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99723A2 -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99723A2
WO2011099723A2 PCT/KR2011/000717 KR2011000717W WO2011099723A2 WO 2011099723 A2 WO2011099723 A2 WO 2011099723A2 KR 2011000717 W KR2011000717 W KR 2011000717W WO 2011099723 A2 WO2011099723 A2 WO 201109972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ying
heating element
booth
generator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071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99723A3 (ko
Inventor
정명미
조중화
Original Assignee
Jeong Myung Mi
Cho Jung Hwa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Jeong Myung Mi, Cho Jung Hwa filed Critical Jeong Myung Mi
Publication of WO201109972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9723A2/ko
Publication of WO201109972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972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not covered by groups F26B9/00 - F26B17/00
    • F26B19/005Self-contained mobile devices, e.g. for agricultural produc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dried in the case of a large-size building by moving the drying booth by a moving device located on the ceiling.
  • Drying equipment is applied to various industries and is produced and sol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applied field, and the drying method is also classified into far-infrared ray, hot air type, low temperature drying, etc. Indicates a difference.
  • the size of the target parts is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drying of other products, and in particular, ship parts may not be able to move without using a crane. .
  • the drying heater is conventionally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dryer booth.
  • the drying heater is equipped with a heater on the support and the wheel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to move the drying heater to perform the drying of the parts.
  • the above method uses a large number of individual heaters.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eater is not fixed and the operator does not recognize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number of use of a relatively large part, the drying spee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part, so that the quality is accurate. There is a drawback of not being able to get dry goods.
  • a drying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heaters are mounted on a wall of a mobile booth, and the booth is moved by a rail installed at the bottom.
  • the method has a high drying efficiency and a relatively uniform drying quality by moving the booth.
  • the rail is installed on the bottom, which requires a uniform plane, and may als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parts due to the presence of the rail.
  • the drying apparatus always includes a painting process, the coating liquid is sprayed on the floor in the painting process, and thus the reflection of the drying floor must be relatively clean.
  • the parts for painting and drying should always be in the required position, but also has the disadvantage of uniformity of the drying, there is a need for a drying device having a uniform drying characteristics in the position of the free part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ing apparatus which is devis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disadvantages, and which is easy to maintain and which can obtain drying of uniform quality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rying apparatus part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ying device for drying a product located in a building located inside the building,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ers, the drying booth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space for placing the drying parts therein ; A plurality of heaters mounted in a plurality of rows on both wall surfaces of the drying booth; A door installed on an opposite wall surface of a dry booth in which the heater is not mounted;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veling device tha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rying booth in the building to move the drying booth to any location inside the building.
  • the drying booth further comprises a sealing member for improving airtightness at the lower end of the blower and the ceiling for the flow of internal air.
  • the traveling device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a traveling rail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ilding, a trolle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running rail on the running rail, a moving body moving in the trolley direction on the trolley rail formed on the trolley, It includes a moving wire to move, the end of the moving wire is connected to the drying booth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booth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device.
  • the door is installed in the drying boot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 control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heater by heat or wall surfa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problem solving means described above.
  • the floor can be implemented in any form, which is convenient for the maintenance of the floor.
  • Installation cost is relatively low since it can be moved to a single booth.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traveling device of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drying booth of FIG. 1,
  •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heater installed in the drying booth of FIG. 3.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heater of FIG. 3;
  • FIG.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two dry booth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working procedure of the drying apparatus of FIG. 1,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8.
  •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far infrared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assembly view of FIG. 10.
  • FIG.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eat generating element of FIG. 10,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far infrared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generator and a heating element are coupled in the embodiment of FIG. 13.
  • 15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far infrared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shutter 190 power cable
  • trolley 221 trolley rail
  • blower 400 controller
  • shutter 190 power cable
  • trolley 221 trolley rail
  • blower 400 controller
  • heating element 11 heating line
  • connection part 31 connection hole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traveling apparatus of FIG. 1
  •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ppearance of the drying booth of FIG. 1
  • FIG. 4.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a heater installed in the drying booth of FIG. 3
  •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the heater of FIG. 3
  • FIG. 6 is two drying booth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It is a block diagram explaining a structure
  • FIG. 7 is a block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dure of the drying apparatus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ying booth 100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y the traveling device 200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uilding (10).
  • the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ail device 200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an inner space of a building 10 for drying and a drying booth 100 moved by the rail device 2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the rail device 200 includes a running rail 210, a trolley 220, a moving body 230, and a moving wire 240.
  • the running rail 210 is installed at a certain height in the building 1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higher than all the machines installed in the building 10, two in the same form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 the trolley 220 is installed on an upper end of the traveling rail 210, and the trolley 220 moves in the X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 traveling rail 210 and moves on a trolley rail 221 formed on the trolley 220.
  • 230 is installed and moves in the Y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trolley 220, and as a result, the movable body 230 is movable anywhere in the plane of XY.
  • the movement of the trolley 220 and the movable body 230 is driven by a motor installed therein, and the power cable 19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running rail 200 to allow the trolley 220 and the movable body 230 to move the electric motor. Supplies additional power to the heater 310 and the blower 330 installed in the drying booth 100.
  • the distance between the running rails 210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drying booth 100 in the Y direction, it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area to be applied to the drying process, and when the drying lin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a relatively short distanc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drying In the case of lines, they must be formed at a distance that includes all of the drying lines.
  • a rotating shaft 231 is installed in the movable body 230, and the moving wire 240 is driven in the Z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31.
  • the rotating shaft 231 is connected to the motor, the motor is also supplied with power by a power cable.
