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25136A2 - 압축공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25136A2
WO2011025136A2 PCT/KR2010/003987 KR2010003987W WO2011025136A2 WO 2011025136 A2 WO2011025136 A2 WO 2011025136A2 KR 2010003987 W KR2010003987 W KR 2010003987W WO 2011025136 A2 WO2011025136 A2 WO 2011025136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drying unit
chamber
foreign matt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98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25136A3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Kang Seung-Ko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ang Seung-Koo filed Critical Kang Seung-Koo
Priority to JP201252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3502322A/ja
Publication of WO2011025136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36A2/ko
Publication of WO2011025136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25136A3/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ed air drying device that removes water, oil,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compressed air flowing through a compressed air pipe li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manure water, oil, and foreign matter by using centrifugal force by inflow energy.
  • an air driving apparatus such as an air driver that performs work using compressed air includes a compressed air piping line for supplying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by the compressor to the air driving apparatus.
  • the compressed air flowing along the compressed air pipe line includes the axial water, oil and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at is, when the compressed air is made by using the compressor, moisture in the air is compressed together to generate the axial water, and some of the lubricating oil of the compressor is included in the compressed air as oil.
  • the portabl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adopts a method of removing the coaxial water by refining the compressed air described above.
  • the apparatus for freezing and removing the coaxial water in the compressed air by refining the compressed air by using the motor This is expensiv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akes a lot of maintenance costs because the electricity is used continuously to drive the refrigerator.
  • the absorption type compressed air drying device is a device for removing axial water by using an absorbent such as silica gel. Since it is necessary to repeatedly heat the agen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maintenance cost is high and the price is high.
  • the filter-typ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removing the coarse water and foreign matter by using the absorption filter,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sorption filt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drying efficiency is not high and the filter must be frequently replaced.
  • each of the conventional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e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 the filter typ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is provided, only the axial water can be removed, but oil or foreign substances cannot be removed, so a separate process for removing them is required. do.
  • the present applicant is to provide a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that can remove foreign matters such as axial water and impurities using centrifugal force by converting the inlet energy of the compressed air flowing from the compressed air piping line into the maximum rotational force. It was filed as -000000.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is not mixed with the dried compressed air in removing foreign matters such as axial water and oil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without using pow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drying and purification efficiency.
  •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e or more drying unit for drying the compressed air using a swirl flow and installed in the piping line to move the compressed air,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rying unit
  •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including a drain for discharging, the drying unit, the cylindrical chamber having a cylindrical concave portion recessed in the augmented portion and is formed to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hamber
  • an air distribution hole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tube, and a foreign substance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moisture and oil are discharg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member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hamber to form an outlet.
  • the shield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bent downwar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the air distribution hole.
  •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tube installed in the extension of the shielding member to reach the drain portion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the discharge hole is connected to the foreign matter outlet It is formed between the shield memb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eign matter flows down through the discharge hole between the shield tube and the inner wall of the drain portion.
  • a secondary drying unit is further provided, and the secondary drying unit has a cylindrical secondary chamber having a cylindrical concave portion recessed downwar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s formed to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ry chamber to guide the drying unit.
  • a plurality of the drying unit and the lower drain portion is provided in parallel, it is installed in parallel, the outlet of one drying unit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oil inlet of the other drying unit is multi-stage drying It will be made to be characterized.
  •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for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compressed air turns. By separating foreign matters such as moisture and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blocked by the guide tube is not introduced into the dried compressed ai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and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centrifugal force is enhanced to facilitate the separation of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There is a repelling effect.
  • the extended portion bent downwar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 member guides the compressed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tube, the flow of compressed air is smoothed.
  • the foreign matter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guide tube due to the shielding pipe installed in the extension of the shielding member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rying effect and purification efficiency.
  •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secondary drying unit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unit or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drying units in parallel, by connecting them in series to repeat the drying and purification process to improve the drying efficiency and purification efficiency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done.
  • FIG. 1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2;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A" part of the detail of Figure 2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air flow in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and Figure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piping line to move the compressed air and one or more drying unit 10 for drying the compressed air by using the swirl flow, and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drying unit (10) It comprises a drain 20 to be made.
