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035A -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035A
KR980011035A KR1019960029491A KR19960029491A KR980011035A KR 980011035 A KR980011035 A KR 980011035A KR 1019960029491 A KR1019960029491 A KR 1019960029491A KR 19960029491 A KR19960029491 A KR 19960029491A KR 980011035 A KR980011035 A KR 980011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ick
unit
error correc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3873B1 (ko
Inventor
김태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2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3873B1/ko
Publication of KR980011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0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 G11B20/120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 G11B20/120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tapes with transverse tracks only for continuous data, e.g. digitised analog information signals, pulse code modulated [PCM]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47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 G11B5/0086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on transverse tracks using cyclically driven heads providing segmented tra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VTR 시스템에서 트랙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홈 시스템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trick data)를 기록하는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트릭 모드를 위한 트랙 포맷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배속의 트릭 모드를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실제 디지털 VTR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Digital Video Tape Recoder; 이하 "디지털 VTR"로 명하기로 함)의 트릭 모드(trick mode)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VTR에 있어서, 트릭 모드를 위한 효율적인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phase locking)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기술에 대한 요구와 수요가 급증하면서, 광범위한 경제적인 이익과 기술적 파급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저장 장치 중의 하나인 디지털 VTR 규격을 제정하고자 하는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관련 규격으로는 필립스(Phillips), 쏘니(Sony), 톰슨(Thomson), 마츠시타(Matsushida) 등의 회사들에 의해 제안되어 국제 규격으로 정해진 SD VTR(Standard Definition VTR)과 일본의 JVC(Japan Victor Company)에서 규격으로 정하려고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VHS VTR(Video Home System Video Tape Recorder)의 규격이 있다.
SD VTR은 처리 속도가 25Mbps(Mega bit per second)이고, 헤드 드럼의 분당 회전수(rpm) 9000회이고, 헤드 드럼의 직경이 6mm이며, 디지털 VHS VTR은 처리 속도가 14.10Mbps이고, 헤드 드럼의 분당 회전수가 1800회이며, 헤드 드럼의 직경이 4mm인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을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입력받아 오류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부가 정보(redundancy)를 입력 데이터에 첨가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와 부가 정보를 테이프(50)에 저장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조(modulation)하는 인코더(encoder; 1)와, 상기 인코더(1)에 의해 테이프(50)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부가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저장과 재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류로부터 원래의 데이터를 복구하는 디코더(decoder; 2)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인코더(1)는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10)와, 저장과 재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채널 부호(channel code)를 입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채널 부호부(channel coder; 20)와, 상기 채널 부호부(20)의 출력을 입력받아 변조를 통하여 테이프(50)에 저장하기 용이한 형태의 신호로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40)로 구성되며, 상기 디코더(2)는 테이프(50)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복조(demodulation)하는 데이터 복조부(60)와, 복조된 데이터로부터 채널 부호를 검출하여 채널 복호화(channel decoding)한 후, 상기 채널 부호를 판독 데이터로부터 제거하는 채널 복호부(channel decoder; 70)와, 상기 채널 복호부(70)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 출력부(80)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 부호부(20)는 데이터 입력부(10)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데이터의 연집성(burstness)을 제거함에 따라 연집 오류(burst error)를 산발 오류(random)로 변환하는 셔플링부(shuffler; 21)와, 상기 셔플링부(21)의 출력을 입력받아 오류 정정 부호(error correction code)를 입력 데이터에 부가하는 오류 정정 부호부(30)로 구성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부(30)는 연집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통해 외부호(outer code)를 발생하여 셔플링된 입력 데이터에 부가한 후, 셔플링되기 전의 데이터 순서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1)와,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1)의 출력을 입력받아 산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호(inner code)를 발생하여 데이터에 부가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널 복호부(70)는 상기 채널 부호부(20)의 역으로, 상기 복조부(60)로부터 입력된 판독 데이터의 상기 내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내부호를 제거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와,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아 셔플링된 데이터를 역 셔플링하는 역 셔플링부(72)와, 역 셔플링부(72)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외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외부호를 제거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로 구성된다.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의 작용을 도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데이터 입력부(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받아 셔플링부(21)에 제공하면, 상기 셔플링부(21)에서는 데이터의 연집성을 제거함으로써 연집 오류에 대한 복구 능력을 향상시키다.
상기 셔플링부(21)와 관련하여 디지털 시스템의 오류들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디지털 시스템의 오류에는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산발 오류(random error)와 특정 위치에서 연속적이고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연집 오류(burst error)가 있다.