  • the end of the moving wire 2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drying booth 100, the drying booth 100 is moved up / down in accordance with the up / down movement of the moving wire 240.
  • the moving wire 240 may be used in plural in a single rotating shaft 231.
  • a hook may be mounted at the end of the moving wire 240.
  • the rail device 200 controls the motor driving the trolley 220, the moving body 230 and the moving wire 240 by an external remote control connected by a wire, if necessary, a wireless remote control by a wireless device can be applied. .
  • the drying booth 10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3, and includes a ceiling 110, a front wall 120, a rear wall 130, a left wall 140, and a right wall 150. ), The size of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ied product 30, and the relative size of the wall is also adjusted.
  • the height may be configured relatively high, or the width may be configured narrow.
  • the ceiling 110 is coupled to the moving wire 240 is lifted to the upper end has a strength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drying booth 100 itself.
  • the structure 111 also has its own strength to support the total weight of the drying booth 100, and also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ceiling 110 can withstand the total weight of the drying booth 100.
  • a plurality of structures 111 may be installed.
  • wires coupled to each structure 111 may be added and the moving wires 240 may be connected at points where the wires meet, and the moving wires may be provided if necessary.
  • a hook may be installed at the end of 240 and the hook may be connected to the point where the Waia meets.
  • each structure 111 is installed at each corner of the ceiling 110, and additional wires are coupled to the structure 111, and the movable wire 240 is connected to a point where the additional wires meet.
  • the ceiling 110 of the drying booth 100 includes a wire hole 112 for connecting the power cable 190 to the internal space.
  • the power cable 190 passing through the wire hole 1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heater 310, a blower 330,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electric shutter 150.
  • the structure 111 may also be applied in plurality.
  • a plurality of heaters are disposed in the drying booth 100 to heat the space therein.
  • the heater is fixed inside the rear wall 130 as shown in FIG.
  • the heater 310 is fixed to the frame 320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wall, the frame 320 is a space formed therein, the power cable is located in the space, each power cable is the heater 310 ) Is supplied to heat the heater 310.
  • Two upper and lower frames 320 are mounted on the rear wall 130, and a plurality of heaters 310 are mounted on the frame 320.
  • the heater 310 is fixed to the frame 320 and at the same time the power is supplied by a power cable located inside the frame 320.
  • the heater 310 forms a row by the frame 320, and the number of the frames 320 is not limited to two, and if necessary, three or more rows may be mounted on the rear wall 130. In addition, the heater 320 may also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in a row.
  • the plurality of heaters 310 mounted on the entire rear wall 130 form one zone.
  • the heater 320 may be applied to any method such as far-infrared radiation, radiant heat, hot air, etc., and is fixed to the frame 320 by a connection member 312 including a hinge 311 as shown in FIG.
  • the angle of the heater 310 can be adjusted. If necessary, it can be mounted in a configuration that can adjust the height by adding an additional hinge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12 and the frame 320.
  • the front wall 120 is implemented in the same form as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wall 130. If necessary, the front wall 120 may be configured by varying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heaters 320 configured in the rear wall 130. At this time, since the amount of heat emitted from the rear wall 130 and the front wall 120 is different, it is suitable for drying parts that have different drying speeds for each surface.
  •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for each row and zone, and for each control,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row and each zone. If all the heaters 310 to control the temperature alone is equipped with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for each heater (310).
  • a blower 330 for circulating air in the inner space is mounted inside the ceiling 110. Power of the blower 330 is also supplied from the outside by a hole formed in the ceiling 110, and operates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heater 310, it can be controlled to be operated separately if necessary.
  • the left / right wall surfaces 140 and 150 of the drying booth 100 include an open door, and the door is preferably a shutter 170.
  • the shutter 170 does not require side space at the time of opening and does not cause interference with other machines or components.
  • the shutter 170 may be opened and closed manually, and may be electrically installed if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electric shutter 170,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driven by an external control device.
  • the shutter 170 is opened when the drying booth 100 moves, and closed when the drying booth 100 starts to dry.
  • the control unit 400 of the heater 310 and the blower 33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body of the drying booth 100, it may also be installed on the outside independently.
  • the controller 400 may set various types of drying conditions, and may also be configured to control temperature by heat or zone.
  • It can also be temperature controlled over time and, if necessary, programmed to run drying conditions for each product.
  • control device 400 When the control device 400 is installed independently from the outside, the control device 40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so as to be linked to the movement of the drying booth 100, and if necessary, a control cable may be formed to be fixed and installed.
  • the bottom of the drying booth 100 is equipped with a sealing member 160 for sealing with the bottom surface.
  • the sealing member 160 may be used, such as vinyl, cloth.
  • the bottom surface of the drying booth 100 may be any bottom as long as the part is supported. Especially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painting process, easily replaceable gravel floors are also possible, as well as plain concrete floors with no surface finish.
  • drying booth 100 may be connected to two drying booths 100 as shown in FIG. 6.
  • one of the drying booth 100 may be used as a booth for painting and the other as a drying booth.
  • the heater 310 may be deleted.
  • the product 30 is received on the floor 20 inside the building 10. Since there is no facility on the floor, the product 30 can be easily moved using a forklift or the like.
  • the painting may be performed in an open type, but when the two booths are used, the coating side booth may be moved to a position of the product 30 to be performed in the painting booth.
  • the drying booth 100 located at the top is moved by the rail device 200 to stop at the position surrounding the product 30 and then lowered down.
  • the shutter 150 of the left and right walls 140 and 150 is closed to form a closed space.
  • the shutter 150 is opened, and the drying booth 100 is lifted upward to move in a specific direction.
