is removed to the outside;
  • the water separator is protruded from one side of the inner surface is extend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inlet pipe Including a contact plate which is inclined toward the end toward the end so as to have an intersection angle of the center line and the acute angle, to contact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to form a vortex; including, to minimize the volume occupied by the
  • the water separato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tact pl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llector.
  • the water separator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llector and the contact plate and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from which the contact plate protrudes. And a lower plat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opposite direction, and an upper plate positioned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and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facing the one side from which the lower plate protrudes. It is done.
  •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d respectively.
  • the water collecting tube includes one or more funnels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ower surface.
  • the collector in the water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multi-faceted member therein.
  • the multi-faceted member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made of a ne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in which the fluid is contacted while passing therethrough is maximized.
  •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is inclined downwardly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water separator and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And a horizontal plan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plane to an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of the water separator that starts the inclined surface.
  • the inlet pip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clined surface
  • the water collection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the horizontal plane.
  • 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and use relationship described above with the present embodi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osition the water separator in the upper side of the scrubb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water removal device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and provide improved aesthetics.
  •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crubber and the water separator through an upright inlet pipe, there is no bent portion in the inlet pipe to minimize the pressure drop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to minimize corrosion of the inlet pipe. It can effectively prevent,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of the inlet pip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material us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separating and removing not only the moisture in the liquid form but also the moisture in the liquid state scattered by the fluid by maximiz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incoming fluid.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nel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of the water collecting tub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ffectively discharge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water separator to the outsid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a scrubber and a conventional water removal device.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aceted member included in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collecting tube included in a water remov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crubber and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llector 128 bottom plate 129: top plat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faceted member included i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collecting tube included in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scrubber and the water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 the water removal device 1 is connected to an upright body in an exhaust pipe 21 of the scrubber 2 so that the scrubber 2 Inlet pipe 11 through which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inlet flows, and a water separator (12) located above the scrubber (2) to separate the water from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11), and
  • the water collecting pipe 13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12 to drain the separated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fluid is removed to the outside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12
  • the inlet pipe (11) is a pipe that is a passage for the flow of the fluid after the treatment process in the scrubber (2) to the water separator 12,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21) of the scrubber (2)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21 of the water separator 12.
  • the inlet pipe 11 uses an upright tube that is not bent, thereby preventing the fluid discharged from the scrubber 2 from being load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11 and preventing a large pressure drop from occurring.
  • the water separator 12 is a three-dimensional cylinder that separates the water from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let pipe 11, the lower surface 121 is attached to the inlet pipe 11 and the water collecting pipe 13, the The upper surface 122 to which the discharge pipe 14 is attached, the front surface 123, the rear surface 124, the left surface 125a, the right surface 125b between the lower surface 121 and the upper surface 122 is defined.
  • An inclined surface 1211 extending inclined downward from the right surface 125b, a vertical surface 1212 vertic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211, and the left surface at the end of the vertical surface 1212.
  • the left surface 125a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right surface 125b, the inclined surface 1211 is the inlet pipe 11 ) Is attached and the water collecting tube 13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surface (1213).
  •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eparator (1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let pipe (11)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125b) of the water separator (12)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urface (125a) ( 126, a collector 127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tact plate 126, and an upper side of the collector 127 and the contact plate 126 and protrude from the left side 125a and the right side ( A lower plate 128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125b, and an upper plate 129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128 and protruding from the right surface 125b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a direction toward the left surface 125a.
  • the water separator 1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crubber (2), it is to be connected to the scrubber (2) in the upright inlet pipe (11).
  • the contact plate 126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pipe 11 and protrudes from the right side surface 125b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ide surface 125a and is incli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21 toward the end thereof.
  • the crossing angle ⁇ formed by the center line b of the inlet pipe 11 and the contact plate 126 has an acute angle.
  • the contact plate 126 not only collides with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inlet pipe 11, but also guides the fluid toward the collector 127, and forms a vortex around it to form moisture contained in the fluid. To allow for easy separation.
