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473A -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473A
KR980010473A KR1019970032885A KR19970032885A KR980010473A KR 980010473 A KR980010473 A KR 980010473A KR 1019970032885 A KR1019970032885 A KR 1019970032885A KR 19970032885 A KR19970032885 A KR 19970032885A KR 980010473 A KR980010473 A KR 9800104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ptical fiber
ferrule
housing
fib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나카지마
히로유키 도키타
준지 다이라
고우지 미마미
다츠오 고시고에
노부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이토 기요시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183792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6739B2/ja
Application filed by 이토 기요시, 세이코 인스트루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토 기요시
Publication of KR980010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4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6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 G02B6/383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characterised by form or shape comprising a keying element on the plug or adapter, e.g. to forbid wrong conn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18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 G02B6/382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of a low-reflection-loss type with axial spring biasing or loa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6Devices, tools or methods for cleaning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75Protection from bending or twi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02B6/3888Protection from over-extension or over-compre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1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4Screw-lock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와 그 기본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상기 광섬유 접속기는 광섬유를 다른 형태의 접속기중 1개에 설치함으로써 접속이 용이하게 되고, 섬유 코어의 편심과 포지션닝 키간에서 동일방향을 유지하는 포지션닝 키에 의해 튜닝 작용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접속기 기능의 소정 공통 엘리먼트를 갖추게 된다. 상기 기본 플러그는 페룰과, 스프링 엘리먼트 및 원통형 튜브를 갖추게 된다. 상기 스프링 엘리먼트가 페룰과 원통형 튜브간에 위치됨으로써 힘이 상기 페룰과 원통형 튜브를 향해 축방향으로 가해지게 된다. 상기 페룰은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한 공통 차원구조를 갖추고, 다양한 종류의 하우징 부재중 1개에 접속 가능한 형태를 갖추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본 플러그는 하우징 부재를 통해 분리된 광섬유를 함께 접속하게 된다.

Description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본 발명은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베이식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광섬유 코넥터는 그들의 코넥터를 코넥터 접속부에 더욱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다른 형태의 코넥터들중의 하나 속으로 광섬유의 설치를 허용하여 섬유코어의 편심과 키이와의 사이에서 같은 방향을 유지하는 위치설정 키이와 함께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들의 코넥터-기능을 위한 몇몇 공통의 부재를 가진다.
명료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기술용어 "광섬유 코넥터"는 그들의 각각이 광섬유의 말단부상에서 끝나는 모든 부재들을 의미한다. 개념적으로, 광섬유 코넥터는 숫 부재(male member)로 형성된 팁, 암 부재로 형성된 팁을 갖는 어댑터, 그들의 조합 등과 같은 그러한 모든 향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전에는 광섬유 코넥터는 대향한 방향으로 상이한 광섬유들 사이에서 접속을 이루기 위해 광섬유를 페룰(ferrule)의 중심에 고정한 후 페룰가 플러그 프레임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와 같은 종래의 광섬유 코넥터의 실예로서 FC-형 플러그가 제24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FC-형 플러그는 페룰(101), 프레임(102) 및 조임부재(103)를 구비하며, 그의 중심으로서 노출된 광섬유(99)의 주위에서 이들 부재들을 축방향으로 배열하는 통합구조를 가진다. 또한, 페룰(101)에 고정된 노출된 광섬유(99)의 중심의 변위방향을 따라 키이 링(104)이 방향설정된다.
플러그(100)들을 함께 결합시키기 위해, 플러그들을 그의 단부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201)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어댑터(201)는 원피스 설계로서 플랜지부(202)와 실린더부(203)를 구비한다. 실린더부(203)의 외주면은 숫 스크류 스레드(204)와 凹부(205)를 가진다. 또한, 결합슬롯(206)은 원통형부(203)의 중심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된다. 결합슬롯(206)의 내측면에는 플러그(100)의 페룰(101)이 설치되고 제거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독립된 슬리브(207)가 제공된다.
플러그(100)를 어댑터(201)에 결합하기 위해, 위치설정 키이(104a)가 원주방향에서 그들의 우측위치에 있도록 그들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어댑터(201)의 독립된 슬리브(207)속으로 플러그(100)의 페룰(101)을 설치하는 것에 부가하여 凹부(205)속에 결합된다. 다음에, 결합너트(105)의 암 스레드(105a)는 숫 스크류 스레드(204)에 나사결합되어, 플러그(100)가 어댑터(201)에 단단하게 결합되고 따라서 이들이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현재까지, 여러 연결형태와 함께 FC, SC, ST등의 형태로 된 광섬유 코넥터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 경우에, 다른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들이 적절히 사용되도록 함께 그룹을 형성한다. 시스템구조의 변경과 같은 그러한 소정의 상황하에서, 상이한 형태로 된 광섬유 코넥터들 사이의 상호 연결이 일어나며, 따라서 전환 어댑터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전환 어댑터가 상호연결에서 사용되도록 준비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들을 포함하는 문제들이 존재하며, 전송될 신호의 품질은 광전송 통로에서의 광손실이 증대될 때 감소된다.
또한, 전통적으로, 코넥터조립체를 완성한 후 섬유코어의 편심을 조정하기 위해 우측위치로 변외될 때 키이 링을 탈거하기가 매우 어렵다. 게다가, 코넥터 형태에 따라, 키이 링의 위치가 재조정될 수 없다.
광섬유 코넥터가 건물, 기계 시스템 등에서의 필요한 배선을 설비하는데 광섬유 케이블 또는 광섬유 코드의 말단위치에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여러 가지 연결형태와 함께 FC, SC, ST등의 형태로 된 광섬유 코넥터가 그들의 적용에 따라 적절한 사용을 위해 선택 및 조합되어야 한다.
시스템 구조의 변경과 같은 소정의 상황하에서, 상이한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들 사이의 상호 연결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따라서 전환 어댑터가 요구된다. 그러므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의 전환 어댑터들이 상호 연결에서 사용되도록 준비되어야 하며 전송될 신호의 품질이 광전송 통로에서의 광손실이 증대될 때 감소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코넥터의 커플링부로서 제공될 어댑터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며, 하나는 패널과 같은 그러한 고정부재상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광섬유 케이블 등에 고정될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어댑터를 통해 고정된 플러그의 페롤의 팁이 광전송 통로에서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크리닝을 요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댑터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플러그의 페룰의 팁을 크리닝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122570/1996호는 어댑터를 그의 고정부재로부터 제거하는 플러그의 타이트한 메커니즘을 기술하고 있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특별한 형상으로 된 패널과 같은 그러한 고정부 재상에 표준형 플러그를 측방향에서 고정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를 요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다.
건물 또는 기구적인 시스템에서의 필요한 배선을 설비할 때 광섬유 코넥터를 사용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 코넥터는 굽힘응력에 대한 탁월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다양한 사용환경에 대해, 광섬유 코넥터는 장기간동안의 안정성을 가지고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종래의 관련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베이식 플러그를 제공하여 코넥터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광섬유에 쉽게 연결하게 하여 훨씬 더 복잡한 장치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종래의 관련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코넥터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광섬유에 쉽게 접촉할 수 있게 하여 훨씬 더 복잡한 장치를 극복하기 위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종래의 관련기술에서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여 코넥터의 형태에 의존하지 않고 광섬유에 쉽게 연결할 수 있게 하여 훨씬 더 복잡한 장치를 극복할 수 있는 잭-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패널등에 고정됨에도 불구하고 페룰의 헤드를 사용자가 크리닝할 수 있는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5목적은 광섬유 등에 연결하는 단부가 굽힘응력에 대해 탁월한 상도를 발생할 수 있는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6목적은 녹이 발생하지 않고 훌륭한 주위환경의 안정성의 특성과 함께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는 페룰-홀딩 부재 및 유니버셜 코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서, 하우징부재를 통해 각각의 광섬유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기본 플러그는; 광섬유를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통 크기의 구조를 갖는 페룰과, 상기 페룰에 대하여 한 축 방향으로 힘을 미치도록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페룰과 상기 실린더 튜브사이에서 상기 스프링 부재를 샌드위치식으로 끼워넣음으로서 상기 스프링 부재를 홀딩하는 기능과 상기 광섬유를 끼워 삽입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안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실린더형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기본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부에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광섬유를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또다른 광섬유에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기본 플러그는 인게이징멤버를 더 포함하며, 인게이징멤버는 상기 페룰의 리어엔드부가 끼워맞춰지고, 적어도 그 외주면의 한부분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이팅부와, 상기 스프링부재가 지지되고, 상기 페룰의 상기 리어엔드부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롱사이즈 실린더부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의 리어엔드부에 형성된 상기 실린더튜브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인게이지부로 이루어지는 기본 플러그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속적인 실린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인게이징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에 상기 인게이징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서 상기 실린더형 튜브와 상기 메이팅부의 상기 플랜지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인게이징부는 상기 롱사이즈실린더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깥으로 돌출하여 반경방향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는 인게이징 돌출부로서 구비되며, 상기 인게이징돌출부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는 상기 인게이징 돌출부가 맞물릴 수 있도록 인게이징 호울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형 튜브에 삽입되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형 튜브에 삽입되는 상기 롱사이즈의 실린더부의 양을 제한하는 삽입 제한부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의 바깥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제한부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의 내부 지름보다도 약간 더 큰 바깥형상을 갖는 돌출부 또는 쇼트사이즈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특징으로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는 기본 플러그와, 상기 기본 플러그에 설치되는 하우징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우징부는 상기 페룰에 설치되도록 슬리브가 일체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인게이징부가 여러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도록 상기 베이직 플러그의 일측 반대편에 있는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페룰축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는 키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 이루어진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구비하며, 상기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의 한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의 사이에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여러 형태의 코넥터형태에 상응하는 어댑터와 여러 형태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플러그에 연결된다.
