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10724A2 -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10724A2
WO2009110724A2 PCT/KR2009/001030 KR2009001030W WO2009110724A2 WO 2009110724 A2 WO2009110724 A2 WO 2009110724A2 KR 2009001030 W KR2009001030 W KR 2009001030W WO 2009110724 A2 WO2009110724 A2 WO 200911072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server
desk
environment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0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10724A3 (ko
Inventor
맹기복
한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맥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맥학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맥학원
Publication of WO200911072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0724A2/ko
Publication of WO200911072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072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Definitions

  • Figure 2 (c) is an example of the learner personalized table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learning aid playback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료 요청사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모듈과, 요청된 해당 학습자료가 출력되는 영상표시 수단을 가진 단말부와, 상기 단말부와 연결되어 상기 요청사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료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로 이루어진 책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본 발명은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료 요청사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모듈과, 요청된 해당 학습자료가 출력되는 영상표시 수단을 가진 단말부와, 상기 단말부와 연결되어 상기 요청사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료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로 이루어진 책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학습 시스템은 종이문서를 이용한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과 인터넷 콘텐츠 등을 활용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으로 양분할 수 있다.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은 주로 학습자가 강의를 듣고, 종이 문서로 인쇄된 문제집 상의 문제를 풀고, 상기 문제집 상의 답을 참고하는 것이며,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주로 웹 기반의 콘텐츠 서비스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단말기인 컴퓨터 등에서 학습강의를 재생하거나 학습자료를 참고하는 것이다.
최근 상기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상기 오프라인 학습을 보조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나, 실상 기존의 온라인 학습이 오프라인 학습과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면서 상승 효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그 이유 중에 하나로서 상기 양 학습 시스템 간의 외적 괴리감을 들 수 있는데, 기존의 온라인 학습이 행해지는 환경은 주로 영상을 재생하는 학습자의 단말기인 컴퓨터 등이므로 상기 컴퓨터는 학습이 아닌 다른 목적, 즉 학습을 방해하는 게임이나 웹서핑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자칫 학습 집중도를 떨어뜨릴 가능성이 크다. 또한 컴퓨터의 소음, 발열, 전자파 등으로 인해 학습자는 학업에의 집중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다. 다른 이유 중 하나로서 양 학습 시스템 간의 내적 괴리감을 들 수 있는데, 기존의 온라인 학습 매체는 메모와 필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즉 온라인 학습 시스템에서는 해당 부분의 의문사항을 질의하는 문답학습이나 심화학습을 위해서 온라인 강의 도중 그 즉시 취할 수 있는 조치가 드문 것이 현실이다. 다시 말하면 온라인 강의에서 해당 페이지를 참고하는 것이나, 반대로 오프라인에서 해당 인터넷 콘텐츠를 참고하는 것은 종래에 존재하는 방법이지만 의문사항이 생길 경우 교재의 해당 페이지와 라인을 찾거나 반대로 그제야 컴퓨터를 켜야 하는 상황에서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일이고, 또한 해당 시간 동안 학습이 중단되므로 종래의 학습자들은 이를 불편하게 여기고 꺼려온 것이 사실이며, 사실상 컴퓨터를 다루는데 능숙하지 못할 경우에 문제가 된다. 즉, 온라인 학습 시스템은 온라인 학습 시스템대로,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은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대로 긴밀한 연관 관계없이 활용되어 왔던 것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온라인 시스템의 부수적 문제인 집중도 저하 문제와 오프라인 학습 환경의 문제인 부팅(booting)/검색 시간의 연체(延滯) 현상으로 인하여 양 학습 시스템에서 긴밀한 연계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기 오프라인/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괴리감을 좁히고,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함과 동시에 학습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와 성실도를 높이도록 하기 위한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은, 학습자료 