  • the collector 127 is a part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fluid flowing along the contact plate 126 and extends from the end of the contact plate 126 to the left side surface 125a.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 mesh shape so that the fluid can pass therethrough, 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wo or more collectors 127 may be formed in a layer. One or more multifaceted members 1271 may be included in the collector 127 to increase an area in contact with the fluid passing therethrough.
  •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is a member included between the collector 127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llector 127, preferably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made of a net. As the fluid passes through i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rea of contact. Referring to FIG. 4,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may be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of a spherical shape in which an outer surface and an inside are formed in a net and the inside is not filled.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is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outer surface and passes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the contact area increases accordingly, and the pressure and speed decrease so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luid becomes the multi-faceted member 1271 to It is formed in the collecting body 127 and when it condenses, it falls freely and collects in the moisture collecting tube 13.
  • the lower plate 128 is positioned above the collector 127 and the contact plate 126 and protrudes from the left side 125a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right side 125b and toward the end 121.
  • a plate-shaped member inclined in the direction, the lower plate 128 is in contact with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llector 127.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llector 127 hits the lower plate 128 and is directed toward the first separation gap h1 formed between the right side surface 125b and the lower plate 128 to generate a vortex and generate pressure. There is a loss of speed.
  • the upper plate 129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plate 128 and protrudes from the right side surface 125b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left side surface 125a and inclined toward the bottom surface 121 toward the end thereof.
  • the member With the member, it is encountered with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spacing (h1).
  •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irst spacing h1 is vortexed while facing the top plate 129 and directed toward the second spacing gap h2 formed between the left surface 125a and the top plate 129. And loss of pressure and speed occur.
  • the principle of remov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fluid flowing into the water separator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 the water collecting tube 13 is fixed to the horizontal surface 1213 of the lower surface 121 of the water separator 12, the contact plate 126, the collector 127, the lower plate 128, the upper plate 129 It is a member for discharging the free-falling water separated by) and the like to the outside, but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of the scrubber 2, although not shown.
  • the moisture collecting tube 13 may include a body 131, a diaphragm 132, and one or more funnels 133.
  • the body 131 is generally cylindrical as a tube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which is attached to a horizontal surface 1213 of the lower surface 121 of the water separator 12 and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
  • the diaphragm 132 is installed to partition up and dow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131 and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1321 so that the funnel 133 may be fixed.
  • the funnel 133 is a truncated cone-shaped tube is fixedly located in the through-hole 1321, the upper surface 1331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lower surface 1332.
  • the velocity of the lower surface 1332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surface 1331 is larger than the upper surface 1331.
  • the Bernoulli equation causes the upper surface 1331 to be slower than the lower surface 1332, so the pressure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1331 to the lower surface 1332, and the funnel 133 because the fluid flows from the high pressure to the low pressure. ), The liquid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 the discharge pipe 14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water separator 12 is a tube that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the separated fluid to the outside, one end of the water separator 12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12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pipe (not shown).
  • the water removal device 1 is to position the water separator 12 in the upper side of the scrubber (2),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by the water removal device (1) to effectively utilize the space and improved Aesthetic appearance can be provided, and since the scrubber 2 and the lower surface 121 of the water separator 12 are connected through an upright inflow pipe 11, the inflow pipe 11 has no bent portion.
  • the load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inlet pipe 11 is made small and the pressure drop can be minimized to effectively prevent corrosion of the inlet pipe 11, and the length of the inlet pipe 11 can be shortened.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use.
  • the exhaust pipe of the scrubber 2 the exhaust pipe of the scrubber 2.
  • the fluid discharged through the 21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separator 12 through the inlet pipe 11 and hit the contact plate 126 and then passes through the collector 127. As it strikes the contact plate 126, vortices occur and pressure and speed decrease.
  • the fluid is vortexed and hits the contact plate 126 several times, resulting in a large contact area, and a decrease in pressure and speed resulting in a long contact time with the contact plate 126.
  • a part of is formed on the contact plate 126 and is driven down the contact plate 126 by gravity to be collect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tube 13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collector 127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spacing h1 after hitting the lower plate 128.
  • vortex occurs and pressure and speed Will decrease.
