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49229A2 -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 Google Patents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49229A2
WO2011149229A2 PCT/KR2011/003756 KR2011003756W WO2011149229A2 WO 2011149229 A2 WO2011149229 A2 WO 2011149229A2 KR 2011003756 W KR2011003756 W KR 2011003756W WO 2011149229 A2 WO2011149229 A2 WO 2011149229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ntent
editing
screen
item
tem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375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149229A3 (ko
Inventor
이기봉
Original Assignee
(주)비즈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즈키즈 filed Critical (주)비즈키즈
Publication of WO2011149229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49229A2/ko
Publication of WO2011149229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49229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based o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which includes an e-learning content editing method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a conventional CMS,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UI UI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editing method that can be edited by a computer,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380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provides additional data in the form of visual data such as images / videos / characters related to audio presets as an additional service to object-based audio services.
  • 'prior art 1' provides additional data in the form of visual data such as images / videos / characters related to audio presets as an additional service to object-based audio services.
  • it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n object-based audio service that allows a user to author or edit various audio contents according to their taste, a method of creating, editing, or playing a multi-object audio content file for the same, and a file structure thereof.
  • the object-based audio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ior art 1, generating a plurality of audio objects constituting the audio content; Generating an audio preset defining an object property for each audio object; And multiplexing and transmitting the audio object, the audio preset, and additional data related to the audio preset.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1117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disclos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organizing contents that can organize and manage contents in a structured and efficient manner.
  • the content organization method of the prior art comprising the steps of creating and providing a list of the contents;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organizing at least one contents of the list of contents by time zones; Storing schedule information organiz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in the form of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And transmitting the stored schedule information to provide a corresponding content to a user according to the schedule information.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381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3') includes a server connected to a us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 animation file embedded in a server and an XML file in which anim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animation file is stored, and the server is suitable for the selection condition when the user inputs a selection condition of an animation according to a plurality of scenario conditions.
  • Display the anima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to select and save the required animation, and when animations according to all scenario conditions are selected, reconstruct it to generate new content, save it as an animation file, and provide it to the user, and reconstructed animation It shows how to create and use user-centered contents using animation process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used as a file, and the system.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arning content edi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CMS as a CMS based on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a system a system
  •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contents such as curriculum, templates, and themes (UI), which ar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the contents of e-learning contents through item input using the item editor.
  • a content editing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editing Contents), a system thereof,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asily edi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templates, themes (UI), etc. that are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and also easy to edit (register, modify or delete) through the item edi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editing a content,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eate a curriculum list and a template list by registering a curriculum (template) and a template (template), select the desired curriculum and template from the registered list and then the questions through the item edi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editing method for producing e-learning content by editing, a system,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method.
  • the edit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edit, produce and utilize educational contents desired by an educational provid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ent management system (CMS) having an object-oriented, XML-based content editing solution.
  •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 the content editing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reat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curriculum (Curriculum); Creating, managing a template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template; And an item editing step of creating and managing an e-learning list by selecting a desired curriculum from the curriculum list, selecting a template from the template list, and entering an item through an item editor. And a content edit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 the item editor of the step (b)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inputting the content of the e-learning content or modifying the previously input content.
  • the item editor is a method of inputting, modifying, or deleting items for a selected part of a curriculum, and includes an interactive editing UI and a step-by-step input method.
  • the item editor includes selecting and adding or editing an item of content previously inputted into a subdivided directory.
  • the theme editor of the step (c) in the present invention GUI to select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ground, the function button, the content window and the text box of the screen to implement the content from the previously stored data and newly created data, Editing and storing the siz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selected configuration.
  • the content includes any one of a program including language learning, fairy tales, education, games, common sense, economics, history, people, politics, and website development.
  • a content editing method based on XML comprising the steps of: (a) subdividing an execution content item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a system in a content main screen and displaying the result in a directory; (b) executing a content editor and editing a content item when an editing command is input after a content item is selec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ub-categories on the content main screen; (c) executing a theme editor to input and edit a theme item when a theme editing command is input in the main content screen; and (d) executing a template editor when a template editing command is input in the main content screen.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template; and (e) executing a corresponding content when an execution command is input to a content item selected and edited in the above steps (a) to (d); It relates to a content editing method comprising a.
  • the content edit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creat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curriculum; Creating, managing a template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template; And selecting a desired curriculum from the curriculum list, selecting a template from the template list, and inputting an item through an item editor to create and manage e-learning content.
  • the content editor of step (b) may further include a method of inputting, modifying, or deleting items for the selected part of the curriculum, or an interactive editing UI and a step-by-step input method.
  • the editor includes selecting and adding or editing an item of content previously entered in the subdivided directory.
  • step (c) selects the configuration of the background, the function button, the content window and the text box of the screen to implement the content from the previously stored data and newly input data generated, the size of the selected configuration, Editing and storing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and the content also includes any of programs including language learning, assimilation, education, games, common sense, economy, history, people, politics, and website developm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the above-described content editing method as another means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to display the execution content items as a directory, the content main screen for executing the content after the content items are sequentially selected from the user and;
  • An item editor for inputting a content item by editing a content item by selecting a content item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categories on the content main screen and executing a content editing screen;
  • a theme editor for inputting and editing theme items by executing a theme editing screen when a theme editing command is input from the content main screen; It provides a content editing system comprising a.
  • the content edi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iculum editor for creating and managing a curriculum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curriculum; A template editor for creating and managing a template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template; And an edit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tem editors.
  • the components of the executed content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and are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directory, and one content can be selected while sequentially selecting from the upper directory to the lower directory.
  • You can edit and organize a plurality of contents on the screen.
  • the overall UI of the content can be easily configured (registered, modified or deleted) by using the theme editor. Through this, the UI can be changed in real time even in the middle of the service. .
