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20881A1 -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20881A1
WO2012020881A1 PCT/KR2010/006121 KR2010006121W WO2012020881A1 WO 2012020881 A1 WO2012020881 A1 WO 2012020881A1 KR 2010006121 W KR2010006121 W KR 2010006121W WO 2012020881 A1 WO2012020881 A1 WO 201202088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ifting
clamp
rotation
suppor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61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20881A8 (ko
Inventor
이강
박수열
조준범
함성일
이태관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1202088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0881A1/ko
Publication of WO2012020881A8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20881A8/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T- or I-section beams or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to vertical edge portions of sheets, tubes, or like thin or thin-walled art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beam lifting device and a multiple beam lifting system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nd more specifically, to lift a lifting object using gravity without using external power such as electricity.
  • a multi-beam lifting device and a multi-beam lifting system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that can lift a lifting object having various width sizes and can press the lifting object with no force to prevent the lifting object from sliding. It is about.
  • Conventional reinforcement device has been made to be able to detach the beam by using a wire directly tied or loosened by an operator, or by using a motor or an electromagnet driven by electricity.
  • the multi-bore weight lifting device and multi-bore weight lifting system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ims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 gravity objects can be used to lift the lifting object without using additional power such as electricity.
  • the lifting object may be prevented from sliding by pressing the lifting object with no power.
  • 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as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lamping units connected to both end regions of the pair of base frames to support the lifting object to be lifted; And a pair of base frames, the hinge movements of which are connected to the pair of base frames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utually spaced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 hinge movements face each other. It is achieved by a multi-compensation lifting device with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two hinge rotation bar to adjust the.
  • the pair of base frames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frames connected through the hinge rotation bar and the hinge axis
  • the clamp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outer frames facing each other adjacent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outer frames and the plurality of link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ternal frames connected through.
  • a rope for lifting the lifting object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rotating bar, and when the lifting object i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and the rope is rotated by applying tension to the rope,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ng bar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object.
  • the slide is mov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in the stat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by the tension of the rope may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in slid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bject of both.
  • the inner frame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hinge shaft and the lifting wires so as to approach or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ng bar.
  • the hinge shaft includes a hinge bracket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rotating bar and the outer frame and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hinge rotating bar when the hinge rotating bar is rotated.
  • One end of the lifting wire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 the base frame may include a rotation limit bar that contacts the hinge rotation ba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when the hinge rotation bar rotates in one direction.
  • the inner frame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outer frame while being lifted by the link motion of the plurality of links.
  • the inner frame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can mov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outer frame while descending by the link motion of the plurality of links.
  •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may include a clamp module that contacts the lifting object and supports the lifting object when lifting the lifting object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 the clamp module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inner frame, and may include a rotary clamp free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and one or more support clamps installed below the rotary clamp.
  • the rotating clamp is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lifting object while the inner frame mov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lifting object, and the support clamp is connected through the rotating clamp and the rotating linkage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clamp.
  • the lifting object may be supported by contacting a flange of the lifting object.
  • the one or more support clamps are a pair of support clamps, the rotating clamp and the pair of support clamps being freely rotatable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rotating rods in the inner frame, respectively, and the first rotating rods connected to the rotating clamps.
  •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ng plates are further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cond and third rotary ro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clamps, and third and fourth rotary connecting plates are further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rotary linkage unit includes: A first rotary linking unit connecting the rotary connecting plate and the third rotary connecting plate; And a second rotary linking unit connecting the second rotary connecting plate and the fourth rotary connecting plate.
  • the rotary linkage unit may be a chain or a wire.
  • First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area of the inn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rotation clamp is installed, and second and third incisions are formed in the area of the inner frame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pair of support clamps are installed. Can be.
  • the rotary clamp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incision so as to further protrude from one side of the inner frame adjacent to the double object,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double object directly when the inner frame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double object. ; And a rotating clamp bent portion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an end of the rotating clamp contact portion.
  • the pair of support clamps are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further from one side of the inner frame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incisions when the pair of support clamps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clamp, respectively,
  • the pair of support clamp When the pair of support clamp is rotated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clamp provided in the inner fram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clamp rotation limiting means for limiting further rotation of the pair of support clamp.
  • the support clamp rotation limiting means is a side wall that forms the second and third incisions, and when the pair of support clamps are rotat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the support clamp may be restricted from being rotated by the side wall.
  • the support clamp may further include an anti-slip pad provided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both objects.
  • the rotary clamp bend may have a heavier weight than the rotary clamp contact.
  • the support clamp bend may have a heavier weight than the support clamp support.
  • a load distribution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distribute the load applied to the outer frame and the plurality of links dur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object.
  • the load dispersing unit may include: a load dispersing ro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nner frames, respectively,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to pass through holes formed in the base frame; And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load distributing rod at an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 the fastening part may be screwed to the load distributing rod to adjust the position to be fast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 distributing rod.
  • a sensing sensor provided in the inner frame to check the degree of engagement of the support clamp on the lifting object; And a lamp provided in the outer frame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 the detection sensor may be an infrared sensor or a laser sensor.
  • 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ase fram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clamping units connected to both end regions of the pair of base frames to support the lifting object to be lifted; And a pair of base frames, hingedly connected to the pair of base frames, the hinge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as the hinge moves.
  • At least one hinge rotation bar is adjusted, but one end is connected to a rope for lifting the lifting object
  • the pair of base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outer frame connected through the hinge rotation bar and the hinge axis, the clamping unit, A plurality of inner frames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outer frames facing each other and adjacent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inner frames and a plurality of inner frames conn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frames;
  • Detection sensor A lamp provided in the base frame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 a camera provided in the lifter for photographing the light emission state of the lamp; And a monitor provided in the lifter for displaying the photographing state of the camera.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lift the lifting objec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lamp module using gravity without using electricity, as well as to lift the lifting object having various width sizes by using the inner frame which is adjustable in width.
  • the lifting object may be prevented from sliding by pressing the lifting object with no powe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n H beam.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load injection means is additionally added to a multi-bore weight lifting device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unit of a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and 6 ar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of the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of FIG. 2 increases.
  • FIG. 7 and 8 ar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of the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lamping unit using gravity of FIG. 2 is reduced.
  • 9 and 10 ar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of the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the clamping unit using gravity of FIG. 3 increases.
  • 11 and 12 are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of the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including the clamping unit using gravity of FIG. 3 is reduced.
  • FIGS. 13 and 14 are views showing a change state of the outer frame and the link in the multi-bore lifting device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of FIGS. 2 and 3.
  • 15 to 17 is a view showing that the position of the load distribution unit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the width of the H-beam which is a double object.
  • FIG. 1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ple beam lifting apparatus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quentially lifts one or more H-beams.
  • 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ple payload system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multiple beam lif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ifting device”)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gravity without additional power in addition to the power for applying tension to the rope to be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lifting objects specifically, an H-beam or an I-be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h beam”) may be lifted.
  • the lifting apparatus automatically adjusts the width between the lifting apparatus, the inner frame and the clamp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response to the width size of the H beam so as to lift the H beam having various width sizes. .
  • the lifting apparatus is to move one or a plurality of multi-stacked stacked H-beams at a time, or to lift a single H-beams and then placed on the other H-beam beams arranged in a plurality of H at a time
  • the beam can be moved by lifting.
