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42393A2 - 전기 수술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수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42393A2
WO2009142393A2 PCT/KR2009/001825 KR2009001825W WO2009142393A2 WO 2009142393 A2 WO2009142393 A2 WO 2009142393A2 KR 2009001825 W KR2009001825 W KR 2009001825W WO 2009142393 A2 WO2009142393 A2 WO 2009142393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utput
mode
generator
wir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82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42393A3 (ko
Inventor
박영세
Original Assignee
Park Young S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48291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WO2009142393(A2)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Park Young Se filed Critical Park Young Se
Publication of WO2009142393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393A2/ko
Publication of WO2009142393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42393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42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 A61B18/1445Probes having pivoting end effectors, e.g. forceps at the distal end of a shaft, e.g. forceps or scissors at the end of a rigid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601Cut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having a single-pole electrode for tissue cutting and a small-acting anode electrode, which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electrode handpiece and increase the physician's surgical functionality. will be.
  • Electrosurgical surgical methods for tissue cutting or tissue excision have long been routinely used in surgical operations.
  • the electrosurgical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used a so-called monopolar application technique, i.e. a cutting electrode consisting of active electrodes, in addition to a large area return pad, is installed on the limbs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o ensure high frequency current flow. do. Therefore, the current passes from the active electrode to the external return electrode via the patient tissue, and precise cutting is performed by the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electrode.
  • a monopolar application technique i.e. a cutting electrode consisting of active electrodes, in addition to a large area return pad, is installed on the limbs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to ensure high frequency current flow. do. Therefore, the current passes from the active electrode to the external return electrode via the patient tissue, and precise cutting is performed by the current of the corresponding electrode.
  • a device that can perform both a monopolar mode for cutting tissue and a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with one handpiece.
  •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3 having an output socket 2 providing a high frequency (RF) output to a handpiece 1 with electrodes.
  • the generator 3 is connected to a return pad 4 through which current flows from the handpiece 1 via the patient tissue.
  • the handpiece 1 and the output socket 2 are here connected by an output cable 5.
  • This handpiece 1 can be switched between the monopole mode for tissue cutting and the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via its own hand switch, which is shown in detail in this conventional handpiece 1.
  • the handpiece 1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 at a distal end thereof.
  • the electrode assembly 11 includes two electrodes formed in a forceps shape, that is, an active electrode and a passive electrode. Passive electrodes are formed so that they can pick up or crush tissue.
  • the electrode cover 11 is connected to the aperture cover 12 to insulate the inner wire and to protect the forceps forceps operation.
  • the body of the handpiece 1 is provided with a thumb grip 13 and a finger grip 14 to force the forcep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 by an internal spring mechanism.
  • an output cable 5 is connected from the generator 3 to supply an RF output to the electrode assembly 11 through the aperture cover,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handpiece 1 is the hand switch 15. Is switched by).
  • FIG. 3 An internal power delivery arrangement for driving the handpiece 1 in mono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and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is shown in FIG. 3.
  • the third wire 5c of the output cable 5 is connected to the unipolar power generator M in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in the uni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to the handpiece 1.
  • the first electric wire 5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a in a fixed type, and the second electric wire 5b and the third electric wire 5c through its own hand switch 15.
  • This alternativ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to determine the anode mode and the unipolar mode.
  • the hand switch 15 when the hand switch 15 is switched by the doctor for the cauterization operation through the bipolar mode, the corresponding hand switch 15 connects the second electrode 11b with the second wire 5b. Accordingly, a high frequency (RF) output generated by the generator 3 is transmitted to the first electrode 11a along the first wire 5a, coagulates the living tissue and blood vessels via tissue, and returns. return to the generator 3 via the second wire 5b along the second electrode 11b.
  • RF radio frequency
  • the corresponding hand switch 15 connects the second electrode 11b with the third wire 5c, thereby generating a generator ( The output generated in 3) is precisely cut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tissue by activating both the second electrode 11b and the first electrode 11a (via tissue) through the third wire 5c.
  • This power source is fed back by the return pad 4 which arrives via the patient tissue.
  • the handpiece of the prior art for driving in the uni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and the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described above has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ecause switches for switching between unipolar mode and bipolar mode are installed in the handpiece as hand switches.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handpiece,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handpiece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surgeon in the surgical operation requiring a precise procedure for a long time and hinder the agile surgical movement.
  •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handpiece described above also affects the increase in surgical costs, in that, although such a handpiece is extremely expensive equipment, it cannot be reused (due to the risk of infection or breakage use).
  • the output cable connecting the handpiece and the generator has three wires for the bipolar mode and the unipolar mode, so the tension of the cable is lowered, which prevents the doctor's free handpiece movement and posture change with the handpiece. There are also problems that make it difficult.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ire and the second wire for the bipolar mode operation and the third wire for the single-pole mode operation built-in A generat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output through one output cable; A handpiece receiving the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generator through an output cabl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single electrode mode through an electrode assembly; And a return pad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returning a power sour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generator in the monopolar mode.
  • the handpiece includes: a plug coupled to an end of the generator output cable and having an internal first contact connected to the first wire and a second contact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and the third wire; A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o receive a generator output; And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in a forceps shape.
  • the generator includes a foot switch connected to the generator to selectively control the output of the bipolar mode or the monopole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f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output through the output cable containing the fourth wire and the fifth wire for bipolar mode operation and unipolar mode operation;
  • a handpiece receiving the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generator through an output cable and performing an operation of a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single electrode mode through an electrode assembly;
  • a return pad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returning a power sour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generator in the monopolar mode.
  • the handpiece includes: a plug coupled to an end of the generator output cable, an internal first contact connected to the fourth wire, and a second contact connected to the fifth wire; A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o receive a generator outpu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in a forceps shape;
  • the generator includes a foot switch connected to the generator to selectively control the output of the bipolar mode or the monopole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f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output through an output cable containing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for the bipolar mode operation and a third wire for the monopolar mode operation;
  • a foot switch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monopole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 a switch box configured to selectively output power in a positive electrode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and receive the power in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nd the single-pole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and outpu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wires;
  • a handpiece receiving an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switch box and performing an operation in a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monopolar mode through an electrode assembly; And a return pad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returning a power sour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generator in the monopolar mode.
  • the handpiece includes: a plug coupled to a first connection line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of the switch box, wherein an internal first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a second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A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o receive a generator outpu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in a forceps sha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for providing a high frequency output through an output cable containing a first wire and a second wire for the bipolar mode operation and a third wire for the monopolar mode operation;
  • a single pole foot switch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to output a single pole mode of power through the output cable;
  • a positive foot switch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trol to output a positive mode power supply through the output cable;
  • a switch box receiving power in a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power in a unipolar mode through the output cable and outputting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lines;
  • a handpiece receiving an output power provided from the switch box and performing an operation in a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monopolar mode through an electrode assembly; And a return pad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returning a power sour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generator in the monopolar mode.
  • the handpiece includes: a plug coupled to a first connection line and a second connection line of the switch box, wherein an internal first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nd a second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A receptacle detachably coupled to the plug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tacts to receive a generator output; A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point of the plug through an internal wire in a forceps sha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Electrosurgical apparatus is equipped with a monopolar electrode for the cutting of tissue and a bipolar electrode of the small ac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electrode handpiece and increase the surgical functionality of the doctor.
  • the prior art handpiece for driving in the monopole mode for cutting tissue and the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has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ecause switches for switching between the monopole mode and the bipolar mode are installed in the handpiece as hand switches.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handpiece,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handpiece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surgeon in the surgical operation requiring a precise procedure for a long time and obstructs the agile procedure movemen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such hand switch in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andpiece can be lowered.
  • the simple structure of the handpiece described above can lower the weight of the handpiece as well as the benefit of lowering manufacturing costs.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This lowers the operator's fatigue in the long-term procedure requiring agile movement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procedure and ensures a more precise procedure.
  • the cable member including the output socket, the output cable, and the plug is detachable from the generator and the handpiece in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output power of the generator to the handpiece, the cable member is fixedly connected to the handpiece.