  • the necessary module can be selectively registered and used using the template management (registration, modification or dele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rriculum learning contents can be easily managed (registered, modified or deleted) using the item editor, and at the same time, anyone can easily manage the learning contents by using the intuitive editor that is customiz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 the user can select a file name so as to reduce the user's input error that can occur when editing the item to the minimum, and is configured to be progressed step by step (three steps of input description, file management, contents input) (Fig. 11).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ent editing system based on XM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2 to 2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ent editing method an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e-learning content
  • 3 is an example screen for selecting a major category on the main screen
  • 4 is an example screen for selecting a middle category item on the main screen
  • 5 is an example screen of selecting a small category on the main screen
  • 6 is an example screen for displaying the details of the sub-category item by selecting the code number
  • FIG. 7 is a management (registration: modify / add / delete) screen of sub-category items generated when a user clicks on an “add / modify” button to add or modify menu information.
  • FIG. 8 is a screen of the Preview tab of the XML editing screen displayed when the XML editing button is clicked on the management screen of the subcategory item of FIG.
  • 9 is a screen of a File Manager tab in an XML editing screen.
  • FIG. 11 is a view of a view XML tab in an XML editing screen
  • FIG. 12 is a file management screen generated when the file management button is clicked on the management (registration: modification / addition / deletion) screen of the sub-category item of FIG.
  • FIG. 13 is a preview screen generated when the preview button is clicked on the management (registration: modification / addition / deletion) screen of the sub-category item of FIG.
  • FIG. 15 is a creation screen when a background item is clicked on a theme editor screen.
  • 16 is an example screen of a template information table generated when a template add or edit button is clicked.
  • FIG. 17 is a creation screen when a comment management button for managing comments of a template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16 is clicked.
  • 19 is a creation screen when a file management button is clicked in a template information table
  • 20 to 28 are exemplary screens for executing a selected content after selecting a large / medium / small category on the main screen.
  • 20 and 21 are help screens illustrating a writing content scree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22 and 23 are help screens illustrating a listening game content scree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24 and 25 are help screens illustrating a Listening and Match content scree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26 and 27 are help screens illustrating a listening game content screen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 FIG. 28 is a screen generated when a Today's Report button is clicked on a content screen when the e-learning result is to be viewed.
  •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tent editing system based on XM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edi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ivides the components of the executed content into a plurality of categori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in the form of a directory, and selects and executes desired contents while sequentially selecting from upper directories to lower directories.
  • the them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ogram, may be edited (registered, modified, or deleted) through the theme editor, and the contents may be edited (registered, modified, or deleted) through the item editor, and the template may be edited (registered) using the template management module. Modification or dele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 a curriculum list is created and managed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curriculum, and creating and managing a template list by registering, modifying, or deleting a template.
  • Select a desired curriculum from the curriculum list select a template from the template list, and enter an item through the item editor to create and manage e-learning content, thereby executing a plurality of execution contents on a single content main screen. You can refine the editing and organization.
  • 2 to 21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ent editing method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showing an execution screen of the e-learning content.
  • FIG. 2 is a main screen of Internet learning content
  • FIG. 3 is an example screen in which a major category item is selected on a main screen
  • FIG. 4 is an example screen in which a middle category item is selected in a main screen
  • FIG. 5 is a small category item in a main screen. Selected example screen.
  • contents class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ategories are displayed in a list format in Series, Set, and Schedule list boxes 1 to 3, respectively. This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ature or curriculum of the e-learning content to be produced.
  • the Set and Schedule list boxes 2 to 3 automatically display a lower code and a name of the selected content in a list form when the upper content is selected.
  • a lesson name (Lesson Nanme)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schedule list box 3 in addition to the code and the name.
  • the contents main screen includes a menu information text box 4 which automatically displays menu names included in the selected small category contents in a list form when the small category contents are selected in the schedule list box 3.
  • a template list box that displays template names in a list format, a "add / modify” function button for adding or modifying the template, and a UI (configuration of screen) implemented in the program. It further includes a "Theme Editor” function button and a “Content Operation” function button for executing the selected content.
  • the middle list of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et list box 2 as shown in FIG. 2.
  • a medium category of content is selected in the set list box 2
  • a small category list of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schedule list box 3 as shown in FIG.
  • menu information of the selected content is displayed in the list information in the menu information list box 4 as shown in FIG.
  • the menu information includes a code, a name (Name1, Name2), a score selection (Score YN), a menu selection (Menu YN), a help selection (Help YN), a template name (Template Name), an item selection (Item). .swf), a review page, and parent item code information.
  • 6 is an example screen of a combo box for selectively outputting a small category item by selecting a code number.
  • a desired code may be selectively output by selecting a code of a desired content through the combo box.
  • FIG. 7 is a creation screen when a user clicks an "add / modify" button to add or modify menu information (curriculum).
  • a menu information table for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the menu information of the small category content is displayed.
  • a menu for example, a template name
  •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menu view selection information, help selection information, and parent item code are displayed in a text box or combo box.
  • the XML editing screen includes a preview tab, a file manager tab, a build tab, a view XML tab, and the like.
  • the File Manager tab includes an Upload button for finding and uploading a file, a Delete button for deleting the selected file, and a Refresh button for refreshing the selected file. Doing.
  • the View XML tab When the View XML tab is clicked on the XML editing screen, the XML writing character is output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11. If you modify the XML, you can edit the XML by modifying, deleting, and adding.
  • the file management window includes a delete button for selecting a file and deleting the selected file, and an upload button for uploading the selected file.
  • the menu information list box of FIG. 7 includes a "Add / Modify” button for adding or modifying a menu, and a "Delete Menu” button for deleting a selected menu.
  • FIG. 16 is a creation screen when a theme editor button is clicked
  • FIG. 15 is a creation screen when a background item is clicked on a theme editor screen.