하우징부재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일측 반대편 일측에 있는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를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하우징이며, 상기 인게이징부는 여러 형태의 코넥터형태에 상응하는 또다른 기본 플러그에 맞물려지는 상기 인게이징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로서,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상기 인게이징부에 또 다른 기본 플러그를 맞물리도록 하는 동시에,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페롤은 상기 플러그의 상기 페룰에 있는 상기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있는 한 광섬유와의 사이에서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페룰축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 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 이루어진 상기 어댑터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어댑터 하우징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끝단의 일측에, 또 다른 베이직 플러그의 상기 페룰의 한축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지호울을 갖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로서, 상기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리더형 튜브를 상기 어댑터하우징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하우징은 복수의 기본 플러그에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끝부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에 끼워맞춤되도록 복수의 인게이징부를 갖는다.
하우징부재는 상기 기본 플러그 반대편 일측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를 갖는 한 잭하우징이며, 여러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플러그와 맞물릴 수 있는 상기 인게이징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로서, 상기 잭하우징의 상기 인게이징부에 있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에 인게이징하는 동시에,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페룰은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페룰에 있는 상기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있는 한 광섬유와의 사이에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페룰축 둘레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 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을 포함하는 상기 잭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로서, 상기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잭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플러그는 FC, SC, ST의 그룹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의 광섬유 코넥터에 상응하는 플러그이다.
상기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용 잭 하우징은 상기 페룰에 맞추어지도록 집적된 슬리브와, 상기 기본 플러그에 맞물리도록 일측면상에 형성된 제1계합부,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상기 플러그에 맞물리도록 다른 측면상에 형성된 제2계합부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1 및 제2계합부에 맞물려진 경우 상기 슬리브에 맞추어지고 상기 페룰의 광섬유와 상기 기본 플러그의 페룰에서의 상기 광섬유간에 광접속되는 상기 플러그의 페룰로 구성되고; 기본 플러그에 맞추어지고, 상기 기본 플러그와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간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잭 하우징은 상기 페룰축 주위에 대각방향으로 정열시키기 위한 키부재와, 복수의 계합구멍, 탄성 계합부품을 1개 이상 갖춘 상기 원통형 튜브 및 이 원통형 튜브를 상기 잭 하우징으로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계합구멍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계합구멍에 맞물려지는 1개 이상의 탄성 계합부품을 갖춘 상기 기본 플러그의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는 FC, SC 및 ST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에 합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 하우징으로서 제공된 1개의 종단부를 갖추고, 플랜지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1개 이상의 외측 주변부상에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페룰축 주위에 대각방향으로 정열시키기 위한 키부재와, 복수의 계합구멍 및 상기 원통형 튜브를 상기 잭하우징으로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계합구멍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계합구멍에 맞물려지는 1개 이상의 탄성 계합부품을 갖춘 상기 기본 플러그의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 상기 플러그내의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간에 광학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에 접속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랜지부는 섬유부재로 조여주기 위한 구멍을 갖춘다.
기본 플러그와, 광코드 장력체를 상기 기본 플러그의 외측 주변부에 접속하기 위한 계합링, 상기 페롤과 상기 기본 플러그를 덮기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 주변부상에 맞추어지고 상기 광코드 장력체의 접속부를 덮고 광코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멍을 갖춘 후드로 구성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로서, 상기 광섬유 코넥터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상에 맞추어지는 1개의 종단부와 상기 계합링 둘레에 다른 종단부를 갖춘 보강 파이프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보강 파이프는 상기 후드의 내측 주변부상에 위치된다.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공통 1차원 이상의 구조를 갖춘 페룰과, 축방향으로 상기 페룰에 대향하여 힘을 가하도록 하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진 강제 엘리먼트,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페룰간에서 상기 강제 엘리먼트를 샌드위치하여 상기 강제부재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이 보호부재를 결합하고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의 플러그 또는 어댑터에 접속하는 접속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에 연결 가능한 플러그 하우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접속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에 연결가능한 어댑터 하우징으로 이루어 질수 있다.
본 발명의 제6특징으로서, 페룰 지지부재는, 광섬유를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통 차원의 구조를 가지는 페룰, 축방향으로 상기 페룰에 대향하여 힘을 가하도록 하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진 강제 엘리먼트 및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페룰간에서 상기 강제 엘리먼트를 샌드위치하여 상기 강제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광섬유가 집적된 광섬유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춘 원통형 튜브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강제부재는 복수의 페룰을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에서 사용된 후드의 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코넥터의 시스템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주요부의 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다른 실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다른 실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의 또 다른 실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의 광섬유 코넥터를 사용하는 실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로서의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도.
제24도는 종래의 광섬유 코넥터의 사시도.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우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예로서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중의 하나로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의 분해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광섬유 코넥터의 횡단면의 평면도이며, 여기서 플러그 하우징과 기본 플러그가 각각 분리된 횡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10)는 FC의 형태로 되어있고 광섬유 케이블(1)이 설치되는 기본 플러그(20)과 기본 플러그(20)를 수용하기 위한 FC 플러그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FC 플러그 하우징(20)은 아래에서 기술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기본 플러그(20)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부재(31)에 설치된 스레드-패스닝 부재(32)를 구비한다. 부가적으로, 키이 링(33)(제1도)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결합부재(31)의 외주면상에 고정되고 코어 편심의 조정방향의 기능을 가지는 인덱스 키이로서 제공된다. 결합부내(31)상에 키이 링(33)을 고정하는 구조는 예를 들면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잘 알려진 종래의 구조이다.
기본 플러그(20)를 수용하는 측면상에 있는 결합부재(31)의 타단은 페룰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단부(34)로서 형성된다. 또한, 결합 슬롯(35)은 확정된 간격으로 삽입단부(34)의 주위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결합슬롯(35)이 90도의 간격으로 배치된다.
기본 플러그(20)는 다음을 구비한다; 광섬유(1)가 고정되는 페룰(21); 가장자리부(22A)와 리세스부(22B)를 가지는 페룰(21)의 후방단부상에 고정된 관형부재(22)(즉, 가장자리부(22A)는 리세스부(22B)의 최상부 가장자리이다); 및 관형부재(22)상에 설치되며 축방향으로 그곳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는 원통형 튜브(24). 따라서, 기본 플러그(20)는 장력부재(210)(제2도)로 원통형 튜브(24)의 후방단부를 커버하고, 뒤이어 그들을 함께 접합하거나 또는 커버된 부분상에 관형부재(215)를 속박함으로써 원통형 튜브(24)의 후방단부에서 광섬유 케이블(1)의 단자(1A)(2도)를 지지 및 고정한다. 페룰(21)은 여러 종류의 코넥터에 적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공통 칫수구조를 가진다.
관형부재(22)의 가장자리부(22A)와 원통형 튜브(24)사이에 스프링 코일(25)이 제공되어 그의 스프링장력에 의해 그들을 강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즉, 관형부재(22)와 페룰(21)은 이들이 원통형 튜브(24)에 관해 페룰(21)의 전방단부를 향해 스프링로드되는 스프링-플로팅 구조로서 구성된다.