요청사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모듈과, 요청된 해당 학습자료가 출력되는 영상표시 수단을 가진 단말부와, 상기 단말부와 연결되어 상기 요청사항 정보를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료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로 이루어진 책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은 오프라인 학습 시스템의 주류를 이루는 학습 책상에 학습자료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부를 장착하여 상기 오프라인/온라인 학습 시스템의 장소적 거리감을 좁히고, 학습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 기온, 습도, 조도를 조절하는 환경조절부를 장착하여 학습 집중도를 높이며, 또한 학습자 스스로 작성한 스케줄에 따라서 해당 학습자료를 서비스하고 이에 따른 응분의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학업 성취감과 성실성을 높여 궁극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구성도,
도 2의 (a)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스케줄 테이블의 예,
도 2의 (b)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주소 테이블의 예,
도 2의 (c)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자 맞춤 테이블의 예,
도 2의 (d)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경 테이블의 예,
도 2의 (e)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성실 가산점 테이블의 예,
도 2의 (f)는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미디어 테이블의 예,
도 3 은 본 발명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책상
110; 전원 공급부
120; 유무선 통신부
130; 단말부
131; 영상 표시수단
132; 입력모듈
132-1; 학습자 로그인수단
132-2; 웹주소/ 한글주소 입력 수단(키보드, 바코드 입력기 등)
132-3; 웹 사이트 선택 수단(터치스크린, 마우스 등)
133; 음성 출력수단
134; 영상 촬영수단
140; 환경조절부
141-1; 기온 감지수단
141-2; 기온 조절수단
142-1; 습도 감지수단
142-2; 습도 조절수단
143-1; 조도 감지수단
143-2; 조도 조절수단
200; 서버
210; 서비스부
211; 학습자료 서비스모듈
212; 스케줄링 서비스모듈
213;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
220; 관리부
221; 학습인증 모듈
222; 모니터링 모듈
223; 환경제어 모듈
230; 처리부
231; 학습자료 검색모듈
232; 성실도 산출 모듈
233; 스케줄 처리모듈
300; 데이터베이스
310; 학습자료 데이터
311; 동영상 학습자료 데이터
312; 정지화상 학습자료 데이터
313; 음성 학습자료 데이터
320; 멀티미디어 데이터
321; 동영상 멀티미디어 데이터
322; 정지화상 멀티미디어 데이터
323; 음성 멀티미디어 데이터
324; 문자 멀티미디어 데이터
330; 테이블
331; 학습자 스케줄 테이블
332; 성실 가산점 테이블
333; 미디어 테이블
334; 학습자 맞춤 테이블
335; 주소 테이블
336; 환경 테이블
400; 학부모/관리자 측 단말기
500; 유무선 통신 수단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는, 도 1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책상(100)과 서버(200) 및 데이터베이스(3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책상(100)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선/무선 통신 수단(500)을 통해 상기 서버(200)와 연결되며, 상기 서버(20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된다. 학부모/관리자의 단말기(400)는 상기 책상(100), 상기 서버(200)로부터 직/간접적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유선/무선 통신 수단(500)은 유/무선 인터넷망,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휴대형 무선인터넷(Wibro)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책상(100)은 전원 공급부(110), 유무선 통신부(120), 단말부(130), 환경조절부(14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책상(100)의 전원 공급부(110)는 유무선 통신부(120)와 단말부(130)와 환경조절부(140)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유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서버(200) 및/또는 학부모/관리자의 단말기(400)의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범용의 유선/무선 랜카드와 케이블 모뎀 등이 이용 가능하다. 상기 단말부(130)에는 상기 유무선 통신부(120)가 직접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단말부(130)로서 컴퓨터, 휴대폰, PDA 등의 모바일 기기 및 이를 이용한 개량 장치 등이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단말부(130)는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수단(131), 입력모듈(132)로 이루어지며 음성출력수단(133), 영상 촬영수단(134)이 부가됨으로써 당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수단(131)은 동영상, 정지화상 등의 학습자료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이며, 범용의 모니터가 이용될 수 있다. 개별 학습자들의 아이디, 비밀번호, 학습 스케줄 정보, 학습 주제명, 웹 주소 또는 기타 요구사항의 입력, 선택을 위해 상기 단말부(130)를 구성하는 입력 모듈(132)로서 키보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휴대폰 기타 모바일 기기, 바코드 입력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단말부(130)에 부가되는 음성 출력 수단(131)으로써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부(130)에 학습태도 관리를 위한 영상 촬영수단(134)이 부가될 경우, 흔히 사용되는 캠과 같은 동영상, 정지화상의 촬영이 가능한 수단이 사용된다. 