  • a background In the theme editor screen window, a background, a menu button, an exit button, a help button, a CI logo, and a text box are added. It includes functions to add, modify, and delete. To this end, the Theme Editor screen window is provided with Add, Modify, and Delete buttons. Background, Menu Button, Exit Button, Help Button, CI Logo, Text Box in the Theme Editor Screen Window If you select, the theme of the item appears as a list (see FIG. 15).
  • FIG. 16 illustrates an example screen of a template information table generated when a template add or edit button is clicked.
  • FIG. 17 illustrates a comment management button that manages a comment of a template selected on the screen of FIG. 16.
  • FIG. 18 is a creation screen upon clicking
  • FIG. 18 is a creation screen upon clicking of a management button for selecting a template type from the template information table
  • FIG. 19 is a creation screen when the file management button is clicked on a template information table.
  • a template comment management screen as shown in FIG. 16 is output. If a template is selected in the template comment management screen, the name, code, extension, editor or not, type, and comment information of the selected template are displayed at the bottom. In text boxes and combo boxes.
  • a function button for adding, modifying, deleting, and managing a file in a template information table and a function button for modifying a file And a Delete function button, a File Manage function button, and a Comment Manage button for managing comments of the selected template.
  • the template comment management screen is provided with a combo box for selecting a series to which a comment is applied, and the upper and lower limit scores of the selected comment and the comment contents are displayed on the screen.
  • the template comment management screen may include an "add” button, an "edit” button, and a “delete” button to add, modify, or delete a comment.
  • a file management screen as shown in FIG. 19 is output.
  • the file management screen displays a file's name, size, and date, and deletes or uploads the selected file through a "Delete” button and an "Upload” button.
  • 20 to 28 illustrate example screens of executing a selected content after selecting a large / medium / small category on the main screen.
  • 20 is a writing content screen in which content number 9 of the lower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 as a voice.
  • the user listens to an English sentence, sees an example listing sentence words, and types the words in the blanks. At this time, if you want to listen again, click the speaker button on the screen. When you have finished writing the sentence, click the "OK" button to see the correct answer. In this case, if the answer is correct, the hanger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screen will hang red clothes, and if wrong, gray clothes will hang.
  • This example method is intended to induce learning interest, and can be implemented in any number of shapes and forms. If the answer is wrong, limit your students to two (or three) chances per question.
  • FIG. 22 illustrates a listening game contents screen in which content number 32 of the lower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 the listening game content is a game of looking at a problem picture and selecting a correct picture from the view, and clicking a picture containing a sound such as an underlined part of the problem word displayed on the screen.
  • English words are output as voice.
  • the user hears an English word and clicks a picture that sounds like the underlined part of the problem word.
  • click the speaker button on the left of the word And if you want to hear the word view, click the speaker button next to the picture.
  • every time a problem is wrong the character shap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disappears one by one, and the game ends when all the characters are lost or the problem is not solved within the time limit.
  • FIG. 24 is a screen of Listening and Match content, in which content 21 of the lower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 the listening and match content is a learning method for finding a picture that matches a word.
  • words are output as voice.
  • the user hears the word and clicks on the picture below to connect.
  • the problem is corrected, the character is displayed in color in the white space in the upper right of the character form, and if it is wrong, it is displayed in monochrome. You can play the game with a limit of two chances per problem.
  • FIG. 26 illustrates a listening game contents screen in which content number 37 of the lower menu is selected and executed.
  • the listening game content is a learning method of listening to a problem and selecting a picture.
  • the English sentence is output as a voice.
  • the user listens to the English sentence and clicks the picture that matches the sentence. If you want to hear it again, click the speaker button.
  • the torch shap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screen disappears one by one, and the game ends when all the characters are lost or the problem cannot be solved within the time limit.
  • FIG. 28 is a screen generated when a Today's Report button is clicked on a content screen when a user wants to see the contents of Internet learning conducted today.
  • the report screen displays what you have learned today, your scores, what you did well, and what you want to review in the text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커리큘럼(Curriculum) 및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여 커리큘럼 목록 및 템플릿 목록을 생성하고, 테마(UI)편집기를 이용하여 UI를 등록하여 이러닝에 테마(UI)를 적용하고, 등록된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과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편집하여 이러닝(e-Learning) 목록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컨텐츠 구성을 생성 및 편집할 수 있고, 대화형 문항 입력기를 제공하여 구성 컨텐츠의 다양한 방식의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본 발명은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로서, 종전의 CMS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이러닝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CMS의 구성요소인 커리큐럼, 템플릿, 테마(UI)를 효율적으로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등의 편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문항 편집기를 활용한 문항입력을 통해 이러닝 컨텐츠 (Contents)를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13807(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객체 기반 오디오 서비스에 부가 서비스로서 오디오 프리셋에 관련된 이미지/영상/문자 등과 같은 비주얼 데이터 형태의 부가 데이터를 추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콘텐츠를 저작 또는 편집할 수 있는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과 이를 위한 다중객체오디오 콘텐츠 파일의 생성하거나 편집 또는 재생 방법 및 그 파일구조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 1의 객체기반 오디오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오디오 콘텐츠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디오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오디오 객체에 대하여 객체 속성을 정의한 오디오 프리셋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디오 객체, 상기 오디오 프리셋, 및 상기 오디오 프리셋에 관련된 부가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8-0011170(이하, '선행기술 2'라 한다)에는 구조적이고 효율적으로 컨텐츠를 편성 및 관리할 수 있는 컨텐츠 편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기술 2의 컨텐츠 편성 방법은,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들에 대한 