본 실시예를 더욱 명료하게 하기위해, 원통형부(22B)는 관형부재(22)의 가장자리부(22A)의 후방단부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원통형 튜브(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원통형부(22B)의 후방단부의 외주면은 원통형부(22B)의 직경을 따라 내측방향으로 유연하게 비틀리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2C)를 가진다. 원통형 튜브(24)의 전방단부에서, 이들은 정사각형 개구(213)로 형성되며, 그 속으로 각각의 돌출부(22C)가 원통형 튜브(24)의 길이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하기에 충분한 공간으로 삽입된다. 관형부재(22)가 원통행 튜브(24)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한다면, 그의 이동은 돌출부(22C)가 직사각형 개구(213)의 전방측에 접촉함으로써 제한된다.
자유로운 상태에서, 돌출부(22C)와 직사각형 개구(213)의 전방측과의 사이의 접촉은 스프링 코일(25)의 신장력에 의해 관형부재(22)를 전방으로 푸쉬함으로써 유지된다. 관형부재(22)가 스프링 코일(25)의 신장력에 대해 후방으로 강제로 푸쉬된다면, 돌출부(22C)는 원통형 튜브(24)에 대해 페룰(21)의 양 위치를 변위시키기 위해 개구(213)에서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현 구조에서, 스프링 코일(25)의 신장력에 대한 페룰(21)의 이동은 정사각형 개구(213)의 후방측에 돌출부(22C)를 접촉시킴으로써 제한된다. 그대신, 이동량의 제한은 그 이동을 제한하고 원통형 튜브(24)의 개구측 부분에 부가적인 부재를 접촉시키기 위한 원통형부(22B)의 주위에 부가적인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부가적인 부재는 예를 들면 원통형부(22B)의 주위면의 주위에 형성된 돌출부, 긴 원통형부(22B)와 스프링 코일(25)사이에 형성된 짧은 실린더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스프링 로드된 결합피스(27)는 원통형 튜브(24)의 다른 한 단부, 즉 후단부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원통형 튜브(24)의 외주면에 U자형 슬릿(26)을 형성함으로써 주어진 설형 스트립(27A) 및 설형 스트립(27A)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뻗어 있는 결합 돌기부(27B)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유단부상의 계합 돌기부(27B)는 설형 스트립(27A)의 탄성변형효과에 의해 외향 또는 내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통형 튜브(24)의 원주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설형스트립(27A)이 있다.
계합 돌기부(27B)는 그 두께가 대향단부를 향해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실질적으로 원통형 튜브(24)의 외주면을 통과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웨지형상을 갖고 있다. 기본 플러그(20)가 삽입단부(34)를 통해 플러그하우징(30)으로 점차로 삽입되는 경우에, 계합 돌기부(278)는 삽입단부(34)의 내부 에지아 접촉하게 되고, 계합 돌기부(27B)는 삽입단부(34)를 통과할시에 원통형 튜브(24)로 점차로 밀어 넣어진다. 그 다음에, 계합 돌기부(27B)는 계합 돌기부(27B)는 계합 슬롯(35)과 대향하는 경우에 설형 스트립(27A)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함으로써 계합 슬롯(35)으로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기본 플러그(20)는 FC 플러그 하우징(30)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장방형 돌출영역(211)은 원통형 튜브(24)의 원주방향을 따라 계합 돌기부(27B)로부터 90°각도로 벗어난 원통형 튜브(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장방형 돌출영역(211)과 정합되어 홈(214)은 FC 플러그 하우징(30)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영역(211)의 전단부의 두께가 점차적으로 감소(즉, 테이퍼부)되어 경로를 반반하게 하여 홈(214)과 맞물리게 된다. 그리하여, 기본 플러그(20)를 FC 플러그 하우징(30)으로 삽입하면, 홈(214) 및 돌출영역(211)과 함께 정합되어, 각각 이들의 원주방향으로 기본 플러그(20) 및 FC 플러그 하우징의 상대회전을 제한한다.
기본 플러그(20)를 FC 플러그 하우징(30)의 삽입단부(34)로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각 구성기소는 브림부(22A)는 계합 돌기부(27B)를 계합 슬롯(35)으로 걸어 맞추기 전에 브림부(22A)가 정합부재(31)의 내향으로 플랜지(31A)(제2도)와 접촉하게 되도록 소정 치수로 설계된다. 그리하여, 스프링 코일(25)은 계합 돌기부(27B)가 계합 슬롯(35)에 걸어 맞추어져 있을 때 압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정합부재(31) 및 원통형 튜브(24)가 계합돌기부(27B)를 계합 슬롯(35)에 걸어 맞춤으로써 함께 결합되면, 스프링 코일(25)의 연장력에 의해 페룰(21)를 플랜지(31A)에 대하여 푸시하고 계속해서 페룰(21)을 플랜지(31A)에 고정시킨 후, 그 내부에 수용한다. 즉, FC 플러그 하우징 및 기본 플러그(20)는 특정 어셈블리 상태로 유지된다.
어셈블리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계합 돌기부(27B)는 계합 돌기부(27B)와 계합 슬롯(35)사이의 계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푸시업되려고 하는 설형 스트립(27A)의 탄셩력에 대하여 세게 푸시다운하여 원통형 튜브(24)가 스프링 코일(25)의 연장력에 의해 정합부재(31)로부터 재빨리 제지되어, 어셈블리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적절한 상대 위치로 존재하도록 키 링(33)의 중심 및 섬유 코어의 편심 방향을 조절하는 공정은 정합부재(31)에 대하여 계합 돌기부(27B)를 원주방향으로 위치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을 적절한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얼라이먼트를 위해서, 다수의 홈(22D)이 브림부(22A)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또한 이들의 각각의 홈(22D)에 끼워 ??춰지는 다수의 키(31B)(제2도)가 소위 지향성 커플림 키 엘리먼트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정합부재(31)의 내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키링(33)과 코어 편심방향의 최상 상대위치는 원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키(31B)를 홈(22B)에 끼워 맞추는 상을 시프트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원통형 튜브(24)는 사출성형 프레스에 의해 일체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강도 측면에서 보아 재료로는 폴리에테르이미드, 이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폴리부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된 범용 광섬유 코넥터(10)는 FC 플러그 하우징(30)에 기본 플러그(20)를 끼워 맞추어 보유함으로써 상응하는 FC형 광섬유 코넥터에 직접 연결하도록 설계된 FC형 광섬유 코넥터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사실상, 어셈블리된 광섬유 코넥터(10)의 후단부는 접속상태를 광섬유 케이블의 밴딩 스트레스 및 트위스트 스트레스를 포함한 외부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후드(C)로 커버될 수 있다.
실시예 2
제4도는 SC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1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기본 플러그(20)가 기본 플러그(20)와 FC 형태와는 다른 SC 형 광섬유 코넥터를 접속하는 SC 플러그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제1도 및 제2도의 것과 동일하다.
SC 플러그 하우징(40)은 제2도의 정합부내(31)와 동일한 형태로 된 정합부재(41)를 구비한다. 정합부재(41)의 페룰 삽입단부(42)의 근방에는 페룰 삽입단부(42)의 원주방향을 따라 90°로 간격을 두고 있는 다수의 계합 슬롯(43)이 있다. 정합부재(41)의 외주부에는, FC형 광섬유 코넥터용 푸시·풀 기밀부재(44)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풀 기밀부재(44)는 각각 계합슬롯(43)과 대향하는 각각의 위치에 윈도(45)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윈도(45)를 통해 계합 돌기부(27B)와 계합 슬롯(43)의 걸어 맞춤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도면에서, 참고부호 (41A)는 내향으로의 플랜지(31A)에 상응하는 내향으로의 플랜지를 나타내며, 또한 참고부호(41B)는 키(31B)에 상응하는 키를 나타낸다.
FC 플러그 하우징(30) 대신에 SC 플러스 하우징을 사용하면, 그 결과, SC형 광섬유 코넥터(10′)는 단순히 기본 플러그(20)를 SC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함으로써 구조될 수 있다.
실시예 3
제5도를 참조하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형태의 기본 플러그(20) 이외에도, ST 플러그 하우징을 기본 플러그(20)와 결합하여 ST형 광섬유 코넥터(10″)를 구성하는 ST 플러그 하우징(50)이 도시 되어 있다.
