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010U -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010U
KR980010010U KR2019960020761U KR19960020761U KR980010010U KR 980010010 U KR980010010 U KR 980010010U KR 2019960020761 U KR2019960020761 U KR 2019960020761U KR 19960020761 U KR19960020761 U KR 19960020761U KR 980010010 U KR980010010 U KR 9800100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integrated remote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0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영회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20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10010U/ko
Publication of KR9800100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010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38Interface circuits for coupling substations to external telephone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07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remote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전제품들을 통합리모콘과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편리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수신되는 전화 다이얼 정보를 해석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화기,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콘. 및 상기 전화기와 상기 통합 리모콘을 연결시켜 준느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 구성 중 전화기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 중 인터페이스 장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제4도는 제1도의 구성 중 통합 리모콘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기 11 :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부 12 : 중앙제어기
13 : DTMF수신기14 : 전송부 20 : 인터페이스 장치
21 : 수신부 22 : 통합 리모콘 접속부 30 : 통합리모콘
31 : 제어부 32 : 리모콘 신호 송신부 33 : 풀다운 저항
a,b,c : 연결선 A,B : 단자
본 고안은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합 리모콘과 전화기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가전제품을 편리하게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점자 가전제품의 조작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거의 대부분의 가전제품에 원격조정장치(Remote Control ; 이하 리모콘이라 한다)를 채용하고 있으며 각 가전제품의 리모콘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소위 통합 리모콘이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이러한 가전 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소위 홈오터메이션 시스템을 이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홈오토메이션 시스템에서는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직접 시스템과 가전제품을 연결하는 라인이 필요하고 또한 제어를 위해 많은 제어라인을 가설하여야 하였으므로 설치가 복잡할 뿐더러 조작도 복잡한 관계로 실제로 별로 사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같은 종래의 홈 오토메이션에 의한 가전제품 제어방식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홈오터메이션의 복잡성을 탈피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기존의 홈오토메이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수신되는 전화 다이얼 정보를 해석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화기,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콘, 및 상기 전화기와 상기 통합 리모콘을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비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과 그밖의 목적 및 잇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라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전화기 또는 간이 전자교환기의 국선 또는 내선 보드(10)(이하 전화기라 일컫는다), 만능 또는 통합 리모콘(30) 및 인터페이스 장치(20)로 구성된다. 이 구성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화기 또는 간이 전자교환기에서 통합 리모콘과 전화기의 연결을 통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의 구성 중 전화기(1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전화기(10)는 수신된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자동 응답 기능 또는 자동 수신 기능이 포함된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부(11), 다이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 Tone Multi Frequency ; 이하 DTMF로 약칭한다) 수신기(13), 그 수신기를 제어하고 수신된 다이얼 신호를 통합 리모콘용 정보로 변경해주는 중앙제어기(12) 및 통합 리모콘용 정보를 통합 리모콘(30)으로 보내기 위해 라인 인코딩해주는 전송부(14)를 구비한다.
제3도는 제1도 구성 중 인터페이스 장치(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전화기(10)로부터 송출된 라인 인코딩된 신호를 받아서 디코딩해 주는 수신부(21)와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통합 리모콘(30)으로 보내주기 위한 통합 리모콘 접속부(22)를 구비한다.
제4도는 제1도 구성 중 통합 리모콘(30)의 내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상기 통합 리모콘(30)은 인터페이스장치(20)내의 통합 리모콘 접속부(2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통합 리모콘(3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와, 가전 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적외선 신호를 방사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송신부(3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장치(20)내에 통합 리모콘 접속부(22)의 각 라인과 연결되는 연결선 a,b,c와, 통합 리모콘(30)의 인터페이스 장치(20)와의 접촉여부에 따라 리모콘 신호 송신부(32)의 단자를 상기 제어부 단자 A 또는 상기 연결선 b의 단자 B로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34)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34)는 리모콘(30)이 인터페이스 장치(20)에 놓여 있는 경우 즉 연결선 a를 통해 통합리모콘(30)으로 들어오는 신호가 +5V인 경우 리모콘 신호 송신부(32)의 단자를 연결선 b의 단자 B와 접속되게 하는 한편 리모콘(30)이 인터페이스장치(20)에 놓이지 않은 경우 즉 연결선 a를 통해 통합 리모콘(30)으로 들어오는 신호가 0V 즉 접지전압(GND)인 경우 리모콘 신호 송신부(32)의 단자를 통합 리모콘 제어부(31)의 단자 A와 접속되게 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전제품을 제어하기 위해 전화를 걸면 전화기(10)는 자동수신 기능에 의해 혹은 자동응답 기능을 이용하여 전화를 받게 되면, 전화를 걸 때 다이얼을 통해 미리 정해진 신호를 보내면 전화기 (10)는 DTMF 수신기(13)에서 그 신호를 받아서 이를 중앙제어기(12)에 알려준다. 중앙제어기(12)는 수신된 신호에 해당하는 통합 리모콘 제어신호를 전화기(10)내의 제어신호 테이블(도시 생략)에서 찾아내어 전송부(14)로 보내게 된다. 전송부(14)에서는 통합 리모콘 제어신호를 라인 인코딩된 신호로 변환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로 송출한다. 여기서, 일반 디지털 등의 베이스신호는 멀리 가지 못하기 때문에 전송부(14)로는 트랜시버(TRANSCIEVER)와 같은 송수신장치를 사용한다.
이어서, 인터페이스 장치(20)는 수신된 제어신호를 라인디코딩하여 통합 리모콘(30)으로 전송하며 통합 리모콘(30)은 이 전송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 때 통합 리모콘 (30)은 이 전송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 때 통합 리모콘(30)은 인터페이스 장치(20)가 리모콘(30) 위에 놓여져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가 리모콘 (30) 위에 놓여진 경우 리모콘 신호가 인터페이스 장치(20)로부터 입력되게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다시 말하여, 통합 리모콘(30)이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연결되면, 통합 리모콘의 위치 인식을 위한 연결선 a를 통하여 인터페이스 장치(20)로부터 +5V또는 +3V의 전압(VCC)이 통합 리모콘의 제어부 (31)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통합 리모콘(30) 내의 스위치(34)가 작동되어 리모콘 신호 연결선 b의 단자 B로 절환됨으로써 인터페이스 장치(20)로부터의 제어신호가 리모콘 신호 송신부(32)로 입력되게 한다. 반면에 통합리모콘(30)이 인터페이스 장치(20)로부터의 제어 신호가 리모콘 신호 송신부(32)로 입력되게 한다. 반면에 통합리모콘(30)이 인터페이스 장치(20)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통합 리모콘(30)내의 연결선 a에 접속된 풀다운(Pull down)저항(33)에 의해 풀다운되어 통합 리모콘 제어부(31)에 0V 즉 접지전압이 공급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34)가 단자B로 절환되어 통합리모콘의 제어부(31)로부터 제어신호가 리모콘 신호 송신부(32)로 입력되게 한다.
마지막으로, 통합 리모콘의 리모콘 신호 송신부(32)는 제어하기 원하는 해당 가전제품을 향해 적외선 제어신호를 방사하여 가전제품을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복잡한 홈오토메이션을 설치할 필요없이 기존의 통합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는 모든 가전제품을 전화를 통해 실외에서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성은 간단한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홈오토메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리모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각 가전제품과의 연결 라인을 설치하지 않고 리모콘이 지원하는 모든 제어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상술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고 본 고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 청구의 범위에 인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4)

