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36414A1 -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 Google Patents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36414A1
WO2011136414A1 PCT/KR2010/002739 KR2010002739W WO2011136414A1 WO 2011136414 A1 WO2011136414 A1 WO 2011136414A1 KR 2010002739 W KR2010002739 W KR 2010002739W WO 2011136414 A1 WO2011136414 A1 WO 201113641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hord
sound
keyboard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273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석종
Original Assignee
Yoo Soek Jong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Yoo Soek Jong filed Critical Yoo Soek Jong
Priority to PCT/KR2010/0027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136414A1/ko
Publication of WO201113641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364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 G10H1/386One-finger or one-key chord system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onic playing condition input device having a short learning period for improvisation and composition acquisition because the volume is reduce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it is easy to carry, and is played in a manner consistent with music theory.
  • rhythm It is called rhythm, and it is a combination of various long and short notes and calculations in time,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that forms the basis and basis of music.
  • the melody is called melody and is a temporal combination of various high and low notes and a long and short. Unlike rhythm, this is the expression of music and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expressing human emotions.
  • melody is the musical expression and the best expression of human emotion, and it is the connection of sound formed by horizontally combining the sounds with various pitches and lengths. If harmony is a simultaneous (vertical) combination of plural sounds, the melody is a revealatory and monotone arrangement of notes of different heights. But this sequence of notes must include a temporal order, or rhythm, to have a musical meaning.
  • chords are represented by the pitch of the root and the component. Depending on what the note name of the chord's basic note is, there may be 12. In addition, it is divided into constituent sounds. It has 5 degrees of perfection and is divided into major (major) and minor (minor) by the length of 3 degrees. , Augmented), and augmented with an augmentation of 5 degrees and a long 3 degree. If you have 7 degrees, you will have 4 chords. If you have major 7 chords, you will get 7 majors. If you have 7 degrees, you will have dominant 7, and if you have minor 7 chords, you will have 7 minor.
  • the name and composition of the basic notes are widely used in popular music such as folk and pop.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ic sound and the tone is more important than the note name of the basic sound.
  • This relationship uses Roman numerals to express the frequency of the pitch.
  • the C code is the basic sound.
  • C is 1 degree
  • the I and G codes are the 5 degrees
  • the V and F codes are 4 degrees (IV).
  • Name codes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different possible melodies, depending on which group they belong to.
  • the F code is IV in C major and has the function of sub dominant while Bb major has dominant function. Because the function determines the type of surrogate chords and the appropriate melody, recognizing the functionality of the chord is an important part of improvisation and compositional ability.
  • the major chords with the basic C are composed of C, E, and G.
  • C, E, G and E, G, C and G, C, E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chord. This is called the transposition of the chord and is appropriately appli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instruments and the melody. This is based on the music theory that the notes of the octave relationship are homogeneous.
  • chord tone chord tone
  • non-chord tone a chord tone consisting only of chordtones.
  • the first theory of pure rate would be Pythagorean.
  • all the pitches consist of a combination of 3: 2 and 4: 3. This rhythm overlaps five degrees 12 times to form an octave.
  • a full octave is not produced by overlapping a full 5 degrees 12 times, and there is a dissonance at 5 degrees other than the first 5 degrees.
  • the average rate was compromised to ensure that all the semitones between the octaves had the same pitch, making the scale exactly the same for any composition.
  • the average rate neither good perfect 5 degrees nor bad perfect 5 degrees exist, and all perfect 5 degrees are the same.
  • the average rate is not a kind of pure rate.
  • each of these tuning system frequencies is shown in FIG. 21.
  • the pure rate is much more cooperative with the main sound, but the D and A notes have 5 degrees or discordant sound, so it is pure for keyboard instruments with a fixed pitch.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rate.
  • Harmony also known as harmony, refers to the concatenation of chords (chords) in which two or more notes of different heights ring simultaneously. This adds to the tone of the sound by reinforcing them behind the melody and rhythm. Also, because of this harmony, the music becomes wider, deeper, and richer. In the so-called compositional harmonization method by major and minor, the triad which overlaps three notes at intervals of 1 degree and 3 degrees This is a basic harmony.
  • Pitch Determined by the fundamental frequency. The higher the frequency, the higher the sound.
  • the note name refers to the pitch. When the note names are arranged in semitone units, they are “A, Bb, B, C, Db, D, Eb, E, F, Gb, G, Ab”.
  • the sound that doubles in frequency is called octave, and the octave sound is considered homogeneous and A's octave sound is also called A.
  • the octave is sometimes denoted by a number followed by A4, which is a note with a fundamental frequency of 440 Hz and a note above one octave is A5.
  • Another way to represent pitch is water purifier.
  • a # and Bb have the same pitch at the average rate.
  • it is a method of writing an integer from 0 to 11 in semitone units.
  • This integer notation is primarily intended for analyzing / composing avocado music, but it is also useful for computerized processing, so it is also used to transmit MIDI Note Numbers.
  • MIDI note numbers set the center C note (C4) to 60, and then increase or decrease it by one semitone interval.
  • the pitch is illustrated in FIG.
  • the interval between two notes is called the pitch.
  • Certain pitches have no musical meaning. Certain pitches have meaning only in relation to other notes, ie pitch.
  • the scale in composition music is a sequence of notes in order from the top to a specific pitch.
  • Western music is based on the seventh scale.
  • the composition of the scale is called by the name of the system, “Do, Le, Me, Par, Sol, La, Po, Do, Le... Arranged in the order of.
  • the major scale begins with the road and the short scale begins with the letter Ra, with semitones between the beauty and waves, and between the poems and provinces, and the rest of the whole tone.
  • the scale with the note name A as the top is illustrated in Figs.
  • Digital instrument is composed of sound module, sound output equipment (amplifier and speaker) and controller.
  • the sound module has a synthesizer that synthesizes the sound and a sampler that contains the recorded sound.
  • the sound is sent to the output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 the controller is a typical keyboard type.
  • Digital piano is composed of sound module, sound output equipment and controller.
  • commercialized products consist of only sound source modules and controllers, or only sound source modules or controllers.
  • a product with only a controller without a sound module is called a master keyboard.
  • the user purchases a controller, a sound module, and a sound output device separately and uses it in combination.
  • 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 MIDI signals are only data-values, and no audio signals are passed.
  • the main signal content is the command to start and end the note with 'Note-On / Off Message'.
  • 'Channel number' is the number to output the specified tone according to the channel number.
  • 'Note Number' is the center C sound.
  • chord is a synthesized sound produced by two or more sounds having different heights. That is, even if only two notes sound together, the chord composition requirements can be met.
  • chords can be divided into 3rd chord and 4th chord depending on how many times the notes are sounded at the same time. 4 will be a chord.
  • the instrument in a narrow sense refers to a musical pronunciation device made by the player to play the music
  • in a broad sense is used as a phonetic body to create a sound sound
  • a musical instrument at the time of its use it is defined as a musical instrument only if the player can control the sound of the sounding body.
  • the performer can directly produce only the sound of music, and it is difficult to check how the music he plays makes up the harmony. That is, with the present instrument, it is difficult for the performer to understand the harmony, that is, to interpret the harmony between the progress of the chord and the chord composition and the melody of each chor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sound according to the harmonics with only a simple key operation is easy to carry and play, beginners can easily learn the harmonics playing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that can play harmonics.
  •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n interval reference playing method rather than a pitch.
  • Existing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have keys with fixed pitches.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selecting a method of manipulating and playing on a pitch basis based on the harmonic theory that a specific pitch does not have a musical meaning and the musical meaning can be found in a relation with a reference sound, that is, a pitch. This is how the keyboard is not fixed to a particular pitch and the keys have a pitch relationship as the key and chord progress.