목록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들을 시간대별로 편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편성된 스케줄 정보를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스케줄 정보를 송출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스케줄 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6-013816 (이하, '선행기술 3'이라 한다)에는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와 연결되는 서버와; 서버에 내장된 애니메이션 파일과, 상기 애니메이션 파일에 저장된 애니메이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XML 파일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복수 개의 시나리오 조건에 따라 필요한 애니메이션의 선택 조건을 입력하면 상기 선택 조건에 적합한 애니메이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상기 필요한 애니메이션을 선택하도록 하여 저장하고, 모든 시나리오 조건에 따른 애니메이션이 선택되었을 때, 이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생성하여 애니메이션 파일로 저장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또 재구성된 애니메이션 파일로 활용하도록 하는 애니메이션 공정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생성과 사용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해 게재되어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 1 내지 3에서는 XML 기반의 컨텐츠 편집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고 있으나, 실행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고,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테마(Theme)와 컨텐츠(Contents)를 관리도구 혹은 문항편집기를 통해 쉽게 편집(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컨텐츠 편집 방법에 대해서도 기재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는 CMS로서 CMS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이러닝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커리큐럼, 템플릿, 테마(UI) 등의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편집(등록이나 수정 또는 삭제) 등의 편집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문항 편집기를 활용한 문항입력을 통해 이러닝 컨텐츠 (Contents)를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즉, 이러닝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고,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커리큐럼, 템플릿, 테마(UI) 등의 콘텐츠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으며, 또한 문항편집기를 통해 쉽게 편집(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커리큘럼(Curriculum) 및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여 커리큘럼 목록 및 템플릿 목록을 생성하고, 등록된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과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편집하여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집 방법 및 시스템은 교육 제공자가 원하는 교육 컨텐츠를 용이하게 편집 및 제작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객체지향적이며 XML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을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 (a) 컨텐츠 메인 화면에 실행 컨텐츠 항목을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는 커리큘럼 관리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세부 분류별로 컨텐츠 항목이 선택된 후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문항 편집기를 실행하여 컨텐츠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문항 편집 단계와; (c)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테마(Theme)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테마(UI) 편집기를 실행하여 테마를 편집하는 테마(UI) 편집 단계; (d)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내용에 따라서 분류된 템플릿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 단계; 및 (e) 상기 (a) 내지 (b) (c) (d)단계에서 선택 및 편집된 컨텐츠 항목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여 콘텐츠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컨텐츠 편집 방법은 커리큘럼(Curriculum)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와;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을 선택하고 상기 템플릿 목록에서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입력하여 이러닝(e-Learning)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문항 편집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b)단계의 문항 편집기는 이러닝 콘텐츠의 내용을 입력하거나 또는 기입력된 컨텐츠를 수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문항 편집기는 커리큘럼에서 선택한 부분에 대하여 문항을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관리하는 방법이며, 대화형 편집UI와 단계별 입력방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문항 편집기는 세분화된 디렉토리에 기입력된 컨텐츠의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또는 편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c)단계의 테마 편집기는 기 저장된 데이터 및 새로 입력하여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컨텐츠를 구현하는 화면의 배경, 기능 버튼, 컨텐츠 창 및 글 상자의 구성을 GUI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의 크기, 위치 및 배열을 편집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는 언어 학습, 동화, 교육, 게임, 상식, 경제, 역사, 인물, 정치, 웹사이트개발을 포함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XML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컨텐츠 메인 화면에 실행 컨텐츠 항목을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세부 분류별로 컨텐츠 항목이 선택된 후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편집기를 실행하여 컨텐츠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단계와; (c)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테마(Theme)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테마 편집기를 실행하여 테마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단계와 (d)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템플릿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템플릿 편집기를 실행하여 템플릿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관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a) 내지 (d)단계에서 선택 및 편집된 컨텐츠 항목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 방법은 커리큘럼(Curriculum)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와;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을 선택하고 상기 템플릿 목록에서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입력하여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단계의 컨텐츠 편집기는 커리큘럼에서 선택한 부분에 대하여 문항을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관리하는 방법 또는 대화형 편집UI와 단계별 입력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컨텐츠 편집기는 세분화된 디렉토리에 기입력된 컨텐츠의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또는 편집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c)단계의 테마 편집기는 기 저장된 데이터 및 새로 입력하여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컨텐츠를 구현하는 화면의 배경, 기능 버튼, 컨텐츠 창 및 글 상자의 구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의 크기, 위치 및 배열을 편집 및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컨텐츠는 언어 학습, 동화, 교육, 게임, 상식, 경제, 역사, 인물, 정치, 웹사이트개발을 포함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포함한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의 컨텐츠 편집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실행 컨텐츠 항목을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로 나타내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받은 후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메인 화면과;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분류별로 컨텐츠 항목이 선택된 후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편집 화면을 실행하여 컨텐츠 문항을 입력받아 컨텐츠를 편집하는 문항 편집기; 및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테마(Theme)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테마 편집 화면을 실행하여 테마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테마 편집기; 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컨텐츠 편집 시스템은 커리큘럼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커리큘럼 편집기; 템플릿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템플릿 편집기; 및 문항편집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편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행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고,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 화면에 복수 개의 컨텐츠를 편집 및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의 전반적 UI를 테마 편집기를 이용하여 쉽게 구성(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서비스 중간에도 실시간으로 UI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능은 기존의 이러닝 콘텐츠 제작에는 없었던 기능이다.
