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878U -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878U
KR980007878U KR2019960022791U KR19960022791U KR980007878U KR 980007878 U KR980007878 U KR 980007878U KR 2019960022791 U KR2019960022791 U KR 2019960022791U KR 19960022791 U KR19960022791 U KR 19960022791U KR 980007878 U KR980007878 U KR 9800078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ide
vehicle
frame
car
circula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7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27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7878U/ko
Publication of KR9800078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87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Longitudial frame)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면 모양이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상부 면상에 다수개의 원형홀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되어지되 프론트 앤드에서 승객실 방향으로 원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형성됨으로써, 달리는 자동차가 정면충돌 했을 경우에 원형홀에 의해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점차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므로,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이 밴딩으로 직접적인 충격에너지에 의한 자동차 탑승객을 중상이나 사망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측에 위치되어 임팩트 빔이 설치되는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상부 면상에 프론트 앤드(Front end)에서 승객실 (Cabin)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원의 지름이 감소되는 다수개의 원형홀을 천공하여 형성하므로써, 강성을 높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론지튜디널 프래임은 전방측 단부에는 자동차의 임팩트 빔(10)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단면 모양은 “ㄷ”자 모양으로 되어 있고 그 상하단부에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프랜지(11a)(11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12)은 자동차가 정면충돌을 일으켰을 때 임팩트 빔(10)으로 통해 충격에너지가 직접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12)에 전달되므로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12)이 취약하면 충격을 미처 흡수하기도 전에 벤딩되어 차체가 쉽게 변형되고, 이로 인해 차내에 탑승한 승객이 중상 혹은 사망사고에 이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을 구조적 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측 론디튜디널 프래임의 구조는 단면 모양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상부 면상에 다수개의 원형홀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되어지되 프론트 앤드에서 승객실 방향으로 원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일반적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 2의 원형홀에 작용하는 응력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 22 : 원형홀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에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의 구조는 단면 모양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의 상부 면상에 다수개의 원형홀(22)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되어지되 프론트 앤드에서 승객실 방향으로 원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자동차의 정면충돌로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에 전달되는 충격에너지는 균일단면의 경우에는 응력(단위면적당 작용하는 힘)이 전단면에 걸쳐 균일하게 작용하지만,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지름의 원형홀(22)이 천공된 경우에는 상기 원형홀(22)의 가장자리에 있는 두점 m과 m에 심한 응력집중이 일어나게 되며 상기 원형홀의 중심을 자나는 단면 위에서의 응력분포는 도 3의 음영 부분으로 나타나고 원형홀(22)의 크기가 상기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의 폭에 비해서 대단히 작은 경우에는 원형홀(22)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만큼 떨어져 있는 점에 이르러야 균일한 응력분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은 각 원형홀(22)의 양측 가장자리 m과 n에 응력의 집중이 일어나게 되고, 차량의 정면충돌로 인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 응력의 집중이 가장 좁은 범위에 걸쳐 형성된 원형홀 A 가 먼저 변형되고 그 다음에는 원형홀 B, 원형홀 C, 원형홀 D 순으로 변형이 발생되므로 충격에너지는 상기 변형과 동시에 점차적으로 흡수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에 의하면 달리는 자동차가 정면충돌 했을 경우에 원형홀에 의해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점차적인 변형을 통해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므로,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이 밴딩으로 직접적인 충격에너지에 의한 자동차 탑승객을 중상이나 사망사고로부터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면 모양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20)의 상부 면상에 다수개의 원형홀(22)이 소정 간격으로 천공되어지되 프론트 앤드에서 승객실 방향으로 원의 지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래임의 구조.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791U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KR9800078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791U KR980007878U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791U KR980007878U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878U true KR980007878U (ko) 1998-04-30

Family

ID=53970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791U KR980007878U (ko) 1996-07-30 1996-07-30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78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81B1 (ko) * 2001-08-29 2004-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펜더 마운팅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981B1 (ko) * 2001-08-29 2004-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펜더 마운팅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790B1 (ko) 자동차의 내장재에 의한 충격 에너지 흡수 구조
KR100405892B1 (ko) 측면 충돌에 대한 강성이 향상된 자동차의 플로어 패널조립체
US3439769A (en) Safety instrument panel
US4474391A (en) Instrument panel for automotive vehicles
KR980007878U (ko) 자동차의 전방측 론지튜디널 프레임의 구조
CN110962936B (zh) 横梁结构和车架
US20020074828A1 (en) Energy absorbing deformation element
DE10317178B3 (de) Kraftfahrzeug
CN209757029U (zh) 汽车前防撞梁总成
KR100320822B1 (ko) 자동차의 실사이드부 보강구조
KR950029056A (ko) 자동차의 임팩트 비임
CN101254768A (zh) 车体构造
KR200228004Y1 (ko) 자동차의엔진룸보강구조
KR100233500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960005862B1 (ko)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KR200182555Y1 (ko) 자동차 측면충돌대비 보강구조
KR200158269Y1 (ko) 승용차의 센터 필러
KR100233503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JPH11348692A (ja) 自動車用バンパ構造
KR970041746A (ko)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
KR100262190B1 (ko) 자동차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 구조
KR100233502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JP2005088730A (ja) 車体構造
KR0120013Y1 (ko) 승용차의 센터 필러
KR100233501B1 (ko) 승용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