  • Removable cable members in the form of accessories, not in the form of integral cable members,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for expensive handpieces with frequent replacements to prevent infection due to contamination.
  •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cable is reduced from three wires to two wires, the corresponding output cable enables more flexible and flexible movement, which enables precise handpiece movement while reducing the operator's fatigue.
  •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dual mod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4 illustrates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llustrates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llustrates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llustrates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power transmission configuration of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having both a monopolar electrode for tissue cutting and an anodic bipolar electrode, which can reduce the cost of replacing the electrode handpiece and increase the surgical functionality of the doctor.
  •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FIG. 4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monopolar mode and cauterization for tissue cutting using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130 that provides a high frequency (RF) output and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generator 130. It consists of a handpiece (110) for driving in a positive mode for the footswitch 160 is provided for switching between the unipolar mode and the bipolar mode of the handpiece 110, the generator 130 is a current handpiece ( Return pads 140 arriving from patient tissue via 110 are connected.
  • RF radio frequency
  • a detachable output socket 120 is attached to the generator 130, and a high frequency (RF) output output from the generator 130 is output through the corresponding output socket 120 to pass the output cable 150 to the handpiece ( Delivered to a plug 118 that is removable for 110.
  • RF radio frequency
  • the cable member including the output socket 120, the output cable 150, and the plug 118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output power of the generator 130 to the handpiece 110, and thus the generator 130 and the handpiece. It becomes detachable with respect to (110). Therefore, since the cable member is a detachable cable member in the form of an accessory rather than an integral cable member that is fixedly connected to the handpiece 110, the expensive handpiece 110 is frequently replaced to prevent infection due to contamination. It can reduce the replacement cost.
  • the output cable 150 includes three wires 150a, 150b, and 150c for transmitting power output from the generator 130 to the handpiece 110.
  • the first wire (150a) and the second wire (150b) of the output cable 150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power of the bipolar mode for vascular cauterization to the handpiece (110) 130 One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generator BP.
  • the third wire 150c of the output cable 15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in the single pole mode for cutting the tissue to the handpiece 110, and one end of the third wire 150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ngle pole power generator MP of the generator 130. Is connected.
  • the three wires 150a, 150b, 150c of the output cable 1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wo ends of the plug 118 detachable to the handpiece 110.
  • first wire 150a and the second wire 150b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ositive power generator BP of the generator 130 are respectively the first contact point 118a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of the plug 118.
  • the other ends are connected to 118b, respectively.
  •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150c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ingle pole power generation unit MP of the generator 1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118b of the plug 118.
  • the first contact 118a and the second contact 118b of the plug 118 are connected to the receptacle 117 through connecting pins, respectively, to provide power to the handpiece 110 for positive and single pole utilization. .
  • the user selects through the foot switch 160 a single pole mode for tissue cutting and a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 the generator 130 may include a high frequency generator 131 for outputting a high frequency AC current, a switching unit 132 for switching the generated high frequency current according to a selection mode, and transmitting output power to the outside.
  • An output socket 133 for input a display panel 134 for inputting a user's setting or status, a memory 136 for recording a user's setting or basic setting, and a control unit 135 for controlling each unit. It is configured by.
  • Current electrosurgical instruments typically include a power supply, an RF oscillator that generates a megacycle range of RF current, such as high frequency AC waveforms.
  • this AC waveform is completely filtered to produce an approximate DC waveform, and for the purpose of coagulation, the AC waveform is partially rectified (eg, half-wave rectified) to produce a half-wave rectified waveform. This is done by switching the rectifier and filter components in cut mode and the rectifier components in solidification mode. Since this is a well known technique,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output power is switched through the corresponding switching unit 132 to connect the wires 150a, 150b, 150c connected to the output socket 133. ), The high frequency output is applied to the wire corresponding to the mode.
  • Two wires introduced through the receptacle 117 are connected to the electrode assembly 111 along the aperture cover 112.
  • the electrode assembly 111 of the handpiece 110 is provided with two electrodes formed in the form of forceps, that is,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so that the tissue can be picked up or pressed, and the first electrode ( The two wires described above are connected to 111a and second electrode 111b, respectively.
  • the electrode cover 111 is long connected to the diameter cover 112 to insulate the inner wire and to protect the forceps of the forceps forceps.
  • the body 116 of the handpiece 110 is provided with a thumb handle 113 and a finger handle 114 to force the forceps of the electrode assembly 111 by the internal spring mechanism.
  • the first wire 150a is fixed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via the first contact 118a of the plug 118, and the foot switch 160 of the user is provided.
  • the positive mode and the monopolar mode are determined by selectively supplying power to the second wire 150b or the third wire 150c connected to the second contact 118b of the plug 118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More precisely, in the positive mode, the second wire 150b acts as a return path.
  • the high frequency (RF) output generated by the generator 130 is plugged along the first wire 150a.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via the first contact point 118a of 118, coagulates the living tissue and blood vessel via the tissue, and follows the second electrode 111b as a return path. The second contact 118b of the plug 118 is returned to the generator 130 through the second wire 150b.
  • the output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130 is output through the third wire 150c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and the first electrode ( By activating all of 111a) (via tissue), precise cutting is achiev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tissue.
  • This power source is fed back by the return pad 140 arriving via patient tissue.
  • the body 116 of the handpiece 110 does not need to configure a hand switch for switching between the positive mode and the monopolar mode as in the prior art, thereby manufacturing the handpiece 110. Can be simplified.
  • the prior art handpiece for driving in the monopole mode for cutting tissue and the bipolar mode for cauterization has a complicated internal structure because switches for switching between the monopole mode and the bipolar mode are installed in the handpiece as hand switches. Due to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of the handpiece, as well as the weight of the handpiece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increases the fatigue of the doctor in the surgical operation that requires a long time precise procedure and interferes with the agile procedure movemen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example does not have such a hand switch, thereby lower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andpiece.
  • the configuration of the handpie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urther simplified through the following other embodiments.
  • FIG. 6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uses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130 that provides a high frequency (RF) output and an anode for cauterization and a mono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using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generator 130.
  • the handpiece 110 is driven in the mode and the footswitch 160 is provided for switching between the unipolar mode and the bipolar mode of the handpiece 110, the generator 130 is a current from the handpiece 110 Return pads 140 arriving via the patient tissue are connected.
  • RF radio frequency
  • the generator 130 includes a selector 137 for selecting an output line of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131 according to the mode switching (positive mode, monopolar mode) of the foot switch 160. Will be.
  • the conventional high frequency generator 131 is basically provided with two output lines 131a and 131b for the bipolar mode and one output line 131c for the unipolar mode. Mode switching of the foot switch 160 with respect to the second output line 131b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11b in the positive mode and the third output line 131c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11b in the monopolar mode. Accordingly, the second output line 131b and the third output line 131c are selected to be connected to the fourth output line 131d connected to the output socket 133 side.
  • the first output line 131a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i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ingle electrode mod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output socket 133.
  • the selector 137 selects the second output line 131b and the fourth output line 131d on the output socket 133 side. ) To make the path back to the bipolar mode.
  • the selector 137 selects the third output line 131c and the fourth output line 131d on the output socket 133 side. ) Makes the path an active path for unipolar mode.
  • the first output line 131a of the high frequency generator 131 is fixedly used as an active path in both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nd the monopolar mode.
  • the output cable 150 from the generator 130 to the handpiece 110 has only two wires 150d, 150e installed (more precisely, from the output socket 133 to the plug 118). do.
  • the output cable 150 can be more elastic and flexible movement.
  • the operator gripping and performing the handpiece 110 can ensure smooth movement and posture change in moving and changing the posture of the handpiece 110 due to the flexible output cable 150.
  • FIG. 8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uses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130 that provides a high frequency (RF) output and an anode for cauterization and a mono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using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generator 130.
  • the handpiece 110 driving in the mode and the foot switch 160 provided for switching the power mode of the handpiece 110 and the switch box 170 provided for the bipolar mode switching of the handpiece 110
  • the generator 130 is connected to a return pad 140 through which current flows from the handpiece 110 via the patient tissue.
