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1930A -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 Google Patents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1930A
KR980001930A KR1019960020692A KR19960020692A KR980001930A KR 980001930 A KR980001930 A KR 980001930A KR 1019960020692 A KR1019960020692 A KR 1019960020692A KR 19960020692 A KR19960020692 A KR 19960020692A KR 980001930 A KR980001930 A KR 980001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monomer
molding material
producing
material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5999B1 (ko
Inventor
야스히로 마쯔다
노부히꼬 유까와
Original Assignee
아이다 켄지
가부시끼가이샤 닛뽕 쇼꾸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다 켄지, 가부시끼가이샤 닛뽕 쇼꾸바이 filed Critical 아이다 켄지
Priority to KR101996002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5999B1/ko
Publication of KR98000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5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5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2Treatment
    • C04B20/026Comminuting, e.g. by grinding or breaking; Defibrillating fibres other than 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4Thickening, gelling or viscosity increa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성형용 입자는,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와,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와,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하는 액체상태의 단량체 A를 혼합한 후, 상기 양 화합물 AㆍB을 라디칼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반응화합물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반응화합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함으로써 얻어진다. 또한, 성형용 재료는, 상기 단량체 A와 공중합하는 단량체 B에 상기 성형용 입자를 혼합형으로써 얻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른바 줄무늬나 구름형상 등 원하는 모양을 표현할 수 있는 성형용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성형용재료를 성형함으로써, 입체감이 풍부한 성형품, 예를 들어 화강암이나 대리석등 천연석에 흡사한 외관을 가지는 인공성을 용이하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56)

  1. 성형용 재료로서,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 및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생성된 반응성 화합물, 그리고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된 액체 상태의 단량체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여 제조되는 성형용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는, 충전제, 착색제, 내부 이형제, 보강제, 및 점토 증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는, 상기 반응 화합물 이외의 합성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는 상기 반응 화합물 이외의 착색된 합성수지편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
  5.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으로서,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 및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하는 액체 상태의 단량체 A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 후, 상기 양화합물 AㆍB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반응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반응화합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을 성형하는 단계가 점도 증가용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이 단량체 A에 의해 팽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는, 상기 반응 화합물이외의 합성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는, 상기 반응 화합물이외의 착색된 합성수지편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의 점도는, 헬리퍼스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10,000포이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의 경도는, 타입 D의 두로미터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HDD)이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단량체 A가 다관능성 (메타) 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3. 제5항에 있어서, 단량체 A에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4. 제5항에 있어서, 혼합 단계에 착색제 첨가 단계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가 화합물 A, 화합물 B 및 단량체 A의 혼합물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6. 제5항에 있어서, 파쇄 단계후에, 상기 단량체 A와 공중합하는 단량체 B에, 형성된 파쇄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파쇄물이 단량체 B 100중량부에 대하여 5~30중량부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 파쇄물을 혼합하는 단계 이후에, 단량체 A와 단량체 B를 공중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단량체 B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는 충전체, 착색제, 내부 이형체, 보강제, 점도증가제, 및 중합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2.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으로서,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되는 액체상태 단량체 A의 존재하에,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 및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반응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A와 공중합되는 단량체 B에 상기 반응 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첨가후, 반응 화합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가 점도증가용 촉매의 존재하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이 단량체 A에 의해 팽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 상기 반응 화합물 이외의 합성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화합물에, 상기 반응 화합물 이외의 착색된 합성수지편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7.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의 점도는, 헬리퍼스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100,000 포아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8.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의 경도는, 타입 D의 두로미터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HDD)이 10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29. 제22항에 있어서, 단량체 A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0. 제22항에 있어서, 단량체 A에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1.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가 착색제 첨가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를 화합물 A, 화합물 B 및 단량체 A의 혼합물에 불균일하게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3. 제22항에 있어서, 반응 화합물을 단량체 B 100중량부에 대해 5 내지 500 중량부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 재료의 제조방법.
  34. 제22항에 있어서, 파쇄하는 단계 후에, 단량체 A와 단량체 B를 공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5. 제22항에 있어서, 단량체 B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6. 제22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7. 제22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 충전제, 착색제, 내부 이형제, 보강제, 점도증강제, 및 중합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38.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으로서,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되는 액체상태 단량체 A의 존재하에,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 및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1차 반응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반응 화합물에,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C 및 상기 화합물 C와 반응하는 화합물 D와, 상기 단량체 A와 공중합하는 액체상태 단량체 C를 첨가한 후, 상기 1차 반응 화합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함과 동시에, 상기 양 화합물 CㆍD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 2차 반응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량체 A, C와 공중합하는 단량체 B에 상기 2차 반응화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첨가 후, 상기 제2차 반응 화합물을 상기 소정의 크기로 파쇄한 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제료의 제조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 화합물을 성형하는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반응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2차 반응 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점도증가용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1차 반응 화합물이 단량체 A에 의해 팽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2차 반응 화합물이 단량체 C에 의해 팽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응화합물 및/또는 2차 반응화합물에 상기 반응화합물 이외의 합성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반응화합물 및/또는 2차 반응 화합물에는 상기 반응 화합물 이외의 착색된 합성수지편이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1차 반응화합물 및/또는 2차 반응화합물의 점도는 헬리퍼스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100,000 포아즈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6. 제38항에 있어서, 1차 반응화합물 및/또는 2차 반응화합물의 경도는 타입 D의 두로미터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HDD)이 100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단량체 A 및/또는 단량체 A 및/또는 단량체 C는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8. 제38항에 있어서, 단량체 A 및/또는 단량체 B 및/또는 단량체 C에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49. 제38항에 있어서, 1차 반응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또는 2차 반응화합물을 형성하는 단계에 착색제를 첨가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화합물 A와 화합물 B 및 단량체 A의 혼합물, 및/또는 1차 반응화합물과 화합물 C 및 화합물 D와 단량체 C와의 혼합물에 불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2차 반응화합물을 단량체 B 100 중량부에 대하여 5내지 500 중량부 범위내에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2. 제38항에 있어서, 파쇄 단계 후에, 단량체 A, C 및 단량체 B를 공중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3. 제38항에 있어서, 단량체 B가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4. 제38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 열가소성 수지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5. 제38항에 있어서, 단량체 B에 충전제, 착색제, 내부 이형제, 보강제, 점도증가제, 및 중합 조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용 재료의 제조방법.
  56. 성형품으로서, 복수의 반응성 치환기를 가지는 화합물 A 및 상기 화합물 A와 반응하는 화합물 B를 라디칼 반응 이외의 반응에 의해 결합시켜서 이루어지는 반응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반응에 의해 중합하는 액체 상태 단량체 A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여 이루어지는 성형용 재료를 성형하여 제조되는 성형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20692A 1996-06-11 1996-06-11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KR0175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92A KR0175999B1 (ko) 1996-06-11 1996-06-11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692A KR0175999B1 (ko) 1996-06-11 1996-06-11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930A true KR980001930A (ko) 1998-03-30
KR0175999B1 KR0175999B1 (ko) 1999-03-20

