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42442A2 -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 Google Patents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42442A2
WO2009142442A2 PCT/KR2009/002670 KR2009002670W WO2009142442A2 WO 2009142442 A2 WO2009142442 A2 WO 2009142442A2 KR 2009002670 W KR2009002670 W KR 2009002670W WO 2009142442 A2 WO2009142442 A2 WO 200914244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ole
knee
shoe
pers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26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42442A3 (ko
Inventor
박훈
박해수
Original Assignee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800472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9051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9004237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98426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인투스에이치씨앤 filed Critical (주)인투스에이치씨앤
Priority to JP201151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1520548A/ja
Priority to DE112009001270T priority patent/DE112009001270T5/de
Priority to CN200980118246.6A priority patent/CN102036577B/zh
Priority to US12/993,423 priority patent/US20110061268A1/en
Publication of WO200914244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442A2/ko
Publication of WO200914244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44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e having an inclined surface and a knee joint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an insole having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abnormal leg alignment is corrected while the foot is inclined or slipped inward or outward by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ole and the same. It relates to the knee joint including.
  • the knee joint is a part that balances the weight of the body to be supported by four feet so that it can stand without falling down. Therefore, the knee joint is moving little by little to balance the body even when we are not aware of it.
  • the center of weight should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 the center of weight does not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so a large load is continuously applied as part of the knee joint. Because of this, the knee joint is one of the areas where the degenerative change occurs with age.
  • incorrect walking habits result in abnormal lower extremity skeletal alignment, which causes large loads to continue to act as part of the knee joint.
  •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may cause symptoms such as knee pain when standing up, trembling knees when standing, sound when bending or spreading knees, or gaping between one or more fists in a standing position. .
  • it is a disease that can be suspected when symptoms such as pain is particularly severe when going down the stairs, or pain that occurs after walking for more than two days to three days.
  • arthritis The goal of treating arthritis is to reduce pain and increase joint flexibility. Most arthritis cannot be cured. For milder symptoms, pain and stiffness can be alleviated with constant physical therapy, medication, or weight loss. However, patients with severe arthritis can reduce pain through surgery or restore joint function through reconstruction. However, such an operation i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cumbersome, so it is often im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ight lower limb alignment of the "O" shaped knee
  •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ight lower limb alignment of the "X" shaped knee.
  • the mechanical axis 50 is the femoral head center.
  • (3) show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head (5)
  • the bending axis 70 means a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3) and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7).
  • Genu Varum commonly referred to as an "O" shaped knee
  • Genu Valgum which is referred to as an "X" knee
  • Genu Valgum refers to a leg that is bent out of the knee joint when standing with both legs together when the bending axis 70 is inclined inward of the mechanical axis 50.
  • Abnormal lower extremity skeletal alignment such as "O” and "X” knees, may be caused by congenital or acquired factors, causing load to concentrate on one part of the knee joint, resulting in degenerative knee arthritis or worn out knee joints. happens.
  • shoes are formed so that the foot is inclined inward during walking.
  • FIG. 3 is a rear view of a shoe worn by a person with a conventional abnormal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or a person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 FIG. 3 when the foot is walking on the ground 500 wearing the shoe 10 by forming the shoe 10 including the sole 14 and the upper 12 formed such that the foot is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shoe.
  • the legs and legs themselves wer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shoe and the rotation of the knees was moved inward to correct abnormal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or to treat degenerative knee arthritis.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ole and a knee joint comprising the inclined surface is corrected abnormal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as the foot is inclined or slipped inward or outward b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sole. Its purpose is.
  • the sole h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by including an upper member and a lower member partitioned by an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achieved by soles.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is formed in parallel. And in the inclined structure, the hardness of the upper member is smaller than the hardness of the lower member.
  • the inclined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forming member for inducing shear deforma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 the deformable member is provided at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both front and rear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 the inclined structure is an arcuate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ch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uman sole.
  •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 becomes larger as the inclined structure goes from the longitudinal front to the rear of the shoe.
  • the lowes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for wearing by a person having an O-shaped knee is formed inside the sole.
  •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for wearing by a person having an X-shaped knee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ole.
  • the inclined structure is formed by inclining the inner side of the sole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in the outer side direction or the outer side in the inner side direction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sole in the width direction is in the inverted trapezoidal shape, and the inclined angle is in the range of 0 ° ⁇ 60 °. It is formed in the side edge in which the lowest part of the inclined surface was formed among the inner side or outer side of a sole.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kne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aforementioned outsole.
  • the knee joint is formed including an insol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sol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incorporating an insole, wherein the insole can be achieved by a knee joi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the aforementioned inclin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by uniformly distributing the load applied to a part of the knee to alleviate the pain of degenerative knee arthrit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knee arthritis in advance.
  • Figure 1 is a right lower limb alignment front view of the "O" knee.
  • Figure 2 is a right lower limb alignment front view of an "X" shaped knee.
  • FIG. 3 is a rear view of a shoe that is worn by a person having a conventional abnormal leg alignment skeleton or a person with degenerative knee osteoarthritis.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s a first embodiment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of the second embodiment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rear view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s a second embodiment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rear view of the shoe produced in the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wears and walks the shoe illustrated in FIG. 7.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for wear of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bottom view of the sole for ignition of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left side view of FIG. 10;
  • FIG. 1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0;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memb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bottom view of the sole for ignition of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left side view of FIG. 15;
  • FIG. 17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5;
  • 1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15;
  • 21 is a left side view of the sol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manufactured by the six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manufactured by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2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knee joint comprising a insole in accordance with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knee joint shoe including the insole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ner varnish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leg that is bent outwardly in an "O" shape without the knees sticking to each other when the two legs are put together,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n "O" shaped knee.
  • the valgus is referred to as a leg bent out of the knee joint when standing with both legs together, generally referred to as "X" knee.
  •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 who has a congenital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or an acquired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is "O" shaped and a person having pain in the inner knee. It includes everything.
  • a person with an "X" shaped knee includes both a person with a congenital lower extremity skeletal alignment or an acquired variant with an "X" shaped lower extremity skeletal alignment and a person with pain outside the knee.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in a first embodim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le 120 of the shoe 100 including the sole 120 and the upper 110 has an upper member 122 and a lower member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123a part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 124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shoe 100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lower limb skeleton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 100 to manufacture the sole 120 of the inclined structure.
  • the upper surface (100c) and the bottom surface (100d) of the sole 120 is formed in parallel.
  • the lower member 12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hardness (hardness) than the upper member 122.
  • the sole 12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formed inside the sole 120 so that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may wear. That is, when walking in the shoe 100 provided with the sole 120, since the hardness of the upper member 122 is smaller than the hardness of the lower member 124, the inner side of the upper member 122 formed the lowes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The deformation amount is larger than the outer deformation amount of the upper member 122. As a result, the foot is naturally inclined to the sole 120. If you continue to walk wearing shoes 100 in this way as the foot is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sole 120 "O" shaped knee is to be corrected.
  • the sole 12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lowes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ole 120 so that a person having an “X” shaped knee can wear it.
  • the outer deformation amount of the upper member 122 having the lowes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larger than the inner deformation amount. That is, a person having an "X" shaped knee wears the shoe 100 provided with the sole 120 and walks naturally while the foot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sole 120 so that the "X” shaped knee is corrected.
  • the load concentrated outside the knee is distributed throughout the knee to prevent degenerative knee arthritis and to alleviate the symptoms.