  • the drying unit 10 the cylindrical chamber 11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oncave portion 12 recessed in the augmented portion, and is formed to be ec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hamber 11, the compressed air
  • An inlet 13 for forming a vortex in the chamber 11 and a lower end portion of the chamber 11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12
  • a guide tube 14 for discharging the dried compressed air, a discharge port 15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guide tube 14, a bottom surface of the chamber 11,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tube 14
  • a shielding member configured to form an air distribution hole 16a through which compressed air flows, and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6b through which the foreign matter including moisture and oil is discharg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1 ( 16).
  •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16 in which the air distribution hole 16a is formed is bent downward to form an extension portion 16c, and the shielding tube 17 is installed in the extension portion 16c.
  • the shield pipe 17 has its lower end reaching the drain 20 locat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guide tube 14. Accordingly, the discharge hole (16d) formed between a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16 and the chamber 11 is the communication wit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6b), said shield tube foreign object through the discharge hole (16d) ( 17) and the inner wall of the drain portion 20 to flow down.
  • the drain portion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male water outle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drain valve 2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le water outlet, and a float 25 which is elevated according to a flow rate to operate the drain valve. ).
  •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to dry and purify the compressed air by using the swirl flow, and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by using the guide tube and the shielding member to dry the compressed air to dry and purify Allow for efficiency.
  • Compressed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3) forms a vortex inside the chamber (11), and the centrifugal force formed by the vortex separates water, oil, an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compressed air, thereby separating the chamber (11). It will be down along the wall of the house. Subsequently, the foreign material is formed between the shielding member 16 provided in the chamber 11 and the foreign material discharge port 16b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chamber 11 and the discharge hole 16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hielding member 16. Through the drain portion 20 is lowered. At this time, the foreign matter does not flow into the central side of the drain portion 20 due to the shield pipe 17 installed in the extension portion 16c of the shielding member 16.
  • the drain portion 20 Since the foreign material brought down by the drain portion 20 includes the water-reduced coaxial water, it is collected in the drain portion 20 together with condensed water, and when the amount of the water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e drain portion 20 As the float 25 rises, the drain valve 26 opens the drain outlet to discharge the axial water.
  • the compressed air dry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further drying the compressed air dried in the drying unit 10 on the upper side of the drying unit 10 and occurred in the process
  • the secondary drying unit 30 for discharg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drain portion 2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ry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in such a way as to install.
  • the secondary drying unit 30 is eccentric to the cylindrical secondary hamber 31 having a cylindrical concave portion 32 recess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secondary 3 ⁇ 4 burr 31.
  • the secondary inlet 33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guide tube 14 of the drying unit 10, and the lower end in the center of the secondary chamber 3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32
  • a secondary guide tube 34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secondary chamber 31 and communicating with an outlet 15 of the drying unit 10, and formed below the edge of the secondary chamber 31 to form the shielding member. It comprises a secondary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35)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6b)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16).
  •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urther improves the drying efficiency and the purification efficiency by further drying and purifying the compressed air primarily dried in the drying unit in the secondary drying unit.
  • the dried compressed air exiting through the guide tube 14 of the drying unit 10 enters the secondary chamber 31 through the secondary inlet 33 and remains in the dried compressed air by forming a vortex. Water or foreign matter is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The separated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 the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16b) through the secondary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35), and the compressed air further dried through the secondary guide pipe 34 and the discharge port (15).
  • a plurality of drying units 10 and lower drain portions 20 are provided in parallel and installed in parallel. It may be.
  •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two drying units and two drain units are installed, and FIG.
  • FIG. 8 illustrates three installations of the drying unit and the drain unit.
  • the outlet 15 of one drying unit is connected to the inlet 13 of the other drying unit in series so as to perform multistage drying, and the separation and discharge of foreign matters and the flow of drying air are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ent is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t will be omit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 Cyclon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축공기 배관라인을 흐르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과 유분 및 이물질을 원심력과 중력을 이용하여 분리함으로써 깨끗하고 건조한 압축공기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분리된 이물질이 안내관에 의해 차단되어 건조된 압축공기에 혼입되지 않게 되므로 건조 효율 및 정화 효율이 우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명세서】
【발명의 명칭】
압축공기 건조장치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압축공기 배관라인을 흐르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 (水粉)과 유 분 (油粉)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추가적 인 동력을 소모하지 않으면서 압축공기의 유입에너지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웅 축수와 유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일반적으로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에어 드라이버 등의 에어 구동장치는 압축기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를 에어 구동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 기 배관라인을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압축공기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압축공기에는 압축기의 작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웅축수와 유분 및 이물질이 포함되 어 있다. 즉, 압축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만들게 되면, 공기 중의 수분이 함께 압축되어 웅축수가 생성되고 압축기의 윤활유 중 일부가 유분으로서 압축공기에 포 함되는 것이다.