  • the fluid is vortexed and hits the bottom plate 128 several times, resulting in a large contact area, and a decrease in pressure and speed resulting in a long time of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128, whereby a small size contained in the fluid Moisture is formed in the lower plate 128 and falls down by gravity and flows dow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126, passes through the collector 127, and is collected in the moisture collecting tube 13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first spacing h1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spacing h2 after striking the top plate 129.
  • Vortex is generated while the fluid strikes the top plate 129. Pressure and speed will decrease.
  • the fluid is vortexed and hits the top plate 129 several times, resulting in a large contact area, and a decrease in pressure and speed resulting in a long contact time with the top plate 129.
  • Moisture of a small siz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gathered in the water collecting tube 13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28,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ct plate 126, the collector 127 in order to the lower side by gravity. Will be discharged.
  •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spacing h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ipe 14.
  •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water separator 12 passes through the contact plate 126, the collecting network, the lower plate 128, and the upper plate 129 in turn, as well as the liquid state of the liquid state contained in the fluid as well as the gaseous state. Effectively removes mois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시에 발생하는 폐가스를 제거하는 스크러버가 배출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스크러버의 배기관에 직립된 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통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상에 연결되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수분포집관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상면상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분리통은 내면 일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유입관의 중심선과 예각의 교차각도를 가지도록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는 접촉판;을 포함하여, 상기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유입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비산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된 액체상태의 수분뿐만 아니라 습기 형태의 수분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수분제거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의 제조시에 발생하는 폐가스를 제거하는 스크러버가 배출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스크러버의 배기관에 직립된 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통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상에 연결되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수분포집관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상면상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분리통은 내면 일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유입관의 중심선과 예각의 교차각도를 가지도록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는 접촉판;을 포함하여, 상기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유입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비산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된 액체상태의 수분뿐만 아니라 습기 형태의 수분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에 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웨이퍼에 박막을 형성하거나 또는 식각을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종류의 반도체가스는 산화성분, 인화성분 및 유독성분 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 후의 반도체가스(이하, '폐가스'라 함)를 그대로 대기 중에 배출할 경우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반도체 설비의 배기 라인에는 폐가스의 산화성분, 인화성분 및 유독성분을 등을 제거한 후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스크러버(scrubber)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러버(scrubber)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에 사용한 폐가스를 처리하여 정화처리된 유체를 배출하는 장치로, 간접 연소 습식형으로 유도가열 방식을 이용하여 폐가스를 태운 후 물을 이용하여 한번 더 걸러주는 힛웨트 스크러버(heat-wet scrubber)와, 습식형으로서 물을 이용하여 폐가스를 포집한 후 물을 정화하는 방법으로 웨트 스크러버(wet scrubber)와, 직접 연소 습식형으로 고온의 불꽃으로 폐가스를 태운 후 물을 이용해서 포집하는 방법으로 번웨트 스크러버(burn-wet scrubber) 등이 있다. 상기 스크러버는 종류에 상관없이 폐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물을 사용하며 사용된 물에는 많은 오염물질을 포함하므로 필터 등으로 처리하여 드레인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데, 상기 스크러버의 폐가스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된 물의 일부가 드레인관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액체 또는 기체상태로 정화처리된 유체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어 배관을 부식시키고 폐가스의 정화처리효과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크러버에서 정화처리된 유체에서 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분제거장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스크러버와 종래 수분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인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수분제거장치(3)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크러버(2)의 배기관(21)에 유입관(31)이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2)에서 배출된 유체는 수분분리통(32)으로 유입된다. 상기 수분분리통(32)에 유입된 유체에서 액체 또는 기체상태의 물을 분리하여 수분포집관(33)을 통해 배출하고 물이 제거된 유체만을 배출관(34)를 통해서 배출한다.
