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945A - 학습용 보드 - Google Patents

학습용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945A
KR980010945A KR1019960030517A KR19960030517A KR980010945A KR 980010945 A KR980010945 A KR 980010945A KR 1019960030517 A KR1019960030517 A KR 1019960030517A KR 19960030517 A KR19960030517 A KR 19960030517A KR 980010945 A KR980010945 A KR 980010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ans
unit cells
learning
magnet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2300B1 (ko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6003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2300B1/ko
Publication of KR980010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2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09B1/08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by means of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표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단위셀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보드와,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셀에 대응되도록 된 다수개의 패드. 상기 단위셀들의 내부에 포함되어 단위셀들 간에 서로 구별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의 배열인 제1자성수단 및, 상기 패드에 포함되어 상기 제1자성수단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이 배열된 제2자성수단으로 구성되어져, 단위셀에 포함된 제1자성수단과 패드에 포함된 제2자성수단의 자력작용에 의해 서로 일정한 위치에 놓아야만 서로 부착되게 하므로써 학습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패드를 올바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되어 자율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학습용 보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의 자성수단이 배열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학습용 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크기로 구획된 단위셀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보드상에 단위셀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패드들이 규칙적으로 일대일 대응시켜야만 부착되도록 단위셀과 패드 각각 다수의 자석들을 배열하여 서로간의 인력 및 척력에 의해 대응되는 패드들만 학생들의 교육자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학습용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을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다양한 학습 보조재가 사용되고 있는 데, 이러한 학습보조재로는 하나의 대형보드를 다양한 모양의 셀로 분해하여 이들 셀들을 맞추어 전체그림을 만드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각맞추기가 있으나 이러한 조각맞추기는 표면에 이미 형성된 그림들을 상상하면서 인접한 셀들을 맞추어 가는 것이어서 하나의 보드만 사용할 때 반복하면 흥미감이 반감되고 또한 표면에 그려진 그림을 통한 추리력이 외에 다른 교육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로 된 평면상의 보드에 내부에 자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문자 또는 그림모양의 패드를 상기 보드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부착식 학습보조재가 학생들의 산수계산이나 글자학습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학습보조재는 1인의 교유자가 많은 학생들을 동시에 가르칠 때 시각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한 것으로, 필요한 수식이나 글자를 가르치는 기초학습에는 유용하지만 그 자체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가 없고 또한 학생들이 혼자서 자습할 때 학생들의 정답과 오답을 알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용도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이 스스로 정답과 오답을 알 수 있게 해주어 흥미를 유발하면서도 학습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학습용 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단위셀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보드와,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셀에 대응되도록 된 다수개의 패드, 상기 단위셀들의 내부에 포함되어 단위셀들 간에 서로 구별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의 배열인 제 1 자성수단 및, 상기 패드에 포함되어 상기 제1자성수단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이 배열된 제2자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드상에 배열된 단위셀들에 서로간의 단위셀들을 특화시킬 수 있도록 제1자성수단들이 배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드들에는 이들 각각의 단위셀들에 대해 배타적으로 일대일로만 대응하게 되도록 배열된 제2자성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단위셀에 포함된 제1자성수단과 패드에 포함된 제2자성수단의 자력작용에 의해 서로 일정한 위치에 놓아야만 서로 부착되게 하므로써 학습자가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도 패드를 올바로 정렬시킬 수 있게 되어 자율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수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보드판의 외관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서, 평활한 보드(10)의 표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다수개의 단위셀들(12)이 일정하게 배열되고, 이 단위셀들(12)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부(14)가 구비된 다수개의 패드들(16)이 자유롭게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단위셀들(12)은 제2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N극과 S극을 가지는 다수개의 자석들(18)을 배열하고, 다른 단위셀들(12)간에 이들 자석들(18)의 배열에 의한 제1자성수단(20)에 의해 서로 구별이 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단위셀들(12)에 대응되는 패드(16)는 제2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셀들(12)에 배열된 자석들(18)과 동일한 배열을 가지되, 그 극성을 반대로 하는 일련의 자석의 배열인 제2자성수단(22)이 포함되어져 있어, 자석의 다른 극끼리 인접할 때 서로 당기는 인력작용에 의해 대응되는 단위셀(12)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들의 배열은 단위셀(12)마다 다르게 배열하므로써 이에 대응되는 패드(16)만이 해당 단위셀(12)에만 부착되고, 다른 배열을 가지는 단위셀(12)에는 자석의 극성 배열의 차이로 인해 척력이 발생하여 부착되지 않게 밀려나게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제1자성수단(20)과 제2자성수단(22)은 자석의 극성을 배열에 의한 서로간의 인력과 척력의 작용을 이용하여 한정된 단위셀에 특정 패드만이 부착되는 것인 바, 이러한 자석의 극성배열을 다양하게 코딩하여 조합하므로써 다양한 단위셀의 조합을 이룰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이들 단위셀에 대응되는 패드의 조합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을 가지는 3개의 자석을 이용하여 조합을 하고 있으며, 이때 패드가 역상하여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좌우 비대칭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로서 제3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서로 다른 패드(16)가 사선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고, 제3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자석을 서로 다른 높낮이를 갖도록 배열할 수도 있으며, 제3도 (다)와 같이 일정한 방향성없이 무작위로 배열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자석의 개수를 3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숫자는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는 것이고, 구획되는 단위셀의 수를 증가시켜 주기 위해서는 자석의 개수를 증가시켜 주어 경우의 수를 늘려 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학습용보드는 일정한 단위셀에 특정 패드만이 결합될 수 있는 작용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바, 예컨대 일정한 문장순서를 가르치고자 할 때, 단위셀에 대응되는 패드의 표시부에 일련의 문장을 나누어 기재하고 이를 섞어놓은 뒤, 학습자로 하여금 다시 배열시키게 할 때 상기 단위셀에 대응되는 패드를 제대로 위치시키게 하므로써 정답을 스스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식계산에 있어서도 일정한 수와 식을 배열하여 정답을 유도하고자 할 때 정답과 오답을 동시에 주고서 바른 답이 적힌 패드를 위치시킬 때에만 부착되고, 오답을 가진 패드는 해당 단위셀에 대응되지 않는 배열을 하므로써 패드가 단위셀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정답을 찾아낼 수 있도록 하므로써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고, 이를 가지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단지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예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3)

