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1488A2 -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1488A2
WO2011081488A2 PCT/KR2010/009592 KR2010009592W WO2011081488A2 WO 2011081488 A2 WO2011081488 A2 WO 2011081488A2 KR 2010009592 W KR2010009592 W KR 2010009592W WO 2011081488 A2 WO2011081488 A2 WO 2011081488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obesity
wheat bra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59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1488A3 (ko
Inventor
이해수
지옥표
오좌섭
안은경
이정아
홍성수
Original Assignee
Lee Hai Soo
Zee Ok Pho
Oh Joa Sub
Ahn Eun Kyung
Lee Jung A
Hong Seong Su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13427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08246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000772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231583B1/ko
Application filed by Lee Hai Soo, Zee Ok Pho, Oh Joa Sub, Ahn Eun Kyung, Lee Jung A, Hong Seong Su filed Critical Lee Hai Soo
Priority to US13/520,16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30102554A1/en
Priority to CN201080060141.2A priority patent/CN102686227B/zh
Publication of WO2011081488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88A2/ko
Publication of WO2011081488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88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5Cereal fibre products, e.g. bran, hus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one or two double bonds, e.g. oleic, lino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n active substance isolated therefrom.
  • Obesity is an abnormal increase in fat tissue due to excessive accumulation of energy in the body due to an imbalance between energy intake and consumption (Clinical Endocrinology 28: 675-689, 1998; Clinical Obesity (eds. Kopelman PG, Stock MJ). 248-89 (Blackwell Science, Oxford 1998) Clinically, men are considered obese when their body fat is 25% or more than 30% of their body weight, and clinically they are BMI (Body Mass Index) Is more than 30.0 is defined as obesity.
  • BMI Body Mass Index
  • the causes of obesity include environmental and genetic factors such as high fat and high calorie diet, lack of exercise due to busy social environment, and endocrine disorders. Among them, about 50 to 70% of obesity is caused by environmental factors. It is known that the rest is due to genetic factors.
  • Energy in the body is stored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in fat cells, and when the body's energy source is depleted, the stored fat is broken down into free fatty acids and glycerol to be used as an energy source, but excessive intake of energy leads to differentiation of fat cells. Promotes and increases the amount of fat stored in the body is a direct cause of obesity.
  • Adipocytes are produced by differentiating from adipocytes, which includ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PPAR ⁇ ), C / EBP family (CCAAT / enhancer binding proteins; C / EBR ⁇ , C / EBR ⁇ , and C / EBR ⁇ ).
  • PPAR ⁇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
  • CCAAT / enhancer binding proteins C / EBR ⁇ , C / EBR ⁇ , and C / EBR ⁇
  • Transcription factors called ADD1 / SREBP1c adipocyte determination differentiation factor 1 /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 are known to play a central role ( Genes De 2000, 14 (11) 1293-1307).
  •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ompleted based on the fact that wheat bran extract or an active substance isolated therefrom inhibits the differentiation and adipocyte accumulation of adipocytes and also inhibits the expression of PPAR ⁇ , C / EBR ⁇ , and ADD1 / SREBP1c.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composition for improving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n active substance isolated therefrom.
  • the bran extract tachioside (methoxy-hydroquinone-4- ⁇ -D-glucopyranoside) and 9,12,13-tree isolated from the bran extract
  • the octadecyl sensan (9,12,13-trihydroxy-10 (E ) -octadecenoic acid)
  • the preadipocytes accumulation suppressing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and the local promotion of differentiation by insulin -hydroxy -10 (E)
  • PPAR ⁇ , C / EBR ⁇ and ADD1 / SREBP1c which are inhibitors and are centrally involved in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 Tachioxide in the compound is a substance that has been separated from sugarcane molasses, Berchemia racemosa , bamboo culm and the like [J. Agr. Food Chem. 31: 545-548 (1983); Phytochemistry 26: 2811-2814 (1987); Food Sci. Biotechnol. 17 (6): 1376 to 1378 (2008)], and the compound 9,12,13-trihydroxy-10 ( E ) -octadecenoic acid was isolated from licorice, Colocasia antiquorum and the like. Bar material [Izv Akad Nauk SSSR Biol. 6: 932-6 (1988); Phytochemistry 28: 2613-2615 (1989).
  • the obesity improv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wheat bran extract, a compound of [Formula 1] and / or a compound of [Formula 2] separated therefrom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wheat bran” means a by-product obtained in the process of milling wheat. These by-products are usually composed of the rind (seed shell) and the embryo, except for the endosperm, which is flour, or when the embryo is separated with the endosperm during milling of wheat. Wheat bran can contain small amounts of embryos and embryos. The bran powder obtained by crushing wheat bran may be further subdivided into bran, powder, shank, isocracker, etc.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ran bran” includes the bran, powder, shank, isocracker, etc. derived from the wheat bran powder. I mean.
  • the "extract” mean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such as water, methanol, ethanol, butanol, ethylene, acetone, hexane,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 butyl acetate, dichloromethane, N, N- Obtained by fractionating the crude extract obtained by using dimethylformamide (DMF), dimethyl sulfoxide (DMSO), 1,3-but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one or more of the above-listed solvents. Refers to the fraction.
  • DMF dimethylformamide
  • DMSO dimethyl sulfoxide
  • 1,3-but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 propylene glyc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and one or more of the above-listed solvents.
  • the extraction method may be applied in any manner, such as cooling, reflux, heating, ultrasonic radi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extraction, the degree of preserva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 the crude extract is suspended in a specific solvent and mixed and fixed with a solvent having a different polarity.
  • the crude extract is adsorbed onto a column filled with silica gel and the like, followed by a hydrophobic solvent, a hydrophilic solvent, or a mixture thereof. It is meant to include a fraction obtained by using a mixed solvent as a mobile phase.
  • the meaning of the extract includes a concentrated liquid extract or solid extract in which the extraction solvent is removed in a manner such as freeze drying, vacuum drying, hot air drying, spray drying, and the like.
  • it means an extract obtained using water, ethanol or a mixed solvent thereof.
  • the term “obesity” refers to a state in which fat tissue is abnormally increased, whether it is caused by genetic factors or obesit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and obes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ody mass index (BMI is 30.0 Above) and overweight (if your BMI is 25-30).
  • the "active ingredient” refers to a component that can exhibit the activit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carrier having no activity in itself.
