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850B1 -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850B1
KR100340850B1 KR1019950001492A KR19950001492A KR100340850B1 KR 100340850 B1 KR100340850 B1 KR 100340850B1 KR 1019950001492 A KR1019950001492 A KR 1019950001492A KR 19950001492 A KR19950001492 A KR 19950001492A KR 100340850 B1 KR100340850 B1 KR 100340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set
signal
call
gai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1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0730A (ko
Inventor
김상근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01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850B1/ko
Publication of KR960030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850B1/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접속장치 및 접속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 목적은 키패드가 구비되지않은 핸드셋과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셋을 다중 접속할 수 있는 이동무선전화기의 핸드셋 다중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제1핸드셋과, 키패드 및 키패드검색수단을 구비하는 제2핸드셋과, 무선통신을 위해 입력신호를 변복조출력하는 변복조부를 구비하는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아나로그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상기 제1핸드셋으로 출력하는 제1송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핸드셋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출력하는 제1수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 및 상기 변복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는 제1아나로그 및 디지탈변환수단과, 이동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소정 아나로그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상기 제2핸드셋으로 출력하는 제2송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핸드셋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출력하는 제2수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어수단 및 변복조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로부터의 각 제어신호들을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아나로그 및 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착신신호상태를 알리는 링음을 생성출력하는 링음출력수단으로 구성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본 발명은 이동무선통신망의 이동무선단말기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다중접속장치 및 착신접속 운용방법{APPARATUS FOR OPERATING OF HANDSET MULTI-COMBINED IN MOBILE SUBSCRIBER TERMINAL AND METHOD SAME}
본 발명은 이동무선단말기(Mobile Subscriber Terminal:이하 "MST"라 칭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셋을 MST접속하여 운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통신 운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MST의 핸드셋 다중 접속장치 및 착신접속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MST, 예를 들면, 군사용으로 사용되는 무선 단말기에는키패드가없는 핸드셋이 접속되어있으며, 무선 단말기의 전면판에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MST의운용자는 상기 핸드셋을 들고 상기MST의 전면판에 부착된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신을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MST의 핸드셋 접속장치는 키패드가 없는 핸드셋만을 접속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서, MST 운용자는 항상 장비 곁에 머물면서 전면판에 위치된 키패드를 조작하여야만 통신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MST는 운용자가상기 핸드셋과MST의 전면에 위치된 키패드에손이 미칠 수 있는 범위 내에위치하여야하므로, 차량 탑재시 상기MST의 탑재위치를 한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MST가 운전자의 손이 미치지 않는 위치에 탑재될 때에는 이동중또다른운용자가 상기MST에 근접하여 대기하여야하는 인력손실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가 구비되지 않은 핸드셋과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셋을 다중 접속할 수 있는MST의 핸드셋 다종 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셋을 접속하는MST의 착신 접속운용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핸드셋과, 키패드 및 키패드 검색수단을 구비하는 제2핸드셋과, 무선통신을 위해 입력신호를 변복조출력하는 변복조부를 구비하는MST에 있어서, 소정 아나로그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상기 제1핸드셋으로 출력하는 제1송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핸드셋으로부터 입력신호를 이득조정 하여 출력하는 제1수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 및 상기 변복조부에 연걸되어 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는 제1아나로그 및 디지탈변환수단과, 이동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소정 아나로그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상기 제2 핸드셋으로 출력하는 제2송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1핸드셋으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이득조정하여 출력하는 제2수신이득조정수단과, 상기 제어수단 및 번복조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수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수단로부터의 각 제어신호들을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출력하는 제2 아나로그 및 디지탈 변환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하에 착신신호상태를 알리는 링음을 생성출력하는 링음출력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동작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MST의 핸드셋 다중 접속 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제1TX이득조정부(110)소정 입력신호이득조정하여 핸드셋 1(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한다.여기서, 상기 핸드셋 1은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제1RX이득조정부(130)는상기핸드셋1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측음부(150)는 상기 제1RX이득조정부(130)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TX이득조정부(110)로 출력한다. 제1음성변환부(170)는 제1RX이득조정부(130)로부터의 아나로그 출력신호를 입력 받아 디지탈변환하여 변복조기(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하며, 상기 변복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아나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TX이득조정부(110)로 출력한다. 제2TX이득조정부(310)소정 입력신호의 이득을조정하여 핸드셋 2(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한다.여기서, 상기 핸드셋 2는 키패드를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제2RX이득조정부(330)는 핸드셋 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제2음성변환부(370)는 제2RX이득조정부(330)로부터의 아나로그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탈변환하여 변복조기(도시되지않음)로 출력하며, 상기 변복조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아나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TX이득조정부(310)로 출력한다. 제어부(210)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복합다주파송수신부(230)는 핸드셋 2 또는MST의 전면판에 부착된 키패드(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신호에 대응하는 DTMF톤을 송출한다. 링톤 생성부(27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 착신신호의 출력을 위한 링톤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PTT(Push Talk Transmit)키감지부(250)는 하프 듀플렉스(half duplex)통신을 위해 상기 핸드셋 1의 PTT키로부터 생성되는 키생성신호를 입력받아 이에 대응하는 키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210)로 출력한다.