  • FIG. 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 which is the second embodiment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sole 120 has a top surface 100c and a bottom surface 100d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shear deformation is performed along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between the upper member 122 and the lower member 124.
  • Inducing deformation member 123 is installed to form an inclined structure.
  • the deforming member 123 is formed at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urfaces (123a, 123b) for partitioning the upper member 122 and the lower member 124.
  •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member 123 is induced in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120, so that the upper member 122 is inclined to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 the sliding of the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which was abnormally deformed, is normally corrected by causing a moment to act inward or outward on the foot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 100.
  • the deformable member 123 is a gel-type synthetic resin, rubber, silicone, yttylene vinyl acetate (EVA: Ethylene Vinyle Acetate), polyurethane (PU: PolyUrethane) that is flexi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member 122 It is made of chloroprene rubber (CR: Chloroprene Ruber, neoprene (Neoprene)) and the like so that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member 123 can occur well in the inclined surface (123a) direction.
  • EVA Ethylene Vinyle Acetate
  • PU PolyUrethane
  • FIG. 6 is a rear view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s a second embodiment ma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formable member 123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member 122 can slide into the inner side of the sole 120 so that people with “O” shaped knees can wear.
  • the upper surface (100c) and the bottom surface (100d) of the sole 120 is parallel.
  • the upper member 122 is deformed flexibly with the pressing force from above.
  • the inner side of the sole 120 is slid by the deforming member 123.
  • the upper member 122 and the deforming member 123 represented by the imaginary line are deformed as indicated by the solid line.
  • a foot 600 of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is caused to be deformed by the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member 123 to generate an abduction moment for sliding the shin to the outside of the body.
  • the left and right knees of a person who has an "O" shaped knee are corrected to the "
  • the load concentrated inside the knee can be distributed throughout the knee to prevent degenerative knee arthritis and to alleviate the symptoms.
  • the deformable member 123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the upper member 122 can slide outward of the sole 120 so that people with an "X" shaped knee can wear it.
  • the upper member 122 is deformed to be deformed flexibly with the pressing force from above.
  • the member 123 is slid out of the sole 120.
  • the foot 600 of the person having an "X" -shaped knee is caused by a deformation of the deformable member 123 to generate an adduction moment for sliding the shin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body while sliding out of the sole 120.
  • FIG. 7 is a rear view of a sho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wears and walks the shoe illustrated in FIG. 7.
  • the sole 120 has an inner side 100a of the sole 120 in an outer side 100b direction or an outer side 100b such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 the inclined structure is inclined by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ide 100a.
  •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at which the lowest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are formed on the sole 120 at 0 ° ⁇ ⁇ 60 °.
  • the sole 120 including the upper member 122, the deforming member 123, and the lower member 124 has an inner side 100a when the shoe 100 is placed on the ground 500.
  •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wears a shoe having a sole 120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sole 120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by inclining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100b. Allow them to ignite.
  • the widthwise cross section of the sole 120 is in trapezoidal form.
  • the inclination angle ⁇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O” shaped knee.
  • the sole 120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angle ⁇ is about 15 °.
  • the weights of the upper member 122 and the lower member 124 are inclined. Since the center does not coincide, the upper member 122 is easily deformed while sliding inwardly of the sole 120 in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of the deforming member 123.
  • the sole 120 including the upper member 122, the deforming member 123, and the lower member 124 has an outer side 100b when the shoe 100 is placed on the ground 500.
  • the shoe 100 having the sole 120 having the sole 120 formed at the outer side of the sole 120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123a is inclined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100a. Allow people to ignite.
  • the inclination angle ⁇ is in a range of 0 ° ⁇ ⁇ 60 °, and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ole 120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 the inclination angle ⁇ exceeds 60 °, the change to the outside of the sole 120 becomes so severe that the inclination angle ⁇ does not exceed 60 °.
  • the outer side 100b of the sole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100a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pper member 122 and the lower member 124 is centered.
  • the upper member 122 is deformed while the upper member 122 is easily slipped out of the sole 120 in the inclined surfaces 123a and 123b of the deforming member 123.
  • Sole 120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rrect the abnormal lower extremity skeletal alignment normally to evenly distribute the load intensively applied to one part of the knee joint, which is generated when the load is intensively applied to one part of the knee joint It can prevent degenerative knee arthritis and relieve pain.
  • the same inclination angle ⁇ as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to form the sole 120 having a cross-sectional inverted shape.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ole for the wearer of the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wearer of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is a left side view of FIG. 10
  • FIG. 1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0.
  • the sole 3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upper member 322, lower member 324, upper member 322 and lower member 324 It consists of a deforming member 323 is provided.
  • the sole 320 has an arch-shaped dom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n arch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ole of a person on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320. Is formed.
  • Such an arched dome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enter of the shoe, preferably the sole of the pers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0, and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member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er member 32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verall bottom surface parallel to the ground, and the upper surface is arch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ole 320. Is done.
  • inclined surfaces 323a and 323b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inner side or the out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higher than the other side.
  • Such inclined surfaces 323a and 323b are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323a and 323b having a high inner side or an outer side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lower limbs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s.
  • the outer side The height of H 2 is formed to be 1.5cm to 2cm.
  • the direction and height of the inclined surfaces 323a and 323b may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the skeletal alignment state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 or the degree of pain in the knee.
  • the material of the lower member 32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hardness (hardness) than the material of the upper member 322.
  •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323b of the lower member 324 is manufactured to be formed inside the sole 320 so that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may wear. do. That is, when walking in the shoe provided with such a sole 320, since the overall hardness of the upper member 322 is less than the hardness of the lower member 324, the innermost of the sole 320 formed the lowest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323a, 323b) The deformation amount is greater than the outer deformation amount so that the wearer's foot naturally inclines to the inside of the sole 320. As such, when the shoe is continuously worn with the sole 3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 -shaped knee is corrected while the knee and the foot are inclined to the inside of the body.
  •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323b of the lower member 324 is manufactured to be formed outside the sole 320.
  • the foot of the wearer is inclined to the outside of the sole 320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sole 320 for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
  • Deformation member 323 generates the shear deformat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s (323a, 323b).
  • the deforming member 323 is formed at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urfaces (323a, 323b) for partitioning the upper member 322 and the lower member 324. That is, the deformation member 323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s 323a and 323b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ole 320, so that the moment acts inward or outward of the foot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
  • the lower limb skeletal alignment should be corrected more smoothly.
  • the material of the deformable member 323 is a gel-type synthetic resin, rubber, silicone, ethylene vinyl acetate, polyurethane, chloroprene rubber and the like.
  • the sole 3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n inner side of the sole 320 in the outer side direction or the outer side in the inner side direction so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as shown in FIG. 13 for more smooth correction. It inclines by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
  • the inclination angle ⁇ is preferably inclined to 0 ° to 60 °. This inclination angle ⁇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knee and the pain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s. However, the preferred inclination angle ⁇ is preferably 10 ° to 20 °. If the inclination angle exceeds 60 °, since the change of the sole 320 becomes too severe, the inclination angle ⁇ should not exceed 60 °.
  •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pper member 322 and the lower member 324 is increased.
  • the “O” shaped knee is corrected because the sole 320 slips into the body more easily due to shear deformation of the deforming member 323.
  • the out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as opposed to FIG.
  • the "X" shaped knee is corrected because the center slides out of the body when walking.
  • FIG. 15 is a bottom view of the sole for the wearer of the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6 is a left side view of FIG.
  • FIG. 17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5.
  • the sole 4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upper member 422, lower member 424, upper member 422 and lower member 424 It consists of a deforming member 423 provided.