  • the lifting devic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base frame 10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oth end regions of the pair of base frame 100 A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connected to each other to support a lifting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H beam') and a pair of base frames 100 to be lifted, and a pair of base frames ( Hinge movement is connected to the (100), at least two hinges at the same tim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hinge movement Rotating bar 150 is included.
  • a lifting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H beam'
  • Hinge movement is connected to the (100)
  • Rotating bar 150 Rotating bar 150 is included.
  • the pair of base frames 10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parate connection frame.
  • the pair of base frames 100 each include a plurality of outer frames 101 connected through the hinge rotation bar 150 and the hinge shaft 102.
  • outer frames 101 are formed in both end regions of the base frame 100 so as to face the inner frames 113 to be described later.
  •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are connect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pair of base frames 100, that is, the outer frames 101, respectively, to support the H beam 160, which is a double object.
  • the clamping unit 110 is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outer frames 101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a plurality of inner frames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outer frames 101 and a plurality of links 112) 113).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3, when four outer frames 101 are provided, four inner frames 113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four outer frames 101.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for example, when the outer frames 101 are provided in multiples of 8, 12, etc., the inner frames 113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outer frames 101. have.
  •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including the inner frame 113 and the link 112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hen describing the mutual motion relationship with the hinge rotation bar 150.
  • At least two hinge rotation bars 150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pair of base frames 100 between the pair of base frames 100 so as to be hinged.
  •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frames 113 facing each other with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that is, the H beam 160, facing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the movement is performed. To adjust at the same time.
  •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are provided in four, respectively, a pair of hinge rotation bar 150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provided in two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113, respectivel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are provided in eight or twelve, respectively, multiples of four, the hinge rotation bars 150 may be provided in four or six halves. Can be.
  •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are provided with four and the hinge rotation bar 150 is provided with two cases.
  • a rope for lifting the H beam 160 disposed between two pairs of inner frames 113 facing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pair of hinge rotation bars 150. 151 is connected.
  • the other end of the rope 151 is connected to the boom of a heavy lifter such as a crane. That is,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151 by the crane operation is adjusted, and when pulling up the rope 151, one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is rotated in the upper direction about the hinge axis (102).
  • the hinge rotation bar 150 is connected to the base frame 100 through the hinge shaft 102, 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1 to 3, 5 to 12, the hinge shaft 102
  • the hinge rotating bar 150 and the outer frame 101 is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bracket 103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hinge rotating bar 150. That is, as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15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rotating bar 150, the hinge rotating bar 150 and the hinge bracket 103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 the operator moves the base frame 100 to arrange the H beam 160 between the plurality of internal frames 113, and then operates the crane.
  • the hinge rotating bar 150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102.
  •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slides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op surface of the H beam 160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H beam 160. That is, when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151 to lift the H beam 160,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with respect to the top surface of the H beam 160 becomes larger, and thus, a clamp module to be described later.
  •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presses the H beam 160 in comparison with the initial st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H beam 160 is clamped or supported by the 114.
  • the hinge rotation bar 150 uses the principle of the lever, and the H-beam 160, which is lifted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beam 160 during the lifting of the H-beam 160, slides in the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This prevents the lifting and improves the stability of the lifting operation.
  • the above-described pressing force of the hinge rotating bar 150 is one H-beam 160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rame 113, while the H-beam 160 is supported by the clamp module 114 or Irrespective of the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H beams 160 are arranged in a multi-stacked state, the H beams 160 are similarly generated in the H beams 160 of the top layer.
  • one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is raised or lowered by adjus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151,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slides more naturally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beam 160 It is desirable to allow movement.
  •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roller 152 in sliding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beam 160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means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inge rotating bar 150 to minimiz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top surface of the H beam 160 in addition to the roller 152 described above.
  • the multi-beam lifting device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does not lift the lifting object (H beam) hinge hinge bar 150 is approximately arm shape (8) shape It is necessary to prevent it from going backward when lifting H-Bo.
  • the rotation limit bar 104 is provided to limit the upper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 the rotation limit bar 104 contacts the hinge rotation bar 150 to limit further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when the hinge rotation bar 150 rotates in one direction. It may be applied in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the frame 100 or in a configuration connected integrally with a pair of base frame 100. Therefore, the base frame 100 may include a rotation limit bar 104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 clamping unit 11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the mutual coupling relationship and the movement relationship with the hinge rotation bar 150.
  • the inner frame 113 provided with the clamp module 114 to be described later, the hinge shaft 102 and the lifting wire 111 so as to approach or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101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Is connected via).
  • one end of the elevating wire 111 is connected to the hinge bracket 10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113. Therefore, the hinge bracket 103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ng bar 150, and the lifting wire 111 is wound around the hinge bracket 103 or the hinge bracket 103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hinge bracket 103. 103).
  • the inner frame 113 is not lifted by a separate driving source, but lift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and has a structure capable of approaching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101.
  • the hinge rotation bar 150 rotates in one direction
  • the inner frame 113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111 is a link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nks (112)
  • the external frame 101 is approached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elevating wire 111 and moves upward.
  •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inner frames 113 facing each other increases.
  • the inner frame 113 connected to the lifting wire 111 is a link motion of a plurality of links. And by the attraction of the elevating wire 111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frame 101 and in the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inner frames 113 facing each other is reduced.
  • the inner frame 113 when the H beam 160 is disposed between two pairs of inner frames 113 facing each other, the inner frame 113 is approached or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101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opposing inner frames 113 may be adjusted to a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 beam 160.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great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uble the H-beams 160 having various width sizes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additional configuration.
  • the plurality of links 112 connecting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such that the inner frame 113 approaches o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frame 101 by the attraction force of the lifting wire 111, It is preferable to properly connect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 the load of the H-beam 160 is a plurality of links ( 112, the outer frame 101 and the inner frame 113. Therefore, not only the inner frame 113 but also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require proper material selection and rigid design according to the load of the H beam 160.
  • the present invention distributes the load transmitted to the inner frame 113,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when lifting the H beam 160, in particular,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
  • the load distribution unit 170 may be further provided to minimiz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101 to design the link 112 and the outer frame 101 to be lighter in weight.
  • the load distribution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nner frame 113, respectively,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113 base
  • a load distribution rod 172 installed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71 formed in the frame 100, and a fastening portion 173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load distribution rod 172 at an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171. do.
  • the load of the H beam 160 is transmitted only to the base frame 100 through the load distribution rod 172, and thus,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It can be designed to be more lightweight.
  • the through hole 171 has a long hole shape, specifically, a long hole shape that is formed long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beam 160.
  • the fastening part 173 is preferably screwed to the load distributing rod 172 to adjust the position to be fasten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ad dispersing rod 172.
  • the width of the H beam 160 is 200 mm, for example, when the inner frame 113 approaches the H beam 160 to maximize the H beam 160, as shown in FIG. 15,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load distribution rods 172 is also reduced and the fastening portion 173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 the width of the H beam 160 to be lifted is 250 mm, for example, when the inner frame 113 approaches the H beam 160 to the maximum to lift the H beam 160, the beam shown in FIG.
  •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load distribution rods 172 i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but the fastening portion 173 has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 the operator adjusts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173, that is, the fastening part 173 adjusts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173 coupled to the load distributing rod 172 such that the fastening part 17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 the width of the H beam 160 to be lifted is 300 mm, for example, when the inner frame 113 approaches the H beam 160 to the maximum to lift the H beam 160, the beam shown in FIG.