디지털 저장 장치에서는 기록/재생 헤드·광 픽업의 오염, 테이프의 결함, 디스크의 스크래치 등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연집 오류가 발생하기 쉽다. 이 때문에 DAT(Digital Audio Tape recorder), 디지털 VTR, CD(Compact Disk)와 같은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연집 오류에 대한 대책이 매우 중요하다.
연집 오류에 대한 대책에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으나, "인터리브(interleave)"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인터리브는 연속되는 디지털 데이터의 워드(word) 배열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분산시켜, 원래 가깝게 존재했던 비트끼리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재배열(scramble)하여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데이터를 인터리브 방식으로 기록하면, 집중적이고,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연집 오류를 분산시켜 산발 오류화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오류 검출 및 정정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 회전(helical scan) 방식을 이용하는 R-DAT(Rotary-head Digital Audio Tape recorder) 또는 디지털 VTR에서는 기계적인 메커니즘(헤드 드럼의 회전수와 기록 헤드의 직경 등)에 따라서 기록할 수 있는 정보량이 자연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분산·기록하는 블록 인터리브(block interleave)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것은 샘플 신호를 블록 단위로 만들어서 메모리에 순차적으로 기록시킨 후, 시퀀서(sequencer)를 비순차 제어하여 데이터를 인터리브하는 방식이다.
결과적으로 데이터는 여러 개의 기록 헤드에 골고루 분산되어 테이프에 기록되므로, R-DAT에서는 큰 연집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오류 검출 및 정정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인터리브를 디지털 VTR 시스템에서는 "셔플링(suffling)"이라고 표현하는데, 이 두 개의 용어는 "에러 검출 및 정정"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같은 의미이다. 인터리브 및 셔플링에 의한 신호 처리는 디지털 VTR, R-DAT와 같은 테이프의 기록 포맷에만 국한되지 않고, CD, 디지털 방송과 같은 거의 모든 디지털 시스템에 동일하게 응용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VTR의 셔플링부(20)는 연집성을 제거함으로써 한 트랙 전체가 오류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통상, 데이터를 6 트랙 단위로 셔플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상기 셔플링부(20)가 데이터에 산발성(randomicity)을 부여하는 것은 후단의 오류 정정 부호부(30)의 오류 검출 및 정정 특성을 극대화시켜 준다.
한편,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0)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Reed Solomon coding; RS coding)를 통하여 연집 오류 및 산발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오류 정정 부호를 발생시켜 입력 데이터에 부가한다.
이에,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1)는 상기 셔플링부(21)에서 정의한 셔플링 순서(suffling sequence)로 데이터를 판독하여 리드 솔로몬 부호화를 통해 셔플링된 데이터에 연집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외부호를 부가한 후, 상기 셔플링부(21)의 출력 순서와 동일하게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기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는 리드 솔로몬 부호화를 통해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의 출력을 입력받은 데이터에 산발 오류를 정정하기 위한 내부호를 부가하여 상기 데이터 변조부(40)에 인가한다.
리드 솔로몬 부호화는 1960년에 리드(I. S. Reed)와 솔로몬(G. Solomon)에 의해 제안된 연집 오류와 산발 오류를 동시에 정정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기법으로, 보스(Bose), 초드허리(Chaudhuri), 혹퀭헨(Hocquenghen)에 의해 제안된 이원 BCH(Bose, Chaudhuri, Hocquenghen) 부호를 비이원 BCH 부호로 확대한 부호와 방식이다.
여기서, BCH 부호화는 단일 정정 부호인 해밍(Hamming) 부호를 여러 개의 산발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다중 오류 정정 부호로 확대한 부호화 방식이다.
전술한 셔플링 기법과 리드 솔로몬 부호화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프렌티스 홀(Prentice Hall)에서 출판한 피터 스위니(Peter Sweeny)의 저서 "Error Control Coding An Introduction"을 참조하기로 하며, 더 이상의 설명을 약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데이터 변조부(40)는 채널 부호화된 출력 데이터를 입력받아 테이프(50)에 기록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조하여 기록한다.
상기 디코더(2)의 작용은 인코더(1)의 역순으로써, 상기 데이터 복조부(60)를 통해 변조되었던 신호를 복조한 후, 채널 복호부(70)를 이용하여 저장 및 재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산발 오류 및 연집 오류를 정정한다.