상기 영상 촬영수단(134)은 촬영된 영상을 상기 유무선 통신부(120)를 통하여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거나 학습자의 관리자, 학부모 등의 단말기인 PC, 휴대폰, PDA 등으로 직접 송신함으로써 학습 태도를 보고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촬영된 영상은 범용의 이미지 캡쳐 도구 등이 이용되어 간단히 정지화상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 역시 상기 촬영된 영상과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부(130)로 수신된 학습자료,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습자가 시청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표시수단(131), 상기 음성 출력수단(133)을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상기 책상(100)에는 상기 학습자 환경의 환경 요인을 감지/조절하는 환경조절부(140)의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환경 요인 중 주요 요인으로는 기온, 습도, 조도 등이 있는데 기온으로 예를 들면, 상기 환경조절부(140)를 구성하는 기온 감지수단(141-1)이 학습자의 학습 당시 기온정보를 취득하면, 상기 단말부(130) 또는 유무선 통신부(120)는 상기 기온정보를 상기 유선/무선 통신 수단(500)을 거쳐 상기 서버(200)의 환경 제어모듈(223)로 송신한다. 상기 환경 제어모듈(223)은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 설정을 위해 상기 기온정보가 학습자 개인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에서 최적 환경변수 값을 검색하여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 송신한다. 상기 환경조절부(140)는 상기 최적 환경변수 값에 따라서 상기 환경조절부(140)를 구성하는 기온 조절수단(141-2)을 제어함으로써 학습자의 환경을 최적의 상태로 변화,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환경조절부(140)의 주기적 환경 요인 체크에 의한 피드백(Feed Back)에 의해 학습 환경의 쾌적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온 조절수단의 예로써는 냉방기, 난방기, 열선이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주요 환경 요인인 상기 습도와 조도는 도 1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온과 동일한 작동 원리를 가지며, 상기 환경조절부(140)를 구성하는 감지/조절 수단들은 환경요인 조절 수단의 적절한 조합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200)는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데이터와 입력 양식을 제공하는 서비스부(210), 학습자 인증, 학습자 모니터링, 학습 환경을 제어 기능을 가진 관리부(220), 학습자료 검색 및 학습자 성실도 산출, 학습자 스케줄 처리 기능을 가진 처리부(230)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버(200)의 서비스부(210)는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학습자료를 송신하는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 상기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 연/월/일/시 및 학습 단원 등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학습 스케줄 입력 양식인 스케줄 폼(form) 및 기타 스케줄링 수단을 제공하는 스케줄링 서비스 모듈(212), 학업 성취의 보상 수단인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는 동영상, 정지화상, 음성데이터, 문자데이터로 구성되고 학습자에게 학습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을 독려할 목적으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성실도 산출모듈(232)을 통해 얻어지는 학습 성취도가 높다면 학습자 취향에 맞춘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격려나 경고의 메시지, 휴식 시 감상가능한 명상음악을 제공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상기 성실도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화상 분석 기법을 통해 얻어지는 집중도 지수와 학습자가 해당 학습자료를 얼마나 여러 번 시청하였는지를 나타내는 성실 가산점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예를 들어, 시청 빈도가 0이라면 시청하지 않은 것이므로 성실 가산점은 0 점 또는 - 5 점이 될 수 있으며 반대로 3회 시청하여 시청 빈도가 3이라면 학습 효과는 반복에 의하여 증가하므로 성실 가산점으로는 +15 점의 책정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성실 가산점과 시청 빈도의 대응 관계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성실 가산점 테이블(332)에 기설정되어 있다.
상기 서버(200)의 관리부(220)는 등록된 학습자를 인증하는 학습자 인증모듈(221), 학습자의 학습태도를 감시, 보고하는 모니터링 모듈(222), 학습자 환경변수를 적합한 상태로 제어하는 환경제어 모듈(22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환경제어 모듈(22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부터 학습 환경변수 값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에서 최적 환경변수 값을 검색하여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 송신하고, 상기 환경조절부(140)는 상기 기온 조절수단(141-2), 습도 조절수단(142-2), 조도 조절수단(143-2)인 환경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학습 환경 조건을 쾌적화한다.