  • FIG. 1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5,
  • FIG. 1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5, and
  • FIG. 2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 the sole 4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upper member 422 and the lower member 424 formed by the deforming member 423 part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including.
  • the sole 420 of the inclined structure is manufactured by forming the deforming member 423 to slide inward or outward of the shoe according to the alignment of the lower limbs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
  •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ole 420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42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member 424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lower member 42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hardness than the upper member 422.
  • the sole 42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bottom of the deformable member 423 is formed inside the sole 420 so that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can wear. That is, when walking with shoes provided with the sole 420, the inner deformation of the upper member 422 formed with the lowest part of the deformable member 423 because the hardness of the upper member 42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member 424. The foot is naturally incl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sole 420 by being larger than the outer deformation amount of the upper member 422.
  • the outer side has the height H 4 formed to be 1.5cm to 2cm. If the shoe is continuously walking in this way, the foot is inclined to the inner side of the sole 420, and the "O" shaped knee is corrected.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the knee correction may be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of the inclined surfaces (423a, 423b) increases from the longitudinal front to the rear of the shoe.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e inclination of the anterior side may be changed more large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knee flexion and the degree of knee pain of the igniter.
  • the sole 420 is manufactured so that the lowest part of the deforming member 423 is formed outside.
  • the wearer's foot slips outward of the sole 420 on the same principle as the sole 420 for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do.
  • the deforming member 42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member 422 and the lower member 424 to generate shear deformat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deforming member 423.
  • the deformable member 423 is provided in the remaining portion except for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front and rear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The reason why the deformable member 423 is provided at portions except for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both front and rear ends is to reduce ankle or knee burden caused as the foot is inclined inward or outward as a whole.
  • the deforming member 423 is formed with the same slope as the inclined surface (423a, 423b) for partitioning the upper member 422 and the lower member 424, respectively 5% to 15 from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e It is provided in the center area except for%. That is, the moment acts on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foot of the person who wears the shoe while sliding in the inclined direction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ole 420 so that the lower back skeletal alignment, which has been abnormally deformed, is smoothly and smoothly corrected. . In addition, since the sliding portion in the inclined direction is hel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hoe, the burden on the ankle and knee is reduced.
  • the material of the deformable member 423 is a synthetic resin in the form of gel, rubber, silicone, ethylene vinyl acetate, polyurethane, chloroprene rubber and the like.
  • the sole 4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an inner side of the sole 420 in an outer side or an outer side in such a manner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ha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It inclines by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alpha) in the side direction.
  • the inclination angle ⁇ is preferably inclined to 0 ° to 60 °. This inclination angle ⁇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knee and the pain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s.
  • the preferred inclination angle ⁇ is preferably 10 ° to 20 °. If the inclination angle exceeds 60 °, since the change of the sole 420 becomes too severe, the inclination angle ⁇ may not exceed 60 °.
  •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so that the upper member 422 and the lower member 424 may be inclined. Since the center of gravity does not coincide and the sole 420 slides more easily to the inside of the body by the shear deformation of the deforming member 423, the “O” shaped knee is corrected.
  • the outer side is formed to be inclined by the inclination angle ⁇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as opposed to FIGS. 18 to 20.
  • the "X" shaped knee is corrected because the center slides out of the body when walking.
  • Figure 21 shows a left side view of the sole according to a variant of the invention.
  • the deformable members 323 and 423 of the soles 320 and 4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only in the arch shape of the sole of the person's foot, the overall shape of the shoe, but also in the deformed state of the knee wearer's health state You can change it accordingly.
  • the sole 12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general shoe, preferably the sole of the knee joint, using various adhesives or sewing methods. Let's do it. By walking in these shoes, the "O" -shaped knee or "X" -shaped knee can be corrected to the "II" shape without any procedure.
  • Kne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insoles 250, 750, 850.
  • the configuration of such insole 250, 750, 850 is as follows.
  •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manufactured by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250 is part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hoe 200 in which the sole 220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upper 210 and the insole 25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210. It is formed including the upper member 252 and the lower member 254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253a. That is, the insole 250 is formed in the same inclined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 FIG. 22 shows a cross section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bu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253a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shoe 200 to have a “O” shaped knee or “X”. "People having a knee knee is installed on the shoe 200 to wear. In addition, it is manufactured by varying the hardness of the upper member 252 and the lower member 254 as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sole 220 may use a general sole, or all of the soles 120, 320, 420, 720, and 82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hoe manufactured by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250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upper member 252 and the lower member 254 with a deforming member 253 inducing shear deforma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s 253a and 253b. . That is, the insole 250 is formed in the same inclined structure a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FIG. 23 shows a cross section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bu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s 253a and 253b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shoe 200 to have a “O” shaped knee or A person having an "X" shaped knee installs in the shoe 200 and wears it.
  • the sole 220 may use a general sole, or all of the soles 120, 320, 420, 720, and 82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250 has the inner side 200a of the insole 250 in the outer side 200b or the outer side 200b of the insole 200a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insole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inverted. It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in the () direction. At this time, the range of the inclination angle ⁇ is formed at the side surface at which the lowest portions of the inclined surfaces 253a and 253b are formed at 0 ° ⁇ ⁇ 60 °.
  • the insole 250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including the inclination angle ⁇ as in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 FIG. 24 shows a cross section of a shoe worn by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bu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s 253a and 523b is formed inside or outside the shoe 200 to have a person having an “O” shaped knee or FIG.
  • a person having an "X" shaped knee installs in the shoe 200 and wears it.
  • the sole 220 may use a general sole, or all of the soles 120, 320, 420, 720, and 820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250 having a cross-sectional inverted trapezoidal shape can be formed.
  • the insole 75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clined surface between the upper member 752, the lower member 754, the upper member 752 and the lower member 754 formed by the inclined surface divided in the width direction ( Deformation members 753 that induce shear deformation are provided along 753a and 753b. That is, the insole 750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ed structure as that of the soles 320 and 4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fifth embodiment.
  •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insole 750 is varied in consideration of the knee state, the degree of pain, etc. of the person wearing the same as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soles 320 and 420 according to the fourth or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 the insole 750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clined structure as the sole, and when the shoe 700 is ignit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correcting and preventing the symptoms of degenerative knee arthritis.
  • the sole 720 of the shoe 70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may use a general sole or both soles 320 and 420 according to the first or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eral 710 which is not described, indicates the upper of the shoe.
  • Figure 2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knee joint comprising an insole in accordance with a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sole 850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member 852 formed by an inclined surface partitione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insole 850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 the deformation member 853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member 854, the upper member 852, and the lower member 854 to induce shear deformation along the inclined surfaces 853a and 853b.
  • the inner side of the insole 850 is formed in an inclined structure inclined by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in the outer side direction or the outer side side direction so that the cross s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becomes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 the inclination angle ⁇ may be inclined at 0 ° to 60 ° to be equal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ole 32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r the sole 42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 This inclination angle ⁇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knee and the state of pain of the person wearing the shoe (800).
  • the preferred inclination angle ⁇ is preferably 10 ° to 20 °. If the inclination angle exceeds 60 °, since the change of the insole 850 becomes too severe, the inclination angle ⁇ may not exceed 60 °.