즉, 데이터 복조부(60)는 테이프(50)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복조하고,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는 상기 데이터 복조부(60)로부터 판독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내부호를 이용하여 연집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내부호를 제거하여 역 셔플링부(72)에 제공하면, 상기 역 셔플링부(72)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2)의 출력을 입력받아 데이터를 원래의 배열로 푸는 역 셔플링을 수행하고, 이후,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는 역 셔플링부(72)의 출력을 입력받아 외부호를 이용하여 산발 오류를 정정한 후, 외부호를 판독 데이터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데이터 출력부(80)에 인가하면, 상기 데이터
출력부(80)는 표시 장치나 음향 장치 또는 전송 장치 등을 통하여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국제 표준화 기구(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산하 동영상 표준화 전문가 그룹에 의해 제정된 동영상 표준안인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2)가 HDTV(High Definition TV)나 위성 방송(satellite broadcasting) 등을 위한 영상 코덱(CODEC)의 표준안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MPEG-2의 형식에 따른 데이터 비트열(data bitstream)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형식(storage format)의 개발에 연구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실에 편승하여 디지털 VTR에 MPEG-2 형식에 따른 데이터 비트열을 저장하기 위한 기술이 날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데, 통상, 이와 같은 디지털 VTR 저장 기술은 MPEG-2 형식의 디지털 데이터 비트열(digital data bitstream)을 입력받아 오류 정정 부호화한 후, 오류 정정 코드가 부가된 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하여 테이프에 기록하고, 재생 시에는 테이프에 기록된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한 다음에 오류 정정 복호화를 통해 저장과 재생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 데이터를 복구한 후, 데이터 비트열로 출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에 MPEG-2 형식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트랙 포맷을 MPEG-2의 규격을 수용할 수 있는 트랙 포맷으로 변경해야 함이 필수적이다.
특히, MPEG-2에서 지원하는 고속 탐색 모드의 일종인 트릭 모드를 디지털 VTR 시스템에서도 지원하기 위해서는 테이프의 트랙 상에 정상 데이터 영역(normal data region)과 트릭 데이터 영역(trick data region)을 나누어 데이터를 기록해야 함에 따라 상기 트릭 모드를 수용할 수 있는 트랙 포맷의 설정은 우선적으로 선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디지털 VTR 시스템에서 트랙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하여 페이즈 락킹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비디오 홈 시스템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3도는 디지털 VHS VTR 테이프의 트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제4도는 디지털 VHS VTR 테이프의 트랙의 싱크 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제5도는 디지털 VHS VTR 테이프의 트랙의 ECC 블록을 나타낸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9배속 전용 트릭 모드를 지원하는 트랙 포맷을 도시한 예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데이터 배열부 110 : 데이터 분리부
120 : 영역 설정부 130 : 데이터 재배열부
140 : 다중화부 200 : 데이터 조합부
210 : 역다중화부 220 : 데이터 재생부
S300 : 데이터 배열 단계 S310 : 데이터 분리 단계
S320 : 영역 설정 단계 S330 : 트릭 데이터 재배열 단계
S340 : 다중화 단계 S400 : 채널 부호화 단계
S410 : 셔플링 단계 S420 :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
S430 :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 S440 : 데이터 변조 단계
S500 : 채널 복호화 단계 S510 : 데이터 복조 단계
S520 :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 S540 : 역셔플링 단계
S550 :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 S600 : 데이터 조합 단계
S610 : 역다중화 단계 S620 : 데이터 재생 단계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에 따른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은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trick data)를 기록하는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하여 페이즈 락킹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채널 부호화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는 인코더(1) 및 디코더(2)로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normal data)와 트릭 데이터를 추출한 후, 테이프의 트랙 상에 정상 데이터 영역과 트릭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고,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데이터가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배열하는 데이터 배열부(100)를 상기 인코더(1)의 데이터 입력부(10)와 채널 부호부(30) 사이에 포함하며, 대향형 헤드를 이용하여 페이즈 락킹에 의해 판독된 정상 데이터 및 트릭 데이터를 동작 모드에 따라 선별적으로 조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조합부(200)를 상기 채널 복호부(70)와 출력부(70) 사이에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배열부(100)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110)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1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가 기록될 정상 데이터 영역과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트릭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120)와, 상기 정상 데이터 영역에는 정상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동일 페이즈를 갖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130)와,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1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부(21)에 제공하고,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에 제공하는 다중화부(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조합부(200)는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의 출력을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는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부(210)와, 상기 역다중화부(210)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부(22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전술한 "트릭 모드"에 대한 설명을 간단히 부연하면, 트릭 모드는 MPEG-1에서도 지원하는 동작 모드이며 MPEG-2에 와서 좀 더 보강된 동작 모드 중에 하나로써, 고속 및 저속 재생(fast and slow play), 역 재생(reverse play) 등을 지원하는 동작 모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VTR 시스템과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도 상기한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3×2 = 72SB)이 된다.