  • the dried product 30 is shipped using a moving means such as a forklift truck.
  • the drying product 30 can be regularly arranged, such as the drying products 30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building floor, the movement of the drying booth 100 is reduced as shown in FIGS. 8 and 9. Embodiments limited to the orientation are also possible.
  • the embodiment is configured by directly connecting the metal bar 240 between each corner of the drying booth 100 and the rail device 200.
  • the rail device 200 may mov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210, and the drying booth 100 may also move only in the direction of the rail 210.
  • the shutter 170 formed on both sidewalls is opened to move the drying booth 100 to the next dry product 30b by the rail device 200. After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shutter 170 is lowered to perform drying.
  • FIG. 10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far infrared he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enerator 600 generating far-infrared rays by heat, a heating element 500 heated by electric energy, and a connection part 700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heating element 500. ), And the outer frame 40, 50, 60, 7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generator 600.
  • the heating element 500 includes a heating line 11 for converting electricity into heat in an exterior 13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between the heating line 11 and the exterior 13, heat conduction is applied.
  • the heat transfer material 12 for raising is located.
  • the appearance 13 may withstand 500 ° C. or more and any material may be used as long as the surface does not generate corrosion at a high temperature, but is preferably stainless steel.
  • the heat transfer material 12 is filled in a powder form, or in a solid state, if the heat resistance and excellent heat resistance can be selected of any material, preferably magnesium oxide powder.
  • the heating wire 11 is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resistance that changes electricity into heat, but may be any material having a certain mechanical strength or higher, but is preferably a nichrome wire having excellent material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
  • the generator 600 generating far infrared rays is located outside the heating element 500.
  • the generator 600 generates far-infrared rays by heat, and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it has a constant strength in a solid state, for example, ceramics, loess, stone, and loess mixtures.
  • the combination of the heating element 500 and the generator 600 constitutes the heating element 500 and inserts the heating element 500 into a mold having an internal shape in which the outer shape of the generator 600 can be molded.
  • the generator 600 before molding is introduced into the mold to finally complete the generator 600 through a sintering or drying process.
  • through-holes 21 for outer frame coupling are formed at each corner of the generator 600.
  • the generator 600 In the case of forming the generator 600 in this mann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enerator 600 of various shapes can b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ld, and the heating element 500 is enclosed inside the generator 600.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heat transfer.
  • the molding generator 600 is a material generating far-infrared rays, it has structurally some brittleness, so that the frames 40, 50, 60, and 70 are fixed to the outside for structural rigidity and fixing.
  • the frames 40, 50, 60, and 70 are made of metal for mechanical processing and thermal stability, and steel, stainless steel sheet, and the like are particularly preferable.
  • the upper frame 4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enerator 600, the lower frame 60, the left frame 70 on the left side, the right frame 50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 the cross section of the frame has a 'c' shape, and coupling holes 41, 42, 51, 52, 61, 62, 71, and 72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s 21 are formed when the generator 600 is coupled to the generator 600.
  • a bolt for fastening penetrates the coupling hole and the through hole 21.
  • a support structure 64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frame 60 so that various types of components for fixing the heater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structure 64.
  • the upper end of the left frame 70 is formed with a heating element holes (73, 74) through which the end of the heating element 500 is penetrated by the heating element 500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700.
  • the connection part 700 is for electrical connection for supplying electricity supplied to the wire body 33 to the heating element 500. After the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heating element 500 is completed, the connection hole 31, 32)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ectric wire body 33 are sealed.
  • connection part 700 is coupled to the left frame 70, and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s necessary by welding, screws, rivets, adhesion, and the like.
  • the frames 40, 50, 60, and 70 are located at the edges of the generator 600, respectively, but the upper frame 40 and the right frame 50 are united, and the lower frame 60 and the left frame 70 are respectively. ) May be composed of two unit frames.
  • one surface of the generator 600 may be blocked by a metal plate as necessary.
  • the generator 600 may be covered with a wire mesh on both surfaces or one surface thereof.
  • the generator 600 when the generator 600 is not in the form of a quadrang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ircular, it can be configured as two up and down, and in the case of another form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 the generator 600 is manufactured by being sintered or dried separately from the heating element 50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ting element 500 can be sintered and dried by heating above a temperature that can be tolerated.
  • the first groove 25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groove 26 is also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right side.
  • heating element holes 27 penetrating the grooves horizontally are formed.
  • the heating element hole 27 penetrates the heating element 500,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is the same as that of the heating element 500, so that the heating element hole 27 may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element 500.
  • the heating element 500 is inserted into the heating element hole 27 after the generator 600 is manufactured, and the heating element 500 is bent and inserted as appropriate.
  • the depth of the groove is preferably twice or more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eating element 500.
  • the heating element 500 after assembly is as shown in FIG.
  •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enerator 600 is composed of two plates.
  • the heating element 500 is mounted on a front plate (20a), a back plate (20b),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ront plate (20a) and the back plate (20b), respectively, the mounting grooves (28a, 28b) on which the heating element 500 can be mounted Are each formed, and each half of the exterior of the heating element 500 is seated.
  • the coupling plate 29a is formed in the front plate 20a for convenience of coupling
  • the fixing plate 29b is formed in the rear plate 20b to accommodate the coupling protrusion 29a.
  • back plate 20b are easily coupled in place.
  • the front plate 20a and the back plate 20b are fixed by the coupling of the frame, and if necessary, bonding of both contact surfaces can be obtained to further bond and seal.
