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179A -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179A
KR980010179A KR1019960028500A KR19960028500A KR980010179A KR 980010179 A KR980010179 A KR 980010179A KR 1019960028500 A KR1019960028500 A KR 1019960028500A KR 19960028500 A KR19960028500 A KR 19960028500A KR 980010179 A KR980010179 A KR 980010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lever
air
air condition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0841B1 (ko
Inventor
노정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28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841B1/ko
Priority to US08/892,057 priority patent/US6000234A/en
Priority to JP9207145A priority patent/JP2909449B2/ja
Priority to CNB971179565A priority patent/CN1143091C/zh
Publication of KR980010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조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일측면에 환기구(22)를 형성하여, 몸체(10)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20); 상기 칸막이(20)의 환기구(22)를 차단하는 개폐관(40); 상기 개폐판(10)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 슬라이드 끼움홈(72)을 형성하며, 토출구(60)저면에 나사(50)체결하여, 나사(50)를 축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가동레버(70); 상기 가동레버(70)의 끼움홈(72)에 끼워맞춤되기 우한 탄성후크(82)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 손잡이 (84)를 형성한 조절레버(80)를 특징적 구성으로 하여, 상기 가동레버와 조절레버가 제품출하시 분할될 상태에서 몸체 내부에 위치하고, 사용시 가동레버와 조절레버가 끼워맞춤식으로 간단히 형합함으로써, 제품의 포장이 소형화 되고, 상용자의 취급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창문형 공조기의 평면도.
제2(가)도는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를 적용한 창문형 공조기의 평면도.
제2(나)도는 제2(가)도에 적용한 환기장치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제2(나)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칸막이
22 : 환기구 30 : 열교환기
40 : 개폐판 70 : 가동레버
72 : 끼움홈 74 : 지지돌기
80 : 조절레버 82 : 탄성후크
본 발명은 창문형 공기조화기(이하 공조기라 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공조기 토출 경로상의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공조장소의 탁해진 공기와 실외측 대기의 공기를 교환시켜 공조장소의 쾌적 공간을 유지하는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형 공조기는 건물 외벽 또는 창문 틀을 통해 밀폐된 공조장소측과 실외에 걸쳐 설치하여 공조장소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공조장소를 소정의 온도내로 공기조화를 이루게 하고 있다. 이때 공조장소는 밀폐된 공간으로 장시간 공조시 공기가 탁해져 환기가 요구된다. 따라서 창문형 공조기에는 필수적으로 환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창문형 공조기의 평면도이다.
제1도에서 종래 기술에 의한 환기장치는 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조공기의 효율을 저하하지 않은 상태에서 판기가 이루어지도록, 일측면에 환기구(22)를 형성하여 몸체(10)내부를 구획한 칸막이(20); 상기 칸막이(20); 의 환기구(22)를 차단하는 개폐판(40)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 손잡이(44)를 형성하며, 토출구(60)저면에 나사(50) 체결하여, 나사(50)를 축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작동레버(42)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한 환기장치는 작동레버(42)의 손잡이(44)가 몸체(10) 외부, 즉 토출구(60) 전면으로 돌출함으로써, 제품의 포장 크기가 중대되어 컨데이너등 장입수량이 줄어든다. 이에 상대적으로 운송 비용 및 제품의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돌출된 손잡이(44)에 의해 포장이 파손되는등의 문제점 또한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 출하시 몸체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가)도와 제2(나)도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환기장치는 열교환기(30)에서 열교환된 공조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환기구(22)를 형성하여, 몸체(10)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20); 상기 칸막이(20)의 환기구(22)를 차단하는 개폐판(40); 상기 개폐판(40)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 슬이드식 끼움흠(72)을 형성하며, 토출구(60)저면에 나사(50)체결하여, 나사(50)를 축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가동레버(70); 상기 가동레베(70)의 끼움흠(72)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탄성후크(82)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 손잡이(84)를 형성한 조절레버(80)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끼움흠(72) 하단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후크(82)의 내측 저면에 지지되는 지지돌기(74)를 형성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조절레버(80)와 가동레버(70)는 제품 출하시 포장이 용이하도록 일측 모서리를 연결고리(90)로 연결한 상태로 분할하고, 조절레버(80)를 토출구(60)저면에 접착테이프(100)로 부착하여 제품 운반시 조절레버(80)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면 부호 110은 실내팬을 나타낸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 출하시, 제2(가)도에서와 같이 손잡이(84)가 형성된 조절레버(80)가 몸체(10)내에 위치함으로써, 제품이 소형화 된다. 이에 제품의 포장이 적어겨 제품의 운반시 장입수량이 증가하여, 운송비용의 절감 및 제품의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제품의 장착후, 실내팬(110)의 회전에 의하여 이후 열교환된 공조공체(10)내부로 흡입하여 열교환기(30)를 통과시켜 소정의 온도내로 열교환을 이룬다. 이후 열교환된 공조공기를 토출구(60)를 통하여 공조장소측으로 퐈급시키면서 공조장소를 소기의 온도대로 공조시킨다 이때 공조장소는 밀폐된 공간으로 인해 일정시간 공조시 공기가 탁해진다. 이에 공조장소의 탁한 공기와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교환시켜 공조장소를 소정의 온도대도 유지함과 동시에 쾌적한 공간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구(22) 개폐장치를 조절하여 환기구(22)를 개로 시킨다.