  • Humophonic sound is implemented to be homogeneous, that is, when the same type of chords and melodies are played, the conditional input unit is combined with the keyboard so that the sound can be selected.
  • Isomorphism Progression Isomorphism, that is, many songs have isomorphism in mars progression, but existing instruments are difficult to recognize.
  • the homomorphism progression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homogeneously so that it can be played intuitively.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dopting a keyboard section capable of playing chords and mel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armonious musical instrument that can be easily carried and played, and can be easily learned by the beginner.
  • the harmonics playing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beginners to enter the field of harmonics easily understand the harmonics through a simple button operation.
  • 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harmonic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code base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itch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mical instrument playing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musical instrument playing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the upper configuration of the harmonic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eventh scale
  •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of a condition input unit
  • 13 is an exemplary pitch diagram assigned to a general master keyboard
  • Fig. 16 is an illustration of playing IIm chords
  • 19 is an exemplary diagram of playing a Vmaj chord
  • 21 is a tuning table frequency comparison table
  • 2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itch.
  • 25 is an exemplary diagram of note names and system names of chapter A;
  • Fig. 26 shows an example of note names and system names in minor A
  • Fig. 2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I chord keys in C major
  • Fig. 2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 chord keyboard in the D chapter
  • Fig. 29 is an illustration showing the position of the I chord key of the Eb Jangjo-jo.
  • Figure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harmonic performanc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chord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a pitch st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n exemplary view of a keyboard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mical performance instru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chemical performance instru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 FIG. 7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setting a chord composition pitch default value.
  • the harmonic performance condition input device designates a key of a song to be played, sets a root of a chord, and specifies a pitch for each keyboard line based on the basic sound.
  • Condition input unit 20 a keyboard unit 30 that can play a chord based on the input condition, the sound source module 40 for processing the input signal and the sound output unit 50 for outputting the sound.
  • the condition input unit 20 includes a keying unit 22 for designating a key of a song to be played on an absolute scale; A code base designation unit 24 for setting a root of a code based on the designated key; A pitch stop unit 26 for specifying a pitch for each keyboard line based on the basic sound set by the code base unit 24.
  • the keying section 22 may be composed of an octave section 22a and a key basic tone section 22b.
  • the octave finger portion 22a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octave unit in the absolute scale
  • the key basic tone controller 22b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sound in semitone units within one octave of the absolute scale.
  • the octave finger portion 22a and the key basic sound portion 22b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finger by configuring a rotary dial button, but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button.
  • the code base designation unit 24 is composed of 12 buttons. Each button is arranged in four rows (horizontal in the figure, the same below)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and each button is configured to designate each sound of the 12-tone display. In other words, at the top row, 2 degrees (bII) and 3 degrees (bIII) are arranged, and 1 degree (I), 2 degrees (II), and 3 degrees (III) of perfection are arranged below. 4 degrees (IV), 5 degrees (V), 6 degrees (VI) and 7 degrees ( ⁇ ) are arranged, and 5 degrees (bV), 6 degrees (bVI), and 7 degrees below Buttons for designating degrees (b ') are arranged.
  • the arrangement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formed as required, and is not limited to those formed in four lines.
  • the pitch stop unit 26 specifies pitches of individual keyboard rows in a range of 2 degrees high and low based on the basic sound.
  • a plurality of butto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nd adjacent buttons in the same row are arranged in an absolute scale. Negative relationships are shown next to each other. The number of buttons can be adjusted as needed,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five, four, five, and four buttons are alternately formed to form five rows from the bottom.
  • the harmonics playing condition input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urther form a keyboard unit 30 that can play the chord according to the condition input from the condition input unit 20.
  • the keyboard unit 30 is configur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keys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otal of eight keys in a plurality of rows and a plurality of rows, for example, two rows and four rows.
  • the number of columns and rows of the keyboard can be variously formed as necessary,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xamples. That is,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2 columns 5 rows, 3 columns 5 rows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 one key of a reference is called a base key.
  • the keys will cause keys in the same row to display different notes within the same octave.
  • the first key in row 1 which is the base key, displays '1 degree', the second key '3 degrees', the third key '5 degrees', and the fourth key '7 degrees'.
  • the keys in the different rows are configured to represent notes of one octave difference.
  • the key 5 is one octave higher than the key 1 shown in the drawing.
  • each key of the keyboard unit 30 h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nsity or speed of pressing so as to represent the sound intensity.
  • the type of the complete / long / short pitch of the chord configuration sound played through the keyboard unit 30 may be automatically assigned a default value according to the chord basic tone pitch. For example, it may be specified as shown in FIG. 12.
  • the chemical composition playing condition input device can be implemented as a chemical composition playing instrument which can be played by a person directly.
  • the box-shaped main body 10 is provided to form the condition input unit 20 and the keyboard unit 30 at an appropriate position, and constitute a MIDI controller.
  • the external sound source module 4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50 are used in connection.
  • by mounting the sound source module 40 and the sound output device 50 in the main body 10 can be configured as an integrated instrument.
  • the key input unit 22 and the pitch stop unit 26 of the condition input unit 20 can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code base holding unit 24 can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the keyboard portion 30 is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pitch stop portion 2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ich is configured to allow the player to play while conveniently adjusting the rhythm with the left and right hands to be.
  • the chemical composi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by providing all the parts in the main body 10 as well as by providing a part separately connected by a line.
  • condition input unit 20 is formed in one body, and the keyboard unit 30, the sound source module 40 and the sound output unit 50 are separately provided, and each part is By connecting a line to transmit the signal (line) to form a system whenever necessary, so that you can configure the system whenever you want to play.
  • the sound output unit 50 is also formed separately, it becomes possible to use by connecting the general sound output device.
  • the sound output unit 5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 speaker can directly listen to the sound
  • the sound source modul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xternal terminal port 52 for transmitting the acoustic data of the 40 to the outsid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ine.
  • the keyboard unit 30 can be used by replacing the general master keyboard,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pitch stop 26 can be omitted.
  • FIG. 8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pitches
  • 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eventh scale
  • FIG. 1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absolute pitch
  • 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output according to an input of a condition input unit.
  • the octave branch section 22a is designated as No. 1
  • the key basic tone section 22b is designated as 'F'
  • the number III button is pressed in the pitch section 26.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case, for example.
  •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pitches assigned to a general master keyboard
  •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hord playing
  • FIG. 1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playing Imaj3 chord
  • FIG. 16 is a diagram showing a IIm chord playing
  • FIG. 17 is a IIIm7 chord.
  • Fig. 18 is an example of playing the IVmaj chord
  • Fig. 19 is an example of playing the Vmaj chord
  • Fig. 20 is an example of the note number given for each condition.
  • the player manipulates the octave fingering part 22a and the key basic sounding part 22b in the keying part 22 to designate the start sound in the absolute scale.
  • the start sound is designated as the 'F' sound in the absolute scale of FIG. That is, the first sound of FIG. 4B is designated as the 'F' sound.
  • the player operates the chord base station 24, i.e., selects one of a total of 12 buttons of the chord base station 24 to designate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For example, if the player selects button III 'out of a total of 12 buttons of the chord bass section 24, the long third sound of the pitch display becomes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and the first sound of the pitch display shows the key count (22). Is designated as the 'F' note, and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is designated as the 'A' note.
  • the player can play the chord and the melody by operating the buttons of the pitch stop 26 and the keyboard unit 30. That is, other notes constituting the chord can be played based on the basic sound of the designated chord.
