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249A -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249A
KR980009249A KR1019970037427A KR19970037427A KR980009249A KR 980009249 A KR980009249 A KR 980009249A KR 1019970037427 A KR1019970037427 A KR 1019970037427A KR 19970037427 A KR19970037427 A KR 19970037427A KR 980009249 A KR980009249 A KR 980009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acetyl
present
formula
acid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드밀라 알렉산드로브나 라트케비치
나탈리야 블라들로노브나 옥타쁘츄크
소피야 야코블레브나 스카칠로바
갈리나 알렉산드로브나 에르마코바
넬라 에미로브나 삐니코
레이 나콜라에비치 세르노프
빠벨 막샤이 오비치 얀
박주탁
윤길주
Original Assignee
스카칠로바 소피아 야코블레브나
세르노프 레이 니콜라에비치
류드밀라 알렉산드로브나 라트케비치
프쎄러씨스키 나우치느이 쌤트르 뽀 비즈아빠쓰너쓰찌 비아우라기치쓰키 악찌브느흐 비쇄스트브
박주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칠로바 소피아 야코블레브나, 세르노프 레이 니콜라에비치, 류드밀라 알렉산드로브나 라트케비치, 프쎄러씨스키 나우치느이 쌤트르 뽀 비즈아빠쓰너쓰찌 비아우라기치쓰키 악찌브느흐 비쇄스트브, 박주탁 filed Critical 스카칠로바 소피아 야코블레브나
Publication of KR980009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0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07C229/1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only one amino and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the nitrogen atom of the amino group being further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0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24Oxygen or sulfur atoms
    • C07D207/262-Pyrrolidones
    • C07D207/2732-Pyrrolido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07D207/277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14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07D235/16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9/46Two or more oxygen, sulphur or nitrogen atoms
    • C07D239/52Two oxygen atoms
    • C07D239/54Two oxygen atoms as doubly bound oxygen atoms or as unsubstituted hydroxy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Ⅰ)의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L-아미노산 유도체는 간장보호작용을 나타낸다.
상기식에서, R은(CH2)2COOH 또는 H이고, R1은 H 또는 COCH3이며, 또한 R 및 R1은 함께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없거나 또는 Mg,,,,,, 신장의 산성과다증(acidosis)의 예방으로 사용된다.
프랑스 특허 제2,305,977호에는 아미노산의 유도체와 특수첨가물(환원당들)을 함유하고 있는 약제(간장보호작용 용액)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는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0.06-0.4%의 N-아실-L-트립토판 및/또는 N-아실-L-프롤린 용액을 함유하고 있으며, 축가적으로 간장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다른 아미노산들을 함유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가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 종래의 아미노산들 및 그의 유도체들은 본원 발명의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와는 그 화학구조에 있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이제까지 간장보호작용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오로틴산 제제(케파토팔크) 및 실리마린 제제(레갈론) 등이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라드빌 오. 에스. "위장병학에서의 약물치료"; 안내서-M; 의학, 1991-211page). 그런데, 언급된 화합물들을 합성하는 데에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Ⅰ)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합성은 값이 비싸지 않은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HO-(CH2)2-CH2NH2또는 HO-(CH2)2-CH2-N(CH3)2이며, 단, R 및 R1은 동시에 H가 아니며, X가 없다면
R은이고, R1=COCH3이다.

Description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본 발명은 의약과 유기합성분야에 관계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간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 화합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 L-아미노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주성분으로(또는 합성물질로)아미노산 및/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간장보호작용을 가진 합성약품들은 잘 알려져 있다.
프랑스 특허 제2,494,113호에는 L-아스파라긴산, L-아르기닌, 그리고 당(sorbitol)을 함유한 간장보호제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제2,317,919호에는 L-아미노산과 옥시 및/또는 케토산을 함유하는 약제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는 근본적으로 수술후 간장과 신장의 산성과다증(acidosis)의 예방용으로 사용된다.