이와 같이 9 배속 탐색 모드의 구현을 위해서는 대향형 헤드를 사용하면서 18 트랙의 반은 양극성의 동일 데이터 9 개, 음극성의 동일 데이터 9개를 수평 방향으로 반복 배치한 후에 극성에 맞추어 판독하면 된다.
만약, 18 배속 탐색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36 개의 트랙을 기본으로 하여 18개는 양극성을 갖도록 하고, 나머지 18개는 음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극성이 서로 교차하면서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18 배속의 트릭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부(140)에서는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1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부(21)에 제공하고,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에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역다중화부(210)는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의 출력을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는 역다중화를 수행하고, 데이터 재생부(220)는 상기 역다중화부(210)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선택 스위칭하여 데이터를 조합함으로써 원래 입력된 MPEG2 입력 비트열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한다.
트릭 데이터는 인코더(1)에서 셔플링 및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를 수행하지 않음에 따라 디코더(2)에서도 역 셔플링 및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를 수행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트릭 데이터는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및 복호화 처리를 하기 위한 싱크 블록의 처리에 어려움이 있으며, 인트라 픽취와 관련된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트릭 데이터를 구성함에 따라 트릭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해도 한 프레임에만 영향을 주며, 다른 프레임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고속 탐색인 경우에는 일정 정도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인간의 눈으로는 거의 식별되지 않는다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셔플링부(21)가 내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75)에서 출력된 결과 데이터에 대해 셔플링을 수행하였으나, 상기 셔플링부(76)를 외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74)와 내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75) 사이에 두어 외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74)에서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셔플링하고, 셔플링한 결과 데이터에 내부 에러 정정 코드를 부가할 수 있다.
역 셔플링부(82)의 위치는 데이터 인코딩 시 셔플링부(76)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다.
제1실시 예에서는 역 셔플링부(82)가 복조부(81)에 의해 복조된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에 대해 역 셔플링을 수행하였으나, 상기 역 셔플링부(82)를 역 내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84)와 역 외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85) 사이에 두어 역 내부호 에러 정정 코드부(84)에서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역 셔플링하고, 역 셔플링한 결과 데이터를 역 외부 에러 정정 코드부(85)에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V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채널 부호화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는 인코더(1) 및 디코더(2)로 구성된 디지털 VTR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로 분리한 후, 테이프의 트랙 상에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영역을 설정하고,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배열 단계(S300)와,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에 대한 채널 부호화을 수행하여 저장 수단(여기서는, 테이프)에 기록하는 채널 부호화 단계(S400)와,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한 판독 데이터에 대한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는 채널 복호화 단계(S500)와, 상기 판독 데이터로부터 동작 모드에 따라 선별적으로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를 선택·조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조합 단계(S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배열 단계(S300)는 데이터 분리부(110)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 단계(S310)와, 상기 데이터 분리부(1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가 기록될 정상 데이터 영역과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트릭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S320)와, 데이터 재배열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정상 데이터 영역에는 정상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동일 페이즈를 갖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트릭 데이터 재배열 단계(S330)와,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1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부(21)에 제공하고,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에 제공하는 다중화 단계(S340)로 구성된다.
상기 채널 부호화 단계(S400)는 셔플링부(21)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의 연집성을 제거함에 따라 연집 오류를 산발 오류로 변환하는 셔플링 단계(S410)와,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1)를 이용하여 연집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통해 외부호를 발생하여 셔플링된 입력 데이터에 부가한 후, 셔플링되기 전의 데이터 순서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S420)와,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1)의 출력을 입력받아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를 이용하여 산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호를 발생하여 데이터에 부가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S430)와,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의 출력을 변조하여 저장 수단에 기록하는 데이터 변조 단계(S44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채널 복호화 단계(S500)는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판독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 단계(S510)와, 복조된 판독 데이터의 상기 내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내부호를 제거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S520)와,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S520)를 수행한 후, 트릭 모드일 경우,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아 셔플링된 데이터를 역 셔플링하는 역 셔플링단계(S540)와, 역 셔플링부(72)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외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외부호를 제거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S55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조합 단계(S200)는 역 다중화부(210)를 이용하여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의 출력을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는 역다중화 단계(S610)와, 상기 역다중화부(210)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단계(S62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인코딩시에 있어서, 우선,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분리 단계(S310)에서는 데이터 분리부(110)를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를 분리하고, 영역 설정 단계(S320)에서는 상기 데이터 분리부(11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가 기록될 정상 데이터 영역과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트릭 데이터 영역을 설정한 후, 트릭 데이터 재배열 단계(S330)에서는 데이터 재배열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정상 데이터 영역에는 정상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동일 페이즈를 갖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며, 다중화 단계(S340)에서는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130)의 출력을 입력받아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부(21)에 제공하고,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32)에 제공한다. 이후,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저장 수단에 데이터를 기록한다.