상기 처리부(230)는 학습자가 요청한 학습자료 및/또는 스케줄에 해당하는 학습자료를 검색하는 학습자료 검색모듈(231), 화상 분석 기법으로부터 얻어지는 집중도 지수와 학습자료 시청빈도로부터 얻어지는 성실 가산점을 이용하여 학습 성실도를 산출하는 성실도 산출 모듈(232), 학습자 측으로부터 수신된 스케줄을 처리하는 스케줄 처리모듈(2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학습자료는 데이터베이스(300)에 학습자료 데이터(310)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학습자료 데이터(310)는 학습 관련 동영상을 담고 있는 동영상 학습자료 데이터(311), 학습 관련 정지화상을 담고 있는 정지화상 학습자료 데이터(312), 음성 학습정보를 담고 있는 음성 학습자료 데이터(313)로 이루어지며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서 통상의 웹 브라우저, 별도의 실행 프로그램을 통하여 재생 가능하다. 상기 학습자료는 기본적으로 교재의 내용을 보충하는 설명, 보충 영상, 추가 문제, 문제 풀이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서버(200)와 유선/무선 통신수단으로 연동 가능하고 학습자료 데이터, 멀티미디어 데이터,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와 테이블은 하드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장치에 기록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학습자료 데이터(310), 대응보상 수단으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320), 개별 학습자의 스케줄인 날짜, 시각, 과목 등의 정보가 기설정된 학습자 스케줄 테이블(331), 학습자료 시청 빈도와 대응하는 성실 가산점 값이 기설정된 성실 가산점 테이블(332), 학습 주제, 상기 학습 성실도와 대응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미디어 테이블(333), 학습자의 심리, 학습 수준, 학습 능력, 발달 상황과 같은 학습자 맞춤형 정보와 대응하는 학습자 맞춤 테이블(334),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웹주소/자국어 주소와 대응하는 상기 해당 학습자료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주소 테이블(335),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 설정을 위해 환경 요인 정보가 학습자별로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 중 동영상은 일반적으로 mpeg, wmv, flash 등의 영상 파일 형식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정지 영상은 jpg, gif 등의 그림 파일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성 데이터는 mp3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파일 형식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학습 태도를 분석하는 도구로써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는 상기 화상 분석 기법에 관한 상세한 절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데, 첫째로, 정지 화상 정보의 경우, 사람의 얼굴, 상체 부분을 기존의 화상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인식하고, 얼굴 이미지로부터 눈의 모양, 입의 모양, 얼굴의 각도 등을 추출한 후, 눈꺼풀의 위치, 입술 간의 간격 등을 측정하고, 상체 이미지로부터 상체의 좌우 각도 등을 측정한다. 둘째로, 상기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다시 3단계 처리 과정을 거칠 수 있는데, 1단계에서는 만일 얼굴 등 학습자의 인식에 실패하는 경우에는 학습 중단으로 처리하거나 집중도를 낮게 부여한다. 상기 분석된 값 중에서 신원 확인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신원을 분석하며, 만일 신원확인에 실패하는 경우에 학습 중단 상태로 인식한다. 학습 중단 상태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2,3 단계를 실행하지 않는다. 2단계에서는 이렇게 측정된 정보로부터 눈꺼풀의 위치가 특정 값 이상으로 닫혀 있거나, 입술 간의 간격이 특정 값 이상으로 벌어져 있다면, 집중도를 낮게 부여한다. 3단계에서는 시간 축 상에서 연속적으로 위치한 정지 영상 각각의 분석 정보들을 갖고 이전 값과의 비교를 통하여 값의 변화가 급격하게 변화하면 집중도를 하향 조정하고, 변화가 적으면 집중도를 상향 조정한다. 상기 정지 영상을 분석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동영상도 분석할 수 있다. 즉, 일정 시간 간격으로 동영상에서 정지 영상을 추출한 후 상기 정지 영상 분석 기법을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화상 인식 기술은 공지의 서포트 벡터 머신(Support Vector Machine, 약칭하여 SVM 이라 함)이라 불리우는 기계적 학습 모델을 활용하면 인식 효율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상기 SVM(Support Vector Machine)이란 주로 영상 인식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계 학습 방법 중에 하나로서, 이미지를 이루고 있는 색깔(color), 모서리(edge), 윤곽선(shape) 등의 특징적 요소를 이미지로부터 추출하여 이를 수학적인 함수로서 표현하고, 이 함수를 컴퓨터 장치를 통하여 수천번 내지 수만번을 반복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이 함수를 실행하는 컴퓨터 장치가 기계적인 반복 학습을 통한 훈련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이미지의 형태를 분석하고 파악하도록 하는 기계 학습 방법론이다. 상기 SVM 이외에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기계학습 방법으로서, 에이디에이 부스트(ADA Boost) 알고리즘, 바이에시안 네트워크(Bayesian Network),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등의 공지된 기계학습 방법도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데이터로부터 시청은 하였는지, 실제 시청을 했다면 어떤 태도로 하였는지, 시청 당시의 집중도는 최소 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 등으로부터 상기 집중도 지수를 계산한다. 가령 학습 영상이 재생되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중단버튼을 누르는 경우 혹은 학습장소를 이탈하는 경우에 학습 영상을 시청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학습자가 스케줄이 아닌 스스로 요청한 학습자료의 시청 빈도 등에서 얻어지는 가산 성실점을 상기 집중도 지수에 가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산출된 학습 성실도는 상기 책상(100)의 유무선 통신부(120)를 통하여 상기 서버(200)로 전송되는데,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 성실도 산출 모듈이 부가됨으로써 상기 학습자의 학부모, 관리자 등에게 직접 전송될 수도 있다.