  • the generator 130 and the handpiece 110 is provided with a switch box 170 for switching the bipolar mode, and is responsible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witch box 170 and the handpiece 110.
  • the output cable 180 is also provided with only two wires.
  • first connection line 180a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80b are connected to the output cable 180 connected to the switch box 170, and as the power transmission path for the bipolar mode and the power transmission path for the unipolar mode. Function.
  • the upper portion of the switch box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50a and the second wire 150b for the positive electrode mode, respectively.
  • the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ixedly installed, and a third terminal 176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wire 150c for the monopolar mode is provided below the switch box 170.
  • the fourth terminal 176d is fixedly installed.
  • a moving body 174 which is moved up and dow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and the lower third terminal 176c and the fourth terminal 176d.
  •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are coupled to the movable body 174.
  •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first terminal 176a and the lower third terminal 176c as the movable body 174 moves up and down.
  •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second terminal 176b and the lower fourth terminal 176d as the movable body 174 moves up and down.
  • the movable body 174 is moved up and down according to whether the pedal 175 is pressed.
  • the pedal 175 is a foot switch device that is pressed by the operator's foot.
  • the pedal 175 can be pressed in two steps (A, B) as shown in the figure.
  • the movable body 174 When the first step (A) is pressed, the movable body 174 is elevated to bring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nto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do.
  • the movable body 174 When the second step (B) is pressed, the movable body 174 is further lifted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ar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It will be inserted completely.
  • the third conductive rod 173 disposed under the pedal 175 contacts the fifth terminal 176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witch box 170 to signal. By generating the generator 130 to start the output of the positive power supply.
  • all of the conductive rods contacting or being inserted into the terminal mean electrical connection.
  •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line 180a connected to the handpiece 110,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s also connected to the second handpiece 110. It is fixedly connected to 180b.
  • the plate on which the upper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are fixed is fixed to an outer wall of the switch box 170 through an elastic body (for example, a spring) to move up and down the moving body 174.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influence (terminal plate push due to the insertion of the conductive rod), and the elastic body is fixed to the outer wall of the switch box 270 to which the lower third and fourth terminals 176c and 176d are fixed. It is possible to flexibly cope with the influence of the movable body 174 on the lowering (terminal breakage, etc. when inserting the conductive rod).
  • an elastic body for example, a spring
  • the movable body 174 When the pedal 175 of the switch box 170 is not pressed by the doctor, the movable body 174 is in the lowered state. Accordingly,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are each made of The third terminal 176c and the fourth terminal 176d are connected and held.
  • the unipolar output MP of the generator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176c and the fourth terminal (3) through the third wire 150c. 176d) is transferr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180a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80b through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and thus, the first electrode 111a.
  • This power source is fed back by the return pad 140 arriving via patient tissue.
  • the inner movable body 174 is raised and lowered so that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act with the lower terminals 176c and 176d is released.
  • the third conductive rod 173 of the pedal 175 is in contact with the fifth terminal 176e so that the generator 130 outputs the positive power. Will be started.
  •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and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ar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176a and the second terminal 176b. Accordingly, the anode output BP of the generator 1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176a along the first wire 150a and along the first connecting line 180a via the first conductive rod 171.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of the 110, and coagulates the tissue and blood vessels via tissue,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line 180b along the second electrode 111b as a return path.
  • the second conductive rod 172 is transferred to the generator 130 through the second wire 150b via the second terminal 176b.
  • the two-stage pressing operation in the positive mode is required because an unexpected spark current may occur when the unipolar m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re rapidly switched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a single pedal. Therefore, the pedal operation of performing the cutting with the monopole mode through the first stage pressing and starting the power supply of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second stage enables a very stable procedure.
  • FIG. 10 is a view showing an electrosurgical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lectrosurgical apparatus uses an electrosurgical generator 130 that provides a high frequency (RF) output and an anode for cauterization and a monopolar mode for tissue cutting using a power source provided from the generator 130.
  • the switch box 270 and the handpiece 110 which are provided for switching the power mode of the handpiece 110 and the handpiece 110 to operate in the mode may be switched to the bipolar mode.
  • 270 and a single-pole footswitch 190 connected to the generator 130 so that the operator can switch the handpiece 110 to the single-pole mode
  • the corresponding generator 130, a return pad 140 is connected through which current flows from the handpiece 110 via the patient tissue.
  • the output cable 180 is also provided with only two wires.
  • connection line 180a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80b are connected to the output cable 180 connected to the switch box 270 as a power transmission path for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nd a power transmission path for the monopole mode. Function.
  • the switch box 2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50a and the second wire 150b for the bipolar mode, respectively.
  •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re horizontally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loor, and at one end of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 third wire 150c for the single-pole mode.
  • a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fourth terminal plate 271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fixedly and horizontally installed.
  •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re horizontally arranged so that the end portions facing each other are electrically engag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are positioned above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engaged with each other.
  • spring members 272a and 272b which are elastic bodies for constantly fixing horizontal heights of the terminal plates 271a and 271b, ar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271a and 271b.
  • 272b is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late (271a, 271b) in a state in which one end is fixedly engaged to the column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o suppress the elastic force that suppresses the terminal plate (271a, 271b) falling in a horizontal state It acts on terminal boards 271a and 271b.
  •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re always at the end portions of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respectively. The state of contact is maintained.
  • a magnetic member 275 having magnetic properties is fixedly disposed under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power, and the external of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is fixed.
  • the magnetic member 275 has a magnetic force due to a power source (not shown) drawn in from the magnetic force, and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ttracted by this magnet are lowered to a horizontal state, and eventually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is released.
  • the switch box 270 normally maintains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to output the single-pole mode power supply.
  • the magnetic member 275 is magnetic,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is released, thereby turning on the positive electrode mode power supply. Will print.
  • the switch box 270 is provided with a timer 276 for generating a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generator 130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magnetic member 275 has magnetic properties.
  • the timer 276 captures a time point at which the magnetic member 275 has magnetic properties and generates a signal when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15 seconds) elapses, thereby causing the generator 130 to start output of the positive power supply.
  •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15 seconds
  •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member 275 interrupts the flow of unipolar power (terminal contact release), and then the time lag (eg, 0.15 seconds) by the operation of the timer 276.
  • the time lag eg, 0.15 seconds
  • the unipolar output MP of the generator 130 is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hrough the third wire 150c.
  • the first connection line 180a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80b through the output terminal plates 274a and 274b through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which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plate 271d and ar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plates.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and the second electrode (111b) by activating both to make a precise cut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tissue. This power source is fed back by the return pad 140 arriving via patient tissue.
  • the magnetic member 275 inside the switch box 270 is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outside (not shown). And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attracted by this magnet are lowered to a horizontal state, and eventually,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The contact state between the third terminal plate 271c and the fourth terminal plate 271d is released.
  • the generator 130 which has received a signal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0.15 seconds) has elapsed by the timer 276, starts to output the positive power.
  • the positive output BP of the generator 13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271a along the first wire 150a and along the first connection line 180a via the first output terminal plate 274a. It is delivered to the first electrode 111a of 110, and coagulates the tissue and blood vessels via tissue,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line 180b along the second electrode 111b as a return path.
  • the second output terminal plate 274b is transmitted to the generator 130 via the second electric wire 150b via the second terminal plate 271b.