  • the sole 820 of the shoe 800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may use a general sole, or both soles 320 and 420 according to the first or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 numeral 810 which is not described, indicates the upper of the sho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밑창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발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비정상적인 하지골격 정렬이 교정되고, 무릎관절에 편향되게 가해지는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예방 및 통증완화를 위한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발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에 있어서, 밑창은 상면과 저면이 평행하게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구획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사구조이고,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사이에 경사방향으로 전단변형을 발생시키는 변형부재가 신발의 길이방향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을 구현하였다.

Description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본 발명은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밑창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발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이 교정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에 관한 것이다.
무릎관절은 인간이 네 발로 지탱해야 할 몸의 무게를 두 발로 지탱하여 쓰러지지 않고 서 있을 수 있도록 균형을 잡아 주는 부위이다. 그러므로 무릎관절은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순간에도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조금씩 움직이고 있다.
이때, 가장 이상적으로는 몸무게의 중심이 무릎관절의 중심을 지나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은 몸무게의 중심이 무릎관절의 중심을 지나지 않아 무릎관절의 한 부분으로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무릎관절은 나이가 들면서 퇴행성 변화가 가장 잘 발생하는 부위 중 하나이다. 또한, 잘못된 보행 습관으로 인해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무릎관절의 한 부분으로 큰 하중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퇴행성 무릎 관절염은 일어서려고 하면 무릎이 아프거나, 서 있을 때 무릎이 부들부들 떨리거나, 무릎을 굽히거나 펼 때 소리가 난다거나, 바르게 선 자세에서 무릎 사이에 주먹이 하나 이상 들어갈 정도로 벌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계단을 내려갈 때 통증이 특히 심하거나, 걷고 난 후에 생긴 통증이 2일 내지 3일 이상 지속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의심해 볼 수 있는 질환이다.
관절염의 치료 목표는 통증경감과 관절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것인데 대부분의 관절염은 완치가 불가능하다. 경미한 증상인 경우에는 지속적인 물리치료, 약물요법 또는 체중감소 등을 통해 통증 및 뻣뻣한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러나 증상이 심한 관절염 환자는 수술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키거나 재건술을 통해 관절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수술은 비용이 많이들 뿐만 아니라 번거롭기 때문에 수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O"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X"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 정렬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1)과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9)에서 기계적 축(50)은 대퇴골두 중심(3)에서 거골두 중심(5)을 연결한 선을 나타내고, 휨 축(70)은 대퇴골두 중심(3)과 무릎관절 중심(7)을 연결한 선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O"자형 무릎이라고 말하는 내반슬(Genu Varum)은 휨 축(70)이 기계적 축(50)의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로 두 다리를 한 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서로 붙지 않고 "O"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다리를 일컫는다. "X"자형 무릎이라고 말하는 외반슬(Genu Valgum)은 휨 축(70)이 기계적 축(50)의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우로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관절에서 밖으로 굴곡된 상태의 다리를 일컫는다. 휨 축(70)과 기계적 축(50) 사이의 경사각(β)의 값이 클수록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의 정도가 심한 것이다.
이러한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 같이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은 선천적인 요인 혹은 후천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여 무릎관절의 한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 발생하거나 무릎관절이 닳아 없어지는 일이 발생한다.
이렇듯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고통을 완화, 예방하고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교정하기 위해서 보행시 발이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신발을 이용한다.
도 3은 종래의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갖는 사람 또는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 있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배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이 신발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 밑창(14)과 갑피(12)가 포함된 신발(10)을 형성하여 신발(10)을 신고 지면(500)을 보행하였을 때 발과 다리 자체가 신발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무릎을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력을 유발하는 방법으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을 교정하거나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치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신발(10)을 신고 보행을 하면, 밑창(14)의 기울어짐으로 인하여 발이 내측으로 과도하게 미끄러지기 때문에 발목과 무릎 관절에 과도한 전단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발이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다리에 과다한 힘을 주게 되면 발의 안쪽 부위와 무릎에 강한 하중이 작용하여 퇴행성 무릎 관절염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밑창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발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지면서 비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이 교정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구획된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사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부재의 상면과 상기 하부부재의 저면이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구조는 상부부재의 경도가 하부부재의 경도보다 작다.
또한, 경사구조는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사이에 경사면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도하는 변형부재가 더 설치된다. 이때, 변형부재는 신발의 길이방향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구비된다.
또한, 경사구조는 사람 발바닥 중심부에 형성된 아치부에 대응되는 아치형의 형상이다.
또한, 경사구조는 신발의 길이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면의 경사가 커진다.
전술한 경사구조는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용을 위해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의 최저부가 상기 밑창의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경사구조는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용을 위해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의 최저부가 상기 밑창의 외측에 형성된다.
또한, 경사구조는 밑창의 폭방향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밑창의 내측변이 외측변방향 또는 외측변이 내측변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만큼 기울어져 형성되고, 경사각은 0°< α ≤60°범위로 밑창의 내측변 또는 외측변 중 경사면의 최저부가 형성된 측변에 형성된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밑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무릎관절화는 밑창의 경사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깔창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 다른 카테고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깔창이 포함된 신발에 있어서, 깔창은, 전술한 경사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화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릎의 일부분에 편향되게 가해지던 하중을 균일하게 분산시켜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통증을 완화하고, 무릎 관절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적인 하지 골격 정렬에서 벗어난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경우에는 다리 형태에 맞는 밑창을 선택하고, 이를 적용한 신발 착화가 가능하여 잘못된 다리의 정렬을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잘못된 다리 형태가 교정되면서 바른 보행자세와 올바른 신체 구조가 확립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O"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정렬 정면도.
도 2는 "X"자형 무릎의 오른쪽 하지정렬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비정상적인 하지정렬 골격을 갖는 사람들 또는 퇴행성 무릎관절염이 있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1실시예로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2실시예인 밑창의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2실시예로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 3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배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발을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여 보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저면도,
도 11은 도 10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
도 13은 도 10의 A-A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제 5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저면도,
도 16은 도 15의 좌측면도,
도 17은 도 15의 우측면도,
도 18은 도 15의 B-B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C-C 단면도,
도 20은 도 15의 D-D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밑창의 좌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6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7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8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깔창을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의 종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깔창을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창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
3 : 대퇴골두 중심
5 : 거골두 중심
7 : 무릎관절 중심
9 :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하지 정렬
10 : 종래의 신발
12 : 종래 신발의 갑피
14 : 종래 신발의 밑창
50 : 기계적 축
70 : 휨 축
100, 200, 700, 800 : 신발
100a, 200a : 내측변
100b, 200b : 외측변
100c : 상면
100d : 저면
110, 210, 710, 810 : 갑피
120, 220, 320, 420, 720, 820 : 밑창
122, 322, 422 : 상부부재
123, 323, 423 : 변형부재
123a, 123b, 323a, 323b, 423a, 423b : 경사면
124, 324, 424 : 하부부재
250, 750, 850 : 깔창
252, 752, 852 : 깔창의 상부부재
253, 753, 853 : 깔창의 변형부재
253a,253b, 753a, 753b, 853a, 853b : 깔창의 경사면
254, 754, 854 : 깔창의 하부부재
500 : 지면
600 : 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내반슬은 두 다리를 한 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이 서로 붙지 않고 "O"자 모양으로 바깥으로 구부러진 다리를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O"자형 무릎이라 한다. 또한, 외반슬은 두 다리를 한데 모으고 섰을 때, 무릎관절에서 밖으로 굴곡된 상태의 다리를 일컫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X"자형 무릎이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은 선천적으로 하지 골격 정렬이 "O"자형이거나 후천적으로 하지 골격 정렬이 "O"자형으로 변형된 사람과 무릎 내측에 통증이 있는 사람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은 선천적으로 하지 골격 정렬이 "X"자형이거나 후천적으로 하지 골격 정렬이 "X"자형으로 변형된 사람과 무릎 외측에 통증이 있는 사람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밑창의 구성>
(제 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1실시예로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20)과 갑피(110)를 포함한 신발(100)의 밑창(120)은 폭방향으로 구획된 경사면(123a)에 의해 형성된 상부부재(122)와 하부부재(124)를 포함하여 경사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신발(100)을 착화하는 사람의 하지골격 정렬에 따라 신발(1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경사면(123a)을 형성하여 경사구조의 밑창(120)을 제작한다.