  • the 'G #' sound is played because the default start sound is 'A'. will be.
  • the key of the keyboard unit 30 is pressed to play a specific chord. This allows you to play with varying chords, chords, and chords.
  • condition input unit 20 composed of the keying unit 22 and the code base unit 24 may be provided, and it ma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general master keyboard. Looking at the steps to play,
  • Step 1 Adjust the octave note section 22a and key basic note section 22b to specify the key of the song to be played.
  • Step 2 Enter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in the chord base section 24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song. For example, if the perfect 1 degree is the basic sound,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I', and if the 2nd degree is the basic sound,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II'.
  • Step 3 Play the master keyboard by pressing the chord type. This will allow you to play all octaves even in the keyboard range of the smallest unit that makes up the absolute scale. This is made possible by adjusting the octave in the octave branching section 22a.
  • the pitches assigned to the general master keyboard are based on each other, but the representative chords of each basic note are displayed on the score and the positions of the keys to be pressed when playing them are shown as dots.
  • Example 2 Composed of keyage government, chordbase government, pitch station and keyboard
  • a condition input unit 20 composed of a keying unit 22, a chord base unit 24, and a pitch stop unit 26 is provided, and the keyboard uni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lay chords and melodies. have.
  • a pitch band wheel or a modulation wheel is attached 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pitch stop 26 and the main body so that fine adjustment of the pitch or modul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ile the button of the pitch stop 26 is pressed. have.
  • Step 1 Adjust the octave note section 22a and key basic note section 22b to specify the key of the song to be played.
  • Step 2 Enter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in the chord base section 24 in accordance with the progress of the song. For example, if the perfect 1 degree of the key basic sound is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press the button corresponding to 'I', and if the 2nd degree is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enter the basic sound by pressing the button corresponding to 'II'. .
  • Step 3 While pressing the pitch stop 26 with one hand, press the keyboard part 30 with the other hand to play chords and melodies. If the pitch stop 26 is the left hand, the keyboard unit 30 is preferably operated by the right hand.
  • pressing the I button in the chord bass unit 24 designates the chord base sound. Subsequently, when the 1, 2, 3 keys of the keyboard section 30 are pressed while the 1, M3, 5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in the pitch stop 26, the chord is played. On the other hand, the same as the above, when playing the chords one octave down, it is possible to play the chords one octave down by pressing the key 5, 6, 7 in the keyboard unit 30.
  • chord base note 24 is designated by pressing the II button. Subsequently, while pressing the 1, b3, and 5 buttons simultaneously in the stopper section 26, pressing the 1, 2, 3, and 5 keys of the keyboard unit 30 plays the chord.
  • chord base note 24 is pressed to designate the chord basic sound. Subsequently, when the 1, b3, 5, and b7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in the pitch stop 26, the 1, 2, 3, 4, 5 keys of the keyboard unit 30 are pressed to play the chord.
  • the chord base note 24 is pressed to designate the chord basic sound. Subsequently, when the 1, 2, 5, and 7 keys of the keyboard unit 30 are pressed while the 1, M3, 5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in the pitch stop 26, the chord is played.
  • the chord base sound is designated by pressing the V button in the chord bass manager 24.
  • the 1, 5, 6, and 7 keys of the keyboard unit 30 are pressed while the 1, M3, 5 buttons are simultaneously pressed in the pitch stop 26, the chord is played.
  • the pitch of the constituent sound of the above-described chord may be automatically assigned an initial value according to the basic sound of the chord. After the initial value is specified, the pitch stop 26 can be operated only when the note to be played is different from the initial value.
  • chord pitches can be tuned to a non-average rate, such as the pure rate relative to the chord base tone.
  • a non-average rate such as the pure rate relative to the chord base tone.
  • the code played as described above can be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 MIDI can be used, and note numbers are assigned according to types according to octaves, keys, chords, pitches, and keyboards, so that they can be transmitted by collecting them. The note numbers assigned accordingly are shown in the table shown in FIG.
  • an octave is designated as '4' (note number 60)
  • a key is designated as 'D' (note number 2)
  • a code is designated as 'VI' (note number 5). If you press the second row (note number 12) on the keyboard with the pitch set to 'b7' (note number 10), the final note number of '89' is output, which is the note name 'F6'. .
  • the harmonics playing musical instru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able to easily understand and play harmonics through simple button operation even for beginners in harmon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하며 연주가능하고, 초보자가 쉽게 화성학 연주를 학습할 수 있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성학 연주 악기는 박스형의 본체(10)를 가지되, 절대 음계에서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하는 키지정부(22)와, 상기 지정된 키를 기준으로 코드의 기본음을 설정하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 및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설정된 기본음을 기준으로 개별 건반행 별 음정을 지정하는 음정지정부(26)로 구성되는 조건입력부(20);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된 조건에 따라 연주하여 화성을 구현하는 건반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조건을 입력하고 상기 건반부(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원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본 발명은 부피가 작아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휴대하기 편하며 음악이론에 부합되는 방식으로 연주되므로 즉흥연주 및 작곡 습득에 짧은 학습기간을 갖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관한 것이다.
음악이란 소리를 소재로 하여 박자, 선율, 화성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해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이다. 이하에서는 박자, 선율, 화성 을 포함하여 음악이론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들에 대한 개념들을 간단히 정리 한다.
[박자]
리듬(rhythm)이라고 하며, 여러가지 길고 짧은 음과 셈여림이 시간적으로 결합된 것을 말하며 음악의 기초와 토대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선율]
선율은 멜로디(melody)라고 하며, 여러가지 높고 낮은 음과 길고 짧음의 시간적 배합이다. 리듬과 달리 이는 음악의 표현이며 인간의 감정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한다. 또한, 멜로디는 음악적인 표현과 인간의 감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소로서 갖가지 음높이와 길이를 가진 음을 가로로 결합하여 형성하는 음의 선적(線的) 연결이다. 화성이 복수음(複數音)의 동시적(수직적) 결합 이라면, 멜로디는 높이가 다른 음의 계시적(繼時的:수평적)ㆍ단음적 배열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음의 연속이 음악적인 의미를 갖추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질서, 즉 리듬을 포함해야만 한다.
[코드(화음)]
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동시에 소리 냈을 때 합성되는 음을 코드(chord)라 한다. 코드는 기본음(root)과 구성음의 음정으로 표기된다. 코드의 기본음의 음이름이 무엇이냐에 따라 구분될 수 있으며 12개가 올 수 있다. 또한 구성음으로 구분하는데 완전5도를 가지고 3도의 장단에 따라 메이저(major, 장화음)와 마이너(minor, 단화음)로 나뉘고, 감5도를 가지면서 단3도를 가지는 디미니시(Diminish, 감화음), 증5도를 가지면서 장3도를 가지는 어그먼트(Augment, 증화음)가 있다. 7도를 가지면 4화음이 되는데 메이저 3화음에 장7도가 붙으면 메이저7, 단7도가 붙으면 도미넌트(dominant)7, 마이너 3화음에 단7도가 붙으면 마이너7이 된다.
기본음의 음이름과 구성음으로 표기하는 방법은(예: C, Am, Em, G7) 포크나 팝등 대중음악에 널리 쓰이고 있다. 화성학 이론에서는 기본음의 음이름 보다는 기본음과 조와의 관계를 더욱 중요시 여기고 있다. 이 관계는 음정의 도수로 표기하는데 로마숫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C조에서 C를 기본음으로 하는 코드는 C조에서 C는 1도 이므로 I, G를 기본음으로하는 코드는 5도이므로 V, F를 기본음으로 하는 코드는 4도(Ⅳ)가 된다. 일부에서는 I를 토닉(tonic), Ⅳ를 서브도미넌트(sub doninant), V를 도미넌트라고 부르고 이 3가지를 대표 3화음이라 한다.