  •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load distribution rods 172 is also reduced compared to the initial stage, but the fastening portion 173 has a state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 the operator similarly adjusts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173,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art 173 coupled to the load distributing rod 172 such that the fastening part 173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00. Can be adjusted. Subsequently, when the rope 151 is tensioned to lift the H beam 160 by rotating the hinge rotation bar 150, the load of the H beam 160 is only upward through the load distribution rod 172. Since it is transmitted, load transmission to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can be minimized.
  • the load of the H-beam 160 is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through the load dispersing unit 170 including the load distributing rod 172 and the fastening unit 173.
  • the weight reduction design of the plurality of links 112 and the outer frame 101 becomes possible.
  •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are connected to both end regions of the pair of base frames 100 to support the H beam 160 to be lifted.
  • the clamp module 114 rotates itself by gravity rather than a separate driving source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H beam 160.
  • the clamp module 114 When lifting the H beam 160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lamping units 110, the clamp module 114 directly contacts the H beam 160 to support the H beam 160.
  • the clamp module 114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inner frame 113.
  • the clamp module 114 contacts the H beam 160 as the inner frame 113 moves up and down while adjacent to the H beam 160, and rotates by the contact with the H beam 160 to rotate the H beam. Support 160.
  • the clamp module 114 includes a rotation clamp 115 to which rotation is freely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inner frame 113 and at least one support clamp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clamp 115. 118;
  • the support clamp 118 is described based on a p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 the rotation clamp 115 is formed so as to rotate by contact with the H beam 160 without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to rotate to a specific position by gravity when the contact with the H beam 160 is released.
  •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clamp 115 to rotate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lamp 115.
  • a first incision 122 is formed in the region of the inner frame 113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rotary clamp 115 is installed.
  • second and third cutouts 123 and 124 are formed in the region of the inner frame 113 corresponding to the region where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installed.
  • the rotation clamp 115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while the inner frame 113 is freely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113 while the inner frame 113 is vertically moved with respect to the H beam 160. .
  •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inner frame 113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beam 160 occurs when the H-beam 160 stacked in one or multiple stages is lifted.
  • the rotation clamp 115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inner frame 113 through the first rotating rod 125,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ng plate (128,129)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irst rotating rod 125 It is provided integrally. That is, when the first rotary rod 125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rotary connecting plates 128 and 129 rotate at the same time.
  • the rotation clamp 115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incision 122 so that the flange of the H beam 160 when the inner frame 113 moves up and down relative to the H beam 160.
  • a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that rotates in direct contact with 161 and a rotation clamp bent portion 117 that is formed to be bent at an end of the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 the rotation clamp 115 rotates by contact with the H beam 160 without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moves to a specific position by gravity when the contact with the H beam 160 is released. It is formed to rotate. Accordingly, the rotary clamp bent portion 117 is rotated to the rotary clamp contact portion 116 such that the rotary clamp bent portion 117 is located below the rotary clamp contact portion 116 in a state of not being in contact with the H beam 160. It is desirable to have a relatively heavy weight. Accordingly, since the rotary clamp contact portion 116 is positioned to penetrate the first incision 122 in a state where the rotary clamp 115 does not contact the H beam 160, the H clamp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inner frame 113. A standby state is provided for contacting the flange 161 of the beam 160.
  • a predetermined weight or mor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rotary clamp bent portion 117 or the rotary clamp bent portion 117 may be rotated. It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eavier weight than 116.
  •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the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in the inner frame 113 is connected via the rotation clamp 115 and the rotational linkage 132, and at the same time rotates when the rotation clamp 115 is rotated
  • the H beam 160 is suppor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H beam 160.
  •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clamp 115 with respect to the rotary clamp 115, respectively, the second rotary rod 126 and the third rotary rod 127 in the inner frame 113 Rotation is freely installed.
  • the second rotary rod 126 and the third rotary rod 127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provided with a third rotary connecting plate 130 and the fourth rotary connecting plate 131, respectively.
  • the third rotary connecting plate 130 and the fourth rotary connecting plate 131 are formed to rotate simultaneously when the second rotating rod 126 and the third rotating rod 127 rotate.
  •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position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incisions 123 and 124 when the rotation clamp 115 rotates, respectively, so that the flanges of the H beam 160 are formed.
  • the support clamp support part 119 which directly contacts the 161 and supports the H beam 160, and the support clamp bent part 120 which is formed to be bent at an end of the support clamp support part 119.
  • the rotary clamp 115 rotates by contact with the H beam 160 without a separate driving source, and the support clamp 118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clamp 115.
  • a pair of support clamp support 119 Is preferably disposed so as not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incisions 123 and 124.
  • the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when the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is positioned without penetrating the first incision 122, that is, the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rotates in contact with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 the pair of support clamp supports 119 are rotated to penetrate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incisions 123 and 124 to be in a standby state for supporting the H beam 160.
  • the support clamp 118 like the rotation clamp 115, is formed to rotate to a specific position by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contact with the H-beam 160 is released. Accordingly, the support clamp bent portion 12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clamp support portion 119 such that the support clamp bent portion 120 is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clamp support portion 119 in a state where it does not contact the H beam 160. It is desirable to have a relatively heavy weight.
  • the support clamp 118 is further provided with a non-slip pad 121 in the contact with the H-beam 160.
  • the anti-slip pad 121 may be made of any one or more than one of rubber, silicone, and epoxy, and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contacting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to lift the H-beam (the weight of the H-beam). 160 further prevents sliding in the longitudinal or lateral direction.
  • the rotary linking unit 132 may include a first rotary linking unit 133 connecting the first rotary connecting plate 128 and the third rotary connecting plate 130, a second rotary connecting plate 129, and a fourth rotary connecting unit 129. It includes a second rotary linking unit 134 for connecting the rotary connecting plate 131.
  • the first rotary linkage unit 133 and the second rotary linkage unit 134 may be applied by a chain or a wire.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rotational linking unit 133 and the second rotational linking unit 134 may be wound around the first to fourth rotational connecting plates 128, 129, 130, and 131 while having a certain rigidity or more, or may be the first to fourth. If it can be released from the rotary connecting plate (128, 129, 130, 131) is sufficiently applicable.
  •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when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rotated by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clamp 115,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may be removed. It further comprises a support clamp rotation limiting means 140 provided on the inner frame 113 to limit the rotation.
  • the rotation clamp contact portion 116 first contacts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to rotate. It passes through the three incisions 123 and 124 and rotates to approach the H-beam 160 side direction.
  •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substantially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to support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It is. After the tension is further applied to the rope 151, the tension can be made to lift the H beam 160.
  •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may not limit the rotation angle and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and third rotation rods 126 and 127,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may The beam 160 may not be supported normally.
  • the support clamp rotation limit means 140 for limi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clamp 118 must be provided.
  • the support clamp rotation limiting means 140 is applied to the side wall 141 forming the second and third cutouts (123, 124).
  • the support clamps 118 when the pair of support clamps 118 are rotated by a certain amount or more, the support clamps 118, that is, the support clamp supporters 119 are limited to the side walls 141 and are no longer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H beams ( The H beam 160 may be firmly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161 of the 160.
  • the lifting apparatus may double the one H beam 160 or the H beam 160 stacked in multiple stages as described above.
  • the lifting device by lifting the one H-beam 160 to be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H-beam 160, which is pre-arranged, a plurality of H The beam 160 can be raised simultaneously.