이러한 환기구(22) 개폐장치는 제2(나)도에서와 같이 접착테이프(100)를 떼어낸 후, 조절레버(80)의 탄성 후크(82)를 가동레버(70)의 슬라드식 끼움홈(72)에 끼워 맞춤함과 동시에 끼움홈(72)하단의 지지돌기(74)가 탄성후크(82)의 내측 저면에 밀착하여, 조절레버(80)와 가동레버(70)가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조절레버(80)의 손잡이(84)는 토출구(60)전면으로 돌출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84)를 후진 작동하면 가동레버(70)가 나사(50)를 축으로 후진함과 동시에 개폐판(40)이 개문된다 이에 환기구(22)가 개로되어 환기구(22)를 통해 공조장소의 환기가 이루어 진다.
따라서 제품의 포장이 용이하도록 분할된 상태로 출하된 조절레버(80) 및 가동레버(70)의 형합이 끼워 맞춤식으로 간단하고, 견고히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취급이 용이하고, 부품의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조공기의 외부 유출을 방지한 상태에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일측면에 환기구를 형성하여, 몸체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의 환기구를 차단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을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 슬라이드식 끼움홈을 형성하며, 토출구 저면에 나사 체결하여, 나사를 축으로 전후진 작동하는 가동레버; 상기 가동레버의 끼움홈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탄성후크를 일측에 형성하고, 타측에 손잡이를 형성한 조절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8500A 1996-07-15 1996-07-15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KR017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500A KR0170841B1 (ko) 1996-07-15 1996-07-15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US08/892,057 US6000234A (en) 1996-07-15 1997-07-15 Ventilating device of window type air conditioner
JP9207145A JP2909449B2 (ja) 1996-07-15 1997-07-15 窓型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CNB971179565A CN1143091C (zh) 1996-07-15 1997-07-15 窗式空调器的通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500A KR0170841B1 (ko) 1996-07-15 1996-07-15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79A true KR980010179A (ko) 1998-04-30
KR0170841B1 KR0170841B1 (ko) 1999-03-20

Family

ID=19466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500A KR0170841B1 (ko) 1996-07-15 1996-07-15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5227B2 (en) * 2019-11-29 2023-04-25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Opening and closing device, air duct assembly an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0841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1503A (en) Out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of through-the-wall multitype
US20070066213A1 (en) Variable air volume time modulated floor terminal
US5377503A (en) Convertible top single package heat pump unit
EP1116001B1 (en) A wall mounted air conditioner
KR980010179A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JP3057929B2 (ja) 一体形空気調和機
US4315457A (en) Duct attachment means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JP2514244Y2 (ja) 空調用吹出し装置
KR0134031Y1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KR100188395B1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US4316408A (en) Damper assembly for use with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4686892A (en) Automatic energy saving vent system for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heating systems
US4628799A (en) Duct attachment and extension for an air conditioning unit
KR980010180A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구 개폐장치
JP3898282B2 (ja) 換気口
JP3994900B2 (ja) 換気装置
KR980009018U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KR200198166Y1 (ko) 공기조화기의수납상자내장구조
KR19980053097U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US4628800A (en) Baffle assembly for use with a lateral duct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29927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환기구 개폐장치
JP3279908B2 (ja) ダクト用換気扇
KR19980033096U (ko) 창문형 공조기의 환기장치
KR200235022Y1 (ko) 창문형에어콘의통풍공조절장치
JPH0730119Y2 (ja) 喚気扇付除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