이름 코드는 어떤 조에 속하냐에 따라 그 기능이 다르게 되며 가능한 멜로디도 다르다. 예를 들어 F코드는 C장조에서 Ⅳ이며 서브도미넌트의 기능을 갖는 반면 Bb장조에서는 도미넌트의 기능을 갖는다. 기능에 따라 대리화음의 종류 및 어울리는 멜로디가 정해지기 때문에 코드의 기능성을 인지하는 것은 즉흥연주 및 작곡 능력에 중요한 부분이다.
옥타브의 동질성과 화음의 전위에 대해 살펴보면, 기본음이 C인 메이저화음의 경우 구성음은 C, E, G이다. 낮은 음 순으로 C, E, G 와, E, G, C 및 G, C, E는 동일한 화음으로 간주한다. 이를 화음의 전위라고 하며 다른 악기와의 협연 및 멜로디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히 적용한다. 이는 옥타브 관계의 음이 동질하다는 음악이론에 근거하고 있다.
20세기 초엽 음악이론가 리만은 모든 화음의 기능을 토닉, 서브도미넌트, 도미넌트로 환원시키는 기능화성이론을 확립했다. 토닉 -> 서브도미넌트 -> 도미넌트 -> 토닉으로 진행되는 마침꼴을 이루며 고전파, 낭만파의 음악은 이 마침꼴의 확대로 보고 있다. 대중음악에 많이 쓰이는 진행은 'I VIm Ⅱm V7 (C 조의 경우 C Am Dm G7)'와 'I I7 Ⅳ Ⅳm (C 조의 경우 C C7 F Fm)'이며, 상기 두개의 기본 진행과 그 변형으로 대부분의 곡이 분석되어질 수 있다.
코드와 멜로디의 관계를 살펴보면, 멜로디는 코드의 구성음(코드톤)을 강박에 두고 코드톤과 코드톤 사이에 코드 밖의 구성음(넌코드톤)을 두어 코드톤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단순한 대중음악/찬송가 등은 멜로디가 코드톤 만으로 구성되어있다. 코드톤과 넌코드톤의 관계를 아는 것이 즉흥연주 학습의 필수 조건이다.
[이조/전조와 조율체계]
최초로 순정율을 이론화한 것은 피타고라스 음률일 것이다. 피타고라스 음률에서는 모든 음정이 3:2와 4:3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음률은 완전5도를 12번 겹쳐 하나의 옥타브를 만든다. 그러나 완전 5도를 12번 겹쳐 완전한 옥타브가 만들어지지 않으며, 처음의 5도 외의 다른 5도에서는 불협화음을 이룬다.
르네상스 시대 건반악기에는 가온음 음률이 유행하였다. 이 음계에서는 3:2를 약간 줄여 장3도가 정확히 5:4의 비율이 되도록 옥타브를 변경하였다. 그러나 가온음 음률에서도 여전히 조바꿈이 자유롭지는 않았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18세기의 몇몇 악기에는 한개의 음이 서로 다르게 조율된 두 개의 건반을 갖고 있는 경우도 있었다.
현대에 들어와 가장 많이 쓰이는 음률인 평균율은, 처음에는 울프 음정을 적당히 줄이기 위해 음정에 약간의 수정을 가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점점 더 많은 작곡가들이 곡 안에서 자유롭게 조바꿈을 하기 시작했고, 모든 조성 사이에 조바꿈이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각각의 음높이 사이에 적당한 타협을 취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등장하였다.
평균율은 옥타브 사이의 모든 반음이 동일한 음정을 갖게 하여 어떤 조성에 대해서도 음계가 완전히 동일하게 만드는 타협을 취했다. 평균율에서는 좋은 완전 5도도 나쁜 완전 5도도 존재하지 않고, 모든 완전 5도가 동일하다. 그러나 정수의 비를 취하지 않으므로 평균율은 순정율의 일종은 아니다.
오늘날 대부분의 음악은 평균율 조율로 작곡되므로 오늘날 순정율의 여러 가지 변형은 활발히 연구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순정율은 정확한 협화음 음정을 갖기 때문에 많은 작곡자들은 여전히 순정율에 대해 공부하며 현악 사중주단 등의 작은 그룹에서는 순정율 조율로 연주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각 조율체계 주파수가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바, 도면을 참고하면, 순정율이 주요음에 훨씬 협화적이나 D와 A음이 5도이나 불협화음을 갖으므로 고정된 음고를 가지고 있는 건반악기에는 순정율을 적용하기 어렵다.
[화성]
화성은 하모니(harmony)라고도 하며, 높이가 다른 두 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리는 화음(코드)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는 멜로디와 리듬의 배후에서 이들을 보강하여 음 빛깔의 효과를 더하는 구실을 한다. 또 이 화성으로 말미암아 음악은 더욱 폭이 넓어지고 또 깊어지며 풍부해 진다 장조와 단조에 의한 이른바 조성적(調性的) 화성법에서는 기본음(1도)과 3도의 간격으로 3개의 음을 겹친 3화음이 기초적인 화음을 이루고 있다.
[음고]
음높이. 기본 주파수에 의해 정해진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높은음이 된다. 음고를 가리키는 것이 음이름이다. 음이름을 반음단위로 배열하면 “A, Bb, B, C, Db, D, Eb, E, F, Gb, G, Ab”이다. 주파수가 두배되는 음을 옥타브라고 하며 옥타브 관계의 음은 동질적인 것으로 취급하여 A의 옥타브 음도 A라고 부른다. 옥타브는 뒤에 숫자를 붙여서 표기하기도 하는데 A4는 기본주파수 440Hz를 갖는 음이고 한 옥타브 위의 음은 A5이다. 음고를 나타내는 또 다른 방법은 정수기보법이 있다. A#과 Bb은 평균율에서는 동일한 음고를 가진다. 이러한 중복되는 표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음 단위로 0~11까지로 정수로 표기하는 방법이다. 이 정수표기형은 주로 무조음악을 분석/작곡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겨났으나 전산 처리에 유용하기 때문에 미디 노트 넘버(Midi Note Number, 미디 데이터에서 음 높이를 표현하는 숫자) 송신에도 사용된다. 미디 노트 넘버는 중앙C음 (C4)을 60으로 설정하고 반음간격으로 1씩 증감한다. 상기 음고에 대해서는 도 22에 도식화되어 있다.
[음정]
두 음 사이의 간격을 음정이라고 한다. 특정 음고는 음악적 의미를 가지지는 않는다. 특정 음고는 다른 음들과의 관계, 즉 음정으로서만이 의미를 가진다. 음정의 기준음을 잡는 방법은 두가지가 음악적으로 중요하다. 첫째, 키(Key, 조)의 으뜸음을 기준으로 음계의 음들의 음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둘째, 코드의 기본음을 기준으로 화음 및 멜로디의 음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음정을 표기하는 방법은 장음계를 기준으로 하여 '도(度)'를 단위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음계에서 똑같은 단계 위에 있는 2음의 음정을 1도 혹은 같은 도라고 하며, 인접한 다른 단계에 있는 2음의 음정을 2도라고 한다. 그리고 다시 거리가 1단계, 즉 2도씩 넓어짐에 따라서 차례로 3도, 4도, 5도, 6도, 7도 라하며, 8도는 옥타브라고도 한다. 도의 종류는 다시 완전, 장 및 단으로 나뉘고 완전 및 장에서 반음 하나 증가하면 증이라 하고 완전 및 단에서 반음하나 감소하면 감이라고 한다. 음계의 구성음을 음정으로 표기할 때는 조의 으뜸음을 기준으로 하며 코드의 구성음을 음정으로 표기할 때는 코드의 기본음을 기준으로 1도로 한다. 코드의 기본음을 표기할 때는 조의 으뜸음을 기준으로 로마숫자로 표기한다. 또 다른 방법은 계이름 (이동도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계이름은 음계의 구성음을 표현할 때만 사용하고 코드의 구성음을 표현할 때는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음정이 도 23에 정리되어 있으며, 음정과 음고의 관계에 대해서 도 24에 도시되어 있다.