또한, 본 발명의 템플릿 관리(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모듈을 이용하여 필요한 모듈을 선별적으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리큘럼의 학습내용을 문항 편집기를 이용하여 쉽게 관리(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문항의 내용에 따라서 맞춤형식으로 제공되는 직관적인 편집기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학습내용을 관리할 수 있으며, 동시에 문항 편집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입력오류를 최소한으로 줄여 줄 수 있도록 파일 이름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며, 단계적 진행(입력설명, 파일관리, 내용입력의 3단계순서)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1 참조).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XML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시스템의 개념도,
도 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인터넷 학습(e-Learning)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CMS의 메인 화면이고,
도 3은 메인 화면에서 대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고,
도 4는 메인 화면에서 중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고,
도 5는 메인 화면에서 소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고,
도 6은 코드번호를 선택하여 소분류 항목의 상세 내용을 표시하는 예시화면이고,
도 7은 메뉴 정보를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추가/수정" 버튼의 클릭시 생성되는 소분류 항목의 관리(등록:수정/추가/삭제)화면이고,
도 8은 도 7의 소분류 항목의 관리 화면에서 XML 편집 버튼의 클릭시 표시되는 XML 편집 화면의 프리뷰(Preview) 탭의 화면이고,
도 9는 XML 편집 화면에서 파일 매니저(File Manager) 탭의 화면이고,
도 10은 XML 편집 화면에서 빌드(Build) 탭의 화면이고,
도 11는 XML 편집 화면에서 뷰(View) XML 탭의 화면이고,
도 12은 도 7의 소분류 항목의 관리(등록:수정/추가/삭제)화면에서 파일 관리 버튼의 클릭시 생성되는 파일 관리 화면이고,
도 13는 도 7의 소분류 항목의 관리(등록:수정/추가/삭제)화면에서 프리뷰(Preview) 버튼의 클릭시 생성되는 프리뷰(Preview) 화면이고,
도 14는 테마 편집(Theme Editor) 버턴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5는 테마 편집(Theme Editor) 화면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 항목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6은 템플릿(Template) 추가 또는 수정 버튼의 클릭시 생성되는 템플릿 정보 테이블의 예시 화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화면에서 선택한 템플릿의 코멘트(Comment)를 관리하는 코멘트 관리(Comment Mange)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8은 템플릿 정보 테이블에서 템플릿 타입을 선택하는 관리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9은 템플릿 정보 테이블에서 파일 관리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20 내지 도 28은 메인화면에서 대/중/소분류를 선택한 후 선택한 컨텐츠를 실행한 예시 화면으로서,
도 20 및 도 21은 쓰기(Writing) 컨텐츠 화면과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움말 화면이고,
도 22 및 도 23은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과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움말 화면이고,
도 24 및 도 25는 듣기(Listening) 및 시합(Match) 컨텐츠 화면과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움말 화면이고,
도 26 및 도 27은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과 사용방법을 나타낸 도움말 화면이고,
도 28은 이러닝 결과를 보고자 할 때 컨텐츠 화면의 오늘 보고서(Today's Report) 버튼 클릭시 생성되는 화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 편집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XML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컨텐츠 편집 시스템은 실행 컨텐츠의 구성요소를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고, 상위 디렉토리에서 하위 디렉토리로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인 테마(Theme)는 테마편집기를 통해서, 컨텐츠(Contents)는 문항편집기를 통해 편집(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할 수 있으며, 템플릿은 템플릿 관리 모듈을 이용하여 편집(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 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편집 시스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리큘럼(Curriculum)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고,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며, 상기 커리큘럼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을 선택하고 상기 템플릿 목록에서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입력하여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생성 및 관리함으로써, 하나의 컨텐츠 메인 화면에 복수 개의 실행 컨텐츠를 세분화하여 편집 및 구성할 수 있다.
CMS의 실시 예
도 2 내지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인터넷 학습(e-Learning) 컨텐츠의 실행 화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인터넷 학습 컨텐츠의 메인 화면이고, 도 3은 메인 화면에서 대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고, 도 4는 메인 화면에서 중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고, 도 5는 메인 화면에서 소분류 항목을 선택한 예시 화면이다.
상기 CMS 화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중/소분류로 분류된 컨텐츠가 시리즈(Series), 세트(Set), 스케쥴(Schedule) 리스트 박스(1~3)에 각각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되며, 이는 제작하려고 하는 이러닝 콘텐츠의 성격 또는 커리큘럼에 맞게 변경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의 초기에는 상기 시리즈 리스트 박스(1)에 대분류의 컨텐츠 리스트만 나타난다. 상기 세트(Set) 및 스케쥴(Schedule) 리스트 박스(2~3)는 각 상위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하위 코드(Code) 및 이름(Name)이 리스트 형식으로 자동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스케쥴(Schedule) 리스트 박스(3)에는 코드(Code) 및 이름(Name) 외에 레슨 명(Lesson Nanme)이 추가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는 상기 스케쥴 리스트 박스(3)에서 소분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소분류의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메뉴이름을 리스트 형식으로 자동으로 나타내는 메뉴(Menu) 정보 텍스트 박스(4)를 포함하고 있으며, 템플릿(Template) 이름을 리스트 형식으로 나타내는 템플릿(Template) 리스트 박스와, 상기 템플릿을 추가 또는 수정하는 "추가/수정" 기능 버튼과, 프로그램에 구현되는 UI(화면의 구성)를 편집하는 "테마 편집(Theme Editor)" 기능 버튼과,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동작(Content Operation)" 기능 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의 각 구성에 대해서는 해당 기능에 대한 동작을 설명할 때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의 시리즈(Series) 리스트 박스(1)에서 대분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도 2와 같이 상기 세트(Set) 리스트 박스(2)에 선택한 컨텐츠의 중분류 리스트가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세트(Set) 리스트 박스(2)에서 중분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도 3과 같이 상기 스케쥴 리스트 박스(3)에 선택한 컨텐츠의 소분류 리스트가 표시된다. 그 다음, 상기 스케쥴 리스트 박스(3)에서 소분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4)에 선택한 컨텐츠의 메뉴 정보가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메뉴 정보는 코드(Code), 이름(Name1, Name2), 점수 선택(Score YN), 메뉴 선택(Menu YN), 도움말 선택(Help YN), 템플릿 명(Template Name), 아이템 선택(Item.swf), 리뷰 페이지(Review Page), 페어런트 아이템코드(Parent ItemCode)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스케쥴 리스트 박스(3)에서 소분류의 컨텐츠가 선택된 다음 상기 "컨텐츠 동작(Content Operation)" 버튼을 클릭하면, 선택된 컨텐츠가 실행되게 된다. 이때, 실행된 컨텐츠는 후술하는 도 16 내지 도 2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코드번호를 선택하여 소분류 항목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콤보박스의 예시 화면이다.