온라인/오프라인 연계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법으로 소위 '자국어 주소를 이용한 콘텐츠 태깅' 기법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국어 주소란, "한글.한글", "일본어,일본어"처럼 영자 이외의 문자로 표시된 인터넷 주소를 의미하며, 특히 확장형 자국어 주소는 맨 오른쪽 점(.)다음에 오는 표현(확장자)이 자유롭게 개방되어 콘텐츠 레벨에까지 주소를 부여할 수 있는 주소 체계이다. 가령 사이트에 부여되는 주소는 "청와대.홈"과 같이 명명되며, 각 콘텐츠에 부여되는 주소는 "피타고라스의정리.수학"과 같이 명명될 수 있다. 구체적 절차로는 먼저 인쇄된 학습 교재 각각의 주제별 문제별로 관련된 설명 정보를 담은 멀티미디어 정보를 준비하고, 각 멀티미디어 정보에 고유한 한글주소를 부여하고, 한글 주소를 입력함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영상정보를 책상에 장착된 학습자의 영상 표시 수단가 장착된 단말부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한다. 한글 주소의 입력에 관련하여, 한글 주소는 학습 책상에 키보드 또는 바코드 입력기와 같은 입력 모듈을 부착하여 이용하거나 거나 모바일 기기 등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고, 그 주소가 음성, 정지영상,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진 학습 영상을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되면 서버의 처리부에 속한 학습 영상 검색 모듈이 해당 학습 영상을 검색하여 상기 책상의 단말부로 전송하는 일련의 절차가 실행된다. 상기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서버로의 정보 전송 방법은 종래에 잘 알려진 방법이 이용된다.
상기 절차는 다른 관점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준비 단계와 학습 단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준비 단계에서, 피타고라스에 대한 수학 주제에 대해서 해설하는 멀티미디어 영상 자료가 저장된 웹주소(URL)가 "www.server.com/query?subject=pytagoras" 라고 할 때, 이 웹주소를 한글주소 서비스 센터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피타고라스.수학"이라는 이름으로 등록한다. 피타고라스 주제에 대하여 수학 교재의 해당 페이지에 미리 등록한 주소인 "피타고라스.수학" 또는 바코드를 표기한다. 학습 단계에서는, 학습자가 상기 수학 교재를 가지고 학습하는 과정에서, 피타고라스 주제에 대한 영상정보를 참고하고자 하는 경우에, 교재에 적혀 있는 "피타고라스.수학"이라는 주소를 책상에 부착된 단말부의 입력 모듈 중 하나를 이용하는데,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입력하거나, 모바일 기기를 통해서 입력한다. 입력된 주소는 멀티미디어 영상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로 전송되고 서버는 주소를 주소 레졸루션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웹주소를 얻게 된다. 웹주소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영상정보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책상의 단말부로 전송하며, 상기 학습자가 상기 웹주소 또는 한글 주소를 모바일 기기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입력하는 과정 혹은 그 이전에 학습자의 단말부가 고유 아이디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여 학습자의 아이디와 단말부의 아이디가 관련지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학습자가 요구한 주소의 콘텐츠를 어떤 학습자 책상의 단말부로 보낼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 보조 방법의 플로우챠트이며, 이를 개조식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스케줄링 단계(단계 S 100)
본 단계는 상기 서버(200)의 스케줄링 서비스모듈(212)이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상기 스케줄 폼을 송신하면 상기 학습자는 상기 스케줄 폼에 학습 스케줄을 작성하고 상기 학습 스케줄을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스케줄 처리 모듈(233)이 상기 학습 스케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상기 스케줄 폼은 스케줄링 수단의 일종으로서 학습자가 스케줄을 용이하게 작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학습 일시 및 학습할 단원을 리스트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일종의 양식이다. 상기 서버(200)의 스케줄 처리모듈(233)이 입력된 상기 스케줄을 상기 책상(100)의 유선/무선 통신 수단(500)을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저장된 스케줄은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의해 상기 학습자 스케줄 테이블(331) 형태로 관리된다. 상기 스케줄 테이블(331)은 도 2(a) 에 예시로서, 20080305123020 은 학습할 일시(日時)를 표시하는데, 앞 네 자리는 연도, 다음 네 자리는 월과 일, 마지막 여섯 자리는 시, 분, 초를 나타낸다.
2) 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 210)
본 단계는 상기 스케줄 해당 일시가 도래하면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서 상기 학습자료가 재생되는 단계이다. 상기 서버(200)의 스케줄 처리모듈(233)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를 감시하면서 상기 저장된 스케줄에 해당하는 학습의 일시 도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학습의 일시가 도래하면 상기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도래한 스케줄과 대응되는 학습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를 검색하여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한다. 상기 학습자료는 상기 단말부(130)의 영상 표시수단(131), 음성 출력수단(133)을 통하여 재생 가능하다.