디코딩 시에는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여,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상기 역다중화 단계(S610)에서는 역 다중화부(210)를 이용하여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3)의 출력을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71)의 출력을 입력받는다.
이에, 데이터 재생 단계(S620)에서는 상기 역다중화부(210)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생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VTR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trick data)를 기록하는 트랙 포맷을 설정함으로써 대향형 헤드를 이용하여 페이즈 락킹에 의해 트릭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특히, 트릭 모드를 위한 트랙 포맷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음에 따라 다양한 배속의 트릭 모드를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실제 디지털 VTR 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채널 부호 수단을 포함하는 인코더와 채널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디코더로 구성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를 추출하여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트릭 데이터가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배열하는 데이터 배열부를 상기 채널 부호 수단의 전단에 포함하며, 대향형 헤드를 이용하여 페이즈 락킹에 의해 테이프로부터 판독된 상기 정상 데이터 및 상기 트릭 데이터를 동작 모드에 따라 선별적으로 조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조합부를 상기 채널 복호 수단의 후단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열부는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와, 상기 정상 데이터가 기록될 정상 데이터 영역과 상기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트릭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트랙 포맷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부와, 상기 정상 데이터 영역에는 정상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동일 페이즈를 갖는 위치에 상기 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트릭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부는 비디오 홈 시스템의 트랙 포맷에 있어서, 각 오류 정정 부호(ECC) 블록 당 각 페이즈 마다 소정의 싱크 블록을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으로 할당하며,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상기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동일 페이즈 위치마다, 동일 트릭 데이터가 반복 기록되도록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
    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싱크 블록은 12 싱크 블록이며, 상기 페이즈 위치는 서로 격간으로 교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트릭 배속은 9 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데이터는 MPEG-2 비트열로 구성되며, 상기 트릭 데이터는 상기 정상 데이터의 인트라 픽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호 수단은 상기 입력 데이터의 연집성을 제거함에 따라 연집 오류를 산발 오류화하는 셔플링부와, 연집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통해 외부호를 발생하여 셔플링된 입력 데이터에 부가하고, 셔플링되기 전의 데이터 순서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와,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산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호를 발생하여 데이터에 부가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와,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의 출력을 테이프에 기록하기에 용이한 형태로 변조하는 데이터 변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복호 수단은 상기 테이프로부터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판독한 판독 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와, 상기 판독 데이터의 상기 내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내부호를 제거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와,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셔플링된 데이터를 역 셔플링하는 역 셔플링부와, 역 셔플링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외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판독 데이터로부터 외부호를 제거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8. 제2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열부는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부에 제공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부에 제공하는 다중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조합부는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의 출력을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부의 출력을 입력받는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역다중화부와, 상기 역다중화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10. 채널 부호 수단을 포함하는 인코더와 채널 복호 수단을 포함하는 디코더로 구성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로부터 정상 데이터와 트릭 데이터로 분리한 후, 테이프의 트랙 상에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영역을 설정하고, 동일 페이즈를 갖는 트랙 상의 트릭 데이터 영역에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동일 트릭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배열 단계와,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에 대한 채널 부호화을 수행하여 테이프에 기록하는 채널 부호화 단계와, 상기 테이프로부터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데이터를 판독하여 판독 데이터에 대한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는 채널 복호화 단계와, 상기 판독 데이터로부터 동작 모드에 따라 선별적으로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를 선택·조합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열 단계는 상기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상 데이터와 상기 트릭 데이터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 단계와, 상기 정상 데이터가 기록될 정상 데이터 영역과 상기 트릭 데이터가 기록될 트릭 