  • one H-beam 160 is doubled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at least one H-beam 160 arranged.
  • the support clamp 118 supports the H beam 160 while raising and lowering the inner frame 113, so that the lif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replace one H beam 160 with another H beam 160. After mounting on the upper surface, it is possible to lift a plurality of at the same time.
  • the lif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selectively lift only one or two or more H-beams 160 among the H-beams 160 stacked in a plurality of stages in some cases.
  • the worker is a normal rotation state of the rotation clamp 115 and the support clamp 118, specifically, the support clamp 118 is the H-beam 160 It further includes a sensor 180 and the lamp 190 so that the naked eye can easily check whether or not the normal contact with the flange 161.
  • the detection sensor 180 is provided in the inner frame 113 and checks the extent to which the support clamp 118 is in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flange 161 of the H beam 160.
  • the detection sensor 180 may detect a rotation angle of the support clamp 118, and the detection sensor 180 detects and supports a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clamp 118, that is, the support clamp support 119, from the installed position.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clamp 118 is checked.
  • the sensor 180 may be applied as an infrared sensor or a laser sensor.
  • the lamp 190 is provided in the base frame 100 and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180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check with the naked eye.
  • the lamp 190 may include red and green LEDs, and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180 and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180 is within a preset range. If present, a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lamp 190 to cause the green LED to emit light.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ction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180 is outside the set range, the control unit (not shown) transmits a signal to the lamp 190 to cause the red LED to emit light.
  • FIG. 19 is a view showing a lifting system having a clamping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lifting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ifting system) having a multi-beam support unit using gr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 Lif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sensor 180, lamp 190, the base frame 100, the clamping unit 110 and the hinge rotation bar 150.
  •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lifting device 191 for applying tension to the rope 15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nge rotation bar 150 so as to substantially lift the H beam 160, and a ramp provided in the lifting device 191.
  • the lifter 191 may be applied to the tower crane 191, the towel crane boom 192 is provided with a camera 193 to shoot the lifting device in the downward direction, substanti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 the monitor 194 is installed inside the driver's seat of the tower crane 191 to display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93.
  • the tower crane driver monitors the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194 to check whether the aforementioned clamping unit 110 properly supports the H beam 160, thereby more stably lifting the H beam 160. Will be able to perform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180, a lamp 190, a camera 193 and a monitor 194,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workers to assist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H-beam 160 on the ground. Thus, labor costs can be sa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는,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 영역에 연결되어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 중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상호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본 발명은,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등의 외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는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으며, 무동력으로 양중 대상체를 가압하여 양중 대상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 양중장치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묶고 풀거나,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나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보를 탈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보 양중장치 중 전기를 이용하는 보 양중장치가 타워크레인과 같이 상당한 높이를 갖는 크레인에 적용되는 경우, 크레인과 양중장치 사이의 거리가 매우 길어 양중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이 문제가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전기 등의 추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하여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다.
둘째,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는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다.
셋째, 무동력으로 양중 대상체를 가압하여 양중 대상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 및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 중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상호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은 힌지회전바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클램핑 유닛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회전바의 일단에는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기 위한 로프가 연결되며, 복수의 클램핑 유닛 사이에 양중 대상체가 배치되고 로프에 장력을 가하여 힌지회전바를 회전시킬 때, 힌지회전바의 타단은 양중 대상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양중 대상체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로프의 장력에 의해 힌지회전바의 타단이 양중 대상체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다.
힌지회전바의 타단에는 양중 대상체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은, 힌지회전바의 회전시에 이에 연동하여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거나 이격되도록 힌지축과 승강와이어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축은 힌지회전바와 외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회전바의 회전시에 힌지회전바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승강와이어의 일단은 힌지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은, 힌지회전바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힌지회전바에 접촉되어 힌지회전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바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회전바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 승강 와이어에 연결된 내부 프레임은 복수의 링크의 링크 운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힌지회전바의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시, 승강 와이어에 연결된 내부 프레임은 복수의 링크의 링크 운동에 의해 하강하면서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클램핑 유닛은, 복수의 클램핑 유닛 사이에 배치된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때, 양중 대상체에 접촉하여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클램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 모듈은, 내부 프레임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내부 프레임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회전 클램프와, 회전 클램프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클램프는, 내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내부 프레임이 양중 대상체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도중에 양중 대상체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지지 클램프는, 회전 클램프와 회전연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 클램프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회전하여 양중 대상체의 플랜지에 접촉하여 양중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클램프는 한 쌍의 지지 클램프이며, 회전 클램프 및 한 쌍의 지지 클램프는 내부 프레임에 각각 제1, 제2 및 제3 회전봉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회전 클램프에 연결되는 제1 회전봉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회전연결판이 더 마련되며, 한 쌍의 지지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제2 및 제3 회전봉에는 각각 제3 및 제4 회전연결판이 더 마련되며, 회전연동부는, 제1 회전연결판과 제3 회전연결판을 연결하는 제1 회전연동부; 및 제2 회전연결판과 제4 회전연결판을 연결하는 제2 회전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연동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일 수 있다.
회전 클램프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내부 프레임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1 절개구가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내부 프레임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2 및 제3 절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클램프는, 양중 대상체에 인접하는 내부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제1 절개구를 관통하도록 위치하며, 내부 프레임이 양중 대상체에 대해 상하 이동할 때 양중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클램프 접촉부; 및 회전 클램프 접촉부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 클램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 클램프는 각각, 회전 클램프와 연동하여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회전할 때, 제2 및 제3 절개구를 관통하여 내부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양중 대상체에 접촉되어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 및 지지 클램프 지지부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 클램프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회전 클램프의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한 쌍의 지지 클램프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은 제2 및 제3 절개구를 형성하는 측벽이며,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지지 클램프는 측벽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지지 클램프는 양중 대상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클램프 절곡부는 회전 클램프 접촉부 보다 무거운 중량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클램프 절곡부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 보다 무거운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내부 프레임 사이에 양중 대상체가 배치된 후 양중 대상체의 양중시 외부 프레임 및 복수의 링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하중분산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하중분산부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되 내부 프레임의 상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중분산봉; 및 관통홀의 상측에서 하중분산봉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은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는 하중분산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중분산봉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양중 대상체에 대한 지지 클램프의 걸리는 정도를 체크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외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 및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 중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사이 거리를 동시에 조절하되 일단에는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기 위한 로프가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를 포함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은 힌지회전바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클램핑 유닛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양중 대상체에 대한 클램핑 유닛의 걸리는 정도를 체크하기 위한 감지센서;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램프;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도록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양중기; 양중기에 마련되어 램프의 발광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양중기에 마련되어 카메라의 촬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 시스템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중력을 이용한 클램프 모듈의 작동을 통해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폭 조절이 가능한 내부 프레임을 이용하여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는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수 있으며, 무동력으로 양중 대상체를 가압하여 양중 대상체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가 에이치 빔을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에 하중분사수단이 추가적으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의 클램프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의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이 증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의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이 감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3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의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이 증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3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의 로프에 부여되는 장력이 감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2 및 도 3의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에서 외부 프레임과 링크의 변경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양중 대상체인 에이치 빔의 폭 변경에 따라 하중분산부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가 순차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에이치 빔을 양중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이하, '양중장치'라 한다)는, 후술하는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동력 이외에 추가 동력없이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양중 대상체, 구체적으로 에이치 보(H-beam) 또는 아이 보(I-beam)(이하, '에이치 빔'이라 한다)을 양중(lift)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중장치는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는 에이치 빔을 양중할 수 있도록 에이치 빔의 폭 사이즈에 대응하여 양중장치,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내부 프레임 및 클램핑 유닛 사이의 폭이 무동력으로 자동 조절된다. 덧붙여, 에이치 빔의 양중시 에이치 빔이 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중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로 다단 적층된 에이치 빔을 한번에 양중하여 이동시키거나, 하나의 에이치 빔을 양중한 후 기배치되어 있는 다른 에이치 빔 상면에 안착시킨 후 한꺼번에 복수의 에이치 빔을 양중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양중장치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양중 대상체(이하, '에이치 빔'이라 한다)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과,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 중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의 사이 거리를 동시에 조절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은 별도의 연결프레임 등을 통해 상호 일체로 연결된다.