  • improving obesity is meant to include the reduction of body fat and / or weight loss, including the prevention of obesity, the treatment of obesity.
  • the obesity improv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effective amount (effective amount) according to the use, formulation, formulation purpose, etc., as long as the effective ingredient can exhibit the activity to improve obesity, the usual effective amount i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When determined to be in the range of 0.001% to 99.990% by weight.
  • the "effective amount” refers to the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that can induce the effect of improving obesity. Such effective amounts can be determined experimentally within the rang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re mammals and humans, in particular huma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t composition
  • a diet composition comprising wheat bran extract,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 or the compound of [Formula 2] isolated from it as an active ingredient.
  • die is defined as a condition in which a weight condition is not obese or overweight, but for which a reduction in weight / body fat is desirable or necessary for cosmetic or health purposes.
  • the composition for a die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nufactured and used for use for normal beauty or health purposes.
  • the above-mentioned bar is effective as it relates to the obesity improv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composition
  • a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composition comprising wheat bran extract, a compound of the formula [1] and / or a compound of the formula [2] separated from it.
  • Obesity is one of several causes of insulin resistance. In some cases, high resistance to obesity does not develop insulin resistance, but insulin resistance and obesity are closely related, and in general, the more severe the obesity (visceral obesity) is known to increase the insulin resistance.
  • adipocytokines there are those that promote insulin sensitivity and cause insulin resistance.
  • the former are adiponectin, leptin, and AMPK (AMP-dependent protein kinase), and the latter is TNF.
  • AMPK AMP-dependent protein kinase
  • Fatty acid synthase Fas
  • adiocytes adipocyte fatty acid-binding protein 2
  • Fas is initially expressed in the differentiation of adipocytes (J. Biol. Chem., 255: 4745-4750 (1980)) and palmitate from acetyl-CoA and malonyl-CoA It is an enzyme that produces (palmitate), and Fas stores excess energy in the form of triglycerides to cause obesity, while the triglycerides produced by it, palmitate, are reported to destroy the pancreatic ⁇ cells causing insulin resistance. (Proc. Natl. Acad. Sci. 95: 2498-2502 (1998)), aP2 is a powerful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insulin-resistant therapies due to the low incidence of insulin resistance in mice lacking the gene and the decrease of aP2 inhibitors in insulin resistance. Proposed as a protein (Nature 447: 959-965 (2007)).
  • the present inventor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the compound of [Formula 2], which are effective ingredients of the obesity improving agent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agent, thereby causing insulin resistance in the adipocytes treated with the compounds.
  • a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agent thereby causing insulin resistance in the adipocytes treated with the compounds.
  • the compounds of [Formula 1] and [Formula 2] can be usefully used as an anti-obesity enhancer as well as an obesity improver.
  • insulin resistance refers to a state in which an individual such as a cell, an organ, or a human body needs more than a usual amount of insulin for normal metabolic activity, that is, an insufficiency state of insulin in which insulin's action force is reduced.
  • Insulin-independent diabetes or type 2 diabetes Diabetes is a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type 1 diabetes) that requires insulin for its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destruction of ⁇ -cells in the pancreas, and insulin-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which does not require insulin for its treatment.
  • Type 2 diabetes insulin resistance, insulin independent diabetes and type 2 diabetes are taken in the same sense in the art.
  • the meaning of wheat bran extract, its effective amount, and the like,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obesity improv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as it is.
  •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an be grasp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s a dietary supplement, a special nutritional supplement, a functional beverage,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sweeteners, flavoring agents, bioactive ingredients, minerals, etc.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 Sweeteners may be used in amounts that give the food a suitable sweet taste, and may be natural or synthetic.
  • a natural sweetener is used.
  • sugar sweeteners such as corn syrup solids, honey, sucrose, fructose, lactose and maltose.
  • Flavoring agents can be used to enhance the taste or aroma, both natural and synthetic. It is the case of using a natural thing preferably.
  • the natural flavor may be obtained from apples, lemons, citrus fruits, grapes, strawberries, peaches, and the like, or may be obtained from green tea leaves, round leaves, date leaves, cinnamon, chrysanthemum leaves, jasmine and the like.
  • ginseng red ginseng
  • bamboo shoots aloe vera, ginkgo and the like
  • Natural flavors can be liquid concentrates or solid extracts.
  • synthetic flavoring agents may be used, and synthetic flavoring agents may include esters, alcohols, aldehydes, terpenes, and the like.
  • catechins such as catechin, epicatechin, 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vitamins such as retinol, ascorbic acid, tocopherol, calciferol, thiamine, riboflavin, and the like can be used.
  • mineral calcium, magnesium, chromium, cobalt, copper, fluoride, germanium, iodine, iron, lithium, magnesium, manganese, molybdenum, phosphorus, potassium, selenium, silicon, sodium, sulfur, vanadium, zinc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preservative, an emulsifier, an acidulant, a thickene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sweetener.
  • Such preservatives, emulsifiers and the like are preferably added and used in very small amounts as long as the use to which they are added can be achieved.
  • trace amount is meant numerically expressed in the range of 0.0005% to about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ood composition.
  • preservatives examples include sodium sorbate, sodium sorbate, potassium sorbate, calcium benzoate, sodium benzoate, potassium benzoate,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and the like.
  • Emulsifiers that can be used include acacia gum, carboxymethylcellulose, xanthan gum, pectin and the like.
  • acidulants examples include lead acid, malic acid, fumaric acid, adipic acid, phosphoric acid, gluconic acid, tartaric acid, ascorbic acid, acetic acid, phosphoric acid, and the like. Such acidulant may be added so that the food composition is at an appropriate acidity for the purpose of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enhancing taste.
  • Thickeners that can be used include suspending implements, sedimenters, gel formers, swelling agents and the like.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ready known to have an activity for improving obesity or improving liver function in order to improve flavor and palatability, to enhance or enhance its functionality, or to add other functionalities (such as fatty liver improving activity and hangover relieving activity).