ST 플러그 하우징(50)은 제2도의 정합부재(31)와 동일한 구조로 된 정합부재(51)를 구비한다. 정합부재(51)의 페룰 삽입부(52)의 부근에는, 계합 슬롯(53)이 정합부재(51)의 원주방향으로 90°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ST형 광섬유 코넥터용 베이오넷 결합부재(54)는 정합부재(51)의 외주면에 끼워 ??추어져 있다. 베이오넷 결합부재(54)는 정합부재(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베이오넷 결합부재(54)와 정합부재(51)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55)에 의해 제5도의 우방향으로 프레스된다.
이렇게 하여 FC 플러그 하우징(30) 대신에 ST 플러그 하우징을 사용하면, ST형 광섬유 코넥터(10″)는 단지 기본 플러그(20)를 ST 플러그 하우징에 끼워 맞춤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FC 플러그 하우징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SC 플러그 하우징(40) 또는 ST 플러그 하우징을 사용하면, 기본 플러그(20)는 용이하게 적소에 끼워 맞춰지거나 한 번의 이동으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C, SC 또는 ST 형태중 원하는 광섬유 코넥터는 용이하게 어셈블리될 수 있거나, 기본 플러그(20)와, 사전에 준비되어 있다면 FC 플러그 하우징, SC 플러그 하우징 및 ST 플러그 하우징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결합함으로써 다른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로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따라서, 범용 광섬유 코넥터는 모든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섬유 코어의 편심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여 키의 적절한 위치를 알아내기가 용이하다. 이를 위해, 홈은 어댑터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각각 양쪽 광섬유 코넥터의 위치결정 키와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된 광섬유 코넥터는 계합에 의해 정렬배치시에 직선으로 마주 대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반대 방향의 섬유 코어 사이에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일탈되지 않고 안정하게 접속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한 단일 섬유와 다른 한 단일 섬유 사이의 접속상태가 기술되어 있지만 이러한 접속상태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수의 단일 광섬유 코넥터가 단일 유닛에서 마주 대하고 있는 다층 광섬유 코넥터 어셈블리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지닌 다른 코넥터 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FC, SC, ST 형태 등의 광섬유 코넥터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에 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광섬유 코넥터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본 플러그를 새로 제조하기 위한 어댑터 하우징을 사용하여, 광섬유 케이블간의 접속상태를 자유로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제부터 종래의 광섬유 코넥터에 의존하지 않고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다.
실시예 4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하나로서 광섬유 코넥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제8도는 제7도에 도시된 광섬유 코넥터의 주요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플러그 하우징을 사용하지 않고 기본 플러그(20)를 어댑터 하우징에 직접 연결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 플러그(20)는 제2도의 것과 동일하다.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60)는 양단부에 동축 대향 기본 플러그(20)을 지지하여 이들 플러그(20)에 광섬유(1)을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어댑터 하우징(60)은 제2도에 도시된 정합부재(3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정합부재(61)를 포함하고, 페룰(21)이 고정될 수 있는 분리형 슬리브와 같은 슬리브(65)는 정합부재(61) 사이의 중심부에 삽입된다.
기본 플러그(20)와 대향하는 정합부재(61)의 한 단부에는 4개의 계합 슬롯(63)이 원주 방향으로 90°각도로 간격져 있는 페룰 삽입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정합부재(61)의 다른 한 단부에는 제2도에서 각각 내향으로의 플랜지(31A) 및 키(31B)와 상응하는 플랜지(61A) 및 키(61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64)은 대향 정합부재(61)를 동축상으로 지지하고 또한 정합부재(61)의 사이의 슬리브(65)를 동축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벗겨진 광섬유(99) 사이의 광학 접속은 광섬유 케이블(1)을 보유하는 기본 플러그(20)를 어댑터 하우징(60)의 각 정합부재(61)로 삽입하여 계합 돌기부(27B) 및 계합 슬롯(63)을 걸어 맞추고 페룰(21)의 팁을 적소의 슬리브(65)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접속형태는 FC, SC, ST 형태 등의 광섬유 코넥터보다 더욱 간단하므로, 필요한 엘리먼트 수는 감소될 수 있고 제조비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플러그(20)를 사용하여, FC 플러그 하우징, SC 플러그 하우징, ST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용가능한 부재에 적합한 부재를 사용하여 다양한 이용가능한 광섬유 코넥터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구조적 엘리먼트 수를 감소함으로써 간단한 코넥터 구조체를 얻을수 있다.
실시예 5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2개의 단일 광섬유사이의 광학 접속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기본 플러그(20)을 이용하는 광학 접속을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어 있지는 않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또한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 대향하게 결합된 다수의 코넥터 중에서 다층 광학 접속상에 적용할 수 있다.
제9도는 2쌍의 접속된 광섬유를 형성하도록 4개의 광섬유 케이블을 동시에 접속하는 이중 광섬유 코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어댑터 하우징(70)은 2쌍의 정합부재를 포함하므로, 두 정합부재(71)가 이중 어댑터 하우징(70)의 한 측부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기본 플러그(20)는 이중 어댑터 하우징(70)의 양단부로부터 정합부재(7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각 쌍의 정합부재(71)에 의해 2쌍의 접속된 광섬유 케이블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10도는 8쌍의 접속된 광섬유를 형성하도록 16개의 광섬유 케이블을 동시에 접속하는 8중 광섬유 코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8중 어댑터 하우징(80)은 8쌍의 정합부재를 포함하므로, 8개의 정합부재(71)가 이중 어댑터 하우징(80)의 한 측부에 배치된다. 그리하여, 기본 플러그(20)는 8중 어댑터 하우징(80)의 양단부로부터 정합부재(81)에 고정될 수 있으므로, 각 쌍의 정합부재(81)에 의해 8쌍의 접속된 광섬유 케이블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접속 구조는 기본 플러그(20)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먼트 수를 줄일 수 있고 어셈블리를 저가로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6
또한,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하우징(90)은 2개의 분리형 부재, 즉 제거가능하게 함께 정합되는 기본 플러그용 수형(male type) 어댑터 하우징(91) 및 기본 플러그용 암형(female type) 어댑터 하우징(92)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부재는 기본 플러그(20)를 수용하는 8개의 정합부재(93)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수형 어댑터 하우징(91)은 패널상에 고정되므로, 암형 어댑터 하우징에 배치된 8개의 광섬유 케이블은 플러그 접속이 용이하게 수형 어댑터 하우징(91)에 배치된 8개의 광섬유 케이블에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도면과 관련하여 광섬유 코넥터가 실시예 1∼6에서 기술되었지만, 이는 다만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도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변경 및 변형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1∼6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섬유 코넥터의 형태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 플러그를 그대로 유지하는 동안에 플러그 하우징을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섬유를 접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학 접속을 고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는 것보다 저가이고, 송전손실과 같은 단점이 없다. 또한, 키링의 위치를 최적상태로 조정하여 광섬유 코넥터를 훨씬 더 정교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플러그는 그대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따라서, 접속 구조는 어댑터를 사용함으로써 단순화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엘리먼트 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제조비도 절감할 수 있다.
실시예 7
제1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의 범용 광섬유 코넥터의 확대 사시도이고, 제13도는 제14도의 단면도이다.
제12도 및 13도에 도시된 범용 광섬유 코넥터(300)는 FC 형태이다. 광섬유 코넥터(300)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성을 지닌 것으로 기본 플러그(20) 및 FC 잭 하우징(230)을 포함하고 있다.
잭 하우징(230)은 원통형 케이싱(231), 케이싱(230)의 한 단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정합부재(232) 및 케이싱(231)의 다른 한 단부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페룰(21)에 끼워 맞추기 위한 분리형 슬리브와 같은 슬리브(233)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잭 하우징(230)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기본 플러그(20)의 벗겨진 섬유(99) 및 FC 플러그의 광섬유를 동축상으로 보유함으로써 기본 플러그(20)가 페룰 삽입부(234)로 끼워 맞춰지고 FC 플러그가 대향단부로 끼워 맞춰져서 광학접속이 이루어진다.
또한, 정합부재(232)의 페룰 삽입부(234)의 부근에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90°로 간격진 4개의 계합 슬롯(235)이 있다. 또한, 페룰 삽입부의 계합 슬롯의 영역의 내면에는 기본 플러그(20)의 돌기부(211)가 걸어 맞춰져 있는 홈(239)이 있다. 기본 플러그(20)가 FC 잭 하우징(230)으로 삽입되는 경우에는, 돌기부(211)는 홈(239)(제3도)에 끼워 맞춰져서 기본 플러그(20)와 FC 잭 하우징(230) 사이의 상대회전운동을 원주방향으로 제한시킨다.