  • the operation of performing the cutting with the monopole mode according to the magnetism of the magnetic member 275 and starting the power supply in the positive electrode mode according to the time delay of the timer 276 prevents the flow of reverse current and blocks the generation of sparks. It enables a very stable proced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직 절단용의 단극 전극과 소작용의 양극 전극을 함께 갖추며 전극 핸드피스의 교체 비용을 줄이고 의사의 시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수술 장치
본 발명은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직 절단용의 단극 전극과 소작용의 양극 전극을 함께 갖추며 전극 핸드피스의 교체 비용을 줄이고 의사의 시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수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직 절단 또는 조직 절제를 위한 전기적 외과 수술 방법은 이미 오래전부터 외과 수술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적 외과 수술 기술은 소위 단극 응용 기술(monopolar application technique)을 사용해왔는데, 즉 활성 전극으로 구성된 절단 전극에 추가적으로 넓은 면적의 복귀 패드가 고주파 전류 흐름을 보장하도록 치료받을 환자의 팔다리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류가 활성 전극으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외부 복귀 전극을 통과하게 되며, 해당 전극의 전류에 의해 정밀 절단(cutting)이 이루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양극 응용 기술(bipolar application technique)로 전기적 외과 수술 조직 절단을 위한 몇몇 개념이 연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개념들은 상술한 단극 시스템에 질적으로 경쟁이 되지 못하며, 대신 이와 같이 한 쌍의 전극이 조직 적용부위에서 함께 사용되는 양극 응용 기술이 수술 중 출혈 중인 혈관을 응고시켜 지혈시키는데 이용된다.
하지만, 전형적인 수술 과정에서 의사는 절단 과정과 혈관 응고 과정이 서로 다른 전극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목적을 가진 전극을 교대로 환자의 체내에 넣고 빼야만 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따라서 상당한 수술 시간의 지연이 발생하며 또한 그 과정에서 의료진의 시술 집중도가 저하되고 환자에게서 돌발적인 부반응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시술을 완료할 수 있는 대안이 요청되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핸드피스로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듀얼 모드 전기 수술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을 구비한 핸드피스(1)에 대해 고주파(RF) 출력을 제공하는 출력 소켓(2)을 가지는 전기수술 제너레이터(3)가 도시되어 있다. 해당 제너레이터(3)에는 전류가 핸드피스(1)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4)가 연결된다. 여기에서 해당 핸드피스(1)와 출력 소켓(2)은 출력 케이블(5)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핸드피스(1)는 자체 핸드 스위치를 통해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변환될 수 있는데, 도 2에 이러한 종래의 핸드피스(1)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해당 핸드피스(1)는 말단부에 전극 어셈블리(11)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전극 어셈블리(11)는 겸자 형태로 구성된 2개의 전극 즉, 액티브 전극(active electrode)과 패시브 전극(passive electrode)이 형성되어 조직을 집거나 누룰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해당 전극 어셈블리(11)에는 내부 전선을 절연시키고 겸자의 집게 동작을 보호하기 위한 구경 덮개(12)가 길게 연결된다. 이러한 핸드피스(1)의 몸체에는 엄지 손잡이(13)와 손가락 손잡이(14)가 구비되어 내부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전극 어셈블리(11)의 집게 동작을 강제하게 된다.
또한, 제너레이터(3)로부터 출력 케이블(5)이 연결되어 상기 구경 덮개를 통해 전극 어셈블리(11)에 고주파(RF) 출력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핸드피스(1)의 동작 모드는 핸드 스위치(15)에 의해 절환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핸드피스(1)에서 해당 핸드피스(1)를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너레이터(3)와 핸드피스(1)를 연결하여 제너레이터(3)의 전원을 전달하는 출력 케이블(5)은 3개의 전선(5a, 5b, 5c)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출력 케이블(5)의 제 1 전선(5a)과 제 2 전선(5b)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의 전원을 핸드피스(1)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양극 전원 발생부(B)에 연결된다.
그리고 출력 케이블(5)의 제 3 전선(5c)은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의 전원을 핸드피스(1)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단극 전원 발생부(M)에 연결된다.
이때, 핸드피스(1)에서는 제 1 전선(5a)이 고정형으로 제 1 전극(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자체 핸드 스위치(15)를 통해 제 2 전선(5b)과 제 3 전선(5c)이 택일적으로 제 2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됨으로써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가 결정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모드를 통한 소작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핸드 스위치(15)가 절환되면, 해당 핸드 스위치(15)가 제 2 전극(11b)을 제 2 전선(5b)과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제너레이터(3)에서 발생된 고주파(RF) 출력이 제 1 전선(5a)을 따라 제 1 전극(11a)에 전달되며 조직(tissue)을 경유하여 생체조직과 혈관을 응고시키며 귀환(return) 경로로서 제 2 전극(11b)을 따라 상기 제 2 전선(5b)를 통해 제너레이터(3)로 귀환된다.
반면,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핸드 스위치(15)가 절환되면, 해당 핸드 스위치(15)가 제 2 전극(11b)을 제 3 전선(5c)과 연결시키며, 이에 따라 제너레이터(3)에서 발생된 출력은 제 3 전선(5c)을 통해 제 2 전극(11b)은 물론 제 1 전극(11a)(조직 경유)을 모두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직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정밀 절단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전원은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4)에 의해 귀환된다.
하지만, 상술한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핸드피스는 단극 모드와 양극 모드의 절환을 위한 스위치가 핸드 스위치로서 핸드피스에 설치되기 때문에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핸드피스의 제조비용 상승을 가져옴은 물론 핸드피스의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의 정밀한 시술을 요하는 외과 수술에서 의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기민한 시술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핸드피스가 대단히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이 불가능(감염이나 파손사용의 위험 때문)하다는 점에서, 상술한 핸드피스의 복잡한 구조는 수술비용 증가의 측면으로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핸드피스와 제너레이터를 연결하는 출력 케이블에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를 위한 3개의 전선이 들어가기 때문에 케이블의 텐션이 떨어져 핸드피스를 가지고 시술하는 의사의 자유로운 핸드피스 이동 및 자세전환을 방해하여 시술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는,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출력 케이블을 통해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너레이터 출력 케이블의 말단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전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전선 및 제 3 전선에 동시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및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에는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 또는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는, 양극 모드 동작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4 전선 및 제 5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출력 케이블을 통해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너레이터 출력 케이블의 말단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4 전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5 전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에는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 또는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는,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과 단극 모드의 전원을 인가받아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 박스;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연결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연결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는,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단극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양극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과 단극 모드의 전원을 인가받아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 박스;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연결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연결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는 조직 절단용의 단극 전극과 소작용의 양극 전극을 함께 갖추며 전극 핸드피스의 교체 비용을 줄이고 의사의 시술 기능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핸드피스의 몸체에 종래와 같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절환을 위한 핸드 스위치가 구성될 필요가 없어서 핸드피스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핸드피스는 단극 모드와 양극 모드의 절환을 위한 스위치가 핸드 스위치로서 핸드피스에 설치되기 때문에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핸드피스의 제조비용 상승을 가져옴은 물론 핸드피스의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의 정밀한 시술을 요하는 외과 수술에서 의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기민한 시술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에는 이러한 핸드 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핸드 피스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단히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이 불가능(감염이나 파손사용의 위험 때문)하다는 점에서, 상술한 핸드피스의 단순한 구조는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득뿐만 아니라 핸드피스의 무게를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기민한 움직임을 요하는 장시간의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의 피로도를 낮추어 시술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하며 보다 정밀한 시술을 보장하게 된다.
또한, 출력 소켓과 출력 케이블 그리고 플러그를 포함하는 케이블 부재는 핸드피스로 제너레이터의 출력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너레이터와 핸드피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므로, 케이블 부재가 핸드피스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케이블 부재의 형태가 아닌 액세서리 형태의 착탈형 케이블 부재가 되므로 오염으로 인한 감염을 막기 위해 잦은 교체가 일어나는 고가의 핸드피스에 대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출력 케이블 내 구성이 3개의 전선에서 2개의 전선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출력 케이블은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어 시술자의 피로도를 낮추면서도 정밀한 핸드피스 움직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2개의 전선을 이용한 출력 케이블 구성시에도 역전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 모드 개시시 페달의 2 단계 누름 동작을 통해 모드 절환시의 예기치 못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 핸드피스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듀얼 모드 전기 수술 장치의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의 내부 전원 전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조직 절단용의 단극 전극과 소작용의 양극 전극을 함께 갖추며 전극 핸드피스의 교체 비용을 줄이고 의사의 시술 기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기 수술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 수술 장치는 고주파(RF)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수술 제너레이터(130)과 해당 제너레이터(13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하는 핸드피스(110)와 상기 핸드피스(110)의 단극 모드 및 양극 모드 절환을 위해 구비되는 풋스위치(160)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제너레이터(130)에는 전류가 핸드피스(110)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가 연결된다.