프랑스 특허 제2,305,977호에는 아미노산의 유도체와 특수첨가물(환원당들)을 함유하고 있는 약제(간장보호작용의 용액)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약제는 아미노산 유도체로서 0.06∼0.4%의 N-아실-L-트립토파 및/또는 N-아실-L-프롤린 용액을 함유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간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 다른 아미노산들을 함유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간장보호작용을 나타내는 종래의 아미노산들 및 그의 유도체들은 본원 발명의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와는 그 화학구조에 있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이제까지 간장보호작용을 갖는 다양한 화합물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것으로, 오로틴산 제제(케파토팔크) 및 실리마린 제제(레갈론)등이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라드빌 오·에스. "위장병학에서의 약물치료" 안내서-M; 의학, 1991-211page). 그런데, 언급된 화합물들을 합성하는 데에는 고가의 비용이 소요되는 등 많은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Ⅰ)의 아미노산 유도체의 합성은 값이 비싸지 않은 원료를 사용함으로써 비용이 많이 들지 않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과제는 기존의 간장보호제 이외에 신규한 간장보호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 과제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에 의해 해결되었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Ⅰ)을 갖는 L-아미노산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R은, (CH2)2, (CH2)2COOH 또는 H이고, R1은 H 또는 COCH3이며, 또한 R 및 R1은 함께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없거나 또는 Mg,,,,,, HO-(CH2)2-CH2NH2또는 HO-(CH2)2-N(CH3)2이며, 단 R 및 R1은 동시에 H가 아니며, X가 없다면, R은이고, R1=COCH3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Ⅱ)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Ⅲ)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한다.
상기 식들에서, R, R1및 X의 정의는 상기 기재된 화학식(Ⅰ)에서의 정의와 같다.
출발물질인 L-아미노산들은 아실화하거나 또는 환을 형성하게 하거나 또는 히드록시메틸화시킴으로써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구조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는 단독으로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결합제, 안정화제 및 희석제 등을 혼합하여 산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액제 및 주사제 등의 형태로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와 함께 공지된 간장보호작용물질(예: L-아스파라긴산, L-아르기닐, L-트립토판 및 L-트레오닌 등의 L-아미노산)을 추가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할 수도 있다.
투여량은 나이, 체중 및 병의 상태 등에 따라서 적절히 증감할 수 있지만, 통산 성인 1일 0.3∼2.0g의 용량으로 사용되며, 상기 1일 용량을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가 나타내는 간장보호효과를 다음의 시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의 간장보호효과에 관한 시험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의 간장보호효과에 관한 시험은 사염화탄소(CCl4)에 의해 야기된 마우스의 급성독성간염 모델의 생체내에서 이루어졌다. 시험동물로는 러시아 보건성의 규정에 따라 식이요법을 받은 체중 20∼22g의 ICR 마우스 수컷을 사용하였다. 사육조건은 온도 21±2℃, 습도 60±5℃였으며, 12시간은 빛을 공급하고 12시간은 빛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급성독성간염의 모델은 LD50의 1.5배 용량의 CCl4를 바셀린용액에 녹인 50% 용액의 상태로 마우스의 내부복막을 주입함으로써 야기되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를 CCl4를 주입하기 한 시간전에 25㎎/㎏의 용량으로 1회 내부복막에 주입하였다. 비교약물로서는 국산(러시아산)의 간장보호제인 '실리보르'와 '엣센샬'(유고슬라비아산-Nattermann 회사특허품, 독일산)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비교약물을 전분점액의 (5%용액)상태로 주입하였다.
각 시험군에서는 6-20마리의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비교약품 투여군과 간염모델군을 몇가지 시험에는 통일되었다. 통일된 비교약품 투여균과 간염모델군의 각 그룹은 6마리 이상의 마우스로 구성되었다.
간장보호효과는 4일간 마우스가 생존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간장보호효과의 정도는 %로 표시하고 각 군의 전체 마우스에 대한 살아남은 마우스수의 비로 정하였다.