이러한 웅축수와 유분 및 이물질들은 에어 구동장치의 작동 과정에서 오작동 을 유발하거나 에어 구동장치의 고장을 야기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 배관라인을 따라 흐르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웅축수 및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다. 특히 웅축수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압축공기를 냉각시켜 웅축수를 제거하는 방법, 흡습제를 이용하여 웅축수를 흡수하여 제거하는 방법, 흡수필터를 이용하여 웅축수를 제거하는 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넁동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상기한 압축공기를 넁각시켜 웅축수를 제거하 는 방법을 적용한 것으로, 넁동기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넁각시킴으로써 압축공기 중의 웅축수를 동결시켜 제거하는 장치이나, 가격이 고가이며 냉동기의 구동을 위 하여 계속 전기를 사용하게 되므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 흡수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실리카 겔 등의 흡습제를 이용하여 웅축수 를 제거하는 장치이나, 장기간 사용시 홉습 효율이 저하되므로 수분을 흡수한 흡습 제를 계속 반복하여 가열해야 하므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고 가격이 고가인 단점 이 있다.
또한, 필터식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흡수필터를 이용하여 웅축수 및 이물질 을 제거하는 장치이나, 흡수필터의 특성상 건조효율이 높지 않고 필터를 자주 교환 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들은 각각 장단점이 있으나, 필터식 압축공 기 건조장치를 제의하면 웅축수만 제거할 수 있을 뿐 유분이나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으므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압축공기 배관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압축공기의 유 입 에너지를 최대한 회전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원심력을 이용하여 웅축수와 불순 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압축공기 건조장치를 20-2009-000000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선출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공기가유입되는 입 구부로부터 멀어져 원심력이 약해지면, 압축공기에서 분리되어 본체의 내벽을 따라 침강하는 이물질 중 일부가 압축공기의 와류에 흔 되어 상승기류를 타고 건조된 압축공기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압축공기에 포함된 웅축수와 유분 등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있어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건조된 압축공기에 흔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조 및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공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술적 해결방법】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배관라인에 설치되고 선회류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하나 이 상의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증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챔버와, 상기 챔버에 편심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챔버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챔버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톡 하는 유입구와,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챔버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상기 안내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압축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내벽과의 사이에 수분과 유 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가 형성되도록 상기 챔버의 저면에 설치된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공기 유통공이 형성되는 내주면에서 하향 절곡된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안내관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기 드레인부에 이르도록 상기 차폐부재의 연장부에 설치된 차폐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에 이어지는 배출 구멍이 상기 차폐부재와 상기 챔버 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어, 이물질이 상기 배출 구멍을 통해 상기 차폐관과 상기 드 레인부의 내벽 사이로 흘러내리도톡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건조부의 상측에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압축공기를 추가로 건조시킴과 아울러 그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 질을 상기 건조부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부로 배출하는 2차 건조부가 더 구비되 고, 상기 2차 건조부는, 중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2차 챔버와, 상기 2차 챔버에 편심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조부의 안내관과 연통되는 2차 유입구와, 상기 2차 챔버의 중앙에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2차 챔버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부의 배출구에 연통되는 2 차 안내관과, 상기 2차 챔버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의 하측에 구비된 이물질 배출구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2차 이물질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상기 건조부 및 그 하측의 드레 인부가 복수개 구비되어 병렬로 설치되며, 한 건조부의 배출구가 다른 건조부의 유 입구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직렬 연결되어 다단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올 특징 으로 한다.
