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272B1 -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272B1
KR100224272B1 KR1019970002765A KR19970002765A KR100224272B1 KR 100224272 B1 KR100224272 B1 KR 100224272B1 KR 1019970002765 A KR1019970002765 A KR 1019970002765A KR 19970002765 A KR19970002765 A KR 19970002765A KR 100224272 B1 KR100224272 B1 KR 10022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tmf
fsk
transmitter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6960A (ko
Inventor
정의석
Original Assignee
배동만
주식회사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만, 주식회사에스원 filed Critical 배동만
Priority to KR1019970002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27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2Hybrid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ransition from single-path two-direction transmission to single-direction transmission on each of two path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0Frequency-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frequency-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3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 H04M1/50Devices which can set up and transmit only one digit at a time by generating or selecting currents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or combinations of frequ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DTMF신호 및 FSK신호 송수신 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선을 통해 저속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DTMF신호를 송신하는 DTMF송신부와, 톤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톤송신부와, DTMF신호와 FSK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와, FSK신호를 송수신하는 FSK송수신부와,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부와,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하나의 송수신장치로서 DTMF신호 및 FSK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Description

DTMF신호 및 FSK신호 송수신 장치
본 발명은 전화선을 통해 주파수 편이 변조(Frequency Shift Keying로서 이하 FSK라고 한다)신호와 복합 주파수 부호(Dual Tone Multi Frequency로서 이하 DTMF라고 한다)신호를 수신하고, 톤신호와 FSK신호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의 DTMF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선접속부100과 링수신부110과 톤발생부120과 DTMF수신부130과 제어부140으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면, 회선접속부100은 전화회선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한다. 링수신부110은 회선접속부100으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수신한다. DTMF수신부130은 회선접속부100으로부터 전송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40은 링수신부110과 톤발생부120과 DTMF수신부130을 제어하고, 링수신부110와 DTMF수신부130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출력한다.
도2는 종래 FSK신호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선접속부100과 링수신부110과 FSK송수신부200과 DTMF송신부210과 제어부140으로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링수신부110은 회선접속부100을 통해 인가되는 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으로 전달한다. FSK송수신부200은 회선접속부100으로부터 FSK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FSK신호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사용자가 전화를 거는 경우 DTMF송신부210은 사용자에 의해 다이얼링된 DTMF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전화선을 통해 300bps 이하의 저속 데이터를 DTMF방식과 FSK방식으로 송수신 하기 위한 종래 장치들은 DTMF신호만을 송수신하는 장치와 FSK신호만을 송수신하는 장치가 별도로 구성된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화선을 통해 DTMF신호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화선을 통해 FSK신호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로부터 FSK신호를 수신받는 경우 DTMF수신부130만 있고, FSK수신부가 없기 때문에 별도의 FSK수신회로가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경우 도1 또는 도2와 같은 단일장치에서는 DTMF신호의 데이터와 FSK신호의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DTMF신호와 FSK신호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해서 DTMF수신장치와 FSK송수신장치가 모두 필요하므로 두배의 장치와 두배의 전화회선을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DTMF신호 수신장치는 DTMF신호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DTMF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FSK송수신장치는 DTMF송신부와 FSK송신부가 별도로 구성되어 주파수특성 및 이득이 신호에 따라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DTMF신호 및 FSK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DTMF신호를 송신하는 DTMF송신부와, 톤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톤송신부와, DTMF신호와 FSK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와, FSK신호를 송수신하는 FSK송수신부와,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부와, 상기 각 부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DTMF신호 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FSK신호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MF신호 및 FSK신호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TMF신호 및 FSK신호 송수신 장치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회선접속부100과 링수신부110과 DTMF수신부130과 제어부140과 DTMF송신부210과 톤수신부300과 신호선택부310과 톤송신부330으로 구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회선접속부100은 DTMF방식으로 송신하는 단말기 또는 FSK방식으로 송신하는 단말기로부터 전화선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링수신부110은 회선접속부100을 통해 전송된 링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40으로 전달한다. 제어부140은 링수신부110을 통해 링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고, 회선접속부10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파악한다. 즉, FSK송신부200과 DTMF수신부130는 회선접속부100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40으로 전달하면, 제어부140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종류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40은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DTMF신호인지 FSK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DTMF수신부130과 FSK송수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DTMF신호인 경우 제어부140은 FSK송수신부20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DTMF수신부130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가 DTMF신호인 경우 신호선택부310은 톤송신부330로부터 단일톤신호를 입력받고, DTMF송신부31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입력받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140은 FSK송수신부200의 FSK송신 동작을 중지시키고, 톤송신부330을 제어하여 단일 톤신호를 송출하여 수신된 DTMF신호에 응답하여 정확히 수신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상위로 전송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FSK신호인 경우 제어부140은 DTMF수신부13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FSK송수신부200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신호선택부310은 DTMF송신부210와 톤송신부33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입력받지 않는다. 제어부140은 수신된 FSK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사위로 전송한다.
한편, 회선접속부1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제어부140은 후크오프상태를 감지한다. DTMF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신호선택부310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톤송신부33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지 않고, DTMF송신부210에서 송출한 해당 전화번호의 DTMF신호를 입력받아 FSK송수신부200을 통해 DTMF신호를 회선접속부100으로 전달한다. FSK송수신부200에서 DTMF신호를 송출한 후 제어부140은 톤수신부300을 통해 회선 접속 여부를 검출한다. 이와 달리 FSK신호를 송신하고자 하는 경우 신호선택부310은 DTMF송신부210과 톤송신부3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지 않는다. 즉, FSK송수신부200은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아 회선접속부을 통해 FSK신호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송수신장치로서, DTMF신호 및 FSK신호를 둘 다 송수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DTMF신호 및 FSK신호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DTMF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DTMF송신부와, 톤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톤송신부와, 상기 DTMF신호 또는 FSK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는 신호선택부와, 상기 FSK신호를 송수신하는 FSK송수신부와, 상기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부와, 상기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여부에 따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TMF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FSK송수신부을 제어하여 FSK신호 송수신 기능을 중지시키고,
    상기 DTMF수신부 및 상기 DTMF송신부를 제어하여 DTMF수신부에서 DTMF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DTMF송신부에서 생성된 DTMF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SK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DTMF송신부와 톤송신부를 제어하여 DTMF신호가 송신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FSK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FSK신호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장치.
KR1019970002765A 1997-01-30 1997-01-30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KR100224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765A KR100224272B1 (ko) 1997-01-30 1997-01-30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765A KR100224272B1 (ko) 1997-01-30 1997-01-30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60A KR19980066960A (ko) 1998-10-15
KR100224272B1 true KR100224272B1 (ko) 1999-10-15