이때 밑창(120)의 상면(100c)과 저면(100d)은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부재(124)는 상부부재(122) 보다 경도(단단한 정도)가 큰 재질로 제작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23a)의 최저부가 밑창(120)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밑창(120)을 제작하여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100)을 신고 보행하면 상부부재(122)의 경도가 하부부재(124)의 경도보다 작기 때문에 경사면(123a)의 최저부가 형성된 상부부재(122)의 내측 변형량이 상부부재(122)의 외측 변형량보다 크게 된다. 이로 인해 발이 자연스럽게 밑창(12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듯 지속적으로 신발(100)을 신고 보행하면 밑창(120)의 내측으로 발이 기울면서 "O"자형 무릎이 교정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경사면(123a)의 최저부가 밑창(12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밑창(120)을 제작하여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서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부부재(122)의 경도가 하부부재(124)의 경도보다 작기 때문에 경사면(123a)의 최저부가 형성된 상부부재(122)의 외측 변형량이 내측 변형량에 비해 크게 된다. 즉,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100)을 착화하고 보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밑창(120)의 외측으로 발이 기울어지게 되어 "X"자형 무릎이 교정되게 된다. 또한 무릎 외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2실시예인 밑창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20)은 상면(100c)과 저면(100d)이 평행하고, 상부부재(122)와 하부부재(124) 사이에는 경사면(123a, 123b)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도하는 변형부재(123)가 설치되어 경사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변형부재(123)는 상부부재(122)와 하부부재(124)를 구획하는 경사면(123a, 123b)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된다. 즉, 밑창(12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부재(123)의 전단변형이 경사면(123a, 123b) 방향으로 유발되고, 이로 인해 상부부재(122)가 경사면(123a, 123b)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신발(100)을 신은 사람의 발에 내측 또는 외측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던 하지골격 정렬이 정상적으로 교정된다. 이때 변형부재(123)는 상부부재(122)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되는 겔 형태의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이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 Ethylene Vinyle Acetate), 폴리우레탄(PU : PolyUrethane), 클로로프렌 고무(CR : Chloroprene Ruber, 네오프렌(Neoprene)) 등으로 제작되어 변형부재(123)의 전단변형이 경사면(123a) 방향으로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2실시예로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배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재(123)는 상부부재(122)가 밑창(120)의 내측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들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밑창(120)의 상면(100c)과 저면(100d)은 평행하다.
즉,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100)을 신고 지면(500)을 보행하게 되면 상부부재(122)는 위에서 누르는 힘과 유연하게 변형되는 변형부재(123)에 의해 밑창(120)의 내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가상선으로 표시된 상부부재(122)와 변형부재(123)는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다.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발(600)은 변형부재(123)의 변형에 의해 밑창(120)의 내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정강이를 몸의 바깥쪽으로 회전시키는 외전모멘트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좌·우 무릎은 그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자형 무릎으로 교정되게 된다. 또한 무릎 내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변형부재(123)는 상부부재(122)가 밑창(120)의 외측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들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X"자형 다리인 사람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100)을 신고 지면(500)을 보행하게 되면 상부부재(122)는 위에서 누르는 힘과 유연하게 변형되는 변형부재(123)에 의해 밑창(12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발(600)은 변형부재(123)의 변형에 의해 밑창(12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정강이를 몸의 안쪽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내전모멘트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좌·우 무릎은 그 사이 간격이 넓어지면서 "||"자형 무릎으로 교정되게 된다. 또한 무릎 외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 3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배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신발을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여 보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20)은 폭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밑창(120)의 내측변(100a)이 외측변(100b)방향 또는 외측변(100b)이 내측변(100a)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져 경사구조가 형성된다. 이때 경사각(α)의 범위는 0°< α ≤60°로 밑창(120)에서 경사면(123a, 123b)의 최저부가 형성된 측변에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22)와 변형부재(123) 및 하부부재(124)로 이루어진 밑창(120)은 지면(500)에 신발(100)을 놓았을 때 내측변(100a)이 외측변(100b)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어져 경사면(123a, 123b)의 최저부가 밑창(120)의 내측에 형성된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을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밑창(120)의 폭방향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태이다. 경사각(α)은 "O"자형 무릎의 휘어짐의 정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경사각(α)이 60°를 초과하면 밑창(120)의 내측으로의 변화가 너무 심해지기 때문에 경사각(α)은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경사각(α)이 약 15°가 되도록 밑창(120)을 형성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120)의 내측변(100a)은 외측변(100b)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부재(122)와 하부부재(124)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상부부재(122)가 변형부재(123)의 경사면(123a, 123b) 방향으로 쉽게 밑창(120)의 내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변형되게 된다.
즉, 상부부재(122)가 변형부재(123)의 경사면(123a, 123b)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발(600)이 밑창(120)의 내측으로 미끄러져 비정상적인 하지골격 정렬이 교정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상부부재(122)와 변형부재(123) 및 하부부재(124)로 이루어진 밑창(120)은 지면(500)에 신발(100)을 놓았을 때 외측변(100b)이 내측변(100a)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져 경사면(123a)의 최저부가 밑창(120)의 외측에 형성된 밑창(120)이 구비된 신발(100)을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경사각(α)의 범위는 0°< α ≤ 60°이고, 밑창(120)의 폭방향 단면은 역사다리꼴 형태이다. 경사각(α)이 60°를 초과하면 밑창(120)의 외측으로의 변화가 너무 심해지기 때문에 경사각(α)은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반대로 밑창(120)의 외측변(100b)은 내측변(100a)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부재(122)와 하부부재(124)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상부부재(122)가 변형부재(123)의 경사면(123a, 123b) 방향으로 쉽게 밑창(12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면서 변형되게 된다.
즉, 상부부재(122)가 변형부재(123)의 경사면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발(600)이 밑창(120)의 외측으로 미끄러져 비정상적인 하지골격 정렬이 교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밑창(120)은 비정상적인 하지골격 정렬을 정상적으로 교정하여 무릎관절의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무릎관절의 한 부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면서 발생되는 퇴행성 무릎관절염을 예방하고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와 같은 경사각(α)을 제 1실시예에 적용하여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인 밑창(12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저면도, 도 11은 도 10의 좌측면도, 도 12는 도 10의 우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은 상부부재(322), 하부부재(324), 상부부재(322)와 하부부재(324)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32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은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창(320)의 저면 일측에 사람의 발바닥의 중심부에 형성된 아치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아치형 돔이 형성된다. 이러한 아치형 돔은 신발의 중심 일측, 바람직하게는 사람의 발바닥에 형성된 아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도 13은 도 10의 A-A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제 4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하부부재(324)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저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상부면은 밑창(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는 내측 또는 외측 중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경사면(323a, 323b)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323a, 323b)은 신발을 착화하는 사람의 하지 골격 정렬에 따라 내측 또는 외측이 높게 경사면(323a, 323b)이 형성된다. 일예로써, 밑창(320)의 폭 방향 내측의 높이(H1)와 외측의 높이(H2)가 1 : 1.5 내지 1 : 2의 비율, 즉, 내측의 높이(H1)가 1cm 일 때 외측의 높이(H2)는 1.5cm 내지 2cm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때, 경사면(323a, 323b)의 방향 및 높이는 신발을 착화하는 사람의 골격 정렬 상태 또는 무릎의 통증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하부부재(324)의 재질은 상부부재(322)의 재질보다 경도(단단한 정도)가 큰 재질로 제작한다.