  • the front plate 20a and the back plate 20b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However, the front plate 20a and the back plate 20b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different material as necessary to configure the heater to generate different far infrared rays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 the generator 600 can be sintered at a high temperature, a wide range of materials can be selected, and the combination of the heating element 500 and the generator 600 can be very easily achieved. have.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용 부스를 천정에 위치하는 이동 장치에 의하여 이동시켜 대형 건조물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위치하며 다수의 히터를 포함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 부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건조부스; 상기 건조부스의 내부 마주보는 양 벽면에 다수의 열을 이루어 장착되는 다수의 히터; 상기 히터가 장착되지 않는 건조부스의 마주보는 벽면에 설치되는 문; 및 건물 내부 중 건조부스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부스를 건물 내부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 장치
본 발명은 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용 부스를 천정에 위치하는 이동 장치에 의하여 이동시켜 대형 건조물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조 장치는 여러 산업에 적용되는 것으로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생산 및 판매되고 있으며, 건조 방식 또한 원적외선, 열풍에 의한 방식, 저온 건조 등으로 구분되며, 각 방식에 따라 구현되는 구성들도 많은 차이를 나타낸다.
자동차, 산업용 기계 또는 선박 부품의 도장 건조의 경우에는 다른 제품의 건조에 비하여 대상이 되는 부품의 크기가 비교적 크며, 특히 선박 부품의 경우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이동이 불가능한 크기의 경우도 있다.
이러한 대형 부품의 경우에는 종래에는 건조기 부스내에 건조용 히터를 이동 가능하게 제작하여 사용한다. 상기 건조용 히터는 지지대에 히터를 장착하고 상기 지지대 하부에 바퀴를 장착하여 건조용 히터가 이동하여 부품의 건조를 수행한다.
상기 방식은 다수의 개별 히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히터의 설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비교적 크기가 큰 부품의 경우 작업자가 설치 위치와 사용 개수를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부품 위치별로 건조 속도의 차이가 나타나 정확한 품질의 건조품을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히터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는 상기 기술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동용 부스 벽면에 다수의 히터를 장착하고 상기 부스는 바닥에 설치된 레일에 의하여 이동하는 건조 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 방식은 부스를 이동하는 방식으로 건조 효율도 높고 비교적 균일한 건조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레일은 바닥을 기초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은 균일한 평면을 요하며, 또한 레일의 존재로 인하여 부품의 이동에 장해를 줄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장치는 항상 도장 공정을 포함하므로 도장 공정에서 도장액이 바닥에 뿌려지는 경우가 다반사이므로 항상 건조 바닥을 비교적 청결한게 유지 보수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도장 및 건조를 위한 부품이 항상 요구되는 위치에 있어야지만 건조를 균일이 할 수 있는 단점 또한 가지고 있어, 자유로운 부품의 위치에서 균일한 건조 특성을 갖는 건조 장치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유지 보수가 손쉬우며 또한 건조 장치 부품의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품질의 건조를 얻을 수 있는 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에 위치하며 다수의 히터를 포함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 부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건조부스; 상기 건조부스의 내부 마주보는 양 벽면에 다수의 열을 이루어 장착되는 다수의 히터; 상기 히터가 장착되지 않는 건조부스의 마주보는 벽면에 설치되는 문; 및 건물 내부 중 건조부스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부스를 건물 내부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부스는 내부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천정에 송풍기와 하단부에 밀폐성 향상을 위한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장치는 건물 상단에 설치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형성된 트롤리 레일 상에서 트롤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된 회전축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건조부스에 연결되어 주행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건조부스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조부스에 설치되는 문은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 송풍기 및 셔터의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히터를 열 또는 벽면별로 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건조용 부품의 크기와 관계없이 밀폐된 공간을 제공하여 균일한 건조 품질을 제공한다.
2) 건조 공정에서 대형 부품의 이동이 용이하다.
3) 바닥을 어떠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어 바닥의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4) 단일 부스로 이동하여 건조 가능하므로 설치비가 비교적 저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건조부스의 외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건조부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의 배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 히터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건조부스가 2개인 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1의 건조장치의 작업절차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8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히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조립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발열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히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실시예에서 발생체와 발열체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히터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건물 20: 바닥
30: 제품 100: 건조부스
110: 천정 111: 구조체
112: 전선홀 120: 정면 벽체
130: 배면 벽체 140: 좌측면 벽체
150: 우측면 벽체 160: 밀봉부재
170: 셔터 190: 전원 케이블
200: 레일장치 210: 주행레일
220: 트롤리 221: 트롤리 레일
230: 이동체 231: 회전축
240: 이동와이어 241: 금속봉
311: 힌지 312: 연결부재
310: 히터 320: 프레임
330: 송풍기 400: 제어장치
10: 건물 20: 바닥
30: 제품 100: 건조부스
110: 천정 111: 구조체
112: 전선홀 120: 정면 벽체
130: 배면 벽체 140: 좌측면 벽체
150: 우측면 벽체 160: 밀봉부재
170: 셔터 190: 전원 케이블
200: 레일장치 210: 주행레일
220: 트롤리 221: 트롤리 레일
230: 이동체 231: 회전축
240: 이동와이어 241: 금속봉
311: 힌지 312: 연결부재
310: 히터 320: 프레임
330: 송풍기 400: 제어장치
500: 발열체 11: 발열선
12: 전열재 13: 외관
600: 발생체 20a: 전면판
20b: 후면판 21: 관통홀
25: 제1홈부 26: 제2홈부
27: 발열체홀 28a, 28b: 안착홈
29a: 결합돌기 29b: 고정홀
700: 연결부 31, 32: 접속홀
33: 전선체 40: 상프레임
50: 우프레임 60: 하프레임
70: 좌프레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행장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건조부스의 외형을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건조부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의 배치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도 5는 도 3 히터의 고정 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에서 건조부스가 2개인 구조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1의 건조장치의 작업절차를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건조부스(100)를 건물(10) 상단에 설치된 주행장치(200)에 의하여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조 장치는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를 위한 건물(10) 내부 공간 상단에 설치되는 레일장치(200)와 상기 레일장치(200)에 의하여 이동되는 건조부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레일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레일(210), 트롤리(220), 이동체(230), 이동와이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레일(210)은 건물(10) 내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며, 건물(10) 내부에 설치된 모든 기계보다 높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형태로 두 개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주행레일(210) 상단에 트롤리(220)가 설치되며, 상기 트롤리(220)는 주행레일(210) 방향인 X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트롤리(220)에 형성된 트롤리 레일(221) 상에 이동체(230)가 설치되어 상기 트롤리(220) 방향인 Y방향으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이동체(230)는 X-Y의 평면 어디던지 이동 가능하다.