3) 비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220)
본 단계는 앞서 서술한 것과 달리 스케줄이 없는 경우, 상기 서버(200)가 학습자에 의하여 요청된 학습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 210)가 학습자에 의하여 기설정된 스케줄에 의존하는 반면, 본 단계는 자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상기 책상(100)에 부가된 입력모듈(132)에 의하여 학습자료 요청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 모듈(132)은 웹 페이지와 같은 별도의 화면상의 실행프로그램에서 터치스크린, 마우스 등의 선택 수단(132-3)을 이용하여 학습자료를 요청하거나, 상기 학습자료의 저장 위치를 지정하는 웹주소를 웹브라우저의 주소 창에 키보드 등을 이용한 직접 입력을 통해 학습자료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다 진보된 방법으로서, 오프라인 교재의 해당 페이지에 바코드를 기록해두고, 바코드 입력기를 이용한 해당 학습자료를 요청도 가능하며, 앞서 언급한 자국어 주소를 이용한 콘텐츠 태깅 기법의 이용 역시 가능하다. 상기 서버(200)의 학습자료 검색 모듈(231)이 상기 요청된 학습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고, 상기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검색된 학습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한다. 상기 학습자료는 상기 단말부(130)의 영상 표시수단(131), 음성 출력수단(133)을 통하여 재생 가능하다.
4) 성실도 산출 단계(단계 S 300)
본 단계는 도 3 에 제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 210) 이후 연속되는 단계 또는 비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 220)에 따르는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학습자의 스케줄에 따른 충실 이행 여부, 해당 학습자료를 시청할 당시 집중 정도, 동일한 학습자료를 반복 시청한 경우의 시청빈도 등에 따라 전체 성실도를 산출하는데, 상기 집중 정도는 앞서 언급한 화상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해당 학습자료를 시청할 당시 집중도 지수로 산출되며, 동일한 학습자료를 반복 시청한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성실 가산점 테이블(332)에 기설정된 상기 성실 가산점을 상기 집중도 지수에 더하여 최종 성실도를 산출한다. 동일한 학습자료의 반복 시청은 스케줄 상의 학습자료를 시청할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으므로 상기 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단계 S 220) 이후 연속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성실 가산점이 산출되지 않는 것이 당연하다. 이처럼 산출된 학습 성실도는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되고, 차후 학습자의 학습 동기 부여를 위한 보상 수단을 제공할 경우, 필수 참고 데이터로 이용된다. 자세한 절차적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를 구성하는 영상 촬영수단(134)에 의해 녹화, 촬영, 편집된 동영상, 화상 데이터가 상기 서버(200)로 송신되면, 상기 서버(200)의 성실도 산출 모듈(232)이 상기 동영상, 화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해당 학습 시청 여부 및 시청 당시 집중도 지수를 산출한다. 상기 성실도 산출 모듈(232)이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된 당해 학습자료의 반복 시청 여부, 횟수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성실 가산점에 산출된 상기 집중도 지수를 합산하여 최종 학습 성실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학습 성실도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한다. 촬영된 상기 영상,화상 데이터는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학부모/관리자 단말기(400)로 직접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학습 성실도를 참고하여 특별하게 관리할 학생일 경우에는 상기 서버(200)의 모니터링 모듈(222)을 이용하여 특정 학습자를 집중 관찰할 수 있다. 관리자는 상기 모니터링 모듈(222)에 부가된 영상 표시수단 등을 통하여 여러 학습자를 동시에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특정 학습자나, 상기 특정 학습자의 학부모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등의 경고 수단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5) 대응보상 제공 단계(단계 S 400)
본 단계는 상기 서버(200)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이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상기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거나 상기 환경제어 모듈(223)에 의하여 학습자의 학습 환경 요인이 변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의 저장 위치는 상기 성실도 산출 단계(단계 S 300)에서 산출된 학습 성실도를 반영하여 기설정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미디어 테이블(333)로 저장되어 있다. 일례로, 도 2(f) 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단계는 학습주제 A를 학습할 경우, 학습 당시 산출된 학습 성실도가 -100이면 강한경고메시지A를 학습자 측으로 송신하고, 성실도 값이 1이면 뮤직비디오A를 송신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집중도를 높이는 데 의의가 있다. 경고성 대응보상 수단을 제시할 경우, 학부모/관리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학부모/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 성실도 산출 모듈(232)을 부가하면 상기 학부모/관리자의 단말기(400)로 직접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학습자 맞춤형 정보와 대응하는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학습자 맞춤(334) 테이블로 기설정되어 있으며, 앞서 언급했듯이, 학습자의 심리, 학습 수준, 학습 능력, 발달 상황과 같은 개별 학습자 고유의 정보를 반영한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예를 들어 게임을 더 좋아하는 학습자에게는 음악보다는 간단한 게임 한 번을 즐기도록 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이며, 발달 상황에 차이가 있는 학습자 간에는 차등을 두고 대응보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이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상기 환경제어 모듈(223)이 학습자의 학습 환경 요인을 변화시킴으로써, 학습자의 학습 집중도를 높이거나 학습 동기 부여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일례로, 장기간의 학습으로 휴식이 필요하다면, 조도를 낮추어 안락한 분위기를 연출하여 휴식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6)