[조성]
어떤 한 음이 중심적인 존재로서 우위를 차지하고 다른 여러 음은 그 중심음(으뜸음)에 대하여 종속적 질서를 유지하는 현상. 예를 들면 음이름 C를 으뜸음으로 하는 장음계(Major Scale)에 의한 곡은 'C장조'라고 부르며 C음은 그 곡의 중심이 되며 나머지 음은 C음의 관계에 따른 기능성을 갖는다. 으뜸음이 어떤 음(음이름)이냐에 따라 조가 정해지며 유럽음악에서는 제각기 12개의 장조와 12개의 단조가 있다.
[음계]
조성음악에서의 음계는 으뜸음부터 특정한 음정의 순서로 음을 차례로 늘어놓은 것으로 서양 음악은 7음 음계를 기초로 한다. 음계의 구성음은 계이름으로 부르며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레….”의 순서로 배열된다. 장음계는 도로 시작되고 단음계는 라로 시작되며, 미와 파 사이, 그리고 시와 도 사이는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의 음정을 가진다. 음이름 A를 으뜸음으로 하는 음계는 도 25와 도 26에 예시되어 있다.
[디지털 악기]
디지털 악기는 음원모듈, 음향출력장비(앰프 및 스피커), 컨트롤러로 구성된다. 음원모듈은 음을 합성하는 신시사이저(Synthesizer)와 녹음된 음이 들어있는 샘플러(Sampler)등이 있고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음을 출력장비로 전송된다. 컨트롤러는 건반 형식이 대표적이다. 디지털 피아노는 음원모듈, 음향출력장비, 컨트롤러가 일체형으로 되어있다. 현재 상품화 되어있는 것은 음원모듈과 컨트롤러만으로 구성되거나 음원모듈만으로 구성되거나 컨트롤러만으로 구성된 상품이 유통되고 있다. 음원모듈없이 컨트롤러만 있는 제품은 마스터키보드라고 한다. 사용자는 컨트롤러, 음원모듈 및 음향출력장비를 별도로 구매하여 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미디(MIDI)]
제조사별로 음원모듈, 컨트롤러 등의 표준이 다르면 서로 호환이 되지 않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표준시스템이 생겼는데 이것이 미디(MIDI,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이다. 미디 신호는 데이터-수치값일 뿐, 음성신호도 통하지 않는다. "주요신호 내용은 'Note-On/Off Message'로 음을 시작하고 종료하는 명령이다. 'Channel 번호'는 채널 번호에 따라 지정된 음색이 출력되게 하는 번호이다. 'Note Number'는 중앙 C음을 60번으로 지정하고 반음 단위로 1씩 증가/감소하게 부여된 번호이다(예, C# = 61, B = 59). 'Velocity'는 음의 세기를 나타낸다. 또한 '음고 벤드 체인지'는 음고 벤더 (보통 휠)가 움질일 때마다 송신되며 정상을 뜻하는 중심위치에서 위 아래로 음고 변화를 만든다. 기타의 초킹등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한편, 화성학이란 화음의 진행과 각 진행 단계별 코드의 구성음과 멜로디 관계를 해석하는 것이다. 이때, 화음은 음악에서 높이가 다른 둘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려서 생기는 합성음이다. 즉, 음이 두 개만 같이 울려도 화음의 구성 요건을 갖출 수 있다. 이러한 화음은 음이 몇도 간격으로 동시에 울리느냐에 따라 3도 화음과 4도 화음으로 나눌 수 있으며, 3도 간격으로 음이 동시에 울리는 경우는 3도 화음이며, 4도 간격으로 음이 동시에 울리는 경우는 4도 화음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음악은 각종 악기를 통하여 구현되는데, 상기 악기는 좁은 뜻으로는 연주자가 음악을 연주하기 위해 만들어낸 음악용 발음기구를 가리키며, 넓은 뜻으로는 음악 음향을 만들어내기 위해 발음체로서 이용된 것은 그 존재목적이 전연 음악과 관계가 없는 것일지라도 그 이용되는 시점에서는 악기로 정의된다. 그러나 이때도 연주자가 그 발음체의 음향을 제어(制御)할 수 있는 경우에만 악기로 정의된다.
그런데, 현재의 악기, 특히 건반 악기의 경우에는 연주자가 직접 연주를 하여 음악 음향만을 만들어 낼 수 있을 뿐, 자신이 연주하는 음악이 화성을 어떻게 이루는지 확인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즉, 현재의 악기로는 연주자가 화성학에 대한 이해, 즉, 화음의 진행과 각 진행 단계별 화음의 구성음과 멜로디 관계를 해석하는 것이 어렵다.
특히나 20세기초 기능화성이론이 확립되었으나 기존 건반악기의 건반구조는 화성이론에 부합되지 않게 설계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로, 동형화음의 이형연주 문제가 있었는바, 동일한 종류의 화성이 조에 따라 다른 형태로 연주되어야 하므로 특정조로는 익숙하게 연주할 수 있는 곡도 이조하여 연주하려면 새로이 연습을 하여야 한다. 전문가들은 모든 곡을 12개의 조로 바로 연주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러한 능력은 습득되는 데에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 예를 들면 한글 컴퓨터 자판이 초성이 무엇이냐에 따라 모음 자판의 위치가 매번 바뀌어야 한다고 상상해보자. 익히는데 오랜 시간이 들것이다.
즉, 같은 I화음이라 하더라도 각 조마다 건반을 누르는 위치가 달라지는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장조의 I화음 건반 위치와, D장조의 I화음 건반 위치 및 Eb장조의 I화음의 구성음이 1, M3, 5로 되어있으나 건반 누름 형태가 확연히 다른 것을 볼 수 있다.
둘째로, 화음의 기능성 인식의 어려움이 있었는바, 화성이론에서는 옥타브음은 동질적으로 인지하여 전위된 화음은 동질적으로 본다. 그러나 이러한 전위된 화음도 기존 건반에서는 다른 형태의 손모양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도미솔'은 도와 미가 흰 건반 하나를 띄우고 미와 솔이 흰건반 하나 띄우는 모양이지만 동질적 전위화음인 미솔도는 미와 솔이 한건반 솔과 도는 두건반을 건너 위치하고 있다. 또한 멜로디 즉흥연주 시에도 진행중인 해당코드의 코드 구성음들을 중심으로 코드 밖의 음을 적절히 섞어 사용해야 하는데 기존 악기로는 코드톤과 넌코드톤의 즉각적인 구분이 어렵다. 그 원인은 기존악기는 음고를 기준으로 건반이 배치되어있기 때문이다. 특정 음고는 음악적 의미가 없이 임의적이기 때문에 음악적 의미는 음정을 기준으로 할 때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정된 조율 방식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특정 건반이 하나의 음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조 및 이조를 위하여서는 평균율 밖에 적용할 수 없다. 순정율 및 미분음계를 적용하지 못하여 음악의 다양한 표현을 제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에서 도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 화성학에 따른 음이 구현되어 간편하게 휴대하며 연주가능하고, 초보자가 쉽게 화성학 연주를 학습할 수 있는 화성학 연주 악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고(Pitch)가 아닌 음정(Interval)기준 연주 방식을 채택한다. 기존 건반 악기는 음고가 고정된 건반을 갖고 있다. 그러나 특정 음고가 음악적 의미를 가지지 못하며 음악적 의미는 기준음과의 관계 즉 음정에서 찾을 수 있다는 화성학이론에 의거, 음정 기준으로 조작 연주하는 방식을 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이는 건반이 특정 음고에 고정되어있지 않고 키와 코드의 진행에 따라서 건반이 음정관계를 갖게하는 방식으로 원칙은 아래와 같다.