또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은 각각, 힌지회전바(150)와 힌지축(102)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10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단부 영역에는 후술하는 내부 프레임(113)을 마주보도록 각각 외부 프레임(101)이 형성된다.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 단부 영역 즉, 외부 프레임(101)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 대상체인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클램핑 유닛(110)은,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101) 사이에 배치되되 복수의 외부 프레임(101)과 복수의 링크(112)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01)이 4개로 마련되는 경우, 내부 프레임(113)은 4개의 외부 프레임(101)에 서로 마주보도록 4개가 마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외부 프레임(101)이 8, 12개 등 4의 배수로 마련되는 경우에 내부 프레임(113) 또한 외부 프레임(101)의 개수와 대응하는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프레임(113)과 전술한 링크(112)를 포함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에 대해서는 힌지회전바(150)와의 상호 운동관계를 설명할 때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150)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 사이에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 중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 즉, 에이치 빔(16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내부 프레임(113)들의 사이 거리를 동시에 조절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프레임(101)과 내부 프레임(113)이 각각 4개로 마련되고, 힌지회전바(150)가 서로 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에 각각 연결되도록 2개로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부 프레임(101)과 내부 프레임(113)이 각각 4의 배수인 8, 12개로 마련되는 경우, 힌지회전바(150)는 8, 12개의 반인 4, 6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외부 프레임(101) 및 내부 프레임(113)이 4개로 마련되고 힌지회전바(150)가 2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에는 서로 대향하게 마주보는 2쌍의 내부 프레임(113) 사이에 배치되는 에이치 빔(160)을 양중하기 위한 로프(151)가 연결된다. 여기서 로프(151)의 타단은 크레인과 같은 양중기의 붐대에 연결된다. 즉, 크레인 작동에 의해 로프(151)에 부여되는 장력이 조절되며 로프(151)를 끌어올리는 경우에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은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힌지회전바(150)는 힌지축(102)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102)은 힌지회전바(150)와 외부 프레임(101) 사이에 개재되어 힌지회전바(150)와 동시에 회전하는 힌지브래킷(103)을 포함한다. 즉,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151)에 장력이 부여됨에 따라 힌지회전바(150) 및 힌지브래킷(103)은 동시에 회전된다.
정리하자면, 도 5, 6,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복수의 내부 프레임(113)들 사이에 에이치 빔(160)이 배치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을 이동시킨 후, 크레인을 작동시켜 로프(151)에 장력을 가하여 힌지회전바(150)를 회전시킬 때, 힌지회전바(150)는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힌지회전바(150)의 타단은 에이치 빔(160)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에이치 빔(160)의 상면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즉,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키고자 로프(151)에 장력이 걸리면 에이치 빔(160)의 상면에 대한 힌지회전바(150)의 기울어진 각도는 더욱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클램프 모듈(114)에 의해 에이치 빔(160)이 클램프되거나 지지된 상태에서 힌지회전바(150)의 타단은 초기 상태에 비해 에이치 빔(160)을 가압시키게 된다.
이러한 힌지회전바(150)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에이치 빔(160)의 양중 시에 에이치 빔(160)의 상면을 가압하여 양중되는 에이치 빔(160)이 측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양중작업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전술한 힌지회전바(150)의 상면 가압 효과는, 클램프 모듈(114)에 의해 에이치 빔(160)이 지지된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113)들 사이에 하나의 에이치 빔(160)이 배치되거나 복수의 에이치 빔(160)이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는 경우에 관계없이 최상층의 에이치 빔(160)에 동일하게 발생한다.
한편, 로프(151)에 부여되는 장력 조절을 통해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은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되며, 이때 힌지회전바(150)의 타단은 에이치 빔(160)의 상면을 따라 보다 자연스럽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1 내지 도 3, 도 5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회전바(150)의 타단에 에이치 빔(160)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롤러(1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힌지회전바(150)의 타단에는 전술한 롤러(152) 이외에 에이치 빔(160) 상면과의 마찰력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가 양중 대상체(에이치 보(beam))를 양중하지 않은 상태에서 힌지회전바(150)가 대략적으로 팔(八)자 형태로 되어 에이치 보를 양중할 때 거꾸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회전바(150)의 상측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바(104)가 마련된다.
회전제한바(104)는, 힌지회전바(150)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힌지회전바(150)에 접촉되어 힌지회전바(150)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을 연결하는 별도의 구성으로 적용되거나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은 힌지회전바(15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바(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힌지회전바(150)와의 상호 결합관계 및 운동관계를 통해 전술한 클램핑 유닛(110)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클램프 모듈(114)이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113)은, 힌지회전바(150)의 회전시에 이에 연동하여 외부 프레임(101)에 접근하거나 이격되도록 힌지축(102)과 승강와이어(111)를 통해 연결된다.
도 6, 8, 10,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와이어(111)의 일단은 힌지브래킷(103)에 연결되고 타단은 내부 프레임(113)에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회전바(150)의 회전에 의해 힌지브래킷(103) 또한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힌지브래킷(103)의 회전방향에 따라 승강와이어(111)는 힌지브래킷(103)에 권취되거나 힌지브래킷(103)으로부터 풀려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프(151)가 연결된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이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부 프레임(113)은 외부 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하강하도록 승강와이어(111)는 힌지브래킷(103)에 적절하게 고정 연결된다. 이때, 서로 대향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의 상호 간격 또는 사이 간격은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도 7, 8, 11,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151)가 연결된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이 힌지축(102)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는 경우, 내부 프레임(113)은 승강하도록 승강와이어(111)는 힌지브래킷(103)에 적절하게 고정 연결된다. 이때, 서로 대향한 상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의 사이 간격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내부 프레임(113)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힌지회전바(150)의 회전과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동시에 외부 프레임(101)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도 5, 6,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회전바(150)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승강와이어(111)에 연결된 내부 프레임(113)은 복수의 링크(112)의 링크 운동과 승강와이어(111)의 인력에 의해 외부 프레임(101)에 접근함과 더불어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서로 대향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들의 사이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한편, 도 7, 8, 11,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회전바(150)가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하는 경우, 승강와이어(111)에 연결된 내부 프레임(113)은 복수의 링크의 링크 운동과 승강와이어(111)의 인력에 의해 외부 프레임(101)으로부터 이격됨과 더불어 하강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들의 사이 거리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2쌍의 내부 프레임(113)들 사이에 에이치 빔(160)이 배치되는 경우, 외부 프레임(101)에 대해 내부 프레임(113)을 접근시키거나 이격시켜서, 서로 인접하게 마주보는 한 쌍의 내부 프레임(113) 사이의 간격이 에이치 빔(160)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 구성이 필요 없이 다양한 폭 사이즈를 갖는 에이치 빔(160)을 양중할 수 있는 커다란 이점을 갖게 된다.