상기 스케쥴 리스트 박스(3)에서 소분류의 컨텐츠 항목이 많을 경우 도 6과 같이, 상기 콤보박스를 통해 원하는 컨텐츠의 코드를 선택하여 원하는 코드만을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메뉴 정보(커리큘럼)를 추가 또는 수정할 수 있는 "추가/수정"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다.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의 "추가/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 8과 같이, 소분류 컨텐츠의 메뉴 정보를 추가,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는 메뉴 정보 테이블이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메뉴 정보 테이블에서 메뉴(예를 들어, 템플릿 명)를 선택하면 하단에 선택된 메뉴의 코드(Code), 메뉴 이름(Menu Name1, Menu Name2), 리뷰 페이지(Review Page), 템플릿 명, 점수 여부 선택 정보, 메뉴 뷰 선택 정보, 도움말 선택 정보, 페어런트 아이템코드(Pareent ItemCode) 등의 정보가 텍스트 박스 또는 콤보박스에 표시된다.
상기 메뉴 항목을 편집할 경우,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한 후 "Xml Edit"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7과 같은 XML 편집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XML 편집 화면(도 7)에는 프리뷰(Preview) 탭, 파일 매니저(File Manager) 탭, 빌드(Build) 탭, 뷰(View) XML 탭 등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XML 편집 화면에서 상기 파일 매니저(File Manager) 탭을 클릭하면 도 8과 같이 파일을 업로드(Upload), 삭제(Delete), 리플레시(Refresh) 할 수 있는 파일 매니저(File Manager) 탭이 출력된다. 상기 파일 매니저(File Manager) 탭에는 파일을 찾아 업로드 하는 업로드(Upload) 버튼과,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는 삭제(Delete) 버튼과, 선택된 파일을 리플레시(Refresh) 하는 리플레시(Refresh)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XML 편집 화면에서 상기 빌드(Build) 탭을 클릭하면 도 10과 같이 문제리스트의 지시문, 질문(Question), 대답(Aswer), 사운드(Sound), 이미지(Image)를 선택할 수 있는 빌드(Build) 탭이 출력된다.
상기 XML 편집 화면에서 상기 뷰(View) XML 탭을 클릭하면, 도 11와 같이 XML 작성 문자가 화면에 출력된다. XML을 수정할 경우 해당 XML을 수정, 삭제, 추가하여 편집할 수 있다.
도 7의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한 후 "File Manage" 버튼을 클릭하면 도 12와 같은 파일 관리 창이 나타난다. 상기 파일 관리 창에는 파일을 선택하여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는 삭제(Delete) 버튼과, 선택된 파일을 업로드 하는 업로드(Upload)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의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에서 해당 메뉴를 선택한 후 "Preview" 버튼을 클릭하면, 도 13과 같이 선택된 파일의 실행 화면을 볼 수 있다.
도 7의 상기 메뉴 정보 리스트 박스에는 메뉴를 추가 또는 수정하는 "추가(Add)/수정(Modify)" 버튼과, 선택된 메뉴를 삭제하는 "삭제 메뉴(Delete Menu)"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도 16는 테마 편집(Theme Editor) 버턴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5는 테마 편집(Theme Editor) 화면에서 백그라운드(Background) 항목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다.
상기 테마 편집(Theme Editor) 화면 창에는 백그라운드(Background), 메뉴 버튼(Menu Button), 나가기 버튼(Exit Button), 도움말 버튼(Help Button), CI 로고(Logo), 텍스트 박스(Text box)를 추가(Add), 수정(Modify), 삭제(Delete) 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테마 편집(Theme Editor) 화면 창에는 추가(Add), 수정(Modify), 삭제(Delete)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테마 편집(Theme Editor) 화면 창에 구비된 백그라운드(Background), 메뉴 버튼(Menu Button), 나가기 버튼(Exit Button), 도움말 버튼(Help Button), CI 로고(Logo), 텍스트 박스(Text box)를 선택하면 해당 항목의 테마(Theme)가 리스트로 나타난다(도 15 참조).
도 16은 템플릿(Template) 추가 또는 수정 버튼의 클릭시 생성되는 템플릿 정보 테이블의 예시 화면이고, 도 17은 도 16의 화면에서 선택한 템플릿의 코멘트(Comment)를 관리하는 코멘트 관리(Comment Mange)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8은 템플릿 정보 테이블에서 템플릿 타입을 선택하는 관리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고, 도 19는 템플릿 정보 테이블에서 파일 관리 버튼의 클릭시 생성 화면이다.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도 2 내지 도 5)에서 우측에 위치한 템플릿(Template) 추가 또는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 16과 같은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에서 템플릿을 선택하면 선택된 템플릿의 이름(Name), 코드(Code), 확장명(Ext), 편집(Editor) 여부 선택, 타입(Type), 코멘트(Comment) 정보가 하단의 텍스트 박스 및 콤보박스에 표시된다. 상기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에서는 템플릿 정보 테이블에 템플릿을 추가(Add), 수정(Modify), 삭제(Delete), 파일 관리(File Manage) 하는 추가(Add) 기능 버튼, 수정(Modify) 기능 버튼, 삭제(Delete) 기능 버튼, 파일 관리(File Manage) 기능 버튼과, 선택한 템플릿의 코멘트(Comment)를 관리하는 코멘트 관리(Comment Manage)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도 16의 상기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에서 상기 코멘트 관리(Comment Manage)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도 17과 같은 템플릿 코멘트 관리(Comment Manage) 화면이 나타난다. 상기 템플릿 코멘트 관리 화면에는 코멘트(Comment)를 적용할 시리즈를 선택하는 콤보박스가 구비되어 있고, 선택된 코멘트(Comment)의 상한 및 하한 점수, 코멘트(Comment) 내용 등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템플릿 코멘트 관리 화면에는 "추가하기" 버튼, "수정하기" 버튼, "삭제하기" 버튼을 구비하여 코멘트를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다.