1)동형화음을 동형연주 구현, 즉, 동일한 종류의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할 때 동일한 형태로 연주할 수 있도록 조건입력부를 건반부와 조합하여 음이 선택되도록 구성하고,
2) 동형화성 진행을 동형 조작, 즉, 많은 곡들이 화성진행에 있어서 동형성을 지니고 있지만 기존악기는 동형성을 인지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이에 직관적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동형화성 진행은 동형으로 조작토록 구성하며,
3) 순정율등 기타 비평균율적 조율도 불협5도 화음없이 연주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음정 기준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를 지정하는 키지정부와 코드 기본음을 지정하는 코드베이스지정부 및 지정된 기본음을 기준으로 건반행별 음정을 지정하는 음정지정부, 음정지정부에서 지정된 조건에 따라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는 건반부를 채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간단한 키 조작만으로 화성학에 따른 음이 구현되어 간편하게 휴대하며 연주가능하고, 초보자가 쉽게 화성학 연주를 학습할 수 있는 화성학 연주 악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성학 연주 악기는 화성학 입문 초보자도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하여 화성학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주법 및 화성이론을 배우기 쉽고 비슷한 유형의 곡들을 쉽게 외워서 다양하게 변주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으며, 기존악기제작에서 많은 비용을 차지하는 건반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제작비 절감효과가 있고 악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휴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건반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순정율, 피타고라스율 등과 같은 비평균율 조율체계를 문제없이 구현할 수 있어 음악적 표현을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성학 연주 악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베이스지정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정지정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반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성학 연주 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성학 연주 악기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성학 연주 악기의 상부 구성 예시도,
도 8은 음정을 표시한 예시도,
도 9는 7음계를 표시한 예시도,
도 10은 절대 음고를 표시한 예시도,
도 11은 조건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12는 코드 구성음정 기본값 설정의 예시도,
도 13은 일반 마스터 키보드에 지정된 음정 예시도,
도 14는 코드 연주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Imaj3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6은 Ⅱm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7은 Ⅲm7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8은 Ⅳmaj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9는 Vmaj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20은 조건별 부여된 노트넘버의 예시도,
도 21은 조율체계 주파수 비교표,
도 22는 음고를 도식화한 예시도,
도 23은 음정을 정리한 예시도,
도 24는 음정과 음고의 관계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5는 A장도의 음이름과 계이름 예시도,
도 26은 A단조의 음이름과 계이름 예시도,
도 27은 C장조의 I화음 건반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8은 D장도의 I화음 건반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9는 Eb 장도조의 I화음 건반위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본체, 20: 조건입력부,
22 : 키지정부, 24 : 코드베이스지정부,
26 : 음정지정부, 30 : 건반부,
40 : 음원모듈, 50: 음향출력부.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한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성학 연주 악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코드베이스지정부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음정지정부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반부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화성학 연주 악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화성학 연주 악기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성학 연주 악기의 상부 구성 예시도, 도 12는 코드 구성음정 기본값 설정의 예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는 연주할 곡의 키(key)를 지정하고 코드(chord, 화음)의 기본음(root)을 설정하며 상기 기본음을 기준으로 개별 건반행 별 음정을 지정하는 조건입력부(20)와, 입력된 조건을 기반으로 하여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건반부(30), 그리고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음원모듈(40)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0)를 추가할 수 있다.
상기 조건입력부(20)는 절대 음계에서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하는 키지정부(22); 상기 지정된 키를 기준으로 코드의 기본음(root)을 설정하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설정된 기본음을 기준으로 개별 건반행 별 음정을 지정하는 음정지정부(26);로 구성된다.
키지정부(22)는 옥타브지정부(22a) 및 키기본음지정부(22b)로 구성될 수 있다. 옥타브지정부(22a)는 절대 음계에서 옥타브 단위의 이동을 결정하며, 키기본음지정부(22b)는 절대 음계의 한 옥타브 내에서 반음 단위로 음의 이동을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옥타브지정부(22a)와 키기본음지정부(22b)는 회전식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하여 손가락으로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나, 버튼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코드베이스지정부(24)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버튼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4행(도면상 가로방향, 이하 동일)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버튼 각각은 12음도 표시의 각 음을 지정하게 구성된다. 즉, 맨 위줄에는 단2도(bⅡ)와 단3도(bⅢ)가, 그 아래에는 완전1도(Ⅰ), 장2도(Ⅱ), 장3도(Ⅲ)가 배열되고, 그 아래에는 완전4도(Ⅳ), 완전5(Ⅴ)도, 장6도(Ⅵ), 장7도(Ⅶ)가 배열되고, 그아래에는 감5도(bⅤ), 단6도(bⅥ), 단7도(bⅦ)를 지정하는 버튼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형태는 필요에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네 줄로 형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정지정부(26)는 기본음을 기준으로 고저 2도의 범위에서 개별 건반행의 음정을 지정하는 것으로서, 다수의 버튼이 다수의 행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동일 행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버튼이 절대 음계에서 서로 이웃하는 음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버튼의 수는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에서는 맨 아래로 부터 다섯개, 네개, 다섯개, 네개의 버튼이 번갈아가마 형성되어 5행을 이루게 배열된 것을 예로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는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된 조건에 따라 화음을 연주할 수 있는 건반부(30)를 더 형성하여 줄 수 있다.
건반부(30)는 다수의 건반이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복수열과 복수행, 예를 들면, 2열 4행의 총 8개 건반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반의 열과 행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2열 5행, 3열 5행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기준이 되는 1개의 건반을 베이스 건반이라 한다.