  1. 통합 리모콘을 사용하여 가전제품들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수신되는 전화 다이얼 정보를 해석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가전제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콘 수단과; 상기 전화기와 상기 통합 리모콘을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수신된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자동응답 기능 또는 자동 수신기능을 포함된 국선 인터페이스 회로부, 다이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이중 톤 다중 주파수 수신기, 그 수신기를 제어하고 수신된 다이얼 신호를 통합 리모콘용 정보로 변경해 주는 중앙제어기 및 통합 리모콘용 정보를 통합 리모콘 수단으로 보내기 위해 라인 인코딩해주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전화기로부터 송출된 라인 인코딩된 신호를 받아서 디코딩해 주는 수신부 및 상기 디코딩된 신호를 통합 리모콘으로 보내주기 위한 통합 리모콘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리모콘 수단은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내의 통합 리모콘 접속부의 각 라인과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선 및 상기 통합 리모콘 수단의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과 접촉여부에 따라 리모콘 신호 송신부의 단자를 상기 제어부의 한 단자 또는 상기 연결선의 한 단자에 접속하기 위한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 제어장치.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0761U 1996-07-13 1996-07-13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KR98001001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61U KR980010010U (ko) 1996-07-13 1996-07-13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0761U KR980010010U (ko) 1996-07-13 1996-07-13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010U true KR980010010U (ko) 1998-04-30

Family

ID=5397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0761U KR980010010U (ko) 1996-07-13 1996-07-13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100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593B1 (ko) * 2000-10-13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100451642B1 (ko) * 2001-02-02 2004-10-08 이광범 리모콘 신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593B1 (ko) * 2000-10-13 2003-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단말의 원격제어 방법
KR100451642B1 (ko) * 2001-02-02 2004-10-08 이광범 리모콘 신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80052A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providing out-of-context usage
KR100247676B1 (ko) 무선전화기용 자동 채널 선택 시스템
US522212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nected to other communication terminals
US20030078990A1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al appliance via home gateway
KR980010010U (ko) 전화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제어장치
KR100510122B1 (ko) 음성인식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가정용 기기 제어방법
KR20010113231A (ko)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JP3480704B2 (ja) リモート電源制御回路
KR19990060587A (ko)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홈오토메이션장치
KR0152481B1 (ko)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무선전화기를 이용한 가전기기의 원격 제어장치
JPS6359249A (ja) 遠隔制御方式
KR920000960B1 (ko) 파워라인(power line)을 통신 매체로 하는 기기 제어회로
JP2807378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CN213069529U (zh) 基于可见光通讯的智能控制系统
KR960020298A (ko) 홈 오토메이션(ha) 시스템의 인터폰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세대호출 방법
KR910006466B1 (ko) 인터폰기능을 갖는 tv장치
US200200758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and converting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according to different protocols
KR100224272B1 (ko)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KR0141746B1 (ko) 인터폰의 인터페이스카드
JPH04252551A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2536393Y2 (ja) 伝送制御装置
KR960004958B1 (ko) 모뎀을 통한 유, 무선 절환 및 전원선택 제어회로
KR100234310B1 (ko) 원격 전화를 이용한 정보 수신방법
KR0158460B1 (ko) 전화회선을 이용한 쌍방향통신장치
KR930002039Y1 (ko) 전화수신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