상기 트롤리(220)와 이동체(230)의 이동은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며, 주행레일(200) 측면에 전원 케이블(190)이 장착되어 트롤리(220)와 이동체(230) 이동용 모터의 전기를 공급하고, 추가적으로 건조부스(100)내에 설치된 히터(310)와 송풍기(330) 등에도 전기를 공급한다.
상기 주행레일(210)의 간격은 건조부스(100)의 Y방향의 이동을 결정하므로 건조공정에 적용될 면적에 따라 조절 가능하며, 건조 라인이 일직선 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비교적 짧은 거리로 형성하고 복수의 건조 라인인 경우에는 각 건조 라인을 모두 포함하는 거리로 형성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체(230) 내에는 회전축(231)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31)의 회전에 회전에 의하여 Z방향으로 이동와이어(240)가 구동된다. 상기 회전축(231)은 모터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 역시 전원 케이블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이동와이어(240) 끝단은 건조부스(100) 상단에 연결되어 이동와이어(240)의 상/하 이동에 따라 건조부스(100)가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이동와이어(240)는 단일 회전축(231)에 복수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와이어(240)의 끝단에는 훅(hook)을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레일장치(200)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리모컨에 의하여 트롤리(220), 이동체(230) 및 이동와이어(240)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무선장치에 의한 무선 리모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부스(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태로 천장(110), 정면 벽체(120), 배면 벽체(130), 좌측면 벽체(140), 우측면 벽체(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크기는 적용되는 제품(30)에 따라 변경되며, 벽체의 상대적인 크기도 조절된다.
예를 들면, 높이를 비교적 높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폭을 좁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천정(110)은 상기 이동와이어(240)와 결합하여 상단으로 들어 올려지므로 건조부스(100) 자체의 무게를 지탱할 정도의 강도를 가진다.
상기 천장(110) 상단에는 상기 이동와이어(240)와 결합하는 구조체(111)가 설치된다. 상기 구조체(111) 역시 건조부스(100)의 전체 무게를 지탱할 정도의 자체 강도를 가지며, 또한 상기 천장(110)과의 결합 강도 역시 건조부스(100)의 전체 무게를 견딜 수 있다.
상기 구조체(111)는 필요한 경우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 구조체(111)와 결합하는 와이어를 추가하고 상기 와이어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이동와이어(240)가 연결되며, 필요한 경우 상기 이동와이어(240)의 끝단에 훅을 설치하고 상기 와이아가 만나는 지점에 훅이 걸리는 형태로 연결해도 무방하다.
또한, 4개의 구조체(111)를 상기 천정(110)의 각 구석에 설치하고, 상기 구조체(111)와는 추가의 와이어가 결합하고, 상기 추가의 와이어가 만나는 지점에 상기 이동와이어(240)가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건조부스(100)를 4개의 지점에서 지지하므로 단일 지지에 비하여 건조부스(100)의 수평 유지에 유리한 구조이며, 상기 추가의 와이어는 건조부스의 무게중심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스(100)의 천정(110)에는 전원 케이블(190)을 내부 공간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선홀(112)을 포함한다.
상기 전선홀(112)를 통과한 전원 케이블(190)은 후술하는 히터(310)들과 송풍기(330) 그리고 전동형 셔터(150) 구동을 위한 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이동와이어(240)가 복수로 적용될 경우 상기 구조체(111)도 복수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스(100)의 내부에는 내부의 공간을 가열하기 위한 다수의 히터가 배치된다.
상기 히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벽체(13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히터(310)는 벽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프레임(320)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3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에는 전원 케이블이 위치하며, 각 전원 케이블은 상기 히터(310)에 공급되어 히터(310)를 발열시킨다.
상기 프레임(320)은 배면 벽체(130)에 상하 두 개가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320)에 히터(310)가 다수 장착된다. 상기 히터(310)는 프레임(320)에 고정됨과 동시에 프레임(320) 내부의 위치하는 전원 케일블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프레임(320)에 의하여 히터(310)는 열을 형성하며, 프레임(320)의 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3열 이상도 배면 벽체(13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320) 역시 한 열에 하나 이상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면 벽체(130) 전체에 장착되는 다수의 히터(310)는 하나의 존을 형성한다.