상기 제너레이터(130)에는 착탈 가능한 출력 소켓(120)이 결착되며, 제너레이터(13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RF) 출력이 해당 출력 소켓(120)을 통해 출력되어 출력 케이블(150)을 거쳐 핸드피스(110)에 대해 착탈 가능한 플러그(118)로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 소켓(120)과 출력 케이블(150) 그리고 플러그(118)를 포함하는 케이블 부재는 핸드피스(110)로 제너레이터(130)의 출력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너레이터(130)와 핸드피스(11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 부재가 핸드피스(110)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 케이블 부재의 형태가 아닌 액세서리 형태의 착탈형 케이블 부재가 되므로 오염으로 인한 감염을 막기 위해 잦은 교체가 일어나는 고가의 핸드피스(110)에 대한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해당 출력 케이블(150)은 제너레이터(1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핸드피스(110)로 전달하기 위한 3개의 전선(150a, 150b, 150c)을 포함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출력 케이블(150)의 제 1 전선(150a)과 제 2 전선(150b)은 혈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의 전원을 핸드피스(1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너레이터(130)의 양극 전원 발생부(BP)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출력 케이블(150)의 제 3 전선(150c)은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의 전원을 핸드피스(11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너레이터(130)의 단극 전원 발생부(MP)에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출력 케이블(150)의 3개의 전선(150a, 150b, 150c)은 핸드피스(110)에 대해 착탈 가능한 플러그(118)에서 2개의 접점에 그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너레이터(130)의 양극 전원 발생부(BP)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1 전선(150a) 및 제 2 전선(150b)은 각각 플러그(118)의 제 1 접점(118a) 및 제 2 접점(118b)에 타단이 각각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너레이터(130)의 단극 전원 발생부(MP)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 3 전선(150c)은 플러그(118)의 제 2 접점(118b)에 타단이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플러그(118)의 제 1 접점(118a) 및 제 2 접점(118b)은 각각 접속핀을 통해 리셉터클(117)에 연결되어 핸드피스(110)에 양극 및 단극 활용을 위한 전원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지 2개의 전선만이 인입되는 핸드피스(110)에 대하여 사용자는 풋 스위치(160)를 통해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의 구동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풋 스위치(160)에 대한 사용자 선택과 이에 따른 제너레이터(130)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해당 제너레이터(130)는 고주파 교류전류를 출력시키는 고주파 발생장치(131), 발생되는 고주파 전류를 선택 모드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부(132), 출력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출력 소켓(133), 사용자의 설정 입력이나 상황 표시를 위한 입력 및 표시 판넬(134), 사용자의 설정치나 기본 셋팅이 기록되는 메모리(136) 및 상기 각 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현재의 전기 수술기기는 전형적으로 고주파 AC 파형들과 같은 메가사이클 범위의 RF 전류를 발생시키는 파워 서플라이, RF 오실레이터를 포함한다. 절단의 목적을 위해서 이러한 AC 파형은 대략적인 DC 파형을 발생하도록 완전히 필터링되며, 응고의 목적을 위해서 AC 파형은 반파 정류 파형을 발생하도록 부분적으로 정류(예컨데, 반파 정류)된다. 이는 정류기 및 필터 구성요소들을 절단 모드로 그리고 정류기 구성요소들을 응고 모드로 스위칭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는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풋 스위치(160)를 통해 사용자가 양극 모드 또는 단극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스위칭부(132)를 통해 출력 전원이 스위칭되어 출력 소켓(133)과 연결된 전선들(150a, 150b, 150c) 중 해당 모드에 상응하는 전선에 고주파 출력이 인가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시 도 4를 참조하여, 핸드피스(1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셉터클(117)을 통해 인입되는 2개의 전선은 구경 덮개(112)를 따라 전극 어셈플리(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핸드피스(110)의 전극 어셈블리(111)는 겸자 형태로 구성된 2개의 전극 즉, 제 1 전극(111a)과 제 2 전극(111b)이 마련되어 조직을 집거나 누룰 수 있게 되며, 제 1 전극(111a)과 제 2 전극(111b)에는 상술한 2개의 전선이 각각 연결되게 된다.
또한, 해당 전극 어셈블리(111)에는 내부 전선을 절연시키고 겸자의 집게 동작을 보호하기 위한 구경 덮개(112)가 길게 연결된다. 이러한 핸드피스(110)의 몸체(116)에는 엄지 손잡이(113)와 손가락 손잡이(114)가 구비되어 내부 스프링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전극 어셈블리(111)의 집게 동작을 강제하게 된다.
따라서, 핸드피스(110)에서는 제 1 전선(150a)이 고정형으로 플러그(118)의 제 1 접점(118a)을 경유하여 제 1 전극(11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사용자의 풋 스위치(160)의 모드 선택에 따라 플러그(118)의 제 2 접점(118b)에 연결된 제 2 전선(150b) 또는 제 3 전선(150c)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인입됨으로써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가 결정된다. 좀더 정확히 말하면, 양극 모드에서 상기 제 2 전선(150b)은 귀환경로로서 작용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모드를 통한 소작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풋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제너레이터(130)에서 발생된 고주파(RF) 출력이 제 1 전선(150a)을 따라 플러그(118)의 제 1 접점(118a)을 거쳐 제 1 전극(111a)에 전달되며, 조직(tissue)을 경유하여 생체조직과 혈관을 응고시키며 귀환(return) 경로로서 제 2 전극(111b)을 따라 플러그(118)의 제 2 접점(118b)를 거쳐 상기 제 2 전선(150b)를 통해 제너레이터(130)로 귀환된다.
반면,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풋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제너레이터(130)에서 발생된 출력은 제 3 전선(150c)을 통해 제 2 전극(111b)과 제 1 전극(111a)(조직 경유)을 모두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직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정밀 절단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전원은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에 의해 귀환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핸드피스(110)의 몸체(116)에 종래와 같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절환을 위한 핸드 스위치가 구성될 필요가 없어서 핸드피스(110)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핸드피스는 단극 모드와 양극 모드의 절환을 위한 스위치가 핸드 스위치로서 핸드피스에 설치되기 때문에 복잡한 내부 구조로 인해 핸드피스의 제조비용 상승을 가져옴은 물론 핸드피스의 무게가 무거워서 장시간의 정밀한 시술을 요하는 외과 수술에서 의사의 피로도를 증가시키고 기민한 시술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에는 이러한 핸드 스위치가 없기 때문에 핸드 피스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대단히 고가의 장비임에도 불구하고 재사용이 불가능(감염이나 파손사용의 위험 때문)하다는 점에서, 상술한 핸드피스의 단순한 구조는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득뿐만 아니라 핸드피스의 무게를 낮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는 기민한 움직임을 요하는 장시간의 시술 과정에서 시술자의 피로도를 낮추어 시술 집중도를 높일 수 있게 하며 보다 정밀한 시술을 보장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핸드피스의 구성은 다음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더욱 간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 수술 장치는 고주파(RF)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수술 제너레이터(130)과 해당 제너레이터(13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하는 핸드피스(110)와 상기 핸드피스(110)의 단극 모드 및 양극 모드 절환을 위해 구비되는 풋스위치(160)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제너레이터(130)에는 전류가 핸드피스(110)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너레이터(130)와 핸드피스(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출력 케이블(150)에는 2개의 전선만이 구비된다.