또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324)의 경사면(323b)의 최저부가 밑창(320)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제작하여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러한 밑창(32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전체적인 상부부재(322)의 경도가 하부부재(324)의 경도보다 작기 때문에 경사면(323a, 323b)의 최저부가 형성된 밑창(320)의 내측 변형량이 외측 변형량보다 크게 되어 착용자의 발이 자연스럽게 밑창(32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320)이 구비된 신발을 지속적으로 신고 보행하면 무릎과 발이 몸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면서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이와 반대로,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하부부재(324)의 경사면(323b)의 최저부가 밑창(320)의 외측에 형성되도록 제작한다. 이렇게 경사면(323b)의 최저부가 밑창(32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하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을 위한 밑창(320)과 같은 원리로 착용자의 발이 밑창(320)의 외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밑창(320)에 의해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이 교정되면 무릎 내측 또는 외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재(323)는 경사면(323a, 323b)의 경사방향으로 전단변형을 발생시킨다. 이때, 변형부재(323)는 상부부재(322)와 하부부재(324)를 구획하는 경사면(323a, 323b)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된다. 즉, 밑창(32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부재(323)가 경사면(323a, 323b)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신발을 착화한 사람의 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던 하지골격 정렬이 보다 원활하게 정상적으로 교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변형부재(323)의 재질은 겔 형태의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클로로프렌 고무 등을 사용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밑창(320)은 보다 원활한 교정을 위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밑창(320)의 내측변이 외측변 방향 또는 외측변이 내측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진다. 이때, 경사각(α)은 0°내지 60°로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사각(α)은 신발을 착용하는 사람의 무릎의 상태 및 통증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하지만, 바람직한 경사각(α)은 10°내지 20°인 것이 좋다. 만약, 경사각도가 60°를 초과하면 밑창(320)의 변화가 너무 심해지기 때문에 경사각(α)은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변이 외측변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지게 형성되어 상부부재(322)와 하부부재(324)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밑창(320)이 변형부재(323)의 전단변형에 의해 보다 쉽게 몸의 내측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또한,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도 13과는 반대로 외측변이 내측변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경사가 형성되면 보행시 중심이 몸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X"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제 5 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의 착화를 위한 밑창의 저면도, 도 16은 도 15의 좌측면도, 도 17는 도 15의 우측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420)은 상부부재(422), 하부부재(424), 상부부재(422)와 하부부재(424) 사이에 구비되는 변형부재(423)로 이루어진다.
도 18은 도 15의 B-B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C-C 단면도, 도 20은 도 15의 D-D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420)은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으로 구획된 변형부재(423)에 의해 형성된 상부부재(422)와 하부부재(424)를 포함하여 경사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신발을 착화하는 사람의 하지 골격 정렬에 따라 신발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미끄러지도록 변형부재(423)를 형성하여 경사구조의 밑창(420)을 제작한다.
이때, 밑창(420)의 상면과 저면, 즉 상부부재(422)의 상면과 하부부재(424)의 저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부재(424)는 상부부재(422)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제작된다.
도 15 내지 도 20은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할 수 있도록 변형부재(423)의 최저부가 밑창(420)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밑창(420)을 제작한다. 즉, 밑창(420)이 구비된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상부부재(422)의 경도가 하부부재(424)의 경도보다 작기 때문에 변형부재(423)의 최저부가 형성된 상부부재(422)의 내측 변형량이 상부부재(422)의 외측 변형량보다 크게 되어 발이 자연스럽게 밑창(420)의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일예로써, 밑창(420)의 폭 방향 내측의 높이(H3)와 외측의 높이(H4)가 1 : 1.5 내지 1 : 2의 비율, 즉, 내측의 높이(H3)가 1cm 일 때 외측의 높이(H4)는 1.5cm 내지 2cm가 되도록 형성한다. 이렇게 지속적으로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밑창(420)의 내측으로 발이 기울어지면서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또한, 무릎 교정의 효과를 증대하기 위하여 신발의 길이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면(423a, 423b)의 경사가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착화하는 사람의 무릎 휨 정도 및 무릎 통증의 정도에 따라 전방의 경사가 더 크게 변경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반대로,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변형부재(423)의 최저부가 외측에 형성되도록 밑창(420)을 제작한다. 이렇게 변형부재(423)의 최저부가 밑창(420)의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하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을 위한 밑창(420)과 같은 원리로 착용자의 발이 밑창(420)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밑창(420)에 의해 "O"자형 무릎과 "X"자형 무릎이 교정되면 무릎 내측 또는 외측에 집중되어 있던 하중이 무릎 전체로 분산되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을 예방하고, 그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변형부재(423)는 상부부재(422)와 하부부재(424) 사이에 구비되어 변형부재(423)의 경사방향으로 전단변형을 발생시킨다. 이때, 변형부재(423)는 신발의 길이방향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구비된다. 이렇게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제외한 부분에 변형부재(423)를 구비하는 이유는 발이 전체적으로 내측 또는 외측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발목 또는 무릎의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변형부재(423)는 상부부재(422)와 하부부재(424)를 구획하는 경사면(423a, 423b)과 동일한 경사로 형성되고, 신발의 길이방향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각각 5% 내지 15%를 제외한 중심영역에 구비된다. 즉, 밑창(420)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신발을 착화한 사람의 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모멘트가 작용하도록 하여 비정상적으로 변형되었던 하지골격 정렬이 보다 원활하게 정상적으로 교정되도록 한다. 또한, 경사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부분을 신발의 전방 및 후방의 종단에서 잡아주기 때문에 발목 및 무릎의 부담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변형부재(423)의 재질은 겔 형태의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우레탄, 크로로프렌 고무 등을 사용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밑창(420)은 보다 원활한 교정을 위해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의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밑창(420)의 내측변이 외측변 방향 또는 외측변이 내측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진다. 이때, 경사각(α)은 0°내지 60°로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사각(α)은 신발을 착용하는 사람의 무릎의 상태 및 통증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하지만, 바람직한 경사각(α)은 10°내지 20°인 것이 좋다. 만약, 경사각도가 60°를 초과하면 밑창(420)의 변화가 너무 심해지기 때문에 경사각(α)은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변이 외측변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지게 형성되어 상부부재(422)와 하부부재(424)의 무게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어 밑창(420)이 변형부재(423)의 전단변형에 의해 보다 쉽게 몸의 내측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O"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또한,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이 착화하기 위해서는 도 18 내지 도 20과는 반대로 외측변이 내측변에 대해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렇게 경사가 형성되면 보행시 중심이 몸의 외측으로 미끄러지기 때문에 "X"자형 무릎이 교정된다.