상기 히터(320)는 원적외선 방식, 복사열 방식, 열풍 방식 등 어떠한 방식도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311)를 포함하는 연결부재(312)로 상기 프레임(320)에 고정되어 히터(3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312)와 프레임(320) 사이에 추가의 힌지를 부가하여 높이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장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정면 벽체(120)에도 상기 배면 벽체(130)의 구성과 동일한 형태로 구현한다. 필요한 경우, 정면 벽체(120)는 배면 벽체(130)에 구성된 히터(320)의 열과 수를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는 배면 벽체(130)와 정면 벽체(120)에서 발산되는 열량이 차이가 나므로 각 면마다 건조 속도를 달리해야 하는 부품의 건조에 적합하다.
또한 온도도 각 열, 각 존 별로 별도 제어가 가능하며, 개별 제어를 위해서는 각 열 및 각 존 별로 별도의 온도 센서를 장착한다. 만약 모든 히터(310)를 단독 온도 제어를 하기 위해서는 각 히터(310) 별로 별도의 온도 센서를 장착한다.
상기 천장(110) 내부에는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송풍기(330)가 장착된다. 상기 송풍기(330)의 전원 역시 천정(110)에 형성된 홀에 의하여 외부 에서 공급되며, 히터(310)의 작동과 동시에 동작하며, 필요한 경우 개별적으로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건조부스(100)의 좌/우측 벽면(140, 150)에는 개방형 문을 포함하며, 상기 문은 바림직하게는 셔터(170)이다. 상기 셔터(170)는 개방 시에 측면의 공간이 필요치 않으므로 다른 기계 또는 부품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상기 셔터(170)는 수동으로 개폐를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전동식으로 설치 가능하다. 상기 전동식 셔터(170)인 경우 외부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외부의 제어 장치에 의하여 구동한다.
상기 셔터(170)는 건조부스(100)가 이동할 경우에는 개방되고, 건조를 시작하는 경우 폐쇄된다.
상기 히터(310)와 송풍기(330)의 제어장치(400)는 건조부스(100)의 외부 몸체에 부착되어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독립형으로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에는 다양한 형태의 건조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열 또는 존별로 온도 제어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시간별로 온도를 제어하고 필요한 경우 제품별로 건조 조건을 프로그래밍하여 실행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가 외부에 독립하여 설치될 경우에는 건조부스(100)의 이동에 연동될 수 있게 이동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어 케이블을 길게 형성하여 고정형으로 설치 가능하다.
상기 건조부스(100)의 하단에는 바닥면과 밀봉을 위한 밀봉부재(160)가 장착된다. 상기 밀봉부재(160)는 비닐, 천 등이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조부스(100)의 바닥면은 부품이 지지될 정도이면 어떠한 바닥도 가능하다. 특히 도장 공정과 더불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손쉽게 교체 가능한 자갈 바닥도 가능하며, 표면이 가공되지 않는 일반 콘크리트 바닥도 가능하다.
상기 건조부스(100)는 필요한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건조부스(100)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건조부스(100) 중 하나는 도장용 부스로 나머지 하나는 건조용 부스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도장용 부스의 경우에는 히터(310)의 삭제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품(30)이 건물(10) 내부 바닥(20)에 입고된다. 바닥에 어떠한 시설도 있지 않으므로 제품(30)은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도장을 실시한다. 상기 도장은 개방형으로 실시 가능하나, 상기한 2개의 부스를 이용하는 경우 도장 측 부스를 상기 제품(30) 위치에 이동시켜 도장 용 부스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상단에 위치한 건조부스(100)가 레일장치(200)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제품(30)을 감싸는 위치에 정지한 다음 아래로 하강한다.
다음 단계로, 좌/우측 벽체(140, 150)의 셔터(150)를 닫아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다음 단계로 건조부스(100) 내부에 위치하는 히터(310) 및 송풍기(33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장치(400)에 입력된 조건으로 건조를 실시한다.
다음 단계로, 건조가 완료된 경우 셔터(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건조부스(100)를 상 방향으로 들어올려 특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상기 건조가 완료된 제품(30)을 지게차 등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출하한다.
한편, 건조용 제품(30)이 일렬로 건물 바닥에 배치되는 등 비교적 건조용 제품(30)이 규칙적인 배치가 가능한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부스(100)의 이동을 X 방향으로만 한정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는 건조부스(100)의 각 모서리부와 레일장치(200) 사이를 금속봉(240)으로 직접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레일장치(200)는 레일(210)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고, 건조부스(100) 역시 레일(210) 방향으로만 이동된다.
상기 건조부스(100)와 바닥 사이는 일정한 유격을 유지시켜 이동시에 마찰을 감소시키고, 필요한 경우에는 바닥과 접촉하는 건조부스(100) 접촉면에 마찰에 강한 재료를 부착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30a)의 건조가 끝난 경우에는 양 측벽에 형성된 셔터(170)를 개방시켜 레일장치(200)에 의하여 건조부스(100)를 다음 건조 제품(30b)으로 이동시키고 이동 완료 후 셔터(170)를 내려 건조를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적외선 히터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이며, 도 11는 도 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발생체(600),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가열되는 발열체(500), 상기 발열체(500)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부(700), 상기 발생체(600)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프레임(40, 50, 60, 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5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외관(13)내에 전기를 열로 변환하는 발열선(11)이 위치하며, 상기 발열선(11)과 상기 외관(13) 사이에는 열전도를 올려주기 위한 전열재(12)가 위치한다.
상기 외관(13)은 500℃ 이상을 견디며 고온에서 표면의 부식이 발생되지 않으면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이다.
상기 전열재(12)는 분말 형태, 또는 고체 상태로 충진되며, 내열 특성을 가지며 전열성이 뛰어나 경우 어떠한 재질의 선택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마그네슘 분말이다.