Family

ID=1946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692A KR0175999B1 (ko) 1996-06-11 1996-06-11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5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296A1 (en) * 2005-03-25 2006-09-28 Lg Chem, Ltd. Artificial marble using multicolor ch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47790B1 (ko) * 2005-12-30 2007-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줄 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이를 이용한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1296A1 (en) * 2005-03-25 2006-09-28 Lg Chem, Ltd. Artificial marble using multicolor ch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747790B1 (ko) * 2005-12-30 2007-08-08 제일모직주식회사 줄 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이를 이용한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5999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60230B (zh) 热压成型的人造石材料及其制备的方法
US4137215A (en) Process for preparing decorative plastics articles, as well as 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US20060293449A1 (en) Solid filler containing polymerizable compositions, articles formed thereby and methods of formation
CN1827687B (zh) 稳定化的不饱和聚酯树脂混合物
CN105722494A (zh) 抗冲改性的义齿基托组合物
KR980001930A (ko) 성형용 재료와 그 제조방법 및 성형용 재료로 이루어진 성형품
CN106751436B (zh) 用于薄壁结构的酚醛模塑料
KR20070071834A (ko) 줄 무늬를 갖는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이를 이용한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DE69635340D1 (de) Formmass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Formteile daraus
JP2635734B2 (ja) 模様付き人工石の製法
US20090099292A1 (en) Filler system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cast polymer parts
KR20000000485A (ko)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모르타르
JPS57203006A (en) Resin composition for denture base
KR100240749B1 (ko) 지배수지를 이용한 혼합 폐플라스틱의 성형방법
JPS5470344A (en)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 and its preparatin
US5294676A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with improved tacky adhes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SU1407944A1 (ru) Материал дл имитации льда в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модельных исследовани х
US5393808A (en) Composition of matter for wear surfa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SU1759807A1 (ru) Св зующее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искусственного отдело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WO1992013809A1 (en) Moulding of artificial stone
KR20010086308A (ko) 종이를 포함하는 사출성형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S5650958A (en) Resin composition
TW494126B (en) Molding compound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ldings produced from the same
CA1039469A (en) Process for preparing decorative plastics articles, as well as 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KR20210041414A (ko) 인조대리석 제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