(변형예)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밑창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밑창(320, 420)의 변형부재(323, 423)는 사람 발바닥의 아치형상, 신발의 전체적인 형상뿐만 아니라 착화하는 사람의 건강상태, 무릎의 변형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무릎 관절화의 구성>
일반적인 신발, 바람직하게는 무릎 관절화의 밑창에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밑창(120)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420)을 각종 접착제나 제봉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킨다. 이러한 신발을 신고 보행함으로써 별도의 시술 없이도 "O"자형 무릎 또는 "X"자형 무릎을 "II"자 형으로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릎 관절화는 깔창(250, 750, 8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깔창(250, 750, 85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 6실시예)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6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210)의 저면에 밑창(220)이 부착되고 갑피(210)의 내부에는 깔창(250)이 설치되는 신발(200)에서 깔창(250)은 폭방향으로 구획된 경사면(253a)에 의해 형성된 상부부재(252)와 하부부재(25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경사구조로 깔창(250)을 형성한다. 도 22는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단면을 나타내었으나, 경사면(253a)의 최저부가 신발(2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형성되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 또는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신발(200)에 설치하여 착화한다. 또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부부재(252)와 하부부재(254)의 경도를 달리하여 제작한다.
이때 밑창(220)은 일반적인 밑창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120, 320, 420, 720, 82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 7실시예)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7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250)은 상부부재(252)와 하부부재(254) 사이에 경사면(253a, 253b)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도하는 변형부재(253)가 더 설치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제 2실시예와 동일한 경사구조로 깔창(250)을 형성한다. 도 23은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단면을 나타내었으나, 경사면(253a, 253b)의 최저부가 신발(2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형성되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 또는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신발(200)에 설치하여 착화한다.
이때 밑창(220)은 일반적인 밑창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120, 320, 420, 720, 82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 8실시예)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제 8실시예로 제작된 신발의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250)은 폭방향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깔창(250)의 내측변(200a)이 외측변(200b)방향 또는 외측변(200b)이 내측변(200a)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진 경사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각(α)의 범위는 0°< α ≤60°로 경사면(253a, 253b)의 최저부가 형성된 측변에 형성된다.
즉, 상기에서 설명된 제 3실시예와 동일하게 경사각(α)이 포함된 경사구조로 깔창(250)을 형성한다. 도 24는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착화하는 신발의 단면을 나타내었으나, 경사면(253a, 523b)의 최저부가 신발(20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형성되어 "O"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 또는 "X"자형 무릎을 갖는 사람이 신발(200)에 설치하여 착화한다.
이때 밑창(220)은 일반적인 밑창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120, 320, 420, 720, 82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와 같은 경사각(α)을 제 6실시예에 적용하여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인 깔창(250)을 형성할 수 있다.
(제 9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깔창을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깔창(750)은 폭방향으로 구획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상부부재(752), 하부부재(754), 상부부재(752)와 하부부재(754) 사이에 경사면(753a, 753b)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도하는 변형부재(753)가 설치된다. 즉, 제 4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 420)의 경사구조와 동일한 경사구조로 깔창(750)을 형성한다. 이러한 깔창(750)의 경사구조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 420)의 경사구조와 동일하게 착용하는 사람의 무릎 상태, 통증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깔창(750)은 밑창과 동일한 경사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신발(700)을 착화했을 때 교정효과 및 퇴행성 무릎관절염의 예방과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신발(700)의 밑창(720)은 일반적인 밑창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 42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710은 신발의 갑피를 나타낸다.
(제 10 실시예)
도 26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깔창을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깔창(850)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제 9 실시예에 따른 깔창(850)과 동일하게 폭방향으로 구획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상부부재(852), 하부부재(854), 상부부재(852)와 하부부재(854) 사이에 경사면(853a, 853b)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도하는 변형부재(853)가 설치된다. 또한, 폭방향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되도록 깔창(850)의 내측변이 외측변방향 또는 외측변이 내측변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진 경사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경사각(α)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420)의 경사각과 동일하도록 0°내지 60°로 기울어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경사각(α)은 신발(800)을 착용하는 사람의 무릎의 상태 및 통증의 상태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하지만, 바람직한 경사각(α)은 10°내지 20°인 것이 좋다. 만약, 경사각도가 60°를 초과하면 깔창(850)의 변화가 너무 심해지기 때문에 경사각(α)은 60°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제 10 실시예에 따른 신발(800)의 밑창(820)은 일반적인 밑창을 사용하거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5 실시예에 따른 밑창(320, 420)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지 않은 도면부호 810은 신발의 갑피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신발(100, 200, 700, 800)의 저면에 부착되는 밑창(120, 220, 320, 420, 720, 820)에 있어서,
    상기 밑창(120, 220, 320, 420, 720, 820)은,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에 의해 구획된 상부부재(122, 322, 422)와 하부부재(124, 324, 424)를 포함하여 형성된 경사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122, 322, 422)의 상면(100c)과 상기 하부부재(124, 324, 424)의 저면(100d)이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상기 상부부재(122, 322, 422)의 경도가 상기 하부부재(124, 324, 424)의 경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상기 상부부재(122, 322, 422)와 상기 하부부재(124, 324, 424)의 사이에는 상기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을 따라 전단변형을 유발하는 변형부재(123, 323, 423)가 더 설치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부재(123, 323, 423)는 신발의 길이방향의 전방 및 후방 양측 종단으로부터 소정간격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발바닥 중심부에 형성된 아치부에 대응되는 아치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신발의 길이방향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의 경사각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O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용을 위해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의 최저부가 상기 밑창(120, 220, 320, 420, 720, 820)의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X자형 무릎을 가진 사람의 착용을 위해 폭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의 최저부가 상기 밑창(120, 220, 320, 420, 720, 820)의 외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조는,
    상기 밑창(120, 320, 420)의 폭방향 단면이 역사다리꼴 형태가 되도록 상기 밑창(120, 320, 420)의 내측변(100a)이 외측변(100b)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져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외측변(100b)이 상기 내측변(100a)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α)만큼 기울어져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경사각(α)은 0°< α ≤60°범위이며, 상기 밑창(120, 320, 420)의 내측변(100a) 또는 외측변(100b) 중 상기 경사면(123a, 323a, 323b, 423a, 423b)의 최저부가 형성된 측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면을 갖는 밑창.
  11. 제 10 항에 의한 밑창(120, 320, 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릎관절화는 상기 밑창(120, 320, 420)의 상기 경사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 깔창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화.
  13. 깔창(250. 750, 850)이 포함된 신발(200, 700, 800)에 있어서,
    상기 깔창(250. 750, 850)은, 제 10 항에 의한 경사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릎관절화.