내부복막 주입에 있어서, 급성독성은 퀵-시험(quci-test)(참고문헌: Deichmann W.B., Le Blanc T.J.-J. Industr. Hyg. Toxicol. -1943.-V.25-N.9-p.415∼417)을 사용하여, 흠없는 흰 마우스로 연구하였다. 마우스의 죽음을 초래한 최소량의 LD50을 주입하였다.
시험결과는 하기 표1에 표시되어 있다.
표1에는 보는 바와 같이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에서 LD50의 1.5배 용량의 CCl4에서 마우스의 생종율을 다양하여 7-47%로 변동이 있었다.
시험된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의 급성독성은 용량 1000-1500㎎/㎏의 영역에 걸쳐 있다.
CCl4의 주입으로 야기된 마우스의 급성독성간염모텔에 대한 '실리보르' 및 '엣센샬'의 효과와 비교한 본원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의 간장보호효과.
[표 1]
* + - 피로글루탄산 구조의 유도체
** ☆ - 마우스에게 녹말점액을 주입함.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제조된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는 IR-스펙트럼 및 원소분석으로 확인되었으며, 수득된 L-아미노산 유도체의 구조 및 특성이 하기 표2에 기재되어 있다. 당업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이 실시예의 범위로만 제한되지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실시예 1]
N-아세틸글리신과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 아미드의 제4급염의 제조:
0.8g(0.006M)의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 아미드와 0.95g(0.006M)의-N-아세틸글리신을 50℃의 온도에서 한시간에 걸쳐 교반하면서 35㎖의 이소프로필 알콜에 용해시킨 후, 5-7℃에서 10시간동안 결정화시킨다.
침전물을 이소프로필알콜, 에테로로 씻어내고, 60℃에서 건조시킨다. 1.1g(0.0047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79.6%
IR-스펙트럼, CM-1; 3450,3370,3200,3100,1940,1900,1710,1685
이론값,%; C 44.08, H 6.12, N 14.10
실제값,%; C 44.15, H 6.00, N 14.60
[실시예 2]
N-아세틸글리신과 4-아미노테놀의 제4급염의 제조: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25%
융점; 161-163℃
IR-스펙트럼, CM-1; 3300,3170,3055,2710,2580,2150,1650,1605,1565,1500
이론값,%; C 53.08, H 6.24, N 12.38
실제값,%; C 53.10 H 6.30, N 12.25
[실시예 3]
N-아세틸-L-글루탐산과 4-아미노페놀의 제4급염의 제조:
2.1g(0.019M)의 4-아미노페놀을 저으면서 35㎖ 에틸알콜과 1㎖의 물 혼합액에 녹인다.
얻어진 용액에 3.5g(0.019M)의 N-아세틸-L-글루탐산을 가열하고 저으면서 첨가한다. 활성탄으로 용액을 정제하고, 진공에서 용매을 제거한다. 얻어진 결정체를 재결정화 시킨 후, 50℃에서 건조시킨다.
0.8g(0.0027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14.2%
융점; 138-139℃(분해)
IR-스펙트럼, CM-1; 3250,2700-2400,2170,1940-1800,1705,1630,1605,1520,1500
이론값,%; C 53.41, H 6.07, N 9.38
실제값,%; C 52.63 H 6.37, N 9.45
[실시예 4]
N-아세틸-L-글루탐산과 3-메틸-1-옥시메틸피라졸의 제4급염의 제조:
20㎖의 에틸알콜 내에 1.12g(0.01M)의 3-메틸-1-옥시메틸피라졸이 용해된 용액에 8㎖의 물에 1.89g(0.01M)의 N-아세틸-L-글루탐산이 용해된 용액을 섞는다. 2시간 동안 혼합시키고, 처음 양의 1/8이 될 때까지 농축시킨 다음, 여과·건조시켜 2.85g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95.2%
융점; 185-183℃(분해)
IR-스펙트럼, CM-1; 3230,3090,1860-1960,1695,1540
이론값,%; C 47.83, H 6.36, N 13.95
실제값,%; C 47.95, H 6.20, N 14.65
[실시예 5]
N-아세틸-L-글루탐산과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 아미드의 제4급염의 제조:
2g(0.016M)의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 아미드와 3g(0.016M)의 N-아세틸-L-글루탐산을 50㎖ 이소프로필알콜에 넣어 70-75℃에서 한시간 동안 교반하여 용해시킨다. 활성탄으로 용액을 정제시키고, 진공에서 15-20㎖의 용매를 제거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서서히 결정화시킨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70℃에서 건조시킨다. 48g(0.015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93.7%
융점; 169-173℃(분해)
IR-스펙트럼, CM-1; 3420,3375,3250,3185,3095,1950,1920,1690,1665,1635, 1545
이론값,%; C 45.75, H 5.75, N 13.33
실제값,%; C 45.42, H 6.04, N 13.24
[실시예 6]
N-아세틸-L-글루탐산과 2,6-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4-메틸피리미딘의 제4급염의 제조:
3.3g(0.021M)의 2,6-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4-메틸피리미딘을 50-60℃에서 용해하고 100㎖의 50%의 에틸알콜에 섞는다. 얻어진 용액에 4g(0.021M)의 N-아세틸-L-글루탐산을 점차적으로 부가한다. 용액을 15분간 섞은 후 활성탄으로 정제한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50℃에서 건조시킨다.