  • It may include powders or extract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of, ointment powder or extracts, bean sprouts powder or extracts, shellfish powder or extracts, oyster powder or extracts, parsley powder or extracts, radish juice or extracts, cucumber juice or extracts, leek Juice or extract, spinach juice or extract, lotus root juice or extract, sesame juice or extract, pine needle juice or extract, ginseng juice or extract, birch powder or extract, licorice powder or extract, brownish powder or extract, brown root powder or extract, Sine powder or extract, gourd powder or extract, ginger powder Silver extract, jujube powder or extract, phosphorus powder or extract, spermatozoon powder or extract, hydrophobic powder or extract, white extract powder or extract, spirit powder or extract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a specific embodiment.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oral formulations (tablets, suspensions, granules, emulsions, capsules, syrups, etc.), parenteral formulations (sterile injectable aqueous or Oily suspensions), topical formulations (solutions, creams, ointments, gels, lotions, patches) and the like.
  • pharmaceutically acceptable means that the subject of application (prescription) does not have more toxicity (adequately low toxicity) to which the subject of application (prescription) is adaptable without inhibiting the activity of the active ingredient.
  • Examples of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clude lactose, glucose, sucrose, starch (such as corn starch, potato starch, etc.), 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such as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ethylcellulose, etc.) malt, gelatin, talc, solids Lubricants (e.g. stearic acid, magnesium stearate, etc.), calcium sulfate, vegetable oils (e.g. peanut oil, cottonseed oil, sesame oil, olive oil, etc.), polyols (e.g. propylene glycol, glycerin, etc.), alginic acid, emulsifiers (e.g. TWEENS), wetting agents (e.g.
  • Sodium lauryl sulfate Sodium lauryl sulfate
  • colora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 flavoring age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 tableting age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 stabilizer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 antioxidants such as sodium lauryl sulfate
  • preservatives water, saline, phosphate buffer solutions and the like.
  • Excipients may be sele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with an aqueous suspending agent, suitable excipients ar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methyl cellulose, hydropropylmethylcellulose And suspending agents and dispersing agents such as sodium alginate and polyvinylpyrrolidone. Suitable excipients when prepared as injections include Ringer's solution, isotonic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some cases may be administered topically.
  • the daily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ually 0.001 ⁇ 150 mg / kg body weight range, it can be administer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However, since th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in view of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sex,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severity of the patient, the dosage may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aspect.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obesity improving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insulin resistance improving agent composition.
  • Obesity improver composition and insulin improver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mercialized as a functional food, drugs and the like.
  • 17 and 18 are results showing that the bran extract, the compound of [Formula 1] and the compound of [Formula 2] inhibit the expression of PPAR ⁇ and C / EBR ⁇ at the protein level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 Ethanol was added to wheat bran, a by-product of mill of Triticum aestivum L., and extracted by cold sedimentation three times for 24 hours.
  • the filtrate was filtered and the filtrate was obtained using a vacuum concentrator.
  • the extract was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and then the solvent was fractionated with CH 2 Cl 2 , and then the solvent was fractionated with butanol for the water layer, butanol fraction layer (G36W) Got.
  • the butanol fractionation layer (G36W) was then evapo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butanol extract.
  •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was performed on a water-methanol mobile phase (water, 20, 40, 60, 80, 100% methanol). And divided into six subfractions (G36W-18-1 ⁇ 6).
  • FIG. 1 A schematic diagram of the separation process of Compounds 1 and 2 is shown in FIG. 1.
  • the separated compound 1 was subjected to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 Compound 1 was assumed to be a glucose-coupled compound to methoxyhydroquinone, and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Food Sci. Biotechnol. , 17 (6), 1376-1378, Tachioside, an antioxidative phenolic glycoside from bamboo Species) was compared and compared to determine the tachioside (methoxy-hydroquinone-4- ⁇ -D-glucopyranoside) of [Formula 1].
  • the separated compound 2 was subjected to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analysis.
  • 3T3-L1 a mouse precursor cell, was added with 10% BCS DMEM medium and cultured at 37 ° C. and 5% CO 2 .
  • Preadipocytes induced adipocyte differentiation for 2 days with 10% FBS DMEM medium containing MDI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 uM dexamethasone, 1 ug / ml insulin). After hours, the cells were incubated for 2 days with 10% FBS DMEM containing 1 ug / ml insulin. It was then replaced with 10% FBS DMEM culture for 4 days every 2 days.
  • MDI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 uM dexamethasone, 1 ug / ml insulin
  • adipocyte differentiation During the induc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samples were treated by concentration in each culture, and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on day 8, when the differentiation was completed. The degree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was primarily confirmed by microscopy through Oil Red O staining, and the degree of adipocyte staining was measured at 510 nm absorbance.
  • the wheat bran extract, and the compounds 1 and 2 isolated therefrom have a concentration-dependent proliferativ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activity to adipocytes.
  • Recombinant vector obtained by inserting PPAR ⁇ response element (PPRE) gene and PPAR ⁇ gene into pGL3-basic luciferase expression vector (Promega) and pRL-SV-40 plasmid (Promega) containing Renilla luciferase cDNA as HEK 293T cell. Co-transfection. Genes were expressed for one day and then treated with samples (Red-dog A & Red-dog B and Compounds 1 & 2) alone or with PPAR ⁇ -inducing substance 10uM troglitazone for 24 hours by concentration. The degree of transcriptional activity of was observed through luciferase expression intensity.
  • PPRE PPAR ⁇ response element
  • the expression level of / SREBP1c was confirmed by real-time PCR. After washing the differentiated 3T3-L1 cells with PBS twice for 8 days, cell pellets were collected and RNA was isolated by RNA prep kit (Qiagen). CDNA was synthesized using 1 ug of extracted RNA, and then real-time PCR was performed using SYBR green (Takara) and the primers in [Table 1], and the control gene was GAPDH.
  • PCR composition was 5ul by diluting cDNA synthesized with 1ug of RNA to 1/50 with distilled water, and 0.5ul for 10 pmole primer, 10ul for 2X SYBR green, and 4ul for distilled water to adjust the total volum to 20ul.
  • the initial degeneration was 95 °C 30 seconds
  • the degeneration was 95 °C 5 seconds
  • the annealing was 60 °C 15 seconds
  • the extension reaction was 72 °C 10 seconds
  • the melting curve started at 55 °C and 95 °C.
  • the desired fluorescence value was detected by increasing 80 ° C by 0.5 ° C (quantitative fluorescence signal was used by Bio-Rad MyiQ program).