상기 건반은 동일한 열의 건반이 동일 옥타브 내에서 다른 음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 건반인 1행의 1번 건반은 '1도', 2번 건반은 '3도', 3번 건반은 '5도', 4번 건반은 '7도'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서로 다른 열의 건반은 1옥타브 차이의 음을 표시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1번 건반에 비하여 5번 건반이 1 옥타브 높은 '도'음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건반부(30)의 각 건반은 누르는 세기 또는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있어서 음의 강약을 표현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리고 건반부(30)를 통해 연주되는 코드 구성음의 완전/장/단 음정의 종류는 코드 기본음 음정에 따라서 자동으로 기본값을 지정해 줄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12와 같이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는 사람이 직접 사용하면서 연주할 수 있는 화성학 연주 악기로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 박스형의 본체(10)를 마련하여 상기 조건입력부(20)와 건반부(30)를 적절한 위치에 형성하여 미디컨트롤러(MIDI controller) 로 구성된다. 이 경우 외부의 음원모듈(40)과 음향출력장치(50)와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음원모듈(40) 및 음향출력장치(50)를 본체(10) 내부에 추가 장착하여 일체형 악기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조건입력부(20) 중 키지정부(22)와, 음정지정부(26)는 본체(10)의 상면에 형성하고, 코드베이스지정부(24)는 본체(10) 저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건반부(30)는 상기 본체(10) 상면에서 상기 음정지정부(26)에 인접하게 형성되도록 하는바, 이는 연주자가 가 부를 왼손과 오른손으로 편리하게 조절하면서 연주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성학 연주 악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에 각 부를 모두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일부를 별도로 마련하여 선으로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조건입력부(20)를 하나의 몸체로 형성하고, 건반부(30), 음원모듈(40) 및 음향출력부(50)는 각각 별도로 마련하며, 각 부분은 신호를 전달하는 선(line)으로 연결하여 필요할 때마다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게 구성함으로써 원할때마다 시스템을 구성하여 연주를 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음향출력부(50) 또한 별도로 형성될 경우 일반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여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음향출력부(50)는 상기 본체(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연주자가 직접 음향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피커(51)와, 상기 본체(10)의 타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음원모듈(40)의 음향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외부 단자 포트(52)를 포함하게 구성되어 서로 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건반부(30)를 일반 마스터키보드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정지정부(26)의 구성은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의 기본 작동 개념을 살펴본다.
도 8은 음정을 표시한 예시도, 도 9는 7음계를 표시한 예시도, 도 10은 절대 음고를 표시한 예시도, 도 11은 조건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음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키지정부(22)에서 옥타브지정부(22a)을 1번으로 지정하고 키기본음지정부(22b)를 'F'음을 지정하고, 음정지정부(26)에서 'Ⅲ'번 버튼을 누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일반 마스터 키보드에 지정된 음정 예시도, 도 14는 코드 연주의 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15는 Imaj3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6은 Ⅱm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7은 Ⅲm7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8은 Ⅳmaj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19는 Vmaj 코드의 연주 예시도, 도 20은 조건별 부여된 노트넘버의 예시도 이다.
우선, 연주자는 키지정부(22)에서 옥타브지정부(22a) 및 키기본음지정부(22b)를 조작하여 절대 음계에서 시작음을 지정한다. 예를 들면, 옥타브지정부(22a)는 1번으로 지정하고, 키기본음지정부(22b)를 6번으로 지정하면, 시작음은 도 7의 절대 음계에서 'F'음으로 지정된다. 즉, 도 4b의 1도음이 'F' 음으로 지정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연주자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를 조작하여, 즉, 코드베이스지정부(24)의 총 12개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코드의 기본음을 지정한다. 예를 들면, 연주자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의 총 12개 버튼 중 Ⅲ'번 버튼을 선택하면, 음도 표시의 장3도음이 코드의 기본음이 되며, 음도 표시의 1도음이 키지정부(22)를 통하여 'F' 음으로 지정되었으며, 상기 코드의 기본음은 'A' 음으로 지정되는 것이다.
상기 코드의 기본음이 지정되면, 연주자는 음정지정부(26) 및 건반부(30)의 버튼을 조작하여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정된 코드의 기본음을 바탕으로 코드를 구성하는 다른 음들을 연주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주자가 음정지정부(26)의 4행의 'M7' 버튼을 누르고 건반부(30)의 1번 건반을 누르면, 기본 시작음이 'A'음이므로, 'G#'음이 연주되는 것이다.
또한, 연주자가 음정지정부(26)의 3행 'M3' 버튼을 누르고 건반부(30)의 2번 건반을 누르면, 'C#'음이 연주된다.
또한, 연주자가 음정지정부(26)의 2행 'b6' 버튼을 누르고 건반부(30)의 3번 건반을 누르면, 'F'음이 연주된다.
또한, 연주자가 음정지정부(26)의 1행 'M6' 버튼을 누르고 건반부(30)의 4번 건반을 누르면, 'F#'음이 연주된다.
상기와 같이 지정된 기본음을 바탕으로 건반부(30)의 건반를 눌러 특정 코드를 연주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조와 이조 및 코드를 다양하게 조절하면서 연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실시예에 따라 화성학에 기초한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하는 예를 살펴본다.
[실시예 1] 키지정부와 코드베이스지정부 및 일반 마스터 키보드로 구성
키지정부(22)와 코드베이스지정부(24)로 구성되느 조건입력부(20)을 마련하고, 이를 일반 마스터 키보드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연주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1단계 : 옥타브지정부(22a)와 키기본음지정부(22b)를 조절하여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한다.
2단계 : 곡의 진행에 맞추어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 코드의 기본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완전1도가 기본음일 경우 'I'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주고, 장2도가 기본음일 경우 'Ⅱ'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기본음을 입력하는 것이다.
3단계 : 코드의 종류에 따라 마스터 키보드를 눌러 연주한다. 이와 같이 연주하게 되면 절대음계를 이루는 최소 단위의 건반 범위에서도 모든 옥타브의 연주가 가능해 지게 된다. 이는 옥타브지정부(22a)에서 옥타브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 일반 마스터 키보드에 지정된 음정을 기본으로 하되, 각 기본음별로 대표적인 코드를 악보에 표시하고 이를 연주할 때 눌러주는 건반의 위치를 점으로 표시하여 설명한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실시예 2] 키지정부와 코드베이스지정부, 음정지정부 및 건반부로 구성
키지정부(22)와 코드베이스지정부(24) 및 음정지정부(26)로 구성되는 조건입력부(20)을 마련하고, 이를 본 발명에 의한 건반부(30)로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음정지정부(26)와 본체의 연결부위에 음고 밴드 휠(Wheel) 또는 모듈레이션 휠(Modulation wheel)을 부착하여 음정지정부(26)의 버튼을 누르는 상태에서도 피치 또는 모듈레이션의 미세한 조정을 할 수 있다.
연주하는 단계를 살펴보면,
1단계 : 옥타브지정부(22a)와 키기본음지정부(22b)를 조절하여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한다.
2단계 : 곡의 진행에 맞추어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 코드의 기본음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키 기본음의 완전1도가 코드의 기본음일 경우 'I'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주고, 장2도가 코드의 기본음일 경우 'Ⅱ'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주는 방식으로 기본음을 입력하는 것이다.