  1. 학습자료 요청사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모듈(132)과, 요청된 해당 학습자료가 출력되는 영상표시 수단(131)을 가진 단말부(130)와, 상기 단말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요청사항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학습자료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120)로 이루어진 책상(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가 학습자료 데이터(310)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요청사항 정보와 대응되는 해당 학습자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서 검색하는 학습자료 검색모듈(231);과, 상기 해당 학습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유무선 통신부(120)를 거쳐 단말부(130)로 서비스하는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학습자의 스케줄 정보가 저장된 학습자 스케줄 테이블(331)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스케줄 입력 양식인 스케줄 폼(form)을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제공하는 스케줄링 서비스 모듈(212);과, 입력된 상기 해당 학습 관련 스케줄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스케줄 도래 시에 스케줄 상의 학습 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는 스케줄 처리모듈(2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에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태도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 수단(134)이 설치되고,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상기 영상 촬영 수단(134)을 통해 얻어지는 학습자 화상을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00)가, 해당 학습자료 시청 빈도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자의 성실 가산점이 기설정된 성실 가산점 테이블(332)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학습자 정보로부터 인증 여부를 판별하는 학습자인증 모듈(221);과, 상기 학습자 화상을 통해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는 학습자 모니터링 모듈(222);과, 화상 분석 기법을 통해 얻어지는 집중도 지수와 학습자의 해당 학습자료 시청 빈도로부터 얻어지는 성실 가산점을 이용하여 학습 성실도를 산출하는 성실도산출 모듈(2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가,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312);와, 학습 주제, 상기 학습 성실도와 대응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미디어 테이블(333);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가, 학습자 맞춤형 정보와 대응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학습자 맞춤 테이블(327)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보조 자료 재생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가,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312);와, 학습자 맞춤형 정보와 대응하는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학습자 맞춤 테이블(334);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음성 출력수단(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입력 모듈(132)이 주소 입력수단(132-2)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웹주소/자국어 주소와 대응하는 상기 해당 학습자료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주소 테이블(335)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에는, 학습 환경 요인을 감지/조절하고 상기 서버(200)와 학습 환경변수 값을 송수신하는 환경조절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200)가,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 환경변수 값이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학습 환경변수를 수신하여 상기 최적 환경변수 값을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 송신하는 환경제어 모듈(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환경변수 값은 기온변수 값이고, 상기 최적 환경변수 값은 최적 기온변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환경변수 값은 습도변수 값이고, 상기 최적 환경변수 값은 최적 습도변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환경변수 값은 조도변수 값이고, 상기 최적 환경변수 값은 최적 조도변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4. 상기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에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 태도를 촬영하는 영상 촬영 수단(134)이 설치되고,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상기 영상 촬영 수단(134)을 통해 얻어지는 학습자 화상을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5.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 상기 서버(200)의 모니터링 모듈(222)이 상기 학습자 화상, 상기 학습 성실도를 학부모/관리자 측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 상기 서버(200)의 모니터링 모듈(222)이 상기 학습자 화상을 학부모/관리자 측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에는, 학습 환경 요인을 감지/조절하고 상기 서버(200)와 학습 환경변수를 송수신하는 환경조절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200)가,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 환경변수가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학습 환경변수를 수신하여 상기 최적 환경변수를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 송신하는 환경제어 모듈(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음성 출력수단(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19.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에는, 학습 환경 요인을 감지/조절하고 상기 서버(200)와 학습 환경변수를 송수신하는 환경조절부(140)가 설치되고,
    상기 서버(200)가,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 환경변수가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학습 환경변수를 수신하여 상기 최적 환경변수를 상기 책상(100)의 환경조절부(140)로 송신하는 환경제어 모듈(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입력 모듈(132)이 주소 입력수단(132-2)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200)가,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부터 수신된 인터넷 웹주소/자국어 주소와 대응하는 상기 해당 학습자료의 저장 위치가 기설정된 주소 테이블(335)을 가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가 학습환경에 적합한 최적 환경변수가 기설정된 환경 테이블(336)을 저장하고,
    상기 책상(100)에는, 학습 환경 요인을 감지하여 학습 환경변수를 상기 최적 환경변수로 설정하는 환경조절부(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22. 