여기서, 외부 프레임(101)과 내부 프레임(113)을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112)는, 승강와이어(111)의 인력에 의해 내부 프레임(113)이 외부 프레임(101)에 접근하거나 이격되도록, 외부 프레임(101)과 내부 프레임(113)에 적절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후술하는 클램프 모듈(114)을 통해 에이치 빔(160)이 지지된 상태에서 로프(151)를 끌어 올려서 에이치 빔(160)을 양중할 때, 에이치 빔(160)의 하중은 복수의 링크(112)와 외부 프레임(101)과 내부 프레임(11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내부 프레임(113) 뿐만 아니라 복수의 링크(112)와 외부 프레임(101)은 에이치 빔(160)의 하중에 따른 적절한 소재 선택 및 강성 설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킬 때, 내부 프레임(113),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에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특히, 복수의 링크(112)와 외부 프레임(101)으로 전달되는 하중을 최소화하여 링크(112)와 외부 프레임(101)을 보다 경량화하여 설계하도록 하중분산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중분산부(170)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113)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되 내부 프레임(113)의 상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에 형성된 관통홀(17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중분산봉(172)과, 관통홀(171)의 상측에서 하중분산봉(172)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173)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이치 빔(160)의 하중은 오로지 하중분산봉(172)을 통해 베이스 프레임(100) 등에 전달되므로 복수의 링크(112)와 외부 프레임(101)을 보다 경량화하여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통홀(171)은 장공형, 구체적으로 에이치 빔(160)의 폭 방향을 따라 보다 길게 형성되는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체결부(173)는 하중분산봉(17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중분산봉(172)에 나사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에이치 빔(160)의 폭이 예를 들어 200mm인 경우, 에이치 빔(160)을 양중하고자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최대로 접근하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중분산봉(172) 사이의 간격도 감소하게 되며 체결부(173)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로프(151)에 장력을 부여하여 힌지회전바(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에이치 빔(160)을 들어올리게 되면, 관통홀(171) 주변의 베이스 프레임(100)이 상승하면서 체결부(173) 및 하중분산봉(172)을 끌어올리게 된다. 이때, 에이치 빔(160)의 하중은 오로지 하중분산봉(172)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양중하고자 하는 에이치 빔(160)의 폭이 예를 들어 250mm인 경우, 에이치 빔(160)을 양중하고자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최대로 접근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중분산봉(172) 사이의 간격도 초기에 비해 감소하게 되지만 체결부(173)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체결부(173)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즉, 체결부(173)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중분산봉(172)에 결합된 체결부(173)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후, 로프(151)에 장력을 부여하여 힌지회전바(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에이치 빔(160)을 들어올리게 되면, 에이치 빔(160)의 하중은 오로지 하중분산봉(172)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양중하고자 하는 에이치 빔(160)의 폭이 예를 들어 300mm인 경우, 에이치 빔(160)을 양중하고자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최대로 접근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하중분산봉(172) 사이의 간격도 초기에 비해 감소하게 되지만 체결부(173)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으로부터 더욱 이격된 상태를 갖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마찬가지로 체결부(173)의 체결 위치를 조절하여 즉, 체결부(173)가 베이스 프레임(100)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하중분산봉(172)에 결합된 체결부(17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로프(151)에 장력을 부여하여 힌지회전바(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에이치 빔(160)을 들어올리게 되면, 에이치 빔(160)의 하중은 오로지 하중분산봉(172)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전달되므로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통상적으로 작업 현장에서는 보통 비슷한 규격의 에이치 빔을 연속적으로 양중하므로, 작업자가 체결부(173)를 조절하는 상황은 빈번하게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중분산봉(172) 및 체결부(173)를 포함하는 하중분산부(170)을 통해 에이치 빔(160)의 하중이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링크(112) 및 외부 프레임(101)의 경량화 설계가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의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은,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100)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내부 프레임(113)과 클램프 모듈(114)을 포함한다.
클램프 모듈(114)은 별도의 구동원이 아니라 중력에 의해 자체적으로 회전하여 실질적으로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것이다. 복수의 클램핑 유닛(110) 사이에 배치된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킬 때, 클램프 모듈(114)은 에이치 빔(160)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 모듈(114)은 내부 프레임(113)의 하부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클램프 모듈(114)은,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인접한 상태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에이치 빔(160)에 접촉하게 되며,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여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클램프 모듈(114)은, 내부 프레임(113)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회전 클램프(115)와, 회전 클램프(115)의 양측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클램프(118)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지지 클램프(118)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클램프(115)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함과 더불어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특정 위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는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회전하도록 회전 클램프(115)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클램프(115)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 회전 클램프(115)의 일부는 에이치 빔(160)에 인접하는 내부 프레임(113)의 일측면으로부터 에이치 빔(160) 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내부 프레임(113)이 상하 이동하게 되면, 상기 회전 클램프(115)의 돌출된 부분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하여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회전 클램프(115)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내부 프레임(113)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1 절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 클램프(115)와 연동하여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가 회전할 때, 지지 클램프(118)의 일부가 내부 프레임(113)의 일측면으로부터 에이치 빔(160) 측으로 더 돌출되어 에이치 빔(160)에 접촉한 상태로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내부 프레임(113)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가 형성된다.
회전 클램프(115)는, 내부 프레임(1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도중에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하여 회전한다.
여기서,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것은 1단 또는 다단으로 적층된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킬 때 발생하는 것으로서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클램프(115)는 내부 프레임(113)에 제1 회전봉(125)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제1 회전봉(125)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회전연결판(128,129)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즉, 제1 회전봉(125)의 회전시에 제1 및 제2 회전연결판(128,129)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클램프(115)는, 제1 절개구(122)를 관통하도록 위치하여 내부 프레임(113)이 에이치 빔(160)에 대해 상하 이동할 때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와,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클램프(115)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함과 더불어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특정 위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이치 빔(160)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가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는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전 클램프(115)가 에이치 빔(160)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는 제1 절개구(122)를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하므로 내부 프레임(113)의 승강을 통해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하기 위한 대기 상태를 갖게 된다.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가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도록,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에 일정 이상의 중량체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거나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를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는, 내부 프레임(113)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되 회전 클램프(115)와 회전연동부(132)를 통해 연결되며,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회전하여 에이치 빔(160)에 접촉한 상태로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는 회전 클램프(115)를 기준으로 회전 클램프(115)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내부 프레임(113)에 제2 회전봉(126) 및 제3 회전봉(127)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한편,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회전봉(126) 및 제3 회전봉(127)에는 각각 제3 회전연결판(130) 및 제4 회전연결판(131)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3 회전연결판(130) 및 제4 회전연결판(131)은 제2 회전봉(126) 및 제3 회전봉(127)의 회전시에 동시에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는 각각,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시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를 관통하도록 위치하여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와,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 클램프 절곡부(12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 클램프(115)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며, 지지 클램프(118)는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한편, 회전 클램프(115)가 에이치 빔(160)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 즉,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가 제1 절개구(122)를 관통하는 상태로 위치할 때 한 쌍의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는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를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가 제1 절개구(122)를 관통하지 않는 상태로 위치할 때 즉,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하여 회전한 상태에서, 한 쌍의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는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를 관통하도록 회전하여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지지 클램프(118)도 회전 클램프(115)와 마찬가지로 에이치 빔(160)과의 접촉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중력에 의해 특정 위치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에이치 빔(160)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지지 클램프 절곡부(120)가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 클램프 절곡부(120)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클램프(118)는 에이치 빔(160)과 접촉되는 부위에 미끄럼 방지패드(121)가 더 마련되어 있다.