하지만, 종래의 수분제거장치(3)는 일 측면에 유체가 유입되고 물이 제거된 유체가 타 측면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수분제거장치(3)를 상기 스크러버(2) 상측에 효율의 감소 없이 위치시킬 수 없어 상기 스크러버(2)의 측면에 배치하여야 하므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고, 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크러버(2)는 효율을 위해 배기관(21)이 상면에 위치하는데 일 측면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수분제거장치(3)에 유입관(31)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유입관(31)이 많은 절곡된 부분을 포함하고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어, 유체가 상기 유입관(31)을 통과하면 부하가 걸리고 큰 압력강하가 일어나 상기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물이 유입관(31)에 달라붙게 되어 상기 유입관(31)이 쉽게 부식되고, 많은 자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수분제거장치(3)는 효율성이 떨어져 기체상태의 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식성을 가진 수분을 분리배출함으로써, 부식성을 가진 수분을 포함한 유체가 배관을 통과할 경우 생기는 배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분리통을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된 유입관을 통해 스크러버와 수분분리통의 하면을 연결하므로, 상기 유입관에는 절곡된 부분이 없어 상기 유입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강하를 최소화시켜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비산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된 액체상태의 수분뿐만 아니라 습기 형태의 수분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포집관이 절두원추형상을 가지는 깔대기를 포함하여, 상기 수분분리통에서 분리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는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스크러버의 배기관에 직립된 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통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상에 연결되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수분포집관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상면상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분리통은 내면 일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유입관의 중심선과 예각의 교차각도를 가지도록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는 접촉판;을 포함하여, 상기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은 상기 접촉판의 말단에 연결되는 포집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은 상기 포집체와 접촉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판이 돌출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판이 돌출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 및 상부판은 각각 말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포집관은 상면의 직경이 하면의 직경보다 큰 절두원추형상의 하나 이상의 깔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는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다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면부재는 망으로 이루어진 입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은 상기 수분분리통의 일 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말단에서 상기 경사면이 시작되는 상기 수분분리통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이어지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경사면에 연통되고, 상기 수분포집관은 상기 수평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러버에서 처리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부식성을 가진 수분을 분리배출함으로써, 부식성을 가진 수분을 포함한 유체가 배관을 통과할 경우 생기는 배관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분리통을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립된 유입관을 통해 스크러버와 수분분리통의 하면을 연결하므로, 상기 유입관에는 절곡된 부분이 없어 상기 유입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강하를 최소화시켜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비산되어 유체와 함께 흡입된 액체상태의 수분뿐만 아니라 습기 형태의 수분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분포집관이 절두원추형상을 가지는 깔대기를 포함하여, 상기 수분분리통에서 분리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크러버와 종래 수분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포함되는 다면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포함되는 수분포집관의 사시도.
도 6은 스크러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
*도면에 사용되는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수분제거장치 11: 유입관 12: 수분분리통
13: 수분포집관 14: 배출관 121: 하면
122: 상면 123: 전면 124: 배면
125a: 좌측면 125b: 우측면 126: 접촉판
127: 포집체 128: 하부판 129: 상부판
131: 몸체 132: 격판 133: 깔대기
1211: 경사면 1212: 수직면 1213: 수평면
1271: 다면부재 1321: 관통공 1331: 상면
1332: 하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포함되는 다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에 포함되는 수분포집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스크러버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제거장치를 설명하면, 상기 수분제거장치(1)는 상기 스크러버(2)의 배기관(21)에 직립된 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2)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상기 스크러버(2)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통(12)과, 상기 수분분리통(12)의 하면상에 연결되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수분포집관(13)과, 상기 수분분리통(12)의 상면상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14)을 포함하여, 상기 수분제거장치(1)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관(11)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관(11)은 스크러버(2)에서 처리과정을 마친 유체를 유입하여 상기 수분분리통(12)으로 보내는 통로가 되는 관으로, 일단은 상기 스크러버(2)의 배기관(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분분리통(12)에 하면(121)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관(11)은 