케이싱(231)의 다른 한 단부에는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FC 플러그 삽입부(236)가 형성되어 통상적인 FC 플러그(100)와 계합된다. FC 플러그 삽입부(236)는 외주면에 수나사부(237)를 구비하여 FC 플러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FC 플러그(100)가 FC 플러그 삽입부(236)에 삽입되면, 케이싱(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237) 및 FC 플러그의 기밀부재(103)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는 함께 죄여지고, FC 플러그(100)의 페룰(101)의 팁을 슬리브(233)으로 끼워 맞춰지며, 기본 플러그(20)의 페룰과 접촉하게 되어 광섬유 사이의 광학 접속이 이루어진다.
케이싱(231)을 패널로서 고정부재 위에 고정하기 위해서, 케이싱(231)의 외주면위에 중심 가까운 곳에 플랜지(238)를 축방향으로 설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본 플러그(20)를 잭 하우징(230)의 일 측면위에 접속하고, 또한 FC-형 플러그를 그 다른 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다양한 종래의 어댑터에 어떤 변화를 주지 않고 광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FC, SC, ST등의 여러형태의 종래의 플러그들을 지지하는 잭하우징을 다양한 광섬유결합의 결합구조를 실현하는 다양한 종류의 변환 어댑터를 준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구성요소의 갯수를 줄이고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러그 결합부재(241)는 잭하우징(240)의 플러그삽입측에 SC 플러그를 삽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ST 결합부재(251)가 잭 하우징(250)의 플러그 삽입측게 ST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삽입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실시예에서는 기본 플러그의 결합측 위에 잭 하우징(240) 및 (250) 각각이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FC,SC 및 ST 형식의 플러그를 예로서 제시하였으나 반드시 이것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섬유 접속기인 MU 형식의 것이 접속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 전부에서, 플랜지는 잭 하우징위에 설치되었지만 반드시 그 형식에 재한되는 것이 아님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구성에 따라서는 플랜지 없는 잭 하우징 역시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어떤 광섬유 접속기를 사용하는 전술한 광접속은 두 개의 단일 광섬유 또는 단일 페룰(ferrule)을 접속하는 형식이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실시예는 반대방향에서 접속된 단일 접속기의 세트로서 복수개의 단일 접속기가 제공되어, 두 개의 단일 광섬유 사이에 접속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일으키는 다중의 접속기 어셈블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결합구조가 일단이 바로 공통 기본 플러그에 접속되고, 타단이 플러그의 다양한 접속기 형식에 접속되는 접속기를 포함하는 광섬유 접속기로서 쉽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매우 단순한 규정으로 광섬유 접속기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광섬유 접속기의 다른 형식의 조합은 어느 광섬유사이의 결합이 기본 플러그는 그대로 둔 채 잭 하우징만을 교체하는 것만으로 이루어지는 광접속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그래서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전송손실등의 결점이 없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를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기본 플러그는 그 자체로서만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 접속구조는 종래의 다양한 접속 플러그에 적용될 수 있다. 그래서 구성요소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실시예 8
제16도은 본 발명을 구체화한 것의 하나로서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의 체결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제17도는 제16도의 단면도이다.
제16도의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400)는 SC-형식에 적용된 것이다. 광섬유 접속기(400)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구조로서 기본 플러그(20)을 잡아주기 위한 SC 플러그 하우징(330)을 구비하는 기본 플러그(20)로 구성된다.
SC 플러그 하우징(330)은 결합부재(331)과 푸시풀 기밀부재(3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재(331)의 페룰-삽입단(335)(제17도)은 원주를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결합슬롯(33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결합부재(331)의 외측 주변부에는 SC-형식의 광섬유 접속기를 위한 푸시풀 기밀부재(332)가 설치된다. 이들은 점착제등에 의해 고정된다. 푸시풀 기밀부재(332)에는 결합슬롯에 맞닿는 각위치에 창(334)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다음의 조건에서 기본 플러그(20)와 SC 플러그 하우징은 결합된다. 즉, 기본 플러그(20)가 플러그 하우징(330)의 페룰 삽입부재(335)를 통해 삽입되면서, 결합돌출부(27B)는 결합부의 삽입부재(335)의 내측모서리에 접촉되고 결합부가 페룰 삽입부재(335)를 통과할 때, 결합부재(331)의 내측면으로 강제삽입된다. 한편, 결합돌출부(27B)는 결합슬롯(335)의 하나에 결합돌출부(278)가 맞닿을 때 혀모양의 스트립(27A)의 탄성체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함으로서 결합슬롯(335)내에서 결속된다.
또한, SC 플러그 하우징(330)의 페룰 삽입부(335)의 결합슬롯(333)이 형성된 지역의 내주부는 제16도의 돌출부(211)과 결합하는 홈(337)을 구비한다. 기본 플러그(20)가 SC플러그 하우징(330) 내부로 삽입되면, 돌출부(211)은 홈(337)에 끼워져서 기본 플러그(20)와 SC 플러그 하우징(330)사이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상대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광섬유 접속기는 SC플러그 하우징(330)의 페룰 삽입단(335)를 통해 기본 플러그(20)를 삽입할 때, 결합돌출부(27B)가 결합슬롯(333)내측에 결합하기에 앞서, 관형부재(22)의 가장자리부(22A)와 도17의 결합부재(331)의 내측 플랜지(331A)가 접촉하도록 하는 소정의 차원을 가지고 있다.
결합돌출부(27B)가 어떤 결합슬롯(333)으로 결합되는 주기 동안 스프링 코일(25)는 수축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결합돌출부(27B)가 결합슬롯(333)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331)와 결합슬롯(333)이 결속될 때, 페룰(21)은 스프링코일의 장력에 의해 내측플랜지(331A)에 압축접촉하게 되어 그곳에 고정되고, 그 결과 SC 플러그 하우징(330)과 기본 플러그(20)는 설명한 조립상태가 된다.
조립상태의 해체를 위해서는, 결합돌출부(27B)가 위로 눌려올라가면서 결합돌출부(27B)와 결합슬롯(27B)사이의 결합을 해지하는 상태로 된 스트립(27A)의 탄성에 대항하여 강제로 아래로 눌려지면서 시작되고, 그 결과 실린더형 튜브(24)가 스프링코일의 확장력에 의해 결합부재(331)로부터 빠르게 제거되어 조립상태를 해체한다.
적절한 상대적 위치로 키이 링(336)의 중앙과 광섬유 코어 이심률의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은 결합돌출부(27B)의 결합부재(331)에 대한 원주방향의 상대적인 위치를 잡는 것으로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보다 특별히, 이들을 정확한 장소로 이끌어 정렬하기 위해서는 제16도의 복수개의 홈(22D)을 가장자리부(22A)의 외주면에 형성시키고, 각각이 상기의 홈(22D)에 꼭 들어 맞도록 된 복수개의 키(31B)를 결합부재(3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하여 소위 키 요소들을 방향성 결합(directional coupling)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열쇠고리(336)과 코아 편심의 방향의 가장 상대적인 위치는 원주방향으로 이들을 상내회전시키면서 키(31B)를 홈(22D)속으로 끼우는 위상의 이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푸시풀 기밀부재(332)의 단부는 페룰 삽입측의 일단부 위에 형성된 두 개의 플래지부(337)을 가진다. 통공(338)은 나사를 사용하여 조이기 위한 것이다. 플랜지(337)은 패널등의 고정부재(350)위에 SC 플러그 하우징(330)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그래서 플러그가 페룰(21)의 단부면을 해방시킨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페룰(21)의 단부면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350)위에 복수개의 SC 플러그 하우징(330)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페룰921)의 단부면을 깨끗이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접속 작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337)은 이미-존재(already-existion)하는 어댑터의 플랜지부의 그것처럼 동일한 형상으로 만들어져서, 고정부재위에서 추가적인 기계적 작동등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며, 이미 존재하는 고정부재위에서 유니버셜광섬유 접속기(400)을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은 SC 접속기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FC 또는 ST 접속기 등의 다양한 접속기 형태의 다른 플러그하우징이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에 따르면, 페룰의 팁이 기밀부재의 플랜지에 의해 고정부재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며, 페룰의 측면부는 쉽게 깨끗이 할 수 있다. 또한 그 형태를 이미-존재하는 어댑터의 형상으로 만들어 낮은 가격으로 쉽고도 깨끗한 광섬유접속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9
제19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섬유 접속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기의 기본구조는 제1도에 도시한 기본 플러그 및 플러그하우징이다.