수득률; 83%
융점; 196℃(분해)
IR-스펙트럼, CM-1; 3485,3250,3090,2800,1940,1700,1630,1600,1560
이론값,%; C 45.21, H 5.64, N 12.17
실제값,%; C 45.04, H 5.47, N 12.21
[실시예 7]
L-글루탐산과 2,6-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4-메틸피리미딘의 제4급염의 제조:
4.2g(0.027M)의 2,6-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4-메틸피리미딘을 150㎖의 15% 에틸알콜에 섞으면서 50℃까지 가열하면서 용해시킨다. 얻어진 용액에4g(0.027M)의 L-글루탐산을 일정량씩 첨가시킨다. 용액을 15분간 섞은후 활성탄으로 정제한다. 용매를 진공하여 처음양의 1/4까지 게거하고, 그로부터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건조시킨다. 6g(0.0198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72.5%
융점; 217℃(분해)
IR-스펙트럼, CM-1; 3485,3200,3095,3040,2720,2570,2465,1955,1705,1695, 1615,1485
이론값,%; C 43.56, H 5.64, N 13.86
실제값,%; C 43.71, H 5.80, N 13.83
[실시예 8]
N-아세틸글리신과-5-옥소-2-피롤리딘아미도-1-메탄올의 제4급염의 제조:
4.1g(0.026M)의 5-옥소-2-피롤리딘아미도-1-메탄올과 3g(0.026M)의 N-아세틸글리신을 105㎖의 에틸알콜에 50℃에서 용해시킨다. 15분간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침전물을 여과한 후 건조시켜 7g(0.025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9]
N-아세틸-L-글루탐산과 3-아미노프로판올의 제4급염의 제조:
13.6g(0.072M)의 N-아세틸-글루탐산에 5.4g(0.072M)의 3-아미노프로판올을 점차적으로 첨가한다. 얻어진 규질용액은 20,30,50%의 수용액을 만드는데 사용한다.
[실시예 10]
N-아세틸-L-글루탐산과 3-(디메틸아미노)프로판올의 제4급염의 제조:
실시예 9의 방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실시예 11]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세틸아미노부티르산-트리히드레이트의 제조:
17㎖의 물에 10g(0.03PM)의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미노부티르산 현탁액을 넣어 교반하면서 65-70℃까지 가열한다. 이 온도에서 격렬하게 섞으면서 15㎖(16.23g; 0.159M) 아세트산 무수물을 부어서 채운다. 니히드린 용액 반응량 검사에서 냉각시킨 후 물로 재결정화시켜 6.0g(0.234M)의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미노부티르산을 얻는다.