  • 3T3-L1 cells were treated with samples (Red-dog A & Red-dog B and Compounds 1 & 2) every two days, and the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and RIPA buffer (50 mM Tris). Cells were lysed using -HCl, pH 8.0, 150mM sodium chloride, 1% NP-40, 0.5% sodium de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protease inhibitor). Protein was extracted and quantified by centrifugation at 13000 rpm for 30 minutes and electrophoresed using 8% SDS-PAGE gel. Electrophoretic proteins were transferred to the membrane and blocked with TBST containing 5% skim mil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Diabet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겨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인 타치오시드(tachioside) 또는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밀겨 추출물 또는 유효물질들은 인슐린에 의해 분화 촉진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며,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중추적으로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본 발명은 밀겨(Wheat Bran)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 바쁜 생활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영양의 과잉 섭취 등으로 비만 인구가 급속히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 비율은 성인 여성의 경우 1995년 11.7%이던 것이 2001년 29.4%, 성인 남성의 경우 1995년 18.0%이던 것이 2001년 32.6%로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보건복지부, 2007).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모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에 에너지가 과잉으로 축적되어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Clinical Endocrinology 28:675-689, 1998; Clinical Obesity (eds. Kopelman PG, Stock MJ) 248-89 (Blackwell Science, Oxford 1998). 임상적으로는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 비만으로 보며, 임상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가 30.0 이상인 경우를 비만으로 정의한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고지방·고열량의 식생활, 바쁜 사회적 환경에 따른 운동 부족, 내분비 이상 등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비만의 50 내지 70% 정도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가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 에너지는 지방세포에 중성지방(triglyceride) 형태로 저장되었다가 체내 에너지원이 고갈되면 저장되었던 지방이 유리지방산과 글리세롤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게 되지만, 에너지의 과잉 섭취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체내 저장 지방량을 증가시켜 비만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지방세포는 지방전구세포로부터 분화하여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지방세포의 분화에는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EBP family(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Rα, C/EBRβ 및 C/EBRδ) ADD1/SREBP1c(adipocyte determination differentiation factor 1)/(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라고 불리는 전사인자들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enes De 2000, 14(11) 1293~1307). 이들 전사인자는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 중 각기 다른 시점에서 발현이 유도되며 서로 상호작용을 통하여 여러 지방세포 특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고, 지방대사의 활성화와 지방세포 분화를 점진적으로 유도해 나간다(Physiol Rev 1998, 78(3):783~809; Annu Rev Biochem 2008, 77:289~312; Genes Dev 1996, 10:1096~1107).
따라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및/또는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거나, PPARγ, C/EBRα, 및/또는 ADD1/SREBP1c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은 비만 개선제로 활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서 징코라이드 에이(ginkgolide A) 또는 빌로발라이드(bilobalide)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920648호, 유효성분으로서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Rf 또는 화합물 K(Compound K)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847252호, 유효성분으로서 올티프라즈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 제576157호 등이 이러한 예에 속한다.
본 발명도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및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갖고 또한 PPARγ, C/EBRα, ADD1/SREBP1c의 발현 억제 활성 등을 갖는다는 점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밀겨 추출물과 그 밀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타치오시드(tachioside; methoxy-hydroquinone-4-β-D-glucopyranoside)와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이 인슐린에 의해 분화 촉진된 지방전구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고 지방의 축적을 억제하며,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에 중추적으로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을 억제하는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상기 화합물 중 타치오시드는 사탕수수 당밀(sugarcane molasses), 청사조(Berchemia racemosa), 대나무 줄기(bamboo culm) 등으로부터 분리된 바 있는 물질이며[J. Agr. Food Chem. 31: 545-548 (1983); Phytochemistry 26: 2811-2814 (1987); Food Sci. Biotechnol. 17(6):1376 ~ 1378 (2008)], 상기 화합물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의 경우는 감초(licorice), 타로(Colocasia antiquorum) 등으로부터 분리된 바 있는 물질이다[Izv Akad Nauk SSSR Biol. 6:932-6 (1988); Phytochemistry 28: 2613-2615 (1989)].
상기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식 및 IUPAC 명칭은 아래의 [화학식 1] 및 [화학식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0009592-appb-C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10009592-appb-C000002
[화학식 1 타치오시드]
[화학식 2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
전술한 바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밀겨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밀겨"는 밀(wheat)을 도정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부산물은 통상 밀가루가 되는 배유를 제외하고 과피(종자의 껍질)와 배아로 구성되거나, 배아가 밀의 도정 과정에서 배유와 함께 분리될 경우에는 주로 과피로 구성되게 된다. 밀겨는 소량의 배유와 배아를 포함할 수 있다. 밀겨를 분쇄하여 얻은 밀겨 분말은 입자도에 따라 밀기울, 말분, 정강, 등외밀가루 등으로 다시 세분하기도 하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밀겨"는 밀겨 분말로부터 유래한 상기 밀기울, 말분, 정강, 등외밀가루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이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 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조추출물과 그 추출물을 상기 열거한 용매 중 하나 이상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말한다. 추출 방법은 유효성분의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조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조추출물을 실리카 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30.0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5~30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 개선"이란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여,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비만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비만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밀겨 추출물, 이로로부터 분리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다이어트"란 체중 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은 아니지만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체중/체지방의 감소가 바람직하거나 필요한 상태로서 정의된다. 통상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은 정상인의 미용이나 건강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사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이어트용 조성물에 있어서, 밀겨 추출물의 의미, 그것의 유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밀겨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및/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의 여러 원인 중 하나에 해당한다. 고도비만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발병하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일반적으로 비만이 심할수록 특히 내장 비만(visceral obesity)이 심할수록 인슐린 저항성도 심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지방세포는 생리활성물질인 아디포사이토카인을 분비하는데, 이 아디포사이토카인은 대사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비만 즉 지방의 과도한 축적 상태가 되면 이 아디포사이토카인의 생성·분비가 과잉 또는 과소가 되어 균형이 파괴됨으로써 인슐린 저항성이 야기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아디포사이토카인 중에는 인슐린 감수성을 항진시키는 것과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키는 것이 있으며, 전자의 대표적인 경우가 아디포넥틴(adiponectin)과 렙틴(leptin), AMPK(AMP-의존성 단백질 키나아제)이며, 후자의 대표적인 경우가 TNF-α, lL-6, 레지스틴(resistin) 등을 들 수 있다.