도 16의 상기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에서 템플릿 타입(Type)을 선택하는 "관리" 버튼을 클릭하면, 도 18과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여기서, "추가하기" 기능 버튼, "수정하기" 기능 버튼, "삭제하기" 기능 버튼을 통해 템플릿 타입을 추가, 수정 및 삭제할 수 있다.
도 16의 상기 템플릿 코멘트(Comment) 관리 화면에서 파일 관리(File Manage) 버튼을 클릭하면, 도 19와 같은 파일 관리 화면이 출력된다. 상기 파일 관리 화면에는 파일의 이름, 크기(Size), 날짜(date)가 표시되고, "삭제(Delete)" 버튼과 "업로드(Upload)" 버튼을 통해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거나 업로드 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8은 메인화면에서 대/중/소분류를 선택한 후 선택한 컨텐츠를 실행한 예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쓰기(Writing) 컨텐츠 화면으로서, 하단 메뉴의 9번 컨텐츠가 선택되어 실행된 것이다. 상기 쓰기(Writing) 컨텐츠 화면이 나타나면 영어 문장이 음성으로 출력되게 된다. 사용자는 영어 문장을 듣고 문장 단어가 나열된 보기를 보고 단어를 빈칸에 타이핑하면 된다. 이때, 다시 듣고 싶으면 화면에 표시된 스피커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문장을 다 쓴 후에는 "OK" 버튼을 클릭하여 정답을 확인하면 된다. 이때, 정답이 맞으면 화면 오른쪽 위의 옷걸이에 빨간 색의 옷이 걸리게 되고 틀리면 회색 옷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예시의 방법은 학습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모양이나 형태로 얼마든지 구현 가능하다. 만약, 정답이 틀릴 경우 한 문제당 두 번(또는 세 번 등)의 기회가 주어지도록 제한한다.
상기 쓰기(Writing) 컨텐츠 화면의 사용 방법을 모를 경우, 상단에 있는 도움말(Help) 버튼을 클릭하면 도 21과 같은 도움말 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도 22는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으로서, 하단 메뉴의 32번 컨텐츠가 선택되어 실행된 것이다. 상기 듣기 게임 컨텐츠는 문제 그림을 보고, 보기 중에서 맞는 그림을 고르는 게임으로, 화면에 표시된 문제 단어의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소리가 들어 있는 그림을 클릭하면 된다. 상기 듣기 게임 컨텐츠 화면이 나타나면 영어 단어가 음성으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영어 단어를 듣고 문제 단어의 밑줄 친 부분과 같은 소리가 들어 있는 그림을 클릭한다. 이때, 다시 듣고 싶으면 문제 단어의 좌측에 표시된 스피커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그리고 보기 단어를 듣고 싶으면 보기 그림의 옆에 있는 스피커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때, 한 문제를 틀릴 때마다 화면 상단에 표시된 캐릭터 모양이 하나씩 사라지게 되고, 캐릭터를 모두 잃거나 제한 시간 내에 문제를 모두 풀지 못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상기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의 사용 방법을 모를 경우, 상단에 있는 도움말(Help) 버튼을 클릭하면 도 23과 같은 도움말 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도 24는 듣기(Listening) 및 시합(Match) 컨텐츠 화면으로서, 하단 메뉴의 21번 컨텐츠가 선택되어 실행된 것이다. 상기 듣기 및 시합 컨텐츠는 단어에 맞는 그림을 찾는 학습 방법이다. 상기 듣기 및 시합 컨텐츠 화면에 표시된 스피커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단어가 음성으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단어를 듣고 아래쪽 그림을 클릭하여 연결한다. 이때, 문제를 맞추면 오른쪽 위에 있는 캐릭터 형태의 흰 공간에 캐릭터가 컬러로 표시되고, 틀리면 단색으로 표시된다. 한 문제당 두 번의 기회로 제한하여 게임을 할 수 있다.
상기 듣기 및 시합 컨텐츠 화면의 사용 방법을 모를 경우, 상단에 있는 도움말(Help) 버튼을 클릭하면 도 25와 같은 도움말 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도 26은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으로서, 하단 메뉴의 37번 컨텐츠가 선택되어 실행된 것이다. 상기 듣기 게임 컨텐츠는 문제를 잘 듣고 그림을 고르는 학습 방법이다. 상기 듣기 게임 컨텐츠 화면이 나타나면 영어 문장이 음성으로 출력된다. 사용자는 영어 문장을 잘 듣고 문장에 맞는 그림을 클릭한다. 이때, 다시 듣고 싶으면 스피커 모양의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때, 한 문제를 틀릴 때마다 화면 상단에 표시된 횃불 모양이 하나씩 사라지게 되고, 캐릭터를 모두 잃거나 제한 시간 내에 문제를 모두 풀지 못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상기 듣기(Listening) 게임 컨텐츠 화면의 사용 방법을 모를 경우, 상단에 있는 도움말(Help) 버튼을 클릭하면 도 27과 같은 도움말 창이 화면에 나타난다.