또한 상기 발열선(11)은 전기를 열로 변화시켜 주는 전기 저항성을 갖는 물질로 일정 이상의 기계적인 강도를 갖는 어떠한 재질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고온에서의 재료적 특성이 우수한 니크롬선이다.
상기 발열체(500) 외부에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발생체(600)가 위치한다. 상기 발생체(600)는 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하고, 고체 상태로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 어떠한 재질도 가능하며, 예를 들면 세라믹, 황토, 석재, 및 황토 혼합물 등이다.
상기 발열체(500)와 상기 발생체(600)의 결합은 먼저 발열체(500)를 구성하고 상기 발생체(600)의 외형이 성형될 수 있는 내부 형상을 갖는 금형에 상기 발열체(500)를 삽입 후 상기 금형 내에 성형 전의 발생체(600)를 투입하여 최종적으로 소결 또는 건조 과정을 거쳐 상기 발생체(600)를 완성한다.
또한 상기 발생체(600)의 각 모서리부에는 외부 프레임 결합을 위한 관통홀(21)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발생체(600)를 성형하는 경우에는 금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발생체(600)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한 발열체(500)가 발생체(600) 내부에 내포되어 열전달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성형 발생체(600)는 원적외선을 발생하는 물질이므로 구조적으로 일부 취성을 가지므로 외곽에 구조적 강성 및 고정을 위하여 프레임(40, 50, 60, 70)이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40, 50, 60, 70)들은 기계적인 가공 및 열적 안정성을 위해 금속제로 이루어지며, 특히 강, 스테인레스 강판 등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발생체(600) 상단에는 상프레임(40)이 설치되고, 하단에는 하프레임(60), 좌측에는 좌프레임(70), 우측에는 우프레임(50)이 위치한다.
상기 프레임의 단면은 ‘ㄷ’형태이며, 발생체(600)과 결합 시 관통홀(21)에 대응되는 결합홀(41, 42, 51, 52, 61, 62, 71, 7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과 관통홀(21)에는 체결을 위한 볼트가 관통한다.
하프레임(60) 하단에는 지지구조(64)가 형성되어 상기 히터를 고정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들이 상기 지지구조(64)에 연결된다.
한편, 좌프레임(70)의 상단에는 발열체(500)의 끝단이 관통할 수 있는 발열체홀(73, 74)가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500)가 관통하여 연결부(700)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700)는 상기 전선체(33)로 공급되는 전기를 상기 발열체(500)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적 접속을 위한 것으로 상기 발열체(500)와 전기적 접속을 완료 후에는 방폭을 위하여 접속홀(31, 32) 및 전선체(33)의 접속 부위를 밀봉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700)는 상기 좌프레임(70)에 결합되며, 용접, 나사, 리벳, 접착 등으로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0, 50, 60, 70)들은 상기 발생체(600) 태두리부에 각각 위치하나, 상프레임(40)과 우프레임(50)을 단일체로 그리고 하프레임(60)과 좌프레임(70)을 단일체로 구성하여 두개의 단위 프레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발생체(600)의 일면만을 원적외선 발생 면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상기 발생체(600)의 한 면을 금속판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보호를 위하여 발생체(600) 양면 또는 일면에 철망으로 덮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생체(600)가 사각형의 형태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원형인 경우에는 상하 두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형태인 경우 그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체(600)의 구성만 제1실시예와 차이를 나타낸다.
먼저 발생체(600)는 발열체(500)와 별개로 소결 또는 건조되어 제작된다. 따라서 발열체(500)가 견딜 수 있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소결 및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면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에 높이방향으로 제1홈부(25)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면에 역시 높이방향으로 제2홈부(2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홈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발열체홀(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열체홀(27)은 발열체(500)가 관통하는 것으로 상기 홀의 직경은 상기 발열체(500)가 안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므로 발열체(500)의 외관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한다.
상기 발열체(500)는 상기 발생체(600) 제작 후에 상기 발열체홀(27)에 삽입되며, 발열체(500)를 적절히 구부려 삽입한다.
특히 제1홈부(25)의 경우에는 발열체(500)가 돌아오는 영역을 포함하므로 홈의 깊이는 발열체(500) 외관 직경의 2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조립 후의 발열체(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체(600)가 2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면판(20a), 후면판(20b)로 구성되며, 상기 전면판(20a)와 및 후면판(20b)의 접속 부분에는 각각 상기 발열체(50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28a, 28b)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발열체(500)의 외관 반씩 각각 안착된다.
또한 결합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전면판(20a)에는 결합돌기(29a)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20b)에는 상기 결합돌기(29a)를 수용하는 고정홀(29b)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판(20a) 및 후면판(20b)가 손쉽게 정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20a) 및 후면판(20b)은 프레임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되며, 필요에 따라 양 접촉면을 본딩하여 추가의 결합력 및 밀봉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면판(20a) 및 후면판(20b)은 동일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별개의 재질을 선택하여 전면과 후면이 다른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도록 히터를 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제3실시예는 상기 발생체(600)를 높은 온도로 소결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선택 폭이 넓으며, 또한 발열체(500)와 발생체(600)의 결합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장 제품의 건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농산물등 건조가 필요한 어떠한 물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Claims (12)

  1. 건물 내에 위치하며 다수의 히터를 포함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제품을 건조하는 건조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건조 부품을 위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건조부스; 상기 건조부스의 내부 마주보는 양 벽면에 다수의 열을 이루어 장착되는 다수의 히터; 상기 히터가 장착되지 않는 건조부스의 마주보는 벽면에 설치되는 문; 및 건물 내부 중 건조부스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부스를 건물 내부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스는 내부 공기의 유동을 위하여 천정에 송풍기와 하단부에 밀폐성 향상을 위한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건물 상단에 설치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 상기 트롤리에 형성된 트롤리 레일 상에서 트롤리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체, 상기 이동체에 설치된 회전축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건조부스에 연결되어 주행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건조부스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스에 설치되는 문은 셔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 송풍기 및 셔터의 작동을 위한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6.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히터를 열 또는 벽면별로 온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주행장치는 건물 상단에 설치되는 주행레일, 상기 주행레일 상에서 주행레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를 포함하되, 상기 트롤리와 상기 건조부스는 금속봉에 의하여 연결되어 주행장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건조부스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장치.