수득률; 60%
융점; 156-157℃
IR-스펙트럼, CM-1; 3550,3440,3250,2720-2480,1720,1630-1610,1500
[α]D20=+28(5H HC1)
이론값,%; C 49.51, H 6.70, N 13.22
실제값,%; C 50.70, H 6.22, N 13.22
TCX(H-부탄올: 아세트산: 피리딘: 물) =30:6:20:24; Rf 0.63
[실시예 12]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미노부티르산 마그네슘염 데카히드레이트의 제조:
1.74g(0.046M)의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미노부티르산 1.33g(0.023M)의 마그네슘히드록시드의 혼합액에 110㎖의 물을 부어넣고 85-90℃에서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섞은 후 2시간 동안 둔다. 얻어진 용액을 활성탄으로 정제하여 처음 양의 1/4까지 농축하고 냉각한 후 100㎖ 아세톤을 부어 넣는다. 분리된 오일상의 제품을 20㎖의 아세톤으로 처리한다. 용매를 진공하에 저게하고, 결정들을 55-60℃ 진공상태에 건조한다. 8.85g(0.013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56.5%
IR-스펙트럼, CM-1; 3050-3440,2750-2500,1580-1650
[α]D20=+28(5H HC1)
이론값,%; C 41.22, H 6.92, N 13.11, Mg 3.90
실제값,%; C 41.52, H 6.66, N 12.78, Mg3.90
TCX(H-부탄올: 아세트산: 피리딘: 물) =30:6:20:24; Rf 0.49
[실시예 13]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과 4-아미노페놀은 제4급염의 제조;
180㎖의 이소프로필 알콜중의 3.5g(0.032M) 4-아미노페놀의 현탁액을 완전히 용해될 때 잘 섞으면서 50-60℃까지 가열한다. 얻어진 용액에 4.2g(0.032M)의 5-옥소-피로리딘-2-카본산을 일정량씩 첨가한다. 용액을 활성탄으로 정제하고 진공상태에서 처음 양의 1/4까지 농축시켜, 55g(0.023M)의 표제 화합물을 얻는다.
수득률; 71.9%
융점; 125-127℃
IR-스펙트럼, CM-1; 3255,2700,2550,2120,1905,1870,1670,1630,1595,1550, 1505
이론값,%; C 55.46, H 5.92, N 11.76
실제값,%; C 55.60, H 6.00, N 11.90
[실시예 14]
5-옥소-피롤리딘 카복시아미도-1-메탄올의 제조:
12g(0.094M)의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에 13.5㎖의 포르말린과 12㎖의 암모니아 수용액을 부어 넣는다. 혼합액을 100℃까지 가열하고 1시간 반동안 정치시킨다. 냉각시 결정침전물이 형성된다. 여과후 건조시켜 4.8g(0.03M)의 5-옥소-피로리딘 카옥시아미도-1-메탄올을 얻는다.
수득률; 32.3%
융점; 125-127℃
IR-스펙트럼, CM-1; 3310,3200,3070,1670,1550
이론값,%; C 45.20, H 5.34, N 17.61
실제값,%; C 43.23, H 5.60, N 17.22
[실시예 15]
간장보호작용을 가진 화학식(I)의 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
[실시예 16]
간장보호작용을 가진 화학식(I)의 L-아미노산 유도체를 함유한 약학적 조성물:
[표 2]
화학식(I)의 L-아미노산 유도체들의 구조 및 특성
+ - 피로글루탐산 구조의 유도체 :
본 발명의 화학식(Ⅰ)의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는 우수한 간장보호작용을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
    상기 식에서, R은, (CH2)2COOH 또는 H이고, R1은 H 또는 COCH3이며, 또한 R 및 R1은 함께를 형성할 수도 있고; X는 없거나 또는 Mg,,,,,, HO-(CH2)2-CH2NH2또는 HO-(CH2)2-N(CH|3)2이며, 단 R 및 R1은 동시에 H가 아니며, X가 없다면, R은이고, R1=COCH3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가 N-아세틸글리신과 5-옥수피폴리딘-2-카본산 아미드의 제4급염; N-아세틸글리신과 4--아미노페놀의 제4급염; N-아세틸-L-글루탐산과 4-아미노페놀의 제4급염; N-아세틸-L -글루탐산과 3-메틸-1-옥시메틸피라졸의 제4급염; N-아세틸-L-글루탐산과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 아미드의 제4급염; N-아세틸-L-글루탐산과 2,6-디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4-메틸피리미딘의 제4급염; N-아세틸글리신과 5-옥소-2-피롤리딘아미도-1-메탄올의 제4급염; N-아세틸-L-글루탐산과 3-아미노페놀의 제4급염; N-아세틸-L-글루탐산과 3-(디메틸아미노) 프로판의 제4급염;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세틸아미노부티르산-트리히드레이트;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미노부티르산-데카히드레이트; 5-옥소-피롤리딘-2-카본산과 4-아미노페놀의 제4급염; 및 5-옥소-2-피롤리딘카복시아미도-1-메탄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L-아미노산 유도체.