【유리한 효과】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압축공기가 선회하면서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수분 등의 이물질이 분리됨과 아울러 분리된 이물질이 안내관에 의해 차단되 어 건조된 압축공기에 흔입되지 않게 되므로 건조 효율 및 정화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¾버의 하측부에 차폐부재가 형 성되어 차폐부재의 위쪽에서만 압축공기가 선회하도록 하므로, 원심력이 강화되어 압축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가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차폐부재의 내주면에 하향 절 곡된 연장부가 건조된 압축공기를 안내관의 하부로 안내하게 되므로 압축공기의 유 동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차폐부재의 연장부에 설치된 차 폐관으로 인해 이물질이 안내관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건조 효을 및 정화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따르면, 건조부의 상측에 2차 건조부 를 두거나 다수의 건조부를 병렬로 설치한 후 이들을 직렬 연결함으로써 건조 및 정화 공정을 반복 실시하여 건조 효율 및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종래의 압축공기 건조장치가 도시된 참고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원리 설명을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 7과 도 8은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조부
11 : 챔버
12 : 요입부
13 : 유입구
14 : 안내관
15 : 배출구 16 차폐부재
16a • 고 ᄋ토고
方시 τ ^方
16b : 이물질배출구
16c : 연장부
16d : 배출구멍
17 차폐관
20 드레인부
25 플로트
26 드레인밸브
30 2차 건조부
31 2차 챔버
32 요입부
33 2차 유입구
34 2차 안내관
35 2차 이물질배출구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를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Α" 부 상세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에서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도 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원리 설명을 위한 참고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 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고안 의 압축공기 건조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배관라인에 설치되고 선회류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건조시키는 하나 이상의 건조부 (10)와, 상기 건조부 (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드레인부 (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건조부 (10)는, 증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 (12) 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챔버 (11)와, 상기 챔버 (11)에 편심되게 연결되도록 형성되 어 압축공기가 상기 챔버 (11)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유입구 (13)와,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 (12)에 삽입되도록 상기 챔버 (11)의 상단 중앙부에 설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관 (14)과, 상기 안내관 (14)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 (15)와, 상기 챔버 (11)의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관 (14)의 외주면 과의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통공 (16a)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 (11)의 내벽과의 사이에 수분과 유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 (16b)가 형성되도록 한 차폐부재 (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공기 유통공 (16a)이 형성되는 상기 차폐부재 (16)의 내주면은 하 향 절곡되어 연장부 (16c)를 형성하며, 상기 연장부 (16c)에는 차폐관 (17)이 설치되 된다. 이때, 상기 차폐관 (17)은 그 하단부가 상기 안내관 (14)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기 드레인부 (20)에 이르도톡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차폐부재 (16)와 상기 챔버 (1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배출 구멍 (16d)이 상기 이물질 배출구 (16b)에 연통 되어, 이물질이 상기 배출 구멍 (16d)을 통해 상기 차폐관 (17)과 상기 드레인부 (20) 의 내벽 사이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부 (20)는 하부에 웅축수 출구가 구비된 원통 형상으로 형 성되며, 상기 웅축수 출구를 개폐시키는 드레인 밸브 (26) 및 유량에 따라 승강되어 상기 드레인 밸브를 작동시키는 플로트 (25)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선회류를 이용하여 압축 공기를 건조 및 정화시키게 되며, 안내관과 차폐부재를 이용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건조된 압축공기에 흔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건조 및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 다.
유입구 (13)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는 챔버 (11)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게 되고, 이 와류에 의해 형성되는 원심력에 의해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분 및 이물질이 분리되어 상기 챔버 (11)의 내벽을 따라 홀러내리게 된다. 