또 지방세포에서 발현되는 Fas(fatty acid synthase)나 aP2(adipocyte fatty-acid-binding protein 2)도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Fas는 지방세포의 분화에 있어 초기에 발현되며(J. Biol. Chem., 255:4745~ 4750 (1980)) 아세틸 코에이 (acetyl-CoA)와 말로닐 코에이 (malonyl-CoA)로부터 팔미테이트 (palmitate)를 생산하는 효소인데, Fas는 과도한 에너지를 중성지방의 형태로 저장하여 비만을 일으키는 한편, 그것에 의해 생산된 중성지방인 팔미테이트는 췌장의 β세포를 파괴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시킨다고 보고되어 있으며(Proc. Natl. Acad. Sci. 95:2498∼2502 (1998)), aP2는 그 유전자의 결손 쥐에서 인슐린 저항성 발병률이 낮고 aP2 저해제가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킨다는 결과로부터 인슐린 저항성 치료제 개발에 강력한 표적 단백질로 제안되어 있다(Nature 447:959-965 (2007)).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상기 화합물들이 처리된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하는 아디포사이토카인인 레지스틴, 그리고 Fas와 aP2를 정량하였는데, 이들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비만 개선제로서 뿐만 아니라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인슐린 저항성"이란 세포, 장기, 인체 등 개체 등이 정상적인 대사 활동을 위하여 통상적인 양 이상의 인슐린을 필요로 하는 상태, 즉 인슐린의 작용력이 저하된 인슐린의 작용 부전 상태를 의미하며,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또는 제2형 당뇨병과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당뇨병은 췌장의 β-세포가 파괴된 결과 그 치료를 위하여 인슐린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제1형 당뇨병)과 인슐린의 작용력이 저하되어 그 치료에 인슐린이 요구되지 않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제2형 당뇨병)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당업계에서 인슐린 저항성,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그리고 제2형 당뇨병은 동일한 의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에 있어서, 밀겨 추출물의 의미, 그것의 유효량 등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가 그대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 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고형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 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그 기능성을 상승 보강하거나 다른 기능성(예컨대 지방간 개선 활성, 숙취 해소 활성 등)을 부가하기 위하여 이미 비만 개선 활성이나 간 기능 개선 활성 등이 있다고 알려진 임의의 천연물 유래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는데, 선지 분말 또는 추출물, 콩나물 분말 또는 추출물, 조개 분말 또는 추출물, 굴 분말 또는 추출물, 산미나리 분말 또는 추출물, 무 즙 또는 추출물, 오이 즙 또는 추출물, 부추 즙 또는 추출물, 시금치 즙 또는 추출물, 연근 즙 또는 추출물, 칡 즙 또는 추출물, 솔잎 즙 또는 추출물, 인삼 즙 또는 추출물, 백화사설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감초 분말 또는 추출물, 갈화 분말 또는 추출물, 갈근 분말 또는 추출물, 사인 분말 또는 추출물, 박 분말 또는 추출물, 생강 분말 또는 추출물, 대추 분말 또는 추출물, 인진 분말 또는 추출물, 지구자 분말 또는 추출물, 수비계 분말 또는 추출물, 백출 분말 또는 추출물, 저령 분말 또는 추출물, 진피(진귤의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 구기자 분말 또는 추출물, 녹차 분말 또는 추출물, 오미자 분말 또는 추출물, 헛개나무 추출물, 지치 추출물, 노근 추출물, 계피 추출물, 데커시놀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의 의미는 밀겨 추출물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추출물은 추출 대상을 혼합하여 얻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 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 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만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제 조성물과 인슐린 개선제 조성물 등은 기능성 식품, 약품 등으로 제품화될 수 있다.
도 1은 화합물 1과 2의 분리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의 COSY 스펙트럼 데이타이다.
도 3 내지 8은 밀겨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세포의 지방 축적 억제 활성을 가짐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9 및 10은 밀겨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 전사 활성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1 내지 16은 밀겨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을 억제함으로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7 및 18은 밀겨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단백질 수준에서 PPARγ 및 C/EBRα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19 내지 24는 밀겨 추출물,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레지스틴, aP2 및 Fas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밀겨 추출물의 제조, 밀겨 추출물로부터의 유효물질의 분리 및 유효물질의 동정
<실시예 1> 밀겨 추출물의 제조예 1
밀(Triticum aestivum L.)의 도정 부산물인 밀겨 (wheat bran) 200g을 2ℓ물에 넣고 6시간 열수 추출하였다. 열수 추출물을 여과시키고 그 여과액을 Diaion HP-20 레진이 충진된 칼럼에 넣고 100% 에탄올과 물을 이동상으로 하여 100% 에탄올을 통과한 샘플을 Red-dog A라 하였고, 물을 통과한 샘플을 Red-dog B라 명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밀겨 추출물의 제조예 2
밀(Triticum aestivum L.)의 도정 부산물인 밀겨 (wheat bran)에 에탄올을 가하고 24시간 3회 냉침 추출 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한 후에 여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으며, 추출물을 증류수에 현탁시킨 후 CH2Cl2로 용매 분획한 후 물층에 대해서 다시 부탄올로 용매 분획하여, 부탄올 분획층(G36W)을 얻었다. 이후 상기 부탄올 분획층(G36W)을 감압상태에서 증발시켜 부탄올 추출물을 얻었고, 추출물에 대하여 물-메탄올 이동상(물, 20, 40, 60, 80, 100% 메탄올)으로 Diaion HP-20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6개의 소분획으로 나누었다 (G36W-18-1~6).
<실시예 3> 밀겨 추출물로부터의 유효물질의 분리
상기 <실시예 2>의 소분획 G36W-18-2에 대하여 silicagel C.C.(10 × 25)를 이동상 CHCl3:MeOH:H2O(20:4:1,10:3:1,6:3:1.6:4:1)로 시행하여 11 개의 분획 (G36W-20-1~11)으로 나누었고, 이렇게 얻은 소분획 G36W-20-5로부터 화합물 1을 분리하였고, 상기 <실시예 2>의 분획 G36W-18-5에 대하여 CH2Cl2와 물로 분획 후 CH2Cl2층을 재결정화를 진행하여 화합물 2를 분리하였다.