3단계 : 음정지정부(26)를 한쪽 손으로 눌러주면서 반대편 손으로는 건반부(30)를 눌러서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한다. 음정지정부(26)가 왼손이라면 건반부(30)는 오른손으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악보에 표시된 코드를 연주하는 과정을 각 코드별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연주는 옥타브지정부(22a)에서 3옥타브로 지정하고, 키기본음지정부(22b)에서 C장조로 지정한 상태를 기본으로 하여 코드베이스지정부(24)와 음정지정부(26), 건반부(30)를 어떻게 작동하여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할 것인가를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Imaj3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I 버튼을 눌러 코드 기본음을 지정한다. 이어서 음정지정부(26)에서 1, M3, 5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건반부(30)의 1, 2, 3번 건반을 누르면 상기 코드가 연주된다. 한편, 상기와 동일하되, 한 옥타브 아래인 코드를 연주할 때에는 건반부(30)에서 5, 6, 7번 건반을 누르면 한 옥타브 아래인 코드를 연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Ⅱm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Ⅱ 버튼을 눌러 코드 기본음을 지정한다. 이어서 음정지정부(26)에서 1, b3, 5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건반부(30)의 1, 2, 3, 5번 건반을 누르면 상기 코드가 연주된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Ⅲm7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Ⅲ 버튼을 눌러 코드 기본음을 지정한다. 이어서 음정지정부(26)에서 1, b3, 5, b7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건반부(30)의 1, 2, 3, 4, 5번 건반을 누르면 상기 코드가 연주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Ⅳmaj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Ⅳ 버튼을 눌러 코드 기본음을 지정한다. 이어서 음정지정부(26)에서 1, M3, 5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건반부(30)의 1, 2, 5, 7번 건반을 누르면 상기 코드가 연주된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Vmaj 코드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V 버튼을 눌러 코드 기본음을 지정한다. 이어서 음정지정부(26)에서 1, M3, 5 버튼을 동시에 누른 상태에서 건반부(30)의 1, 5, 6, 7번 건반을 누르면 상기 코드가 연주된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코드의 구성음의 음정은 코드의 기본음에 따라서 자동으로 초기값을 지정해 줄 수도 있다. 초기값이 지정된 후 연주하고자 하는 음이 초기값과 다를 경우에만 음정지정부(26)를 조작해 주면 된다
그리고 코드 구성 음정 들은 코드 기본음 대비 순정율등 비평균율로 조율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된 음고를 가진 경우의 불협화 문제는 코드의 밑음을 기준으로 실시간 조율이 조정된다면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주되는 코드는 음향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에는 미디를 이용할 수 있는바, 옥타브, 키, 코드, 음정, 건반에 따라 종류별로 노트넘버(Note Number)를 부여하여 이를 취합함으로써 송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부여된 노트넘버는 도 20에 도시된 표와 같다.
도 20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옥타브를 '4'로 지정(노트넘버 60)하고, 키를 'D'로 지정(노트넘버 2)하며, 코드는 'Ⅵ'(노트넘버 5)로 지정한 다음, 음정을 'b7'(노트넘버 10)로 한 상태에서 건반의 둘째열(노트넘버 12)을 누르게 되면 최종 '89'의 노트넘버가 출력되며, 이는 곧 노트네임 'F6'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적용된 화성학 연주 악기는 화성학 입문 초보자도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하여 화성학을 쉽게 이해하며 연주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1. 연주할 곡의 키(key)를 지정하고 코드(chord)의 기본음(root)을 설정하는 조건입력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입력부(20)는,
    절대 음계에서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하는 키지정부(22);
    상기 지정된 키를 기준으로 코드의 기본음(root)을 설정하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로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입력부(20)는,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설정된 기본음을 기준으로 개별 건반행 별 음정을 지정하는 음정지정부(26);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지정부(22)는 옥타브지정부(22a) 및 키기본음지정부(22b)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옥타브지정부(22a)는 절대 음계에서 옥타브 단위의 이동을 결정하며, 키기본음지정부(22b)는 절대 음계의 한 옥타브 내에서 반음 단위로 음의 이동을 결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옥타브지정부(22a)와 키기본음지정부(22b)는 회전식 다이얼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는 12개의 버튼으로 구성되며, 각 버튼은 12음도 표시의 각 음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지정부(26)는 기본음을 기준으로 저음 2도~고음 2도의 범위에서 개별 건반행의 음정을 지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정지정부(26)는 다수의 버튼이 다수의 행으로 배열된 것으로서, 동일 행에 있는 서로 이웃하는 버튼이 절대 음계에서 서로 이웃하는 음 관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10. 제1 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연주조건 입력기를 채택하되,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된 조건에 따라 코드를 연주할 수 있는 건반부(30)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부(30)는 다수의 건반이 다수의 열로 배열되어 구성된 것으로서,
    동일한 열의 건반은 동일 옥타브 내에서 다른 음을 표시하고, 서로 다른 열의 건반은 1옥타브 차이의 음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은 한 열당 네개씩 두 개의 열로 배열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은 누르는 세기와 속도를 감지하여 출력 음향의 크기를 조절하게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4. 박스형의 본체(10)를 가지되,
    절대 음계에서 연주할 곡의 키를 지정하는 키지정부(22)와, 상기 지정된 키를 기준으로 코드의 기본음을 설정하는 코드베이스지정부(24) 및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에서 설정된 기본음을 기준으로 개별 건반행 별 음정을 지정하는 음정지정부(26)로 구성되는 조건입력부(20);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된 조건에 따라 코드 및 멜로디를 연주하는 건반부(30);가 형성되며,
    상기 조건입력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조건을 입력하고 상기 건반부(3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음향 데이터로 변환하는 음원모듈(40)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모듈(40)의 신호를 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키지정부(22)와, 음정지정부(26) 및 건반부(30)는 상기 본체(10)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코드베이스지정부(24)는 본체(10)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음원모듈(40)은 상기 본체(40) 내부에 형성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성학 연주 악기.
PCT/KR2010/002739 2010-04-30 2010-04-30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WO2011136414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2739 WO2011136414A1 (ko) 2010-04-30 2010-04-30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2739 WO2011136414A1 (ko) 2010-04-30 2010-04-30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6414A1 true WO2011136414A1 (ko) 2011-11-03

Family

ID=4486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2739 WO2011136414A1 (ko) 2010-04-30 2010-04-30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136414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58A (ja) * 1992-07-06 1994-02-0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
JPH06295179A (ja) * 1993-04-09 1994-10-21 Yamaha Corp 演奏情報分析装置および和音検出装置
JP2004163987A (ja) * 2004-03-12 2004-06-10 Casio Comput Co Ltd コード判別装置
JP2004206073A (ja) * 2002-09-04 2004-07-22 Yamaha Corp 演奏補助装置、入力音変換装置及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958A (ja) * 1992-07-06 1994-02-04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電子楽器
JPH06295179A (ja) * 1993-04-09 1994-10-21 Yamaha Corp 演奏情報分析装置および和音検出装置
JP2004206073A (ja) * 2002-09-04 2004-07-22 Yamaha Corp 演奏補助装置、入力音変換装置及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2004163987A (ja) * 2004-03-12 2004-06-10 Casio Comput Co Ltd コード判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5641A (en) Relativisti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214231A (en) Apparatus for electronic teaching accompaniment and practice of music, which is independent of a played musical instrument
WO2012148112A9 (ko) 클라이언트단말기를 이용한 음악 컨텐츠 제작시스템
WO2001078058A3 (en) System for playing music having multi-colored musical notation and instruments
US7297859B2 (en) Assistive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laying music
WO2019031650A1 (ko) 사용자 허밍 멜로디 기반 반주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9050083A1 (ko) 사용자 허밍 멜로디 기반 멜로디 녹음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3943811A (en) 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CN107818774A (zh) 一种数字扬琴演奏平台及演奏方法
WO2023106665A1 (ko) 악보 변환 시스템
WO2011136414A1 (ko)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JP2003288077A (ja) 曲データ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95226A (ko)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JP6315677B2 (ja) 演奏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69421B2 (ja) 楽器音出力装置及び楽器音出力プログラム
JP2587737B2 (ja) 自動伴奏装置
KR20120039608A (ko) 화성학 연주조건 입력기 및 이를 채택한 화성학 연주 악기
JP2002162963A (ja) 電子ギター
CN211828089U (zh) 一种西洋民族合奏琴
WO2018198379A1 (ja) 歌詞表示装置
JP6582517B2 (ja)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2165931A2 (ko) 기타 연주시스템과 이를 위한 연주용 기타 및 기타 연주정보 표시방법
JP2871514B2 (ja) 身振り型楽音制御装置の楽譜表記方法
WO2023096226A1 (ko) 코드명 표기법 상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대응버튼을 각각 구비하고 이를 한번에 동시에 운지하여 코드를 확정하는 오토기타
JP3112633B2 (ja) 電子鍵盤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50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5078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