  3.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Ⅰ) L-아미노산 유도체가 N-아세틸-L-글루탐산과 4-아미노페놀의 제4급염 또는 γ-(벤즈이미다졸릴)-(2)-L-α-아세틸아미노부티르산-트리히드레이트인 L-아미노산 유도체.
  4. 활성물질로서 제1항에서 청구된 화학식(Ⅰ)의 L-아미노산 유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장보호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7427A 1996-07-31 1997-07-31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KR980009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96114425 1996-07-31
RU96114425A RU2131247C1 (ru) 1996-07-31 1996-07-31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производные l-аминокислот, обладающие гепатопротекторным действие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249A true KR980009249A (ko) 1998-04-30

Family

ID=20183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7427A KR980009249A (ko) 1996-07-31 1997-07-31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980009249A (ko)
RU (1) RU2131247C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131247C1 (ru) 199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4828A (en) New derivatives of 4-amino-5-alkyl sulphonyl orthoanisamides, methods of preparing them and their application as psychotropic agents
US4948805A (en) Salt of diclofenac with a pyrrolidine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hich contain it
FR2489319A1 (fr) Derives de l'acide amino-4 butyrique et les medicaments, actifs notamment sur le systeme nerveux central, en contenant
US4839387A (en) Derivative of thiazolidine-4-carboxylic acid, its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it
US5221692A (en) Ether linked and relatively nonpungent analogues of N-nonanoyl vanillylamide
FI73970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farmaceutiskt aktiva 2-amino-3-(halobensoyl)-metyl-fenylaettiksyra och estrar och salter daerav.
US4046887A (en) Glycerides with anti-inflammatory properties
KR980009249A (ko) 신규한 l-아미노산 유도체 및 간장보호제로서의 이의 용도
US5081149A (en) Antihepatopathic method
IE45384B1 (en) Method of treating allergy
US3966941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lactation or pregnancy in mammals and the method for using the same
US3658989A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tetracycline sulfamate and derivatives thereof
CA1095055A (en) Benzamidine derivativ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FI100970B (fi) Menetelmä 2-dialkyyliaminoalkyyli-26-sulfonyylipristinamysiini IIB:n u usien suolojen valmistamiseksi
US4310521A (en) Aspirin-isopropylantipyrine
US6060498A (en) Composition containing antitumor agent
JPS6067458A (ja) N−アセチルシステイン及びs−カルボキシメチルシステインの2′,4′−ジフルオロ−4−ヒドロキシ−(1,1′−ジフエニル)−3−カルボキシル誘導体、及びそれを含む組成物
US3635971A (en) 3 (3 4-dihydro-3-oxo-2-quinoxalinyl) propionamides
US3903276A (en) N-carboxymethyl-N-substituted glycinate esters of 3-hydroxy-1,4-benzodiazepin-2-ones for inducing a calming effect
NL8202227A (nl) 4-amino.benzylaminederivaten en werkwijzen voor hun bereiding en hun toepassing als farmaceutica.
JPS6119632B2 (ko)
US4185104A (en) Tranquillizing complexes
US3098858A (en) 7-halogenated adrenochrome derivatives
JPS6243987B2 (ko)
US4028398A (en) Process for substituted cyclohexenes and its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