학습자료 요청사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모듈(132)과, 요청된 해당 학습자료가 출력되는 영상표시 수단(131)을 가진 단말부(130)와, 상기 단말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요청사항 정보를 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학습자료를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120)로 이루어진 책상(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의 스케줄링 서비스 모듈(212)이 학습 일시와 학습 범위의 입력이 가능한 스케줄 폼을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고, 상기 단말부(130)가 상기 스케줄 폼에 입력된 스케줄 데이터를 상기 서버(200)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200)의 스케줄 처리모듈(232)이 상기 스케줄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는 스케줄링 단계(S 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의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스케줄 상의 학습 일시가 도래한 학습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상기 학습자료를 상기 단말부(130)의 영상표시 수단(131), 음성출력 수단(133)에서 재생하는 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S 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100)의 입력모듈(132)이 상기 학습 일시가 도래한 학습자료를 제외한 학습자료인 비스케줄 학습자료를 입력받고, 상기 서버(200)의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상기 비스케줄 학습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고, 상기 학습자료 서비스모듈(211)이 상기 학습자료를 상기 단말부(130)의 영상표시수단(131), 음성출력 수단(133)에서 재생하는 비스케줄 학습자료 송신단계(S 2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의 성실도 산출 모듈(232)이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에 부가된 영상 촬영수단(134)이 촬영한 학습자 화상으로부터 얻어지는 집중도 지수에 시청 빈도로부터 얻어지는 성실 가산점을 합산하여 학습 성실도를 산출하는 성실도 산출 단계(S 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0)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모듈(213)이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의 미디어 테이블(333)에 기설정된 맞춤형 멀티미디어 자료를 상기 책상(100)의 단말부(130)로 송신하는 대응보상 제공 단계(S 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PCT/KR2009/001030 2008-03-03 2009-03-03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WO200911072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690A KR101063514B1 (ko) 2008-03-03 2008-03-03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KR10-2008-0019690 2008-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0724A2 true WO2009110724A2 (ko) 2009-09-11
WO2009110724A3 WO2009110724A3 (ko) 2009-12-10

Family

ID=4105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030 WO2009110724A2 (ko) 2008-03-03 2009-03-03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3514B1 (ko)
WO (1) WO20091107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234B1 (ko) * 2020-09-24 2021-08-25 월드버텍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화상교육 시스템 및 학습 지원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59A (ko) * 2000-02-08 2001-08-20 박규진 인터넷 또는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과그것을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0036064A (ko) * 2000-11-07 2002-05-16 이미경 네트웍을 이용한 독서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2965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200379838Y1 (ko) * 2005-01-07 2005-03-25 김재진 데이터 입출력과 저장,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책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7759A (ko) * 2000-02-08 2001-08-20 박규진 인터넷 또는 컴퓨터통신을 이용한 원격교육시스템과그것을 이용한 학습방법
KR20020036064A (ko) * 2000-11-07 2002-05-16 이미경 네트웍을 이용한 독서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92965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200379838Y1 (ko) * 2005-01-07 2005-03-25 김재진 데이터 입출력과 저장, 재생이 가능한 디지털 책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514B1 (ko) 2011-09-08
WO2009110724A3 (ko) 2009-12-10
KR20090094625A (ko) 200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114660A1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WO2009108018A2 (ko) 책상형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Bice-Urbach et al. Teleconsultation: Application to provision of consultation services for school consultants
WO2019019405A1 (zh) 一种用于远程教学系统的数据处理装置
JP2000250393A (ja) ネットワーク教育装置、並びにネットワーク教育に用いられる先生用装置および生徒用装置
JP4546384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美術指導システム
JP2012168827A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情報端末
WO2014115990A1 (ko) 그룹 내 구성원 관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JP6795301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ard et al. An instructor's guide to distance learning
JP2008096482A (ja) 受信端末、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システム、受信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学習支援方法
Lowman et al. Preparing speech–language pathology graduate students for effective telepractice: recommended knowledge and skills
WO2009110724A2 (ko) 학습보조 자료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보조 방법
Metcalfe et al. Using the technology: Introducing point of view video glasses into the simulated clinical learning environment
JP2004333525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サーバ、電子講義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TWI634530B (zh) Online teaching media system for dual interface learning devices
KR20150027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WO202307937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quality of a teaching-learning experience
JP2004157616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McCarthy The RIDBC telepractice training protocol: A model for meeting ASHA roles and responsibilities
KR20020092515A (ko) 온라인 강의의 수강 인증 방법
JP2013143119A (ja) 情報端末、教育支援処理システム、および、安否確認処理方法
Rodríguez et al. Case study analysis on blended and online institutions by using a trustworthy system
JP2006276396A (ja) 教育システム及び教育管理装置
WO2018151348A1 (ko)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음악 교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16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716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