도 28은 오늘 실시한 인터넷 학습내용을 보고자 할 때 컨텐츠 화면의 오늘 보고서(Today's Report) 버튼 클릭 시 생성되는 화면이다. 상기 보고서 화면에는 오늘 학습한 내용과 점수, 잘한 일, 교재에서 복습할 부분 등이 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텐츠 편집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인터넷 학습 컨텐츠(E-learning)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분야의 컨텐츠 제작 및 편집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9)

  1. XML을 기반으로 하는 콘텐츠 편집 방법에 있어서,
    (a) 컨텐츠 메인 화면에 실행 컨텐츠 항목을 시스템의 목적 및 구성에 따라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 형태로 나타내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세부 분류별로 컨텐츠 항목이 선택된 후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편집기를 실행하여 컨텐츠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단계와;
    (c)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테마(Theme)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테마 편집기를 실행하여 테마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단계와
    (d)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 내용에 따라서 분류된 템플릿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템플릿 관리 단계 ; 및
    (e) 상기 (a) 내지 (d)단계에서 선택 및 편집된 컨텐츠 항목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여 콘텐츠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 방법은:
    커리큘럼(Curriculum)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와; 템플릿(template)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커리큘럼 목록에서 원하는 커리큘럼을 선택하고 상기 템플릿 목록에서 템플릿을 선택한 후 문항편집기를 통해 문항을 입력하여 이러닝(e-Learning) 콘텐츠를 생성 및 관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이상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컨텐츠 편집기는 커리큘럼에서 선택한 부분에 대하여 문항을 입력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 관리하는 방법 또는 대화형 편집UI와 단계별 입력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문항 편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편집기는 세분화된 디렉토리에 기입력된 컨텐츠의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 또는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테마 편집기는 기 저장된 데이터 및 새로 입력하여 생성한 데이터로부터 컨텐츠를 구현하는 화면의 배경, 기능 버튼, 컨텐츠 창 및 글 상자의 구성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구성의 크기, 위치 및 배열을 편집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언어 학습, 동화, 교육, 게임, 상식, 경제, 역사, 인물, 정치, 웹사이트개발을 포함한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컨텐츠 편집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8. XML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실행 컨텐츠 항목을 복수 개의 분류로 세분화하여 디렉토리로 나타내고,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항목을 순차적으로 선택받은 후 해당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 메인 화면과;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분류별로 컨텐츠 항목이 선택된 후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 편집 화면을 실행하여 컨텐츠 문항을 입력받아 컨텐츠를 편집하는 문항 편집기; 및
    상기 컨텐츠 메인 화면에서 테마(Theme) 편집 명령이 입력되면 테마 편집 화면을 실행하여 테마 문항을 입력받아 편집하는 테마 편집기;
    를 포함하는 컨텐츠 편집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커리큘럼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커리큘럼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커리큘럼 편집기; 템플릿을 등록하거나 수정 또는 삭제하여 템플릿 목록을 생성 및 관리하는 템플릿 편집기; 및 문항편집기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편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츠 편집 시스템.
PCT/KR2011/003756 2010-05-24 2011-05-23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WO2011149229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307 2010-05-24
KR1020100048307A KR101161693B1 (ko) 2010-05-24 2010-05-24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229A2 true WO2011149229A2 (ko) 2011-12-01
WO2011149229A3 WO2011149229A3 (ko) 2012-03-08

Family

ID=4500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3756 WO2011149229A2 (ko) 2010-05-24 2011-05-23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1693B1 (ko)
WO (1) WO201114922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46A1 (ko) * 2019-11-15 2021-05-20 (주)프롬더레드 Html5 기반 웹 게임 제작과 배포를 위한 게임 제작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066A (ko) * 2000-06-08 2001-12-20 김문영 디지털 텔레비젼용 컨텐츠의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8048A (ko) * 2001-05-19 2002-04-15 임춘환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태아 컨텐츠 제작 마법사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 방법
US20060112338A1 (en) * 2002-10-22 2006-05-25 Ye-Sun Joung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uthoring, and retrieving object-based mpeg-4 contents
KR20090013267A (ko) * 2007-05-04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066A (ko) * 2000-06-08 2001-12-20 김문영 디지털 텔레비젼용 컨텐츠의 저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28048A (ko) * 2001-05-19 2002-04-15 임춘환 인터넷 기반 멀티미디어 태아 컨텐츠 제작 마법사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 방법
US20060112338A1 (en) * 2002-10-22 2006-05-25 Ye-Sun Joung Device and method for editing, authoring, and retrieving object-based mpeg-4 contents
KR20090013267A (ko) * 2007-05-04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제작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6146A1 (ko) * 2019-11-15 2021-05-20 (주)프롬더레드 Html5 기반 웹 게임 제작과 배포를 위한 게임 제작 배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49229A3 (ko) 2012-03-08
KR101161693B1 (ko) 2012-07-11
KR20110128697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941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ally generating a training program
US200501883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electronic presentation
JP5563190B2 (ja) モジュール方式のコンピュータ支援の言語学習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60286527A1 (en) Interactive teaching web application
JP5553609B2 (ja) 部分イメージを活用した言語学習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
CN102880599B (zh) 用于解析句子并支持对该解析进行学习的句子探索方法
CN111524206A (zh) 一种生成思维导图的方法和装置
CN108920442A (zh) 制作课件的方法、制作课件的系统及电子设备
WO2011025112A1 (ko) 통합 신호 처리 기능을 가진 메인 컨트롤러를 이용한 전자 교탁 시스템
WO2013154267A1 (ko) 강의 교재와 동기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강의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강의 컨텐츠 제공 방법
Sharrock et al. Codecast: An innovative technology to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in a C language online course
CN106844296A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JP2011128362A (ja) 学習システム
CN112419111A (zh) 一种多功能远程教育平台及流程
TWI575457B (zh) 線上互動式三維多媒體編輯交流架構、編輯交流方法及其電腦可讀取媒體
WO2011149229A2 (ko) 객체지향이며 xml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편집 솔루션을 갖춘 cms
CN107016631A (zh) 跨平台课件智能合成方法
WO2013009125A2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19199138A1 (ko) 재생이 가능한 텍스트 편집기 및 그 편집 방법
WO2018034509A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US20210358325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of cognitive assistance for transforming multimedia content into a cognitive formation
JP2001344230A (ja) マルチメディア文書生成装置及び方法、及びこれら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14025174A1 (ko) 지식체계 맵핑을 통한 전자적 형태의 서적의 관리방법
WO2019132062A1 (ko) 전자책 파일 생성 방법 및 장치
JP2003248730A (ja) コンテンツ再利用処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利用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868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868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