상술한 구성에서 핸드셋 1은송/수화기와 PTT스위치를 구비한 종래MST의 핸드셋 접속장치에 연결되는 핸드셋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핸드셋 2는 키패드와, 상기 키패드의 키입력검색을 위한 제어부와, 링음출력을 위한 스피커를 구비한 핸드셋을 의미하며 일례로 삼성 ST-1000 카폰 핸드셋이 사용될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핸드셋2의 접속사용시 상호 접속제어를 위한 상기 핸드셋2의제어부와 상기MST의 제어부간의 데이타 송수신상태를 도식화한 상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MST의 접속운용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접속장치 및 접속운용방법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MST에서 접속 운용될 키패드를 구비한 핸드셋 2의 동작 및MST에서의역할및 관계에 대해 간략히 언급하고자한다.
일반적으로 핸드셋 2는 자체 핸드셋 제어부(100)를 내장하고 있으며, 기본적인 키패드의 검색 및 LCD디스플레이(LCD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경우)를 통한 자체 핸드셋 진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핸드셋 2는MST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모듈로서 운용될 수 있다. 이때MST의 제어부(210)는MST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핸드셋 제어부(100)는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하에핸드셋 2의 디스플레이, 키입력검색, 스피커 출력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제어부(210)와 핸드셋 제어부(100)간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타 송수신상태를 제2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핸드셋 제어부(100)는 키패드의 키입력을 스캐닝하여 검색된 키입력 상태를 키데이타로서MST의 제어부(210)로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0)는MST의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데이타와, 음성송수신제어신호, 스피커 제어신호등을 상기 핸드셋 제어부(100)로출력하게 된다. 물론상기 핸드셋 2가디스플레이수단을 구비하지 않는경우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는 필요치 않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제어부(210)로부터의 데이타들을 입력받은 핸드셋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온/오프, 송수화기 제어등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는 착신을 알리는 링음신호를 출력하기위한 주목적을 가진다.
결국MST의 제어부(210)는 핸드셋 1과 핸드셋 2를 서로 다른 모드하에 신호를 전송해야할 것이다. 일례로 외부의 호 요구에 따른 착신상태에 대하여 자체 스피커를 구비하지 않은 상기 핸드셋 1의 경우는MST의 전면판에 구비된 부저(buzzer)를 통해 링신호를 출력하지만, 자체의 스피커를 내장하는 핸드셋 2의 경우에는 상기 스피커를 온/오프 스위칭하기위한 스피커제어신호를 출력하면 된다.
또한 상술한 방식으로 핸드셋 1과 핸드셋 2를 복합운용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호에 대해서 두 핸드셋 간에 서로 선별적으로 수신을 이루어야하며, 상기 핸드셋 2의 키패드는 외부의 호에 대해 상대방으로 접속시켜달라는 기능 등을실행시키기 위한키가 새로이 정의되어 사용되어야한다.
이하 제3도의 수행흐름도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설명한다.
지금MST착신신호가 수신되면, MST의 제어부(210)는 401단계에서 착신신호를 인지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403단계에서 링톤생성부(270;일례로 부저)를 제어하여 링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40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제2음성변환부를 통해 핸드셋 2로 온상태의 스피커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핸드셋 2에서는 상기 온상태의 스피커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자체 스피커를 구동하여 링음을 발생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407단계에서MST의 전면판에 위치된키패드로부터 착신에 응답하는 응답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한다.