절곡되지 않고 직립된 관을 사용하여, 상기 스크러버(2)에서 배출된 유체가 상기 유입관(11)을 통과하면서 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큰 압력강하를 일어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분분리통(12)은 상기 유입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입체적 형상의 통으로, 상기 유입관(11)과 수분포집관(13)이 부착되는 하면(121), 상기 배출관(14)이 부착되는 상면(122), 상기 하면(121)과 상면(122) 사이의 전면(123), 배면(124), 좌측면(125a), 우측면(125b)으로 규정되며, 상기 하면(121)은 우측면(125b)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면(1211)과, 상기 경사면(1211)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면(1212)과, 상기 수직면(1212)의 말단에 상기 좌측면(125a)으로 이어지는 수평면(1213)을 포함하여서, 상기 좌측면(125a)이 상기 우측면(125b)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1211)에는 상기 유입관(11)이 부착되고 상기 수평면(1213)에는 상기 수분포집관(13)이 부착된다. 상기 수분분리통(12)의 내면에는 상기 유입관(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수분분리통(12)의 우측면(125b)에서 돌출되어 좌측면(125a)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접촉판(126)과, 상기 접촉판(126)의 말단에 연결되는 포집체(127)와, 상기 포집체(127)와 접촉판(126)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면(125a)에서 돌출되어 우측면(125b)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판(128)과, 상기 하부판(128)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우측면(125b)에서 돌출되어 상기 좌측면(125a)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판(129)을 포함한다. 상기 수분분리통(12)은 상기 스크러버(2)의 상측에 위치하며, 직립된 유입관(11)에 상기 스크러버(2)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접촉판(126)은 상기 유입관(11)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우측면(125b)에서 돌출되어 상기 좌측면(125a)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12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판 형상의 부재로, 상기 유입관(11)의 중심선(b)과 상기 접촉판(126)이 이루는 교차각도(α)는 예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판(126)은 상기 유입관(11)으로부터 유입된 유체와 부딪칠 뿐만 아니라 유체를 상기 포집체(127)로 쪽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그 주위에 와류를 형성하여 유체 내의 포함된 수분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포집체(127)는 상기 접촉판(126)을 따라 흐르는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접촉판(126)의 말단에서 상기 좌측면(125a)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형상은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망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시형태에 따라 2 이상의 포집체(127)가 층을 이루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집체(127)의 내부에는 통과하는 유체와의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다면부재(127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면부재(1271)는 상기 포집체(127) 내를 통과하는 유체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포집체(127) 사이에 포함되는 부재로, 바람직하게는 망으로 이루어진 입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내부로 통과하면서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다면부재(1271)는 겉면과 내부가 망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채워지지 않은 구 형상의 입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다면부재(1271)를 통과하는 유체는 상기 다면부재(1271)의 겉면의 망을 지나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겉면의 망을 지나게 되므로 그만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유체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다면부재(1271) 내지는 포집체(127)에 맺히게 되고 이것이 응결되면 자유 낙하하여 상기 수분포집관(13)에 모이게 된다.
상기 하부판(128)은 상기 포집체(127)와 접촉판(126)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좌측면(125a)에서 돌출되어 상기 우측면(125b)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12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판 형상의 부재로, 상기 하부판(128)에는 상기 포집체(127)를 통과한 유체가 부딪히게 된다. 상기 포집체(127)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하부판(128)에 부딪혀 상기 우측면(125b)과 상기 하부판(128) 사이에 형성되는 제1이격틈(h1)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압력과 속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상부판(129)은 상기 하부판(128)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우측면(125b)에서 돌출되어 상기 좌측면(125a)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121)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판 형상의 부재로, 상기 제1이격틈(h1)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부딪히게 된다. 상기 제1이격틈(h1)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상기 상부판(129)에 부딪혀 상기 좌측면(125a)과 상기 상부판(129) 사이에 형성되는 제2이격틈(h2) 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압력과 속도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수분분리통(12)에 유입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수분포집관(13)은 상기 수분분리통(12)의 하면(121) 중 수평면(1213)에 고정되어 상기 접촉판(126), 포집체(127), 하부판(128), 상부판(129) 등에 의해 분리되어 자유 낙하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재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말단이 스크러버(2)의 드레인관에 연결된다. 상기 수분포집관(13)은 몸체(131)와, 격판(132)과, 하나 이상의 깔대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31)는 상기 수분분리통(12)의 하면(121) 중 수평면(1213)상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관으로서 일반적으로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판(132)은 상기 몸체(131)의 일정 위치에 상하를 구획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깔대기(133)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관통공(1321)을 포함한다.