상기 화합물 1과 2의 분리 과정의 모식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4> 밀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인 화합물 1과 화합물 2의 동정
<실시예 4-1> 화합물 1의 동정
상기 분리한 화합물 1에 대해 물리화학적 및 분광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Colourless needles; ESIMS (positive mode) m/z 325.35 [M + Na]+, 627.35 [2M + Na]+; (negative mode) m/z 301.79 [M - H]-, 603.20 [2M - H]-;
1H-NMR (DMSO-d 6 , 400 MHz) δ 6.69 (1H, d, J = 2.8 Hz, H-3), 6.66 (1H, d, J = 8.8 Hz, H-6), 6.46 (1H, dd, J = 8.8, 2.8 Hz, H-5), 4.67 (1H, d, J = 7.6 Hz, H-1', 3.73 (3H, s, 3-OCH3), 3.71 (1H, dd, J = 11.6, 4.8 Hz, H-6'), 3.44 (1H, dd, J = 11.6, 6.0 Hz, H-6'), 3.10 - 3.45 (4H, m, H-2',3',4',5');
13C-NMR (DMSO-d 6 , 100 MHz) δ 151.2 (C-4), 148.2 (C-2), 141.7 (C-1), 115.6 (C-6), 108.3 (C-5), 102.8 (C-3), 102.1 (C-1'), 77.5 (C-3'), 77.2 (C-5'), 73.7 (C-2'), 70.4 (C-4'), 61.3 (C-6'), 55.9 (OCH3).
화합물 1은 무색의 침상결정 (colourless needles)의 형태로서 ESI-MS (m/z 325.35 [M + Na]+, 301.79 [M - H]-)로부터 분자량은 302 amu로 확인하였고, 분자식 C13H18O8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불포화도는 5로 나타났다. 1H-NMR에서 1,2,4-trisubstituted aromatic proton [δH 6.69 (1H, d, J = 2.8 Hz), 6.66 (1H, d, J = 8.8 Hz), 6.46 (1H, dd, J = 8.8, 2.8 Hz)]이 관찰되었으며 하나의 methoxy 기에 기인하는 signal [δH 3.73 (3H, s)]과 glucose의 anomeric proton이 δ 4.67 (1H, d, J = 7.6 Hz)에서 확인되었다. 13C-NMR에서는 총 13개의 carbon signal을 확인하였으며, 6개의 벤젠고리에 기인하는 signal 외에 6 개의 당에 기인하는 signal [δC 102.1 (C-1'), 77.5 (C-3'), 77.2 (C-5'), 73.7 (C-2'), 70.4 (C-4'), 61.3 (C-6') ]과 methoxy기의 signal을 δC 55.9에서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광학적
데이터와 불포화도로부터 화합물 1은 methoxyhydroquinone에 glucose가 결합되어 있는 화합물로 추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성상과 문헌(Food Sci. Biotechnol., 17(6), 1376-1378, Tachioside, an antioxidative phenolic glycoside from bamboo Species)을 비교 검토하여 [화학식 1]의 tachioside (methoxy-hydroquinone-4-β-D-glucopyranoside로 결정하였다.
<실시예 4-2> 화합물 2의 동정
상기 분리한 화합물 2에 대해 물리화학적 및 분광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White solid; ESIMS (positive mode) m/z 353.85 [M + Na]+, 683.42 [2M + Na]+; (negative mode) m/z 329.72 [M - H]-, 659.83 [2M - H]-;
1H-NMR (CDCl3/CD3OD, 400 MHz) δ 5.73 (1H, dd, J = 15.6, 6.0 Hz, H-10), 5.65 (1H, dd, J = 15.6, 6.4 Hz, H-11), 4.06 (1H, dd, J = 12.4, 6.5 Hz, H-9), 3.89 (1H, t, J = 6.4 Hz, H-12), 3.41 (1H, m, H-13), 2.28 (2H, t, J = 7.6 Hz, H-2), 1.61 (2H, m, H-3), 1.52 (2H, m, H-8a, 14a), 1.32 (16H, m, H-4, 5, 6, 7, 8b, 14b, 15, 16, 17), 0.89 (3H, t, J = 7.0 Hz, H-18);
1H-NMR (pyridine-d 5 , 400 MHz) δ 6.42 (1H, dd, J = 15.6, 5.6 Hz), 6.35 (1H, dd, J = 15.6, 5.2 Hz), 4.53 (2H, m), 3.96 (1H, m), 2.51 (2H, t, J = 7.4 Hz), 1.81 (7H, m), 1.58 (3H, m), 1.33 (10H, m), 0.83 (3H, t, J = 6.8 Hz);
13C-NMR (pyridine-d 5 , 100 MHz) δ 177.0, 137.6, 131.8, 77.2, 76.2, 72.8, 39.4, 35.8, 34.5, 33.3, 30.9, 30.7, 30.5, 27.2, 27.0, 26.6, 23.9, 15.2.
화합물 2는 흰색의 고체상 (white solid)으로 분리되었으며, ESI-MS (m/z 353.85 [M + Na]+, 329.72 [M - H]-)로부터 분자량은 330 amu로 확인하였고, 분자식 C18H34O5임을 알 수 있었으며, 불포화도는 2로 나타났다. 1H-과 13C-NMR에서는 3개의 oxygenated methine proton 들이 δH 4.06 (1H, dd, J = 12.4, 6.5 Hz, H-9), 3.89 (1H, t, J = 6.4 Hz, H-12), 3.41 (1H, m, H-13)에서 각각 나타나고 있으며, 하나의 trans 이중결합 [δH 5.73 (1H, dd, J = 15.6, 6.0 Hz; δC 131.8), 5.65 (1H, dd, J = 15.6, 6.4 Hz; δC 137.6)]에 기인하는 signal을 확인하였으며, δC 177.0으로부터 carboxyl carbon signal을 나타내므로 화합물 2는 3 개의 hydroxy기와 한 개의 trans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탄소 18개로 구성된 monounsaturated long-chain fatty acid 구조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COSY([도 2] 참조)로부터 CH2-CH(OH)-CH(OH)-CH=CH-CH(OH)-CH2-의 부분 구조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문헌(J. Nat. Prod., 2006 69(9), 1366-1369, Phytochemical constituents from Salsola tetranda)과 비교 검토한 결과 화합물 2의 화학구조는 [화학식 2]의 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로 결정하였다.