이 실시예에서, 강화 실린더 파이프(28)는 조립된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500)의 후위 단부에 접속된 후드(C)의 내주면위에 위치한다. 강화 실린더 파이프(28)는 니켈 도금된 황동, 스텐레스 스틸 등의 금속으로 제조되며 후드(C)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동시에 삽입몰딩하여 통합식으로 형성된다.
강화 실린더 파이프(28)의 일단부는 플러그 하우징(30)의 일 단부위에 끼워지고, 다른 단부는 기본 플러
그(20)의 다른 단부위에 장력체(210)을 고정한 실린더부재(215)를 둘러 싸도록 배치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광섬유 접속기(500)는 후드(C)의 내주면위에 강화 금속파이프를 설치하여 강도가 증가한다. 만일 후드와 그주변의 영역이 예를 들면 광섬유케이블(1)의 굽힘을력이나 접속상태에서 발에 밟히는 등으로 외부로부터 응역을 받으면, 강화 파이프(28)은 응력을 플러그 하우징(30)으로 전달한다. 그러므로 기본 플러그(20)의 다른 단부에 고정된 실린더 부재는 응력을 받기 힘들게 되고, 그래서 기본 플러그(20)내에서의 변형등은 예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접속기에 대해서, 강화 실린더 파이프(28)는 후드의 내주면에 배열된다. 그러나, 후드의 외주면 위에 또는 그 내측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강화파이프(28)는 광섬유 접속기가 안착하도록 사각관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강화 파이프(28)는 필요하다면 후드(C)에 부착하도록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립된 광섬유 접속기는 강화 실린더 파이프(28)의 일단부가(실린더부재(215)가 스웨이지(swage)가공된) 그 단부의 내부인 기본 플러그(20)의 외측에 꼭 맞도록 하고, 또한 강화 실린더 파이프(28)의 다른 단부는 기본 플러그(20)의 일단부위에 고정된 장력체(210)를 갖는 실린더 부재(215)를 덮도록 하는 구조가 되는 것만이 필수조건이다.
또한 광섬유 접속기의 기본구조는 본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광섬유 접속기는 레진 몰딩(resin moulding)가공으로 브림, 압축스프링 및 스토퍼가 하나의 조각으로 몰드가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섬유 접속기의 실시예 9에 따르면, 페룰이 기본 플러그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접속시에 압축수단으로부터의 힘을 바도록 플러그프레임으로 덮여진다. 한편, 기본 플러그의 다른 단부는 그 부분의 외주면위에 장력체를 고정하는 결합링을 는다. 그리고, 이 고정된 부분이 플러그프레임의 외주면에 고정되도록 후드로 덮여진다. 또한 강화파이프는 예를 들면 후드의 내주면위에 위치하여 후드와 광섬유 접속기의 강도가 개선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후드위에 가해지는 응력 또는 힘(굽힘응력, 장력, 또는 전단력 등)이 기본 플러그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최대 인용한계를 얻도록 하는 연구에서 응력균열과 같은 손상은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광섬유 접속기를 제공한다.
실시예 10
제2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 한 실시예로서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제21도는 제20도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유니버셜 광섬유 접속기(600)는 FC형 접속기 모델의 어댑터에 접속하기 위한 형태로 되어 있다. 광섬유 접속기(600)는 단일 광섬유 케이블(1)과 동축관계로 이에 고정되는 페룰 보유부재(420) 및 상기 FC-접속기 형 어댑터에 페룰 보유 부재(420)를 접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부재(420)를 보유하는 FC 플러그 하우징(430)을 포함한다.
페룰 보유 부재(420)은 광섬유 케이블(1)을 보유하는 페룰(21), 테두리(422A)를 구비하여 이 페룰(21)의 후단에 동축관계로 고정된 관상 부재(422), 이 관상부재(422)의 후단을 보유하는 페룰 강제(forcing)부채(425) 및 동축관계로 상기 관상 부재(422)에 미끄럼 맞춤되는 원통형 관(424)을 포함한다. 따라서, 원통형 관(424)의 후단에는 장력제(210)(제21도)에 의해서 광섬유의 끝부분(1A)(제21도)이 고정된다. 이 경우, 장력재(210)는 원통형 관(424)의 후단부분 위에 위치된 후, 이에 의해서 원통형 부재(215)가 크림핑(crimping) 혹은 형상화된다. 한편, 페룰(21)은 다양한 접속기 모델에 맞게 적어도 하나의 공통되는 크기의구조로 되어 있다.
페롤 강제 부재(425)는 관상 부재(422)의 테두리(422A)와 원통형관(424)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고무나 엘라스토머로 만들어져, 이들에 대해서 반대하는 방향의 탄성 변형력을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분리된 상태에 있도록 설치된다. 즉, 관상부재(422) 및 페룰(21)은 탄성-부유(elastic-floating)구조로 되어 있는 것으로, 원통형 관(424)에 대해 페룰(21)의 선단에 엘라스토머가 부가되어 있다.
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서, 페룰 강제 부재(425)를 관통하는 길이가 긴 원통형부(422B)는 관상 부재(422)의 테두리(422A)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형관(424)의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한다. 원통형부(422B)의 후단부의 외원주면에는 돌기(422C)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돌기는 원통형부(422B)의 직경을 따라 안쪽으로 가요성있게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원형통 관(424)의 선단부에는 원통형관(424)의 길이 폭 방향을 따라 마끄러질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갖고 각각의 돌기(424C)가 삽입되는 사각 개구부(428)(제20도)가 있다. 관상 부재(422)의 앞변(side)에 돌기부(424C)가 접촉하므로 그 이동이 제한된다.
놓아둔 상태에서, 페룰 강제 부재(425)의 신장력에 의해 앞쪽으로 관상 부재(422)가 밀리므로 돌기(422C)와 사각 개구(428)의 앞변간에 접촉이 유지된다. 페롤 강제 부재(425)의 신장력에 대향되게 관상 부재(422)를 강제적으로 뒤쪽으로 밀면, 돌기(422C)는 이의 축방향을 따라 사각 개구부(428)안에서 미끄러 수 있기 때문에 원통형 관(424)에 대해서 페룰(21) 및 관상 부재(422)의 위치가 옮겨진다. 페룰 강제 부재(425)의 탄성 변형력에 대향하여 페룰(21)이 이동되어도 사각 개구부(213)의 뒤쪽변에 돌기(22C)가 접촉하거나, 혹은 페롤 강제 부재(425)의 탄성한계로 인해 제한된다.
엘라스토머가 부가된 맞물림편(427)은 원통형 관(424)의 타단부(즉,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원통형 관(24)의 주변 표면 내에 U형상 슬릿(426)을 형성하여 제공된 설상(tongued) 스트립(427A) 및 이 설상 스트립(427A)의 자유단에 형성되어 확장된 맞물림 돌기(427B)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자유단 상의 맞물림 돌기(427B)는 설상 슬립(427B)의 탄성 변형의 작용으로 안쪽 및 바깥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원통형 관(424)의 원주방향으로 180도의 공간에 2개의 설상 스트립(427A)가 있다. 맞물림 돌기(427B)는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의 두께는 설상 스트립(427A) 및 맞물림 돌기(427B)의 경계로부터 이 돌기의 대향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고 있어, 이에 따라 원통형 관(424)의 주변 표면을 넘는 돌기로 된다. 더욱이, 직사각형의 돌출된 영역(429)은 원통형 관(424)의 원주 방향으로 따라 상기 맞물림 돌기(427B)로부터 90도 벗어난 상태로, 원통형 관(424)의 외주변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429)의 선단부의 두께는 점차 감소하게 되어 있어(즉, 테이프된 부분으로서 형성된), 이하 설명되는 홈(436)과 원할하게 맞물리는 경로가 되게 한다.
한편, 예를 들어 페룰 강제 부재(425)는 실리콘 고무, 아크릴로나 이크릴-부타디엔 고무(NBR), 자연 고무, 이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풀루오린 고무, 폴리우레탄 엘라스코머 및 폴리에스터 엘라스코머의 그룹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원통형상으로 주조될 수 있다.