PCT/KR2009/002670 2008-05-21 2009-05-21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WO2009142442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510428A JP2011520548A (ja) 2008-05-21 2009-05-21 傾斜面を有する靴底及びこれを備える膝関節靴
DE112009001270T DE112009001270T5 (de) 2008-05-21 2009-05-21 Sohle mit Schrägflächen und Kniegelenk schützender Schuh
CN200980118246.6A CN102036577B (zh) 2008-05-21 2009-05-21 鞋底、鞋垫及包括该鞋底或该鞋垫的膝关节保健鞋
US12/993,423 US20110061268A1 (en) 2008-05-21 2009-05-27 Sole having the tilt surface and the knee joint-protecting sho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219A KR100990512B1 (ko) 2008-05-21 2008-05-21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
KR10-2008-0047219 2008-05-21
KR1020090042376A KR100984263B1 (ko) 2009-05-15 2009-05-15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KR10-2009-0042376 2009-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442A2 true WO2009142442A2 (ko) 2009-11-26
WO2009142442A3 WO2009142442A3 (ko) 2010-02-25

Family

ID=4134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2670 WO2009142442A2 (ko) 2008-05-21 2009-05-21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061268A1 (ko)
JP (1) JP2011520548A (ko)
CN (1) CN102036577B (ko)
DE (1) DE112009001270T5 (ko)
WO (1) WO200914244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9535A (ja) * 2010-06-29 2013-07-22 ヤン,チョルホ 履物の靴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61566A (zh) * 2009-02-23 2012-02-22 因托斯Hcn股份有限公司 具有用于膝关节的退行性骨关节炎的功能鞋底的鞋
US9220314B2 (en) * 2010-04-14 2015-12-29 Marie Smirman System for calculating forefoot wedge angle to correct pronation/supination
US10674786B2 (en) * 2011-03-08 2020-06-09 Athalonz, Llc Athletic pos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 heel platform and applications thereof
US9096028B2 (en) 2011-08-10 2015-08-0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med from two preforms and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9731464B2 (en) * 2011-08-10 2017-08-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formed from two preforms and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ame
US8931187B2 (en) 2011-08-25 2015-01-13 Tbl Licensing Llc Wave technology
KR101127039B1 (ko) * 2011-09-29 2012-03-26 오성관 신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687505A (zh) * 2011-10-04 2014-03-26 古特罗夫·叶夫根尼·库兹米契 符合人体工程学的高跟鞋
CN104994760B (zh) 2013-02-22 2017-03-29 肯尼运动有限公司 用于鞋子的鞋底以及踩踏面
USD732810S1 (en) * 2013-08-08 2015-06-30 Tbl Licensing Llc Footwear outsole
USD821072S1 (en) * 2016-10-20 2018-06-26 Dynasty Footwear, Ltd. Shoe sole
USD799801S1 (en) * 2016-11-14 2017-10-17 Nike, Inc. Shoe midsole
USD912954S1 (en) 2018-08-01 2021-03-16 Tbl Licensing Llc Footwear
USD905408S1 (en) 2018-08-01 2020-12-22 Tbl Licensing Llc Footwear outsole
USD905406S1 (en) 2018-08-01 2020-12-22 Tbl Licensing Llc Footwear outsole
USD905411S1 (en) 2018-08-01 2020-12-22 Tbl Licensing Llc Footwear outsole
CN109172101B (zh) * 2018-09-29 2020-10-30 四川大学华西医院 膝关节内侧降载定制鞋垫及其制作方法
JP2022528573A (ja) 2019-04-11 2022-06-14 エピオネ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装具及び装具製造方法
JP7255463B2 (ja) * 2019-11-28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USD1001436S1 (en) * 2020-03-06 2023-10-17 Ecco Sko A/S Sole
USD934546S1 (en) * 2020-09-30 2021-11-02 Nike, Inc. Shoe
USD936945S1 (en) * 2020-09-30 2021-11-30 Nike, Inc. Shoe
USD934541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35152S1 (en) * 2020-12-22 2021-11-09 Nike, Inc. Shoe
USD934545S1 (en) * 2020-12-22 2021-11-02 Nike, Inc. Shoe
USD942747S1 (en) * 2021-03-03 2022-02-08 Nike, Inc. Shoe
CN113101028B (zh) * 2021-04-21 2022-05-20 徐州工程学院 多功能修正腿型鞋底装置
USD990853S1 (en) * 2022-08-23 2023-07-04 Nike, Inc. Sho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911A (en) * 1985-02-28 1987-02-17 Talarico Ii Louis C Dual-compression forefoot compensated footwear
JP2006198007A (ja) * 2005-01-18 2006-08-03 Total Health Care:Kk 履物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373A (en) * 1971-08-11 1973-06-12 J Glancy Shoe heel with cushion wedge
JPS6113902A (ja) * 1984-06-30 1986-01-22 株式会社アサヒコーポレーション 運動靴
JPH01170406A (ja) * 1987-12-26 1989-07-05 Shuichi Sato ゴルフシューズ
JPH06319603A (ja) * 1991-02-06 1994-11-22 Fumitaka Seki O脚x脚矯正用靴の中敷
US5224810A (en) * 1991-06-13 1993-07-06 Pitkin Mark R Athletic shoe
JPH07327705A (ja) * 1994-06-14 1995-12-19 Tsutomu Yamana 健康履物
JPH0870910A (ja) * 1994-09-10 1996-03-19 Nobuyuki Matsui 履物用中敷および履物
JP3979765B2 (ja) * 2000-05-15 2007-09-19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装置
JP2001353005A (ja) * 2000-06-13 2001-12-25 Moon Star Co 靴中敷
JP2002153302A (ja) * 2000-11-22 2002-05-28 Kanae Sakamoto 健康履物
US6725578B2 (en) * 2001-04-03 2004-04-27 D. Casey Kerrigan Joint protective shoe construction
DE102005006267B3 (de) * 2005-02-11 2006-03-16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sohle und Schuh
US6983555B2 (en) * 2003-03-24 2006-01-10 Reebok International Ltd. Stable footwear that accommodates shear forces
DE10352658A1 (de) * 2003-11-11 2005-07-0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ohlenelementen
JP4755616B2 (ja) * 2007-03-07 2011-08-24 株式会社アシックス 靴底の緩衝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911A (en) * 1985-02-28 1987-02-17 Talarico Ii Louis C Dual-compression forefoot compensated footwear
JP2006198007A (ja) * 2005-01-18 2006-08-03 Total Health Care:Kk 履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9535A (ja) * 2010-06-29 2013-07-22 ヤン,チョルホ 履物の靴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1270T5 (de) 2011-06-16
CN102036577A (zh) 2011-04-27
WO2009142442A3 (ko) 2010-02-25
CN102036577B (zh) 2013-02-27
JP2011520548A (ja) 2011-07-21
US20110061268A1 (en) 2011-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42442A2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WO2019164349A1 (en) Wearable assistive device that efficiently delivers assistive force
US5507106A (en) Exercise shoe with forward and rearward angled sections
WO2019074307A1 (ko) 보행보조장치
WO2020017784A1 (ko) 완충이격부가 구비된 논슬립 발의류
DE69719374T2 (de) Stiefel für einen orthopädischen verband
WO2017160064A1 (ko)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US8221341B1 (en) Adjustable response ankle foot orthotic
WO2020218828A1 (ko)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WO2010087602A2 (ko) 발목보호대와 탈, 부착 가능한 무릎보호대
WO2002039934A1 (fr) Prothese corporelle
WO2019078618A2 (ko) 정형 기능을 가진 안전화용 탄성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안전화
WO2018225941A1 (ko) 퇴행성 무릎 관절염 치료를 위한 무릎 교정 장치
WO2012173362A2 (ko) 체중지지부가 구비된 기능화
WO2009154399A2 (ko) 다이어트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WO2020209575A1 (ko) 수면 자세 교정 기구
WO2020004816A1 (ko) 족하수 지지구
WO2018012647A1 (ko) 신축성을 갖는 발 뒤꿈치부가 적용된 암벽화
KR100984263B1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WO2021201604A1 (ko)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
KR102013061B1 (ko) 족저근막염 보호대
WO2012064127A4 (ko) 발가락 교정장치
WO2018128364A1 (ko) 하이힐의 체중부하 구조물
WO2011078459A2 (ko) 신발용 발 교정구조
KR100990512B1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관절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18246.6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507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10428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93423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T De translation (de og part 6b)

Ref document number: 112009001270

Country of ref document: DE

Date of ref document: 20110616

Kind code of ref document: P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507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