상기 깔대기(133)는 절두원추 형상의 관으로 상기 관통공(1321)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상면(1331)이 하면(1332)보다 단면적이 넓은 형상이다. 유체 역학 기본 방정식 중에 연속 방정식에 의하면 단면적과 속도의 곱은 일정하므로 상면(1331)보다 직경이 작은 하면(1332)의 속도는 상면(1331)보다 크게 된다. 또한,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상면(1331)이 하면(1332)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압력은 상면(1331)이 하면(1332)보다 크며, 유체는 고압에서 저압으로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깔대기(133)에 모인 액체는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14)은 상기 수분분리통(12)의 상면(122)에 고정되어 위치하며 수분이 분리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관으로, 일단은 상기 수분분리통(12)의 상면(122)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관(미도시)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제거장치(1)는 상기 수분분리통(12)을 상기 스크러버(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분제거장치(1)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시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고, 직립된 유입관(11)을 통해 상기 스크러버(2)와 상기 수분분리통(12)의 하면(121)을 연결하므로, 상기 유입관(11)에는 절곡된 부분이 없어 상기 유입관(11)을 통과하는 유체의 부하가 작게 걸리도록 하고 압력강하를 최소화시켜 상기 유입관(11)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고, 상기 유입관(11)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자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수분제거장치(1)에 있어서 상기 스크러버(2)에서 배출된 유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원리를 도 2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크러버(2)의 배기관(21)을 통해 배출된 유체는 상기 유입관(11)을 통해 상기 수분분리통(12)으로 유입되어 상기 접촉판(126)에 부딪힌 후 상기 포집체(127)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유체가 접촉판(126)에 부딪히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유체는 와류가 발생하여 상기 접촉판(126)과 여러 번 부딪혀 접촉면적이 크게 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여 상기 접촉판(126)에 접촉하는 시간이 길게 되어, 이때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의 일부는 상기 접촉판(126)에 맺히게 되고 중력에 의해 접촉판(126)을 타고 내려 수분포집관(13)에 모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포집체(127)에 유입된 연기는 상기 다면부재(1271)의 겉면의 망을 지나 내부를 통과하여 다시 겉면의 망을 지나게 되므로 그만큼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게 되어 유체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다면부재(1271) 내지는 포집체(127)에 맺히게 되고 이것이 응집되면 자유 낙하하여 수분포집관(13)에 모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포집체(127)를 통과한 유체는 상기 하부판(128)에 부딪힌 후 제1이격틈(h1)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유체가 하부판(128)에 부딪히게 되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유체는 와류가 발생하여 상기 하부판(128)과 여러 번 부딪혀 접촉면적이 크게 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여 상기 하부판(128)에 접촉하는 시간이 길게 되어, 이때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크기의 수분은 상기 하부판(128)에 맺히게 되고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져 상기 접촉판(126)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려 포집체(127)를 통과한 후 수분포집관(13)에 모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1이격틈(h1)을 통과한 유체는 상기 상부판(129)에 부딪힌 후 제2이격틈(h2)을 통해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유체가 상기 상부판(129)에 부딪히면서 와류가 발생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상기 유체는 와류가 발생하여 상기 상부판(129)과 여러 번 부딪혀 접촉면적이 크게 되고, 압력과 속도가 감소하여 상기 상부판(129)에 접촉하는 시간이 길게 되어, 이때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아주 작은 크기의 수분은 상기 상부에 맺히게 되고 중력에 의해 하측으로 상기 하부판(128)의 상면, 접촉판(126)의 상면, 포집체(127)를 차례로 지나 상기 수분포집관(13)에 모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제2이격틈(h2)을 통과한 유체는 배출관(1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수분분리통(12)으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접촉판(126), 포집망, 하부판(128) 및 상부판(129)을 차례로 거치면서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상태의 수분뿐만 아니라 기체상태의 수분까지 효과적으로 제거되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스크러버로부터 배출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수분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분제거장치는 상기 스크러버의 배기관에 직립된 체로 연결되어, 상기 스크러버에서 배출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에서 수분을 분리하는 수분분리통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상에 연결되어, 분리된 수분을 외부로 드레인시키는 수분포집관과; 상기 수분분리통의 상면상에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분리통은 내면 일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유입관의 중심선과 예각의 교차각도를 가지도록 말단으로 갈수록 하면 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유체와 부딪쳐 와류를 형성하는 접촉판;을 포함하여, 상기 수분제거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고 상기 유입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은
    상기 접촉판의 말단에 연결되는 포집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은
    상기 포집체와 접촉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접촉판이 돌출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 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판이 돌출되는 일 측과 대향되는 타측에서 돌출되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상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 및 상부판은 각각 말단으로 갈수록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포집관은 상면의 직경이 하면의 직경보다 큰 절두원추형상의 하나 이상의 깔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는 그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다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부재는
    망으로 이루어진 입체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유체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접촉되는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분리통의 하면은 상기 수분분리통의 일 측면에서 하측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말단에서 하측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말단에서 상기 경사면이 시작되는 상기 수분분리통의 일 측면과 대향되는 타 측면으로 이어지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경사면에 연통되고,
    상기 수분포집관은 상기 수평면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제거장치.