<실험예> 밀겨 추출물과 그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의 비만 개선 활성 실험 및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실험
<실험예 1> 비만 개선 활성 실험
마우스 전구지방세포인 3T3-L1은 10 % BCS DMEM 배지를 넣고 37 ℃, 5 % CO2 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3T3-L1 전구지방세포를 24 well plate에 5X104/well의 세포수로 분주한 후 100% confluency 시점이 되면 2일 동안 더 유지시켰다. 전구지방세포는 MDI (0.5 mM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 1 uM dexamethasone, 1 ug/ml insulin) 를 포함하는 10% FBS DMEM 배지로 지방세포 분화를 2일 동안 유도하였고, 배양 48 시간 후, 1 ug/ml insulin이 함유된 10% FBS DMEM으로 이틀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2일 마다 4일 동안 10% FBS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유도 동안 시료를 각 배양액에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분화가 완성되는 시점인 8일째에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관찰하였다. 지방세포 분화 정도는 Oil Red O 염색을 통해 1차적으로 현미경을 통해 확인하였고, 지방세포 염색 정도는 510 nm 흡광도에서 세포의 분화된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3 내지 8]에 각 시료, 즉 <실시예 1>의 추출물(Red-dog A & Red-dog B), <실시예 2>의 추출물(G36W, G36W-18-2 & G36W-18-5), 그리고 <실시예 3>의 화합물(화합물 1 & 2)의 Oil Red O 염색 결과 및 지방량의 정량 분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보면, 밀겨 추출물, 그리고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1과 2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전구지방세포가 지방세포로의 분화 억제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2> PPARγ의 전사 촉진 억제 활성 평가
pGL3-basic luciferase expression 벡터(Promega)에 PPRE(PPARγ response element) 유전자와 PPARγ 유전자를 삽입하여 얻은 재조합 벡터와 control reporter로서 Renilla luciferase의 cDNA를 가지는 pRL-SV-40 프라스미드(Promega)를 HEK 293T cell에 co-transfection 하였다. 유전자들은 하루 동안 발현시킨 후 세포에 시료(Red-dog A & Red-dog B 및 화합물 1 & 2)를 단독으로 또 PPARγ 유도물질인 10uM troglitazone와 함께 농도별로 24 시간 동안 처리한 후 시료에 의한 PPARγ의 전사 활성 정도를 luciferase 발현 강도를 통해 관찰하였다.
결과를 [도 9 및 10]에 각 시료, 즉 즉 <실시예 1>의 추출물(Red-dog A & Red-dog B)과 <실시예 3>의 화합물(화합물 1 & 2)이 PPARγ 전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는데, 상기 각 시료가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 전사 촉진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1-3> 지방세포 분화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의 발현 억제 활성 평가
<실험예 1-3-1> 유전자 수준에서의 발현 억제 활성 평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단계에서는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의 증가한다.
상기 <실험예 1-2>과 동일하게 시료(Red-dog A & Red-dog B 및 화합물 1 & 2)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8일 동안 지방세포를 분화를 시켜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 정도를 Real-time PCR로 확인하였다. 8일 동안 분화된 3T3-L1 cell을 PBS로 두 번 wash 한 후 cell pellet을 모아 RNA prep kit(Qiagen)로 RNA를 분리했다. 추출된 RNA를 1 ug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한 후 SYBR green(Takara)과 아래 [표 1]의 primer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했고 대조군 유전자는 GAPDH를 사용하였다. PCR 조성은 RNA 1ug으로 합성된 cDNA를 증류수로 1/50로 희석하여 5ul를 사용하였고, 10 pmole primer를 각각 0.5ul, 2X SYBR green 10ul, 4ul는 증류수를 사용하여 total volum은 20ul 맞추었다. Real-time PCR cycle은 초기변성은 95℃ 30초, 변성은 95℃ 5초, annealing은 60℃ 15초, 신장반응은 72℃ 10초로 하여 40 cycle을 진행했고 융해곡선은 55℃ 시작해서 95℃를 끝으로 하여 0.5℃씩 상승 시키며 80번을 반응하여 원하는 형광값을 검출했다(형광신호 정량은 Bio-Rad MyiQ program을 사용하였다).
표 1 프라이머
Gene nam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GAPDH GAGTCAACGGATTTGGTCGT(서열번호 1) GACAAGCTTCCCGTTCTCAG(서열번호 2)
PPARγ CGCTGATGCACTGCCTATGA(서열번호 3) AGAGGTCCACAGAGCTGATTCC(서열번호 4)
C/EBPα AGGTGCTGGAGTTGACCAGT(서열번호 5) CAGCCTAGAGATCCAGCGAC(서열번호 6)
ADD1/SREBP1c CAAACTGCCCATCCACCGAC(서열번호 7) TGCCTCCTCCACTGCCACAA(서열번호 8)
결과를 [도 11 내지 16]에 나타내었다. [도 11 내지 16]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각 시료 즉 <실시예 1>의 추출물(Red-dog A & Red-dog B)과 <실시예 3>의 화합물(화합물 1 & 2)이 유전자 수준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 C/EBRα 및 ADD1/SREBP1c의 발현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1-3-2>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억제 활성 평가
지방세포 분화 유도 방법과 같이 3T3-L1 세포에 시료(Red-dog A & Red-dog B 및 화합물 1 & 2)를 이틀 간격으로 처리한 후 세포를 PBS로 두 번 wash하고 RIPA buffer (50 mM Tris-HCl, pH 8.0, 150mM sodium chloride, 1 % NP-40, 0.5 % sodium dexycholate, 0.1 % sodium dodecyl sulfate, protease inhibitor)를 이용하여 세포를 용해시켰다.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 정량하여 8 % SDS-PAGE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했다. 전기 영동된 protein 들을 membrane에 이동시킨 후 5% skim milk를 포함하는 TBST로 blocking 했다. 1차 항체(PPARγ, C/EBPα)(SantaCruz)와 2차 항체(SantaCruz)로 반응시킨 후 ECL(Thermo scientific)을 통해 PPARγ 및 C/EBPα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β-actin의 발현 정도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를 [도 17 및 18]에 나타내었다. [도 11 내지 16]의 결과와 유사하게 상기 각 시료 즉 <실시예 1>의 추출물(Red-dog A & Red-dog B)과 <실시예 3>의 화합물(화합물 1 & 2)이 농도 의존적으로 PPARγ 및 C/EBRα의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인슐린 저항성 개선 활성 실험
시료(Red-dog A & Red-dog B 및 화합물 1 & 2)의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예 1>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아래 [표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8일 동안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레지스틴, aP2 및 Fas의 발현 정도를 정량 평가하였다.