먼저 상기 407단계에서 응답키의 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210)은 409단계에서 링음출력을 오프시킨다. 이후 41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통화 핸드셋을 핸드셋 1로 인식하고 음성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413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전면판의 키패드에 정의된 호절체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검색하며, 호절체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443단계로 이행되어 핸드셋 1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13단계에서 호절체키가 입력되었음이 검색되면, 415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10)는 핸드셋 1로의 음성경로를 절체하고 417단계에서 핸드셋 2로 음성경로 절체 메세지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상기 음성경로 절체메세지 신호는 일례로 미리 약속된 비프(beep)음 등을 사용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419단계에서 핸드셋 1로 링백톤(ring back tone)을 출력시키고, 421단계에서 핸드셋2의 통화모드를 수행시킨다.
만약,상기 407단계에서 전면판의 키패드로부터 응답키 입력이 검색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210)는 431단계에서 핸드셋 2로부터 응답키 입력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이때 응답키 입력신호가 수신되었음이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433단계에서 링음출력을 오프시키며, 핸드셋 2로의 음성경로를 온시키고 핸드셋 2통화모드를 알리는 디스플레이제어신호를 상기 핸드셋 2로 송출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435단계에서 핸드셋 2로부터 호절체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색하며, 이때 호절체 키입력이 없으면 421단계로 이행되어 핸드셋 2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435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437단계에서 핸드셋 2로 링백톤을 출력시키고, 439단계에서 핸드셋 1로의 음성경로를 접속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210)는 441단계에서 핸드셋2로 음성경로절체신호를 출력하고 443단계에서 핸드셋 1의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431단계에서 응답 키입력신호가수신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어부(210)는 451단계에서 착신신호의 수신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했는가를 판단하며,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상기 407단계로 이행된다. 그러나 일정시간이 경과되었음이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453단계에서 링음출력을 오프시키고 착신루틴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MST에 키패드를 구비한 핸드셋을 장착하므로 원거리에서도 접속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발명을 도면에 도시하고 실시예에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발명의 기본정의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과 변화가 가능함을 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키패드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핸드셋을 장착하여 원거리에서 접속운용 및MST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도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다중 접속장치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의구성에 따라 이동무선단말기의 제어부와 키패드가 구비된 핸드셋의 신호송수신 관계를 도식화한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발람직한일 실시예에따른이동무선단말기의착신접속 운용 제어 흐름도.

Claims (8)

  1. 키패드가 구비되지 않은 제1핸드셋과, 키패드 및 키패드검색수단을 구비하는 제2핸드셋과, 무선통신을 위해 입력신호를 변복조출력하는 변복조부를 구비하는 이동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소정 아나로그 입력신호이득조정하여 상기 제1핸드셋으로 출력하는제1송신이득조정부와,
    상기 제1핸드셋으로부터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이득조정하여 출력하는제1수신이득조정부와,
    상기제1송신이득조정부와,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부및 상기 변복조부에 연결되어 상기 변복조부로부터의 입력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제1송신이득조정부로 출력하며, 상기제1수신이득조정부의 출력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는제1음성변환부와,
    이동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제어부와,
    소정 아나로그입력신호의 이득을조정하여 상기 제2핸드셋으로 출력하는제2수신이득조정부와,
    상기제2핸드셋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출력하는 제2수신이득조정부와,
    상기제어부및 변복조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제1송신이득조정부로 출력하며,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부로부터의음성신호를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변복조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부로부터의 각 제어신호들을 디지탈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제2제2음성변환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착신신호상태를 알리는 링음을 생성 출력하는링톤 생성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다중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부및 제1수신이득조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수신이득조정부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송신이득조정부로 출력하는측음부를 더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다중접속장치.