즉, 제너레이터(130)의 착탈 가능한 출력 소켓(120)에 연결되는 출력 케이블(150)은 제 4 전선(150d)과 제 5 전선(150e)만이 연결되어, 양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와 단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면, 제너레이터(130)에는 풋 스위치(160)의 모드 절환(양극 모드, 단극 모드)에 따라 고주파 발생장치(131)의 출력선을 선택하는 셀렉터(137)가 구비되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통상적인 고주파 발생장치(131)에는 양극 모드를 위한 2개의 출력선(131a, 131b)과 단극 모드를 위한 1개의 출력선(131c)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셀렉터(137)는 기존의 양극 모드에서 제 2 전극(111b)와 연결되는 제 2 출력선(131b)과 단극 모드에서 제 2 전극(111b)과 연결되는 제 3 출력선(131c)에 대하여 풋 스위치(160)의 모드 절환에 따라 제 2 출력선(131b)과 제 3 출력선(131c)을 선택하여 출력 소켓(133)측과 연결된 제 4 출력선(131d)과 연결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양극 및 단극 모드에서 모두 제 1 전극(111a)과 연결되는 제 1 출력선(131a)은 고정적으로 출력 소켓(133)과 연결된다.
따라서, 양극 모드를 통한 소작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풋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셀렉터(137)는 제 2 출력선(131b)을 선택하여 출력 소켓(133) 측의 제 4 출력선(131d)과 연결시킴으로써 해당 경로를 양극 모드의 귀환 경로로 만든다.
반면,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풋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셀렉터(137)는 제 3 출력선(131c)을 선택하여 출력 소켓(133) 측의 제 4 출력선(131d)과 연결시킴으로써 해당 경로를 단극 모드를 위한 활성 경로로 만든다.
물론, 고주파 발생장치(131)의 제 1 출력선(131a)은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에서 모두 활성 경로로 고정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제너레이터(130)에서 핸드피스(110)까지의 출력 케이블(150)은 단지 2개의 전선(150d, 150e)만이 설치(보다 정확하게는, 출력 소켓(133)에서 플러그(118)까지)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케이블(150) 내 구성이 3개의 전선에서 2개의 전선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출력 케이블(150)은 보다 탄력적이고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핸드피스(110)를 파지하고 시술하는 시술자는 유연한 출력 케이블(150)로 인해 핸드피스(110)를 이동시키고 자세전환시키는데 있어서 보다 원활한 이동과 자세전환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이는 장시간의 시술 환경과 잦은 핸드피스(110) 활용 동작을 취하는 시술자에게 있어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제 2 실시예의 경우 출력 케이블(150) 내 전선의 수가 2 가닥으로 줄기 때문에 탄력적이고 유연한 움직임이 가능하지만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시에 2개의 전극간 접속에 의해 역전류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역전류 방지를 위한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 수술 장치는 고주파(RF)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수술 제너레이터(130)과 해당 제너레이터(13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하는 핸드피스(110)와 상기 핸드피스(110)의 전원 모드 절환을 위해 구비되는 풋스위치(160)과 상기 핸드피스(110)의 양극 모드 절환을 위해 구비되는 스위치 박스(170)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제너레이터(130)에는 전류가 핸드피스(110)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너레이터(130)와 핸드피스(110)의 사이에는 양극 모드 절환을 위한 스위치 박스(170)가 구비되며, 해당 스위치 박스(170)와 핸드피스(110)의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출력 케이블(180)에는 역시 2개의 전선만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 박스(170)에 연결되는 출력 케이블(180)은 제 1 연결선(180a)과 제 2 연결선(180b)만이 연결되어, 양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와 단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 박스(17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9을 참조하면, 스위치 박스(170)의 상부에는 양극 모드를 위한 제 1 전선(150a) 및 제 2 전선(150b)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가 고정적으로 설치되며, 스위치 박스(170)의 하부에는 단극 모드를 위한 제 3 전선(150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단자(176c) 및 제 4 단자(176d)가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의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와 하부의 제 3 단자(176c) 및 제 4 단자(176d)의 사이에는 상하로 승하강되는 이동체(174)가 구비되며, 해당 이동체(174)에는 전기적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는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이 결합된다.
이때, 이러한 제 1 도전봉(171)은 상기 이동체(174)의 승하강에 따라 상부의 제 1 단자(176a)와 하부의 제 3 단자(176c)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제 2 도전봉(172)은 상기 이동체(174)의 승하강에 따라 상부의 제 2 단자(176b)와 하부의 제 4 단자(176d)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이러한 이동체(174)는 페달(175)의 눌림 여부에 따라 상하로 승하강하게 된다. 해당 페달(175)은 시술자의 발에 의해 눌려지는 풋 스위치 장치이다.
이때, 해당 페달(175)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단계(A, B)의 눌림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단계(A)의 눌림시, 해당 이동체(174)는 승강하여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이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단계(B)의 눌림시, 해당 이동체(174)는 더욱 승강하여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이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에 완전하게 삽입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 2 단계(B)의 눌림에 따라 페달(175)의 하부에 장치된 제 3 도전봉(173)은 스위치 박스(170)의 바닥면에 있는 제 5 단자(176e)에 접촉되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너레이터(130)가 양극 전원의 출력을 개시하도록 한다.
이때, 도전봉이 단자에 접촉하거나 삽입되는 것은 모두 전기적 연결을 의미한다.
그리고, 해당 제 1 도전봉(171)은 핸드피스(110)와 연결되는 제 1 연결선(180a)과 고정적으로 접속되며, 제 2 도전봉(172)도 핸드피스(110)와 연결되는 제 2 연결선(180b)과 고정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에서 상부의 상기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가 고정되는 판은 스위치 박스(170)의 외벽에 탄성체(예컨데, 스프링)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이동체(174)의 승하강에 따른 영향(도전봉의 삽입에 따른 단자 판 밀림 등)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하부의 제 3 단자(176c) 및 제 4 단자(176d)가 고정되는 스위치 박스(270)의 외벽에도 탄성체가 고정되어 해당 이동체(174)의 승하강에 따른 영향(도전봉의 삽입시 단자 파손 등)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제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사에 의해 스위치 박스(170)의 페달(175)이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이동체(174)는 하강 상태에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 1 도전봉(171)과 제 2 도전봉(172)은 각각 제 3 단자(176c) 및 제 4 단자(176d)에 접속되어 유지되게 된다.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풋 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제너레이터(130)의 단극 출력(MP)은 제 3 전선(150c)를 통해 제 3 단자(176c) 및 제 4 단자(176d)에 전달되며 해당 단자들에 삽입된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를 통해 제 1 연결선(180a) 및 제 2 연결선(180b)에 전달되어 제 1 전극(111a)과 제 2 전극(111b)을 모두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직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정밀 절단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전원은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에 의해 귀환된다.
한편, 양극 모드시에는 2 단계(A, B)의 눌림 과정을 거치게 된다.
우선 양극 모드를 통한 소작 동작을 위하여 의사에 의해 스위치 박스(170)의 페달(175)이 제 1 단계(A)로 눌리게 되면, 내부 이동체(174)는 승강하여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이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와 접촉하게 되며, 동시에 하부 단자(176c, 176d)들과의 접촉은 해제되게 된다.
다음으로, 페달(175)이 제 2 단계(B)로 눌리게 되면, 페달(175)의 제 3 도전봉(173)이 제 5 단자(176e)와 접촉됨으로써 제너레이터(130)가 양극 전원의 출력을 개시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제 1 도전봉(171) 및 제 2 도전봉(172)이 제 1 단자(176a) 및 제 2 단자(176b)에 완전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제너레이터(130)의 양극 출력(BP)은 제 1 전선(150a)을 따라 제 1 단자(176a)에 전달되고 제 1 도전봉(171)을 경유하여 제 1 연결선(180a)을 따라 핸드피스(110)의 제 1 전극(111a)에 전달되며, 조직(tissue)을 경유하여 생체조직과 혈관을 응고시키며 귀환(return) 경로로서 제 2 전극(111b)을 따라 제 2 연결선(180b)를 거쳐 상기 제 2 도전봉(172)에 전달되며 제 2 단자(176b)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전선(150b)를 통해 제너레이터(130)로 귀환된다.
