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7212U - 자동차용 선바이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선바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7212U
KR980007212U KR2019960022335U KR19960022335U KR980007212U KR 980007212 U KR980007212 U KR 980007212U KR 2019960022335 U KR2019960022335 U KR 2019960022335U KR 19960022335 U KR19960022335 U KR 19960022335U KR 980007212 U KR980007212 U KR 9800072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 visor
present
fixed
fixing part
vi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2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22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80007212U/ko
Publication of KR9800072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7212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08Sun visors combined with auxiliary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바(bar)(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서 고정부(12)를 구비한 제1본체(10), 상기 제1본체(10)의 하부면에 힌지(21)에 의해 전개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2)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2)에 탈착고정되는 접착부(22)를 구비한 제2본체(20)로 구성되며, 차광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계를 제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선바이저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본 고안은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광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해 보조 선바이저를 회동식으로 전개가능하게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선바이저가 제공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한다.
이같은 선바이저는 일반적으로 전방의 운전석 및 조수석 상부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같은 일반적인 선바이저가 도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1에 따르면, 선바이저(1)의 차폐판(2)의 일단부가 헤드라이닝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금속바(3)에 역시 상 ·하로 회동가능하게 외삽되어 장착한다. 이같은 선바이저는 전방유리(4)로부터 입사하는 햇빛 또는 전방윈도우(5)로부터 입사되는 일부의 햇빛을 차단하여 승객을 보호한다. 물론 이같은 선바이저가 사용되지 않을때는 제위치로 복귀되어, 즉, 선바이저가 헤드라이닝에 밀착되어, 예컨대, 고속도로 통행권과 같은 영수증을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일반적인 선바이저는 차광영역이 매우 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입사하는 최대의 차광영역은 선바이저 본체의 면적에 비례하으로써, 그 차광영역은 매우 협소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보조 선바이저를 채용하여 본체에 삽입가능하게 장착하는 방식을 채택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제조비가 비싼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광영역을 확대시키기 위해 보조 선바이저를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조 선바이저를 상 ·하 전개식으로 구비한 자동차용 선바이저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선바이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선바이저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도 2에 도시된 선바이저가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선바이저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1본체 11 : 금속바
12 : 고정부 20 : 제 2본체
21 : 힌지 22 : 접착부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바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서 고정부를 구비한 제1본체, 상기 제1본체의 하부면에 힌지에 의해 전개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접착 고정되는 접착부를 구비한 제2본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1본체의 고정부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의 접착부는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제2본체는 차광코팅된 차광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도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선바이저가 접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가 전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선바이저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2및 도3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는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본체(10)는 전술된 바와같이 그 상부가 금속바(11)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금속바(11)의 일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고정되는 브래킷(11a)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에 제1본체(10)의 주앙 상단부에는 고정부(12)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는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섬유질 패스너(fastener) 또는 매직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제1본체(10)의 하단부에는 제2본체(20)가 전개가능하게 힌지(hinge) 결합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본체(20)의 상부가 제1본체(10)의 하부에 힌지(21)에 의해 전개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제2본체(20)의 하부 즉, 상기 제1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된 고정부(12)에 상응하는 위치에는 접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접착부(22)는 상기 고정부(12)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형성될수 있는바, 예컨대 고정부(12)가 자석인 경우에는 접착부(22)는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되며, 고정부(12)가 섬유질 패스너 또는 매직테이프로 형성된 경우에는 접착부(22) 또한 이에 상응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본체(2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고정부(12)와 접착부(22)가 상호 접착고정되어 제1본체(10)와 제2본체(2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4에 따르면, 차광코팅된 투명 차광판으로 형성된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전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는 제2본체(20')가 전개된 경우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계를 제한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본체(20)에는 물론 제1본체(10)의 고정부(12)에 상응하는 접착부(22')가 형성되어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이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바이저의 사용모드에 의하면, 먼저 작은량의 태양광이 자동차의 전방유리면을 통해 입사하는 경우에는 제2본체(20)가 제1본체(10)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선바이저를 전개시켜 입사광을 차단시키며, 이후 입사광이 상기 접힌 상태에서의 선바이저의 면적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2본체(20, 20')를 제1본체(10)로부터 전개시켜 차광영역을 확대시킨다.
이로써 더넓은 영역을 차광할 수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햇빛으로부터 보호한다. 특히, 투명차광판으로 형성된 제2본체를 채용한 경우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시계를 전혀 방해하지 않으므로써, 운전자가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탑승자가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3)

  1. 자동차의 헤드라이닝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바(bar)(1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부에서 고정부(12)를 구비한 제1본체(10) 상기 제1본체(10)의 하부면에 힌지(21)에 의해 전개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12)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2)에 탈착고정되는 접착부(22)를 구비한 제2본체(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10)의 고정부(12)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본체(10)의 접착부(22)는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차광코팅된 차광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바이저.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2019960022335U 1996-07-26 1996-07-26 자동차용 선바이저 KR9800072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35U KR980007212U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용 선바이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2335U KR980007212U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용 선바이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7212U true KR980007212U (ko) 1998-04-30

Family

ID=5397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2335U KR980007212U (ko) 1996-07-26 1996-07-26 자동차용 선바이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800072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88A1 (ko) * 2013-12-19 2015-06-25 백일근 길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접이식 차광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3888A1 (ko) * 2013-12-19 2015-06-25 백일근 길이 및 폭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접이식 차광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2736A2 (en) Sun visor device
US5004285A (en) Sun-shield
US4838334A (en) Sunshield with openings
US6286887B1 (en) Visor with longitudinal movement system
GB2034263A (en) Vehicle Sun Visors
KR980007212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EP0263801B1 (en) Sun visor for a vehicle side window
KR100402853B1 (ko) 자동차의 선 바이저
KR0123595Y1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960006435Y1 (ko) 차양구조를 갖는 썬바이져(Sun Visor)
JP2021191659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
JP3662731B2 (ja) 自動車のサンバイザ
KR200246849Y1 (ko) 보조 선바이저
KR19980023783U (ko) 운전자용 선 바이저
KR200163203Y1 (ko) 자동차용접이식선글라스
KR19980052176U (ko) 자동차용 선 바이저
KR200141668Y1 (ko) 컨버터블(convertible)차량용간이소프트탑
KR970004179Y1 (ko) 선글라스판 및 전자수첩이 구비된 자동차용 선바이저
KR19980039475U (ko) 자동차용 선바이져의 미러 커버 취부구조
KR200258954Y1 (ko) 자동차용 보조 선 바이저
KR19980010751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GB2316924A (en) Visor extension for motor vehicle sun visors
JPH09315149A (ja) 乗用車用サンバイザー
US20090184538A1 (en) Auxiliary visor
KR19980012861U (ko) 자동차용 선바이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