  1. 표면에 일정한 크기로 구획된 단위셀들이 일정하게 배열된 보드와, 전면에 소정의 문자 또는 도형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셀에 대응되도록 된 다수개의 패드, 상기 단위셀들의 내부에 포함되어 단위셀들 간에 서로 구별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의 배열인 제1자성수단 및, 상기 패드에 포함되어 상기 제1자성수단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자석들이 배열된 제2자성수단으로 구성된 학습용 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드상에 배열된 단위셀들에 서로간의 단위셀들을 특화시킬 수 있도록 제1자성수단들이 배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패드들에는 이들 각각의 단위셀들에 대해 배타적으로 일대일로만 대응하게 되도록 배열된 제2자성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단위셀에 포함된 제1자성수단과 패드에 포함된 제 2자성수단의 자력작용에 의해 서로 일정한 위치에 놓아야만 서로 부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자성수단에 배열된 자석이 좌우비대칭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보드.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30517A 1996-07-26 1996-07-26 학습용 보드 KR10021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17A KR100212300B1 (ko) 1996-07-26 1996-07-26 학습용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517A KR100212300B1 (ko) 1996-07-26 1996-07-26 학습용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945A true KR980010945A (ko) 1998-04-30
KR100212300B1 KR100212300B1 (ko) 1999-08-02

Family

ID=19467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517A KR100212300B1 (ko) 1996-07-26 1996-07-26 학습용 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2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81Y1 (ko) 2015-08-19 2016-06-23 임성옥 화이트 보드
KR20210061550A (ko) * 2019-11-20 2021-05-28 김진 반전 교구 라벨지의 선택적 부착력을 구비한 보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453A (ko) * 2001-01-04 2002-07-11 최재명 학습구
KR100764139B1 (ko) * 2006-11-17 2007-10-08 박경화 문자 학습용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681Y1 (ko) 2015-08-19 2016-06-23 임성옥 화이트 보드
KR20210061550A (ko) * 2019-11-20 2021-05-28 김진 반전 교구 라벨지의 선택적 부착력을 구비한 보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2300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4986A (en) Visual teaching aid
US3724101A (en) Teaching garment
US3654712A (en) Teaching aid kit
US5108291A (en) Supplementary teaching instruments
US3302310A (en) Teaching device
US20080090213A1 (en) System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S7309233B2 (en) System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S5018976A (en) Teaching system for enhancing the learning of sets of facts
KR20110075080A (ko) 자석 부착식 한글학습교구
US6375468B1 (en) Educational tool
KR980010945A (ko) 학습용 보드
US3423849A (en) Educational apparatus
US4373917A (en) Educational device for teaching arithmetical operations
US3270430A (en) Educational aid
US2932908A (en) Training aid
US5385473A (en) Display polyhedra having marked and unmarked paired opposing faces
JP3230544U (ja) 物理学習ツール
US6533585B2 (en) Periodic pyramid: chemistry puzzle and teaching device
US2900742A (en) Educational game for teaching spelling
KR100468557B1 (ko) 문장잇기 영어학습교구
Hamilton Manipulative devices
KR100733484B1 (ko) 영어 교육용 블럭 세트
Nicholson et al. The influence of secondary depth cues on the understanding by Nigerian schoolboys of spatial relationships in pictures
JPH10116018A (ja) ビンゴゲーム式学習器具
CN215341575U (zh) 一种幼儿教学用多功能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