이와 같이, 양극 모드시 2 단계의 눌림 동작을 요구하는 것은 한번의 페달의 눌림에 따라 급속하게 단극 모드와 양극 모드가 절환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스파크 전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1 단계의 눌림을 통해 단극 모드와의 절단을 수행하고 2 단계의 눌림에 따라 양극 모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는 페달 동작은 매우 안정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역전류 방지를 위한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기 수술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전기 수술 장치는 고주파(RF) 출력을 제공하는 전기수술 제너레이터(130)과 해당 제너레이터(13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조직 절단을 위한 단극 모드와 소작을 위한 양극 모드로 구동하는 핸드피스(110)와 상기 핸드피스(110)의 전원 모드 절환을 위해 구비되는 스위치 박스(270)와 상기 핸드피스(110)를 양극 모드로 시술자가 절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박스(270)에 연결되는 양극 풋스위치(190)와, 상기 핸드피스(110)를 단극 모드로 시술자가 절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너레이터(130)에 연결되는 단극 풋스위치(160)로 이루어지며, 해당 제너레이터(130)에는 전류가 핸드피스(110)로부터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너레이터(130)와 핸드피스(110)의 사이에는 양극 모드 절환을 위한 스위치 박스(270)가 구비되며, 해당 스위치 박스(270)와 핸드피스(110)의 사이에서 전기적 연결을 담당하는 출력 케이블(180)에는 역시 2개의 전선만이 구비된다.
즉, 상기 스위치 박스(270)에 연결되는 출력 케이블(180)은 제 1 연결선(180a)과 제 2 연결선(180b)만이 연결되어, 양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와 단극 모드를 위한 전원 전달 경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 박스(27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11을 참조하면, 스위치 박스(270)에는 양극 모드를 위한 제 1 전선(150a) 및 제 2 전선(150b)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이 바닥과 이격하여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의 일측 단부에는 단극 모드를 위한 제 3 전선(150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이 고정적으로 수평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과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은 서로 마주하는 끝단 부위가 일정 부분 맞물려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수평하게 배치되며, 여기에서 상기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이 이와 맞물리는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 보다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 상에는 해당 단자판(271a, 271b)의 수평 높이를 일정하게 고정하는 탄성체인 스프링 부재(272a, 272b)가 설치되게 되는데, 해당 스프링 부재(272a, 272b)는 바닥면에 고정된 기둥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해당 단자판(271a, 271b)의 상면에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해당 단자판(271a, 271b)이 수평 상태로 하강하는 것을 억제하는 탄성력을 단자판(271a, 271b)에 작용시킨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272a, 272b)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의 끝단 부위가 각각 상기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끝단 부위에 항상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의 하부에는 전원 인가에 따라 자성을 가지는 마그네틱 부재(275)가 고정적으로 배치되며, 시술자의 양극 풋스위치(190) 누룸 동작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도시 생략)에 의해 해당 마그네틱 부재(275)는 자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자성에 의해 끌어당겨진 상기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은 수평 상태로 하강하게 되고, 결국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과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스위치 박스(270)은 평상시에는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과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단극 모드 전원을 출력하게 되지만, 마그네틱 부재(275)가 자성을 가짐에 따라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과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면서 양극 모드 전원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해당 스위치 박스(270)에는 마그네틱 부재(275)가 자성을 가진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발생시켜 제너레이터(130)에 전달하는 타이머(276)가 구비된다.
상기 타이머(276)는 해당 마그네틱 부재(275)가 자성을 가지는 시점을 포착하고 설정된 시간(예컨데, 0.15초)이 경과하면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제너레이터(130)가 양극 전원의 출력을 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단극 모드에서 양극 모드로의 전환시, 먼저 마그네틱 부재(275)의 작동으로 단극 전원의 흐름을 차단(단자판 접촉 해제)시키고 그 후 타이머(276)의 동작에 의해 시차(예컨데, 0.15초)를 두고 양극 전원이 단자판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역전류의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예기치 못한 스파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전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술자에 의해 스위치 박스(270)에 연결된 양극 풋스위치(190)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위치 박스(270) 내 스프링 부재(272a, 272b)에 의해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과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때, 단극 모드를 통한 절단 동작을 위하여 시술자에 의해 단극 풋스위치(160)가 눌려지면 제너레이터(130)의 단극 출력(MP)은 제 3 전선(150c)를 통해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에 전달되며 해당 단자판들과 접촉된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을 통해 출력 단자판(274a, 274b)를 통해 제 1 연결선(180a) 및 제 2 연결선(180b)에 전달되어 제 1 전극(111a)과 제 2 전극(111b)을 모두 활성화시킴으로써 조직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정밀 절단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전원은 환자 조직을 경유하여 도착하는 복귀 패드(140)에 의해 귀환된다.
한편, 양극 모드를 통한 소작 동작을 위하여 시술자에 의해 스위치 박스(270)의 양극 풋스위치(190)이 눌리게 되면, 스위치 박스(270) 내부의 마그네틱 부재(275)는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전원(도시 생략)에 의해 자성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자성에 의해 끌어당겨진 상기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은 수평 상태로 하강하게 되고, 결국 제 1 단자판(271a) 및 제 2 단자판(271b)과 제 3 단자판(271c) 및 제 4 단자판(271d)의 접촉 상태는 해제되게 된다.
이때, 해당 마그네틱 부재(275)의 자성 상태에 따라 타이머(276)에 의해 소정 시간(예컨데, 0.15초) 경과 후 신호를 전달받은 제너레이터(130)가 양극 전원의 출력을 개시하게 된다.
따라서, 제너레이터(130)의 양극 출력(BP)은 제 1 전선(150a)을 따라 제 1 단자판(271a)에 전달되고 제 1 출력 단자판(274a)를 경유하여 제 1 연결선(180a)을 따라 핸드피스(110)의 제 1 전극(111a)에 전달되며, 조직(tissue)을 경유하여 생체조직과 혈관을 응고시키며 귀환(return) 경로로서 제 2 전극(111b)을 따라 제 2 연결선(180b)를 거쳐 제 2 출력 단자판(274b)에 전달되며 제 2 단자판(271b)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전선(150b)을 통해 제너레이터(130)로 귀환된다.