미끄럼 방지패드(121)는 고무, 실리콘 및 에폭시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되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에 마련되어 양중 중인 에이치 빔(160)이 길이 방향 또는 측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한층 방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력은 회전연동부(132)를 통해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로 각각 전달되므로,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과 동시에 지지 클램프(118)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연동부(132)는, 제1 회전연결판(128)과 제3 회전연결판(130)을 연결하는 제1 회전연동부(133)와, 제2 회전연결판(129)과 제4 회전연결판(131)을 연결하는 제2 회전연동부(13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회전연동부(133) 및 제2 회전연동부(134)는 체인 또는 와이어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회전연동부(133) 및 제2 회전연동부(134)는, 일정 이상의 강성을 가지면서 제1 내지 제4 회전연결판(128,129,130,131)에 권취되거나 제1 내지 제4 회전연결판(128,129,130,131)으로부터 풀려질 수 있는 것이라면 충분히 적용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회전 클램프(115)의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해 내부 프레임(113)에 마련되는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140)을 더 포함한다.
즉, 내부 프레임(113)이 상승함에 따라 먼저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되어 회전하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가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를 관통하여 에이치 빔(160) 측 방향으로 접근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프레임(113)이 상승하게 되면,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는 실질적으로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의 저면에 접촉하여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를 지지하는 것이다. 이후 로프(151)에 더더욱 장력이 부여되면 상기 장력에 의해 에이치 빔(160)을 양중(lift)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지 못하고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가 제2 및 제3 회전봉(126,127)에 대해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면,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는 에이치 빔(160)을 정상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가 에이치 빔(160)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지지 클램프(118)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140)이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140)은, 제2 및 제3 절개구(123,124)를 형성하는 측벽(141)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 클램프(118)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지지 클램프(118) 즉,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는 측벽(141)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며 이와 동시에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 저면에 접촉한 상태로 에이치 빔(16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키거나 복수로 다단 적층된 에이치 빔(160)을 한번에 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는, 하나의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켜 기배치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에이치 빔(160)의 상면에 안착시킨 후 복수의 에이치 빔(160)을 동시에 양중시킬 수 있다.
먼저, 하나의 에이치 빔(160)을 양중시켜 기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이치 빔(160)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내부 프레임(113)을 하강시키면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는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되어 제1 절개구(122)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 내부 프레임(113)이 더욱 하강하여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와의 상호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 회전 클램프 절곡부(117)는 자체중량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회전 클램프 접촉부(116)는 제1 절개구(122)를 통해 에이치 빔(160) 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내부 프레임(113)을 승강시키면서 지지 클램프(118)가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는 하나의 에이치 빔(160)을 다른 에이치 빔(160) 상면에 안착시킨 후 동시에 복수의 양중시킬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실시예의 양중장치는, 경우에 따라 복수로 다단 적층된 에이치 빔(160) 중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에이치 빔(160)만을 양중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회전 클램프(115) 및 지지 클램프(118)의 정상적인 회전 상태, 구체적으로 지지 클램프(118)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정상적으로 접촉하는 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감지센서(180)와 램프(190)를 더 포함한다.
감지센서(180)는, 내부 프레임(113)에 마련되며 지지 클램프(118)가 에이치 빔(160)의 플랜지(161)에 접촉 지지되는 정도를 체크한다.
이러한 감지센서(180)는 지지 클램프(118)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180)는 설치된 위치로부터 지지 클램프(118) 즉, 지지 클램프 지지부(119)와의 사이 거리를 감지하여 지지 클램프(118)가 회전한 정도를 체크하게 된다. 여기서, 감지센서(180)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로 적용될 수 있다.
램프(19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마련되며 감지센서(180)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좀 더 자세하게, 램프(190)는 적색 및 녹색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트롤부(미도시)는 감지센서(180)의 감지값을 전달받아 감지센서(180)의 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램프(190)로 신호를 전달하여 녹색 LED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에, 컨트롤부(미도시)는 감지센서(180)의 감지값이 설정된 범위 밖인 것으로 판단되면 램프(190)로 신호를 전달하여 적색 LED가 발광하도록 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양중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력을 이용한 다중보 지지부를 구비한 양중 시스템(이하, '양중 시스템'이라 한다)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 시스템은, 전술한 감지센서(180), 램프(190), 베이스 프레임(100), 클램핑 유닛(110) 및 힌지회전바(150)를 구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와, 에이치 빔(160)을 실질적으로 양중하도록 힌지회전바(150)의 일단에 연결된 로프(151)에 장력을 부여하는 양중기(191)와, 양중기(191)에 마련되어 램프(190)의 발광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193)와, 양중기(191)에 마련되어 카메라(193)의 쵤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9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양중기(191)는 타워 크레인(191)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타월 크레인 붐대(192)에는 하측 방향,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양중장치를 촬영하도록 카메라(193)가 설치되어 있다.