이후, 이물 질은 상기 챔버 (11)에 설치된 차폐부재 (16)와 챔버 (11)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이물 질 배출구 (16b)와 상기 차폐부재 (16)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 구멍 (16d)을 거쳐 드레 인부 (20)로 홀러내리게 된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 (16)의 연장부 (16c)에 설치된 차 폐관 (17)으로 인해 이물질이 드레인부 (20)의 중앙 측으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 기 드레인부 (20)로 홀러내린 이물질에는 수분이 웅축된 웅축수가 포함되어 있으므 로 응축수와 함께 상기 드레인부 (20)에 포집되며, 웅축수의 양이 일정 이상이 되면 상기 드레인부 (20)의 플로트 (25)가 상승하면서 드레인 밸브 (26)가 드레인 출구를 개방하여 웅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원심력에 의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이 분리되어 건조 및 정화된 압축공기는 와류에 의해 상기 챔버 (11)의 중앙 부분으로 모인 후, 상기 안내관 (14) 과 차폐부재 (16)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통공 (16a)을 통해 상기 차폐부재 (16)의 하부로 유동하며, 상기 안내관 (14)의 하단 부분에서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관 (14)을 거쳐 배출구 (15)로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압축공기 건조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상기 건조 부 (10)의 상측에 상기 건조부 (10)에서 건조된 압축공기를 추가로 건조시킴과 아을 러 그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상기 건조부 (10)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부 (20)로 배출하는 2차 건조부 (30)를 더 설치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차 건조부 (30)는, 중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 (32)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2차 햄버 (31)와, 상기 2차 ¾버(31)에 편심되게 연결되 도록 형성되어 상기 건조부 (10)의 안내관 (14)과 연통되는 2차 유입구 (33)와, 상기 2차 챔버 (31)의 중앙에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 (32)에 삽입되도록 상기 2차 챔버 (31) 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부 (10)의 배출구 (15)에 연통되는 2차 안내관 (34)과, 상기 2차 챔버 (31)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 (16)의 하측에 구비 된 이물질 배출구 (16b)에 연통하도록 형성된 2차 이물질 배출구 (35)를 포함하여 이 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건조부에서 1차 건조된 압축 공기를 2차 건조부에서 추가로 건조 및 정화시킴으로써 건조 효율 및 정화 효율이 더욱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건조부 (10)의 안내관 (14)을 통해 빠져나온 건조된 압축공기는 2차 유입 구 (33)를 통해 2차 챔버 (31)로 유입되어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건조된 압축공기 내 에 남아 있는 수분이나 이물질을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게 된다. 분리된 이물질 은 2차 이물질 배출구 (35)를 통해 상기 이물질 배출구 (16b)로 빠져나가게 되고, 추 가 건조된 압축공기는 2차 안내관 (34)과 배출구 (15)를 거쳐 빠져나가게 된다. 이상에서는 건조부가 하나이거나 건조부를 상하로 배치한 경우를 설명하였으 나,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부 (10) 및 그 하측의 드레인부 (20) 가 복수개 구비되어 병렬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7은 상기 건조부 및 드레인부를 2개씩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건조부 및 드레인부를 3개씩 설 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한 건조부의 배출구 (15)가 다른 건조부의 유입구 (13)에 연결되는 방 식으로 직렬 연결하여 다단 건조가 이루어지도톡 함은 당연하며, 이물질의 분리 및 배출과 건조공기의 유동은 상기한 내용과 대동소이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청구의 범위】
【청구항 1]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배관라인에 설치되고 선회류를 이용하여 압축공기를 건 조시키는 하나 이상의 건조부 (10)와, 상기 건조부 (10)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배출하 는 드레인부 (20)를 포함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10)는,
중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 (12)가 구비된 원통 형상의 챔버
(11)와,
상기 챔버 (11)에 편심되게 연결되도톡 형성되어 상기 챔버 (11)로 유입된 압 축공기가 ¾버(11)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유입구 (13)와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 (12)에 삽입되도록 상기 챔버 (11)의 상단 중앙부에 설 치되어 건조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안내관 (14)과,
상기 안내관 (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압축공기가 유동하는 공기 유통공 (16a)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 (11)의 내벽과의 사이에 수분과 유분을 포함하는 이물 질이 배출되는 이물질 배출구 (16b)가 형성되도록 상기 챔버 (11)의 저면에 설치된 차폐부재 (16)와,
상기 안내관 (14)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배출구 (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 .
【청구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 (16)는, 상기 공기 유통공 (16a)이 형성되는 내주면에서 하향 절곡된 연장부 (16c)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
【청구항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 (14)의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기 드레인부 (20)에 이르도톡 상기 차폐부재 (16)의 연장부 (16c)에 설치된 차폐관 (1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 (16b)에 이어지는 배출 구멍 (16d)이 상기 차폐부재 (16)와 상기 챔버 (11)의 저면 사이에 형성되어 , 이물질이 상기 배출 구멍 (16d)을 통해 상 기 차폐관 (17)과 상기 드레인부 (20)의 내벽 사이로 홀러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 . 【청구항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10)의 상측에 상기 건조부 (10)에서 건조된 압축공기를 추가로 건조시 킴과 아울러 그 과정에서 발생한 이물질을 상기 건조부 (10)의 하부에 구비된 드레인부 (20)로 배출하는 2차 건조부 (30)가 더 구비되고 ,
상기 2차 건조부 (30)는, 중앙 부분에 아래로 요입된 원통형 요입부 (32)가 구 비된 원통 형상의 2차 챔버 (31)와, 상기 2차 챔버 (31)에 편심되게 연결되도록 형성 되어 상기 건조부 (10)의 안내관 (14)과 연통되는 2차 유입구 (33)와, 상기 2차 챔버 (31)의 중앙에 하단부가 상기 요입부 (32)에 삽입되도록 상기 2차 챔버 (31)의 상단 에 설치되며 상기 건조부 ( 10)의 배출구 (15)에 연통되는 2차 안내관 (34)과, 상기 2 차 챔버 (31)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폐부재 (16)의 하측에 구비된 이물 질 배출구 (16b)에 연통하도록 형성 된 2차 이물질 배출구 (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압축공기 건조장치 .