따라서 마그네틱 부재(275)의 자성에 따라 단극 모드와의 절단을 수행하고 타이머(276)의 시간 지연에 따라 양극 모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는 동작은 역전류의 흐름을 방지하고 스파크의 발생을 차단하여 매우 안정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출력 케이블을 통해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너레이터 출력 케이블의 말단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전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전선 및 제 3 전선에 동시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및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에는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 또는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양극 모드시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출력은 상기 제 1 전선을 따라 플러그의 제 1 접점을 경유하여 제 1 전극에 인가되며, 제 2 전극을 따라 플러그의 제 2 접점을 경유하여 제너레이터에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단극 모드시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출력은 상기 제 3 전선을 따라 플러그의 제 2 접점을 경유하여 제 2 전극과 제 1 전극에 인가되며, 복귀 패드를 통해 제너레이터에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4. 양극 모드 동작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4 전선 및 제 5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제너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출력 케이블을 통해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제너레이터 출력 케이블의 말단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4 전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5 전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며,
    상기 제너레이터에는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 또는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너레이터는,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출력선 및 제 2 출력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출력선을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고주파 출력을 하는 고주파 발생장치; 및
    상기 풋스위치에 대한 시술자의 선택제어에 따라 양극 모드시 상기 제 2 출력선을 통전시켜 해당 제 2 출력선을 출력 소켓측과 연결된 제 4 출력선과 연결시키고, 단극 모드시 상기 제 3 출력선을 통전시켜 해당 제 3 출력선을 출력 소켓측과 연결된 제 4 출력선과 연결시키는 셀렉터; 를 포함하여,
    양극 모드시 제 2 출력선이 핸드피스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제 3 출력선이 핸드피스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양극 모드시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출력은 제 1 출력선을 통해 출력되어 상기 제 4 전선을 따라 플러그의 제 1 접점을 경유하여 제 1 전극에 인가되며, 제 2 전극을 따라 플러그의 제 2 접점을 경유하고 제 5 전선을 따라 셀렉터의 선택에 의해 제 4 출력선 및 제 2 출력선을 통해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단극 모드시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고주파 출력은 셀렉터의 선택에 의해 제 3 출력선 및 제 4 출력선을 통해 출력되어 제 5 전선을 따라 플러그의 제 2 접점을 경유하여 제 2 전극과 제 1 전극에 인가되며, 복귀 패드를 통해 제너레이터에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8.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과 단극 모드의 전원을 인가받아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 박스;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연결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연결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는,
    상부에 위치되며,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하부에 위치되며,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과 연결되는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
    상기 상하부의 단자들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연결선이 연결된 제 1 도전봉과 상기 제 2 연결선이 연결된 제 2 도전봉이 구비되어 승하강에 따라 제 1 도전봉 및 제 2 도전봉을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나 또는 제 3 단자 및 제 4 단자에 접속시키는 이동체; 및
    시술자의 발에 의해 눌려져 상기 이동체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페달; 을 포함하여,
    이동체의 하강 상태를 유지하여 단극 모드 동작을 대비하고 상기 페달의 눌림에 따라 이동체를 승강시켜 양극 모드 동작을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10.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을 내장한 출력 케이블을 통해 고주파 출력을 제공하는 제너레이터;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단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단극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을 출력하도록 선택제어하는 양극 풋스위치;
    상기 출력 케이블을 통해 양극 모드의 전원과 단극 모드의 전원을 인가받아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을 통해 출력하는 스위치 박스;
    상기 스위치 박스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전원을 인가받아 전극 어셈블리를 통해 양극 모드와 단극 모드의 동작을 수행하는 핸드피스; 및
    상기 제너레이터와 연결되며, 단극 모드시 전극 어셈블리의 전원을 제너레이터에 복귀시키는 복귀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피스는,
    상기 스위치 박스의 제 1 연결선 및 제 2 연결선과 결합되며, 내부 제 1 접점이 상기 제 1 연결선과 접속되고 제 2 접점이 상기 제 2 연결선에 접속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1 접점 및 제 2 접점과 접속되어 제너레이터 출력을 인가받는 리셉터클;
    상기 플러그의 제 1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상기 플러그의 제 2 접점에 내부 전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 2 전극이 겸자 형태로 구비되는 전극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박스는,
    양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1 전선 및 제 2 전선과 각각 연결되어 수평 배치되는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
    단극 모드 동작을 위한 제 3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의 끝단 부위와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끝단이 각각 맞물려 접촉한 상태로 수평 배치되는 제 3 단자판 및 제 4 단자판;
    바닥면에 고정된 기둥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의 상면에 타단이 고정됨으로써 해당 단자판의 하강을 억제하는 스프링 부재;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양극 풋스위치의 누룸 동작에 따라 자성을 가져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을 끌어당겨 제 3 단자판 및 제 4 단자판과의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는 마그네틱 부재; 를 포함하여,
    평시 상기 스프링 부재의 탄성에 의한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과 제 3 단자판 및 제 4 단자판의 접촉 상태 유지에 따라 단극 모드 동작을 대비하고, 상기 마그네틱 부재의 자성에 따라 단극 모드와의 절단을 수행하고 양극 모드의 전원 공급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 부재가 자성을 가진 이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너레이터에 전달하는 타이머를 더 포함하여,
    단극 모드에서 양극 모드로의 전환시, 먼저 마그네틱 부재의 자성에 따라 단극 전원의 흐름을 차단시키고 그 후 상기 타이머의 동작에 의해 시차를 두고 양극 전원이 상기 제 1 단자판 및 제 2 단자판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수술 장치.
PCT/KR2009/001825 2008-05-19 2009-04-08 전기 수술 장치 WO2009142393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037A KR100879617B1 (ko) 2008-05-19 2008-05-19 전기 수술 장치
KR10-2008-0046037 2008-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93A2 true WO2009142393A2 (ko) 2009-11-26
WO2009142393A3 WO2009142393A3 (ko) 2010-01-21

Family

ID=40482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825 WO2009142393A2 (ko) 2008-05-19 2009-04-08 전기 수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79617B1 (ko)
WO (1) WO200914239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35A1 (ko) * 2013-12-27 2015-07-02 아이메디컴(주) 고주파 전기 치료기
US11259861B2 (en) 2016-02-23 2022-03-01 Covidien Lp Common connector for monopolar and bipolar instrum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091B1 (ko) * 2013-12-23 2015-12-10 이에스산전주식회사 음성 인식 기반의 모드 전환 기능을 가지는 전기적 외과 수술 장치
KR101576092B1 (ko) * 2013-12-23 2015-12-10 이에스산전주식회사 과전류 보호 기능을 가지는 전기적 외과 수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304B1 (en) * 1999-10-15 2001-09-11 Neothermia Corporation Interstitial cauterization of tissue volumes with electrosurgically deployed electrodes
US20050101945A1 (en) * 2001-10-16 2005-05-12 Olympus Corporation Treating apparatus and treating device for treating living-body tissue
JP2005144192A (ja) * 2003-11-17 2005-06-09 Sherwood Services Ag モノポーラ伸張部を備えているバイポーラ鉗子
US7131860B2 (en) * 2003-11-20 2006-11-07 Sherwood Services Ag Connector systems for electrosurgical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09421A (pt) * 1995-06-23 1999-05-18 Gyrus Medical Ltd Instrumento eletrocirúrgico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7304B1 (en) * 1999-10-15 2001-09-11 Neothermia Corporation Interstitial cauterization of tissue volumes with electrosurgically deployed electrodes
US20050101945A1 (en) * 2001-10-16 2005-05-12 Olympus Corporation Treating apparatus and treating device for treating living-body tissue
JP2005144192A (ja) * 2003-11-17 2005-06-09 Sherwood Services Ag モノポーラ伸張部を備えているバイポーラ鉗子
US7131860B2 (en) * 2003-11-20 2006-11-07 Sherwood Services Ag Connector systems for electrosurgical gen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335A1 (ko) * 2013-12-27 2015-07-02 아이메디컴(주) 고주파 전기 치료기
US11259861B2 (en) 2016-02-23 2022-03-01 Covidien Lp Common connector for monopolar and bipolar instru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42393A3 (ko) 2010-01-21
KR100879617B1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8286A1 (en) Partitioned surgical instrument
CN101951849B (zh) 带有可去除工具仓的手术器械
US7122032B2 (en) Operation system and mounting device for external device for use in the operation system
CA2503858C (en) Electrosurgical generator and method with removable front panel having replaceable electrical connection sockets and illuminated receptacles
CN106214250B (zh) 具有可移除的构件的外科器械
US20010029315A1 (en) Surgical operation system
JPH09503423A (ja) 可動で切換え可能な電気外科手術用ハンドピース
KR20170041887A (ko) 조명된 전기 수술 시스템 및 이용 방법
WO2009142393A2 (ko) 전기 수술 장치
US20080114350A1 (en) Matrix router for surgical ablation
CN103385753A (zh) 用于激活具有电切割机构的电外科血管封闭器械的设备
US20150100053A1 (en) Scanning cannula
WO2021235862A1 (ko) 전기 수술용 장치
JP2022027783A (ja) 同時の電気手術シーリング及び切断
JP2000254153A (ja) マルチジョイントチューブを備えた医療装置、マルチジョイント診療機器、マルチジョイント用アダプタ
CA3074685A1 (en) Energy disconnect for robotic surgical assemblies
WO2012169846A4 (ko) 주파수 패턴을 이용한 전기 자극기
WO2013081397A1 (ko) 외과 수술 장치
KR101910643B1 (ko) 다중 인터페이싱 기반 수술 중 신경모니터링 시스템
WO2017069368A1 (ko) 전극봉을 구비한 외과수술용 세정장치
JP2000210301A (ja) 手術機器
WO2001037745A1 (en) Switching appliance for electrosurgical devices
JPH05184589A (ja) 電気手術器
CN113164222A (zh) 集成功率单元ipu
WO2024106843A1 (ko) 피부 치료용 카트리지의 결합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507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507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