FC 플러그 하우징(430)은 페룰 보유 부재(420)을 수용하는 맞춤 부재(431)에 결합되는 나사 결합 부재(432)를 포함한다. 더욱이. 키링(433)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맞춤 부재(431)의 외주변면 상에 고정되고, 정합 부재(431)가 적소에 있도록 코어 편심 방향을 조정하는 기능을 간는 인덱스 키로서 제공된다. 키 링 (433)을 맞춤 부재(431)에 고정시키는 구조는 예를 들어 제2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공지된 구조이다.
페룰보유 부재(420)를 수용하는 측 상에 있는 맞춤 부재(431)의 타단은 페룰 삽입 단부(434)로서 형성된다. 더욱이, 맞물림 슬롯(435)은 설정된 간격으로 페룰 삽입 단부(434)의 주변면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90도 간격으로 4개의 맞물림 슬롯(435)가 있다. 돌출 영역(439)과 맞춤될 홈(436)은 FC 플러그 하우징(430)의 내면에 형성된다.
페룰 보유 부재(420)가 삽입 단부(434)를 통해서 FC 플러그 하우징(430)에 점차적으로 삽입될 때, 맞물림 돌기(427B)는 삽입 단부(434)의 안쪽 엣지와 접촉하여, 삽입 단부(434)를 통해 맞물림 돌기(427B)가 통과될 때 원통형 관(424)내로 점차적으로 넣어진다. 이어서 맞물림 돌기(427B)는 맞물림 슬롯(435)중 하나
와 면하게 된 때 설상 편(427A)의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맞물림 슬롯(435)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페룰 보유 부재(420)는 FC 플러그 하우징(43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페룰 보유 부재(420)를 FC 플러그 하우징(430)에 삽입시킬 때 홈(436)과 돌출 영역(429)이 서로 맞춤 결합되므로, 결국 페룰 보유 부재(420) 및 FC 플러그 하우징(430)은 이들 원주방향으로 상대적 회전되는 것이 제약된다.
페룰 보유 부재(420)를 FC 플러그 하우징(430)의 삽입 단부(434)에 삽입하는 단계에 있어서, 슬롯(435)에 맞물림 돌기(427B)를 결합시키기 전에 맞춤 부재(431)의 안쪽 방향으로 테두리부(422A)가 플랜지(431A;제21도)에 접촉하도록 각 구성요소를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설계한다. 따라서, 페룰 강제 부재(425)는 맞물림 돌기(427B)가 어떤 맞물림 슬롯(435)이라는 이와 맞물릴 때 압축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맞물림 돌기(427B)를 맞물림 슬롯(435)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맞춤 부재(431)와 원통형 관(424)을 서로 결합할 경우, 페롤 강제 부재(425)의 신장력으로 인해서 플랜지(431A)에 대향하여 부재(425)가 페룰(21)을 밀어, 페룰(21)이 플랜지(431A)에 고정되어, 그 안에 수용된다. 즉, FC 플러그 하우징(430) 및 베이직 플러그(420)은 조립된 상태에 있게 된다.
조립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설상 스트립(427A)의 미는 탄성력에 대향되게 맞물림 돌기(427B)를 강제적으로 눌러, 맞물림 돌기(427B)와 맞물림 슬롯(427B)간 맞물림을 해제시켜, 페롤 강제 부재(425)의 신장력에 의해서 원통형 관(424)이 맞춤 부재(431)로부터 신속하게 제거되게 하도록 함으로서 조립상태로부터 결합해제되게 한다.
적합한 상대 위치에 있도록 키 링(433)의 중심 및 코어 편심 방향을 조정하는 과정은 원주 방향으로 맞춤 부재(431)에 대해 맞물림 돌기(427B)의 배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즉, 이들이 적소에 있도록 정렬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홈(422D)가 테두리부(422A)의 외주변면에 형성되며 이들 각자의 홈(422D)과 맞춤되는 복수의 키(431B)(제21도)가 맞춤 부재(43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고, 이들 키는 소위 방향성 결합 키 요소로 형상화된다. 그러므로, 최상의 키 링(433)의 상대 위치 및 코어 편심 방향은 키(431B) 및 홈(422B)을 원주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키(431B)를 홈(422B)에 맞추어지는 상태를 이동시켜 조정될 수 있다.
실시예 11
도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수의 광섬유 접속기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3은 도22에 도시한 광섬유 접속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복수의 광섬유 접속기 조립체는 평행한 복수의 페룰을 포함한다.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수의 페룰 보유 구조체(700)는 복수의 페룰(이 실시예어서 4개의 페룰), 고무 혹은 엘라스토머로 된 페룰 강제 부재(562), 혹은 상기 페룰 강제 부재(562)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563)을 포함한다.
페룰(561)은 그 리어엔드에서 칼라부(565)가 있는 반면 광섬유 코어는 페룰(561)의 중간에 삽입되어져 그 안에서 고정되어 있다.
페룰 지지부(562)는 페룰(561)에 압력이 미치도록 칼라부(565)에 연결되어 있다. 페룰 지지부(562)는 직사각형 형상의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로서, 복수개의 페룰(561)과 칼라부(5665)가 장착될 수 있는 여러 포션들로 이루어져 있다. 즉, 그 포션들은 칼라부(565)가 끼워 맞춤되는 복수개의 그루브(567)와, 나일론으로 잭이 형성된어 있는 광섬유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관통구들로 이루어져 있다.
페룰 지지부(562)가 그들 사이에서 복수개의 페룰(561)들을 샌드위치식으로 끼워 넣는 두 개의 분리된 컴포넌트로 형성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561)은 페롤 지지부(562)가 끼워 맞춤될 수 있도록 피트부(569)와, 상기 피트부(591)의 바닥을 통하여 드릴되어 있는 관동구(570)로 이루어진다.
나일론으로 잭이 형성되어 있는 각 광섬유는 상기 하우징의 바깥으로부터 관통구(570)를 통하여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페룰(561)은 패룰(561)이 페룰지지부(562)의 탄성변형작용에 의해 페룰의 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우징(56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페룰(561)은 또 다른 코넥터 등에 광학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여러 광섬유 코넥터들중의 어느 하나와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복수의 페룰 홀딩 구조를 다양한 스텍의 복수개 광섬유 코넥터와 상응하는 케이싱으로 어셈블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페룰은 하나의 페룰 지지부에 고정되지만 이 구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페롤들은 하나의 하우징에서 그들 각각의 관모양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페룰지지 컴포넌트안에서 고정되어 질 수도 있다.
광섬유 코넥터에 더 큰 내구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한 압력을 페룰에 가하는 탄성부가 상기한 바와 같이, 페룰에 압력을 가하는 탄성부가 엘라스토머라든지 고무로 만들어진다면, 실시예 10과 11에서 각 광섬유 코넥터를 녹슬지 않도록 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다. 비용절감을 위해서, 광섬유 코넥터의 구성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은 본발명으로부터 용이한 것이다. 또한, 탄성부가 어떠한 형태로든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코넥터와 비교하여 만들 수 있는 것 또한 용이한 일이다.

Claims (31)

  1. 광섬유를 받아들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통 크기의 구조를 갖는 페룰과, 상기 페룰에 대하여 한 축 방향으로 힘을 미치도록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 엘리먼트와, 상기 페룰과 상기 실린더 튜브사이에서 상기 스프링엘리먼트를 샌드위치식으로 끼워넣음으로서 상기 스프링엘리먼트를 홀딩하는 기능과 상기 광섬유를 끼워 삽입하는 광섬유 케이블을 안착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하우징부에 의해 여러개의 광섬유를 연결하는 베이직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베이직 플러그는 상기 하우징부에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상기 광섬유를 상기 하우징을 통하여 또 다른 광섬유에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직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인게이징 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인게이징 멤버는 상기 페룰의 리어엔즈부가 끼워 맞춤되고, 적어도 그 외주면의 한 부분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메이팅부와, 상기 스프링엘리먼트가 지지되고, 상기 페룰의 상기 리어앤드부에 동심으로 배열되어 있는 롱사이즈 실린더부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의 리어엔드부에 형성된 상기 실린더튜브에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인게이지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직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연속적인 실린더부의 외주면에서 상기 인게이징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튜브에 상기 인게이징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서 상기 실린더형 튜브와 상기 메이팅부의 상기 플랜지 사이에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게이징부는 상기 롱사이즈실린더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깥으로 돌출하여 반경방향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는 인게이징 돌출부로서 구비되며, 상기 인게이징 돌출부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는 상기 인게이징 돌출부가 맞물릴 수 있도록 인게이징 호울이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형 튜브에 삽입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기본 플러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형 튜브에 삽입하게 되는 상기 롱사이즈의 실린더부의 양을 제한하는 삽입 제한부가, 상기 롱사이즈 실린더부의 바깥외주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 플러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제한부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의 내부 지름보다도 약간 더 큰 바깥형상을 갖는 돌출부 또는 쇼트사이즈실린더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본 플러그.