【청구항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 (10) 및 그 하축의 드레인부 (20)가 복수개 구비 되어 병 렬로 설치 되며,
한 건조부의 배출구 (15)가 다른 건조부의 유입구 (13)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직 렬 연결되어 다단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건조장 치 .
PCT/KR2010/003987 2009-08-24 2010-06-21 압축공기 건조장치 WO2011025136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526619A JP2013502322A (ja) 2009-08-24 2010-06-21 圧縮空気乾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005 2009-08-24
KR2020090011005U KR200449957Y1 (ko) 2009-08-24 2009-08-24 압축공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136A2 true WO2011025136A2 (ko) 2011-03-03
WO2011025136A3 WO2011025136A3 (ko) 2011-04-28

Family

ID=43628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987 WO2011025136A2 (ko) 2009-08-24 2010-06-21 압축공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502322A (ko)
KR (1) KR200449957Y1 (ko)
WO (1) WO201102513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165A1 (ja) * 2012-07-04 2014-0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426A (ko) * 1998-08-12 2001-07-31 티파니 알로 ; 카리 케스키바리 ; 크리스티나 코르피 기체상으로부터 고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어셈블리
JP2006043561A (ja) * 2004-08-03 2006-02-16 Tokyo Metro Co Ltd 集塵装置
KR20080078791A (ko) * 2008-07-28 2008-08-28 윤장식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100901741B1 (ko) * 2008-10-24 2009-06-10 김성우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공기 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426A (ko) * 1998-08-12 2001-07-31 티파니 알로 ; 카리 케스키바리 ; 크리스티나 코르피 기체상으로부터 고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방법 및 어셈블리
JP2006043561A (ja) * 2004-08-03 2006-02-16 Tokyo Metro Co Ltd 集塵装置
KR20080078791A (ko) * 2008-07-28 2008-08-28 윤장식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KR100901741B1 (ko) * 2008-10-24 2009-06-10 김성우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공기 건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165A1 (ja) * 2012-07-04 2014-01-0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オイルセパレータ
JP2014013013A (ja) * 2012-07-04 2014-01-23 Aisin Seiki Co Ltd オイルセパレータ
US9598991B2 (en) 2012-07-04 2017-03-2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Oi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2322A (ja) 2013-01-24
KR200449957Y1 (ko) 2010-08-25
WO2011025136A3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67B1 (ko) 원심 임펠러를 이용한 압축 기체 정화 장치
RU257659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картерных газов
CN205055497U (zh) 一种脱水装置及使用该装置的净油机
CN206229075U (zh) 气液分离器
WO2011025136A2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CN106032473A (zh) 高频电聚结式高效油气水三相分离器
KR20080078791A (ko)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CN201098214Y (zh) 一种组合式抽吸机
CN116536088A (zh) 天然气快速过滤净化箱及方法
CN214764329U (zh) 一种立式气液分离器
CN201735297U (zh) 一种高效旋流循环油烟净化分离装置
KR20110001217U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RU2567309C1 (ru) Сепаратор - депульсатор
CN203886316U (zh) 一种气体净化设备
CN208599400U (zh) 压缩空气净化装置
CN202398178U (zh) 一种矿用全自动在线水处理器
KR200462596Y1 (ko) 압축공기 건조장치
CN210751857U (zh) 一种用于废气处理的高效除雾器
CN113025376A (zh) 油水分离装置及油水分离方法
CN200981826Y (zh) 离心式净油机
KR20050116359A (ko) 라비린스 효과를 이용한 원심형식의 압축 기체 정화 장치
CN213995330U (zh) 一种真空节能流体排污系统
CN209906394U (zh) 一种简易超声波式油水分离器
CN204474600U (zh) 一种用于油气水三相分离器的在线排污装置
CN203561229U (zh) 一种冷凝器的液体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121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26619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1215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