  3. 키패드가 구비되지 않은제1핸드셋과, 키패드를 장착한 제2핸드셋을 접속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핸드셋 접속운용방법에 있어서:
    상대측으로부터의 착신요구신호에 대해 링신호를 생성출력시키고, 상기제2핸드셋에서 링신호를 출력시키는 링신호출력단계와;
    이동무선단말기내에서 응답키 입력 또는 제2핸드셋으로부터 응답키 입력이 발생하였는가를 검색하는 응답검색단계와;
    상기 응답검색단계에서 이동무선단말기내에서 응답키 입력이 검색되면, 링신호출력을 오프시키며, 상기 제1핸드셋과의 음성경로를 연결시켜 제1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호절체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제1통화모드 수행단계와;
    상기 제1통화모드 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지않으면 제1핸드셋의 통화모드수행을 유지하며,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1핸드셋으로의 음성경로를 제2핸드셋으로 절체시키고 제2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1통화절체단계와;
    상기 응답검색단계에서 제2핸드셋으로부터의 응답키 입력이 검색되면, 링신호출력을 오프시키며, 상기 제2핸드셋과의 음성경로를 연결시켜 제2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호절체키입력이 있는가를 검색하는 제2통화모드 수행단계와;
    상기 제2통화모드 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지않으면 제2핸드셋의 통화모드수행을 유지하며,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2핸드셋으로의 음성경로를 제1핸드셋으로 절체시키고 제1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2통화절체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통화절체단계가; 상기 제1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1핸드셋의 통화모드수행을 유지하는 제1핸드셋통화단계와, 상기 제1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1핸드셋으로의 음성경로를 제2핸드셋으로 절체시키는 제1절체단계와, 상기 제1절체단계 수행후 상기 제2핸드셋을 통해 통화로절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절체신호출력단계와, 상기 제1핸드셋으로 링백톤을 송출하고 제2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1핸드셋통화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운용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체단계수행후 상기 제2핸드셋를 통해 통화로절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절체신호출력단계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 운용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제2통화절체단계가; 상기 제2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지않으면 제2핸드셋의 통화모드수행을 유지하는 제1핸드셋통화단계와, 상기 제2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2핸드셋으로 링백톤을 송출하고 상기 제2핸드셋으로의 음성경로를 제1핸드셋으로 절체시켜 제1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1절체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운용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체단계 수행후 상기 제2핸드셋를 통해 통화로절체신호를 출력시키는 제1절체신호 출력단계를 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 운용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제2통화절체단계가; 상기 제2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 입력이 검색되지않으면 제2핸드셋의 통화모드수행을 유지하는 제2핸드셋 통화단계와, 상기 제2통화모드수행단계에서 호절체키입력이 검색되면 상기 제2핸드셋으로 링백톤을 송출하고 상기 제2핸드셋으로의 음성경로를 제1핸드셋으로 절체시켜 제1핸드셋에 의한 통화모드를 수행하는 제2절체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단말기의 착신접속운용방법.
KR1019950001492A 1995-01-25 1995-01-25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KR100340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492A KR100340850B1 (ko) 1995-01-25 1995-01-25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1492A KR100340850B1 (ko) 1995-01-25 1995-01-25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30A KR960030730A (ko) 1996-08-17
KR100340850B1 true KR100340850B1 (ko) 2002-11-23

Family

ID=374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1492A KR100340850B1 (ko) 1995-01-25 1995-01-25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8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730A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7567A (en) Portable-to-portable talk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US5090051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n incoming call to a wireless telephone
JP3453543B2 (ja) セルラ・コードレス電話
US5259020A (en) Portable-to-portable call transfer system for cordless telephone
JP2993087B2 (ja) 携帯電話機
AU633190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link with wireless telephone
KR100340850B1 (ko) 이동무선단말기의핸드셋다중접속장치및착신접속운용방법
JP3033407B2 (ja) 移動体間の通話システム
HU224794B1 (en) Process for operating a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JP259972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
KR0148811B1 (ko)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의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52853B2 (ja) 無線電話機
JP3203758B2 (ja) 無線電話装置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JPH05153035A (ja) 自動車用電話装置
JP2763713B2 (ja) 無線電話機によるモデム自動選択システム
KR970008675B1 (ko) 무선전화기 휴대장치의 발신장치 및 그 방법
JPS63111749A (ja) 無線電話装置
JPH05183502A (ja) 無線電話装置
JPH05244088A (ja) 携帯電話端末機
JPH0360555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S6313532A (ja) 無線ネツトワ−ク制御方式
JPH05183496A (ja) 無線電話装置
JPH0669866A (ja) 無線電話装置
KR19980082886A (ko) 전화망 무선접속용 컴퓨터 통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