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5862B1 -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5862B1
KR960005862B1 KR1019930025220A KR930025220A KR960005862B1 KR 960005862 B1 KR960005862 B1 KR 960005862B1 KR 1019930025220 A KR1019930025220 A KR 1019930025220A KR 930025220 A KR930025220 A KR 930025220A KR 960005862 B1 KR960005862 B1 KR 960005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sh panel
bent portion
predetermined
panel
absorb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893A (ko
Inventor
권오성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5862B1/ko
Publication of KR95001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5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F16F7/123Deformation involving a bending action, e.g. strap moving through multiple rollers, folding of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차량에 설치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의 확대 사시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단 대시패널(DASH PANEL) 11 : 후단 대시패널
15 : 충격흡수부재 20 : 완곡부
22 : 보강공 24 : 절곡홈
25 : 절곡부 28 : 노치
본 발명은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으며 평시에는 전단 대시패널과 후단 대시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계기판과 엔진룸 사이에 설치된 대시패널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단 대시패널(10)과 후단 대시패널(11)로 구분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상기 대시패널상에 아무런 보강재가 설치되지 않아 전면 충돌시 엔진룸의 구조물이 커다란 저항을 받지 않은 채 운전석 쪽으로 밀려 들어오게 됨에 따라 승객의 안전은 물론 생명까지도 위협하게 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완곡부와 보강공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일측단 부근에 폭방향의 절곡부를 형성하며, 양측단은 각각 전단 대시패널 및 후단 대시패널의 중앙부 상단에 용접 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완곡부는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보강공은 상기 완곡부와 완곡부 사이에 복수개 연속해서 천공하며, 상기 절곡부는 차량 충돌시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상기 충격흡수부재가 상기 절곡부에서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평시에는 전단 대시패널과 후단 대시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곡부(20)와 보강공(22)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일측단 부근에 폭방향의 절곡부(25)를 형성하며, 양측단은 각각 전단 대시패널(10) 및 후단 대시패널(11)의 중앙부 상단에 용접결합하도록 하되, 상기 완곡부(20)는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보강공(22)은 상기 완곡부(20)와 완곡부(20) 사이에 복수개 연속해서 천공하며, 상기 절곡부(25)는 차량 충돌시 절곡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서 첨부도면 제 2 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상기 절곡부(25)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완곡부(20)의 외주연에 폭방향의 절곡홈(24)을 복수개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절곡부(25)가 상기 충격흡수부재(15)의 외주연과 만나는 양측단부(<B>와 <C>)에 노치(28)를 형성하며 상기 보강공(22)은 절곡부(25) 연장선상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절곡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25)는 엔진룸측의 전단 대시패널(10)쪽으로 향하게 하되, 절곡부(25) 연장선이 연직선상에 놓이도록 하여 용접결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곡부(20)는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한 면을 압착하여 돌출형성하고, 상기 보강공(22)도 같은 목적으로,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배열한다.
본 발명은 발명의 목적범위내에서 변형가능하고 상기 일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차량의 충돌시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부재가 절곡부에서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승객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으며, 부수적으로, 평시에는 전단 대시패널과 후단 대시패널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한쪽 끝은 전단 대시패널(10)의 후면에, 다른쪽 끝은 후단 대시패널(11)의 전면에 각각 용접결합되는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에 있어서, 상기 몸체 상하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반대측면 쪽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는 복수의 완곡부(20)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곡부(20) 사이에 해당되는 몸체의 면상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보강공(22)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의 선단으로부터 뒷쪽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상의 폭방향으로는, 상단과 하단에 쐐기형의 노치(28)가 형성되고 상기 각 노치(28)를 잇는 선상에 해당되는 완곡부(20)의 외측면상에 절곡홈(24)이 형성된 형태의 절곡부(2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KR1019930025220A 1993-11-25 1993-11-25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KR960005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220A KR960005862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5220A KR960005862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93A KR950013893A (ko) 1995-06-15
KR960005862B1 true KR960005862B1 (ko) 1996-05-03

Family

ID=19368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5220A KR960005862B1 (ko) 1993-11-25 1993-11-25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58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893A (ko)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0665A (en) Energy absorbing panel structure
US3439769A (en) Safety instrument panel
US5037130A (en) Knee protector for automotive vehicles
US6793246B2 (en) Knee support for occupants
EP0855313B1 (en) Energy absorbing automotive vehicle body structure
US7243981B2 (en) Vehicle body deformation control assembly
JPH0319493Y2 (ko)
KR960005862B1 (ko) 자동차 대시패널용 충격흡수부재
JPS6013730Y2 (ja) フレ−ム構造
JPH09254728A (ja) 自動車用車体構造
KR100527761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브라켓의 구조
KR100302742B1 (ko) 자동차의대쉬패널보강구조
KR0179615B1 (ko) 자동차의 차체프레임 보강구조
KR0127089Y1 (ko) 도어 임팩트 빔 브래킷
JP3564713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9990021417U (ko) 자동차의 센터플로어 보강구조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KR100262190B1 (ko) 자동차 프레임의 크로스 멤버 구조
KR100550042B1 (ko) 자동차용 니볼스터 브라켓트
KR200180012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하중제한계(A impact force limiting column of seat belt for sutomobile)
KR200140912Y1 (ko) 차량용 시트 프레임
KR0171805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인너 패널 보강구조
KR0126816Y1 (ko) 자동차의 플로어패널 보강구조
KR0135440B1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JPH11245747A (ja) 乗員保護装置の補強用保護部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