  6. 제1항에 청구하는 기본 플러그와, 상기 기본 플러그에 설치되는 하우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아징부는 페룰에 설치되도록 슬리브가 일체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인게이징부가 여러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도록, 상기 베이직 플러그의 일측 반대편에 있는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축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는 키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 이루어진 상기 플러그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베이직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진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일래스틱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플러그의 한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의 사이에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여러 형태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어댑터와 여러형태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플러그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플러그의 일측 반대편 일측에 있는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를 형성되어 있는 어댑터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인게이징부는 여러 형태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에 맞물려지는 상기 인게이징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상기 인게이징부에 또 다른 기본플러그를 맞물리도록 하는 동시에,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페룰은 상기 플러그의 상기 페룰에 있는 상기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있는 한광섬유와의 사이에서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측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 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 이루어진 상기 어댑터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어댑터 하우징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끝단의 일측에, 또 다른 베이직 플러그의 상기 페룰의 한축 둘레에 대각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멈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기이징호울을 갖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실린더형 튜브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어댑터하우징으로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하우징은 복수의 기본 플러그에 맞물릴수 있고, 상기 어댑터하우징의 끝부는 또 다른 기본 플러그에 끼워맞춤되도록 복수의 인게이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플러그 반대편 일측 끝단에 한 인게이징부를 갖는 한 잭하우징인 상기 하우징부와, 여러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상응하는 플러그와 맞물릴수 있는 상기 인게이징부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잭하우징의 상기 인게이징부에 있는 또다른 기본 플러그에 인게이징하는 동시에, 또 다른 기본 플러그의 페룰은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페룰에 있는 상기 광섬유와 상기 페룰에 있는 한 광섬유와의 사이에 광학적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슬리브에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측 둘레에 대갹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키멤버와 복수의 인게이징호울을 포함하는 상기 잭 하우징과, 적어도 하나의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를 갖는 상기 기본 플러그의 상기 실린더형 튜브와로 이루어진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일래스틱 인게이징 피스는 상기 실린더형 튜브를 상기 잭하우징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인게이징호울로부터 선택된 소정의 인게이징호울에 맞물릴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FC, SC, ST의 그룹중에서 선택된 한 종류의 광섬유 코넥터에 상응하는 플러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용 잭하우징은 상기 페룰에 맞추어지도록 집적된 슬리브와, 상기 기본 플러그에 맞물리도록 일측면상에 형성된 제1계합부,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상기 플러그에 맞물리도록 다른 측면상에 형성된 제2계합부 및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제1 및 제2계합부에 맞물려진 경우 상기 슬리브에 맞추어지고 상기 페룰의 광섬유와 상기 기본 플러그의 페룰에서의 상기 광섬유간에 광접속되는 상기 플러그의 페룰로 구성되고; 기본 플러그에 맞추어지고, 상기 기본 플러그와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잭 하우징은 상기 페룰축 주위에 대갹방향으로 정열시키기 위한 키부재와, 복수의 계합구멍, 탄성 계합부품을 1개 이상 갖춘 상기 원통형 튜브 및 이 원통형 튜브를 상기 잭 하우징으로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계합구멍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계합구멍에 맞물려지는 1개 이상의 탄성 계합부품을 갖춘 상기 기본 플러그의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19. 제17항에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FC, SC 및 ST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형태의 광섬유 코넥터에 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 하우징.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 하우징으로서 제공된 1개의 종단부를 갖추고, 플랜지부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1개 이상의 외측 주변부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페룰측 주위에 대각방향으로 정열시키기 위한 키부재와, 복수의 계합구멍 및 상기 원통형 튜브를 상기 잭 하우징으로 삽입시에 상기 복수의 계합구멍으로부터 선택된 소정 계합구멍에 맞물려지는 1개 이상의 탄성 계합부품을 갖춘 상기 기본 플러그의 원통형 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이 상기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와 상기 플러그 내의 페룰에 고정된 광섬유간에 광학적으로 접속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플러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플랜지부는 섬유부재로 조여주기 위한 구멍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4. 기본 플러그와, 광코드 장력체를 상기 기본 플러그의 외측 주변부에 접속하기 위한 계합링, 상기 페룰과 상기 기본 플러그를 덮기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 주변부에 맞추어지고 상기 광코드 장력체의 접속부를 덮고 광코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구멍을 갖춘 후드로 구성된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넥터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측상에 맞추어지는 1개의 종단부와 상기 계합링 둘레에 다른 종단부를 갖춘 보강 파이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파이프가 상기 후드의 내측 주변부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6.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공통1차원 이상의 구조를 갖춘 페룰과, 축방향으로 상기 페룰에 대향하여 힘을 가하도록 하는 고무 또는 엘라스토머(elastomer)로 이루어진 강제 엘리먼트,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페룰간에서 상기 강제 엘리먼트를 샌드위치하여 상기 강제부재를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이 보호부재를 결합하고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의 플러그 또는 어댑터에 접속하는 접속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에 연결 가능한 플러그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다양한 종류의 코넥터 형태에 합치되는 어댑터에 연결 가능한 어댑터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코넥터.
  29.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공통 1차원 이상의 구조를 갖춘 페룰과, 축방향으로 상기 페룰에 대향하여 힘을 가하도록 하는 고무 또는 엘리스토머로 이루어진 강제 엘리먼트 및 상기 보호부재와 상기 페룰간에서 상기 강제 엘리먼트를 샌드위치하여 상기 강제부재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홀딩부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광섬유가 접적된 광섬유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춘 원통형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홀딩부재.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부재는 복수의 페룰을 평행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룰 홀딩부재.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2885A 1996-07-15 1997-07-15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KR9800104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05339 1996-07-15
JP20533996 1996-07-15
JP97-183792 1997-07-09
JP9183792A JP3066739B2 (ja) 1996-07-15 1997-07-09 汎用光コネクタ及びベーシックプラ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473A true KR980010473A (ko) 1998-04-30

Family

ID=66039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885A KR980010473A (ko) 1996-07-15 1997-07-15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047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9060A1 (en) * 2006-02-03 2007-08-09 Ls Cable Ltd. Connecting device for cable
KR20190015151A (ko) * 2017-08-04 2019-02-13 레오니 보르드네츠-시스테메 게엠베하 플러그 연결부의 밀봉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플러그 연결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9060A1 (en) * 2006-02-03 2007-08-09 Ls Cable Ltd. Connecting device for cable
KR20190015151A (ko) * 2017-08-04 2019-02-13 레오니 보르드네츠-시스테메 게엠베하 플러그 연결부의 밀봉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 및 플러그 연결부
US10965057B2 (en) 2017-08-04 2021-03-30 Leoni Bordnetz-Systeme Gmbh Method for checking a sealing of a plug connection, and plug conn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4270B1 (en) Universal optical fiber connectors and basic plugs thereof
RU2134895C1 (ru) Несъемная модульна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US8500340B2 (en) Optical ferrule assembly
US9690057B2 (en) Methods for forming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KR101114289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US7758257B2 (en) Methods for forming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US5862282A (en) Optical connector plug and optical connector
EP0423581A2 (en) Separable compact connecting group for optic fibres forming a tape
CN101939678B (zh) 固定光纤软线的装置和方法以及光纤连接装置
KR20130032321A (ko) 광 커넥터
EP4134717A1 (en) Prefabricated connector, coupler, and prefabricated connector assembly
US11474309B2 (en) Connectorized fiber optic cabling assembly
CN105403957A (zh) 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的组装方法
KR20020021112A (ko) 광커넥터 플러그, 그 제조방법 및 조립공구
KR980010473A (ko) 유니버셜 광섬유 코넥터 및 그의 기본 플러그
US20210271029A1 (en) Sealed optical cable assembli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US5436993A (en) Multiple connector for multi-fibre optic ribbons
JPH11305071A (ja) 光コネクタ
US11300736B2 (en) Connector assembly
CN218601515U (zh) Mpo连接器
JP3200735B2 (ja) 光ファイバ接続装置
CN219266580U (zh) 光纤连接器和光纤连接器组件
US20220163746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device
KR100875760B1 (ko)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KR100245623B1 (ko) 결속 및 분리가 용이한 광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