  8. 원적외선 히터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감싸며, 상기 발열체의 발생열에 의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발생체; 상기 발생체 테두리부에 결합되며, 발생체의 구적적 강성과 외부의 고정을 위한 프레임; 및 상기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외부 전원과 상기 발열체를 전기적 접속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발생체는 세라믹, 황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히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생체는 상기 발열체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결 또는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히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생체는 측면에 제1홈부 및 제2홈부를 가지며, 상기 제1홈부 및 제2홈부를 가로지르는 발열체홀이 형성되도록 별도로 성형되고, 상기 발열체가 상기 제1홈부, 제2홈부 및 발열체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히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발생체는 전면판 및 후면판으로 분리 성형되고,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접합면에 상기 발열체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전면판에는 후면판과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돌기가 다수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안착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전면판 및 후면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히터.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원통형의 외관, 상기 외관 내부에 안착되는 니크롬선, 상기 니크롬선과 외관 사이의 열전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외관 내부에 전열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히터.
PCT/KR2011/000717 2010-02-10 2011-02-01 건조 장치 WO201109972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99 2010-02-10
KR20100012199A KR101172582B1 (ko) 2010-02-10 2010-02-10 건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9723A2 true WO2011099723A2 (ko) 2011-08-18
WO2011099723A3 WO2011099723A3 (ko) 2012-03-01

Family

ID=44368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0717 WO2011099723A2 (ko) 2010-02-10 2011-02-01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2582B1 (ko)
WO (1) WO201109972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958A (zh) * 2019-06-24 2019-08-23 安庆永大体育文化有限公司 一种冲浪板生产用烘干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6546A2 (de) * 2015-07-24 2017-02-02 Ires Infrarot Energiesysteme Gmbh Wärmestrahler
KR102176127B1 (ko) * 2020-03-13 2020-11-09 윤산비 도장부스
CN112140799B (zh) * 2020-08-24 2022-05-24 惠州工程职业学院 一种美术绘画作品用高效晾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42Y1 (ko) * 2002-12-18 2003-05-09 김선오 에너지 절약형 원적외선 도장건조장치
JP2004196143A (ja) * 2002-12-19 2004-07-15 Takeuchi Techno Co Ltd 車両の車体洗浄装置における車体上面乾燥装置
KR100632999B1 (ko) * 2006-03-02 2006-10-1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이동이 가능한 원적외선 건조장치
KR20070104280A (ko) * 2006-04-22 2007-10-25 가부시키가이샤 유 에프 링크 도장 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842Y1 (ko) * 2002-12-18 2003-05-09 김선오 에너지 절약형 원적외선 도장건조장치
JP2004196143A (ja) * 2002-12-19 2004-07-15 Takeuchi Techno Co Ltd 車両の車体洗浄装置における車体上面乾燥装置
KR100632999B1 (ko) * 2006-03-02 2006-10-1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이동이 가능한 원적외선 건조장치
KR20070104280A (ko) * 2006-04-22 2007-10-25 가부시키가이샤 유 에프 링크 도장 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2958A (zh) * 2019-06-24 2019-08-23 安庆永大体育文化有限公司 一种冲浪板生产用烘干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582B1 (ko) 2012-08-08
WO2011099723A3 (ko) 2012-03-01
KR20110092653A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9723A2 (ko) 건조 장치
WO2018221977A1 (ko) 시트용 무선 전력전송장치
WO2016117763A1 (ko) 듀얼 스테이지 구조를 갖는 3-d 프린터
WO2010030117A2 (ko) 바닥시공장치
JPS6316069A (ja) 自動車ボデイの熱風乾燥設備
WO2015111837A1 (ko) 도금강판 냉각장치
WO2016182237A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WO2018038334A1 (ko) 틸팅 스테이지 시스템
KR102207462B1 (ko)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한 가변형 분체도장부스
WO2020256449A1 (ko) 높이조절부를 구비한 벽체 시스템
WO2020204634A1 (ko) 도포 장치
WO2018128332A2 (ko) 유리 성형 장치
WO2015156511A1 (ko) 프레임 일체형 진공 핫 프레스장치
WO2013027924A1 (ko) 도장 장치
WO2019083261A1 (ko) 증착 장치
WO2021162527A1 (ko) 식물 재배용 광원 장치
WO2024010253A1 (ko) 무인 배송 로봇
WO2022196862A1 (ko) 프리-블로잉 하부챔버 구비형 진공성형기
WO2020242084A1 (ko) 벤딩 머신
WO2015037858A1 (ko) 스캔형 반응기를 가지는 원자층 증착 장치 및 방법
WO2017122990A1 (ko) 기판 반송용 로봇
WO2021071008A1 (ko) 바이오 3차원 프린터의 제어방법
WO2018080030A1 (ko) 판넬 도장장치
WO2016093493A1 (ko) Ahss 열연코일의 열처리 방법, 이를 이용한 냉간 압연방법 및 열처리장치
KR102487034B1 (ko) 법랑 소성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7424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7424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