Family

ID=1949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765A KR100224272B1 (ko) 1997-01-30 1997-01-30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2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96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225A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multiple channe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247567A (en) Portable-to-portable talk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EP0631417B1 (en) Radio telephone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699409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providing set-up communications between subsidiary units through a master unit
US4744101A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H01298854A (ja) データ伝送装置の自動認識方式
TR199701472T1 (xx) Telsiz telekom�nikasyon sisteminde bilgi g�nderme/alma cihaz�.
US5325420A (en) Cordless phone haaving a plurality of personal stations
US5259020A (en) Portable-to-portable call transfer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5287549A (en) Commuication device and method using transceiver squelch control
JPS60232744A (ja) 通信方式
KR100224272B1 (ko) Dtmf신호 및 fsk신호의 송수신 장치
KR910008993A (ko) 무선 전화기
US5058151A (en) Multi-user cordless telephone capable of discernibly notifying each user
KR970068444A (ko) 이중화 데이타 자동 송수신 장치
JP2653004B2 (ja) 無線通信方式
KR0121981B1 (ko) 스피커 폰 기능이 있는 전화 장치 및 그 방법
US6011836A (en) In-line control of telephony device
KR930002793Y1 (ko) 송수신장치
KR950010251B1 (ko) 셀룰라폰을 이용한 데이타 통신방법 및 장치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KR100340850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JP2814514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送出回路
JPS62178032A (ja) 複合端末装置
JPH0591087A (ja) コードレス電話の盗聴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