표 2 프라이머
Gene name Forward primer Reverse primer
GAPDH GAGTCAACGGATTTGGTCGT(서열번호 9) GACAAGCTTCCCGTTCTCAG(서열번호 10)
aP2 CATGGCCAAGCCCAACAT(서열번호 11) CGCCCAGTTTGAAGGAAATC(서열번호 12)
Resistin TCAACTCCCTGTTTCCAAATGC(서열번호 13) TCTTCACGAATGTCCCACGA(서열번호 14)
Fas CTGAGATCCCAGCACTTCTTGA(서열번호 15) GCCTCCGAAGCCAAATGAG(서열번호 16)
결과를 [도 19 내지 도 24]에 나타내었는데, 상기 각 시료 즉 <실시예 1>의 추출물(Red-dog A & Red-dog B)과 <실시예 3>의 화합물(화합물 1 & 2)이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수준에서 레지스틴, aP2 및 Fas의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밀겨 추출물, 타치오시드(tachioside), 또는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겨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5. 밀겨 추출물, 타치오시드(tachioside), 또는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겨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9. 밀겨 추출물, 타치오시드(tachioside), 또는 9,12,13-트리하이드록시-10(E)-옥타데센산(9,12,13-trihydroxy-10(E)-octadeceno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밀겨 추출물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제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 개선제 조성물.
PCT/KR2010/009592 2009-12-30 2010-12-30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WO2011081488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20,161 US20130102554A1 (en) 2009-12-30 2010-12-30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obesity using wheat bran extract or active ingredient isolated therefrom
CN201080060141.2A CN102686227B (zh) 2009-12-30 2010-12-30 一种使用麦麸提取物或由其分离得到的活性成分治疗肥胖症的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278A KR101082460B1 (ko) 2009-12-30 2009-12-30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2009-0134278 2009-12-30
KR10-2010-0077286 2010-08-11
KR1020100077286A KR101231583B1 (ko) 2010-08-11 2010-08-11 밀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88A2 true WO2011081488A2 (ko) 2011-07-07
WO2011081488A3 WO2011081488A3 (ko) 2011-12-01

Family

ID=4422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592 WO2011081488A2 (ko) 2009-12-30 2010-12-30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02554A1 (ko)
CN (1) CN102686227B (ko)
WO (1) WO201108148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5011A1 (en) * 2011-10-27 2014-10-02 Genematrix Inc. Composition Containing Triticum Aestivum Lamarck Leaf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WO2017111429A1 (ko) * 2015-12-21 2017-06-29 동아제약 주식회사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05282A (zh) * 2013-01-05 2013-04-03 江苏大学 一种具有降糖作用的麦麸提取物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WO2015071413A1 (en) * 2013-11-15 2015-05-21 Universitat Autonoma De Barcelona Wheat bran soluble extract as anti-biofilm agent
CN109568563B (zh) * 2019-02-02 2023-01-17 北京胜泰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沸石负载天然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2246313A1 (en) * 2021-05-21 2022-11-24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ment and taste modulation with digupigan a analog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824A (ja) * 1981-09-07 1983-03-11 Nippon Shokuhin Kako Kk 血清コレステロ−ル上昇抑制物質
JPH03145424A (ja) * 1989-10-31 1991-06-20 Manda Hakko Kk 糖類吸収抑制剤
US5260283A (en) * 1992-05-19 1993-11-09 American Health Foundation Method for altering excretion of estrogens or lipids in mammals
JP2007182395A (ja) * 2006-01-05 2007-07-19 Nisshin Pharma Inc 脂肪低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367B2 (ja) * 1990-05-15 1994-10-05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食物繊維、その製造法及びその食物繊維を含有する生理活性剤
CA2420601A1 (en) * 2000-08-31 2003-02-26 The Kitasato Institute Vaccine preparation containing fatty acid as compon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1824A (ja) * 1981-09-07 1983-03-11 Nippon Shokuhin Kako Kk 血清コレステロ−ル上昇抑制物質
JPH03145424A (ja) * 1989-10-31 1991-06-20 Manda Hakko Kk 糖類吸収抑制剤
US5260283A (en) * 1992-05-19 1993-11-09 American Health Foundation Method for altering excretion of estrogens or lipids in mammals
JP2007182395A (ja) * 2006-01-05 2007-07-19 Nisshin Pharma Inc 脂肪低下組成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95011A1 (en) * 2011-10-27 2014-10-02 Genematrix Inc. Composition Containing Triticum Aestivum Lamarck Leaf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WO2017111429A1 (ko) * 2015-12-21 2017-06-29 동아제약 주식회사 들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구건조증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6227A (zh) 2012-09-19
CN102686227B (zh) 2014-12-03
US20130102554A1 (en) 2013-04-25
WO2011081488A3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07943A1 (ko) 다물린 에이 및 다물린 비 함량이 증가된 신규 돌외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1081488A2 (ko)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AU201226630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ashew apple extract
KR20070080329A (ko) 어성초 추출물을 함유한 암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10061B1 (ko) 가시파래 추출물과 그것의 항염증제로서의 용도
JP5813576B2 (ja) サーチュイン1(sirt1)遺伝子活性化剤
WO2019050123A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40114801A (ko) 제주조릿대 잎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파라-쿠마르산을 이용한 비만 및 지방간 개선제 조성물
KR20140100117A (ko) 오리나무 추출물 또는 그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지방분화 억제용 조성물
JP2022535353A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WO2011081489A2 (ko) 밀겨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알러지성 질환의 개선제 조성물
KR101231583B1 (ko) 밀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유효물질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1119167B1 (ko) 체지방 억제에 유용한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 비만조성물
KR101613685B1 (ko) 푸코산틴 유도체를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KR101082460B1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비만 개선제 조성물
KR101385191B1 (ko) 치커리 추출물의 근육 손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US20040044067A1 (en) Toralactone and its derivation and the use of decreasing blood-fat and losing weight
KR101601843B1 (ko) 사링고스테롤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Sun et al. NF-${\kappa} B $ Inhibitory Activities of Phenolic and Lignan Components from the Stem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KR20140039809A (ko) 소야사포닌 Aa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3177355A (ja)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を予防及び治療するための有機体由来の天然成分及び抽出物
KR101473748B1 (ko) 문주란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 조성물 및 항고지혈증 조성물
WO2018038313A1 (ko) 신규한 디노익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90061787A (ko) 로열젤리를 포함하는 비만과 고지혈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WO2015093634A1 (ko) 치커리 추출물의 근육 손상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60141.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13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520161

Country of ref document: US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132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