데이터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 설정 단계와, 상기 정상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정상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동일 페이즈를 갖는 위치에 수평 방향을 따라 트릭 배속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동일한 상기 트릭 데이터가 기록되도록 데이터를 재배열하는 트릭 데이터 재배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호화 단계는 데이터의 연집성을 제거함에 따라 연집 오류를 산발 오류로 변환하는 셔플링 단계와, 연집 오류를 제거하기 위해 오류 정정 부호화를 통해 외부호를 발생하여 셔플링된 입력 데이터에 부가한 후, 셔플링되기 전의 데이터 순서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와, 상기 외부호가 부가된 데이터에 산발 오류를 제거하기 위한 내부호를 발생하여 부가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와, 상기 테이프에 기록하는 데이터 변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복호화 단계는 상기 테이프로부터 판독한 상기 판독 데이터를 복조하는 데이터 복조 단계와, 복조된 상기 판독 데이터의 상기 내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상기 판독 데이터로부터 내부호를 제거하는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와,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를 수행한 후, 트릭 모드일 경우, 상기 내부호가 제거된 판독 데이터를 역 셔플링하는 역 셔플링 단계와, 상기 역 셔플링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외부호를 이용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외부호를 제거하는 외부호 오류 정정 복호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배열부는 상기 트릭 데이터 재배열부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정상 데이터는 상기 셔플링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고, 상기 트릭 데이터는 상기 내부호 오류 정정 부호화 단계를 수행하도록 하는 다중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조합 단계는 정상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외부호가 제거된 판독 데이터를 입력받고, 트릭 모드일 경우에는 상기 내부호가 제거된 판독 데이터를 입력받는 역다중화 단계와, 상기 역다중화를 수행한 후, 동작 모드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하여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설정 단계는 비디오 홈 시스템의 트랙 포맷에 있어서, 각 오류 정정 부호(ECC) 블록 당 각 페이즈 마다 소정의 싱크 블록을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으로 할당하며, 상기 트릭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상기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동일 페이즈 위치마다, 동일 트릭 데이터가 반복 기록되도록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싱크 블록은 12 싱크 블록이며, 상기 페이즈 위치는 서로 격간으로 교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트릭 배속은 9 배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19. 대향형 헤드를 이용한 페이즈 락킹에 의해 데이터를 기록 및 재생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트릭 데이터 영역에 테이프 길이 방향으로 특정 트릭 배속 횟수만큼, 동일 페이즈 위치마다,
    동일 트릭 데이터가 반복 기록되도록 영역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9491A 1996-07-20 1996-07-20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138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491A KR100213873B1 (ko) 1996-07-20 1996-07-20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9491A KR100213873B1 (ko) 1996-07-20 1996-07-20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35A true KR980011035A (ko) 1998-04-30
KR100213873B1 KR100213873B1 (ko) 1999-08-02

Family

ID=1946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491A KR100213873B1 (ko) 1996-07-20 1996-07-20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38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3873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611B1 (en) A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3801198B2 (ja) Mpeg情報信号の記録担体への/からの記録及び再生
JP3004252B2 (ja) 誤り訂正能力の改良されたディジタル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JP3043268B2 (ja) エラー訂正能力の向上されたデジタルビデオ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US5923812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packetized data containing selectively recorded identification data
JP3322998B2 (ja) ディジタルvtr
JP4100641B2 (ja) データ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データ記録方法及び再生方法
WO20000333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a digital information signal with trick play information in slant tracks on a record carrier
CN87103558A (zh) 与数字视频和音频信号一起记录和重放的时间编码信号
KR930020413A (ko) 디지탈데이타 기록재생장치의 에러정정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JPS6337868A (ja) 画像信号記録装置
JPH0723333A (ja) 映像信号の記録および再生装置
JP3149627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
KR100718833B1 (ko) 비디오 데이타 처리 방법, 비디오 데이타 처리 장치 및비디오 데이타 기록 및 재생 장치
JP3303368B2 (ja) 伝送装置及び方法、伝送システム
KR980011035A (ko)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릭 모드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207630B1 (ko) 오류정정능력이 향상된 디지탈 비디오 테이프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
KR19980061498A (ko) 디지털-vhs 디코딩 방법 및 디코더
JP3106479B2 (ja) ディジタルコンポーネント信号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3035984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3637905B2 (ja) ディ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送信方法
JP2675791B2 (ja) 信号記録装置
JPH08205085A (ja) パケットデータ記録装置及びパケットデータ再生装置
KR0155716B1 (ko) 디지탈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
JP4264635B2 (ja) データ再生方法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