PCT/KR2011/007225 2010-11-29 2011-09-30 수분제거장치 WO2012074191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460 2010-11-29
KR1020100119460A KR101213150B1 (ko) 2010-11-29 2010-11-29 수분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191A2 true WO2012074191A2 (ko) 2012-06-07
WO2012074191A3 WO2012074191A3 (ko) 2012-10-04

Family

ID=4617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7225 WO2012074191A2 (ko) 2010-11-29 2011-09-30 수분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3150B1 (ko)
WO (1) WO201207419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995A (ko) * 2021-09-06 2023-03-14 신종수 향상된 공간 효율과 포집 효율을 가지는 액체 포집 장치
KR102640382B1 (ko) * 2023-09-21 2024-02-23 주식회사 신영엘에스티 스크러버 내장형 흄후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344B1 (ko) * 1997-04-26 2000-03-15 김영환 스크러버장치의 자동배수시스템
KR20100091010A (ko) * 2009-02-09 2010-08-18 신종수 액체포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621B1 (ko) 2006-08-18 2007-02-16 신종수 액체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344B1 (ko) * 1997-04-26 2000-03-15 김영환 스크러버장치의 자동배수시스템
KR20100091010A (ko) * 2009-02-09 2010-08-18 신종수 액체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902A (ko) 2012-06-07
KR101213150B1 (ko) 2012-12-18
WO2012074191A3 (ko) 201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2224A2 (ko)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습식 공기정화장치
WO2015174580A1 (ko) 축류형 집진기 및 축류형 집진기용 전처리집진장치
CN105484788B (zh) 矿用干湿联合多级除尘装置
WO2014058141A1 (ko) 집진 장치
WO2012074191A2 (ko) 수분제거장치
ES2424964T3 (es) Cabina de eliminación de vapor
WO2021235587A1 (ko) 필터백 보호 에어커튼 생성 모듈을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분진 재비산 방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여과집진기
CN108479198A (zh) 除尘器及除尘设备
CN108607300A (zh) 烟草专用降温除湿箱
CN208612078U (zh) 一种过液式除尘塔
CN209646139U (zh) 一种气水分离器
WO2019172720A1 (ko) 집진장치
CN204234208U (zh) 湿式电除尘器及其排水装置
JPH048981Y2 (ko)
CN207786163U (zh) 一种建筑工程施工除尘装置
CN110090519A (zh) 一种基于相变的烟气末端脱水精除尘装置
CN213253650U (zh) 除尘器
WO2020122356A1 (ko) 고효율 습식 스크러버
CN208448906U (zh) 一种高效折流板除沫器
CN207913433U (zh) 一种具有z形风道的矿用滤网湿式除尘装置
CN205145863U (zh) 一种喷淋式除尘器
CN2440569Y (zh) 高效雾化脱硫除尘装置
CN107930329A (zh) 一种具有z形风道的矿用滤网湿式除尘装置
WO2023033622A1 (ko) 향상된 공간 효율과 포집 효율을 가지는 액체 포집 장치
JPH03157113A (ja) スタックレイン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4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442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