모니터(194)는 타워 크레인(191)의 운전석 내부에 설치되어 카메라(193)가 촬영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타워 크레인 운전 기사는 모니터(194)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모니터링하여 전술한 클램핑 유닛(110)이 적절하게 에이치 빔(160)을 지지하는 지를 확인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에이치 빔(160)의 양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은 감지센서(180), 램프(190), 카메라(193) 및 모니터(194)를 구비함으로써, 지상에서 에이치 빔(160)의 양중 작업을 보조하는 작업자 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인건비를 절약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Claims (28)

  1.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 중 서로 대향 이격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상호 간격을 조절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힌지회전바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바의 일단에는 상기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기 위한 로프가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 사이에 상기 양중 대상체가 배치되고 상기 로프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힌지회전바를 회전시킬 때, 상기 힌지회전바의 타단은 상기 양중 대상체의 상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양중 대상체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상기 로프의 장력에 의해 상기 힌지회전바의 타단이 상기 양중 대상체의 상면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바의 타단에는 상기 양중 대상체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하는 롤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힌지회전바의 회전시에 이에 연동하여 상기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거나 이격되도록 상기 힌지축과 승강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은 상기 힌지회전바와 상기 외부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힌지회전바의 회전시에 상기 힌지회전바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힌지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힌지브래킷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부 프레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힌지회전바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힌지회전바에 접촉되어 상기 힌지회전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회전바의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링크의 링크 운동에 의해 상승하면서 상기 외부 프레임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회전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상기 힌지회전바의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승강 와이어에 연결된 상기 내부 프레임은 상기 복수의 링크의 링크 운동에 의해 하강하면서 상기 외부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힌지회전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은,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 사이에 배치된 상기 양중 대상체를 양중시킬 때, 상기 양중 대상체에 접촉하여 상기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클램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모듈은, 상기 내부 프레임의 하부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 프레임에 대해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회전 클램프와, 상기 회전 클램프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 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클램프는, 상기 내부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내부 프레임이 상기 양중 대상체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도중에 상기 양중 대상체에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회전 클램프와 회전연동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 클램프의 회전시 이와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양중 대상체의 플랜지에 접촉하여 상기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지지 클램프는 한 쌍의 지지 클램프이며,
    상기 회전 클램프 및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는 상기 내부 프레임에 각각 제1, 제2 및 제3 회전봉을 통해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클램프에 연결되는 상기 제1 회전봉의 양단부에는 제1 및 제2 회전연결판이 더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클램프에 각각 연결되는 제2 및 제3 회전봉에는 각각 제3 및 제4 회전연결판이 더 마련되며,
    상기 회전연동부는,
    상기 제1 회전연결판과 상기 제3 회전연결판을 연결하는 제1 회전연동부; 및
    상기 제2 회전연결판과 상기 제4 회전연결판을 연결하는 제2 회전연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연동부는 체인 또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클램프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1 절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설치된 영역과 대응하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영역에는 관통되는 제2 및 제3 절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클램프는,
    상기 양중 대상체에 인접하는 상기 내부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상기 제1 절개구를 관통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내부 프레임이 상기 양중 대상체에 대해 상하 이동할 때 상기 양중 대상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 클램프 접촉부; 및
    상기 회전 클램프 접촉부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회전 클램프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는 각각,
    상기 회전 클램프와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회전할 때, 상기 제2 및 제3 절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프레임의 일측면으로부터 더 돌출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양중 대상체에 접촉되어 상기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지지 클램프 지지부; 및
    상기 지지 클램프 지지부의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지지 클램프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 클램프의 회전시 이에 연동하여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의 더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제2 및 제3 절개구를 형성하는 측벽이며, 상기 한 쌍의 지지 클램프가 일정 이상 회전한 경우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측벽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는 상기 양중 대상체와 접촉되는 부위에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클램프 절곡부는 상기 회전 클램프 접촉부 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클램프 절곡부는 상기 지지 클램프 지지부 보다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 사이에 상기 양중 대상체가 배치된 후 상기 양중 대상체의 양중시 상기 외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링크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한 하중분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산부는,
    상기 복수의 내부 프레임의 상부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내부 프레임의 상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중분산봉; 및
    상기 관통홀의 상측에서 상기 하중분산봉의 단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장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하중분산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되는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하중분산봉에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양중 대상체에 대한 상기 지지 클램프의 걸리는 정도를 체크하기 위한 감지센서; 및
    상기 외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
  28.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호 간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 단부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양중하고자 하는 양중 대상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 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힌지 운동을 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클램핑 유닛 중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클램핑 유닛의 사이 거리를 동시에 조절하되 일단에는 상기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기 위한 로프가 연결되는 적어도 두개의 힌지회전바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힌지회전바와 힌지축을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마주보는 복수의 외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외부 프레임과 복수의 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복수의 내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양중 대상체에 대한 상기 클램핑 유닛의 걸리는 정도를 체크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램프;
    상기 양중 대상체를 양중하도록 상기 로프에 장력을 부여하는 양중기;
    상기 양중기에 마련되어 상기 램프의 발광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양중기에 마련되어 상기 카메라의 촬영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 시스템.
PCT/KR2010/006121 2010-08-10 2010-09-09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WO201202088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007 2010-08-10
KR1020100077007A KR101243572B1 (ko) 2010-08-10 2010-08-10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0881A1 true WO2012020881A1 (ko) 2012-02-16
WO2012020881A8 WO2012020881A8 (ko) 2013-10-10

Family

ID=4556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6121 WO2012020881A1 (ko) 2010-08-10 2010-09-09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43572B1 (ko)
WO (1) WO20120208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0501A (zh) * 2020-10-27 2021-02-26 安徽云天冶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炉滑板用多角度更换装置及其更换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9735B1 (ko) * 2022-04-26 2023-03-14 김두환 호이스트크레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168A (en) * 1980-11-13 1983-09-20 Acf Industries, Incorporated Clamping assembly for lifting heavy objects having a bulbous engagement portion
JPH063985U (ja) * 1992-06-17 1994-01-18 鹿島建設株式会社 長尺揚重物の自動水平位置修正装置
JPH06271246A (ja) * 1993-03-16 1994-09-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揚重リフト
JP2002274774A (ja) * 2001-03-21 2002-09-25 Notsu Unso Kk パイプ吊り上げ機具
JP2003034489A (ja) * 2001-07-19 2003-02-07 Notsu Unso Kk 挟持吊り上げ機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05168A (en) * 1980-11-13 1983-09-20 Acf Industries, Incorporated Clamping assembly for lifting heavy objects having a bulbous engagement portion
JPH063985U (ja) * 1992-06-17 1994-01-18 鹿島建設株式会社 長尺揚重物の自動水平位置修正装置
JPH06271246A (ja) * 1993-03-16 1994-09-27 Mitsui Constr Co Ltd 建築資材用揚重リフト
JP2002274774A (ja) * 2001-03-21 2002-09-25 Notsu Unso Kk パイプ吊り上げ機具
JP2003034489A (ja) * 2001-07-19 2003-02-07 Notsu Unso Kk 挟持吊り上げ機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0501A (zh) * 2020-10-27 2021-02-26 安徽云天冶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转炉滑板用多角度更换装置及其更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20881A8 (ko) 2013-10-10
KR101243572B1 (ko) 2013-03-20
KR20120014810A (ko) 2012-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5790A2 (en) Hoist using friction wheel
WO2016111503A1 (ko) 액추에이터 및 그를 이용한 운동 기구
WO2011007949A1 (ko) 가설대 승강장치
WO2012023778A2 (ko) 로프 제동장치
WO2020162665A1 (ko) 풍력 발전기 설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WO2011122811A2 (ko) 지중전력구 3상 배전케이블 동시 풀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풀링 자동화 공법
WO2021194101A1 (ko) 간접활선 작업이 가능한 장선기용 예각 가이드 구동형 전선 클립 및 이를 이용한 전선 고정공법
WO2013005886A1 (ko) 고가 사다리차
WO2011040674A1 (ko) 리프트장치
WO2019198924A1 (ko) 리프터
WO2014196723A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로툰다형 탑승교
WO2018038334A1 (ko) 틸팅 스테이지 시스템
WO2012020881A1 (ko) 중력을 이용한 클램핑 유닛을 구비한 다중보 양중장치와 다중보 양중 시스템
WO2022231086A1 (ko) 풍력 발전 시스템의 설치와 유지 보수를 위한 자력 승강식 크레인 장치
WO2018093007A1 (ko) 리프트 테이블용 승강 장치
WO2019083315A1 (ko) 고소 설치 기기용 승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59056A1 (ko) 폴의 승하강 링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폴 승하강 시스템
WO2015026037A1 (ko) 그리퍼 방식의 전선 포설장치
WO2021002732A1 (ko) 균형추 로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로핑장치
WO2024010253A1 (ko) 무인 배송 로봇
WO2010058922A2 (ko) 높낮이 조절장치
WO2022169006A1 (ko) 크레인용 리프팅 장치
WO2020054944A1 (ko) 건물 벽체 공사용 클라이밍 장치
WO2023063745A1 (ko) 단적재 리프트 장치
WO2020230932A1 (ko) 각도조절 및 스윙 가능한 스미스 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59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59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